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51278A - 개폐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수변전설비 - Google Patents

개폐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수변전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1278A
KR20030051278A KR1020020078782A KR20020078782A KR20030051278A KR 20030051278 A KR20030051278 A KR 20030051278A KR 1020020078782 A KR1020020078782 A KR 1020020078782A KR 20020078782 A KR20020078782 A KR 20020078782A KR 20030051278 A KR20030051278 A KR 20030051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disconnector
switch
primary side
switchge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나미요시아키
나카노고이치
오모리다카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30051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278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6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3/52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03Earthing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1차측 및 2차측의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를 연결하여 확실하게 개폐 조작을 할 수 있는 개폐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수변전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의 1차측 및 2차측의 각각에 배치된 1차측 단로기와, 2차측 단로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1차 측단로기 사이에 배치된 1차측 접지 개폐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2차측 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2차측 접지 개폐기를 가지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측과 2차측의 각 단로기 및 각 접지 개폐기에는 각각에 연결수단이 상기 각 단로기 및 각 접지 개폐기의 가동전극을 가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연결수단을 거쳐 상기 가동전극을 서로 연동시켜 동작시키는 조작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 그것을 사용한 수변전 설비에 있다.

Description

개폐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수변전설비{CIRCUIT BREAKER AND SUBSTATION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신규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변전설비용 개폐장치와 그것을 사용한 수변전설비에 관한 것이다.
부하전류나 사고전류를 차단하는 부하 개폐기 등의 기기는 정기적인 메인티넌스가 필요하기 때문에 특별히 고압계통 이상의 등급에서는 시험시나 점검시에 전로로부터 잘라 내기 위한 단로기, 잘라 낸 부분을 접지하는 접지 개폐기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 부하 개폐기 및 단로기, 접지 개폐기로 이루어지는 개폐 장치의 단선 접속도를 나타낸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부하 개폐기 1차측, 2차측의 접지 개폐기는 점검시에만 사용하기 때문에 도 1과 같이 2대의 접지 개폐기를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1대의 조작장치로 연동 조작하는 것이다.
일본국 실개평6-74012호 공보, 특개평8-214425호 공보, 특개평9-28011호 공보, 특개평9-74620호 공보 및 특개평11-355926호 공보에는 어느 것이나 차단기에 연동하여 단로기가 동작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가 나타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구성한 경우, 부하 개폐기 1차측단로기, 부하 개폐기 2차측 단로기 및 부하 개폐기 1차·2차 접지 개폐기용에 합계 3대의 조작장치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어 비용이 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부하 개폐기 1차·2차 접지 개폐기는 활선상태의 전로를 잘못하여 접지하지 않도록 상기 부하 개폐기 1차측 단로기, 부하 개폐기 2차측 단로기가 「개방」상태가 아니면 조작할 수 없도록 인터록을 따로 구성할 필요가 있었다. 마찬가지로 부하 개폐기 1차측 단로기, 부하 개폐기 2차측 단로기도 부하 개폐기 1차·2차 접지 개폐기가 「개방」상태가 아니면 조작할 수 없도록 인터록을 구성할 필요가 있었다. 종래는 이들을 전기적인 인터록으로 별도로 구성하고 있어, 시스템의 복잡화, 비용상응의 요인으로 되고 있었다. 또 전기적인 인터록이기 때문에 시스템의 제어전원상실시 등, 전기적 인터록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를 고려하면 신뢰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한 공보에는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를 연동시켜 구동시키나, 1차측 및 2차측의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를 하나의 조작수단에 의하여 동작시키는 특정한 구동수단은 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1차측 및 2차측의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를 연결하여 확실하게 개폐 조작을 할 수 있는 개폐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수변전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1차측 및 2차측의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를 연결하여 확실하게 개폐 조작을 하나의 조작수단에 의하여 행할 수 있는 개폐장치 및 그것을사용한 수변전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1차측 및 2차측의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를 