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03697A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3697A
KR20030003697A KR1020027012142A KR20027012142A KR20030003697A KR 20030003697 A KR20030003697 A KR 20030003697A KR 1020027012142 A KR1020027012142 A KR 1020027012142A KR 20027012142 A KR20027012142 A KR 20027012142A KR 20030003697 A KR20030003697 A KR 20030003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ink
colorant
ink liquid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0698B1 (ko
Inventor
이이다히사시
오쿠무라시게루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펜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8021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6058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664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16669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664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166691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펜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펜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3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6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43K8/10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including compartment for soluble soli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2Ink reservoirs
    • B43K5/03Ink reservoirs specially adapted for concentrated ink, e.g. solid 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8Arrangements for feeding the ink to the n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0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the ball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필기구의 내부에, 잉크용 액체(50)와, 이 잉크용 액체(50)에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60)의 주체를 분리하여 수납한다. 잉크용 액체(50)가 필기선단(70)에 유도되는 도중에,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에 첨가되게 형성한다.

Description

필기구 {WRITING IMPLEMENT}
종래부터, 잉크를 이용하는 필기구에는, 여러가지의 것이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필기구는, 잉크와의 관계로는 크게 둘로 나눌 수가 있다.
하나는, 예로부터 있는 붓 처럼, 필기구 자체에는 잉크가 구비돼 있지 않아, 필기선단에 잉크를 부착시킨 후에, 그 부착된 잉크를 이용하여 필기하는 것이다.
이같은 필기구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붓, 강필(鋼筆), 쓰케펜, 또는 오구(烏口) 등이 있다.
또 하나는, 필기구 자체가 잉크를 보유하여, 그 필기구 자체가 보유하는 잉크를 필기선단에 유도하여 필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필기구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만년필, 볼펜, 펠트펜, 사인펜(마커펜), 또는 니들펜 등이 있다.
여기서, 후자의 필기구에 이용되는 잉크는, 염료 또는 안료를 비히클(용제, 매체)중에 미리 거의 균일하게 용해 또는 분산시킨 것으로, 필기구 내에 보유되어 있을 때와, 필기면에 전사(轉寫)되었을 때, 거의 동일한 색채를 나타내게 조정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필기구는, 그의 내부에 보유하고 있는 잉크의 색채를 보는 것에 의해서, 필기면에 전사된 때의 잉크색을 판단할 수가 있으므로, 이 점에서는 편리하다.
그러나, 근년, 종래의 필기구와는 보는 느낌이 전혀 다른 새로운 필기구의 제공이 기대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잉크중에 포함되는 잉크용 액체와 착색의 주체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동시에, 잉크용 액체가 필기선단에 유도되는 도중에, 착색제가 잉크용 액체에 첨가되게 형성함에 의해, 예를 들면, 잉크용 액체를 무색투명으로 하기도 하고, 혹은 잉크용 액체의 색채를 착색제와는 다른 색채로 하기도 하며, 혹은 잉크용 액체의 색채를 착색제와 동계의 매우 엷은 색채로 하기도 하여, 필기선단에서는 소정의 색채를 나타내는 잉크로 필기하는 것이지만, 보는 느낌이 종래의 필기구와는 전혀 다른 필기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필기구, 더 상세하게는, 잉크를 이용하는 필기구로서, 잉크중에 함유하는 잉크용 액체와 착색제가 분리하여 수납돼 있는 것이지만, 잉크용 액체가 필기선단에 유도되는 도중에 착색제가 잉크용 액체에 첨가됨에 의해, 필기선단에서는 소정의 색채를 나타내는 잉크로 필기할 수 있게 하여 있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필기구의 요부(要部)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발명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필기구의 요부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발명의 제 3 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필기구의 요부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필기구의 타의 요부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B-B선 단면도이다.
(발명의개시)
본 발명중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필기구로서, 잉크용 액체(50)와, 이 잉크용 액체(50)에 착새시키기 위한 착색제(60)의 주체가 분리하여 수납되어, 상기잉크용 액체(50)가 필기선단(70)에 유도되는 도중에, 상기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에 첨가되게 형성돼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잉크용 액체(50)」란, 종래의 잉크의 비히클에 상당하는 것으로, 종래의 잉크로부터 염료 또는 안료를 제외한 부분을 주체로 하는 것을 말한다. 또, 「착색제(60)」란, 종래의 잉크의 염료 또는 안료에 상당하는 것으로, 종래의 잉크로부터 비히클을 제외한 부분을 주체로 하는 것을 말한다. 즉, 「잉크용 액체(50)」에 「착색제(60)」가 첨가됨에 의해, 종래의 잉크와 거의 같은 잉크가 조정되게 되는 것이다.
