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9646Y1 - 비닐봉투개봉기구 - Google Patents

비닐봉투개봉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9646Y1
KR200309646Y1 KR20-2002-0032841U KR20020032841U KR200309646Y1 KR 200309646 Y1 KR200309646 Y1 KR 200309646Y1 KR 20020032841 U KR20020032841 U KR 20020032841U KR 200309646 Y1 KR200309646 Y1 KR 2003096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plastic bag
opening mechanism
guide space
bag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구하
Original Assignee
이구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하 filed Critical 이구하
Priority to KR20-2002-0032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96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96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9646Y1/ko
Priority to US10/532,622 priority patent/US20050274026A1/en
Priority to PCT/KR2003/002301 priority patent/WO2004041487A1/en
Priority to CN200380101824.8A priority patent/CN1705543A/zh
Priority to AU2003272143A priority patent/AU2003272143A1/en
Priority to JP2004549671A priority patent/JP2006504481A/ja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7/00Hand cutting too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finger rings for cutting string, devices for cutting by means of wires
    • B26B27/005Carton op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33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cu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Knives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약 및 각종 과즙을 담은 파우치 또는 리필용 합성세제와 같이 내용물을 넣고 밀봉한 비닐봉투 등을 간편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한 비닐봉투개봉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비닐봉투개봉기구는 개구부를 갖는 가이드공간이 본체에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의 후방에는 커터가 구비되어 있어 이 개구부에 투입된 봉투가 커터에 의하여 잘리도록 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공간에는 커터에 의하여 잘리는 봉투의 절단저항 감쇄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감쇄수단은 가이드공간의 특정구조로 이루어지는 상하 이격수단과, 노출된 커터 부위에 형성된 돌기 등을 통한 좌우 이격수단과, 개구부로 투입되는 비닐봉투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특정 각도를 이루는 커터의 고정구조가 각각 또는 상호 조합되어 이루어지고, 이러한 절단저항 감쇄수단을 통하여 각종 비닐봉투를 개방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커터로 봉투를 자를 때 처음부터 끝까지 부드럽게 잘리도록 절단 저항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비닐봉투개봉기구{VINYL PACK OPENER}
본 고안은 한약 및 각종 과즙을 담은 파우치 또는 리필용 합성세제와 같이 내용물을 넣고 밀봉한 비닐봉투 등을 간편하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한 비닐봉투개봉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약 및 각종 과즙을 담은 파우치와 같이, 내용물을 넣고 밀봉한 비닐봉투 등은 휴대하거나 보관하기는 쉬우나, 개봉할 때에는 가위나 칼을 사용하는 것이 통상의 방법이다. 그러나 칼을 사용할 경우에는 어른이라 하여도 반듯하게 절단하기 어렵고 위험하며, 가위를 사용하면 반듯하게 절단은 가능하나 항시 비닐봉투와 같이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사무실일 경우 사무용 가위로 한약비닐봉투를 절단하게 되고, 가정에서도 비닐봉투가 리필용 합성세제일 경우 절단 후 가위를 필히 닦거나 용도별로 여러 개의 가위를 준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통상의 방법으로 합성수지 본체에 직선이나 곡선형태의 동일한 가이드공간을 형성하고, 그 가이드공간에 커터을 고정하여 비닐봉투개봉기구를 만들 경우, 먼저 절단된 뾰쪽한 부분이 커터 두께 보다 두꺼운 본체에 걸려 멈추거나, 과도한 힘이 들어 내용물을 흘리지 않고 절단하는 것이 어렵다.
