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73986A -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3986A
KR20030073986A KR1020020013807A KR20020013807A KR20030073986A KR 20030073986 A KR20030073986 A KR 20030073986A KR 1020020013807 A KR1020020013807 A KR 1020020013807A KR 20020013807 A KR20020013807 A KR 20020013807A KR 20030073986 A KR20030073986 A KR 20030073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motor
ball screw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6418B1 (ko
Inventor
남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20013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418B1/ko
Priority to US10/385,292 priority patent/US6848536B2/en
Priority to EP03005638A priority patent/EP1344709B1/en
Priority to DE60325796T priority patent/DE60325796D1/de
Priority to JP2003067694A priority patent/JP2003267238A/ja
Priority to CN03120438A priority patent/CN1445126A/zh
Publication of KR20030073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41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6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the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21Electric motor acting on or near steering gear
    • B62D5/0424Electric motor acting on or near steering gear the axes of motor and final driven element of steering gear, e.g. rack, being parallel
    • B62D5/0427Electric motor acting on or near steering gear the axes of motor and final driven element of steering gear, e.g. rack, being parallel the axes being co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42Conversion of rotational into longitudinal movement
    • B62D5/0445Screw drives
    • B62D5/0448Ball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볼스크류를 랙의 중간측에 설치하고 랙의 일단측 지름을 축소 가공하여, 볼스크류의 가공 구간 감소와, 모터의 커넥터 및 센서의 보호, 그리고, 랙의 처짐으로 인한 부품간의 간섭 감소 및 볼너트로 집중되는 하중을 타측으로 분배하는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며, 중공의 랙하우징과 연통되도록 마련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그 내부에 설치된 모터샤프트와, 상기 랙하우징 및 모터의 외부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모터샤프트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랙과, 상기 랙의 양단측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서포트요크 및 부시와, 상기 서포트요크와 부시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랙 외주면에 형성된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를 축방향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모터샤프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볼너트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본 발명은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스크류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구조를 개선하여 볼스크류의 가공 구간 감소와, 모터의 커넥터 및 센서의 보호, 그리고, 랙의 처짐으로 인한 부품간의 간섭 감소 및 볼너트로 집중되는 하중을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은 전기동력을 이용하여 조향력을 배가시키는 것으로서, 이 가운데,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R-EPS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은 기어박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랙의 외측에 모터를 설치하고, 이 모터를 이용하여 랙을 왕복동시키는 것이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을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하우징(10)의 중간 일측에는 이와 교축되도록 토크센서(20)가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운전자가 발생시킨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21)이 설치되며, 이 입력축(21)의 하단에는 피니언기어(22)가 형성된다.
그리고, 랙하우징(10) 내부에는 피니언기어(22)와 이물림되는 랙기어(12)가 중간 일측에 형성되며 이 랙기어(12)의 후방측에는 이를 피니언기어(22)측으로 미는 서포트요크(미도시)가 설치되며, 랙(11)의 양단에는 차량의 타이어휠과 연결되어 이를 조향할 수 있도록 타이로드(30)가 연결 설치된다.
한편, 랙하우징(10)의 중간 타측에는 모터(40)가 설치되는데, 이 모터(40)는 랙하우징(10)과 연결 형성되는 모터하우징(41)과, 이 모터하우징(41)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자(42) 및 회전자(43)와, 이 회전자(43)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자(43)와 연동되는 모터샤프트(44)를 구비한다.
또한, 모터샤프트(44)의 회전력을 랙(11)의 왕복동력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랙(11)의 외주면에는 반구형 단면의 나선형 홈으로 마련된 볼스크류(50)가 형성되고, 이의 외부에는 볼스크류(50)와 대응되도록 내부에 반구형 단면의 나선형 홈이 형성되어 볼(미도시)을 개재한 볼너트(60)가 설치된다.