「잉크용 액체(50)」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종래의 비히클을 그대로 이용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서, 무색투명 또는 반투명의 잉크용 액체(50)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종래의 잉크의 비히클에 소정의 성분을 가함에 의해서, 혹은 종래의 잉크의 비히클로부터 소정의 성분을 제거함에 의해서, 무색투명 또는 반투명의 잉크용 액체(50)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종래의 잉크의 비히클에, 극히 소량의 염료 또는 안료를 용해 또는 분산시킴에 의해서, 무색투명 또는 반투명의 잉크용 액체(50)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서, 예를 들면, 착색제(60)과 동계이며 매우 엷은 색채의 잉크용 액체(50)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착새제(60)와는 다른 색채이며 매우 엷은 색채의 잉크용 액체(50)를 조정할 수도 있다. 더구나, 잉크용 액체(50)를 어떻게 조정하는가는, 보는 느낌을 어떻게 하고 싶은가 하는 것 등에 의존하는 것이다.
또, 잉크용 액체(5)로서의 비히클은, 예를 들면, 물, 수용성유기용제, 윤활제, 방부제, 방청제, pH조정제, 건조방지제, 증점제, 또는 이멀션 등을 적당히 배합함에 의해서 조정할 수가 있다.
「착색제(60)」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종래의 잉크의 염료 또는 안료를 그대로 이용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고형상(狀) 또는 고농도의 액상의 착색제 (60)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종래의 잉크의 비히클에, 매우 다량의 염료 또는 안료를 용해 또는 분산시킴에 의해서, 고농도의 액상의 착색제(60)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종래의 잉크의 비히클중의 소정의 성분에, 매우 다량의 염료 또는 안료를 용해 또는 분산시킴에 의해서, 고농도의 액상의 착색제(60)를 조정할 수도 있다. 더구나, 착색제(60)을 어떻게 조정하는가는, 착색제(60)의 잉크용 액체(50)에의 첨가형태 등에 의존하는 것이다.
또, 착색제(60)로서의 염료에는, 예를 들면, 직접염료, 산성염료, 염기성염료, 형광염료, 또는 식용염료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착새제(60)로서의 안료에는, 예를 들면, 무기계안료, 유기계안료, 무기계형관안료, 또는 유기계형관안료 등를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착색제(60)의 주체」란, 착색제(60)의 전부, 또는 착색제(60)의 대부분의 어느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더구나, 물, 수용성유기용제, 윤활제, 방부제, 방청제, pH조정제, 건조방지제, 증점제, 이멀션, 직접염료, 산성염료, 염기성염료, 형광염료, 식용염료, 무기계안료, 유기계안료, 무기계형관안료, 및 유기계형관안료에 관하여는,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 상술한다.
또, 「필기선단(70)」이란, 예를 들면, 필기구가 만년필인 경우에는 펜촉을 말하고, 또, 필기구가 볼펜인 경우에는 볼펜 팁(71)을 말하고, 필기구가 펠트펜인 경우에는 펠트로 이루어지는 필기용 첨단을 말하고, 또, 필기구가 사인펜(마커펜)인 경우에는 섬유속체(束體)로 이루어지는 필기용 첨단을 말하며, 또한, 필기구가 니들펜인 경우에는 가늘은 관상(管狀)의 필기용 첨단을 말한다. 더구나, 필기구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필기선단도, 이들에 한정되는 것아 아니다.
