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22754A -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및 수소화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및 수소화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2754A
KR20030022754A KR1020020085210A KR20020085210A KR20030022754A KR 20030022754 A KR20030022754 A KR 20030022754A KR 1020020085210 A KR1020020085210 A KR 1020020085210A KR 20020085210 A KR20020085210 A KR 20020085210A KR 20030022754 A KR20030022754 A KR 20030022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aromatic polycarboxylic
polycarboxylic acid
hydrogenated aromatic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5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6854B1 (ko
Inventor
자이마후미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2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85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347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formation of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347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formation of carboxyl groups
    • C07C51/36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formation of carboxyl groups by hydrogenation of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7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07/87Benzo [c] furans; Hydrogenated benzo [c] furans
    • C07D307/89Benzo [c] furans; Hydrogenated benzo [c] furans with two oxygen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s 1 and 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Furan Compounds (AREA)

Abstract

고순도의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및 이의 산무수물을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또한 고수율로 제조하는 방법을 발표한다. 본 발명은 (1)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로듐 혹은 팔라듐 또는 이들 양쪽을 모두 포함하는 귀금속이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100중량부당 0.5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된 촉매의 존재하에 회분식 장치에서 1MPa 이상의 수소분압에서 수소화처리하고, 또한 (2)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로듐 혹은 팔라듐 또는 이들 양쪽을 모두 포함하는 귀금속이 함유된 촉매가 충전된 충전탑에 1 내지 100-1WHSV로 공급하여 상기 폴리카르복실산을 연속유동식 장치에서 1MPa 이상의 수소분압하에 수소화처리함으로써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제조하는 방법과, 또한 상술한 방법으로 수득된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카르복실기에 대하여 0.64 내지 5.7배몰의 아세트산 무수물을 이용하여 탈수반응시켜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및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ODUCING HYDROGENATED AROMATIC POLYCARBOXYLIC ACID AND PROCESS FOR PRODUCING HYDROGENATED AROMATIC POLYCARBOXYLIC ANHYDRIDE}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방향족 고리가 수소화 된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및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투명성 및 용매가용성 같은 특성을 가진 기능성 폴리아미드의 원료 및 투명성을 가진 기능성 에폭시수지 용도의 경화제 등으로 사용되는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및 그의 산무수물을 고순도 및 고수율로, 또한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및 이의 알칼리금속산 혹은 에스테르 유도체가 핵-수소화되는 방법은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으로 널리 알려져있다.
예컨대, 피로멜리트산 혹은 테트라에틸 피로멜리테이트가 200 atm의 수소압력 및 150℃ 온도, 또한 레이니 니켈 촉매 (유기화학 저널, 28권 p1770 (1963) 참조)의 이용에 수반하는 반응시간이 3일인 조건하에서 수소화되는 방법, 또한 피로멜리트산 수용액이 2.7atm 의 수소압력 및 60℃ 온도, 또한 로듐 촉매 (유기화학 저널, 31권 p3438 (1966) 참조) 존재하의 반응시간이 1.5시간인 조건하에서 수소화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피로멜리트산 제2무수물을 1-프로판올로 에스테르화 하고 이의 에스테르 유도체를 100kg/cm2G 의 수소압력 및 130℃ 온도에서, 또한 루테늄 촉매의 존재하에 2.5시간 동안 반응시켜 수소화처리 하는 방법 (일본특개공 325196/1996 및 325201/1996) 역시 공지되어 있다.
그 밖에도, 트리멜리트산을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물의 혼합용매에 용해하고 140 psig의 수소압력 및 60℃의 온도, 또한 940m2/g 이상의 표면적을 가진 탄소 상에 담지된 5중량% 로듐촉매의 존재하에서 (USP 5412108) 수소화처리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이 원료로써 사용되는 기능성 폴리이미드 및 기능성 에폭시수지 경화제 분야에서, 불순물의 양이 적은 원료가 바람직하다. 미반응된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으로부터 결정화 반응을 이용하여 분리하기는 곤란하며, 따라서 고순도의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수득하기 위하여는 수소화 처리반응의 전환율을 99.8% 이상으로 증대시켜야 한다. 또한, 알칼리금속류, 할로겐류 및 회분류의 함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예컨대 유기화학 저널 28권 p1770 (1963)에서 기술한 방법의 경우, 원료를 용해할 때 사용되는 알칼리에서 유래되는 알칼리금속 및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을 반응액으로부터 회수할 때 사용되는 산에서 유래되는 염소에 기인하는 오염은 피할 수가 없다.
또한, 유기화학 저널 31권 p3438 (1966)에서 기술한 방법에서는, 수소화반응의 전환율 및 선택도가 만족할만한 수준이 아니고 미반응된 피로멜리트산이 남아있다. 미반응된 피로멜리트산을 결정화를 통해 핵-수소화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으로부터 분리하기는 곤란하며, 따라서 고순도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을 수득하기 위하여는 수소화 처리반응의 전환율을 99.8% 이상으로 증대시켜야 한다.
그 외에도, 일본 특개평 325196/1996 및 325201/1996 에서 개시한 에스테르 유도체를 통한 방법은 반응단계가 길고 반응장치가 복잡하므로 상기 방법이 생산비용 측면에서 반드시 유리한 것만은 아니다.
또한 추가로, 반응장치에서 용출된 철, 크롬, 니켈 및 몰리브덴 같은 금속은 불순물로 간주되나, 이들은 큰 내산성을 갖는 물질로 반응장치를 제작함으로써 피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촉매가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제조하기 위해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핵-수소화 처리시 반복 사용되는 경우, 촉매의 활성도가 큰 수차례 감소되고 또한 수소화 반응 전환율이 큰 폭으로 낮아지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수소화 반응에 사용되는 촉매의 활성화 측면에서, USP 5412108에서는 촉매를 극성용매 예컨대 에테르, 에스테르, 지방족 카르복실산, 케톤류, 및 벤젠, 톨루엔, 실렌 같은 방향족 화합물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촉매를 반복하여 사용할수 있다고 개시하였다. 그러나, 촉매를 용매와 다른 또다른 용매로 세척하는 것이 공업적 프로세서 측면에서 반드시 유리한 것은 아니다. 별도로, 일본특개평 159059/1989 에서는 방향족 화합물의 부분적 핵-수산화 반응에 사용되고 활성이 감소되는 루테늄 수소화 반응 촉매를, 액상으로 예컨대 촉매를 적절한 액체 내에 분산 시키는 상태 혹은 촉매를 액체에 침지시키는 상태와 같이 즉, 적어도 촉매의 표면을 액체로 덮는 상태에서 산소와 접촉시켜 재생할 수 있음을 개시한다.
다른 한편, 산무수물은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탈수반응하여 수득하는 것이 공지되었다. 예를 들어, 1,2,4,5-시클로헥산테트로카르복실산 제2무수물은 1,2,4,5-시클로헥산테트로카르복실산을 고리화 탈수반응시켜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열처리 반응 혹은 탈수화제를 사용하는 반응은 고리산 무수물을 합성하기 위해 방향족 혹은 비-방향족 (지방족 고리화합물) 6원 고리에 근접하고 또한 이에 결합되는 카르복실기를 탈수처리 및 고리-폐쇄할 때에 사용된다. 가열 환류방법은 탈수화제로서 아세트산 무수물 및 프로피온산 무수물 같은 산무수물의 공존하에서 실행하는 방법이 잘 알려져 있다. 이 경우, 50℃ 이상의 비점을 갖는 탄화수소, 할로겐화 탄화수소, 에스테르, 케톤, 에테르 및 지방족 산류를 용매로서 첨가하기도 한다.