연결시킴과 동시에, 각 개폐 조작에 있어서 시간차를 마련하여 조작을 할 수 있어,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는 개폐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수변전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선접속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선접속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도 2에 3위치형 개폐기를 적용한 경우의 단선접속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도 3의 부하 개폐기를 계기용 변압 변류기로 치환한 경우의 단선접속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하여 구성한 수변전설비를 나타내는 단선접속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도 2의 단선접속도에 의거하여 구성한 개폐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도 3의 단선접속도에 의거하여 구성한 개폐장치의 구성도,
도 8은 도 4의 단선접속도에 의거하여 구성한 개폐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하 개폐기 2, 2A, 2B : 단로기
3, 3A, 3B : 접지 개폐기 4, 4A, 4B : 도체
5 : 절연조작 로드 6 : 접지단자
7A, 7B : 구동레버 8 : 구동축
9A, 9B : 중계레버 10 : 중계축
11, 11A : 링크로드 12 : 조작장치
13 : 계기용 변압 변류기 14, 14A, 14B : 3위치형 개폐기
본 발명은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의 1차측과 2차측의 단로기 및 1차측과 2차측의 접지 개폐기의 합계 4대를 기계적인 연결수단에 의하여 연결하여 1대의 조작장치로 연동 조작할 수 있는 구조로 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종래 3대 필요하였던 단로기, 접지 개폐기의 조작장치가 1대로 되게 되어 조작기 2대분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 단로기와 접지 개폐기를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단로기와 접지 개폐기가 동시에「폐쇄」가 되지 않도록 기계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단로기와 접지 개폐기 사이의 인터록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시스템을 간소화, 오조작방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각 동작에 있어서 확실한 개폐 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의 1차측 및 2차측의 각각에 배치된 1차측 단로기와, 2차측 단로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1차측 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1차측 접지 개폐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2차측 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2차측 접지 개폐기를 가지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측 단로기, 2차측 단로기, 1차측 접지 개폐기 및 2차측접지 개폐기를 기계적인 연결수단에 의하여 연결하고, 이들을 1대의 조작장치에 연결하여 4대 모두를 연동 조작함과 동시에, 상기 1차측 단로기 및 2차측 단로기가 「폐쇄」상태인 경우는 상기 1차측 개폐기 및 2차측 접지 개폐기는 「개방」상태가 되고, 상기 1차측 접지 개폐기 및 2차측 접지 개폐기가「폐쇄」상태인 경우는 상기 1차측 단로기 및 2차측의 단로기는「개방」상태가 되도록 기계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의 1차측 단로기와 접지 개폐기, 또는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의 2차측 단로기와 접지 개폐기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단로기와 접지 개폐기를 일체화한 3위치형 개폐기를 채용한 개폐장치에 있다.
본 발명은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의 1차측 및 2차측의 각각에 배치된 1차측 단로기와, 2차측 단로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1차측 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1차측 접지 개폐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2차측 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2차측 접지 개폐기를 가지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측과 2차측의 각 단로기 및 각 접지 개폐기를 서로 연동시켜 동작시키는 구동구조를 가지고, 상기 1차측과 2차측의 각 단로기 및 각 접지개폐기를 구동시키는 조작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를 상기 조작장치에 대하여 독립으로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의 1차측 및 2차측의 각각에 배치된 1차측 단로기와, 2차측 단로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1차측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1차측 접지 개폐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2차측 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2차측 접지 개폐기를 가지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각 단로기 및 각 접지 개폐기를 뒤에서 설명하는 개폐 상태가 되도록 상기 1차측과 2차측의 각 단로기 및 각 접지 개폐기에는 각각에 연결봉이 상기 각 단로기 및 각 접지 개폐기의 가동전극을 가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어, 상기 연결봉을 거쳐 상기 가동전극을 서로 연동시켜 동작시키는 조작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개폐장치는 상기 1차측과 2차측의 각 단로기 및 각 접지 개폐기를 서로 연동시켜 동작시킴과 동시에, 그 동작의 개시 또는 종료시간 조정 가능한 구동구조를 가지고, 상기 1차측과 2차측의 각 단로기 및 각 접지 개폐기를 구동시키는 조작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로기와 접지 개폐기를 가지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의 