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53807B1 - 광픽업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광픽업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807B1
KR100253807B1 KR1019970021264A KR19970021264A KR100253807B1 KR 100253807 B1 KR100253807 B1 KR 100253807B1 KR 1019970021264 A KR1019970021264 A KR 1019970021264A KR 19970021264 A KR19970021264 A KR 19970021264A KR 100253807 B1 KR100253807 B1 KR 100253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anent magnet
magnetic
coil
optical pickup
bobb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1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5237A (ko
Inventor
최인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21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3807B1/ko
Publication of KR19980085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5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80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for focusing and track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래킹 동작과 포커싱 동작을 위한 자기회로의 구조 개선을 통하여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돌출부의 내경에 대물렌즈를 삽입하고 자신의 내부에 홀을 형성한 보빈과, 보빈의 홀(hole)안에 위치하고 수직방향으로 자기저인 힘을 발생하는 제1영구자석수단과, 보빈의 외부 돌출 면에 위치하여 자신에게 돌아들어오는 자속을 이용하여 수평 방향으로 자기적인 힘을 발생하는 제2 영구자석수단과, 보빈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위치하여 제1및 제2 영구자석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중계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자기회로의 구성을 개선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보빈의 공진점을 크게 하고 포커싱, 트래킹의 가진 중심점을 와이어 스프링의 고정점과 일치시켜 진동특성이 향상되고 고정도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픽업 액츄에이터
본 발명은 광픽업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래킹 동작과 포커싱 동작을 위한 자기회로의 구조 개선을 통하여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디스크의 급속한 발전으로 광디스크의 정보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광픽업의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대물렌즈로부터의 집광된 광빔을 광디스크의 회전에 따른 광디스크의 면진동과 편심 등에 대하여 광스폿(Spot)을 광디스크의 신호트랙의 중심을 추종하도록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가 광픽업과 함께 구성된다. 이러한 대물렌즈 구동장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Actuator)라 하며 대물렌즈가 포커싱(Focusing)과 트래킹(Tracking) 동작을 하도록 구동한다. 포커싱(Focusing)동작은 대물렌즈로부터의 광빔의 광스폿(Spot)이 광디스크의 신호트랙에서 초점심도 내에 들도록 대물렌즈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트래킹(Tracking)동작은 대물렌즈로부터의 광빔의 광스콧(Spot)이 광디스크의 신호트랙의 중심을 추종하도록 좌우로 구동시키는 것이다. 광픽업은 박형화 추세에 있으며 트래킹 서보와 포커싱 서보에 의해 자기적인 힘에 의해 대물렌즈를 상하(포커싱 서보), 좌우(트래킹 서보) 이동시키는 광픽업 액츄에이터(Actuator)의 박형화가 시급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종래의 2축 직선 운동하는 와이어 방식 및 판스프링 방식을 채용한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높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레이저 다이오드 광원으로부터의 광로를 광픽업 액츄에이터와 동일 평면상에 형성해야 한다. 이 경우,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로부터의 광로상에 포커싱과 트래킹 동작을 위한 영구자석과 포커싱 코일, 트래킹 코일 등 자기회로가 존재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의 박형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발생한다.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박형화와 더불어 고속도화에 따른 안정성과 고정도화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문제점을 첨부한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광디스크의 정보기록면에서 바라 본 평면도인 도1(a)를 참조하면,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레이저 다이오드 광원으로부터의 광빔을 광디스크의 정보기록 면에 집광하는 대물렌즈(2)와, 대물렌즈(2)를 내경에 삽입한 보빈(Bobbin ; 4)과, 보빈(4)의 위아래에 각각 한 개씩 끼워져 있는 영구자석(6)과, 영구자석(6)의 배면에 위치하여 영구자석(6)의 배면 밖으로 누설되는 자속을 방지하는 요오크(Yoke ; 8)와, 영구자석(6)에 대향되고 보빈(4)의 외경면에 감겨있는 트래킹 코일(10)과, 트래킹 코일(10)과 직각으로 보빈(4)에 감겨있는 포커싱 코일(12)을 구비한다.