가열환류를 아세트산 무수물을 사용하여 실행하는 방법은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을 고리화 탈수반응하는 방법으로 공지되었다. (일본특공보 23339/1995 및 일본특개평 325196/1996).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을 원료로 사용하는 기능성 폴리이미드류 분야에서, 불순물의 양이 적고 고순도를 갖는 원료가 요구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의 간단한 열처리는 결정의 착색화를 가져온다. 또한, 일본특개평 325196/1996에서 설명한대로,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을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에 근거하여 10배의 양(중량비)의 아세트산 무수물로 고리화 탈수반응시키는 경우 탈수반응이 아무런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진행되나, 아세트산 무수물 내에서 목적 생성물인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 제2무수물이 고용해도를 갖기 때문에 상기 무수물의 결정은 쉽게 회수되지 않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1,2,4,5-시클로헥산테트로카르복실산 제2무수물 결정의 회수율을, 결정 분리후 반응액의 응축 및 모액의 응축 등의 방법을 응용하여 증대시키는 것을 고려하나, 장치 갯수의 증대 및 프로세스가 길어지고 또한,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 제2무수물의 결정이 착색되거나 혹은 불순물이 산무수물의 결정속으로 함입되어 결정순도를 떨어뜨리는 문제 등의 측면에서 공업적 생산 프로세스로는 유리하지 않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로는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을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수득하기가 곤란하였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고순도 및 고수율로서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또한 제2 목적은 간단한 공정에 의해 고순도 및 저비용으로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집중적으로 연구를 거듭한 결과, 상기 제1 목적은, 일정값 이상의 수소압력 조건하에서 예정량의 특별한 귀금속 촉매의 존재하에 회분식(batch type) 장치에서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수소화 처리하거나, 또는 연속유동식 장치에서 예정된 중량시간 공간속도(WHSV)로 특별한 귀금속 촉매를 채운 충전탑에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공급하여 역시 일정값 이상의 수소압력 조건하에서 이것을 수소화 처리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들 공정에서, 수소화 처리에 사용되는 촉매의 활성화 처리시 수소화 처리에 반복하여 사용하더라도 고반응전환율을 유지할 수 있음도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2 목적이,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으로서 상술한 방법에 의해 수소화처리된 산을 사용하고 또한 산성 무수물에 대한 상기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사용비율을 최적화하며 또한, 반응용매로서 바람직하게는 빙초산을 사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발견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1) 회분식 장치에서의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수소화처리시에,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로듐 혹은 팔라듐 또는 이들 양쪽을 모두 포함하는 귀금속이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100중량부당 0.5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된 촉매의 존재하에 1MPa 이상의 수소분압에서 수소화처리하는,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과; 또한
(2) 연속유동식 장치에서의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수소화처리시에,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로듐 혹은 팔라듐 또는 이들 양쪽을 모두 포함하는 귀금속이 함유된 촉매를 채운 충전탑에 상기 귀금속 1중량부당 1 내지 100중량부의 속도로 공급하고 상기 폴리카르복실산을 1MPa 이상의 수소분압에서 수소화처리하는,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1) 및 (2)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활성화 처리되는 수소화 처리용 촉매를 촉매로서 재사용할 수 있다.
다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3) 산무수물의 탈수반응에 의한 제조시에,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로듐 혹은 팔라듐 또는 이들 양쪽을 모두 포함하는 귀금속이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100중량부당 0.5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된 촉매의 존재하에 회분식 장치에서 1MPa 이상의 수소분압에서 수소화처리함으로써 수득되는 것을 상술한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으로 사용하고; 또한 상기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카르복실기에 대하여 0.64 내지 5.7배몰의 아세트산 무수물과 함께 탈수반응시키는 것으로 된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 제조방법과; 또한
(4) 산무수물의 탈수반응에 의한 제조시에,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로듐 혹은 팔라듐 또는 이들 양쪽을 모두 포함하는 귀금속이 함유된 촉매가 충전된 충전탑에 상기 귀금속 1중량부 당 1 내지 100중량부의 속도로 공급하고 연속유동식 장치내에서 상기 폴리카르복실산을 1MPa 이상의 수소분압하에 수소화처리하여 수득되는 것을 상기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으로 사용하고; 또한 상기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카르복실기에 대하여 0.64 내지 5.7배몰의 아세트산 무수물과 함께 탈수반응시키는 것으로 된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3) 및 (4)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탈수반응은 빙초산 용매 내에서 실행되는 것이다.
먼저,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은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방향족 고리를 탈수하여 수득되는 것을 말하며 방향족 고리가 완전 수소화되어 시클로헥산 고리 구조의 골격을 갖는 화합물 및 방향족 고리가 부분적으로 수소화되어 시클로헥산 혹은 시클로헥사디엔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원료로서 사용되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은 방향족 고리 상에 2개 이상의 카르복실기가 도입되는 화합물일 수도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 목적에 따라 각종 화합물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예로서 적절한 것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2,3-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8-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안트라센디카르복실산, 4,4'-벤조페논 디카르복실산, 3,3'-비페닐디카르복실산, 4,4'-비페닐디카르복실산, 3,3'-비페닐에테르 디카르복실산, 4,4'-비페닐에테르 디카르복실산 및 4,4'-비나프틸디카르복실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트리멜리트산, 1,2,3-벤젠트리카르복실산, 트리메신산, 2,5,7-나프탈렌트리카르복실산 및 1,2,4-나프탈렌 트리카르복실산 같은 트리카르복실산; 피로멜리트산, 3,3',4,4'-벤조페논 테트라카르복실산, 2,2',3,3'-벤조페논 테트라카르복실산, 2,3,3'4'-벤조페논 테트라카르복실산, 3,3',4,4'-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2,2',3,3'-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2,3,3'4'-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4,4'-옥시디프탈산, 디페닐메탄 테트라카르복실산, 1,4,5,8-나프탈렌 테트라카르복실산, 1,2,5,6-나프탈렌 테트라카르복실산, 2,3,6,7-나프탈렌 테트라카르복실산, 3,4,9,10-페릴렌 테트라카르복실산, 안트라센 테트라카르복실산 및 4,4'-(헥사플루오로 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등의 테트라카르복실산; 또한 벤젠펜타카르복실산 및 벤젠헥사카르복실산 등의 폴리카르복실산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피로멜리트산, 트리멜리트산 및 트리메신산은 결과로 나온 수소 화합물의 공업적 활용성 측면에서 적절하다. 이들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은 통상 시중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품질등급이어도 좋다.
반응용매는 본 발명에서의 수소화 반응에 적절히 사용되며 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원료의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은 용매에 용해 혹은 분산되기도 한다. 이 경우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농도는 5 내지 50중량% 정도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중량% 이다.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은 수소화 반응 후 냉각 혹은 응축처리에 의해 결정화 될 수 있고 또한 결정을 분리한 뒤 수득되는 모액을 순환시켜 사용하기도 한다. 모액을 반응기에 공급하는 비율은 반응장치 내의 불순물의 축적도에 따라 적절히 결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로듐 혹은 팔라듐 또는 이들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귀금속이 함유된 촉매가 수소화 반응촉매로 사용되고 또한, 상술한 귀금속을 담체에 담지시켜 제조한 촉매가 특별히 바람직하다. 탄소 및 알루미나가 바람직한 담체이다. 촉매는 특별히 그 형상에 있어서 한정되지 않으나 분체, 입자 및 펠릿 형태 등이 수소화 반응을 위한 고정탑에 충전하기에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담체에 담지될 양은 촉매 전체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중량% 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반응방식은 2가지 방식 즉 회분식 장치 (준-연속유동식 장치를 포함) 및 연속유동식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식을 포함한다.
첫째로, 회분식 장치에서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은 로듐 혹은 팔라듐 또는 이들 양쪽을 모두 포함하는 귀금속이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100중량부당 약 0.5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서 함유된 촉매의 존재하에서 1MPa 이상의 수소분압하에 수소화 처리된다. 만일 상기 귀금속의 양이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100중량부당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수소화 반응은 충분히 진행되지 않는다. 또한 상한값은 10중량부면 충분하며 만일 이를 초과할 경우 경제적으로 유리하지 못하다. 상기 귀금속의 바람직한 사용량은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100중량부당 0.5 내지 5중량부이다.
한편, 수소분압이 1MPa 미만이면, 소요의 반응 전환율이 얻어지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따라서 달성될 수 없다. 바람직한 수소분압은 1 내지 15MPa 이다. 반응온도는 바람직하게 40 내지 120℃ 범위이다. 반응시간은 반응온도 및 기타의조건에 따라 변화하며 정확하게 결정될 수 없으나 보통 30 내지 360분의 범위이면 충분하다.
