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60326A -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0326A
KR20030060326A KR1020020000987A KR20020000987A KR20030060326A KR 20030060326 A KR20030060326 A KR 20030060326A KR 1020020000987 A KR1020020000987 A KR 1020020000987A KR 20020000987 A KR20020000987 A KR 20020000987A KR 20030060326 A KR20030060326 A KR 20030060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tilt
magnet
bobbi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0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8443B1 (ko
Inventor
장대종
정덕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0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443B1/ko
Priority to MYPI20024801A priority patent/MY137484A/en
Priority to TW091136788A priority patent/TWI247296B/zh
Priority to CNB031001580A priority patent/CN1194342C/zh
Priority to GB0300168A priority patent/GB2384906B/en
Priority to NL1022322A priority patent/NL1022322C2/nl
Priority to HU0300016A priority patent/HUP0300016A2/hu
Priority to US10/337,888 priority patent/US7006307B2/en
Priority to JP2003002569A priority patent/JP3678729B2/ja
Priority to CNA038044080A priority patent/CN1639780A/zh
Publication of KR20030060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443B1/ko
Priority to US11/245,191 priority patent/US7369335B2/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3Details of stationary pa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5Details of the moving pa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tilt, skew, warp or inclination of the disc, i.e. maintain the optical axis at right angles to the dis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대물렌즈가 탑재되는 보빈과, 보빈이 베이스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일단이 보빈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베이스 상의 일측에 마련된 홀더에 고정되는 지지부재와, 보빈의 양측면 및 베이스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자기 회로를 포함하며, 자기 회로는, 보빈을 트랙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트랙 코일과, 보빈을 포커스 방향을 포함하여 포커스 방향 및 틸트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포커스/틸트 코일과, 복수의 포커스/틸트 코일 및 트랙 코일과 대향되게 위치되며, 상기 보빈을 포커스 방향을 포함하여, 포커스 방향 및 틸트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으로 구동 및 트랙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분극 구조를 갖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기 회로가 분극 구조가 개선된 자석, 단일의 트랙 코일, 복수의 포커스/트랙 코일을 포함하므로, 원하는 트랙킹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박형화가 가능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광픽업용 액츄에이터{Actuator used for optical pickup}
본 발명은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킹 구동의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박형화가 가능한 개선된 구조의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은 광기록/재생장치에 채용되어 기록매체인 광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비접촉식으로 광디스크에 대해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광픽업은 광원에서 출사된 광이 광디스크 상의 올바른 위치에 광스폿으로 형성되도록, 대물렌즈를 트랙 방향, 포커스 방향 및/또는 틸트 방향으로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를 필요로 한다. 여기서, 트랙 방향 구동은 광스폿이 트랙 중심에 형성될 수 있도록, 대물렌즈를 광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인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는 베이스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 보빈과, 상기 보빈이 상기 베이스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서스펜션과, 상기 보빈 및 베이스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자기 회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는 트랙 방향과 포커스 방향 구동 즉, 2축 구동이 기본이다. 또한, 광기록재생장치는 고밀도화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점점 소형화,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이다.
고밀도화를 위해서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기존의 2축 구동에서 벗어나 틸트 방향 구동을 포함하는 3축, 4축 구동을 필요로 한다. 즉, 근래에는 고밀도화를 위해 대물렌즈의 개구수가 증가하고 광원의 파장의 짧아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틸트 마진이 감소됨에 따라, 기존의 2축 구동에 부가하여 틸트 방향 구동까지 가능한 3축 구동 또는 4축 구동 광픽업 액츄에이터가 요구되고 있다. 3축 구동은, 포커스 방향, 트랙 방향 및 래디얼 틸트 방향 구동을 의미하며, 4축 구동은 포커스 방향, 트랙 방향, 래디얼 틸트 방향 및 탄젠셜 틸트 방향 구동을 의미한다.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를 2축, 3축 또는 4축 구동할 수 있는지 여부는, 자기 회로 구성에 의해 정해진다.
또한, 소형화를 위해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크기 특히, 높이부분의 크기의 축소가 요구되어진다.