액츄에이터(Actuator)는 대물렌즈(2)의 포커싱 동작과 트래킹 동작을 위하여 대물렌즈(2)를 상하, 좌우 구동시킨다. 이러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구동력은 영구자석(6)과 요크(8)가 이루는 자기 공간 안에 트래킹 코일(10) 및 포커싱 코일(12)을 구성하여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한 로렌쯔 힘을 이용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요오크(8)는 스틸계통의 자성체로 제작되어 영구자석(6)의 배면에 위치힌다.
포커싱 코일(12)을 선 A를 따라 절취한 도 1(b)를 참조하면, 포커싱 동작을 위한 종래 액츄에이터의 자기회로의 구성은 포커싱 코일(12)와 NS로 자화된 영구자석(6)과, 영구자석(6)의 배면에 위치한 요크(8)로 이루어진다.
자속선은 N,S로 자화된 영구자석(6)를 통과하고 이어서 요크(8)를 통과하여 포커싱 코일(12)을 쇄교한다. 따라서 자속선(b)은 수평축 방향으로 발생하고 포커싱 코일(12)에 인가되는 전류(I)의 방향에 따라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힘의 방향은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여 포커싱 동작을 하도록 한다.
트래킹을 위한 자기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1(C)를 참조하면, 트래킹 동작을 위한 종래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자기회로의 구성은 N,S로 자화된 영구자석(6)과 영구자석(6)의 경계면에서 양측에 수평으로 위치한 트래킹 코일(10)로 이루어진다.
자속선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발생하고, 트래킹 코일(10)에 인가되는 전류(I)의 방향에 따라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힘의 방향은 좌우 방향으로 작용하여 트래킹 동작을 한다.
그리고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보빈(4)의 좌우에 고정점을 갖고 미도시된 고정부와 기구적으로 연결된 와이어 스프링(14)과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ucuit Board ; 이하 “PCB”라 함)(84)을 추가로 구비한다.
자기회로에서 발생한 상하(포커싱), 좌우(트래킹) 방향의 자기적인 힘에 의해 구동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고정부에 고정된 와이어 스프링(14)의 선단부분을 축으로 하여 상하운동, 좌우운동을 하여 포커싱 동작 및 트래킹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광픽업 액츄에이터가 점차 박형화되어 감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 광원의 광경로 상에 자기회로를 구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2는 자기회로를 광원으로부터의 광경로를 피하도록 구성한 종래의 다른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광디스크의 정보기록면에서 바라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종래의 다른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레이저 다이오드 광원으로부터의 광빔을 광디스크의 정보기록면에 집광하는 대물렌즈(2)와, 대물렌즈(20)를 내경에 삽입한 보빈(22)과, 광원의 광경로를 피하기 위해 보빈(22)의 위아래 양측에 분리되어 위치한 영구자석(24)과, 영구자석(24)의 배면에 위치하여 영구자석(24)의 배면 밖으로 누설되는 자속을 방지하는 요오크(26)아, 영구자석(24)에 대향되고 보빈(22)의 외경면에 감겨있는 트래킹 코일(28)과, 트래킹 코일(28)과 직각으로 보빈(4)에 감겨있는 포커싱 코일(30)을 구비한다.
광원의 광경로를 피하도록 구성된 영구자석(24)과 요오크(26)는 보빈(22)의 위아래에 위치하고 좌우로 분리되어 각각 4개의 영구자석(24)과 요오크(26)가 필요하다.
그리고 종래의 액츄에이터는 보빈(22)의 좌우측에 위치하여 트래킹 코일(28)과 포커싱 코일(30)에 전류를 공급하고 기구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 스프링(32)과 PCB(84)을 추가로 구비한다.