다음으로, 연속유동식 장치에서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은 로듐 혹은 팔라듐 또는 이들 양쪽을 모두 포함하는 귀금속이 함유된 촉매가 충전된 탑에 대해 상기 귀금속의 1중량부당 1 내지 100중량부/시간의 속도 즉, 1 내지 100h-1의 중량시간공간속도(WHSV)로서 공급되어 상기 폴리카르복실산을 1MPa 이상의 수소분압하에 수소화 시킨다.
만일 상기 WHSV값이 1h-1미만이면 제조효율이 떨어져 실용적이지 못하다. 반대로 100h-1를 초과할 경우 소요의 반응 전환율이 얻어지지 않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바람직한 WHSV 값의 범위는 3 내지 50h-1이다.
수소분압 및 반응온도는 상술한 회분식 장치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액체 충전장치 및 액체 통과장치의 연속 반응을 비교할 때 액체 통과장치가 더 바람직하다.
상기 회분식 장치 및 연속유동식 장치에 있어서, 수소화 처리용 촉매는 활성화 처리를 거치면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활성화 처리방법으로서 촉매를 공기와 접촉시키고, 산화제로 처리하고, 질소기체와 접촉시키고, 수증기 및 알칼리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공기와 접촉시키는 방법에서, 분리된 촉매는 유리재질 등의 용기에 넣고 공기의 존재하에 수시간 정도 그대로 두기만 하면 된다 혹은 예컨대, 가압여과법 혹은 감압여과법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공기를 촉매탑에 강제 통과시킬 수도 있다. 상기 산화제의 한 예로서 과산화수소를 들 수 있다.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및 수성 암모니아는 알칼리액의 예가 된다. 바람직하게, 촉매를 알칼리액으로 세척하는 경우, 촉매를 알칼리액으로 세척한 후 아세트산 등의 지방족 저급 카르복실산으로 다시 세척하여 잔류하는 알칼리액을 가능한 한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물로 세척한다.
이들 활성화 처리방법 중에서도, 공기와 접촉시키는 방법, 산화제로 처리하는 방법, 또한 이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활성화 효과 측면에서 적합하다.
수소 반응장치 용도의 내산성 물질로는 내식성 니켈합금 및 이의 성형품, 초스텐레스강 및 이의 성형품, 세라믹, 도자기류, 유리류 등의 유리재질 및 이의 성형품 등을 포함한다. 내식성 니켈합금의 구체적인 예로는 MAT 21 (미츠비시 머티리얼사 제품), 하스텔로이 C-2000, 하스텔로이 C, 하스텔로이 C-276, 하스텔로이 C-22, 하스텔로이 B 및 하스텔로이 B-2 등의 하스텔로이강 (하이네스 인터내셔널사 제품), 또한 인코넬 686 같은 인코넬강 (인터내셔널 니켈 컴퍼니사 제품) 등이 있다. 또한 초스텐레스강의 구체적인 예로는 254N 및 NAS 354N (니폰 야킨 공업사 제품), 아베스타 254SMO (아베스타사 제품), 또한 HR8N 및 HR254 (스미토모 금속공업사 제품) 등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종래의 내압용기로서 상술한 내산성 재료를 철이나 스텐레스강 위에 덧댄 반응용기가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물을 반응용매로 사용할 경우, 결과로 나온 생성물인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이 상기 용매인 물에 용해되며 따라서 필요하다면 귀금속 분리후 여액을 냉각 혹은 응축시켜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결정을 침전시킨다. 침전물은 고-액 분리함으로써 목적하는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수득할 수 있다.
수득된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은 완전 혹은 부분적 수소화 처리된 생성물이다. 원료가 예컨대, 나프탈렌 골격을 가진 폴리카르복실산인 경우, 테트랄린 골격을 가진 화합물이 부분적 수소화처리된 생성물로서 얻어질 것이다. 또한, 원료가 비페닐 골격 혹은 2개의 벤젠고리가 각종 결합기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의 골격을 가진 폴리카르복실산인 경우, 하나가 벤젠고리이고 다른 하나는 시클로헥산 고리인 구조의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수득한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은 탈수반응을 거쳐서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탈수반응은 아세트산 무수물 같은 탈수제의 공존하에 가열 및 환류를 통하여 혹은 감압하에 가열함으로써 실행된다.
다음으로,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해 수득된 고순도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회분식 혹은 연속유동식 장치를 이용하여) 원료인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으로 사용된다. 다시 말하여, (1) 회분식 장치를 이용하여, 로듐 혹은 팔라듐 또는 이들 양쪽을 모두 포함하는 귀금속이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100중량부에 대해 0.5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된 촉매의 존재하에서 1MPa 이상의 수소분압으로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수소화 처리하여 수득된 화합물을 사용하거나; 혹은 (2) 연속유동식 장치를 이용하여, 로듐 혹은 팔라듐 또는 이들 양쪽을 모두 포함하는 귀금속이 함유된 촉매가 충전된 충전탑에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상기 귀금속 중량부당 1 내지 100중량부/시간의 속도로 공급해서 상기 폴리카르복실산을 수소화 처리하여 수득된 화합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원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앞서의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제조방법에 대한 상세설명에서 원료의 예로 소개한 다양한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완전 혹은 부분적 수소화처리된 생성물로부터 그 결과로 수득한 산무수물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들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바람직한 예로서, 이소프탈산, 프탈산, 2,3-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안트라센 디카르복실산, 트리멜리트산, 1,2,3-벤젠 트리카르복실산, 트리메신산, 1,2,4-나프탈렌 트리카르복실산, 피로멜리트산, 3,3',4,4'-벤조페논 테트라카르복실산, 2,2',3,3'-벤조페논 테트라카르복실산, 2,3,3'4'-벤조페논 테트라카르복실산, 3,3',4,4'-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2,2',3,3'-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2,3,3'4'-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4,4'-옥시디프탈산, 디페닐메탄 테트라카르복실산, 1,2,5,6-나프탈렌 테트라카르복실산, 2,3,6,7-나프탈렌 테트라카르복실산, 3,4,9,10-페릴렌 테트라카르복실산, 안트라센-테트라카르복실산, 4,4'-(헥사플로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벤젠 펜타카르복실산 및 벤젠 헥사카르복실산 등을 포함한다.
원료의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은 수소화 반응후 고-액 분리되는 습윤 상태 (웨트 케이크)이거나 또는, 건조기로 1차 건조된 결정상태 중 어느 쪽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술한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은 이것의 카르복실기에 기초하여 0.64 내지 5.7배몰의 아세트산 무수물과 함께 탈수반응을 거쳐서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을 생산하게 된다. 이때, 시중에서 사용되는 등급의 아세트산 무수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아세트산 무수물의 양이 상기 범위보다 작을 경우 반응율이 충분히 크지 않으며, 반면에 상기 범위보다 클 경우 결과로 나온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을 회수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양쪽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탈수반응을 바람직하게 수행하기 위한 반응온도는 80 내지 150℃ 이 적당하다.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및 아세트산 무수물의 현탁액을 단순가열하거나 아세트산 무수물을 가열환류해도 된다. 탈수반응에서, 아세트산 무수물 내에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현탁하여 된 슬러리를 교반가열하고 탈수온도에 도달하면, 이 상태를 1 내지 60분간 유지함으로써 탈수반응을 완료한다.
이 탈수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질소기체 같은 불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실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빙초산을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빙초산의 양은 바람직하게 아세트산 무수물의 0.5 내지 10.0배 (중량비)이다. 빙초산사용량이 증가하면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의 빙초산내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탈수반응을 슬러리 상태에서 실행한다. 그러나,이경우에도 탈수반응은 정상적으로 완료되며 따라서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각각 비등점이 50℃ 이상인 탄화수소, 할로겐화 탄화수소, 에스테르, 케톤, 에테르 및 지방족 산류를 2차 용매로서 첨가할 수 있다.
탈수반응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하여 산무수물의 결정을 침전시키고 이를 고-액 분리함으로써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을 수득한다. 산무수물 및 아세트산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면 침전되는 결정량이 증가하고 그 결과 공정상 유리하다.