도 1은 종래의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에 채용되는 자기 회로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자기 회로를 적용하면, 3축 구동이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자기 회로는 전체가 4분면으로 나누어져 N극과 S극이 적절하게 분배된 4분극 자석(1), 제1 및 제2포커스 코일(3)(5) 및 제1 및 제2트랙 코일(7)(9)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포커스 코일(3)(5), 제1 및 제2트랙 코일(7)(9)은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가동부 즉, 보빈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4분극 자석(1)은 상기 포커스 및 트랙 코일(7)(9)에 대향되게 베이스에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y-z 좌표 평면에서, 제1 내지 제4사분면에 대응되는 상기 자석(1)의 제1 내지 제4분극(1a)(1b)(1c)(1d)이 각각, N극, S극, N극, S극이라 할 때, 제1포커스 코일(3)은 제1 및 제4분극(1a)(1d), 제2포커스 코일(5)은 제2 및 제3분극(1b)(1c)에 걸쳐 배치된다. 그리고, 제1트랙 코일(7)은 제1 및 제2분극(1a)(1b), 제2트랙 코일(9)은 제3 및 제4분극(1c)(1d)에 걸쳐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기 회로를 이용하면,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가동부를 다음과 같이 포커스 방향, 트랙 방향 및 틸트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포커스 코일(3)(5)에 반시계, 시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때, 제1 및 제2포커스 코일(3)(5)은 +포커스 방향(z축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그리고, 제1 및 제2포커스 코일(3)(5)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반대로 되면, 제1 및 제2포커스 코일(3)(5)은 -포커스 방향(-z축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따라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가동부에 탑재된 대물렌즈를 포커스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포커스 코일(3)(5)에 동일한 방향(시계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면, 제1포커스 코일(3)(5)은 예컨대, +포커스 방향(z축 방향), 제2포커스 코일(3)(5)은 예컨대, -포커스 방향(-z축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그리고, 제1 및 제2포커스 코일(3)(5)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각각 반대로 바뀌면, 제1 및 제2포커스 코일(3)(5)은 상기와 반대로 힘을 받는다. 따라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가동부는 틸트 방향 예컨대, 래디얼 틸트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어, 가동부에 탑재된대물렌즈의 틸트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및 제2트랙 코일(7)(9)에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제1 및 제2트랙 코일(7)(9)은 왼쪽 방향(-y축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제1 및 제2트랙 코일(7)(9)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각각 반대로 바뀌면, 제1 및 제2트랙 코일(7)(9)은 오른쪽 방향(y축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따라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가동부는 트랙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어, 가동부에 탑재되어 있는 대물렌즈가 트랙을 올바르게 추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기 회로 한쌍을 액츄에이터의 가동부 양쪽에 설치하면, 포커스, 트랙 및 래디얼 틸트 방향으로 3축 구동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자기 회로는, 3축 구동을 위한 자석(1)의 분극 배치에 기인하여, 포커스 방향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트랙 코일(7)(9)을 구비하며, 제1 및 제2트랙 코일(7)(9) 사이에 어느 정도 이격 거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트랙 코일(7)(9)의 트랙 방향 구동에 기여하는 부분(도 1에 빗금으로 표시된 부분)의 유효 코일 길이가 짧아, 트랙킹 성능을 확보하려면 박형화(높이 부분 크기 축소)가 곤란하고, 박형화하면 트랙킹 성능이 많이 저하되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트랙킹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박형화할 수 있도록 자기 회로의 구조가 개선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에 채용되는 자기 회로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회로를 채용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보인 부분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회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회로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가동부를 트랙 방향으로 구동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회로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가동부를 포커스 방향으로 구동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회로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가동부를 래디얼 틸트 방향으로 구동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회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베이스 14...대물렌즈
15...보빈 16...지지부재
21...내측 외크 23...외측 요크
30,50...자기 회로 31,51...자석
31a,31b,31c,31d,51a,51b,51c,51d...자석부
32...트랙 코일 33,34,35,36...포커스/틸트 코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는, 대물렌즈가 탑재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이 베이스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보빈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 상의 일측에 마련된 홀더에 고정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보빈의 양측면 및 베이스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자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 회로는, 상기 보빈을 트랙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트랙 코일과; 상기 보빈을 포커스 방향을 포함하여, 상기 포커스 방향 및 틸트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포커스/틸트 코일과; 상기 복수의 포커스/틸트 코일 및 트랙 코일과 대향되게 위치되며, 상기 보빈을 포커스 방향을 포함하여, 상기 포커스 방향 및 틸트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으로 구동 및 트랙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분극 구조를 갖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은, 일렬로 배치되고, 반대의 분극 배열을 갖는 제1 및 제2자석부와; 상기 제1 및 제2자석부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감싸지는 구조이고, 상기 제1 및 제2자석부와는 각각 반대의 분극 배열을 갖는 제3 및 제4자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랙 코일은, 상기 제1 및 제2자석부에 걸쳐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포커스/틸트 코일은, 상기 제1 및 제2자석부에 걸쳐 위치되는 제1포커스/틸트 코일과; 상기 제2 및 제4자석부에 걸쳐 위치되는 제2포커스/틸트 코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3 및 제4자석부는 각각 포커스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제1 및 제2자석부의 중간에 위치되고, 상기 제1포커스/틸트 코일은 상기 제1 및 제2자석부에 걸쳐 포커스 방향으로 배치된 한쌍의 포커스/틸트 코일을포함하고, 상기 제2포커스/틸트 코일은 상기 제2 및 제4자석부에 걸쳐 포커스 방향으로 배치된 한쌍의 포커스/틸트 코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 및 제4자석부의 적어도 세 변은 제1 및 제2자석부와 마주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3 및 제4자석부는 각각 포커스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자석부의 일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3 및 제4자석부의 적어도 두 변은 제1 및 제2자석부와 마주한다.
