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10932B1 -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 Google Patents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932B1
KR101610932B1 KR1020140153777A KR20140153777A KR101610932B1 KR 101610932 B1 KR101610932 B1 KR 101610932B1 KR 1020140153777 A KR1020140153777 A KR 1020140153777A KR 20140153777 A KR20140153777 A KR 20140153777A KR 101610932 B1 KR101610932 B1 KR 101610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l gear
plate
lever
door lock
driven bev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주희
Original Assignee
동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3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932B1/ko
Priority to PCT/KR2015/011843 priority patent/WO201607276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93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록이 설치되는 도어의 외표면에 고정 설치하는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기계적 조작에 의하여 도어록을 구성하는 공지의 래치어셈블리(90)를 제어하여 도어의 개방을 가능케 하는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의 기계적 작동을 위하여 누름 또는 당김 동작을 수행하는 레버(30)와; 상기 구동부(20)를 은폐하도록 상기 플레이트(10) 외부에 설치하는 마감커버(4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내구성과 신뢰도가 크게 향상되고, 디자인의 다양성을 가능케 하여 전체적인 외관과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Push and pull type door lock}
본 발명은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의 설치 구조를 간소하면서도 견고하게 개선하여 내구성과 신뢰도가 크게 향상되고, 디자인의 다양성을 가능케 하여 전체적인 외관과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부 출입구 또는 건축물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벽면에 형성하여 공간과 공간을 연결하는 출입구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과 결합하는 도어가 도어프레임과 결합상태를 지속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에 의해 도어가 개폐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도어록이다.
이러한 도어록은 일반적으로 도어프레임 방향으로 래치볼트를 출입시키는 래치어셈블리와, 상기 래치어셈블리와 연결되어 도어의 양면에 고정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결합하고 래치어셈블리와 연결되어 회전에 의하여 래치볼트를 도어프레임 방향으로 출입시키는 레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레버타입의 도어록은, 이용자가 레버를 잡고 래치볼트의 축중심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정, 역회전시켜 래치볼트가 래치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래치하우징을 출입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래치볼트가 도어프레임에 형성되는 볼트홈에 결합 및 이탈되어 도어가 개폐된다.
이러한 레버타입의 도어록은 이용자가 항상 손으로 레버를 잡고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용자의 손에 물건 등을 휴대하여 레버를 잡고 회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부상이나 장애와 같은 신체적 이상에 의하여 레버를 잡고 회전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도어를 개폐하지 못하여 출입이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자에 들어서는 래치어셈블리와 연결되어 래치볼트를 출입시키는 레버를 회전시키지 않고, 밀거나 당겨서(Push & Pull) 래치볼트를 출입시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의 도어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원 출원인 역시 푸시 앤 풀 타입의 도어록에 관하여 특허 출원하여 특허 제10-1404510호로 등록받은 바 있으며, 이의 구성을 명세서와 청구범위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어록을 구성하는 공지의 래치어셈블리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레버샤프트와 결합하여 레버의 누름 또는 당김에 의하여 레버샤프트를 정, 역회전시켜 래치볼트를 래치하우징으로 진입시켜 도어프레임에 고정된 래치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래치볼트홀을 벗어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15)는, 레버샤프트와 내측이 결합 되고 래치하우징을 유지하면서 도어 양면에 밀착 고정되는 마감플레이트(113) 외부로 노출된 레버코어(112)에 회전 가능하면서 축 중심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게 결합 되는 기어브라켓(116)과; 상기 기어브라켓의 외부로 노출된 레버코어의 끝단에 고정하는 구동베벨기어(120)와; 상기 기어브라켓의 외측부에서 레버샤프트의 축중심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설치되고 레버와 연결되는 원동축(121)과; 상기 레버의 밀고 당김에 의하여 정, 역회전하면서 구동베벨기어(120)와 맞물려 구동베벨기어를 정,역회전시키도록 원동축에 고정되는 원동베벨기어(122)를 포함하는 구성하게 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04510호 등록특허공보 제10-1115258호 등록특허공보 제10-1306888호 등록특허공보 제10-1306889호 등록특허공보 제10-1320590호