포커싱 동작과 트래킹 동작은 상술한 도1의 설명과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트래킹 동작, 포커싱 동작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상하, 좌우 운동은 와이어 스프링(32)의 선단부분을 고정으로 좌우, 상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자기회로의 구성은 보빈의 상하 좌우에 요오크(26)가 들어가도록 내부에 홀(hole)이 분산 형성되는 구조적인 취약점으로 고주파 특성에서 공진점이 낮아져 고정도 특성을 만족할 수 없다. 더 나아가 영구자석(24)과 요오크(26) 수의 증가와 이에 따른 자기회로의 배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부피를 크게 하여 박형화를 저해한다. 또한 영구자석(24)과 요오크(26) 수의 증가로 재료비 상승을 초래하고 나아가 제조공정수를 상승시켜 원가상승을 초래한다.
도3은 자기회로의 구성이 광원으로부터의 광경로를 피하기 위한 종래의 또다른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광디스크의 정보기록면에서 바라 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종래의 또 다른 다른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광원으로부터의 광빔을 광디스크의 정보기록면에 집광하는 대물렌즈(34)와, 대물렌즈(34)를 내경에 삽입하기 위한 돌출부를 가진 보빈(36)과, 보빈(36)의 내부홀(hole)에 끼워진 영구자석(38)과, 영구자석(38)의 배면에 위치하여 영구자석(38)의 배면 밖으로 누설되는 자속을 방지하는 요오크(40)와, 영구자석(38)에 대향되고 보빈(36)의 내경면에 감겨있는 트래킹 코일(42)과, 트래킹 코일(42)과 직각으로 보빈(36)의 내경면에 감겨있는 포커싱 코일(44)을 구비한다.
그리고 종래의 액츄에이터는 보빈(36)의 좌우측에 위치하여 트래킹 코일(42)과 포커싱 코일(44)에 전류를 공급하고 보빈(36)을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 스프링(46)과 PCB(84)를 추가로 구비한다.
도3에 있어서, 포커싱 동작과 트래킹 동작은 상술한 도1의 설명과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포커싱 동작과 트래킹 동작을 위한 자기회로의 구성이 광원으로부터의 광경로를 피하기 위하여 보빈(36)의 돌출부에 대물렌즈(34)를 그 내경에 삽입한다. 그리고 보빈(36)은 영구자석(38), 요오크(40)를 자신의 내경에 삽입하기 위하여 중앙에는 4각형의 홀(hole)이 형성되어 있다. 보빈(36)의 홀(hole)에는 트래킹 코일(42)이 감겨 있고, 트래킹 코일(42)에 직각으로 포커싱 코일(44)이 보빈(36)에 감겨 있다. 와이어 스프링(46)은 보빈(36)이 좌우 양쪽에 고정점을 가지며, 미도시된 고정부와 기구적으로 연결된다.
트래킹 동작, 포커싱 동작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상하, 좌우 운동은 와이어 스프링(46)의 끝단 부분을 기준으로 2축 구동 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대물렌즈(34)를 돌출시킨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포커싱과 트래킹을 위한 영구자석(38), 요오크(40), 트래킹 코일(42) 등의 자기회로 구성을 보빈(36)의 홀에 삽입하므로 인하여 고주파 특성시 공진점이 낮아진다. 그리고 대물렌즈(34)의 돌출부로 인하여, 와이어 스프링(46)의 고정점이 대물렌즈(34)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고배속 모드에서 불안정한 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대물렌즈(34)를 돌출시킨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보빈(36)상에 상하로 분리된 트래킹의 가진중심점(Force center)과 포커싱의 가진중심점(Force center)에 비교적 큰 이격거리를 갖는다. 