결정이 분리될 모액은 순환 및 재사용이 가능하다. 모액이 탈수반응기로 되돌아하는 비율은 장치내 축적된 불순물의 정도에 따라 이상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수득된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은 분자간 산무수물 혹은 분자내에 고리형 산무수물기가 함유된 산무수물일 수도 있다. 폴리이미드 원료로서 및 에폭시수지 경화제로서 사용되는 경우 상기와 같이 분자내에 고리형 산 무수물기가 함유된 산무수물이 적절하다. 방향족 고리에 결합되고 또한 서로 인접하는 적어도 한쌍의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완전 수소화된 화합물 혹은 부분 수소화된 화합물이, 분자내에 고리형 산무수물기가 함유되는 상기의 산무수물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의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의 대표적인 방법의 예로서, 원료의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으로 피로멜리트산을 수소화 처리하여 수득된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을 사용하고 또한 이것을고리화 탈수반응시켜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 제2무수물을 제공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행하면 간단한 공정 및 공업적으로 유리한 방법을 이용하여 고순도의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및 이의 산무수물이 각각 고순도 및 우수한 수율로 또한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제조되며 이것을 투명도 및 용매용해도 같은 특성을 갖는 기능성 폴리이미드의 원료로서 및 투명도를 갖는 기능성 에폭시수지 용도의 경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시또,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귀금속 촉매량 (중량%)은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100중량부당 귀금속의 중량부로 표시하며 또한, WHSV (h-1)은 귀금속의 중량부에 대한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중량부/시간을 표시한다.
실시예
실시예 1
하스텔로이 C-22로 제작된 5리터 (교반기 장착된) 오토클레이브에 276g의 파피로멜리트산, 1656g의 물, 100g의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 (수성물, 수분함량:50.5중량%, N.E.CHEMCAT사 제조)를 충전하고, 교반하면서 장치내에 질소기체를2회 치환한 후 다시 수소기체를 3회 치환했다. 수소압력을 4.9MPa로 유지하면서 온도를 상승시켜서 수소화 반응을 60℃에서 60분동안 시행했다. 이 반응액을 오토클레이브에서 꺼내고, 진공 여과장치(필터:5B 여과지)를 이용하여 상기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여과 및 분리하므로써 무색 및 투명의 여액을 수득했다.
이 여액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피로멜리트산의 전환율이 99.92%이고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의 선택도가 98.3%임을 확인하였다. (Rh 촉매의 양:0.90중량%, 반응수율:98.2%).
이 여액은 감압조건하에서 회전식 증발기로 응축하여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의 결정을 침전시켰다. 이 결정을 분리 및 건조하여 263g의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 결정을 수득했다. 결과로 수득된 결정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이 99.0%의 순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사용된 바와 동일한 오토클레이브에 414g의 피로멜리트산, 1656g의 물, 150g의 (상기의)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채우고, 교반하면서 장치내에 질소기체를 2회 다시 수소기체를 3회 치환했다. 수소압력을 5.1MPa로 유지하면서 온도를 상승시켜서 수소화 반응을 70℃에서 120분동안 시행했다.
이 반응액을 오토클레이브에서 꺼내고, 진공 여과장치 (필터:5B 여과지)를 이용하여 상기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여과 및 분리하므로써 무색 및 투명의 여액을 수득했다.
이 여액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피로멜리트산의 전환율이 99.90%이고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의 선택도가 98.6%임을 확인하였다. (Rh 촉매의 양:0.90중량%, 반응수율:98.5%).
이 여액은 감압조건하에서 회전식 증발기로 응축하여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의 결정을 침전시켰다. 이 결정을 분리 및 건조하여 385g의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 결정을 수득했다. 수득된 결정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이 98.7%의 순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사용된 바와 동일한 오토클레이브에 828g의 피로멜리트산, 1656g의 물, 200g의 (상기의)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충전하고, 교반하면서 장치내에 질소기체를 2회 다시 수소기체를 3회 치환했다. 수소압력을 5.0MPa로 유지하면서 온도를 상승시켜서 수소화 반응을 80℃에서 120분동안 시행했다.
이 반응액을 오토클레이브에서 꺼내고, 진공 여과장치 (필터:5B 여과지)를 이용하여 상기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여과 및 분리하므로써 무색 및 투명의 여액을 수득했다.
이 여액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피로멜리트산의 전환율이 99.89%이고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의 선택도가 97.7%임을 확인하였다. (Rh 촉매의 양:0.60중량%, 반응수율:97.6%).
이 여액은 감압조건하에서 회전식 증발기로 응축하여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의 결정을 침전시켰다. 이 결정은 분리 및 건조되어 781g의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 결정으로 수득되었다. 결과로 나온 이 결정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이 98.5%의 순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사용된 바와 동일한 오토클레이브에 276g의 피로멜리트산, 1656g의 물, 100g의 (상기의)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채우고, 교반하면서 장치내에 질소기체를 2회 다시 수소기체를 3회 치환했다. 수소압력을 3.1MPa로 유지하면서 온도를 상승시켜서 수소화 반응을 80℃에서 360분동안 시행했다.
이 반응액을 오토클레이브에서 꺼내고, 진공 여과장치 (필터:5B 여과지)를 이용하여 상기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여과 및 분리하므로써 무색 및 투명의 여액을 수득했다.
이 여액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피로멜리트산의 전환율이 99.86%이고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의 선택도가 97.9%임을 확인하였다. (Rh 촉매의 양:0.90중량%, 반응수율:97.8%).
이 여액은 감압조건 하에서 회전식 증발기로 응축하여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의 결정을 침전시켰다. 이 결정은 분리 및 건조되어 249g의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 결정으로 수득되었다. 수득된 결정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이 98.2%의 순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사용된 바와 동일한 오토클레이브에 276g의 피로멜리트산, 1656g의 물, 100g의 (상기의)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충전하고, 교반하면서 장치내에 질소기체를 2회 다시 수소기체를 3회 치환했다. 수소압력을 6.8MPa로 유지하면서 온도를 상승시켜서 수소화 반응을 50℃에서 60분동안 시행했다.
이 반응액을 오토클레이브에서 꺼내고, 진공 여과장치 (필터:5B 여과지)를 이용하여 상기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여과 및 분리하므로써 무색 및 투명의 여액을 수득했다.
이 여액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피로멜리트산의 전환율이 99.94%이고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의 선택도가 98.1%임을 확인하였다. (Rh 촉매의 양:0.90중량%, 반응수율:98.0%).
이 여액은 감압조건하에서 회전식 증발기로 응축하여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의 결정을 침전시켰다. 이 결정은 분리 및 건조되어 262g의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 결정으로 수득되었다. 수득된 결정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이 99.1%의 순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하스텔로이 C-22으로 제작된 5리터 (교반기 장착된) 오토클레이브에 276g의 피로멜리트산, 1656g의 물, 12g의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 (수성물, 수분함량:51.5중량%, N.E.CHEMCAT사 제조)를 채우고, 교반하면서 장치내에 질소기체를 2회 다시 수소기체를 3회 치환했다. 수소압력을 5.0MPa로 유지하면서 온도를 상승시켜서 수소화 반응을 80℃에서 240분동안 시행했다.
이 반응액을 오토클레이브에서 꺼내고, 진공 여과장치 (필터:5B 여과지)를 이용하여 상기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여과 및 분리하므로써 갈색 및 투명의 여액을 수득했다.
이 여액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피로멜리트산의 전환율이 18.0%이고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의 선택도가 75.6%임을 확인하였다. (Rh 촉매의 양:0.11중량%, 반응수율:13.6%).
비교예 2
하스텔로이 C-22로 제작된 5리터의 (교반기 장착된) 오토클레이브에 276g의 피로멜리트산, 1656g의 물, 12g의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 (수성물, 수분함량:51.5중량%, N.E.CHEMCAT사 제조)를 충전하고, 교반하면서 장치내에 질소기체를 2회 다시 수소기체를 3회 치환했다. 수소압력을 7.0MPa로 유지하면서 온도를 상승시켜서 수소화 반응을 120℃에서 180분동안 시행했다.
이 반응액을 오토클레이브에서 꺼내고, 진공 여과장치 (필터:5B 여과지)를 이용하여 상기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여과 및 분리하므로써 갈색 및 투명의 여액을 수득했다.
이 여액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피로멜리트산의 전환율이 27.7%이고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의 선택도가 82.5%임을 확인하였다. (Rh 촉매의 양:0.11중량%, 반응수율:22.9%).