본 고안의 목적은 통상의 방법으로 비닐봉투개봉기구를 만들 경우, 먼저 절단된 뾰쪽한 부분이 커터 두께 보다 두꺼운 본체에 걸려 멈추거나, 과도한 힘이 드는 것을 개선하고, 커터가 몇 도의 각도로 비닐봉투와 접촉 할 때 비닐봉투가 가장 절단이 잘 되는지 그 특정한 각도를 찾고, 그 커터에 사용자의 손이 직접 닿을 수 없도록 하여 비닐봉투와 같이 일상의 옷 주머니에 휴대하여도 안전하게 한다. 그리고 오른손잡이, 왼손잡이 구별 없으며, 내용물을 흘리지 않도록 일정한 힘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걸림 현상 없이 절단되는 합리적인 구조여야 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기능을 만족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안전하고, 휴대하기 간편하며, 사용하기 편리한 비닐봉투개봉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봉투개봉기구의 일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봉투개봉기구의 타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봉투개봉기구의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봉투개봉기구의 일측 본체부재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봉투개봉기구의 타측 본체부재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봉투개봉기구의 돌기와 관련된 부분단면도.
도 7은 도 6과 관련된 비닐봉투개봉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 비닐봉투개봉기구의 돌기 위치가 변경된 것의 부분단면도.
도 9은 도 8과 관련된 비닐봉투개봉기구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본체 10a,10b: 본체부재 13: 요철부
20: 가이드공간 21: 개구부 30,31,33: 커터
E1,E2: 돌기 M: 자석 m: 자석수용홈
G1,G2: 커터 수용홈 W: 가이드공간 최소폭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비닐봉투개봉기구는 개구부를 갖는 가이드공간이 본체에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의 후방에는 커터가 구비되어 있어 이 개구부에 투입된 봉투가 커터에 의하여 잘리도록 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공간에는 커터에 의하여 잘리는 봉투의 절단저항 감쇄수단이 구비되어 있다.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비닐봉투 개봉기구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고안에서 방향성과 관련하여서는 도 1에 일점쇄선 좌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공간(20)을 기준으로 개구부(21)가 형성된 방향을 전방, 그 반대편을 후방이라 한다. 또한 약간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가이드공간(20)의 위쪽을 상부로, 그 반대편을 하부라 한다. 그리고 가이드공간(20)이 전방에서는 직선형태이다가 후방에서 만곡진 면을 일측, 일면 또는 좌측이라 칭하고, 그 반대면을 타측, 타면 또는 우측이라 칭한다. 이 일측 및 타측 등은 커터(30)를 기준으로 정한 것이다.
본 고안이 종래의 각종 커터와 구별되는 점은 일단 휴대가 간편하다는 점, 그리고 사용자가 칼날에 상처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공간의 구조에 있다.그러나 가장 중요한 차별점은 각종 비닐봉투를 개방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커터로 봉투를 자를 때 처음부터 끝까지 부드럽게 잘리도록 절단 저항을 획기적으로 줄였다는 것이다.이러한 '절단저항 감쇄수단' 중 하나는 커터의 칼날 전방부분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잘리는 봉투 부위를 차츰 좌우로 벌려 이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봉투 선단이 기구 본체(10)의 가이드공간(20)에 존재하는 각종 단턱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본 명세서에서는 '좌우 이격수단'이라 한다.절단저항 감쇄수단 중 다른 하나는 비닐봉투가 투입되는 가이드공간(20)을 커터(30) 부위에서 좌우 가이드공간(20)의 형태가 상하로 엇갈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잘리는 봉투 또한 가이드공간(20)을 따라 상하로 벌어지므로 동일한 힘을 사용하여도 봉투가 일직선으로 진행하는 경우보다 훨씬 쉽게 잘리게 된다. 본 명세서는 이를 '상하 이격수단'이라 칭한다.절단저항 감쇄수단은 또한 커터(30)의 고정각도의 특정을 통해서도 이루어지는데, 이는 개구부(21)로 투입되는 봉투와 커터(30)의 각도를 90도 미만이 되도록 하는 방식이다.이러한 '좌우', '상하' 이격수단 및 커터의 고정각도는 각각 또는 조합되어 비닐봉투 개봉기구에 도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상기 특징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핵심인 절단저항 감쇄수단 중 하나인 상하 이격수단은 본체(10)의 일면(11a)과 타면(11b)에서 커터(30)를 기준으로 서로 다르게 형성된 가이드공간(20)의 특정 구조를 통하여 실현된다.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0)에 형성된 가이드공간(20)은 개구부(21)에서 커터까지는 직선 형태이다. 특히 개구부(21)는 봉투 투입이 용이하도록 처음에는 폭이 넓다가 차츰 좁아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이어서 커터(30) 후방에서는 양측의 공간(20) 형태가 서로 다르다. 즉 일측에서는 상부로 만곡진 형태의 공간(23a)이 형성되어 있고(도 1), 타측에서는 직선 형태(23b)로 이루어져 있다.물론 이는 가이드공간(20)의 형태를 통한 상하 이격수단의 일예에 불과하고, 공간이 커터(30) 양측에서 상부와 하부로 각각 만곡진 형태, 상하부로 각각 직선형태로 경사진 형태 등이 모두 가능하다.상기 가이드공간(20)은 커터 후방으로 갈수록 높아져서 종국에는 본체 양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테이퍼 진(tapered) 형태의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이는 상하 이격수단에 좌우 이격수단이 결합된 것이다.