따라서, 공진점이 낮아지고 면방향에 대하여 진동특성이 나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회로의 구성을 개선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박형화할 수 있는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빈의 공진점을 크게 하고 포커싱, 트래킹의 가진중심점을 와이어 스프링의 고정점과 일치시켜 진동특성이 향상되고 고정도를 실현할 수 있는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2는 종래의 다른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3은 종래의 또 다른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5는 도4에 도시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래킹 동작과 포커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7은 도6에 도시된 본 발명의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자기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0,34,50,70 : 대물렌즈 4,22,36,52,72 : 보빈
6,24,38,54,58,74 : 영구자석 8,26,40,60,76 : 요오크
10,28,42,62,80 : 트래킹 코일 12,30,44,56,78 : 포커싱 코일
14,32,46,64,82 : 와이어 스프링 84 : PCB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돌출부의 내경에 대물렌즈를 삽입하고 자신의 내부에 홀을 형성한 보빈과, 보빈의 홀(hole)안에 위치하고 수직방향으로 자기적인 힘을 발생하는 제1영구자석수단과, 보빈의 외부 돌출면에 위치하여 자신에게 돌아들어오는 자속을 이용하여 수평 방향으로 자기적인 힘을 발생하는 제2영구자석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자신의 내경에 홀을 형성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보빈과, 보빈의 양측에 위치하여 양극 자화된 영구자석과, 영구자석의 사이에 위치하여 영구자석과 제1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제1코일과, 영구자석 사이와 제1코일의 양측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영구자석과 제2자기회로를 구성하여 수평방향의 자기적인 힘을 발생하는 제2코일과, 보빈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중계수단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첨부한 도4 및 도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광원으로부터의 광빔을 광디스크의 정보기록면에 집광시키는 대물렌즈(50)와, 대물렌즈(50)를 삽입하기 위한 돌출부를 가진 보빈(52)과, 보빈(52) 내부의 홀(hole)에 끼워져 포커싱 동작을 위한 제1영구자석(54) 및 포커싱 코일(56)과, 보빈(52)의 좌우 돌출부에 위치하여 트래킹 동작을 위한 제2영구자석(58)과 요오크(60) 및 트래킹 코일(62)을 구비한다.
포커싱 자기회(제1영구자석과 포커싱 코일(56))는 보빈(52)의 내부 홀(hole)에 끼워지고, 트래킹 자기회로는 포커싱의 가진중심점(Force center)과의 대칭을 위해 보빈(52)외부의 좌우 돌출부에 끼워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보빈(52)에 접속되어 포커싱 코일(56)과 트래킹 코일(62)에 전류를 공급함과 아울러 미도시된 고정부와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포커싱 동작, 트래킹 동작에 광픽업 액츄에이터가 자신의 선단부분을 고정단으로 상하(포커싱), 좌우운동(트래킹)을 하도록 하는 와이어 스프링(64)과 인(PCB)(65)를 추가로 구비한다.
PCB(65)는 보빈(52)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여 와이어 스프링(64)을 포커싱 코일(56) 및 트래킹 코일(62)의 입력단자와 접속한다.
제1영구자석(54)과 포커싱 코일(56)만이 보빈(52)의 홀(hole)안에 삽입되어 보빈(52)의 홀이 작아져 강성이 향상되고 공진점이 커진다. 따라서, 포커싱의 가진중심점(Force cneter), 트래킹의 가진중심점(Force center), 액츄에이터의 무게 중심점 및 와이어 스프링(64)의 고정점이 일치된다.
또한 이러한 일치점은 대물렌즈(50)와 근접 배치되어 고주파 모드에서 진동 특성이 향상되어 안정된 동작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영구자석(54)이 상하로 자화되어 자속경로를 위한 내부 요오크(Inner Yoke)가 필요 없다.
제조공정 측면에서는 보빈(52)의 내부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제1영구자석(54)과 포커싱 코일(56)이 보빈홀의 돌출면을 안내로 안정되게 끼워질 수 있다. 제2영구자석(58), 요오크(60) 및 트래킹 코일(62) 역시 보빈(52) 외부의 좌우에 위치한 돌출면을 안내로 안정되게 끼워질 수 있다. 또한, 트래킹 코일(62)은 보빈(52)외부의 돌출면에 직접 권선할 수도 있다.