상기 자석은 4분극의 면분극 자석이거나, 한쌍의 2분극의 면분극 자석이 세트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자기 회로 중 적어도 일 자기 회로의 포커스/틸트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보빈을 래디얼 틸트 방향 및 탄젠셜 틸트 방향 중 적어도 일 틸트 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커스/틸트 코일 및 트랙 코일 중 적어도 하나는 미세 유형 코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보빈의 자기 회로가 배치되는 측면과는 다른 측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회로를 채용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보인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에서, F는 포커스 방향, T는 트랙 방향(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경 방향에 대응), Tr은 래디얼 틸트 방향, Tt는 탄젠셜 틸트 방향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는, 베이스(10)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되며 대물렌즈(14)가 탑재되는 보빈(15)과, 상기 보빈(15)이 베이스(10)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일단이 보빈(15)의 측면(15c)(15d)에 고정되고 타단이 베이스(10) 상의 일측에 마련된 홀더(12)에 고정되는 지지부재(16)와, 상기 보빈(15)의 양측면(15a)(15b) 및 베이스(10)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자기 회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는,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자기 회로(30)의 자석(31)에서 발생된 자속을 가이드하기 위해 자석(31)이 고정 설치되는 외측 요크(21) 및 그 내측 요크(23)를 더 구비하거나, 외측 요크(21) 및 내측 요크(23) 중 어느 한가지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16)는 보빈(15)의 자기 회로(30)가 배치되는 측면(15a)(15b)과는 다른 측면(15c)(15d)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와이어 및 판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자기 회로(30)는, 보빈(15)을 트랙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트랙 코일(32)과, 보빈(15)을 포커스 방향을 포함하여 포커스 방향 및 틸트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포커스/틸트 코일(33)(34)(35)(36)과, 상기 복수의 포커스/틸트 코일(33)(34)(35)(36) 및 트랙 코일(32)과 대향되게 위치되는 자석(31)을 포함한다.
상기 자석(31)은 상기 포커스/틸트 코일(33)(34)(35)(36) 및 트랙 코일(32)과 상호 작용하여, 포커스 방향을 포함하여 포커스 방향 및 틸트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 및 트랙 방향으로 보빈(15)을 구동할 수 있도록 된 분극 구조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에서 자기 회로(30)만을 발췌하여, 자석(31) 상에 코일부분을 사영시켜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자석(31)은 일렬로 배치되고 반대의 분극 배열을 갖는 제1 및 제2자석부(31a)(31b)와, 상기 제1 및 제2자석부(31a)(31b)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감싸지는 구조이고 상기 제1 및 제2자석부(31a)(31b)와는 각각 반대의 분극 배열을 갖는 제3 및 제4자석부(31c)(31d)를 구비한다. 도 3에는, 지면 상에서 상기 자석(31)의 제1 내지 제4자석부(31a)(31b)(31c)(31d)가 각각 N극, S극, S극, N극의 분극을 가지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자석부(31a)(31b)(31c)(31d)의 저면은 도면에 표시한 분극과 반대의 분극을 가진다.