비교예 3
하스텔로이 C-276로 제작된 18리터의 (교반기 장착된) 오토클레이브에 2.5kg의 피로멜리트산, 10kg의 물, 1.2kg의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 (수성물, 수분함량:50.4중량%, N.E.CHEMCAT사 제조)를 충전하고, 교반하면서 장치내에 질소기체를 2회 및 수소기체를 3회 치환했다. 수소압력을 4.0MPa로 유지하면서 온도를 상승시켜서 수소화 반응을 70℃에서 120분동안 시행했다.
이 반응액을 오토클레이브에서 꺼내고, 진공 여과장치 (필터:5B 여과지)를 이용하여 상기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여과 및 분리하므로써 갈색 및 투명의 여액을 수득했다.
이 여액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피로멜리트산의 전환율이 91.0%이고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의 선택도가 56.8%임을 확인하였다. (Rh 촉매양:1.2중량%, 반응수율:51.7%).
비교예 4
하스텔로이 C-276로 제작된 18리터의 (교반기 장착된) 오토클레이브에 2.5kg의 피로멜리트산, 10kg의 물, 1.2kg의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 (수성물, 수분함량:50.5중량%, N.E.CHEMCAT사 제조)를 충전하고, 교반하면서 장치내에 질소기체를 2회 다시 수소기체를 3회 치환했다. 수소압력을 0.3MPa로 유지하면서 온도를 상승시켜서 수소화 반응을 70℃에서 120분동안 시행했다.
이 반응액을 오토클레이브에서 꺼내고, 진공 여과장치 (필터:5B 여과지)를 이용하여 상기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여과 및 분리하므로써 무색 및 투명의 여액을 수득했다.
이 여액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피로멜리트산의 전환율이 69.2%이고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의 선택도가 91.3%임을 확인하였다. (Rh 촉매의 양:1.2중량%, 반응수율:63.2%).
실시예 6
하스텔로이 C-22로 제작된 반응관 (내경 16mm x 길이 320mm)에 래쉬그(raschig) 링을 이용하여 촉매탑 상부 및 하부에 10g의 0.5중량% Rh-탄소 입자형 촉매(N.E.CHEMCAT사 제조)를 충전했다. 15중량%의 피로멜리트산 수용액을 준비하여 원료혼합조에 넣고, 교반하면서 80℃까지 가열했다. 상기 혼합조의 내부는 질소분위기로 하였다. 이 피로멜리트산 수용액은 반응압력 12MPa인 상태로 유지된 반응관에 5.0g/hr의 비율로 수소기체와 함께 펌프를 이용하여 공급함으로써 고정탑 상에서 수소화 반응이 연속 시행되게 했다. 반응에 소비된 양만큼 반응관의 상부로수소를 공급하여 반응압력이 유지되도록 했다. 반응관은 100℃에서 반응이 시행되도록 가열했다. 반응관을 통해 낙하하는 반응액은 반응관의 하부와 연결된 생성물-수득용기에 저장되며 반응관의 하부에서 액상부로부터 간헐적으로 배출되었다. 이 경우, 반응기체는 생성물-수득조의 기상부로부터 조금씩 흘러나왔다.(WHSV:15hr-1)
반응개시후 6 내지 7시간동안 떨어진 반응액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피로멜리트산의 전환율이 99.85%이고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의 선택도가 95.8%임을 확인하였다. (반응수율:95.7%).
실시예 7
하스텔로이 C-22로 제작된 반응관 (내경 16mm x 길이 320mm)에 래쉬그(raschig) 링을 이용하여 촉매탑 상부 및 하부에 5g의 2중량% Rh-탄소 입자형 촉매(N.E.CHEMCAT사 제조)를 충전했다. 15중량%의 피로멜리트산 수용액을 준비하여 원료혼합조에 넣고, 교반하면서 80℃까지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조의 내부는 질소분위기로 하였다. 이 피로멜리트산 수용액은 반응압력 10MPa인 상태로 유지된 반응관에 5.0g/hr의 비율로 수소기체와 함께 펌프를 이용하여 공급함으로써 고정탑 상에서 수소화 반응이 연속 시행되게 하였다. 반응에 소비된 양만큼 반응관의 상부로수소를 공급하여 반응압력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반응관은 90℃에서 반응이 시행되도록 가열한다. 반응관을 통해 낙하하는 반응액은 반응관의 하부와 연결된 생성물-수득용기에 저장되며 반응관의 하부에서 액상부로부터 간헐적으로 배출되었다. 이 때, 반응기체는 생성물-수득조의 기상부로부터 조금씩 흘러나왔다. (WHSV:11.3hr-1)
반응개시후 6 내지 7시간 동안 낙하한 반응액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피로멜리트산의 전환율이 99.88%이고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의 선택도가 95.5%임을 확인하였다. (반응수율:95.4%).
실시예 8
하스텔로이 C-276로 제작된 18리터의 (교반기 장착된) 오토클레이브에 2.5kg의 피로멜리트산, 10kg의 물, 1.2kg의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 (수성물, 수분함량:50.5중량%, N.E.CHEMCAT사 제조)를 충전하고, 교반하면서 장치내에 질소기체를 3회 치환했다. 수소를 주입하여 수소압력을 4.0MPa로 유지하면서 온도를 상승시켜서 수소화 반응을 70℃에서 120분동안 시행했다.
이 반응액을 오토클레이브에서 꺼내고, 진공 여과장치 (필터:5B 여과지)를 이용하여 상기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여과 및 분리하므로써 무색 및 투명의 여액을 수득했다.
이 여액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피로멜리트산의 전환율이 99.94%이고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의 선택도가 94.8%임을 확인하였다.(Rh 촉매의 양:1.2중량%, 반응수율:94.7%).
이 여액은 감압조건하에서 회전식 증발기로 응축하여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의 결정을 침전시켰다. 이 결정은 분리 및 건조되어 2.2kg의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 결정으로 수득되었다. 수득된 결정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이 99.0%의 순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8의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감압조건하에서 여과처리하여 분리한 후, 유리용기상에 두고 하룻밤 동안 공기중에 노출시킨 뒤 사용한 점만 제외하고, 실시예 8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소화 반응을 시행했다.
이 반응액을 오토클레이브에서 꺼내고, 진공 여과장치 (필터:5B 여과지)를 이용하여 상기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여과 및 분리하므로써 무색 및 투명의 여액을 수득했다.
이 여액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피로멜리트산의 전환율이 99.94%이고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의 선택도가 94.8%임을 확인하였다. (Rh 촉매의 양:1.2중량%, 반응수율:94.7%).
이 여액은 감압조건하에서 회전식 증발기로 응축하여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의 결정을 침전시켰다. 이 결정은 분리 및 건조되어 2.2kg의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 결정으로 수득되었다. 수득된 결정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이 98.7%의 순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8과 동일한 반응조건으로 사용한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감압조건하에서 여과처리하여 분리한 후, 즉시 하스텔로이 C-276로 제작된 18리터의 (교반기 장착된) 오토클레이브에 2.5kg의 피로멜리트산, 10kg의 물과 함께 충전시켜 실시예 8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소화 반응을 시행했다.
이 반응액을 오토클레이브에서 꺼내고, 진공 여과장치 (필터:5B 여과지)를 이용하여 상기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여과 및 분리하므로써 갈색 및 투명의 여액을 수득했다.
이 여액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피로멜리트산의 전환율이 54.0%이고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의 선택도가 92.1%임을 확인하였다. (반응수율:49.7%).
따라서, 사용된 촉매가 공기중에 노출되는 활성화 처리를 시행하지 않고 후속반응에 즉시 이용되는 경우, 반응전환율이 촉매의 활성감소로 인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0 내지 17
앞서의 실험에 이용된 촉매를 실시예 9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공기중에 노출시켜서 활성화 처리를 시행 및 이를 반복하는 순환실험을 시행했다. 이 결과를 표 1에 요약하였다. 촉매 활성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표 1
전환율(%) 선택도(%) 순환 횟수
실시예 9 99.94 94.8 1차
실시예 10 99.96 95.0 2차
실시예 11 99.94 94.7 3차
실시예 12 99.97 94.9 4차
실시예 13 99.97 94.3 5차
실시예 14 99.95 93.9 6차
실시예 15 99.94 94.1 7차
실시예 16 99.93 94.3 8차
실시예 17 99.98 94.3 9차
실시예 18
하스텔로이 C-276로 제작된 18리터의 (교반기 장착된) 오토클레이브에 1.8kg의 트리멜리트산, 10.8kg의 물, 1.2kg의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 (수성물, 수분함량:50.5중량%, N.E.CHEMCAT사 제조)를 충전하고, 교반하면서 장치내에 질소기체를 3회 치환했다. 수소를 주입하고, 수소압력을 3.0MPa로 유지하면서 온도를 상승시켜서 수소화 반응을 70℃에서 60분동안 시행했다.