도 2에서, 상기 가이드공간(20)은 사용자가 손을 다치지 않도록 그 최소 폭(W)은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좋다.특히 사람의 손가락 형태를 고려하여 가이드공간(20)의 최소폭(W)은 2mm 이하, 보다 특정하여서는 0.1 내지 2mm인 것이 손가락 살이 공간(20)으로 밀려들어 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또한 상기 본체(10)의 어느 일면(11b) 또는 양면(11a,11b) 모두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은 돌기 또는 홈을 본체(10) 일면에 형성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그러나 각종 비닐제품의 생산자, 판매자, 판촉을 위한 광고자를 위하여 상기 본체(10)의 일면(11a)은 광고를 위한 부위로 사용되도록 매끄럽게 되어 있어 스티커 등을 붙이거나 인쇄하기에 적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금형 자체에서 음각 또는 양각을 통한 광고도 가능하다.도 2에서 참조부호 M은 기구 보관의 용이성을 위하여 매설된 자석(M)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다른 절단저항 감쇄수단인 좌우 이격수단에 대하여 살펴본다.도 3에 도시된 좌우 이격수단은 커터(30) 부위에 형성된 돌기(E1)이다. 이 돌기는 커터(30)의 칼날 부위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두터워지는 쐐기 형상의 것이 바람직하다.도 4 및 도 5에는 본 고안의 기구 중 제조가 쉽도록 두 본체부재(10a,10b)가 결합되어 한 몸을 이루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이 중 도 4에 정면도로 도시된 일부재(10a)에는 가이드공간(20)이 커터 후방에서 만곡진 형태(23b)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배면도로 도시된 도 4의 일부재(10a)와 쌍을 이루는 타부재(10b)는 가이드공간(20)이 커터 후방에서 직선형태(23b)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공간의 두 형태(23a,23b)를 통하여 앞서 말한 상하 이격수단의 일예를 실현할 수 있다.다음으로 좌우 이격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대로 본체부재(10b)에 형성된 커터 수용홈(G1)에서 돌설된 돌기(E1)로 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E1)는 도 6의 단면도 및 도 7의 분해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31)의 삽입공(H)에 끼워져서, 두 본체부재(10a,10b)의 결합시 타부재(10a)의 가이드공간으로 상기 돌기(E1)가 노출되게 된다.도 6의 단면도는 도 3의 이점쇄선 A-A선과 같은 방향으로 기구를 잘랐을 때 보이는 형태이다. 도 7의 참조보후 m은 자석을 위한 수용홈을 나타낸다.
