[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37276Y1 - 문틀의 스톱퍼 - Google Patents

문틀의 스톱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276Y1
KR200337276Y1 KR20-2003-0026611U KR20030026611U KR200337276Y1 KR 200337276 Y1 KR200337276 Y1 KR 200337276Y1 KR 20030026611 U KR20030026611 U KR 20030026611U KR 200337276 Y1 KR200337276 Y1 KR 200337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door frame
protrusion
frame body
wid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석
Original Assignee
박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석 filed Critical 박준석
Priority to KR20-2003-0026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2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27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045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with separate wing abutment strips, e.g. adjustable; Door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문틀의 스톱퍼는 문틀본체에 형성된 돌출부에 끼워지는 요홈부의 입구의 폭이 상기 돌출부의 폭보다 크고, 그 입구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요홈부의 폭이 상기 돌출부의 폭보다 좁게 되도록, 스톱퍼의 측벽과 함께 요홈부를 형성하는 격벽이 구부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요홈부가 상기 돌출부에 견실한 상태로 용이하게 삽입되므로 스톱퍼가 문틀본체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문틀의 스톱퍼{Stopper of door frame}
본 고안은 문틀의 스톱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문틀의 본체에 형성된 돌출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요홈부가 배면에 형성된 문틀의 스톱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문틀의 설치구조는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의 개구부 주위에 위치한 벽면(6)에 문틀본체(2)를 위치시킨 다음, 문틀본체(2)와 벽면(6) 사이의 공간부에 우레탄(7)등을 충진하여 문틀본체(2)를 벽면(6)에 고정시키고, 문틀본체(2)의 좌, 우 측면에 형성된 요입홈(2a)에 마감판(3)의 돌기(3a)를 끼우고 마감판(3)의 측면부를 못(4)으로 박아서, 문틀본체(2)에 마감판(3)을 부착시킨 후, 좌, 우측 마감판(3) 사이로 노출된 문틀본체(2)의 부위에 접착제를 바르고 도어(8)의 위치를 구속하는 스톱퍼(5)의 돌출턱부(5a)를 상기 좌, 우측 마감판(3) 사이에 끼워넣어 스톱퍼(5)를 문틀본체(2)에 고정시켰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스톱퍼(5)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스톱퍼를 문틀본체(2)에 부착시키기 때문에 그 설치방법이 번잡스러울 뿐만 아니라 스톱퍼(5)의 보수 또는 교체시 스톱퍼를 문틀본체(2)로 부터 분리 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여기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문틀본체의 표면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끼워지는 요홈부를 스톱퍼에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에 상기 요홈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문틀본체에 스톱퍼는 결합시키는 종래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돌출부와 요홈부는 각각 문틀본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문틀본체의 돌출부에 스톱퍼의 요홈부를 끼워 넣기 위해서는 상기 돌출부의 상측에 요홈부를 정확하게 위치시켜야하는 불편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에서 상기 스톱퍼의 요홈부와 문틀본체의 돌출부의 형상이 형합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스톱퍼를 문틀본체에 결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요홈부가 상기 돌출부에 삽입된 후에도 요홈부와 돌출부가 견실하게 결합되지 아니하여 문을 닫을때 발생하는 충격으로 스톱퍼에 떨림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문틀본체에 간편하고 견실하게 결합될 수 있는 문틀의 스톱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 및 문틀의 형상이 표현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문틀의 스톱퍼 및 문틀본체의 결합구조가 표현된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문틀의 스톱퍼가 표현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문틀본체 12 : 돌출부 60 : 스톱퍼
62, 63 : 좌, 우측벽부 64, 65 : 격벽 A : 요홈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문틀의 스톱퍼는, 문틀본체의 표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삽입되는 요입부가 형성된 스톱퍼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를 형성하도록 스톱퍼의 배면에 형성된 격벽은 적어도 하나가 상기 요홈부의 폭이 가변되도록 수직방향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문틀의 스톱퍼 및 상기 스톱퍼가 결합되는 문틀본체가 표현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문틀의 스톱퍼가 결합되는 문틀본체(10)는, 문틀본체(10)의 배면에 형성된 공간부에 보강목(21)과 보강재(22)가 개재된 상태로 고임목(30) 상측에 위치되어 콘크리트 못(40)으로 벽면(50)에 고정되어, 일측면에 마감판(11)이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되는데, 문틀본체(10)의 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2개의 돌출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의 외측면에 다수의 돌기(12a)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2)에 끼워져 결합되는 본 고안에 따른 문틀의 스톱퍼(60)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톱퍼의 표면을 형성하는 상부면(61)과, 상기 상부면의양측에 각각 수직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좌, 우 측벽부(62)(63)와, 상기 좌, 우측벽부(62)(63)와 함께 요홈부(A)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면(61)의 배면에 돌출된 격벽(64)(65)으로 형성된다.
상기 격벽(64)(65)은 상기 요홈부(A)의 폭이 상,하 방향으로 상이하게 되도록 수직방향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요홈부(A)의 폭이 요홈부의 최하측에 위치한 입구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좁아진 다음, 최상측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격벽(64)(65)은 하측단으로부터 약간 상측에 위치한 돌출부위(64a)(65a)가 좌,우측벽부(62)(63)와 가장 근접되도록 좌, 우측벽부(62)(63)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요홈부(A)를 형성하는 좌, 우측벽부(62)(63) 및 격벽(64)(65)의 내면에는 상기 문틀본체의 돌출부(12)에 형성된 돌기(12a)와 맞물릴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B)가 형성된다.
한편, 도어가 닫힐 때 도어와 접촉되어 도어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톱퍼의 좌측벽부(62)는 요입홈(62b)이 형성되어, 상기 요입홈(62b)에 도어가 닫힐 때 발생되는 충격 및 소음을 저감시키는 가스켓(7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스톱퍼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벽면(50)에 고정설치된 문틀본체(10)의 돌출부(12) 상측에 스톱퍼(60)를 위치시킨 후 문틀본체(10)측으로 압박하면 상기 돌출부(12)에 요홈부(A)가 끼워져 스톱퍼(60)가 문틀본체(10)에 부착된다.
한편, 상기 요홈부(A)는 폭이 입구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좁아진 다음, 넓어지게 형성되어 있고, 요홈부(A)의 입구의 폭은 돌출부(1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하측단으로부터 약간 상측에 위치한 돌출부위(64a)(65a)에 의하여 형성된 요홈부(A)의 폭은 상기 돌출부(12)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초기단계에서 상기 요홈부(A)가 돌출부(12)에 쉽게 끼워진 다음, 스톱퍼(60)을 계속 하측으로 압박하면, 탄성에 의하여 격벽(64)(65)이 약간 벌어지면서 요홈부(A)가 상기 돌출부(12)에 완전히 삽입된다.
이때, 상기 격벽(64)(65) 중 요홈부의 폭이 가장 작은 돌출부위(64a)(65b)는 상기 돌출부(12)를 향하여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압축력이 작용되면서 돌기(12a, B)가 서로 맞물리므로 스톱퍼(60)가 문틀본체(10)에 견실하게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문틀의 스톱퍼는 문틀본체에 형성된 돌출부에 끼워지는 요홈부의 입구의 폭이 상기 돌출부의 폭보다 크고, 그 입구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요홈부의 폭이 상기 돌출부의 폭보다 좁게 되도록, 스톱퍼의 측벽부와 함께 요홈부를 형성하는 격벽이 구부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요홈부가 상기 돌출부에 용이하게 견실한 상태로 삽입되므로 스톱퍼가 문틀본체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문틀본체에 형성된 돌출부에 삽입되는 요홈부가 배면에 형성된 문틀의 스톱퍼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의 배면에 돌출되어 스톱퍼의 측벽부와 함께 상기 요홈부를 형성하는 격벽의 하측단은 상기 요홈부의 입구가 확개되도록 상기 측벽부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의 스톱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요홈부의 폭이 입구로부터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진 다음, 커지도록 상기 격벽과 함께 요홈부를 형성하는 측벽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의 스톱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측벽부를 향하여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의 스톱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문이 닫힐 때 발생하는 충격을 저감시키는 가스켓이 끼워지는 요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의 스톱퍼.
KR20-2003-0026611U 2003-08-19 2003-08-19 문틀의 스톱퍼 Expired - Fee Related KR2003372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611U KR200337276Y1 (ko) 2003-08-19 2003-08-19 문틀의 스톱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611U KR200337276Y1 (ko) 2003-08-19 2003-08-19 문틀의 스톱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276Y1 true KR200337276Y1 (ko) 2004-01-07

