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5368Y1 -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 Google Patents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368Y1
KR200305368Y1 KR20-2002-0036006U KR20020036006U KR200305368Y1 KR 200305368 Y1 KR200305368 Y1 KR 200305368Y1 KR 20020036006 U KR20020036006 U KR 20020036006U KR 200305368 Y1 KR200305368 Y1 KR 2003053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screw portion
female screw
pu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0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윤
Original Assignee
신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윤 filed Critical 신동윤
Priority to KR20-2002-00360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3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3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36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힘에 의해 양방향으로 손잡이를 회전시켜 도어를 개방시키는 기존의 회전식 손잡이를 배제하고, 대신에 손잡이의 작동부재와 일체로 연결된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와 결합되는 동시에 도어 걸림부와 연계되어 그 도어 걸림부를 작동시키는 수나사부로 구성된 작동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작동부재를 뒤로 밀거나 앞으로 잡아 당기는 식에 의해 간단하고, 용이하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Pull-push type door handle}
본 고안은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힘에 의해 양방향으로 손잡이를 회전시켜 도어를 개방시키는 기존의 회전식 손잡이를 배제하고, 대신에 손잡이의 작동부재와 일체로 연결된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와 결합되는 동시에 도어 걸림부와 연계되어 그 도어 걸림부를 작동시키는 수나사부로 구성된 작동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작동부재를 뒤로 밀거나 앞으로 잡아 당기는 식에 의해 간단하고, 용이하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손잡이는 구형의 손잡이가 돌출되어 있고, 이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회전형 도어 손잡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물쇠 본체부(100)의 일측단부에 도어 걸림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걸림부(110)와 접촉되는 도어틀체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미도시)에 걸려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도어 걸림부(110)는 일측면이 평면이며 타측면은 경사진 면을 가짐으로서, 밖에서 도어를 잡아당기면 도어 걸림부(110)가 도어의 고정부재에 걸려서 개방되지 않으며, 도어를 닫아 주는 경우에 경사진 면이 고정부재에 원활하게 삽입된다.
또한, 상기 자물쇠 본체부(100)에 형성된 결합홈(120)에는 양방향으로 손잡이(130)가 설치되는 한쌍의 손잡이 연결부(140,150)가 관통하여 결합되는바, 일측 손잡이 연결부(140)의 일측단부에 결합홈(141)이 형성되고, 타측 손잡이 연결부(150)의 일측단부에 나사 결합부(151)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20)을 통해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의 회전형 도어 손잡이는 회전작용에 의해 도어를 개방시키게 되므로 손에 물기 또는 기름이 묻은 상태에서는 도어의 개방에 어려운점이 있고, 유아들이 손쉽게 개방하기에는 상기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데,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여 열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일정한 힘에 의해 양방향으로 손잡이를 회전시켜 도어를 개방시키는 기존의 회전식 손잡이를 배제하고, 대신에 손잡이의 작동부재와 일체로 연결된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와 결합되는 동시에 도어 걸림부와 연계되어 그 도어 걸림부를 작동시키는 수나사부로 구성된 작동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작동부재를 뒤로 밀거나 앞으로 잡아 당기는 단 한번의 동작에 의해 간단하고, 용이하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를 잡아 당겼을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를 밀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3은 종래의 회전형 도어 손잡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물쇠 본체부 11 : 도어 걸림부
12 : 도어 고정부 12a : 고정홀
12b : 홈 13 : 작동부
14 : 결합부재 15 : 수나사부
16 : 암나사부 16a : 결합홀
17, 18 : 압축 스프링 19 : 스토퍼
20 : 가이드 부재 21 : 가이드홈
22 : 작동부재 22a : 나사 결합부
23 : 손잡이 23a : 관통홀
23b : 홈 23c : 고정홀
30 : 도어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자물쇠 본체부(10)와, 일측면이 평면이며, 타측면은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어 도어(30)의 고정부재에 걸려서 열려지지 않도록 하는 도어 걸림부(11)와, 상기 도어 걸림부(11)가 홈(12b)을 관통하여 자물쇠 본체부(10)에 수용되며, 상기 자물쇠 본체부(10)를 상기 도어(3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홀(12a)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되는 도어 고정부(12)와, 상기 도어 걸림부(11)와 연계되어 회전 작동에 의해 그 도어 걸림부(11)가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도어 손잡이의 작동부(13)와 결합되는 동시에 서로 치합되어 작동되는 작동수단인 수나사부(15) 및 암나사부(16)와;
상기 암나사부(16)의 중간부분에 형성되어 압축 스프링(17, 18)의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링형상의 스토퍼(19)와;
상기 스토퍼(19)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탄설되어 상기 작동수단이 초기상태로 원상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압축 스프링(17, 18)과;
상기 작동수단과 연결되어 손으로 밀거나 잡아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 작동부재(22)와;
상기 작동부재(22)와 암나사부(16)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23a)이 형성되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면에 홈(23b)이 형성되며, 고정수단을 매개로 도어(3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양측에 고정홀(23c)이 형성된 손잡이(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암나사부(16) 외주면의 양측에 가이드 부재(20)가 형성되는바, 상기 가이드 부재(20)는 상기 암나사부(16)가 회전작동을 하지않고 직선방향으로 손잡이(23)의 관통홀(23a)에 형성된 가이드홈(21)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를 잡아 당겼을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며,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를 밀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본 고안은 손잡이의 작동부재를 밀거나 또는 잡아 당기는 풀-푸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간단하고, 용이하게 도어(30)를 개방시키고자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은 방문 또는 현관문과 같은 도어(30)의 일측면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자물쇠 본체부를 나타낸다.
