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12549Y1 -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 - Google Patents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549Y1
KR200312549Y1 KR20-2003-0000355U KR20030000355U KR200312549Y1 KR 200312549 Y1 KR200312549 Y1 KR 200312549Y1 KR 20030000355 U KR20030000355 U KR 20030000355U KR 200312549 Y1 KR200312549 Y1 KR 200312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od
present
support jaw
ja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김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석 filed Critical 김정석
Priority to KR20-2003-0000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5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54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의 개구부 외주연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하여 거치할 수 있는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를 제작하여 주어, 정상적인 식사가 불가능한 유아 또는 지체가 다소 부자연스러운 노인 및 장애인 들이 식사를 할 경우 이들이 이용하게 되는 식기에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식사도중 음식물이 바닥에 떨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방에 위치한 상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평탄하게 형성된 전방 후미의 상면은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을 제외한 외측 전체에는 상부로 돌출된 넘침 방지턱(12)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 하부의 양측에는 지지턱(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턱(14)과 인접한 후방 하부에는 일정의 이격을 형성하고 있는 "

Description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FOOD LECEIVE TOOL FOR A VESSEL}
본 고안은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개구부 외주연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하여 거치할 수 있는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를 제작하여 주어, 정상적인 식사가 불가능한 유아 또는 지체가 다소 부자연스러운 노인 및 장애인 들이 식사를 할 경우 이들이 이용하게 되는 식기에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식사도중 음식물이 바닥에 떨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 또는 지체가 다소 부자연스러운 노인 및 장애인 들은 음식을 먹는데 있어 장애 요인이 있는 관계로 식사도중 다량의 음식물을 용기 주변에 흘리는 현상과 더불어 자신의 몸에 묻게 하는 등의 문제 현상을 초래하였다.
이에 따른 비위생적인 상황과 혐오스러운 광경을 연출하는 문제로 인해 자신에게 있어서는 물론이고 타인에게까지도 상당한 불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유아 또는 지체가 부자연스러운 노인 및 장애인 들은 식사시 정상적인 식사를 인도해 줄 수 있는 별도의 정상인을 근처에 항상 상주시켜야 하는 관리상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타 정상인과 동시에 식사를 취할 경우에는 이러한 관리를 더욱 요하게 되므로 사실 타 정상인과 동석한 식사를 이루기란 불가능하였다.
또한, 식사후 식사를 취한 주변을 청소 및 정리하는 이들에게 심각한 불편을 제공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용기의 개구부 외주연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하여 거치할 수 있는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를 제작하여 주어, 정상적인 식사가 불가능한 유아 또는 지체가 다소 부자연스러운 노인 및 장애인 들이 식사를 할 경우 이들이 이용하게 되는 식기에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식사도중 음식물이 바닥에 떨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전방에 위치한 상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평탄하게 형성된 전방 후미의 상면은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을 제외한 외측 전체에는 상부로 돌출된 넘침 방지턱(12)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 하부의 양측에는 지지턱(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턱(14)과 인접한 후방 하부에는 일정의 이격을 형성하고 있는 "" 형 탄성스프링부(16)가 일체로 형성된 받침대(10)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의 전체 구성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의 측단면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를 용기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10 : 받침대 12 : 넘침 방지턱
14 : 지지턱 16 : "" 형 탄성스프링부(16)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의 전체 구성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의 측단면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위치한 상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평탄하게 형성된 전방 후미의 상면은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을 제외한 외측 전체에는 상부로 돌출된 넘침 방지턱(12)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 하부의 양측에는 용기(1) 내측면과 맞닿는 지지턱(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턱(14)과 인접한 후방 하부에는 이 지지턱과는 일정의 이격을 형성하고 있는 "" 형 탄성스프 링부(16)가 형성된 받침대(10)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인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를 용기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에 연결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개구된 용기(1)의 측면부에 삽입을 하면 된다.
즉, 지지턱(14)과 "" 형 탄성스프링부(16)의 사이에 용기(1)의 측면부위를 삽입 위치시키면 상기 "" 형 탄성스프링부(16)의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 형 탄성스프링부(16)를 용기(1)의 외측면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지지턱(14)을 용기(1)의 내측면에 밀착시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실사용시 신속 용이하게 용기(1)와 연결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사용후 신속한 해체가 가능함에 따른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용기(1)와의 연결을 이룰 수 있게 됨으로 상부 외주연부가 어떠한 형태로 마감 제작된 용기(1)에 상관없이 연결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물품 이용상의 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실사용시에는 식사도중 이용자가 흘리는 여러 음식물(밥,국물등...)을 외부로 이탈됨이 없이 청결하게 수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뒤이어 수거된 음식물을 용기(1) 내로 되돌려 넣을 수 있게 되어 식사도중 다량의 음식물을 용기 주변에 흘리는 현상과 더불어 자신의 몸에 묻게 하는 등의 문제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식사도중 비위생적인 상황과 혐오스러운 광경을 연출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유아 또는 지체가 다소 부자연스러운 노인 및 장애인들도 정상인과 더불어 부담없이 식사를 취할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식사를 취한 주변을 청소 및 정리하는데 있어서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받침대(10)의 상부면이 전방은 평탄하고, 후방은 평탄한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상부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을 제외한 외측면 전체에는 상부로 돌출된 넘침 방지턱(1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용기의 개구부 외주연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하여 거치할 수 있는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를 제작하여 주어, 정상적인 식사가 불가능한 유아 또는 지체가 다소 부자연스러운 노인 및 장애인 들이 식사도중 흘리는 여러 음식물(밥,국물등...)을 외부로 이탈됨이 없이 청결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거된 음식물을 용기 내로 되돌려 넣을 수 있게 되어 식사도중 다량의 음식물을 용기 주변에 흘리는 현상과 더불어 자신의 몸에 묻게 하는 등의 문제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식사도중 비위생적인 상황과 혐오스러운 광경을 연출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는 물론이고, 유아 또는 지체가 다소 부자연스러운 노인 및 장애인들도 정상인과 더불어 부담없이 식사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사를 취한 주변을 청소 및 정리를 하는데 있어서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방에 위치한 상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평탄하게 형성된 전방 후미의 상면은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을 제외한 외측 전체에는 상부로 돌출된 넘침 방지턱(12)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 하부의 양측에는 지지턱(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턱(14)과 인접한 후방 하부에는 일정의 이격을 형성하고 있는 "" 형 탄성스프링부(16)가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
KR20-2003-0000355U 2003-01-07 2003-01-07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312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355U KR200312549Y1 (ko) 2003-01-07 2003-01-07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355U KR200312549Y1 (ko) 2003-01-07 2003-01-07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549Y1 true KR200312549Y1 (ko) 2003-05-13