이때, 볼너트(60)는 그 내부에서 볼이 순환될 수 있도록 리턴구조를 가지며, 이 볼너트(60)가 설치되는 모터샤프트(44)의 일단측은 볼너트(6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외주측으로 확장 형성되고 이의 선단은 절곡되어 삽입된 볼너트(60)를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고정하게 된다.
아울러, 랙하우징(10)의 중간측 내부에는 랙(11)의 원활한 축방향 이동 및 그 중간측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시(13)가 설치됨으로써, 랙(11)은 중간측의 부시(13)와 일단측의 서포트요크(미도시) 및 타단측의 볼너트(60)에 의해 3점 지지된다.
또, 랙하우징(10)의 양측 선단에는 중공으로 마련되어 그 내부로 랙(11)이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된 랙스톱퍼(70)가 설치되고, 이 랙스톱퍼(70)의 외부측으로는 타이로드(30)와 랙(11)을 연결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분리 형성되어 그 사이가 결합되는 이너볼조인트(31)가 설치된다.
이때, 이너볼조인트(31)는 랙스톱퍼(70)의 내부 지름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랙(11)이 일단측으로 최대한 이동되는 락 투 락(Lock to Lock) 작동을 할 때 랙스톱퍼(70)와 밀착되어 이동이 제한되므로, 이와 연결된 랙(11)의 스트로크를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은, 볼너트가 실제로 작동하는 구간보다 랙에 형성된 볼스크류 구간이 더 길게 마련되어 제작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볼스크류는 중간측에서부터 가공할 수 없으므로 이를 위해 랙의 일단측에서 부터 볼스크류의 가공을 시작하여 그 중간측까지 연장하게되므로 불필요한 볼스크류의 구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차량의 장착 구조상 볼너트가 랙 일단측에 위치함으로써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 및 모터의 센서(BLDC 모터일 경우)가 차량의 중앙에 배치되는데, 대부분의 차량에서는 이와 인접하게 배기관 등이 통과하므로, 커넥터 및 센서가 열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차량에서는 랙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해 랙의 처짐이 발생하게되는데, 이 처짐에 의해 랙의 볼스크류와 랙스톱퍼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 간섭에 의해 이상 마모(뜯김 등)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볼너트가 랙 일단측에 위치함으로 인해 랙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이랙의 세 지지점(서포트요크, 부시, 볼너트) 중에서 볼너트 측으로 가장 많이 집중되어 볼너트에서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고, 볼스크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볼스크류를 랙의 중간측에 설치하고 랙의 일단측 지름을 축소 가공하여, 볼스크류의 가공 구간 감소와, 모터의 커넥터 및 센서의 보호, 그리고, 랙의 처짐으로 인한 부품간의 간섭 감소 및 볼너트로 집중되는 하중을 타측으로 분배하는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랙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랙의 하중 분포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랙의 처짐량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설치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미션 101:배기관
110:랙하우징 111:랙
112:랙기어 113:서포트요크
114:부시 120:토크센서
121:입력축 130:타이로드
131:이너볼조인트 141:모터하우징
144:모터샤프트 145:커넥터
146:센서 150:볼스크류
151:단차부 160:볼너트
162:락스크류 170:랙스톱퍼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은, 중공의 랙하우징과 연통되도록 마련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그 내부에 설치된 모터샤프트와, 상기 랙하우징 및 모터의 외부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모터샤프트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랙과, 상기 랙의 양단측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서포트요크 및 부시와, 상기 서포트요크와 부시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랙 외주면에 형성된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를 축방향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모터샤프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볼너트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정면도이다.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121)이 내장된 토크센서(120)와, 이와 교차되며 내부에 랙(111)이 설치된 랙하우징(110)과, 랙(111)의 양단에 이너볼조인트(131)를 통해 연결된 타이로드(130)가 구비된다.
그리고, 랙하우징(110)의 양단 사이에는 이 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모터하우징(141)을 구비한 모터(140)가 설치되는데, 이 모터(140)의 내부에는 고정자(미도시)와 회전자(미도시)가 설치되고, 회전자의 내측으로는 이와 함께 연동되도록 중공의 모터샤프트(144)가 설치된다.