도4(b) 및 도4(c)는 포커싱 동작과 트래킹 동작을 위한 자기회로의 구성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포커싱 코일(56)의 상하면은 상하로 “NS” 자화된 제1영구자석(54)의 상하면에 대향되게 구성한다. 그리고 좌우로 “NS”다극자화된 제2영구자석(58) 또는 자하된 제2영구자석(58)에 요오크(60)를 접착하여 요오크(60)를 자화시킨다. 제2영구자석(58)과 요오크(60)의 다극자화된 자극 분리점에 트래킹 코일(62)을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래킹 동작과 포커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5(a)를 참조하면, 트래킹 동작을 위한 자기회로의 구성은 “NS”극으로 자화된 제2영구자석(58)으로 요오크(60)는 “S”극으로 자화되어 자극의 분리점에 트래킹 코일(62)을 평행하게 구성한다. 자속선은 제2영구자석(58)에서 요오크(60)를 지나면서 자극의 분리점에 위치한 트래킹 코일(62)을 쇄교한다. 따라서, 자속선은 제2영구자석(58)의 자극면에 평행한 방향과 자극간의 돌아나가는 방향이 동시에 발생한다. 이러한 자속선의 평행한 방향을 이용하여 자극간 분리점에 위치한 트래킹 코일(6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좌우로 발생하는 힘으로 트래킹 동작을 수행한다. 트래킹 코일(6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X”는 전류가 들어가는 방향이고”. “는 전류가 나오는 방향을 표시한다. 도5(a)와 같이 전류가 트래킹 코일(62)에 공급되면, 자극면에 평행한 방향과 자극간의 돌아나가는 방향이 동시에 발생한 자속선 중에 분리점에서 돌아 나가는 자속을 이용하여 힘(F)을 우측으로 발생한다. 전류의 극성이 반전되면 힘(F)은 좌측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자속면에 위치한 코일변(상하변)은 같은극(“N”극)에 서로 다른 전류의 방향으로 서로 상쇄한다.
도5(b)를 참조하면, 포커싱 동작은 상하 분리되어 자화된 제1영구자석(54)의 서로 다른 자극면에 대향되도록 위차한 포커싱 코일(56)로 구성된 자기회로에 의해 이루어진다.
자속선은 제1영구자석(54)의 상변과 하변에서 서로 다른 방향의 자속선이 발생하여 상하변의 다른 방향의 포커싱 코일(56)을 쇄교한다. 따라서, 포커싱 코일(56)에 전류가 공급되면, 힘(F)은 같은 방향으로 발생한다. 그리고 포커싱 코일(56)의 좌우변은 서로 다른 자극의 자속이 같은 방향의 코일를 쇄교하므로 상쇄된다.
도5(b)와 같이 전류가 포커싱 코일(56)에 공급되면, 상변과 하변에서 서로 다른 방향의 자속선에 의해 발생한 힘(F)은 상측으로 향한다. 그리고 전류의 극성이 반전되면 힘(F)은 하측으로 향하여포커싱 동작을 수행한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포커싱 자기회로와 트래킹 자기회로가 일체화한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광픽업 장치는 광원으로부터의 광빔을 광디스크의 정보기록면에 집광시키는 대물렌즈(70)와, 대물렌즈(70)를 삽입한 보빈(72)과, 보빈(72)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영구자석(74) 및 요오크(76)와, 영구자석(74) 및 요오크(76) 사이에 위치한 포커싱 코일(78)과, 포커싱 코일(78)의 좌우변에 인접한 트래킹 코일(80)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장치는 포커싱 코일(78)과 트래킹 코일(8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보빈(72)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위치한 와이어 스프링(82)과 포커싱 코일(78)과 트래킹 코일(80)의 입력단자를 와이어 스프링(82)에 접속한 PCB(84)를 추가로 구비한다.