상기와 같이 본원 출원인이 선행하여 특허 등록받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은, 이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레버를 잡고 밀고 당기는 형태 또는 손을 이용할 수 없을 경우 신체의 일부를 이용하여 밀어서 잠김 상태의 도어를 개방하여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는 목적은 달성할 수 있으나 하기와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즉, 종래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은 레버의 밀고 당김에 의해 회전하는 원동축의 회전력을 베벨기어의 조합을 가진 구동부를 이용하여 레버샤프트의 회전력으로 변환함으로써 레버샤프트가 래치어셈블리의 레치볼트를 동작시켜 도어의 개폐가 가능케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가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데, 원동베벨기어, 구동베벨기어, 원동축, 기어브라켓으로 구성되는 종래의 구동부는 도어의 표면에 직접 고정 설치되는 마감플레이트의 외부에서 체결나사 등을 이용하여 기어브라켓을 마감플레이트 외면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구동부의 설치 과정이 복잡하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레버를 밀고 당기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보편적인 사용 과정에서 레버를 밀고 당기는 힘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이 구동부의 기어브라켓에 반복적으로 전달됨으로써 체결나사에 의해 마감플레이트의 외면에 고정된 기어브라켓의 고정력이 약화되어 기어브라켓과 마감플레이트 간에 유격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도어록이 원활하게 작동되지 못하고, 내구 수명도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도어록이 설치되는 도어의 외표면에 고정수단으로 고정 설치하는 금속재로 된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에 고정하는 기어브라켓(201)과, 도어록을 구성하는 공지의 래치어셈블리(9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레버샤프트(903)와 결합하도록 상기 기어브라켓(201)의 중심공(201c)에 회전 가능케 설치하고, 내측 단부에는 일정 각도로 회전한 후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복귀수단(50)을 구비한 종동베벨기어(202)와, 상기 기어브라켓(201)의 일측 단부에서 레버샤프트(903)의 축 중심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회전 가능케 설치하는 원동축(203)과, 상기 종동베벨기어(202)와 맞물려 상기 원동축(20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종동베벨기어(202)를 정,역회전시키도록 원동축(203)에 고정하는 원동베벨기어(204)를 포함하는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의 원동축(203)과 결합하는 결합부(302)를 핸들형으로 된 손잡이(301) 내측면 하부에서 돌출 형성하여 누름 또는 당김에 의해 상기 원동축(203)을 회전케 하는 레버(30)와;
상기 구동부(20)를 은폐하도록 상기 플레이트(10) 외부에 설치하는 마감커버(4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내구성과 신뢰도가 크게 향상되고, 디자인의 다양성을 가능케 하여 전체적인 외관과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은 구동부의 설치가 간소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내구성과 신뢰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부가 마감커버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레버의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되어 도어록의 디자인에 있어서 가장 핵심 부분이라 할 수 있는 레버의 디자인을 다양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품의 다양성을 확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외관과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실시 예에 따른 평면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은, 도어록이 설치되는 도어(80)의 외표면에 고정 설치하는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기계적 조작에 의하여 도어록을 구성하는 공지의 래치어셈블리(90)를 제어하여 도어(80)의 개방을 가능케 하는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의 기계적 작동을 위하여 누름 또는 당김 동작을 수행하는 레버(30)와; 상기 구동부(20)를 은폐하도록 상기 플레이트(10) 외부에 설치하는 마감커버(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공지의 래치어셈블리(90)는, 래치볼트(901)를 선단에 가지는 래치하우징(902)을 관통하는 레버샤프트(903)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미 공개되어 주지된 기술 내용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플레이트(10)는 견고한 내구성을 가지기 위하여 금속재로 형성하고, 도어록을 구성하는 공지의 래치어셈블리(90)가 설치되는 도어(80)의 외표면에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 설치하되, 중심부에는 통공(101)을 형성하며, 상기 통공(101) 양측에는 한 쌍의 결합장공(103)을 수직으로 나란히 형성하고, 플레이트(10)를 도어(80)에 고정하는 나사가 투입되는 설치공(102)을 상기 통공(101) 주변에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한다.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플레이트(10)에 고정하는 기어브라켓(201)과, 도어록을 구성하는 공지의 래치어셈블리(9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레버샤프트(903)와 결합하도록 상기 기어브라켓(201)의 중심공(201c)에 회전 가능케 설치하고, 내측 단부에는 일정 각도로 회전한 후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복귀수단(50)을 구비한 종동베벨기어(202)와, 상기 기어브라켓(201)의 일측 단부에서 레버샤프트(903)의 축 중심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회전 가능케 설치하는 원동축(203)과, 상기 종동베벨기어(202)와 맞물려 상기 원동축(20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종동베벨기어(202)를 정,역회전시키도록 원동축(203)에 고정하는 원동베벨기어(204)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20)의 기어브라켓(201)은 수직으로 형성된 고정편(201a) 양측에 한 쌍의 지지편(201b)을 고정편(201a)과 직각이 되도록 일측으로 나란히 형성하여 평면에서 볼 때, 개략 "ㄷ"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하여 상기 고정편(201a)은 상기 플레이트(10)의 내면에 밀착하고, 기어브라켓(201) 양측의 지지편(201b)은 상기 플레이트(10)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장공(103)을 각각 관통하여 플레이트(10)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설치한다.