이 반응액을 오토클레이브에서 꺼내고, 진공 여과장치 (필터:5B 여과지)를 이용하여 상기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여과 및 분리하므로써 갈색 및 투명의 여액을 수득하였다.
이 여액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트리멜리트산의 전환율이 99.94%이고 1,2,4-시클로헥산 트리카르복실산의 선택도가 94.7%임을 확인하였다. (Rh 촉매의 양:1.7중량%, 반응수율:94.6%).
이 여액은 감압조건 하에서 회전식 증발기로 응축하여 1,2,4-시클로헥산트리카르복실산의 결정을 침전시켰다. 이 결정은 분리 및 건조되어 1.2kg의 1,2,4-시클로헥산트리카르복실산 결정으로 수득되었다. 수득된 결정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1,2,4-시클로헥산 트리카르복실산이 98.6%의 순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18의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감압조건하에서 여과처리하여 분리한 후, 유리용기상에 두고 하룻밤 동안 공기에 노출시킨 뒤 사용한다는 점만 제외하고, 실시예 8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소화 반응을 시행하였다.
이 반응액을 오토클레이브에서 꺼내고, 진공 여과장치 (필터:5B 여과지)를 이용하여 상기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여과 및 분리하므로써 갈색 및 투명의 여액을 수득하였다.
이 여액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트리멜리트산의 전환율이 99.95%이고 1,2,4-시클로헥산트리카르복실산의 선택도가 94.6%임을 확인하였다.(반응수율:94.6%).
또한, 실시예 18과 동일한 반응조건으로 사용한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감압조건하에서 여과처리하여 분리한 후, 즉시 하스텔로이 C-276로 제작된 18리터의 (교반기 장착된) 오토클레이브에 1.8kg의 트리멜리트산 및 10.8kg의 물과 함께 충전하여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소화 반응을 시행했다.
이 반응액을 오토클레이브에서 꺼내고, 진공 여과장치 (필터:5B 여과지)를 이용하여 상기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여과 및 분리하므로써 갈색의 여액을 수득했다.
이 여액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피로멜리트산의 전환율이 59.2%이고 1,2,4-시클로헥산트리카르복실산의 선택도가 89.9%임을 확인하였다. (Rh 촉매양:1.7중량%, 반응수율:53.2%).
따라서 촉매를, 사용된 촉매가 공기중에 계속 노출되는 활성화 처리의 시행없이, 후속반응에 즉시 사용하는 경우 반응전환율이 촉매활성의 감소로 인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0 내지 27
앞의 실험에서 사용된 촉매를 공기에 노출하여 활성화 처리를 시행하고 이를 반복하는 순환실험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도시하였다. 촉매 활성의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표 2
전환율(%) 선택도(%) 순환 횟수
실시예 19 99.95 94.6 1차
실시예 20 99.96 93.9 2차
실시예 21 99.95 94.1 3차
실시예 22 99.94 94.2 4차
실시예 23 99.94 94.0 5차
실시예 24 99.95 93.9 6차
실시예 25 99.93 94.1 7차
실시예 26 99.95 93.8 8차
실시예 27 99.94 93.8 9차
실시예 28
트리멜리트산 대신 트리메신산을 사용하는 점만 제외하고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소화 반응을 시행했다.
이 반응액을 오토클레이브에서 꺼내고, 진공 여과장치 (필터:5B 여과지)를 이용하여 상기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여과 및 분리하므로써 무색 및 투명의 여액을 수득했다.
이 여액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트리메신산의 전환율이 100.0%이고 1,3,5-시클로헥산트리카르복실산의 선택도가 97.5%임을 확인하였다. (Rh 촉매의 양:1.7중량%, 반응수율:97.5%).
이 여액은 감압조건하에서 회전식 증발기로 응축하여 1,3,5-시클로헥산트리카르복실산의 결정을 침전시킨다. 이 결정은 분리 및 건조되어 1.2kg의 1,3,5-시클로헥산트리카르복실산 결정으로 수득된다. 수득된 결정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1,2,4-시클로헥산 트리카르복실산이 98.9%의 순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9
1.2kg의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 대신 1.8kg의 5중량% Pd-탄소 분말형 촉매 (수성물, 수분함량:54.4중량%, N.E.CHEMCAT사 제조)를 사용하는 점만 제외하고, 실시예 28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소화 반응을 시행했다.
이 반응액을 오토클레이브에서 꺼내고, 진공 여과장치 (필터:5B 여과지)를 이용하여 상기 5중량% Rh-탄소 분말형 촉매를 여과 및 분리하므로써 무색 및 투명의 여액을 수득했다.
이 여액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트리메신산의 전환율이 99.96%이고 1,3,5-시클로헥산트리카르복실산의 선택도가 97.1%임을 확인하였다.(Pd 촉매의 양:2.3중량%, 반응수율:97.1%).
이 여액은 감압조건하에서 회전식 증발기로 응축하여 1,3,5-시클로헥산트리카르복실산의 결정을 침전시켰다. 이 결정은 분리 및 건조되어 1.2kg의 1,3,5-시클로헥산트리카르복실산 결정으로 수득되었다. 이 결정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1,2,4-시클로헥산트리카르복실산이 98.8%의 순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0
하스텔로이 C-22로 제작된 반응관 (내경 30mm x 길이 500mm)에 래쉬그(raschig) 링을 이용하여 촉매탑 상부 및 하부에 100g의 2중량% Rh-탄소 입자형 촉매(N.E.CHEMCAT사 제조)를 충전했다. 9.1중량%의 트리멜리트산 수용액을 준비하여 원료혼합조에 넣고, 교반하면서 80℃까지 가열했다. 상기 혼합조의 내부는질소분위기로 하였다. 이 트리멜리트산 수용액은 반응압력 8.0MPa인 상태로 유지된 반응관에 200g/hr의 비율로 수소기체와 함께 펌프를 이용하여 공급함으로써 고정탑 상에서 수소화 반응이 연속 시행되게 하였다. 반응에 소비된 양만큼 반응관의 상부로수소를 공급하여 반응압력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반응관은 90℃에서 반응이 시행되도록 가열하였다. 반응관을 통해 낙하하는 반응액은 반응관의 하부와 연결된 생성물-수득용기에 저장되며 반응관의 하부에서 액상부로부터 간헐적으로 배출되었다. 이 경우, 반응기체는 생성물-수득용기의 기상부로부터 조금씩 흘러나왔다. (WHSV:9.1hr-1)
반응개시후 9 내지 10시간 동안 배출된 반응액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했을 때 트리멜리트산의 전환율이 99.95%이고 1,2,4-시클로헥산 트리카르복실산의 선택도가 94.2%임을 확인하였다. (반응수율:94.2%).
실시예 31
하스텔로이 C-22로 제작된 반응관 (내경 30mm x 길이 500mm)에 래쉬그(raschig) 링을 이용하여 촉매탑 상부 및 하부에 100g의 2중량% Rh-탄소 입자형 촉매(N.E.CHEMCAT사 제조)를 충전하였다. 9.1중량%의 트리멜리트산 수용액을 준비하여 원료혼합조에 넣고, 교반하면서 80℃까지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조의 내부는 질소분위기로 하였다. 이 트리멜리트산 수용액은 반응압력 4.0MPa인 상태로 유지된 반응관에 200g/hr의 비율로 수소기체와 함께 펌프를 이용하여 공급함으로써 고정탑 상에서 수소화 반응이 연속 시행되게 하였다. 반응에 소비된 양만큼 반응관의 상부로 수소를 공급하여 반응압력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반응관은 90℃에서 반응이 시행되도록 가열하였다. 반응관을 통해 낙하하는 반응액은 반응관의 하부와 연결된 생성물-수득용기에 저장되며 반응관의 하부에서 액상부로부터 간헐적으로 배출되었다. 이 경우, 반응기체는 생성물-수득조의 기상부로부터 조금씩 흘러나왔다. (WHSV:9.1hr-1)
반응개시후 4 내지 5시간 동안 배출된 반응액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했을 때 트리멜리트산의 전환율이 99.92%이고 1,2,4-시클로헥산 트리카르복실산의 선택도가 94.4%임을 확인하였다. (반응수율:94.3%).