또, 모터(140)와 랙(111)의 사이에는 랙(111)을 축방향으로 동작시켜 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동력전달구조가 마련되는데, 이 동력전달구조는 랙(1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볼스크류(150)와, 그 사이에 볼(161)을 개재하여 볼스크류(150)의 외부측에 설치되는 볼너트(160)로서, 이 볼너트(160)는 모터샤프트(144)의 삽입되어 락스크류(162)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랙(1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측에 볼스크류(150)가 형성되고, 일단측에는 언더컷 가공한 단차부(151)가 형성되고, 타단측에는 피니언기어(미도시)와 맞물릴 수 있도록 랙기어(112)가 형성되며, 이 랙기어(112)의 후방측으로는 이를 피니언기어 측으로 밀어주는 서포트요크(113)가 설치된다.
이로써, 볼스크류(150)의 가공 구간 감소와, 모터(140)의 커넥터(145) 및 센서(146)의 보호, 그리고, 랙(111)의 처짐으로 인한 부품간의 간섭 감소 및 볼너트(160)로 집중되는 하중을 타측으로 분배할 수 있게 된다.
즉, 차량에서는 랙(111)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해 랙(111)의 처짐이 발생하는데, 특히 랙(111)의 끝단측(C지점)에 하중이 가장 많이 집중되므로 이를 회피하기 위해 볼스크류(150)를 서포트요크(113)와 후설할 부시(114) 사이에 배치되는 랙(111)의 중간측(B지점)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도 4와 도 5는 이러한 랙의 처짐 및 처짐량을 해석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중(W)을 가할 때 랙(111)의 단차부(151)에는 가장 높은 반력(Rc)이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 부분(C지점)에 볼너트가 설치되어있으므로, 볼너트에 하중 분포가 가장 높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 부분(C지점)에 비해 보다 낮은 하중을 받는 랙(111)의 중간측(B지점)에 볼너트(160)가 설치된다.
즉, 하중 분포가 가장 높은 위치에는 단순한 구조로 마련되어 랙(111)의 축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부시(114)가 설치되고, 하중 분포가 비교적 낮은 위치에는 동력을 전달하는 볼스크류(150)와 볼너트(160)가 설치되어 원활한 동력전달 및 이들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볼스크류(150)를 랙(111)의 중간측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랙(111)의 일단측으로부터 중간측까지 볼스크류(150)를 가공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볼너트(160)가 실제로 작동하는 구간보다 랙(111)에 형성된 볼스크류(150) 구간이 너무 길게 형성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랙(111)의 일단측을 언더컷 가공하여 중간측에 비해 축소된 지름을 가지는 단차부(151)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로써, 단차부(151)가 형성되지 않은 랙(111)의 중간측과 인접한 부분 부터 볼스크류(150)를 형성할 수 있어 볼스크류(150)의 길이를 필요한 만큼(볼너트 작동구간)만 조절하여 가공할 수 있게 되므로 볼스크류 가공에 드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랙하우징(110)의 양단에는 이너볼조인트(131)와 밀착되어 랙(111)의 이동을 제한하는 랙스톱퍼(170)가 마련되는데, 단차부(151)측으로 마련된 랙스톱퍼(170)는 그 내측에 설치된 부시(114)와 밀착되어 이의 지지를 받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볼스크류(150)는 랙스톱퍼(170)와 이격되고, 종래의 볼스크류가 설치되던 위치에는 단차부(151)가 형성되므로 볼스크류(150)와 랙스톱퍼(170) 사이의 간섭(랙의 처짐에 의한 랙스톱퍼와 볼스크류의 접촉 및 랙스톱퍼에 볼스크류가 단속적으로 걸리는 것)으로 인한 이상 마모 및 뜯김 등이 방지되고, 랙스톱퍼(170)가 부시(114)에 의해 지지되어 처짐이 억제되며, 랙스톱퍼(170)와 단차부(151)의 간섭시에도 단속적으로 걸리지 않아 이상 마모가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션(100)과 인접한 차량의 엔진(미도시)으로부터 발생된 배기열이 배기관(101)을 통해 랙하우징(110)의 중간측을 통과하여 그 후방측으로 연장되는데, 이러한 열원으로부터 모터(140)의 커넥터(145)와 센서(146)를 보호할 수 있도록 모터(140)의 커넥터(145)와 센서(146)는 열원으로부터 멀리 이격되도록 랙(111)과 모터(140)의 일단측으로 배치된다.