상기 고정편(201a) 중앙의 중심공(201c)에는 기어치가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종동베벨기어(202)를 회전 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종동베벨기어(202)의 내측 단부에는 일정 각도로 회전한 종동베벨기어(202)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501)과, 상기 복귀스프링(501)을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제한판(502)으로 구성되는 복귀수단(50)을 설치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편(201b) 간에는 원동축(203)을 회전 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원동축(203)에는 상기 종동베벨기어(202)와 치합하는 원동베벨기어(204)를 고정 설치하여 원동축(203)의 회전력을 원동베벨기어(204)를 통해 종동베벨기어(202)에 전달한다.
한편, 상기 구동부(20) 종동베벨기어(202)와 원동베벨기어(204)로 구성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헬리컬기어 등과 같이 동력의 전달 방향을 90°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어라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 가능하므로 베벨기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상기 종동베벨기어(202)와 원동베벨기어(204)는 실질적으로 도어(80)를 개방하는 데 필요한 회전 각도가 종동베벨기어(202)는 약 80 내지 100°정도이고, 원동베벨기어(204)가 약 35 내지 55°정도이므로 실제 동력이 전달되는 부위에만 기어치를 형성한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30)는 상기 구동부(20)의 원동축(203)과 결합하는 결합부(302)를 핸들형으로 된 손잡이(301) 내측면 하부에서 돌출 형성하여 상기 결합부(302)의 하부에서 체결볼트를 투입하여 결합부(302)와 원동축(203)을 한꺼번에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손잡이(301)의 누름 또는 당김에 의해 레버(30)는 원동축(203)을 중심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구동부(20)의 원동베벨기어(204)를 정,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와 맞물린 종동베벨기어(202)를 정,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래치하우징(902)에 대하여 노출된 래치볼트(901)를 래치하우징(902)의 내부로 진입시켜 도어(8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감커버(40)는 상기 플레이트(10)에 설치되는 상기 구동부(20)를 은폐하기 위하여 전면에 상기 구동부(20)를 은폐하는 하우징부(401)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부(401) 중앙에는 상기 구동부(20)와 결합하는 레버(30)의 결합부(302)가 투입되는 레버결합공(401a)을 형성하여 상기 플레이트(10)를 감싸면서 도어의 외표면에 플레이트(1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플레이트(10)와 함께 도어(80)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0)와 마감커버(40)를 도어(80)에 동시에 고정 설치하는 나사의 머리 부분이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마감커버(40)에는 나사의 머리 부분이 내측으로 투입되는 설치공(402)을 형성하며, 마감커버(40)의 소재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형성하되, 미감 향상을 위하여 외표면에 도장층이나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의 작동 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지된 래치어셈블리(90)는 도어(80)에 매립 설치되어 래치하우징(902)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래치볼트(901)가 도어프레임에 고정되는 래치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래치볼트홀에 결합하여 도어(8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어(80)의 측면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도어(80)의 양면에는 상기 도어(80)에 상기 매립 설치된 래치어셈블리(90)에 끼워진 레버샤프트(903)가 구동부(20)에 결합하도록 상기 구동부(20)가 결합된 플레이트(10)가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20)의 원동축(203)에는 레버(3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20)를 은폐하도록 상기 플레이트(10) 외면에는 마감커버(40)가 설치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이 설치된 도어(80)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 이용자는 손이나 신체 일부를 이용하여 레버(30)를 당기거나 밀어주면 레버(30)에 의해 원동축(203)이 회전함으로써 그 회전력이 상기 래치어셈블리(90)의 래치볼트(901)를 가동시켜 래치볼트(901)가 래치볼트홀을 벗어나게 함으로써 도어(80)의 개방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첨부도면 도 3과 같이 사용자가 레버(30)를 밀거나(Push) 당기면(Pull), 레버(30)의 결합부(302)와 고정 