자화된 영구자석(74)으로 영구자석(74)의 외주를 둘러싼 요오크(76)는 착자되어 영구자석(74)과 요오크(76)는 양극구성이 된다. 영구자석(74)과 요오크(76)는 포커싱 코일(78)을 사이에 두고 보빈(72)의 상측면과 하측면에서 대칭으로 위치한다. 포커싱 코일(78)의 상하 경계변은 영구자석(74)과 요오크(76)의 자극 분리점에 위치하고 좌우변은 위아래 대칭으로 위치한 영구자석(74)사이에 위치한다. 트래킹 코일(80)의 좌우변은 영구자석(74)과 요오크(76)의 분리된 자극면에 각각 위치하고 상하변은 영구자석(74)과 요오크(76)의 서로 다른 자극면에 위치한다.
포커싱 동작은 도5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래킹 동작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자속선은 영구자석(74)과 요오크(76)를 지나면서 자극의 분리점에 위치한 포커싱 코일(78)를 쇄교한다. 따라서, 자속선은 영구자석(74)의 자극면에 평행한 방향과 자극간의 돌아나가는 방향이 동시에 발생한다. 이러한 자속선의 방향을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하로 발생하는 방향으로 포커싱 동작을 수행한다. 자속면에 위치한 코일변(좌우변)은 같은극 (“N극)에 서로 다른 코일의 방향으로 서로 상쇄한다.
도7은 도6에 도시된 본 발명의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자기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7을 참조하면, 트래킹 동작은 도5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커싱 동작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자속선은 트래킹 코일(80)의 좌우변에서 영구자석(74)과 요오크(76)의 서로 다른 자극에서 다른 방향의 자속선이 발생하여 상하변의 서로 다른 방향의 코일을 쇄교한다. 따라서, 트래킹 코일(80)에 전류가 공급되면, 힘(F)은 같은 방향으로 발생하므로 트래킹 자기회로의 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트래킹 코일(80)의 상하변은 서로 다른 자극의 자속이 같은 방향의 코일을 쇄교하므로 상쇄된다.
결과적으로, 트래킹 동작과 포커싱 동작이 일체화된 자기회로에서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자기회로의 구성을 개선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보빈의 공진점을 크게 하고 포커싱, 트래킹의 가진중심점을 와이어 스프링의 고정점과 일치시켜 진동특성이 향상되고 고정도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만 한다.

Claims (11)

  1. 광디스크의 정보 기록면에 광빔을 집광하는 대물렌즈를 구동시키기 위한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의 내경에 상기 대물렌즈를 삽입하고 자신의 내부에 홀을 형성한 보빈과, 상기 보빈의 상기 홀(hole)안에 위치하고 수직방향으로 자기적인 힘을 발생하는 제1영구자석수단과, 상기 보빈의 외부 돌출면에 위치하여 자신에게 돌아들어오는 자속을 이용하여 수평 방향으로 자기적인 힘을 발생하는 제2영구자석수단과, 상기 보빈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영구자석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중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구자석수단은 상기 보빈의 내부 홀에 위치하고 다극자화되고 서로 다른 자극에서 다른 방향의 자속선이 발생하는 제1영구자석과, 상기 제1영구자석의 서로 다른 자극의 자화면에 상하변이 각각 위치하고 서로 다른 자극의 자화면에 양분되어 위치한 좌우변을 갖는 제1코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의 좌우변은 서로 다른 자극의 자속이 같은 방향의 전류에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구자석수단은 상기 보빈의 좌우에 각각 위치하여 N,S극으로 다극자화되고 자극면에 평행한 방향과 자극간의 돌아나가는 방향이 동시에 자속선이 발생하는 제2영구자석과, 상기 다극 자화된 제2영구자석의 자극 분리점에 좌우변이 위치하고 상기 영구자석의 동일한 극성의 상하면에 상하변이 위치한 제2코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일의 상하변은 동일한 극성의 자화면에 서로 다른 방향의 전류가 공급되어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6. 광디스크의 정보 기록면에 광빔을 집광하는 대물렌즈를 구동시키기 위한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자신의 내경에 홀을 형성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삽입한 보빈과, 상기 보빈의 상단면과 하단면의 양측에 위치하여 양극 자화된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영구자석과 자기회로를 형성하여 수직방향으로 힘을 발생하는 제2영구자석수단과, 상기 영구자석 사이의 좌우변에 위치하여 상기 영구자석과 자기회로를 형성하여 수평방향으로 힘을 발생하는 제3영구자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자신의 내경면과 외경면으로 양분되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서로 다른 자극이 인접하여 자극면에 평행한 방향과 자극간의 돌아나가는 방향이 동시에 자속선이 발생하는 것과, 상기 제2영구자석수단의 좌우변은 상기 영구자석의 서로 다른 자극 분리점에 위치하고 상기 영구자석의 상하변은 사익 영구자석의 동일한 극성으로 자회된 자화면에 위치하는 제1코일을 구비한 것과, 상기 제1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제1코일과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상기 