상기 자물쇠 본체부(10)의 일측단부에 도어 걸림부(11)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도어 걸림부(11)는 밖에서 도어(30)를 잡아 당기면 그 도어 걸림부(11)가 도어(30)의 고정부재(미도시)에 걸려서 열려지지 않으며 도어(30)를 닫아주는 경우에 경사진 면이 고정부재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일측면이 평면이며, 타측면은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 걸림부(11)가 홈을 관통하여 자물쇠 본체부(10)에 수용되며, 상기 자물쇠 본체부(10)를 상기 도어(3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자물쇠 본체부(10)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홀(12a)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되는 도어 고정부(1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도어 걸림부(11)와 연계되어 회전 작동에 의해 그 도어 걸림부(11)가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작동부(13)와 도어 걸림부(11)의 연결 구조는 공지된 기술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물쇠 본체부(10)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부(13)는 후술하는 작동수단의 일측 선단에 형성된 결합부재(14)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14)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14)와 일체로 연결된 작동수단은 서로 치합된 소정 길이의 수나사부(15)와 암나사부(16)로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암나사부(16)의 추력에 의해 상기 수나사부(15)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작동수단의 직선운동을 작동부(13)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암나사부(16)의 중간부분에는 압축 스프링(17, 18)의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링형상의 스토퍼(19)가 형성되는바, 상기 스토퍼(19)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압축 스프링(17, 18)이 탄설되어 있다.
상기 압축 스프링(17, 18)의 양단은 각각 자물쇠 본체부(10)의 일측면과 스토퍼(19)의 일측면 및 손잡이(23)의 일측면과 스토퍼(19) 타측면 사이에 탄설되어 상기 작동 수단이 작동된 이후, 초기상태로 원상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암나사부(16) 외주면의 양측에 가이드 부재(20)가 형성되는바, 상기 가이드 부재(20)는 상기 암나사부(16)가 회전작동을 하지않고 직선방향으로 손잡이(23)의 관통홀(23a)에 형성된 가이드홈(21)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23)의 중심에는 손으로 밀거나 잡아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 작동부재(22)의 나사 결합부(22a)와, 암나사부(16)의 결합홀(16a)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23a)이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23)의 상면에는 방문 또는 현관문과 같은 도어(30)가 개방되었을 시, 상기 작동부재(22)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홈(2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23)의 양측에는 고정수단을 매개로 상기 도어(30)의 외측표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홀(23c)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자물쇠의 도어 걸림부(11)를 개방위치로 조정하기 위해서 작동부재(22)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거나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작동부재(22)와 결합된 동시에 가이드 부재(20)가 형성된 암나사부(16)는 손잡이(23)의 가이드홈(21)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이동하게 되고, 상기 암나사부(16)와 치합된 수나사부(15)는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여 암나사부(16)의 결합홀(16a)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게 되고, 상기 수나사부(15)와 일체 결합된 결합부재(14)도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이후, 상기 결합부재(14)와 결합된 자물쇠 본체부(10)의 작동부(13)는 상기 결합부재(14)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어 걸림부(11)를 도어틀체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서 해제되도록 하여 도어(30)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도어(30)의 개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작동부재(14)를 원위치시키게 되면, 스토퍼(19)를 중심으로 자물쇠 본체부(10)와 손잡이(23) 사이에 탄설된 압축 스프링(17, 18)에 의해 상기 수나사부(15)가 초기 상태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수나사부(15)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 걸림부(11)는 도어 고정부(12)의 홈(12b)밖으로 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는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단한번의 동작으로 도어(30)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인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는 종래의 손잡이의 회전작용을 통해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기술에서 탈피하여 손잡이의 작동부재를 밀거나 또는 잡아 당기는 풀-푸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간단하고, 용이하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물쇠 본체부(10)와, 일측면이 평면이며, 타측면은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어 도어(30)의 고정부재에 걸려서 열려지지 않도록 하는 도어 걸림부(11)와, 상기 도어 걸림부(11)가 홈(12b)을 관통하여 자물쇠 본체부(10)에 수용되며, 상기 자물쇠 본체부(10)를 상기 도어(3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홀(12a)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되는 도어 고정부(12)와, 상기 도어 걸림부(11)와 연계되어 회전 작동에 의해 그 도어 걸림부(11)가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도어 손잡이의 작동부(13)와 결합되는 동시에 서로 치합되어 작동되는 작동수단인 수나사부(15) 및 암나사부(16)와;
