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10385Y1 - 비닐봉투개봉기구 - Google Patents

비닐봉투개봉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385Y1
KR200310385Y1 KR20-2003-0000227U KR20030000227U KR200310385Y1 KR 200310385 Y1 KR200310385 Y1 KR 200310385Y1 KR 20030000227 U KR20030000227 U KR 20030000227U KR 200310385 Y1 KR200310385 Y1 KR 200310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plastic bag
projection
opening
open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구하
Original Assignee
이구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하 filed Critical 이구하
Priority to KR20-2003-0000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3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385Y1/ko
Priority to PCT/KR2003/002890 priority patent/WO2004060736A1/en
Priority to AU2003288771A priority patent/AU2003288771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7/00Hand cutting too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finger rings for cutting string, devices for cutting by means of wires
    • B26B27/005Carton op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33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cu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약 및 각종 과즙을 담은 파우치 또는 리필용 합성세제와 같이 내용물을 넣고 밀봉한 비닐봉투 등을 간편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한 비닐봉투개봉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비닐봉투개봉기구는 개구부(21)를 갖는 가이드공간(20)이 본체(10)에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21)의 후방에는 커터가 구비되어 있어 이 개구부(21)에 투입된 봉투가 커터(30)에 의하여 잘리도록 되어 있고, 상기 커터의 개구부(21) 해당 위치에는 잘리는 봉투의 절단저항을 감쇄시키기 위한 좌우이격수단으로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비닐봉투개봉기구에 있어, 상기 돌기는 커터(30) 자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돌기를 통하여 절단되는 비닐봉투부분이 커터와 밀착되지 않고 벌어지게 되어 절단저항 없이 안전하게 봉투를 절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닐봉투개봉기구{VINYL PACK OPENER}
본 고안은 한약 및 각종 과즙을 담은 파우치 또는 리필용 합성세제와 같이 내용물을 넣고 밀봉한 비닐봉투 등을 간편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한 비닐봉투개봉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터 자체에 구비된 각종 돌기가 잘리는 비닐봉투를 벌리는 좌우이격수단으로 기능하므로 안전하게 손쉽게 봉투를 개봉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한약 및 각종 과즙을 담은 파우치와 같이, 내용물을 넣고 밀봉한 비닐봉투 등은 휴대하거나 보관하기는 쉬우나, 개봉할 때에는 가위나 칼을 사용하는 것이 통상의 방법이다. 그러나 칼을 사용할 경우에는 어른이라 하여도 반듯하게 절단하기 어렵고 위험하며, 가위를 사용하면 반듯하게 절단은 가능하나 항시 비닐봉투와 같이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사무실일 경우 사무용 가위로 한약비닐봉투를 절단하게 되고, 가정에서도 비닐봉투가 리필용 합성세제일 경우 절단 후 가위를 필히 닦거나 용도별로 여러 개의 가위를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비닐봉투개봉기구가 개발된 바 있는데, 이 기구 본체의 한 쪽에는 개방된 가이드공간을 형성되어 있고, 그 가이드공간의 개구부 타측에 커터를 고정한 형태의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개봉기구의 개구부로 비닐봉투를 투입하여 커터에 의해 봉투 모서리를 자를 경우, 먼저 절단되는 봉투 귀퉁이의 뾰쪽한 부분이 커터 두께 보다 두꺼운 기구본체로 인하여 걸려 매끄러운 절단이 불가능하다.이러한 여러 원인으로 인하여 커터에 의해 잘리는 봉투가 개봉기구에 걸리는 현상을 본 명세서에서는 '절단저항'이라 칭한다.종래의 개봉기구에서는 '절단저항'을 극복하고자 사용자가 과도한 힘을 쓰게 되므로, 종종 봉투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쏟아지는 문제가 있었고, 심지어는 개봉기구 사용자가 다치는 경우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통상적인 비닐봉투개봉기구를 사용하여 봉투를 절단 개봉할 경우, 절단되는 봉투의 뾰쪽한 부분이 커터 두께 보다 두꺼운 기구본체에 걸려 멈추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잘리는 봉투의 절단저항을 감쇄시키기 위한 수단, 특히 잘리는 봉투를 좌우로 벌릴 수 있는 좌우이격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봉투의 절단저항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과도한 힘을 봉투 개봉에 사용하여 봉투에 들어 있는 내용물이 쏟아지거나 사용자가 다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수요자의 개봉기구에 대한 신뢰성을 제고하여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봉투개봉기구의 전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봉투개봉기구의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봉투개봉기구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봉투개봉기구의 좌측 본체부재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봉투개봉기구의 우측 본체부재 정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각 특징에 따른 돌기를 상세히 나타내기 위하여 도 3의 표시된 A-A선과 같은 방향으로 자른 비닐봉투개봉기구의 단면도.