결합된 구동부(20)의 원동축(203)이 원동축(203)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원동축(203)에 고정 설치된 원동베벨기어(204)가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원동베벨기어(204)는 상기 래치어셈블리(90)에 일단부가 결합된 레버샤프트(903)의 타단부가 결합하는 종동베벨기어(202)와 치합되어 있으므로 원동베벨기어(204)에 의해 종동베벨기어(202)는 레버샤프트(903)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레버샤프트(903)를 움직이게 되고, 상기 레버샤프트(903)의 움직임에 의하여 래치하우징(902)에 수용되어 래치하우징(902)의 선단으로 노출된 래치볼트(901)가 래치하우징(902) 내부로 진입하게 되므로 래치플레이트의 래치볼트홀을 벗어나게 되어 도어(80)의 개방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한편, 레버(30)를 밀거나 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레버(30)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한 종동베벨기어(202)의 내측 단부에 설치된 복귀스프링(501)을 구비한 복귀수단(50)에 의해 종동베벨기어(202)가 원래의 위치로 회전하게 되고, 그 종동베벨기어(202)의 회전력은 도어(80)를 개방할 때와 반대로 원동베벨기어(204)로 전달되어 원동축(203)을 회전시킴으로써 원동축(203)과 고정 결합된 레버(3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데, 상기 복귀스프링(501)을 구비한 복귀수단(50)의 동작은 일반적인 도어록을 구성하는 래치어셈블리(90)와 복귀수단(50)의 동작 동일하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은 레버(30)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종동베벨기어(202)를 통해 레버샤프트(903)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부(20)의 경우에 도어(80)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10)의 내부에서 외부로 기어브라켓(201)의 지지편(201b)이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가 이루어짐으로써 기어브라켓(201)이 플레이트(10)에 간소하면서도 매우 견고하게 설치됨으로써 생산과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고,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래치어셈블리(90)와 호환되므로 기존의 도어(80)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어, 설치비용과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레버(30)의 경우 손잡이(301) 내측면 하부에서 돌출 형성하는 결합부(302)가 마감커버(40)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손잡이(301) 부분은 다양한 디자인 가변성을 가질 수 있어 다양한 형상과 모양의 도어록을 제공할 수 있어 대외적인 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면서 이용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 플레이트 101: 통공
102: 설치공 103: 결합장공
20: 구동부 201: 기어브라켓
201a: 고정편 201b: 지지편
201c: 중심공 202: 종동베벨기어
203: 원동축 204: 원동베벨기어
30: 레버 301: 손잡이
302: 결합부 40: 마감커버
401: 하우징부 401a: 레버결합공
402: 설치공 50: 복귀수단

Claims (3)

  1. 도어록이 설치되는 도어의 외표면에 고정수단으로 고정 설치하는 금속재로 된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에 고정하는 기어브라켓(201)과, 도어록을 구성하는 공지의 래치어셈블리(9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레버샤프트(903)와 결합하도록 상기 기어브라켓(201)의 중심공(201c)에 회전 가능케 설치하고, 내측 단부에는 일정 각도로 회전한 후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복귀수단(50)을 구비한 종동베벨기어(202)와, 상기 기어브라켓(201)의 일측 단부에서 레버샤프트(903)의 축 중심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회전 가능케 설치하는 원동축(203)과, 상기 종동베벨기어(202)와 맞물려 상기 원동축(20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종동베벨기어(202)를 정,역회전시키도록 원동축(203)에 고정하는 원동베벨기어(204)를 포함하는 구동부(20)와;
    상기 구동부(20)의 원동축(203)과 결합하는 결합부(302)를 핸들형으로 된 손잡이(301) 내측면 하부에서 돌출 형성하여 누름 또는 당김에 의해 상기 원동축(203)을 회전케 하는 레버(30)와;
    상기 구동부(20)를 은폐하도록 상기 플레이트(10) 외부에 설치하는 마감커버(40)로 구성하여 상기 레버(30)의 누름 또는 당김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가능케 구성하고,