각각의 가동측 전극에 접속되어 그 각각의 가동측 전극을 구동하는 구동레버와, 그 구동레버를 구동하는 구동축과, 그 구동축을 그 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1 중계레버와, 그 제 1 중계레버를 구동하는 링크 로드와, 그 링크 로드를 길이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2 중계레버와, 이 제 2 중계레버를 구동하는 중계축과, 그 중계축을 회전시키는 조작장치를 가지고, 상기 중계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의 각각의 가동측 전극을 서로 연동시켜 구동시키는 구동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의 1차측 및 2차측의 각각에 배치된 1차측 단로기와, 2차측 단로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1차측 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1차측 접지 개폐기와, 상기 부하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2차측 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2차측 접지 개폐기를 가지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측과 2차측 단로기 및 1차측과 2차측 접지 개폐기의 각각의 가동측 전극에 상기한 바와 같이 접속되어 그 각각의 가동측 전극을 구동하는 구동레버를 가지고, 상기 1차측과 2차측 단로기 및 1차측과 2차측 접지 개폐기의 각각의 가동측 전극을 서로 연동시켜 구동시키는 구동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단로기와 접지 개폐기를 가지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의 각각의 고정측 전극에 개폐 가능하게 구동하는 3위치형 개폐 수단과, 이 3위치형 개폐 수단을 구동하는 구동레버와, 이 구동레버를 구동하는 구동축과, 이 구동축을 그 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1 중계레버와, 이 제 1 중계레버를 구동하는 제 1 링크로드와, 이 제 1 링크로드를 길이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2 중계레버와, 이 제 2 중계레버를 구동하는 중계축과, 이 중계축을 회전시키는 제 3 중계레버와, 이 제 3 중계레버를 구동하는 제 2 링크로드와, 이 제 2 링크로드를 길이방향으로 구동하는 조작장치를 가지고, 상기 제 2 링크로드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의 각각의 가동측 전극을 서로 연동시켜 구동시키는 구동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도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의 1차측 및 2차측의 각각에 배치된 1차측 단로기와, 2차측 단로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변압 변류기와 1차측 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1차측 접지 개폐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2차측 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2차측 접지 개폐기를 가지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단로기와 접지 개폐기를 가지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의 각각의 고정측 전극에 개폐 가능하게 구동하는 3위치형 개폐 수단과, 이 3위치형 개폐 수단을 구동하는 구동레버와, 이 구동레버를 구동하는 구동축과, 이 구동축을 그 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레버를 가지고, 이 조작레버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의 각각의 가동측 전극을 서로 연동시켜 구동시키는 구동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의 1차측 및 2차측의 각각에 배치된 1차측 단로기와, 2차측 단로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1차측 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1차측 접지 개폐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2차측 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2차측 접지 개폐기를 가지는 개폐장치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본 발명은, 다음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에 있다. 이들 설정은 1차측 및 2차측의 각 단로기 및 각 접지 개폐기의 개폐 를 동시에 행하는 것이다.
(1) 상기 단로기가「폐쇄」상태인 경우, 상기 접지 개폐기를「개방」상태.
(2) 상기 단로기가「개방」상태인 경우, 상기 접지 개폐기를「개방」상태.
(3) 상기 단로기가「개방」상태인 경우, 상기 접지 개폐기를「폐쇄」상태.
또 상기 1차측과 2차측 단로기 또는 상기 1차측과 2차측 접지 개폐기가 서로 개폐 조작시에 시간차를 가지고 접촉 또는 해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는 시험시 및 점검시에 전로로부터의 잘라 내기 및 접지가 상기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의 개폐 동작에 대하여 독립으로 개폐 동작시키는 구동장치를 가지고, 또 그에 의하여 시험시 및 점검시에 전극의 동작시간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6은 도 2에 나타내는 단선 접속도에 의거하여 구성한 본 발명의 조작장치를 가지는 개폐장치의 구성도이다. 부하 개폐기(1)의 1차측에는 접속도체(4A)를 거쳐 단로기(2A)가 설치되어 있고, 단로기(2A)와 부하 개폐기(1) 사이에는 접지 개폐기(3A)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부하 개폐기(1)의 2차측에는 접속도체(4B)를 거쳐 단로기(2B) 및 접지 개폐기(3B)가 설치되어 있다. 부하 개폐기(1)는 단로기 (2A, 2B) 및 접지 개폐기(3A, 3B)의 개폐 와는 독립으로 개폐 하는 구동장치를 가지는 것이다.
단로기(2A, 2B) 및 접지 개폐기(3A, 3B)의 전극구조는 통상 멀티밴드형 튤립콘택트형이라는 것으로, 가동측이 막대형상이고, 고정측이 멀티밴드 또는 튤립형상으로 스프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동측의 막대형상의 지름에 대하여 작은 지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폐시에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개폐 에 있어서 확실한 동작을 행하기 위해서는 기계적인 연결수단이 필요하다.