자석(31)이 상기와 같은 분극 구조를 가질 때, 상기 트랙 코일(32)은 제1 및 제2자석부(31a)(31b)에 걸치도록 위치된다. 또한, 복수의 포커스/틸트 코일(33)(34)(35)(36)은 제1 및 제2자석부(31a)(31c)에 걸치도록 위치되는 제1포커스/틸트 코일(33)(34)과, 제2 및 제4자석부(31b)(31d)에 걸치도록 위치되는 제2포커스/틸트 코일(35)(36)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회로(30)를 보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자석(31)은 상기 제3 및 제4자석부(31c)(31d)가 각각 상기 제1 및제2자석부(31a)(31b)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자석부(31a)(31b)의 중간에 위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석(31)은 제3 및 제4자석부(31c)(31d)의 적어도 세 변이 제1 및 제2자석부(31a)(31b)와 마주하는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31)은 제3 및 제4자석부(31c)(31d)의 세 변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자석부(31a)(31b)와 마주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자석(31)의 구조는 제3 및 제4자석부(31c)(31d)의 적어도 세 변이 제1 및 제2자석부(31a)(31b)와 마주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석(31)은 상기 제3 및 제4자석부(31c)(31d)가 제1 및 제2자석부(31a)(31b) 내측에 위치되어, 제3 및 제4자석부(31c)(31d)의 네 변 모두가 제1 및 제2자석부(31a)(31b)와 마주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자석(31)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극 구조를 가질 때, 상기 제1포커스/틸트 코일(33)(34)은 포커스 방향으로 한 쌍이 구비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2포커스/틸트 코일(35)(36)은 포커스 방향으로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회로(30)는, 상기 자석(31)으로 도 3 및 후술하는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은 분극 구조를 갖는 4극 착자된 면분극 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대안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회로(30)의 자석(31)은, 한쌍의 2극 착자된 면분극 자석이 세트로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석(31)으로 제1및 제2자석부(31a)(31c)를 구비하는 구조의 2극 착자된 면분극 자석과, 제2 및 제4자석부(31b)(31d)를 구비하는 구조의 2극 착자된 면분극 자석 세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자석(31)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면분극 자석을 구비하면, 공극자속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대안으로, 상기 자석(31)은, 가공된 자석을 도 3 및 후술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극 구조로 배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회로(30)의 포커스/틸트 코일(33)(34)(35)(36) 및 트랙 코일(32) 중 적어도 하나는 미세 유형 코일(fine pattern coil)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 유형 코일은 필름 상에 코일 형태를 패터닝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두께가 얇아 액츄에이터의 가동부의 무게를 줄이고 액츄에이터를 컴팩트화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상기 제1 및 제2포커스/틸트 코일(35)(36) 및 트랙 코일(32)이 단일 필름 상에 미세 유형 코일 형태로 형성된 예를 보여준다.
대안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회로(30)는 포커스/틸트 코일(33)(34)(35)(36) 및/또는 트랙 코일(32)로 구리선을 감아서 만든 벌크 타입의 코일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회로(30)를 구비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는, 가동부의 보빈(15)에 탑재되는 대물렌즈(14)를 다음과 같이 트랙 방향, 포커스 방향을 포함하여 포커스 방향 및 틸트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으로 구동한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F(트랙 방향-포커스 방향) 좌표 평면에서 자석(31)의 제1 내지 제4자석부(31a)(31b)(31c)(31d)의 분극이 각각 N극, S극, S극, N극이고, 트랙 코일(32), 제1 및 제2포커스/틸트 코일(33)(34)(35)(36)이 액츄에이터의 가동부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회로(30)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가동부를 트랙 방향으로 구동하는 원리를 보여준다.
도 4a에 보여진 바와 같이, 트랙 코일(32)에 반 시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트랙 코일(32)에는 오른쪽(+T 방향)으로 자기력(Ft)이 작용한다. 반대로, 도 4b에 보여진 바와 같이, 트랙 코일(32)에 시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트랙 코일(32)에는 왼쪽(-T 방향)으로 자기력(Ft)이 작용한다.
이와 같이, 트랙 코일(32)에 전류가 인가되는 방향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가동부에는 좌,우로 자기력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 가동부는 트랙 방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트랙 코일(32)에 전류를 인가하는 방향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가동부에 탑재되는 대물렌즈(14)가, 올바른 트랙 위치(트랙 중심)를 추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의 자기 회로(30)는 단일 트랙 코일(32)을 구비하므로, 도 4a 및 도 4b에 빗금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포커스 방향으로 2개의 트랙 코일을 배치한 구조에 비해, 트랙 방향으로의 구동에 기여하는 트랙 코일(32)의 유효 코일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트랙킹성능을 확보하면서, 액츄에이터의 높이부분 크기를 줄여 액츄에이터를 박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회로(30)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가동부를 포커스 방향으로 구동하는 원리를 보여준다.