또, 「잉크용 액체(50)와 착색제(60)의 주체가 분리하여 수납되어」란, 필기구의 내부에, 잉크중에 포함되는 잉크용 액체(50)와, 착색제(60)의 주체가 나뉘어 따로따로 수납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잉크용 액체(5)가 필기선단(70)에 유도되는 도중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에 첨가되는」이란, 잉크용 액체(50)가 필기선단(70)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 있어서, 잉크용 액체(50)가, 고형상(固形狀)의 착색제(60)가 수납돼 있는 부분을통과함에 의해, 고형상의 착색제(60)가 조금씩 용해하면서 첨가되는 것, 또는 잉크용 액체(50)가 필기선단(70)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 있어서, 잉크용 액체(50)가, 액상의 착색제(60)가 수납돼 있는 부분을 통과함에 의해, 액상의 착색제(60)가 조금씩 섞이면서 첨가되는 것, 혹은 잉크용 액체(50)가 필기선단(70)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 있어서, 액상의 착색제(60)가 직접 잉크용 액체(50)에 첨가되는 것 등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이와 같이, 잉크중에 포함되는 잉크용 액체(50)와 착색제(60)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동시에, 잉크용 액체(50)가 필기선단(70)에 이르는 도중에,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에 첨가되게 형성함에 의해, 예를 들면, 잉크용 액체(50)를 무색투명으로 하거나, 혹은 잉크용 액체(50)의 색채를 착색제(60)와는 다른 색채로 하거나, 혹은 잉크용 액체(50)의 색채를 착색제(60)와 동계의 매우 엷은 색채로 하거나 할 수가 있으므로, 필기선단(70)에서는 소정의 색채를 나태내는 잉크로 필기할 수 있지만, 보는 느낌이 종래의 필기구와는 전혀 다른 필기구를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중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잉크용 액체(50)와 착색제(60)의 사이에는,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방향에 향해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착색제 이동방향 규제체(80)가 마련돼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착색제 이동방향 규제체(80)」란, 잉크용 액체(50)와 착색제(60)의 사이에 마련되어, 잉크용 액체(50)가 착색제(60) 방향에 향해서 이동하는 것은 방해하지 않지만, 착색제(60)의 잉크용 액체(50) 방향에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것을 말한다.
또, 「규제」란,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중에 혼입하지 않게 하는 것, 혹은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중에 혼입하기 어렵게 하는 것의 어느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착색제 이동방향 규제체(80)는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중에 혼입하는 것을 100%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면 바람직하나,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 착색제 이동방향 규제체(80)는, 예를 들면, 밸브, 혹은 넓은 의미에서의 필터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가 있다.
또, 필터로서는, 예를 들면, 반투막(半透膜), 중공사막(中空絲膜), 멤브레인 필터, 액체크로마토그래피용 컬럼(이온교환수지), 또는 투습성 방수소재(예를 들면, 미국의 W.L.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사에 의해 개발된 고어텍스(상품명))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그리하여, 이와 같이, 잉크용 액체(50)와 착색제(60)의 사이에, 착색제 이동방향 규제체(80)를 마련함에 의해,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의 방향에 향해 이동하기 어렵게 되므로, 보는 느낌의 전혀 다른 꼴을 장기에 걸쳐 계속 보유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중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잉크용 액체(50)중에는 액체비용해물(90)이 들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액체비용해물(90)」이란, 잉크용 액체(50)에 녹지 않는 고형물을 말한다.
이 액체비용해물(90)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제의 박판, 플라스틱제의 자질구레한 부속물, 금속제의 박막, 금속제의 자질구레한 부속물, 금속분, 또는 유리제의 자질구레한 부속물 등에 의해 형성할 수가 있다.
그리하여, 예를 들면, 잉크용 액체(50)중에, 상기한 바와 같은 플라스틱제의 자질구레한 부속물이나, 금속분이나, 혹은 유리제의 지질구레한 부속물 등을 봉입하여 놓으면, 필기시 등에 이들이 잉크용 액체(50)중에서 흔들려 움직이므로, 이에의해, 보는 느낌이 다단히 재미있는 필기구로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예를 들면, 잉크용 액체(50)중에 상품명, 기업명, 혹은 캐릭터 등을 단 플라스틱제의 박판을 봉입하여 놓으면, 종래의 잉크로는 읽을 수가 없었던 같은 문자 등을 시인시킬 수가 있으므로, 이에 의해, 광고선전효과가 매우 높은 필기구로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필기구로서, 잉크용 액체(50)와, 이 잉크용 액체(50)에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60)가 분리하여 수납되어, 상기 잉크용 액체(50)가 필기선단(70)에 유도되는 도중에, 상기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에 첨가되게 형성하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며, 또,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에 확산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잉크용 액체 수납부와 착색제 수납부의 사이에 모세관력이 있는 물질을 짜 넣음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모세관력이 있는 물질」로서는, 예를 들면, 섬유를 다발로 만들어 가공한 것이나, 수지성형체의 내부에 모세관력을 가지게 한 것, 수지성형체 외측에 모세관력을 가지게 한 것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이 「모세관력이 있는 물질」은, 착색제가 통과하기 어려운데서, 「착색제 이동방향 규제체」로서 기능한다.