각각의 단로기(2A, 2B)는 절연조작로드(5)를 거쳐 구동레버(7A)에 의하여 개폐 조작된다. 또 각각의 접지 개폐기(3A, 3B)는 구동레버(7B)에 의하여 개폐 조작되어 접지단자(6)를 거쳐 전로를 접지할 수 있다.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의 구동레버(7A, 7B)는 각각 구동축(8A, 8B)에 연결되어 있고, 구동축(8A, 8B)은 각각 중계레버(9), 링크로드(11)를 거쳐 중계축(10)에 접속되어 있다. 중계축(10)에는 조작장치(12)가 접속되어 있고, 단로기(2A, 2B) 및 접지 개폐기(3A, 3B)의 합계 4대를 1대의 조작장치(12)로 개폐 조작할 수 있다.
단로기(2A, 2B)는「폐쇄」, 접지 개폐기(3A, 3B)는「개방」상태에서 중계 축(10)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단로기(2A, 2B)가「폐쇄」상태인 경우는 접지 개폐기(3A, 3B)가「폐쇄」가 되는 일은 없다. 또 이 상태로부터 중계축(1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단로기(2A, 2B)는「개방」, 접지 개폐기(3A, 3B)는「폐쇄」상태로 할 수 있으나, 이 때도 접지 개폐기(3A, 3B)가 「폐쇄」상태에서는 단로기 (2A, 2B)가「폐쇄」로 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충전 중의 전로를 접지하는, 접지 중의 회로를 충전 중의 전로에 접속하는 등의 오조작을 기계적으로 할 수 없게 되어 있고, 이들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로 설치하고 있던 인터록이 불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더욱 간소하고 신뢰성이 높은 시스템에서의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개폐의 동작에는 큰 조작력이 필요하게 되므로, 또 기계적으로 연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미리 단로기(2A와 2B)의 동작에 약간의 시간차가 나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시간적인 차는 각 연결수단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단로기(2A와 2B)의 접점이 접촉하는 시간을 의식적으로 어긋나게 하여조작장치(12)에 걸리는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각 접촉의 위치가 다소다른 것이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부하 개폐기 등의 기기의 1차측과 2차측에 각각 단로기와 접지 개폐기를 간단한 구조로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부하 개폐기 등의 기기에서 시험시나 점검시에 전로로부터 잘라 내기 위한 단로기, 잘라 낸 부분을 접지하는 접지 개폐기가 필요한 경우, 각 개폐기에 대하여 인터록 기구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 1차측과 2차측의 단로기 또는 접지 개폐기에 있어서 접촉하는 시간차를 마련한 조작을 할 수 있어, 그에 의하여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 부하 개폐기(1)의 1차측 단로기(2A)와 접지 개폐기(3A) 및 2차측의 단로기(2B)와 접지 개폐기(3B)에 각각 3위치형 개폐기를 채용한 경우의 단선 접속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3의 단선 접속도에 의거하여 구성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폐장치의 구성도이다. 부하 개폐기(1)의 1차측에는 단로기(2A)와 접지 개폐기(3A)로 이루어지는 3위치형 개폐기(14A)가 부하 개폐기(1)측을 접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부하 개폐기(1)의 2차측에는 단로기(2B) 및 접지 개폐기 (3B)로 이루어지는 3위치형 개폐기(14B)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부하 개폐기(1)는 단로기(2A, 2B) 및 접지 개폐기(3A, 3B)의 개폐와는 독립으로 개폐하는 구동장치를 가지는 것이다.
각각의 3위치형 개폐기(14A, 14B)는 절연조작로드(5)를 거쳐 구동레버(7)에 의하여 조작되고, 도면 중 반시계방향으로 동작하면 단로기(2A, 2B)가「폐쇄」가 되고, 시계방향으로 동작하면 접지 개폐기(3A, 3B)가「폐쇄」가 된다. 구동레버(7)는 각각 구동축(8), 중계레버(9), 링크로드(11)를 거쳐 중계축(10)에 접속되어 있다. 중계축(10)은 중계레버(9A), 링크로드(11A)를 거쳐 조작장치(12)에 접속되어 있고, 2대의 3위치형 개폐기를 1대의 조작장치로 연동 조작함으로써 단로기(2A, 2B) 및 접지 개폐기(3A, 3B)를 일괄 조작할 수 있다.