다시 도 5에서 본 고안의 절단저항 감쇄수단 중 하나인 특정 각도의 커터 고정형태를 설명하도록 한다.도시되기로는 커터의 고정각도가 본체부재(10b)에 형성된 수용홈(G1)을 통하여 정해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렇게 수용홈(G1)의 종축(X1)(결국 이는 커터의 종축에 해당한다)은 개구부를 거쳐 가이드공간(20)에 투입되는 봉투의 진행방향을 이루는 가상의 직선축(X2)에 대하여 직각이 아닌 예각을 이루고 있다. 이를 통하여 동일한 힘으로 비닐봉투를 공간(20)에 밀어 넣어 커터로 자르더라도 훨씬 쉽게 잘려 나가게 된다.본 고안의 고안자는 이러한 예각 중 경험적으로 커터에 의하여 봉투가 가장 잘 잘리는 각도를 찾아냈는데, 즉 바람직한 두 축(X1)(X2)의 각도(θ1)는 68도 내지 75도이다.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커터와 봉투 진행방향을 이루는 두 축(X1)(X2)의 각도가 예각이라는 것은 사용자가 본 고안의 기구를 상부가 아래로 향하도록 거꾸로 쥐고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가지므로 두 축의 각도 θ1 뿐 아니라 각도 θ2가 예각인 개봉기구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다음으로 도 8과 도 9에는 다른 형태의 좌우 이격수단인 돌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단면도 역시 도 3의 이점쇄선 A-A선과 같은 방향으로 기구를 잘랐을 때 보이는 형태이다.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돌기(E1)와의 주요한 차이점은 도 8 및 도 9의 돌기(E2)가 일 본체부재(10b)의 커터(33) 수용홈(G2) 후방에 돌출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두 본체부재(10a,10b)의 결합시 돌기(E2)는 타부재(10a)의 가이드공간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돌기(E2)를 갖는 기구에 사용되는 커터(33)는 통상의 학용품 커터 칼날로 대체될 수 있어 무뎌진 커터를 교체할 수 있다.이와 아울러 상기 좌우 이격수단의 다른 형태는 커터(30)의 칼날 후방으로 갈수록 본체(10) 또는 커터(30) 자체의 두께가 점증하는 형태를 통하여 실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비닐봉투개봉기구는 상하 이격수단, 좌우 이격수단 및 커터의 특정 고정각도가 각각 또는 조합되어 이루어지는 절단저항 감쇄수단에 주요한 특징이 있는데, 이들이 모두 구비된 특정 기구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기구 본체(10)의 가이드공간(20) 개구부(21)로 비닐봉투의 모서리 부분을 통과시키면, 가이드공간(20)가이드공간(20) 잘되는 특정한 각도(θ1)(θ2)인 68도에서 75도 사이로 설치된 커터(30)에 의해 비닐봉투모서리가 절단되기 시작하여, 커터(30) 우측에서 내용물이 담겨있는 비닐봉투부분은 우측 본체부재(10b)의 가이드공간(20)의 직선부분(23b)을 따라 직선으로 나아간다. 그러나 커터(30)의 좌측에서는 비닐봉투의 모서리가 커터(30)와 밀착된 상태로 만곡진 좌측 가이드공간(20) 부분(23a)을 따라 구부러진 각도로 나아가다가, 커터(30)에 구비된 돌기(E1)(E2)에 의해 커터(30)로부터 서서히 벌어지게 된다. 그러면 절단된 뾰쪽한 부분이 커터(30)의 두께보다 두꺼운 가이드공간(20) 최후방의 본체(10) 부위체 걸리지 않으므로 손쉽게 봉투를 절단할 수 있다.그러면서도 커터(30)에 사용자의 손이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가이드공간(20)의 폭을 좁게하여 사용자가 손을 베일 수 없는 구조이며, 일면(11b)에 요철부(13)를 두어 미끄럼을 방지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안전하고, 휴대하기 간편하며, 사용하기 편리한 비닐봉투개봉기구로서의 그 기능을 충분히 만족함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또한 본체(10)를 본체부재(10a,10b)로 조립할 수 있게 하고 재료를 합성수지로 할 경우 가볍고, 제조원가가 저렴함은 물론 일면(11a)을 광고면으로 사용하여 광고용품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개구부(21)를 갖는 가이드공간(20)이 본체(10)에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21)의 후방에는 커터(30)가 구비되어 있어 이 개구부(21)에 투입된 봉투가 커터(30)에 의하여 잘리도록 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공간(20)에는 커터(30)에 의하여 잘리는 봉투의 절단저항 감쇄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비닐봉투개봉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저항 감쇄수단은 잘리는 봉투에 대한 상하 이격수단으로서
    커터(30) 후방으로 갈수록 커터(30) 양측의 가이드공간(20)이 상하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개봉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저항 감쇄수단은 잘리는 봉투에 대한 좌우 이격수단으로서
    커터(30) 부위에 형성된 돌기를 통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개봉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저항 감쇄수단은
    커터(30) 후방으로 갈수록 커터(30) 양측의 가이드공간(20)이 상하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는 상하 이격수단과,
    커터(30) 부위에 형성된 돌기를 통한 좌우 이격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개봉기구.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격수단은