또, 필기구를 필기하지 않고 방치하고 있는 상태가 오래 지속하면 착색제 (60)가 잉크용 액체(50)에 확산하여, 보는 느낌의 종래 필기구와의 차가 없어질 위험성이 있다. 그래서, 착색제를 확산도중에 흡착시킬 목적으로 잉크용 액체(50)와 착새제(60)의 연결부분에 모세관력이 있는 물질을 짜 넣음에 의해, 염료의 확산시간을 지연시킬 수가 있어, 종래의 필기구와는 보는 느낌이 전혀 다른 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모세관력이 있는 물질은, 잉크용 액체 수납부와 착색제 수납부의 사이에 직접 마련돼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더구나 여기서, 「모세관력이 있는 물질은, 잉크용 액체 수납부와 착색제 수납부의 사이에 직접 마련돼 있음」이란, 모세관력이 있는 물질의 일단이 잉크용 액체 수납부에 접하고, 타단 혹은 도중이 착색제 수납부에 접하여 있음을 말한다. 이 밖에도, 예를 들면, 잉크용 수납부, 모세관력이 있는 물질, 공극(空隙)(잉크저장), 착색제 수납부 처럼, 사이에 타의 부분이 끼이게 할 수도 있다.
또,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모세관력이 있는 물질은, 잉크용 액체 수납부와 착색제 수납부의 사이에서 분할하여 마련돼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 「모세관력이 있는 물질은, 잉크용 액체 수납부와 착색제 수납부의 사이에서 분할하여 마련돼 있음」이란, 모세관력이 있는 물질의 전장을, 복수개에 분할한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하면, 복수에로 분할한 모세관력이 있는 물질의 내부만이 아니라, 분할면에도 착색제(60)가 포획되므로, 포획효율이 향상한다.
또,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분할하여 마련된 모세관력이 있는 물질은, 모세관력이 다른 것이 조합돼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 「분할하여 마련된 모세관력이 있는 물질은, 모세관력이 다른 것이 조합돼 있음」이란, 모세관력이 있는 물질의 전장을, 복수개에 분할하는 동시에, 각각의 모세관력이 있는 물질의 전부 혹은 일부의 물질의 모세관력이을 다르게 한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하면, 분할면중, 모세관력이 다른 면에 많이 착새제(60)가 포획되므로, 더욱 착색제(60)의 포획효율이 향상한다.
또,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4, 5, 6 또는 7에 기재한 발명에 더하여, 착색제수납부는, 착색제를 함침(含浸)시킨 착색액체유도심(芯)에 의해서 형성하고, 모세관력이 있는 물질은, 잉크용 액체를 착색액체수납부에 유도하지만, 착색제가 잉크용 액체 방향에 이동하는 도중에 착색제를 포획하는 포획액체유도심에 의해서 형성하였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착색제수납부는, 착색제를 함침(含浸)시킨 착색액체유도심(芯)에 의해서 형성하고, 모세관력이 있는 물질은, 잉크용 액체(50)를 착색액체 수납부에 유도하지만,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 방향에 이동하는 도중에 착색제(60)를 포획하는 포획액체유도심에 의해서 형성하였음」이란, 종래의 유도심을 분할하여, 선단측의 유도심에 착색제를 함침시켜서 착색액체유도심(40)으로 하고, 후단측의 유도심을, 잉크용 액체(50)를 착색액체유도심(40)에 유도하는 동시에, 착색제(60)의 잉크용 액체(50)중에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하면, 종래의 필기구에 용이하게 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은, 필기구로서, 잉크용 액체(50)와, 이 잉크용 액체(50)에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60)가 분리하여 수납되고, 상기 잉크용 액체(50)가 필기선단(70)에 유도되는 도중에, 상기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에 첨가되게 형성돼 있음을 특징으로 하며, 또 경시적으로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에 확산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잉크용 액체 또는 잉크용 액체와 착색제의 연결부분의 어느 것이나 또는 조합에 적어도 표면이 다공질체인 물질을 짜 넣었음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표면이 다공질체인 물질」이란, 물체내부에 작은 기공을 많이 가지어, 그 결과, 큰 내부표면적을 나타내는 물질로 흡착재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횔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 겔, 알루미나, 이온교환수지, 기타의 고분자물질 등을 들수 있다. 또, 이 「표면이 다공질체인 물질」은, 착색제가 통과히기 어려운데서, 「착색제 이동방향 규제체」로서 기능한다.