3위치형 개폐기(14A, 14B)는 각각 단로기와 접지 개폐기가 동시에「폐쇄」상태로는 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고, 도면 중은 단로기(2A, 2B) 및 접지 개폐기(3A, 3B) 모두 「개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중계축(1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단로기(2A, 2B)는「폐쇄」, 접지 개폐기(3A, 3B)는「개방」의 상태가 되고, 중계축(10)을 시계방향에 회전시키면 단로기(2A, 2B)는「개방」, 접지 개폐기(3A, 3B)는「폐쇄」의 상태가 된다. 본 구성에 의하여 회로를 잘못하여 접지시키는 일은 없어져 인터록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더욱 간소하고 신뢰성이 높은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단로기(2A, 2B) 및 접지 개폐기(3A, 3B)의 전극구조는 가동전극이 2매의 판형상으로 두 갈래로 되어 있고, 스프링에 의하여 대향측에 힘이 걸리도록 되어 있고, 고정측의 판형상의 전극에 대하여 끼워져 접촉하는 나이프 H형의 것이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개폐시에 있어서 큰 힘이 필요하게 되므로, 마찬가지로 각 단로기(2A, 2B) 및 접지 개폐기(3A, 3B)에 대하여 시간차를 두고 동작하도록연결수단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부하 개폐기 등의 기기의 1차측과 2차측에 각각 단로기와 접지 개폐기를 간단한 구조로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부하 개폐기 등의 기기에서 시험시나 점검시에 전로로부터 잘라 내기 위한 단로기, 잘라 낸 부분을 접지하는 접지 개폐기가 필요한 경우, 각 개폐기에 대하여 인터록 기구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 1차측과 2차측의 단로기 또는 접지 개폐기에 있어서 접촉하는 시간차를 마련한 조작을 할 수 있고, 그에 의하여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하 개폐기(1)를 계기용 변압 변류기(13)로 치환한 경우의 단선 접속도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하 개폐기 외에서도 계기용 변압 변류기 등, 메인티넌스나 시험을 위하여 그 1차측, 2차측에 단로기, 접지 개폐기가 필요한 기기에서는 본 발명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간소하고 저비용 또한 신뢰성이 높은 개폐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의 단선 접속도에 의거하여 구성한 일 실시예를 도 8에 나타낸다. 계기용 변압 변류기(13)의 1차측 및 2차측에 도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3위치형 개폐기(14A, 14B)를 설치하여 3위치형 개폐기(14A, 14B) 공통의 구동축(8)을 직접 조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저비용, 간소화 및 고신뢰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계기용 변압 변류기(13)는 전력량을 계측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도 3, 도 4를 사용하여 구성한 경우의 수변전 설비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선 접속도이다. 본 도면과 같이 특히 수변전설비의 분야에 있어서,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신뢰성이 높은 개폐장치를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단로기(2A, 2B) 및 접지 개폐기(3A, 3B)에 대하여 시간차를 가지고 동작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부하 개폐기 등의 기기의 1차측과 2차측에 각각 단로기와 접지 개폐기를 간단한 구조로,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부하 개폐기 등의 기기에서 시험시나 점검시에 전로로부터 잘라 내기 위한 단로기, 잘라 낸 부분을 접지하는 접지 개폐기가 필요한 경우, 각 개폐기에 대하여 인터록 기구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 1차측과 2차측의 단로기 또는 접지 개폐기에 있어서 접촉하는 시간차를 설치한 조작을 할 수 있어, 그에 의하여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하 개폐기 등의 기기의 1차측과 2차측에 각각 단로기와 접지 개폐기를 가지는 개폐장치를 간단한 구조로 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하 개폐기 등의 기기에서 시험시나 점검시에 전로로부터 잘라 내기 위한 단로기, 잘라 낸 부분을 접지하는 접지 개폐기가 필요한 경우, 각 개폐기에 대하여 인터록 기구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 1차측과 2차측의 단로기 또는 접지 개폐기에 있어서 접촉하는 시간차를 마련한 조작을 할 수 있어, 그에 의하여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는 개폐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수변전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의 1차측 및 2차측의 각각에 배치된 1차측 단로기와, 2차측 단로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1차측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1차측 접지 개폐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2차측 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2차측 접지 개폐기를 가지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측과 2차측의 각 단로기 및 각 접지 개폐기에는 각각에 연결수단이 상기 각 단로기 및 각 접지 개폐기의 가동전극을 가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연결수단을 거쳐 상기 가동전극을 서로 연동시켜 동작시키는 조작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2.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의 1차측 및 2차측의 각각에 배치된 1차측 단로기와, 2차측 단로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1차측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1차측 접지 개폐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2차측 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2차측 접지 개폐기를 가지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측과 2차측의 각 단로기 및 각 접지 개폐기를 서로 연동시켜 동작시키는 구동구조를 가지고, 상기 1차측과 2차측의 각 단로기 및 각 접지 개폐기를 구동시키는 조작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 개폐기를 상기 조작장치에 대하여 독립으로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3.