도 10은 조립이 용이한 형태로 되어 있는 비닐봉투개봉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기구본체 10a,10a1,10a2,10b,10b1,10b2: 본체부재
20: 가이드공간 21: 개구부
30,30a,30b,30c: 커터 23a,23a1,23a2,23b,23b1,23b2: 경사부
M: 자석 m: 자석수용부P1a,P1b,P2,P3,P4,P5: 돌기 G: 커터수용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비닐봉투개봉기구는 개구부를 갖는 가이드공간이 본체에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의 후방에는 커터가 구비되어 있어 이 개구부에 투입된 봉투가 커터에 의하여 잘리도록 되어 있고, 상기 커터의 개구부 해당 위치에는 잘리는 봉투의 절단저항을 감쇄시키기 위한 좌우이격수단으로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비닐봉투개봉기구에 있어, 상기 돌기는 커터 자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비닐봉투개봉기구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본 고안에서 방향성과 관련하여서는 도 1에 일점쇄선 좌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공간(20)을 기준으로 개구부(21)가 형성된 방향을 전방, 그 반대편을 후방이라 한다. 또한 약간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가이드공간(20)의 위쪽을 상부로, 그 반대편을 하부라 한다. 그리고 도 1에서 보이는 면을 좌측 또는 전면이라 칭하고,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석(M)이 기구본체(10)에 매설되어 있는 부분을 우측 또는 후면이라 한다.본 고안이 종래의 각종 커터와 구별되는 점은 일단 휴대가 간편하다는 점, 그리고 사용자가 칼날에 상처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좁게 형성된 봉투 투입 공간인 가이드공간의 구조에 있다.그러나 가장 중요한 차별점은 각종 비닐봉투를 개방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커터로 봉투를 자를 때 처음부터 끝까지 부드럽게 잘리도록 절단 저항을 획기적으로 줄였다는 것이다.특히 이러한 봉투의 '절단저항 감쇄수단'으로서 '좌우이격수단'은 커터의 칼날 전방부분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잘리는 봉투 부위를 차츰 좌우로 벌려 커터와 접촉하지 않으면서 이격시킬 수 있는 것이다.본 고안에서는 상기 '좌우이격수단'으로서 커터(30) 자체에 형성된 돌기를 제안한다. 이를 통하여 커터(30)의 두께보다 두꺼운 기구본체(10)의 각 단턱 부위에 잘리는 봉투 선단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절단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또 본 고안의 고안자는 이러한 '좌우이격수단'인 '돌기'에 덧붙여 본체(10)에 고정되는 커터(30)의 고정각도의 특정을 통하여 절단저항을 보다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개구부(21)로 투입되는 커터(30)에 의하여 잘리는 봉투와 커터(30)가 이루는 각도를 90도 미만이 되도록 하는 방식이다.이하에서는 이러한 절단저항 감쇄수단인 '돌기'와 '각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도 1 및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봉기구 본체(10)에 형성된 가이드공간(20)은 개구부(21)를 통하여 봉투가 투입되는 곳으로, 가이드공간(20) 후방 단부에 구비된 커터(30)에 의하여 봉투가 절단되도록 되어 있다. 개구부(21)의 형상은 봉투 투입이 용이하도록 처음에는 폭이 넓다가 차츰 좁아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 개구부(21)의 최소폭은 기구 사용자의 손이 가이드공간(20)으로 밀려들어가 커터(30)에 의하여 베이지 않을 정도로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가이드공간(20)의 커터(30) 후방의 형상은 커터(30) 후방으로 갈수록 처음에는 커터의 평면과 높이가 같다가 차츰 본체(10)의 면과 일치하도록 높아져서 테이퍼 진 경사부(23a)(23b)가 본체(10)의 전면(11a) 및 후면(11b)에 형성되어 있다.