즉, 모터(140)의 타단측(랙의 중간측)에 볼스크류(150)와 볼너트(160) 및 모터샤프트(144)가 배치되므로, 모터(140)의 커넥터(145)와 센서(146)는 자연스럽게 모터(140)의 일단측(랙의 일단측)에 배치되어 열원으로부터 보호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은,커넥터(145)를 통해 모터(140)에 전원이 공급되면 모터샤프트(144)가 회전하게되어, 모터샤프트(144)의 선단에 고정 설치된 볼너트(160)가 이와 함께 연동하게 된다.
그리고, 볼너트(160)의 회전으로 인해 볼스크류(150)와의 사이에 설치된 볼(161)이 구름운동하여 볼너트(160)의 회전력을 랙(111)의 축방향 이동력을 전환시키게되고, 이로 인해 배력이 발생되어 랙(111)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은, 랙의 중간측에 볼스크류가 형성됨으로 인해 볼스크류와 볼너트에 가해지는 하중이 줄어 이들의 동작이 원활해지고, 볼너트와 볼스크류 사이의 진동과 소음을 방지함과 더불어 이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랙스톱퍼의 내부에 삽입되는 단차부가 단순한 평면으로 마련되어 랙스톱퍼의 내부면과 단차부의 외부 사이의 간섭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이상 마모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볼스크류가 볼너트가 실제로 작동하는 구간에만 형성되므로, 복잡한 공정과 가공으로 마련되는 볼스크류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고,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 및 모터의 센서가 열원인 배기관으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설치되므로, 이들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중공의 랙하우징과 연통되도록 마련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그 내부에 설치된 모터샤프트와, 상기 랙하우징 및 모터의 외부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모터샤프트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랙과, 상기 랙의 양단측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서포트요크 및 부시와, 상기 서포트요크와 부시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랙 외주면에 형성된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를 축방향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모터샤프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볼너트가 구비된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랙의 일단측에는 상기 볼스크류의 가공 구간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지름을 축소한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는 상기 랙바의 처짐량이 가장 많이 발생되는 상기 단차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설치되는 커넥터 및 센서는 차량의 열원으로부터 멀리 이격되도록 상기 랙의 일단측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KR1020020013807A 2002-03-14 2002-03-14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816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807A KR100816418B1 (ko) 2002-03-14 2002-03-14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US10/385,292 US6848536B2 (en) 2002-03-14 2003-03-10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EP03005638A EP1344709B1 (en) 2002-03-14 2003-03-12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DE60325796T DE60325796D1 (de) 2002-03-14 2003-03-12 Elektrische Zahnstangen-Hilfskraftlenkung
JP2003067694A JP2003267238A (ja) 2002-03-14 2003-03-13 ラック駆動式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CN03120438A CN1445126A (zh) 2002-03-14 2003-03-14 齿条辅助类型的电力转向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807A KR100816418B1 (ko) 2002-03-14 2002-03-14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986A true KR20030073986A (ko) 2003-09-19
KR100816418B1 KR100816418B1 (ko) 2008-03-27

Family

ID=2776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80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6418B1 (ko) 2002-03-14 2002-03-14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48536B2 (ko)
EP (1) EP1344709B1 (ko)
JP (1) JP2003267238A (ko)
KR (1) KR100816418B1 (ko)
CN (1) CN1445126A (ko)