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의 1차측 및 2차측의 각각에 배치된 1차측 단로기와, 2차측 단로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1차측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1차측 접지 개폐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와 2차측 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2차측 접지 개폐기를 가지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측 단로기와 2차측 단로기가「폐쇄」상태인 경우는 상기 1차측 개폐기와 2차측 접지 개폐기를「개방」상태, 상기 1차측 접지 개폐기와 2차측 접지 개폐기가「폐쇄」상태인 경우는 상기 1차측 단로기와 2차측의 단로기를「개방」상태 및 상기 1차측 단로기와 2차측 단로기가「개방」상태인 경우는 상기 1차측 접지 개폐기와 2차측 접지 개폐기를「개방」상태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상기 1차측과 2차측의 각 단로기 및 각 접지 개폐기에는 각각에 연결수단이 상기 각 단로기 및 각 접지 개폐기의 가동전극을 가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연결수단을 거쳐 상기 가동전극을 서로 연동시켜 동작시키는 조작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
  4.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의 1차측 및 2차측의 각각에 배치된 1차측 단로기와, 2차측 단로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1차측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1차측 접지 개폐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와 2차측 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2차측 접지 개폐기를 가지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측과 2차측의 각 단로기 및 각 접지 개폐기를 서로 연동시켜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동작의 개시 또는 종료시간 조정 가능한 구동구조를 가지고, 상기 1차측과 2차측의 각 단로기 및 각 접지 개폐기를 구동시키는 조작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5. 단로기와 접지 개폐기를 가지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의 각각의 가동측 전극에 접속되어 상기 각각의 가동측 전극을 구동하는 구동레버와,
    상기 구동레버를 구동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그 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1 중계레버와,
    상기 제 1 중계레버를 구동하는 링크로드와,
    상기 링크로드를 길이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2 중계레버와,
    상기 제 2 중계레버를 구동하는 중계축과,
    상기 중계축을 회전시키는 조작장치를 가지고, 상기 중계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의 각각의 가동측 전극을 연동시켜 구동시키는 구동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6.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의 1차측 및 2차측의 각각에 배치된 1차측 단로기와, 2차측 단로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1차측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1차측 접지 개폐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와 2차측 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2차측 접지 개폐기를 가지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측과 2차측 단로기 및 1차측과 2차측 접지 개폐기의 각각의 가동측 전극에 접속되어 상기 각각의 가동측 전극을 구동하는 구동레버와,
    상기 구동레버를 구동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그 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1 중계레버와,
    상기 제 1 중계레버를 구동하는 링크로드와,
    상기 링크로드를 길이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2 중계레버와,
    상기 제 2 중계레버를 구동하는 중계축과,
    상기 중계축을 회전시키는 조작장치를 가지고, 상기 중계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1차측과 2차측 단로기 및 1차측과 2차측 접지 개폐기의 각각의 가동측 전극을 서로 연동시켜 구동시키는 구동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7. 단로기와 접지 개폐기를 가지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의 각각의 고정측 전극에 개폐 가능하게 구동하는 3위치형 개폐수단과,
    상기 3위치형 개폐수단을 구동하는 구동레버와,
    상기 구동레버를 구동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그 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1 중계레버와,
    상기 제 1 중계레버를 구동하는 제 1 링크로드와,
    상기 제 1 링크로드를 길이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2 중계레버와,
    상기 제 2 중계레버를 구동하는 중계축과,
    상기 중계축을 회전시키는 제 3 중계레버와,
    상기 제 3 중계레버를 구동하는 제 2 링크로드와,
    상기 제 2 링크로드를 길이방향으로 구동하는 조작장치를 가지고,