도 5a에 보여진 바와 같이, 높이 방향으로 상방에 위치된 제1포커스/틸트 코일(33)에 시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하방에 위치된 제1포커스/틸트 코일(34)에 반 시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고 하자. 또한, 높이 방향으로 상방에 위치된 제2포커스/틸트 코일(35)에 반 시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하방에 위치된 제2포커스/틸트 코일(36)에 시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고 하자. 그러면, 한쌍의 제1포커스/틸트 코일(33)(34)과 한쌍의 제2포커스/틸트 코일(35)(36)에는 모두 하방으로 자기력(Ff)이 작용한다. 또한, 도 5b에 보여진 바와 같이, 한쌍의 제1포커스/틸트 코일(33)(34)과 한쌍의 제2포커스/틸트 코일(35)(36)에 도 5a의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한쌍의 제1포커스/틸트 코일(33)(34)과 한쌍의 제2포커스/틸트 코일(35)(36)에는 모두 상방으로 자기력(Ff)이 작용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포커스/틸트 코일(35)(36)에 전류가 인가되는 방향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가동부에는 상,하방으로 자기력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 상기 가동부는 포커스 방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제1 및 제2포커스/틸트 코일(35)(36)에 전류를 인가하는 방향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가동부에 탑재되는 대물렌즈(14)의 포커스 방향을 따른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회로(30)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가동부를 래디얼 틸트 방향으로 구동하는 원리를 보여준다. 래디얼 틸트 방향 구동시에는, 일 자기 회로(30)내의 제1 및 제2포커스/틸트 코일(33)(34)(35)(36)에 비동기신호를 입력한다.
도 6a에 보여진 바와 같이, 포커스 방향으로 상방에 위치된 제1 및 제2포커스/틸트 코일(33)(35)에 시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하방에 위치된 제1 및 제2포커스/틸트 코일(34)(36)에 반 시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른다고 하자. 그러면, 한쌍의 제1포커스/틸트 코일(33)(34)에는 하방으로 자기력(Frt)이 작용하고, 한쌍의 제2포커스/틸트 코일(35)(36)에는 상방으로 자기력(Frt)이 작용한다. 또한, 도 6b에 보여진 바와 같이, 한쌍의 제1포커스/틸트 코일(33)(34)과 한쌍의 제2포커스/틸트 코일(35)(36)에 도 6a의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한쌍의 제1포커스/틸트 코일(33)(34)에는 상방으로 자기력(Frt)이 작용하고, 한쌍의 제2포커스/틸트 코일(35)(36)에는 하방으로 자기력(Frt)이 작용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포커스/틸트 코일(33)(34)(35)(36)에 전류가 인가되는 방향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가동부의 래디얼 방향을 따른 일측은 상방, 다른측은 하방으로 자기력(Frt)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 상기 가동부는 래디얼 틸트 방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제1 및 제2포커스/틸트 코일(33)(34)(35)(36)에 전류를 인가하는 방향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가동부에 탑재되는 대물렌즈(14)의 상대적인 래디얼 틸트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a 및 도 5b, 도 6a 및 도 6b에서 제1 및 제2포커스/틸트 코일(33)(34)(35)(36)의 빗금친 부분은, 자기력 발생에 기여하는 유효코일부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회로(30)를 구비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는 가동부의 3축 구동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에는 자기 회로(30)가 한쌍이 구비되기 때문에, 보빈(15)의 일 측면(15a)쪽에 배치되는 자기 회로(30)는 도 5a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자기력이 작용하고, 보빈(15)의 반대 측면(15b)쪽에 배치되는 자기 회로(40)는 도 5b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자기력이 작용하도록 비동기신호를 입력하여 구동하면, 가동부를 탄젠셜 틸트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한쌍의 자기 회로(30)의 제1 및 제2포커스/틸트 코일(33)(34)(35)(36)에 인가되는 전류를 상기와 같이 제어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로 가동부를 4축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도 2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자기 회로(30)의 코일부분이 가동부 즉, 보빈(15)에 설치되고, 자기 회로(30)의 자석 부분이 베이스(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 일뿐, 자기 회로(30)의 코일 부분과 자석 부분의 설치 위치가 반대로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는 도 2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기 회로(30)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는 도 3 내지 도 6b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회로(30) 대신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회로(5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회로(50)에 있어서, 자석(51)은 제3 및 제4자석부(51c)(51d) 각각이 제1 및 제2자석부(51a)(51b)의 포커스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자석부(51a)(51b)의 일측에 위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자석(51)은 제3 및 제4자석부(51c)(51d)의 두 변이 제1 및 제2자석부(51a)(51b)와 마주한다.