또, 청구항 10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잉크용 액체와 착색제의 사이에 직접 적어도 표면이 다공질체인 물질을 위치시키었음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잉크용 액체와 착색제의 사이에, 잉크용 액체의 유도심을 위치시키어, 잉크용 액체와 유도심의 사이 또는 유도심과 착색제의 사이의 어느 것이나에 적어도 표면이 다공질체인 물질을 위치시키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필기구를 필기하지 않고 방치하여 있는 상태가 오래 지속하면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에 확산하여, 보는 느낌의 종래의 필기구와의 차가 없어질 위험성이 있다. 그래서, 착색제를 확산도중에 흡착시킬 목적으로 적어도표면이 다공질체인 물체를 잉크용 액체(50) 또는 착색제(60)수용개소 또는 잉크용 액체(50)와 착색제(60)의 연결부분의 어느것이나 또는 조합에 짜 넣는 것으로, 확산된 착색제를 홉착하여, 종래의 필기구와는 보는 느낌이 전혀 다른 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적어도 표면이 다공질체인 물체이란 착색제(60)를 흡착시킬 목적이며, 착색제(60)를 흡착할 능력이 있으면 사용이 가능하다.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파쇄상(破碎狀), 입상(粒狀), 분말상(粉末狀), 섬유상(纖維狀), 또는 그들의 가공품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적어도 표면이 다공질체인 물질의 짜 넣음 방법으로서, 필기구의 잉크용 액체수납개소에 직접, 분말상, 입상, 파쇄상, 섬유상을 짜 넣어, 잉크용 액체(50)에 확산한 착색제(60)를 흡착시킬 수가 있다. 이 경우, 잉크용 액체가 무색투명을 오래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잉크용 액체 수납부와 착색제 수납부의 영결부분에 섬유상 또는 분말상, 파쇄상 등을 적의 가공한 것을 짜 넣어, 흡착제 수납부로부터 잉크용 액체(50)에 확산하는 착색제(60)를 흡착시킬 수가 있다. 이 경우, 잉크용 액체(50)가 무색투명 또는, 잉크용 액체(50)에 미착색한 경우 그의 극히 엷은 색의 상태를 오래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구나 이때, 적어도 표면이 다공질체인 물질의 위치로서는, 잉크용 액체(50)와 착색제(60)의 사이에 직접 위치시킬 수도 있고, 잉크용 액체(50)와 착색제(60)의 사이에, 잉크용 액체(50)의 유도심을 위치시키어, 잉크용 액체(50)와유도심의 사이 또는 유도심과 착색제(60)의 사이의 어느 것에나 위치시킬 수도 있다.
(발명을실시하기위한최량의형태)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의 형태를, 제 1의 실시의 형태로부터 제 3의 실시의 형태까지 설명하니, 각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이 중복하는 부분은, 그 뜻을 기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1의실시의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필기구의 실시의 형태를, 도사예와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필기구의 요부 측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필기구는, 원통상의 축통(10)을 구비하여, 이 축통(10)의 일방측의 내부에는, 잉크용 액체(50)를 수납하기 위한 액체수납실(30)이 형성되고, 또, 타방측의 내부에는, 액체수납실(30) 내의 압력변화를 조정하기 위한 콜렉터(20)가 압입되어 있다.
또, 상기 콜렉터(20)의 반(反)액체수납실(30) 측에는, 필기선단(70)으로서의 볼펜 팁(71)이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콜렉터(20)의 중심에는, 그 액체수납실(30) 측의 단부로부터 필기선단(70) 측의 단부까지 관통하는 액체유도공(24)이 마련돼 있다.