    엇갈린 가이드공간(20)이 커터(30) 일측에서 상부로 만곡진 형태(23a)이고, 타측에서 직선 형태(23b)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개봉기구.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이격수단인 돌기는
    두 개 부재로 되어 있는 본체(10)에서 일부재(10b)의 커터(31) 수용홈(G1)에 형성된 돌기(E1)가 커터(31)의 삽입공(H)에 끼워져서, 두 본체부재(10a,10b)의 결합시 타부재(10a)의 가이드공간으로 상기 돌기(E1)가 노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개봉기구.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이격수단인 돌기는
    두 개 부재로 되어 있는 본체(10)에서 일부재(10b)의 커터(33) 수용홈(G2) 후방에 형성된 돌기(E2)가 두 본체부재(10a,10b)의 결합시 타부재(10a)의 가이드공간으로 노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개봉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저항 감쇄수단은 잘리는 봉투에 대한 좌우 이격수단으로서
    커터(30)의 칼날 후방으로 갈수록 본체(10) 또는 커터(30)의 두께가 점증하는 형태를 통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개봉기구.
  9. 제 1, 2, 3, 4,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30)의 종축(X1)은 개구부(21)를 통하여 가이드공간(20)에 투입되는 봉투의 진행방향을 이루는 가상의 직선축(X2)에 대하여 예각인 각도(θ1)(θ2)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개봉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축(X1)(X2)의 각도(θ1)(θ2)는 68도 내지 7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개봉기구.
  11. 제 1, 2, 3, 4,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간(20)의 최소 폭(W)은 사용자가 손을 다치지 않도록 0.1 내지 2mm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개봉기구.
  12. 제 1, 2, 3, 4,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개봉기구.
  13. 제 1, 2, 3, 4,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일면(11a)은 광고를 위한 부위로 사용되도록 되어 있고, 타면(11b)은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개봉기구.
  14. 제 1, 2, 3, 4,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보관의 용이성을 위하여 자석(M)이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개봉기구.
KR20-2002-0032841U 2002-11-02 2002-11-02 비닐봉투개봉기구 Ceased KR2003096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841U KR200309646Y1 (ko) 2002-11-02 2002-11-02 비닐봉투개봉기구
US10/532,622 US20050274026A1 (en) 2002-11-02 2003-10-29 Vinyl pack opener
PCT/KR2003/002301 WO2004041487A1 (en) 2002-11-02 2003-10-29 Vinyl pack opener
CN200380101824.8A CN1705543A (zh) 2002-11-02 2003-10-29 乙烯包装袋的开启工具
AU2003272143A AU2003272143A1 (en) 2002-11-02 2003-10-29 Vinyl pack opener
JP2004549671A JP2006504481A (ja) 2002-11-02 2003-10-29 ビニール袋封切り器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841U KR200309646Y1 (ko) 2002-11-02 2002-11-02 비닐봉투개봉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187A Division KR100475667B1 (ko) 2003-02-18 2003-02-18 비닐봉투개봉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9646Y1 true KR200309646Y1 (ko) 2003-04-03

Family

ID=32464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841U Ceased KR200309646Y1 (ko) 2002-11-02 2002-11-02 비닐봉투개봉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274026A1 (ko)
JP (1) JP2006504481A (ko)
KR (1) KR200309646Y1 (ko)
CN (1) CN1705543A (ko)
AU (1) AU2003272143A1 (ko)
WO (1) WO20040414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411220D0 (en) * 2004-05-20 2004-06-23 W A 1 Designs Ltd Knife
WO2008086101A1 (en) * 2007-01-04 2008-07-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tting device
USD712229S1 (en) * 2012-12-13 2014-09-02 Wen-Chun Kao Survival kit