도 7에서는 상기 제3자석부(51c)가 포커스 방향으로 하방, 제4자석부(51d)가 포커스 방향으로 상방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3 및 제4자석부(51c)(51d)의 위치가 반대로 되거나, 제3 및 제4자석부(51c)(51d)가 모두 높이 방향으로 상방 또는 하방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자석(51)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극 구조를 가지는 경우, 제1 및 제2포커스/틸트 코일(53)(55)은 각각 1개씩 구비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회로(50)를 구비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는, 앞선 실시예의 자기 회로(30)를 구비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3축 구동 또는 4축 구동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회로(50)를 구비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에서의 3축 또는 4축 구동에 대해서는, 앞선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동원리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 회로(30)(50)의 자석(31)(51)의 제1 내지 제4자석부가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 회로(30)(50)의 자석(31)(51)의 제1 내지 제4자석부 사이가 소정 간격 이격된 구조로 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계에 의해 높이 제한이 요구되어지는 경우에도 감도(특히, 트랙 방향 구동의 감도)의 큰 손실없이 틸트 구동이 가능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는, 예컨대, DVD-RAM 또는 DVD-RAM 및 CD 패밀리등을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광기록재생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틸트 방향의 구동을 하지 않고, 광학계의 높이 제한이 요구되어지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는, CD 및 DVD 호환형이나, CD-RW, DVD-ROM 등을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광기록재생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분극 구조가 개선된 자석, 단일의 트랙 코일, 복수의 포커스/트랙 코일을 포함하는 자기 회로에 의해, 원하는 트랙킹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박형화가 가능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용 액츄에이터는, 자기 회로에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함에 의해, 2축, 3축 또는 4축 구동을 할 수 있다.

Claims (13)

  1. 대물렌즈가 탑재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이 베이스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일단이 상기 보빈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 상의 일측에 마련된 홀더에 고정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보빈의 양측면 및 베이스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자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 회로는,
    상기 보빈을 트랙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트랙 코일과;
    상기 보빈을 포커스 방향을 포함하여, 상기 포커스 방향 및 틸트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포커스/틸트 코일과;
    상기 복수의 포커스/틸트 코일 및 트랙 코일과 대향되게 위치되며, 상기 보빈을 포커스 방향을 포함하여, 상기 포커스 방향 및 틸트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으로 구동 및 트랙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분극 구조를 갖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일렬로 배치되고, 반대의 분극 배열을 갖는 제1 및 제2자석부와; 상기 제1 및 제2자석부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감싸지는 구조이고, 상기 제1 및 제2자석부와는 각각 반대의 분극 배열을 갖는 제3 및 제4자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랙 코일은, 상기 제1 및 제2자석부에 걸쳐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포커스/틸트 코일은,
    상기 제1 및 제2자석부에 걸쳐 위치되는 제1포커스/틸트 코일과; 상기 제2 및 제4자석부에 걸쳐 위치되는 제2포커스/틸트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자석부는 각각 포커스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제1 및 제2자석부의 중간에 위치되고,
    상기 제1포커스/틸트 코일은 상기 제1 및 제2자석부에 걸쳐 포커스 방향으로 배치된 한쌍의 포커스/틸트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포커스/틸트 코일은 상기 제2 및 제4자석부에 걸쳐 포커스 방향으로 배치된 한쌍의 포커스/틸트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자석부는 각각 포커스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자석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자석부의 적어도 세 변은 제1 및 제2자석부와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자석부의 적어도 두 변은 제1 및 제2자석부와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4분극의 면분극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한쌍의 2분극의 면분극 자석이 세트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자기 회로 중 적어도 일 자기 회로의 포커스/틸트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보빈을 래디얼 틸트 방향 및 탄젠셜 틸트 방향 중 적어도 일 틸트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틸트 코일 및 트랙 코일 중 적어도 하나는 미세 유형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보빈의 자기 회로가 배치되는 측면과는 다른 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와이어 및 판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틸트 코일 및 트랙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 및 상기 자석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보빈의 측면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KR10-2002-0000987A 2002-01-08 2002-01-08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498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987A KR100498443B1 (ko) 2002-01-08 2002-01-08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MYPI20024801A MY137484A (en) 2002-01-08 2002-12-19 Optical pickup actuator
TW091136788A TWI247296B (en) 2002-01-08 2002-12-20 Optical pickup actuator
CNB031001580A CN1194342C (zh) 2002-01-08 2003-01-03 光学拾取器致动器
GB0300168A GB2384906B (en) 2002-01-08 2003-01-06 Optical pickup actuator
HU0300016A HUP0300016A2 (hu) 2002-01-08 2003-01-07 Optikai fejmozgató eszköz
NL1022322A NL1022322C2 (nl) 2002-01-08 2003-01-07 Actuator voor een optische aftaster.