    상기 제 2 링크로드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의 각각의 가동측 전극을 서로 연동시켜 구동시키는 구동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8.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의 1차측 및 2차측의 각각에 배치된 1차측 단로기와, 2차측 단로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1차측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1차측 접지 개폐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2차측 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2차측 접지 개폐기를 가지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측과 2차측 단로기 및 1차측과 2차측 접지 개폐기의 각각의 고정측 전극에 개폐 가능하게 구동하는 3위치형 개폐수단과,
    상기 3위치형 개폐수단을 구동하는 구동레버와,
    상기 구동레버를 구동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그 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 1 중계레버와,
    상기 제 1 중계레버를 구동하는 제 1 링크로드와,
    상기 제 1 링크로드를 길이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2 중계레버와,
    상기 제 2 중계레버를 구동하는 중계축과,
    상기 중계축을 회전시키는 제 3 중계레버와,
    상기 제 3 중계레버를 구동하는 제 2 링크로드와, 상기 제 2 링크로드를 길이방향으로 구동하는 조작장치를 가지고,
    상기 제 2 링크로드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1차측과 2차측 단로기 및 1차측과 2차측 접지 개폐기의 각각의 가동측 전극을 서로 연동시켜 구동시키는 구동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9. 단로기와 접지 개폐기를 가지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의 각각의 고정측 전극에 개폐 가능하게 구동하는 3위치형 개폐수단과,
    상기 3위치형 개폐수단을 구동하는 구동레버와,
    상기 구동레버를 구동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그 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레버를 가지고,
    상기 조작레버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단로기 및 접지 개폐기의 각각의 가동측전극을 서로 연동시켜 구동시키는 구동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10.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의 1차측 및 2차측의 각각에 배치된 1차측 단로기와, 2차측 단로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1차측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1차측 접지 개폐기와, 상기 부하 개폐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와 2차측 단로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2차측 접지 개폐기를 가지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측과 2차측 단로기 및 1차측과 2차측 접지 개폐기의 각각의 고정측 전극에 개폐 가능하게 구동하는 3위치형 개폐수단과,
    상기 3위치형 개폐수단을 구동하는 구동레버와,
    상기 구동레버를 구동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그 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레버를 가지고, 상기 조작레버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1차측과 2차측 단로기 및 1차측과 2차측 접지 개폐기의 각각의 가동측 전극을 서로 연동시켜 구동시키는 구동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KR1020020078782A 2001-12-12 2002-12-11 개폐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수변전설비 Withdrawn KR200300512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78506A JP4130735B2 (ja) 2001-12-12 2001-12-12 開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受変電設備
JPJP-P-2001-00378506 2001-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278A true KR20030051278A (ko) 2003-06-25

Family

ID=1918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782A Withdrawn KR20030051278A (ko) 2001-12-12 2002-12-11 개폐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수변전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30112574A1 (ko)
JP (1) JP4130735B2 (ko)
KR (1) KR20030051278A (ko)
CN (2) CN1681057A (ko)
TW (1) TWI24824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025B1 (ko) * 2007-09-21 2010-05-28 박정주 접지가 형성된 기중절연형 간이 수변전장치
KR101008234B1 (ko) * 2008-12-01 2011-01-14 (주)제이씨파워 접지가 형성된 특별고압 수변전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9367B1 (en) * 1999-11-04 2006-07-18 Abb Technology Ag Electric plant and method and use in connection with such plant
KR100633762B1 (ko) 2004-10-21 2006-10-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스위치 메카니즘의 동시 투입방지용 인터록 장치를 포함한자동 부하전환 개폐기
JP4666487B2 (ja) * 2005-09-06 2011-04-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開閉装置
FR2892225B1 (fr) * 2005-10-14 2008-09-12 Areva T & D Ag Sectionneur de terr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sectionneur de terre
DE202006008709U1 (de) * 2006-05-29 2006-08-17 Siemens Ag Anschlussschaltfeld für Mittelspannungsschaltanlagen
GB0614193D0 (en) 2006-07-18 2006-08-23 Martin Energy Ltd Aggregated management system