실시예 32
딤로스(dimroth) 컨덴서 및 교반기가 장착된 3리터의 플라스크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득된 200g의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과 800g의 아세트산 무수물을 충전하고 교반하면서 장치내에 질소기체를 치환하였다.
이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여 결정을 침전시키고, 침전된 결정은 분리 (50g의 아세트산 무수물로 세정함) 및 건조되어 143g의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로서 수득되었다. 수득된 결정을 분석한 결과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이 83.0%의 순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의 수율이 83.0% 이었다.
상기 생성물(결정)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이후 동일하게 적용함).
실시예 33
실시예 32에 사용된 바와 동일한 플라스크에 실시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득된 200g의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과 800g (카르복실기에 대하여 2.5배몰)의 아세트산 무수물을 충전하고 교반하면서, 장치내에 질산기체를 치환하였다.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흔적량의 질소기체를 5분동안 환류처리를 위해 흘려보내었다.
이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여 결정을 침전시키고, 침전된 결정은 분리 (50g의 아세트산 무수물로 세정함) 및 건조되어 146g의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로서 수득되었다. 결과로 수득된 결정을 분석하여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이 99.3%의 순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의 수율이 84.7% 이었다.
실시예 34
실시예 32에 사용된 바와 동일한 플라스크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득된 200g의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과 300g (카르복실기에 대하여 1.0배몰)의 아세트산 무수물과 1500g의 빙초산을 충전하고 교반하면서, 장치내에 질소기체를 치환하였다.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흔적량의 질소기체를 5분동안 환류처리를 위해 흘려보냈다.
이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여 결정을 침전시키고 침전된 결정은 분리 (50g의 아세트산 무수물로 세정함) 및 건조되어 161g의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로서 수득되었다. 결과로 수득된 결정을 분석하여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이 99.1%의 순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의 수율이 93.4% 이었다.
실시예 35
실시예 32에 사용된 바와 동일한 플라스크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득된 200g의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과 실시예 32에서 수득된 1880g의 분리된 모액을 충전하고 교반하면서, 장치내에 질소기체를 치환했다.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흔적량의 질소기체를 5분동안 환류처리를 위해 흘려보냈다.
이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여 결정을 침전시키고 침전된 결정은 분리 (50g의 아세트산 무수물로 세정함) 및 건조되어 170g의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로서 수득되었다. 결과로 수득된 결정을 분석하여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이 99.0%의 순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원료인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에 대하여)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의 수율이 92.6% 이었다.
비교예 5
실시예 32에 사용된 바와 동일한 플라스크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득된 200g의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과 2000g (카르복실기에 대하여 6.4배몰)의 아세트산 무수물을 충전하고 교반하면서, 장치내에 질소기체를 치환했다.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흔적량의 질소기체를 30분동안 환류처리를 위해 흘려보냈다.
이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하여 결정을 침전시키고 침전된 결정은 분리 (50g의 아세트산 무수물로 세정함) 및 건조되어 103g의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로서 수득되었다. 결과로 수득된 결정을 분석하여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이 99.5%의 순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의 수율이 59.8% 이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면, 간단한 공정 및 공업적으로 유리한 방법으로 고순도의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을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게되며 이렇게 수득한 생성물은 투명성 및 용매가용성 등의 특성을 갖는 기능성 폴리아미드의 원료나 기능성 에폭시수지 용도의 경화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회분식 장치에서의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수소화 처리시에,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은 로듐 혹은 팔라듐 또는 이들 양쪽을 모두 포함하는 귀금속이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100중량부당 0.5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된 촉매의 존재하에서 1MPa 이상의 수소분압하에 수소화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2. 연속유동식 장치에서의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수소화 처리시에,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은 로듐 혹은 팔라듐 또는 이들 양쪽을 모두 포함하는 귀금속이 함유된 촉매의 충전탑에 상기 귀금속의 1중량부당 1 내지 100중량부/시간의 속도로 공급되어 1MPa 이상의 수소분압하에 수소화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수소화 처리온도가 40 내지 1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수소분압은 1 내지 15MP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수소화 처리에 사용되는 촉매가 활성화 처리 및 재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화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수소화 처리에 사용되는 촉매가 공기 혹은 산화제나 또는 이들 양쪽에 의해 활성화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화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7.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용매에 용해 혹은 분산된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화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및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에 함유된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이 5 내지 50중량% 농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화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9.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은 피로멜리트산, 트리멜리트산 혹은 트리메신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화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10. 수소화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의 탈수반응에 의한 산무수물 제조시에,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로듐 혹은 팔라듐 또는 이들 양쪽을 모두 포함하는 귀금속이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100중량부당 0.5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된 촉매의 존재하에, 회분식 장치에서 1MPa 이상의 수소분압으로 수소화처리함으로써 수득되는 것을 상술한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으로 사용하고; 또한 상기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카르복실기에 대해 0.64 내지 5.7배몰의 아세트산 무수물과 함께 탈수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의 제조방법.
  11. 수소화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의 탈수반응에 의한 산무수물 제조시에,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로듐 혹은 팔라듐 또는 이들 양쪽을 모두 포함하는 귀금속이 함유된 촉매가 충전된 충전탑에 상기 귀금속 1중량부 당 1 내지 100중량부의 속도로 공급하고 연속유동식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폴리카르복실산을 1MPa 이상의 수소분압에서 수소화처리하여 수득되는 것을 상기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으로 사용하고; 또한 상기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을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카르복실기에 대해 0.64 내지 5.7배몰의 아세트산 무수물과 함께 탈수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의 제조방법.
  12. 제10항 또는 11항에 있어서,
    탈수반응은 빙초산 용매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빙초산 용매의 양은 아세트산 무수물에 대해 0.5 내지 10배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의 제조방법.
  14. 제10항 또는 11항에 있어서,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은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이고; 또한 그 결과로 나온 산무수물은 1,2,4,5-시클로헥산 테트라카르복실산 제2무수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의 제조방법.