JP2018024463A (ja) * 2016-08-12 2018-02-15 修三 山下 パウチカッター
US10926428B2 (en) * 2017-09-25 2021-02-23 Pacific Handy Cutter, Inc. Winged cutter
US11234424B2 (en) 2019-03-15 2022-02-01 Academy, Ltd. Garments and other items incorporating line-cutting devices
FR3108583A1 (fr) * 2020-03-27 2021-10-01 david pignolo Dispositif permettant de couper des sacs ou emballages plastiques de manière répétitive rapidement et sans risques ni fatigu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623799U1 (de) * 1976-07-29 1977-02-24 Martor-Argentax E.H., Beermann Kg, 5650 Solingen Schneidgeraet
JPS6267574U (ko) * 1985-10-17 1987-04-27
GB8807577D0 (en) * 1988-03-30 1988-05-05 Ireland W A Improvements in/relating to knives
JPH047062U (ko) * 1990-05-01 1992-01-22
US5357679A (en) * 1993-10-15 1994-10-25 Hanna Lori A Bag opening device
US5524348A (en) * 1994-08-04 1996-06-11 Tipp; Raymond P. System for slitting and opening packages
US5561905A (en) * 1994-08-16 1996-10-08 Sherman; Alan E. Letter opener
US5555624A (en) * 1995-02-13 1996-09-17 Mccracken; Brian Package opener
US5881463A (en) * 1996-11-12 1999-03-16 Orcon Corporation Carpet face cutter with coacting surfaces and cutouts for securing the lowermost corner of each cutter blade against deflection
US6371844B1 (en) * 2000-07-18 2002-04-16 Christopher A. Holler Disposable skinner
US20020124417A1 (en) * 2001-01-02 2002-09-12 Dario De La Cruz Finger-mountable letter opener
TW520695U (en) * 2001-06-22 2003-02-11 Yu-Shiung Huang Improved unsealing tool
US7533595B2 (en) * 2004-04-22 2009-05-19 Square One Parachutes, Inc. Lamina cu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504481A (ja) 2006-02-09
US20050274026A1 (en) 2005-12-15
AU2003272143A1 (en) 2004-06-07
CN1705543A (zh) 2005-12-07
WO2004041487A1 (en) 200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6640B2 (en) Media cutting device
US5398576A (en) Cutting device for a roll of protective film
US5561905A (en) Letter opener
CA2652682C (en) Pouch cutter
CA1332277C (en) Knives
US5809656A (en) Paper knife
KR200309646Y1 (ko) 비닐봉투개봉기구
AU2006203650A1 (en) Web material cutting device
CA2395174A1 (en) Film cutter assembly
KR100475667B1 (ko) 비닐봉투개봉기구
KR200310385Y1 (ko) 비닐봉투개봉기구
US20030178462A1 (en) Film wrapper cutting device
US20140103057A1 (en) Packet dispenser
KR200311311Y1 (ko) 안전 비닐봉투개봉기구
KR20080113244A (ko) 보강된 매체 절단 장치
GB2237733A (en) Hand grips
US6042291A (en) Document holder with slidable classifying rider
JP3434452B2 (ja) シート材折り返し部切断具
KR200306095Y1 (ko) 봉지절개용 칼
KR100476312B1 (ko) 봉투 개봉 겸용 커터
KR200319330Y1 (ko) 테이프체가 부착된 밀봉팩
KR200315056Y1 (ko) 테이프체 부착 밀봉팩
ITMI940215U1 (it) Utensile da taglio sostanzialmente un coltello di sicurezza a punta ta gliente, utilizzabile come apribuste, tagliacarte e simili
KR20100002550U (ko) 비닐봉지 여닫이
AU2006240121A2 (en) Media cu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110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3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11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09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30929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6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EXTG Ip right invalidated
UC2102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