    상기 암나사부(16)의 중간부분에 형성되어 압축 스프링(17, 18)의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링형상의 스토퍼(19)와;
    상기 스토퍼(19)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탄설되어 상기 작동수단이 초기상태로 원상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압축 스프링(17, 18)과;
    상기 작동수단과 연결되어 손으로 밀거나 잡아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 작동부재(22)와;
    상기 작동부재(22)와 암나사부(16)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23a)이 형성되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면에 홈(23b)이 형성되며, 고정수단을 매개로 도어(3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양측에 고정홀(23c)이 형성된 손잡이(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16) 외주면의 양측에 가이드 부재(20)가 형성되는바, 상기 가이드 부재(20)는 상기 암나사부(16)가 회전작동을 하지않고 직선방향으로 손잡이(23)의 관통홀(23a)에 형성된 가이드홈(21)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KR20-2002-0036006U 2002-12-02 2002-12-02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Ceased KR2003053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006U KR200305368Y1 (ko) 2002-12-02 2002-12-02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006U KR200305368Y1 (ko) 2002-12-02 2002-12-02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427A Division KR100446950B1 (ko) 2002-05-08 2002-05-08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368Y1 true KR200305368Y1 (ko) 2003-03-03

Family

ID=49331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006U Ceased KR200305368Y1 (ko) 2002-12-02 2002-12-02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3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038A (ko) * 2015-07-10 2017-01-18 (주)혜강씨큐리티 레버캠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KR20180071048A (ko) 2016-12-19 2018-06-27 김은교 도어 잠금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038A (ko) * 2015-07-10 2017-01-18 (주)혜강씨큐리티 레버캠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KR101718993B1 (ko) * 2015-07-10 2017-03-22 (주)혜강씨큐리티 레버캠 직접 구동형 푸쉬풀 핸들을 갖는 도어락
KR20180071048A (ko) 2016-12-19 2018-06-27 김은교 도어 잠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2790B2 (en) Closure device for connecting two parts
AU2016232983B2 (en) Push and/or pull handle lockset
US8590947B2 (en) Lock device for sliding door
KR101453945B1 (ko) 멀티타입 래치볼트
KR101601189B1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KR100446950B1 (ko)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KR200312859Y1 (ko) 도어 록 장치
KR100865185B1 (ko) 도어록장치
KR101666764B1 (ko) 푸시풀형 도어락
KR200305368Y1 (ko) 풀-푸시형 도어 손잡이
KR101570829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밀거나 당기는 문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
KR20000074623A (ko) 푸시-풀 타입 도어 개폐장치
KR101841874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0686609B1 (ko) 도어 록 장치
KR101610932B1 (ko)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KR100441634B1 (ko) 도어 록 장치
KR102009521B1 (ko) 푸쉬풀 도어락 장치
JP3710883B2 (ja) 扉用ハンドル装置
KR100892514B1 (ko) 차량용 도어인사이드핸들 장치
KR20100095968A (ko) 도어 록 장치
KR102000975B1 (ko) 푸쉬풀 타입의 도어락
KR200380743Y1 (ko) 도어의 잠금장치
US20250129645A1 (en) Door lock assembly
KR20110106536A (ko) 도어록 장치
KR100246209B1 (ko) 문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02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2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2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9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0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EXTG Ip right invalidated
UC2102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