KR1020020085210A 2001-12-28 2002-12-27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시산의 제조방법 및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시산 무수물의 제조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926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400207 2001-12-28
JPJP-P-2001-00400207 2001-12-28
JP2002013980 2002-01-23
JPJP-P-2002-00013980 2002-01-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804A Division KR100935496B1 (ko) 2001-12-28 2009-02-06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시산의 제조방법 및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시산 무수물의 제조방법
KR1020090077154A Division KR100936578B1 (ko) 2001-12-28 2009-08-20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시산의 제조방법 및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시산 무수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754A true KR20030022754A (ko) 2003-03-17
KR100926854B1 KR100926854B1 (ko) 2009-11-13

Family

ID=2662538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5210A Expired - Lifetime KR100926854B1 (ko) 2001-12-28 2002-12-27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시산의 제조방법 및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시산 무수물의 제조방법
KR1020090009804A Expired - Lifetime KR100935496B1 (ko) 2001-12-28 2009-02-06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시산의 제조방법 및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시산 무수물의 제조방법
KR1020090077154A Expired - Lifetime KR100936578B1 (ko) 2001-12-28 2009-08-20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시산의 제조방법 및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시산 무수물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804A Expired - Lifetime KR100935496B1 (ko) 2001-12-28 2009-02-06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시산의 제조방법 및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시산 무수물의 제조방법
KR1020090077154A Expired - Lifetime KR100936578B1 (ko) 2001-12-28 2009-08-20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시산의 제조방법 및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시산 무수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27306B2 (ko)
EP (1) EP1323700B1 (ko)
JP (2) JP4217877B2 (ko)
KR (3) KR100926854B1 (ko)
CN (1) CN100424062C (ko)
DE (1) DE60221955T2 (ko)
TW (1) TWI25917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000A (ko) * 2017-03-29 2019-12-09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본산이무수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8919A1 (de) * 2003-08-20 2005-04-21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amiden
JP4622406B2 (ja) * 2004-09-15 2011-02-02 新日本理化株式会社 水素化芳香族ポリ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JP2006124313A (ja) * 2004-10-28 2006-05-18 Nippon Steel Chem Co Ltd 脂環式多価カルボン酸及びその無水物の製造方法
US20060257313A1 (en) * 2005-02-17 2006-11-16 Alan Cisar Hydrolysis of chemical hydrides utilizing hydrated compounds
US20100145002A1 (en) * 2005-06-01 2010-06-10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Tetracarboxylic acid or polyesterimide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same
WO2007063974A1 (ja) * 2005-12-02 2007-06-07 Nagoya Industr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芳香環化合物の芳香環への水素添加方法
JP5239140B2 (ja) * 2006-09-06 2013-07-17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水素化芳香族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CN102105428A (zh) * 2008-07-23 2011-06-2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芳香族多羧酸的加氢化合物的制备方法
CN101891721B (zh) * 2010-07-28 2011-11-23 常州市阳光药业有限公司 电子级氢化偏苯三酸酐的制备方法
CN103502197B (zh) * 2011-03-01 2015-04-0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脂环族羧酸的制造方法及用于该方法的催化剂
JP5751104B2 (ja) * 2011-09-08 2015-07-2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シクロヘキサントリカルボン酸無水物のトランス体製造法
CN102381977B (zh) * 2011-10-28 2014-07-23 荣成市科盛化工有限公司 氢化均苯四甲酸脂的制备
TWI421240B (zh) * 2011-12-12 2014-01-01 Ind Tech Res Inst 苯多羧酸或其衍生物形成環己烷多元酸酯之氫化方法
KR101401909B1 (ko) 2012-03-07 2014-05-29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착상 연속운전용 실외 열교환기가 형성된 히트펌프장치 및 제상방법
CN102675665B (zh) * 2012-04-23 2014-05-07 常州市阳光药业有限公司 无色透明聚酰亚胺薄膜的制备方法
EP2716623A1 (de) * 2012-10-05 2014-04-09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yclohexanpolycarbonsäure-Derivaten mit geringem Nebenproduktanteil
US9090553B2 (en) 2012-10-05 2015-07-28 Basf Se Process for preparing cyclohexanepolycarboxylic acid derivatives having a low proportion of by-products
JP6314411B2 (ja) * 2013-10-10 2018-04-25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芳香族カルボン酸類の水素化触媒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992330B (zh) * 2014-05-23 2016-09-21 常州市阳光药业有限公司 电子级氢化均苯四甲酸二酐的制备方法
CN104945237A (zh) * 2015-05-15 2015-09-30 济南磐石医药科技有限公司 (1r,2r)-反式环己烷二羧酸的合成方法
CN110402243B (zh) * 2017-03-29 2022-05-03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顺式,顺式-1,2,4-环己烷三羧酸晶体的制造方法
JP2022042025A (ja) * 2018-12-21 2022-03-1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シクロヘキサントリカルボン酸無水物の結晶の製造方法および結晶
CN115232001B (zh) * 2021-04-25 2024-08-30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氢化均苯四甲酸合成方法
CN113831310B (zh) * 2021-11-10 2024-10-22 江苏正丹化学工业股份有限公司 偏苯三酸酐催化加氢合成1,2,4-环己烷三甲酸酐的方法
CN114163449B (zh) * 2021-12-20 2023-03-17 大连奇凯医药科技有限公司 1,2,4,5-环己烷四羧酸二酐的制备及表征方法
TWI800442B (zh) * 2022-08-15 2023-04-21 中國石油化學工業開發股份有限公司 1,2,4,5-環己烷四甲酸之純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72620B (de) * 1957-09-09 1960-01-07 Hercules Powder Company, Wilmington, Del. (V. Sf. 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exahydroterephthalsäure
US3141036A (en) * 1961-07-27 1964-07-14 Allied Chem Cyclohexane carboxylic acid produced by hydrogenation of molten benzoic acid
CH414601A (it) * 1961-08-18 1966-06-15 Snia Viscosa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acido esaidrobenzoico
US4754064A (en) * 1983-10-24 1988-06-28 Amoco Corporation Preparation of cyclohexane dicarboxylic acids
NL8700691A (nl) * 1987-03-24 1988-10-17 Tno Werkwijze voor de bereiding en toepassing van groep-viii-metaalkatalysatoren voor de hydrogenering van aromatische en onverzadigde verbindingen onder milde omstandigheden.
KR970009560B1 (ko) * 1987-08-03 1997-06-14 이스트만 코닥 컴퍼니 카보닐을 함유하는 화합물의 저압 촉매수소화 및 이에 관한 촉매
JP2634828B2 (ja) * 1987-12-16 1997-07-30 旭化成工業株式会社 芳香族化合物の部分核水素化方法
JPH0782211A (ja) * 1993-09-10 1995-03-28 New Japan Chem Co Ltd 脂環式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US5412108A (en) * 1994-01-05 1995-05-02 Amoco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1,2,4-cyclohexanetricarboxylic acid and anhydride
DE69514283T3 (de) * 1994-06-09 2008-01-24 Institut Français du Pétrole Verfahren zur katalytischen Hydrierung und in diesem Verfahren zur verwendender Katalysator
US5475173A (en) * 1994-07-19 1995-12-12 Phillips Petroleum Company Hydrogenation process and catalyst therefor
JP3747493B2 (ja) * 1995-05-31 2006-02-22 新日本理化株式会社 脂環式ポリカルボン酸及びその酸無水物の製造方法
JP4120015B2 (ja) * 1996-10-28 2008-07-16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新規な脂環式テトラカルボン酸二無水物、その中間体及びそれらの製造法
JP2000198760A (ja) * 1999-01-08 2000-07-18 Mitsubishi Chemicals Corp 高純度トランス―1,4―シクロヘキサンジカルボン酸ジアルキルの製造方法
JP2002001118A (ja) * 2000-06-23 2002-01-08 Koei Chem Co Ltd 活性化された白金触媒及びそれを用いたアミンの製造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000A (ko) * 2017-03-29 2019-12-09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1,2,4,5-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본산이무수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27306B2 (en) 2005-08-09
KR20090024762A (ko) 2009-03-09
DE60221955T2 (de) 2007-12-06
KR100935496B1 (ko) 2010-01-11
JP4217877B2 (ja) 2009-02-04
KR100936578B1 (ko) 2010-01-13
CN100424062C (zh) 2008-10-08
TW200301247A (en) 2003-07-01
US20030149297A1 (en) 2003-08-07
EP1323700A1 (en) 2003-07-02
EP1323700B1 (en) 2007-08-22
CN1428324A (zh) 2003-07-09
KR20090101144A (ko) 2009-09-24
TWI259177B (en) 2006-08-01
KR100926854B1 (ko) 2009-11-13
JP2003286222A (ja) 2003-10-10
JP2009057385A (ja) 2009-03-19
DE60221955D1 (de)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578B1 (ko)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시산의 제조방법 및 수소화 방향족 폴리카르복시산 무수물의 제조방법
US7547803B2 (en) Process for producing a high purity aromatic polycarboxylic acid
US5256817A (en) Method for purifying a naphthalenedicarboxylic acid
TWI439450B (zh) 芳香族聚羧酸之氫化物之製造方法
JP4622406B2 (ja) 水素化芳香族ポリ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JP2001181223A (ja) 1,4−シクロヘキサンジメタノールの製造方法
CN114507165B (zh) 固体酸催化合成4,4′-二氯二苯砜的方法
JP4720112B2 (ja) 高純度芳香族ポリカルボン酸の製造法
JP5239140B2 (ja) 水素化芳香族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JP3826960B2 (ja) 高純度ナフタレンジ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JP3757989B2 (ja) ナフタレンジカルボン酸の精製方法
JP3201436B2 (ja) 高純度イソフタル酸の製造法
JPS62313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9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1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20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6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12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9072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6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90911

Appeal identifier: 2009101006860

Request date: 20090723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82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8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7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20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90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909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828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0627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