JP5114305B2 (ja) * 2008-06-16 2013-01-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断路器
US8248760B2 (en) * 2010-07-07 2012-08-21 Eaton Corporation Switch arrangement for an electrical switchgear
JP5921269B2 (ja) * 2012-03-14 2016-05-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イッチギヤ
KR101379158B1 (ko) * 2012-03-26 2014-04-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단로기 및 접지개폐기를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의 계기용 변성기
CN106549328B (zh) * 2016-10-11 2018-10-02 河南平芝高压开关有限公司 一种集成式操作机构箱及使用该操作机构箱的开关设备
CN111064164B (zh) * 2019-11-12 2021-11-12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双重保护箱式变电站
CN111044820A (zh) * 2019-12-19 2020-04-21 深圳供电局有限公司 变电站智能二次接口故障排除装置及方法
CN111916301B (zh) * 2020-07-30 2023-02-10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调相电连接装置
CN112582201B (zh) * 2020-11-30 2024-06-04 Abb瑞士股份有限公司 开关设备
US11476647B1 (en) 2021-04-22 2022-10-18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aintenance grounding device in motor control center with integrated interlock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925B2 (ja) * 1988-03-11 1996-03-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44707A (ja) * 1990-04-20 1992-01-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US5450281A (en) * 1991-08-28 1995-09-12 Hitachi, Ltd. Receiving and transforming apparatus
US5559669A (en) * 1992-08-26 1996-09-24 Inami; Yoshiaki Compressed gas insulation switchgear
JPH0674012A (ja) 1992-08-27 1994-03-15 Suzuki Motor Corp 内燃機関の始動補助装置
JPH08214425A (ja) 1995-01-31 1996-08-20 Mitsubishi Electric Corp 接地開閉器付断路器
JPH0928011A (ja) 1995-07-13 1997-01-28 Fuji Electric Co Ltd ガス絶縁開閉装置の断路器および接地開閉器
JPH0974620A (ja) 1995-09-07 1997-03-18 Meidensha Corp 開閉装置
US5898565A (en) * 1996-06-27 1999-04-2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Gas insulated switchgear apparatus
JPH11355926A (ja) 1998-06-04 1999-12-24 Toshiba Corp ガス絶縁開閉器
JP3835036B2 (ja) * 1999-01-29 2006-10-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3204611A (ja) * 2002-01-09 2003-07-18 Hitachi Ltd 開閉装置並びにその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025B1 (ko) * 2007-09-21 2010-05-28 박정주 접지가 형성된 기중절연형 간이 수변전장치
KR101008234B1 (ko) * 2008-12-01 2011-01-14 (주)제이씨파워 접지가 형성된 특별고압 수변전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189427A (ja) 2003-07-04
CN1426144A (zh) 2003-06-25
CN1681057A (zh) 2005-10-12
TWI248246B (en) 2006-01-21
JP4130735B2 (ja) 2008-08-06
TW200301031A (en) 2003-06-16
US20030112574A1 (en) 2003-06-19
CN1240168C (zh) 2006-02-01
US7130172B2 (en) 2006-10-31
US20050201028A1 (en)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51278A (ko) 개폐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수변전설비
AU767235B2 (en) Integral load connector module
AU2009334695B2 (en) Medium-voltage electric distribution cubicle
EP1218995B1 (en) Gas-insulated switchgear device
CN102420398B (zh) 气体绝缘的中压开关设备
WO2001050562A1 (en) Isolator switch
CN108281320B (zh) 用于气体绝缘开关设备的3路切断器与接地开关
CA1253953A (en) Electrical distribution panel and switching method
CN111130004A (zh) 一种气体绝缘开关柜
CN113917300B (zh) 一种气体绝缘高压开关与电力变压器的直连装置
EP3843117B1 (en) Load-break switch without sf6 gas having a vacuum circuit interrupter for medium-voltage switching systems
US6399911B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apparatus
KR200196865Y1 (ko) 퓨즈내장형 계기용변압기의 개폐장치
KR101012117B1 (ko) 가스절연기기
EP4432324B1 (en) Switchgear architecture
CN102208771A (zh) 开关装置及开关装置的联动试验方法
KR20110075821A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단로기 및 접지개폐기
KR101960058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구동부와 보조 접점의 원거리 분리 동작 구조
KR100791083B1 (ko) 전원 개폐용 스위치
JP2004236398A (ja) 受電設備
JP2007179934A (ja) 開閉装置
KR200293408Y1 (ko) 단로기의 제어회로
JP4460801B2 (ja) 複合型ガス絶縁開閉装置
HK1078985A (en) Switchgear and receiving transform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H05115112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