Family

ID=49406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355U Expired - Fee Related KR200312549Y1 (ko) 2003-01-07 2003-01-07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5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0777B2 (en) Assisted eating aid
US20200093304A1 (en) Tableware for Specialized Persons
US8844752B2 (en) Reversible food plates having a slope, methods of use, and slope adapter for food plat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060097A (en) Food cup
KR200312549Y1 (ko)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
JP3178009U (ja) 匙部の周辺に曲面のカール縁を設けた縁カールスプーン
JP3168528U (ja) 食器
KR200312548Y1 (ko) 용기용 음식물 받이구
WO2005020766A2 (en) Combination meal serving tray
KR20190109697A (ko) 가루 받침대가 있는 밀어먹는 떡 통
US20140295114A1 (en) Children&#39;s placemat
JP6739905B2 (ja) 幼児または手の不自由な人の食事用プレート
KR20130006449U (ko) 수저받침대
JP3129314U (ja) 食事用自助具セット
KR20110010878U (ko) 수저 받침홈을 구비한 밥그릇 뚜껑
WO2015178395A1 (ja) 食器
US11192715B2 (en) Anti-splash vomit receptacle
JP3221959U (ja) 食器および取り付け器具
EP3737266B1 (en) Partitioned tableware
KR20180000188U (ko) 숟가락
JPH0739647U (ja) 食 器
TWM619105U (zh) 手部無障礙餐具組
KR200287246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JP4348598B2 (ja) 食器セット
JP3704675B2 (ja) パーティ用飲食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10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4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4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2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3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