    상기 종동베벨기어(202)가 설치되도록 상기 플레이트(10)의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101) 양측에는 한 쌍의 결합장공(103)을 형성하여, 상기 구동부(20)의 기어브라켓(201)의 고정편(201a)이 플레이트(10)의 내면에 밀착하고, 기어브라켓(201) 양측의 지지편(201b)이 상기 결합장공(103)을 통해 플레이트(10)의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커버(40)는 전면에 상기 구동부(20)를 은폐하는 하우징부(401)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부(401) 중앙에는 상기 구동부(20)와 결합하는 레버(30)의 결합부(302)가 투입되는 레버결합공(401a)을 형성하여 상기 플레이트(10)를 감싸면서 도어의 외표면에 플레이트(1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플레이트(10)와 함께 도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3. 삭제
KR1020140153777A 2014-11-06 2014-11-06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Expired - Fee Related KR101610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777A KR101610932B1 (ko) 2014-11-06 2014-11-06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PCT/KR2015/011843 WO2016072764A1 (ko) 2014-11-06 2015-11-05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777A KR101610932B1 (ko) 2014-11-06 2014-11-06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932B1 true KR101610932B1 (ko) 2016-04-08

Family

ID=5590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777A Expired - Fee Related KR101610932B1 (ko) 2014-11-06 2014-11-06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0932B1 (ko)
WO (1) WO20160727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548B1 (ko) * 2019-06-18 2020-08-06 주식회사 동영미디어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676B1 (ko) * 2017-05-02 2018-08-07 오성곤 방범 프레임용 록킹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518B1 (ko) * 2012-07-20 2013-06-05 (주)대양디앤티 당김형 도어락 장치
KR101404510B1 (ko) * 2013-12-11 2014-06-10 동성산업 주식회사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4551A (ja) * 2006-12-13 2008-06-26 Hokuden Kogyo Kk プッシュプル錠用のドアハンドル構造
JP5330959B2 (ja) * 2009-10-23 2013-10-30 ホクデン工業株式会社 ラッチ錠の操作ハンドル機構
KR101375776B1 (ko) * 2013-09-05 2014-03-18 주식회사 아이빌리브 푸쉬 앤 풀 열림방식의 도어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518B1 (ko) * 2012-07-20 2013-06-05 (주)대양디앤티 당김형 도어락 장치
KR101404510B1 (ko) * 2013-12-11 2014-06-10 동성산업 주식회사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548B1 (ko) * 2019-06-18 2020-08-06 주식회사 동영미디어 푸쉬/풀 양방향작동이 가능한 푸쉬풀형 도어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72764A1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5397B1 (en) Mortise lock
KR101404510B1 (ko)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US8998277B2 (en) Outside handle for sliding door
KR20140016751A (ko) 멀티타입 래치볼트
KR20160000788A (ko) 푸시풀 도어락 어셈블리
US20140366595A1 (en) Integrated Door Operator Hardware
KR101610932B1 (ko)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JP6113765B2 (ja) 打掛錠
KR101533194B1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1663162B1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KR102037201B1 (ko) 풀 타입 다목적 도어락
EP3619380B1 (en) A handle assembly for a window or door leaf
JP3133714U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CN102383650A (zh) 一种隐形门锁
KR101663893B1 (ko) 매립형 도어록
KR200469307Y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JP5121900B2 (ja) 扉用錠前の回転伝達軸
US8919832B1 (en) Child safety door latch
KR101737035B1 (ko) 푸시 앤 풀 타입 도어록
KR102584586B1 (ko) 차량용 키 장치
KR102076163B1 (ko) 그립형태를 갖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KR101941589B1 (ko) 레버 타입 dls 창호용 손잡이
KR100940861B1 (ko) 현관문용 도어록 장치
KR101642838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되고 밀거나 당기거나 돌리는 문 개폐장치
JP2007016550A (ja) 開き戸の施解錠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