DE (1) DE6032579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2163B2 (ja) * 2002-04-04 2007-07-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4352050A (ja) * 2003-05-28 2004-12-16 Koyo Seiko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4353835A (ja) * 2003-05-30 2004-12-16 Koyo Seiko Co Ltd ボールねじおよびこれを用いる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7475755B2 (en) 2003-11-18 2009-01-13 Jtekt Corporatio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FR2862939B1 (fr) * 2003-12-02 2007-05-25 Renault Sas Actionneur pour essieu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moteur electrique a rotor exterieur et essieu de vehicule automobile commande par un tel actionneur
ATE479225T1 (de) * 2004-03-31 2010-09-15 Danaher Motion Stockholm Ab Elektrisches betätigungsglied
US7389709B2 (en) 2004-06-30 2008-06-24 Moog Inc. Reverse transfer system ball-screw, and electro-mechanical actuator employing same
EP1892172B1 (en) * 2006-08-21 2009-09-16 JTEKT Corporation Steering apparatus
US7828110B2 (en) * 2007-09-21 2010-11-09 Kwang Yang Motor Co., Ltd. Constraint mechanism for steering device of four-wheeled vehicle
DE102008000213A1 (de) * 2008-02-01 2009-08-06 Zf Lenksysteme Gmbh Elektrische Servolenkung
DE102008050093A1 (de) * 2008-10-06 2010-04-08 Thyssenkrupp Presta Ag Anschlagdämpfer für eine Zahnstangenlenkung
JP5499527B2 (ja) * 2009-02-13 2014-05-2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ボール螺子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01590874B (zh) * 2009-06-26 2012-09-05 株洲时代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电动助力转向装置
FR2967124B1 (fr) * 2010-11-10 2012-11-09 Jtekt Europe Sas Carter de direction de vehicule automobile a section variable
CN102013756B (zh) * 2010-12-02 2013-11-06 浙江胜华波电器股份有限公司 三支承电机
JP5466185B2 (ja) * 2011-02-08 2014-04-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後輪操舵装置
KR101271294B1 (ko) * 2011-06-20 2013-06-04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CN102501896B (zh) * 2011-11-23 2013-09-04 纪国庆 一种汽车磁性助力转向器
JP5982313B2 (ja) * 2013-03-25 2016-08-3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減速装置
DE102013105510A1 (de) 2013-05-29 2014-12-04 Zf Lenksysteme Gmbh Lenk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102092303B1 (ko) * 2013-11-08 2020-03-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랙 어시스트식 전동 조향장치
US9487231B2 (en) * 2013-11-26 2016-11-08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Tie rod force sensing systems and methods
CN105644617B (zh) * 2014-11-10 2018-02-23 联创汽车电子有限公司 齿条末端保护方法
KR101658313B1 (ko) * 2015-05-19 2016-09-20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장치
DE102015217051A1 (de) * 2015-09-07 2017-03-0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Nutzfahrzeuglenkung
DE102015118292B4 (de) 2015-10-27 2025-01-23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Lenkgetriebe für ein Fahrzeug, Fahrzeug, Verfahren zum Ansteuern eines Lenkgetriebes und Verfahren zum Lenken eines Fahrzeugs
JP2017109654A (ja) * 2015-12-17 2017-06-2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372388B1 (ko) * 2016-01-12 2022-03-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조향 장치의 제어 방법
CN106428189A (zh) * 2016-11-30 2017-02-22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电动助力转向系统的齿条、电动助力转向系统和车辆
CN106891987A (zh) * 2017-03-14 2017-06-27 辽宁工业大学 电动汽车电动助力转向装置及控制方法
CN107855840B (zh) * 2017-10-30 2024-09-24 贵州润柏吉科技有限公司 太阳能路灯灯杆打磨设备
CN111332359A (zh) * 2018-12-19 2020-06-26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转向器
CN110615031A (zh) * 2019-09-05 2019-12-27 太原理工大学 电动助力转向器
KR102694031B1 (ko) * 2020-02-12 2024-08-12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CN112590920A (zh) * 2020-12-23 2021-04-02 昌辉汽车转向系统(黄山)有限公司 一种车用双齿轮式电动助力转向系统及汽车