Family

ID=4934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611U Expired - Fee Related KR200337276Y1 (ko) 2003-08-19 2003-08-19 문틀의 스톱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2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507B1 (ko) * 2004-08-16 2005-08-05 박준석 스톱퍼의 조립식 합성수지재 문틀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507B1 (ko) * 2004-08-16 2005-08-05 박준석 스톱퍼의 조립식 합성수지재 문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9640B2 (ja) プラスチックファスナー
RU2540766C1 (ru) Устройство с дверной ручкой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337276Y1 (ko) 문틀의 스톱퍼
KR200224353Y1 (ko) 문틀
US20160104464A1 (en) Keyboard device
JPH09303004A (ja) 引 手
JP2009044041A (ja) 電子機器用筺体の構造
JP6599611B2 (ja) 組立式収納家具
JP4296986B2 (ja) 防音壁の遮音板留め金具
JP4450325B2 (ja) 建具
KR200226339Y1 (ko) 문틀
JP2007527476A (ja) エンドキャップ
KR200300471Y1 (ko) 창호틀 조립체
JP4741985B2 (ja) 見切縁
JP4117698B2 (ja) 背板の取付構造
KR200320169Y1 (ko) 가변형 문틀커버
KR100780421B1 (ko) 녹다운형 금속캐비닛의 상부 전방 코너 보강구의 제작방법
JP5595937B2 (ja) 錠前用受け部材の構造
JP2000240361A (ja) 窓枠の構造
JP4546892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
JP4805209B2 (ja) 引き戸
KR100788276B1 (ko) 경첩
JP5805899B1 (ja) 窓枠及び窓
JP6867691B2 (ja) 階段のノンスリップ材
KR200389224Y1 (ko) 프레임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81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2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8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1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02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41227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5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1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