자기회로에는 수직방향의 자기적인 힘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의 좌우변은 동일한 극성의 자화면에 서로 다른 방향의 전류가 공급되어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수단은 서로 다른 자극에서 다른 방향의 자속선이 발생하는 것과, 상기 제3영구자석수단은 상기 영구자석의 서로 다른 자극의 자화면에 좌우변이 각각 위치하고 상기 영구자석의 서로 다른 자극의 자화면에 양분되어 상하변이 위치는 제2코일을 구비하는 것과, 상기 제2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제2코일과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상기 자기회로에는 수평방향의 자기적인 힘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일의 상하변은 서로 다른 자극의 자속이 같은 방향의 전류에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19970021264A 1997-05-28 1997-05-28 광픽업 액츄에이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253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264A KR100253807B1 (ko) 1997-05-28 1997-05-28 광픽업 액츄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264A KR100253807B1 (ko) 1997-05-28 1997-05-28 광픽업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237A KR19980085237A (ko) 1998-12-05
KR100253807B1 true KR100253807B1 (ko) 2000-04-15

Family

ID=1950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1264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3807B1 (ko) 1997-05-28 1997-05-28 광픽업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38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532A (ko) * 1998-12-12 2001-12-12 구자홍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518873B1 (ko) * 2000-11-04 200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픽업 액츄에이터
KR100498443B1 (ko) * 2002-01-08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KR100488039B1 (ko) * 2002-04-20 200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488037B1 (ko) * 2002-04-20 200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486279B1 (ko) * 2002-11-13 200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픽업 액츄에이터 및 그를 채용한 광디스크 드라이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237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8873B1 (ko) 광 픽업 액츄에이터
JP3822434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US5165088A (en) Optical pickup with bilateral and vertical symmetry
KR20030080801A (ko) 3축 구동기능을 갖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253807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JP2002050061A (ja) 光ピックアップ組立体
KR20060083889A (ko) 대물 렌즈 구동 장치, 광픽업 및 광디스크 장치
KR100285758B1 (ko) 집중형자화방법을이용한광픽업액츄에이터
JP2000011408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669626B1 (ko) 광 픽업 액츄에이터
KR100252121B1 (ko) 광픽업용 대물렌즈 구동장치
US6788638B1 (en) Optical pickup actuator having a magnetic flux-controlling member
KR100300379B1 (ko) 광학식픽업의엑츄에이터장치
KR100438276B1 (ko) 레디얼 틸팅 구동이 가능한 광 픽업 액츄에이터
KR20010109532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557041B1 (ko) 슬림형 광 픽업 액츄에이터
KR20010046053A (ko) 광픽업의 대물렌즈 구동장치
KR19990077684A (ko) 광학식 픽업
KR100639810B1 (ko) 3축 슬림 대칭형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9990048541A (ko) 광픽업의 구동장치
KR100727661B1 (ko) 광픽업용 엑츄에이터
KR20050070699A (ko) 광픽업용 액츄에이터
JP2010244647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ク装置
JP2001266378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2001034974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5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5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