US10/337,888 US7006307B2 (en) 2002-01-08 2003-01-08 Optical pickup actuator
JP2003002569A JP3678729B2 (ja) 2002-01-08 2003-01-08 光ピックアップ用アクチュエータ
CNA038044080A CN1639780A (zh) 2002-01-08 2003-02-20 能补偿光学记录介质的厚度偏差的光学拾取设备
US11/245,191 US7369335B2 (en) 2002-01-08 2005-10-07 Optical pickup actu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987A KR100498443B1 (ko) 2002-01-08 2002-01-08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326A true KR20030060326A (ko) 2003-07-16
KR100498443B1 KR100498443B1 (ko) 2005-07-01

Family

ID=19718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987A Expired - Fee Related KR100498443B1 (ko) 2002-01-08 2002-01-08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7006307B2 (ko)
JP (1) JP3678729B2 (ko)
KR (1) KR100498443B1 (ko)
CN (2) CN1194342C (ko)
GB (1) GB2384906B (ko)
HU (1) HUP0300016A2 (ko)
MY (1) MY137484A (ko)
NL (1) NL1022322C2 (ko)
TW (1) TWI247296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7106A1 (en) * 2003-09-18 2005-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ctuator for optical pickup device of optical disk drive
KR100505648B1 (ko) * 2002-11-14 2005-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회로 및 이를 채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및 광 기록및/또는 재생기기
KR20050112010A (ko) * 2004-05-24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액츄에이터 및 이를 채용한 광디스크 드라이브
US7453656B2 (en) 2005-03-25 2008-11-18 Toshiba Samsung Storage Technology Korea Corpor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an optical pickup actuator having high thrus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40218A1 (en) * 2002-06-04 2003-12-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3d actuator for optical disc system
JP3849777B2 (ja) * 2003-01-10 2006-11-22 船井電機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
JP2004295932A (ja) * 2003-03-25 2004-10-21 Funai Electric Co Ltd 光ヘッドの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100524980B1 (ko) * 2003-07-28 2005-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액튜에이터, 광픽업 장치 및 광기록/재생 장치
KR100555527B1 (ko) * 2003-11-13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감도 광픽업 액츄에이터 및 이를 채용한 광 기록및/또는 재생기기
KR100524994B1 (ko) 2003-12-17 2005-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회로 및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KR100532497B1 (ko) 2004-01-27 2005-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회로 및 이를 채용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및 광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JP4166715B2 (ja) * 2004-02-25 2008-10-15 株式会社リコー 対物レンズ駆動装置,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CN100401399C (zh) * 2005-03-29 2008-07-09 富士通株式会社 光学拾取头
EP1724766A1 (en) * 2005-05-18 2006-11-22 Deutsche Thomson-Brandt Gmbh Pickup for optical recording media and device having the pickup
KR100682064B1 (ko) * 2005-05-18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광 기록/재생장치
EP1801797A1 (de) * 2005-12-20 2007-06-27 Deutsche Thomson-Brandt Gmbh Gerät zum Zugreifen auf optische Aufzeichnungsträger
JP2007226933A (ja) * 2006-01-25 2007-09-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対物レンズ駆動装置、対物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KR20080057484A (ko) * 2006-12-20 2008-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액츄에이터
JP5106998B2 (ja) * 2007-11-16 2012-1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学素子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9238344A (ja) * 2008-03-28 2009-10-15 Sanyo Electric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2483619B1 (ko) * 2017-12-22 2023-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장치의 액추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59A (en) * 1866-05-08 Improved broom-head
JPH06162540A (ja) 1992-11-18 1994-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JPH07105552A (ja) * 1993-09-30 1995-04-21 Sony Corp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の2軸アクチュエータ
JP2760307B2 (ja) 1995-03-30 1998-05-28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ヘッドの対物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US5663840A (en) * 1994-06-14 1997-09-02 Nec Corporation Objective lens actuator for optical head and used for high speed access
KR960009062U (ko) * 1994-08-25 1996-03-16 3축 제어 광픽업 액츄에이터
JPH08203103A (ja) * 1995-01-25 1996-08-09 Asahi Chem Ind Co Ltd レンズ駆動用プリントコイル
JPH0991722A (ja) * 1995-09-22 1997-04-04 Toshiba Corp 光学式ピックアップ装置
US5949590A (en) * 1995-12-29 1999-09-07 Lg Electronics, Inc. Actuator for optical pickup apparatus