CN115140160A (zh) * 2022-06-29 2022-10-04 采埃孚合力传动技术(合肥)有限公司 一种适用于叉车使用的电驱动转向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5054A (en) * 1982-08-05 1983-11-15 Trw Inc. Steering gear
US4773497A (en) * 1986-05-08 1988-09-27 Trw Inc. Floating ball-nut for an electric assist steering system
US5150933A (en) * 1991-10-29 1992-09-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Latch having torsion spring leg and leaf spring leg
JPH05147542A (ja) * 1991-11-29 1993-06-15 Nippon Seiko Kk 電気式動力舵取装置
JP2600108Y2 (ja) * 1993-06-02 1999-10-04 光洋精工株式会社 ラックピニオン式油圧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5555951A (en) * 1993-09-24 1996-09-1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ically operated power steering apparatus with improved housing assembly
JP3779743B2 (ja) * 1995-02-06 2006-05-31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095124B2 (ja) * 1996-06-19 2008-06-0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1111333A (ja) * 1997-06-25 1999-01-19 Honda Motor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176345B2 (ja) * 1998-10-21 2001-06-18 米沢日本電気株式会社 ノート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用ポートリプリケータ解除機構のストッパの動作不能の防止機構
JP3844943B2 (ja) * 2000-04-03 2006-11-15 Ntn株式会社 ボールねじおよびそれを具備する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WO2002008047A1 (fr) * 2000-07-21 2002-01-31 Nsk Ltd. Dispositif motorise a direction assistee
JP2002096747A (ja) * 2000-09-25 2002-04-02 Mitsuba Corp 電動操舵装置
TW543909U (en) * 2001-12-04 2003-07-21 Lite On It Corp Locking device for cover of compact disk drive
CN1226732C (zh) * 2002-03-29 2005-11-09 提阿克股份有限公司 光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44709A1 (en) 2003-09-17
EP1344709B1 (en) 2009-01-14
KR100816418B1 (ko) 2008-03-27
US20030178244A1 (en) 2003-09-25
JP2003267238A (ja) 2003-09-25
CN1445126A (zh) 2003-10-01
DE60325796D1 (de) 2009-03-05
US6848536B2 (en) 2005-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418B1 (ko) 랙 구동식 전동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KR100875004B1 (ko) 인휠 모터 장착 구조체
KR20070091224A (ko)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JPH08301130A (ja) 電動操舵アクチュエータ
WO2007069575A1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5326765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12139210B2 (en) Bearing assembly
CN102713317B (zh) 用于驱动单元的轴承装置和具有轴承装置的调节驱动装置
EP1266817A2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6237713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unit
KR100467343B1 (ko) 차량용 전동 파워스티어링장치
KR100746687B1 (ko) 차량용 전동 파워스티어링장치
KR101926874B1 (ko) 모터용 베어링 지지기구
JP5016237B2 (ja) 電動モータ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726588B1 (ko) 랙 어시스트 타입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조립 공차유격 제거 구조
KR101865948B1 (ko) 전기자동차의 구동모터
KR101080494B1 (ko) 브러시형 직류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조향장치
JP6575751B2 (ja) 車両の後輪操舵装置
CN110582652A (zh) 固定轴承、转向传动机构和转向系统
KR20040068650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웜축 유격흡수구조
KR100754495B1 (ko) 전동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모터장치
KR200147889Y1 (ko) 조향장치 피트먼암 체결구조
CN220754500U (zh) 一种电机的减振结构
JP3982294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6218922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3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2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03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