상기 본체(10)의 전후면(11a)(11b)은 각종 비닐제품의 생산자, 판매자 및 판촉을 위한 광고자 등을 위하여 광고를 위한 부위로 사용되도록 매끄럽게 되어 있어 스티커 등을 붙이거나 인쇄하기에 적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금형 자체에서 음각 또는 양각을 통한 광고도 가능하다.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의 용이성을 위하여 기구본체(10)의 후면(11b)에는 자석(M)이 매설되어 있다.본 고안의 핵심인 봉투의 절단저항 감쇄수단으로서 좌우이격수단인 돌기(P1a)(P1b)는 커터(30) 자체에 형성되어 있다. 돌기는 커터(30)의 어느 일면에 하나만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상기 가이드공간(20)의 경사부(23a)(23b)를 통하여 어느 정도 절단저항을 감쇄시킬 수 있는 것은 사실이나, 실제 비닐봉투개봉기구의 제조에 있어 커터(30)와 경사부(23a)(23b) 시작부분에는 미세한 높이 차이로 인한 단턱이 생길 수밖에 없다. 한약 등이 담기는 파우치 등의 비닐봉투는 잘리면서 미세한 단턱에 걸릴 수 밖에 없고 사용자는 봉투를 자르면서 멈칫 멈칫 걸리는 느낌을 받게 된다.이러한 문제는 개봉기구를 자주 사용할수록 미세한 단턱 부분이 들고 일어나므로 점점 절단저항을 커질 수밖에 없다.본 고안의 돌기(P1a)(P1b)는 이러한 문제를 본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즉, 경사부(23a)(23b)가 시작되는 부위와 인접한 커터(30) 부위에 돌기(P1a)(P1b)를 형성시키면 돌기에 의하여 봉투의 잘리는 부분이 걸리지 않게 된다.이는 특히 돌기(P1a)(P1b)의 형상 역시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테이퍼 진 형태로 하고, 더 나아가 커터(30)와 돌기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절단저항의 주요 원인인 단턱이 생길 여지를 애초에 없앨 수 있다.도 3에는 이러한 돌기(P1a)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이기 위한 기구본체(10)의 전면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도 4, 도 5 및 도 10에는 본 고안의 개봉기구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구구조가 도시되어 있다.이는 도 1 및 도 2의 개봉기구를 둘로 나눈 본체부재(10a)(10b)가 맞물려 결합되는 형태로, 도 4의 본체부재(10a)는 전면부의 것이고 도 5의 부재(10b)는 후면부의 것이다.특히 후면부 부재(10b)를 나타낸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재(10b)에는 커터(30)의 수용홈(G)과 자석을 위한 수용부(m)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본체(10)는 성형방법은 본체부재(10a)(10b)를 사출한 후 커터(30)를 수용홈(G)에 삽입하고 두 부재를 접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또 성형틀에 커터(30)를 먼저 고정시킨 후 통상의 방법으로 사출성형하는 방식으로도 개봉기구 제조가 가능하다.도 5 및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커터(30) 수용홈(G)은 절단저항의 감쇄를 위하여 기울어져 있는데, 이는 커터가 개구부(21)로 투입되는 봉투와 특정 각도를 이루도록 하는 방식으로 절단저항을 줄일 수 있다는 데 착안한 것이다.도시되기로는 커터의 고정각도가 본체부재(10b)에 형성된 수용홈(G)을 통하여 정해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렇게 수용홈(G)의 종축(X1)(결국 이는 커터(30)가 기구본체(10)에 고정되었을 때의 커터의 종축에 해당한다)은 개구부를 거쳐 가이드공간(20)에 투입되는 봉투의 진행방향을 이루는 가상의 직선축(X2)에 대하여 직각이 아닌 예각을 이루고 있다. 이를 통하여 동일한 힘으로 비닐봉투를 공간(20)에 밀어 넣어 커터로 자르더라도 훨씬 쉽게 잘려 나가게 된다.본 고안의 고안자는 이러한 예각 중 경험적으로 커터에 의하여 봉투가 가장 잘 잘리는 각도를 찾아냈는데, 즉 바람직한 두 축(X1)(X2)의 각도(θ1)는 68도 내지 75도이다.