KR100253807B1 (ko) * 1997-05-28 2000-04-15 구자홍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297774B1 (ko) * 1998-06-09 2001-08-07 윤종용 경사 조정 가능한 광픽업 구조체
JP2001167458A (ja) 1999-09-29 2001-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対物レンズ駆動装置
US6344936B1 (en) * 1999-09-29 2002-02-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bjective lens driving apparatus
DE60029901T2 (de) * 1999-10-15 2006-12-21 Pioneer Corporation Linsenantriebsvorrichtung
KR20010064312A (ko) * 1999-12-29 2001-07-09 구자홍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JP3998883B2 (ja) * 2000-02-08 2007-10-3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レンズ駆動装置
JP2001229557A (ja) * 2000-02-09 2001-08-24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レンズ駆動装置及びディスクプレーヤのレンズ駆動装置用のプリント基板コイル
JP3995857B2 (ja) 2000-02-09 2007-10-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レンズ駆動装置
JP3834767B2 (ja) 2000-07-31 2006-10-18 Tdk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の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002030275A (ja) 2000-07-17 2002-01-31 Nihon Micro Coating Co Ltd テクスチャ加工液及び方法
KR100518873B1 (ko) * 2000-11-04 200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픽업 액츄에이터
JP2002245647A (ja) 2001-02-20 2002-08-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対物レンズ駆動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648B1 (ko) * 2002-11-14 2005-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회로 및 이를 채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및 광 기록및/또는 재생기기
WO2005027106A1 (en) * 2003-09-18 2005-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ctuator for optical pickup device of optical disk drive
US7310289B2 (en) 2003-09-18 2007-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ctuator for optical pickup of an optical disk driv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50112010A (ko) * 2004-05-24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액츄에이터 및 이를 채용한 광디스크 드라이브
US7453656B2 (en) 2005-03-25 2008-11-18 Toshiba Samsung Storage Technology Korea Corpor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an optical pickup actuator having high thru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4342C (zh) 2005-03-23
JP3678729B2 (ja) 2005-08-03
HU0300016D0 (en) 2003-03-28
TW200301889A (en) 2003-07-16
HUP0300016A2 (hu) 2003-09-29
JP2003203373A (ja) 2003-07-18
GB0300168D0 (en) 2003-02-05
US20030128443A1 (en) 2003-07-10
NL1022322A1 (nl) 2003-07-09
US20060056081A1 (en) 2006-03-16
TWI247296B (en) 2006-01-11
MY137484A (en) 2009-02-27
GB2384906B (en) 2004-07-14
US7006307B2 (en) 2006-02-28
KR100498443B1 (ko) 2005-07-01
GB2384906A (en) 2003-08-06
CN1639780A (zh) 2005-07-13
CN1431654A (zh) 2003-07-23
US7369335B2 (en) 2008-05-06
NL1022322C2 (nl) 2004-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8443B1 (ko)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KR100636127B1 (ko)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US4679904A (en) Lens driving device for an optical pickup unit with simplified construction
EP2136365B1 (en) High-sensitivity pickup actuator for disc drive
KR100505648B1 (ko) 자기 회로 및 이를 채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및 광 기록및/또는 재생기기
KR100505673B1 (ko) 틸트 구동 광픽업 액츄에이터 및 이를 채용한 광 기록및/또는 재생기기
KR20020003008A (ko) 광픽업 조립체
EP1339051B1 (en) Optical pickup actuator an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532497B1 (ko) 자기 회로 및 이를 채용한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및 광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US5359459A (en) Optical system driving apparatus
US20050190662A1 (en) Read/write head for optical disk drive and optical disk drive comprising such a read/write head
EP1675112B1 (en) Optical pickup actuator and optic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EP1675111B1 (en) Optical pickup actuator an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3550547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100344586B1 (ko) 픽업엑추에이터
KR100871847B1 (ko)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KR20030083282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557041B1 (ko) 슬림형 광 픽업 액츄에이터
KR100524998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473949B1 (ko)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KR100806062B1 (ko) 광픽업 장치 및 상기 광픽업 장치를 채용한 광기록/재생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6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6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