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커터와 봉투 진행방향을 이루는 두 축(X1)(X2)의 각도가 예각이라는 것은 사용자가 본 고안의 기구를 상부가 아래로 향하도록 거꾸로 쥐고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가지므로 두 축의 각도 θ1 뿐 아니라 각도 θ2가 예각인 개봉기구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도 6 내지 도 9에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자른 경우와 같은 여러 형태를 갖는 개봉기구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9의 기구는 두 본체부재가 맞물려 조립되는 형태의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먼저 도 6의 기구는 커터(30a)의 돌기(P2)가 커터(30) 자체를 가압하여 요철부를 형성시킨 형성시킨 압출형 돌기이다. 특히 도 1, 도 2, 도 3, 도 10의 돌기(P1a)(P2a)와는 달리 커터(30a) 자체에는 하나의 돌기(P2)만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제조상의 용이성을 위한 것이다.이때 본체의 다른 면에는 본체부재(10b1)와 일체형인 돌기(P3)가 형성되어 있어, 커터(30a)의 돌기(P2)와 쌍을 이루어 좌우이격수단 기능을 한다.또 각 본체부재(10a1)(10b1)의 경사면(23a1)(23b1)은 서로 경사도가 다른 데, 이는 경사부 23b1은 커터(30a)의 돌기(P2) 직후방에서 커터(30a)와 동일 평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 절단저항 감쇄에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고, 경사부 23a1 역시 본체부재 10b1의 돌기(P3) 직후방에서 가장 낮은 것이 적합하기 때문이다.이와 같이 본체부재 10b1의 돌기(P3)가 커터의 돌기(P2)와 합쳐져서 좌우이격수단이 되는 것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형태의 커터 돌기와 결합하여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모두 비닐봉투개봉기구 제조상 커터에 일체형인 두 개의 돌기를 형성하기 어려우므로 이를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도 7의 커터(30a)는 도 6의 것과 같은 형태이고, 도 6의 기구와의 차이점은 본체부재(10a2)(10b2), 특히 경사부(23a2)(23b2)의 형상에 있다. 경사부 23b2 부분에는 도 6의 것(23b1)과는 달리 돌기가 없는 형태이다.또 경사부 23a2의 형태는 경사부의 시작이 커터(30a)와 어느 정도 떨어진 지점부터 시작된다는 것이 도 6과 다른데, 이는 커터(30a)에 의하여 잘리는 봉투가 커터(30a)의 돌기(P2)에 의하여 절단저항이 일단 감소된 후 절단된 봉투 선단이 본체부재 10a2의 경사부(23a2) 시작지점과 접촉하게 되어 미세한 경사부(23a2)의 단턱에 봉투 선단이 부딪칠 염려가 적게 한다.즉 경사부 23a2의 시작 지점을 커터(30a)와 떨어진 후방에 두어 두 본체부재(10a2)(10b2)의 경사부가 동시에 커터(30a) 직후방에서 시작될 경우에서처럼 본체부재 23a2의 경사부 시작점과 절단된 봉투선단이 부딪쳐 절단저항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8과 도 9의 본체부재(10a2)(10b2)의 형태 및 기능은 도 7의 것과 같다. 도 7과의 차이점은 커터의 형태, 특히 돌기의 형태에 있다.도 8의 커터(30b) 돌기(P4)는 커터 자체를 펀칭하여 절개된 펀칭부위를 돌출시킨 절편형 돌기로 되어 있다.또 도 9의 커터(30c)의 돌기(P5)는 커터(30c) 후방 부위를 굽혀서 형성한 절곡형 돌기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여러 특징에 따른 비닐봉투개봉기구는 기구본체(10)의 양면(11a,11b)을 잡고 가이드공간(20)의 개구부(21)로 비닐봉투의 모서리 부분을 통과시키면, 가이드공간(20)에 설치된 여러 형태의 커터에 의해 비닐봉투모서리가 절단되면서 커터 자체의 돌기 또는 커터 돌기와 쌍을 이루는 본체 돌기에 의하여 잘리는 봉투가 벌어지게 된다. 그러면 잘리는 봉투 부분이 커터의 두께보다 두꺼운 본체나 경사부의 미세한 단턱에 걸리지 않으므로 손쉽게 절단할 수 있어, 절단저항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특히 돌기가 기능하는 좌우이격수단과 함께 개구부로 투입되는 봉투에 대하여 커터가 예각을 이루도록 하는 방식에 의하여 절단저항의 감쇄 효과는 배가될 수 있다.그러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장점과 아울러 본 고안의 비닐봉투개봉기구로서의 성능에 충분한 만족감을 줄 수 있고, 기구 제조에 있어 본체를 두 부재가 결합되는 형태로 하여 제조상의 간편함을 얻는다.또 제조상의 간편함과 이를 통한 제조원가의 절감은 돌기의 형성방법에 있어 커터 자체를 가압하거나 펀칭 또는 절곡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이 커터 돌기와 쌍을 이루는 돌기는 본체에 형성시킴으로써 더욱 커진다.

Claims (8)

  1. 개구부(21)를 갖는 가이드공간(20)이 본체(10)에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21)의 후방에는 커터가 구비되어 있어 이 개구부(21)에 투입된 봉투가 커터(30)에 의하여 잘리도록 되어 있고, 상기 커터의 개구부(21) 해당 위치에는 잘리는 봉투의 절단저항을 감쇄시키기 위한 좌우이격수단으로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비닐봉투개봉기구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커터(30) 자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개봉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30a)의 돌기는 커터(30a) 자체를 가압하여 요철부를 형성시킨 압출형 돌기(P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개봉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30b)의 돌기는 커터(30b) 자체를 펀칭하여 절개된 펀칭부위를 돌출시킨 절편형 돌기(P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개봉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30c)의 돌기(P5)는 커터(30c)의 후방 부위를 굽혀서 형성한 절곡형 돌기(P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개봉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30)(30a)(30b)(30c)의 돌기(P1a,P1b)(P2)(P4)(P5)는 기구본체(10)의 어느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고, 본체(10) 자체의 돌기(P3)가 가이드공간(20)의 커터 부위에 본체(10)의 타측으로 형성되어 있어, 커터의 돌기(P1a,P1b)(P2)(P4)(P5)와 본체(10)의 돌기(P3)가 짝을 이루어 좌우이격수단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개봉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30)의 종축(X1)은 개구부(21)를 통하여 가이드공간(20)에 투입되는 봉투의 진행방향을 이루는 가상의 직선축(X2)에 대하여 예각인 각도(θ1)(θ2)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개봉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축(X1)(X2)의 각도(θ1)(θ2)는 68도 내지 7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개봉기구.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간(20)은 커터(30)(30a)(30b)(30c) 후방으로 갈수록 처음에는 커터의 평면과 같다가 차츰 본체(10)의 면과 일치하는 형태로 테이퍼 진 경사부(23a,23b)(23a1,23b1)(23a2,23b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개봉기구.
KR20-2003-0000227U 2003-01-04 2003-01-04 비닐봉투개봉기구 KR200310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227U KR200310385Y1 (ko) 2003-01-04 2003-01-04 비닐봉투개봉기구
PCT/KR2003/002890 WO2004060736A1 (en) 2003-01-04 2003-12-30 Vinyl pack opener
AU2003288771A AU2003288771A1 (en) 2003-01-04 2003-12-30 Vinyl pack ope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227U KR200310385Y1 (ko) 2003-01-04 2003-01-04 비닐봉투개봉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385Y1 true KR200310385Y1 (ko) 2003-04-21

Family

ID=3270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227U KR200310385Y1 (ko) 2003-01-04 2003-01-04 비닐봉투개봉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310385Y1 (ko)
AU (1) AU2003288771A1 (ko)
WO (1) WO20040607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9857A2 (ko) * 2011-06-09 2012-12-13 Oh Sang-Keun 판재용 커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411220D0 (en) * 2004-05-20 2004-06-23 W A 1 Designs Ltd Knife
TW201946581A (zh) * 2018-05-14 2019-12-16 瑞士商雀巢製品股份有限公司 用於施配飲料前驅物的個別分份的設備以用於由其製備飲料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7574U (ko) * 1985-10-17 1987-04-27
JPH047062U (ko) * 1990-05-01 1992-01-2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9857A2 (ko) * 2011-06-09 2012-12-13 Oh Sang-Keun 판재용 커터
WO2012169857A3 (ko) * 2011-06-09 2013-03-07 Oh Sang-Keun 판재용 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88771A1 (en) 2004-07-29
WO2004060736A1 (en) 200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3255B2 (en) Pouch cutter
US5398576A (en) Cutting device for a roll of protective film
US6719180B2 (en) Hand held tape dispenser
US20060236550A1 (en) Media cutting device
US3803713A (en) Carton opening cutter
US20080163491A1 (en) Cutting device
NZ203029A (en) Dispenser for roll of sheet material
US20120240742A1 (en) Novel device
KR200310385Y1 (ko) 비닐봉투개봉기구
KR200309646Y1 (ko) 비닐봉투개봉기구
US20140103057A1 (en) Packet dispenser
US8931383B1 (en) Tool and method for opening blisters on a blister pack
KR100475667B1 (ko) 비닐봉투개봉기구
KR200311311Y1 (ko) 안전 비닐봉투개봉기구
KR200285839Y1 (ko) 봉투칼이 부설된 스크랩 커터
KR100523070B1 (ko) 절단칼의 이동성을 갖는 봉지 절단기
JP2000342865A (ja) 安全なカッターナイフ
CN2419041Y (zh) 可割开封口的钉书机
JP3123873U (ja) コインさしこみ孔あけ用のナイフ
JPH11334290A (ja) シート材折り返し部切断具
JP5461953B2 (ja) プラスチックシート用切取線、これを備えたプラスチックシート及び包装ケース
JPH07284574A (ja) 開封用カッター
JPH06190793A (ja) 多穴用パンチ
JPH0528698U (ja) 封筒切り
TWM307528U (en) Letter opening knif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10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4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106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16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30929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3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