또, 상기 액체유도공(24)에는, 액체수납실(30)로부터 필기선단(70)에 잉크용 액체(50)를 유도하기 위한 액체유도심(40)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액체유도공(24)과 액체수납실(30)의 사이, 구체적으로는, 상기액체유도공(24)의 액체수납실(30) 측의 단부에는, 착색제 이동방향 규제체(80)로서의 반투막(半透膜)(81)이 마련돼 있다.
그리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필기구는, 액체수납실(30)에 잉크용 액체(50)를 충전하는 동시에, 액체유도심(40)에 착색제(60)를 함침시킴에 의해, 잉크용 액체(50)와 착색제(60)를 분리하여 수납하고 있는 것이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필기구는, 잉크용 액체(50)가, 착색제(60)를 함침시켜 있는 액체유도심(40)을 전해 퍼져, 필기선단(70)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이에 의해, 잉크용 액체(50)가 필기선단(70)에 유도되는 도중에,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에 첨가되게 하고 있는 것이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필기구는, 액체유도공(24)과 액체수납실(30)의 사이에, 착색제 이동항향 규제체(80)로서의 반투막(81)이 마련되어, 이에 의해,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 방향에 향해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는 것이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필기구는, 잉크용 액체(50)중에, 액체비용해물(90)로서의 플라스틱제의 박판이나, 플라스틱제의 자질구레한 부속물이나, 금속제의 박막 등이 넣어져 있어, 필기시 등에 이들이 잉크용 액체(50)중에서 흔들리어 움직이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하, 다시,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필기구에 관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축통 10)
도 1 내지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축통(10)은, 거의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그의 일방측의 내부에는, 잉크용 액체(50)를 수납하기 위한 액체수납실(30)이 형성되고, 타방측의 내부에는, 액체수납실(30) 내의 압력변화를 조정하기 위한 콜렉터(20)가 압입되어 있다.
또, 이 축통(10)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여, 전체가 무색투명으로 형성되고, 이에 의해, 축통(10)의 외부로부터 그의 내부를 시인(視認)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게다가, 축통(10)은, 원통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그의 외주를 다각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 축통(10)은, 폴리프로필렌(PP)을 재료로 하여 형성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PVC), 폴리비닐부티랄(PVB),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폴리초산비닐(PVAc), 폴리비닐포르말(PVF), 폴리2염화비닐 등의 비닐계, 폴리스티렌(PS),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공중합체(AS), ABS 등의 폴리스티렌계,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EVA) 등의 폴리에틸렌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변성아크릴 등의 아크릴계, 3불화염화에틸렌(PCTFE), 4불화에틸렌
(PTFE), 4불화에틸렌·6불화프로필렌(FEP), 불화비닐리덴(PVdF) 등의 불소수지, 폴리아세탈(PA), 폴리카보네이트(PC), 페녹시, 폴리에스테르(PETP), 폴리우레탄(PU), 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 요소수지(UF), 멜라닌·포름알데히드수지(MF), 에폭시수지(EP), 푸란수지(FF), 키실렌수지(XF), 실리콘수지, 나일론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또, 축통(10)은, 무색투명에 형성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유색투명, 혹은 반투명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 축통(10)은, 전체가 투명에 형성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그의 일부에 투명한 창을 마련함에 의해, 그이 내부를 시인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또, 축통(10)의 표면에 문자나 도형이나 모양 등을 붙이어도 좋다.
즉 축통(10)은, 그의 내부가 시인될 수 있게 형성돼어 있으면 되는 것이다.
(콜렉터 20)
상기 콜렉터(20)는 액체수납실(30) 내의 압력변화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 이 콜렉터(20)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체 (ABS) 혹은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여, 전체가 무색투명에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 내지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 콜렉터(20)의 외주에는, 액체수납실(30) 측의 단부로부터 필기선단(70) 측에 향해 형성되어 있는 액체유도홈(21)과, 필기선단(70)으로부터 액체수납실(30) 측에 향해 형성되어 있는 공기홈(22)과, 액체유도홈(21) 및 공기홈(22)의 쌍방과 교차하게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액체보류홈(23)이 마련되어, 이들에 의해, 액체수납실(30) 내의 압력변화에 의한 잉크용 액체(50)의 필기선단(70)으로부터의 누출을 방지·조정하게 하고 있다.
또, 도 1 및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 콜렉터(20)의 중심에는, 그 액체수납실(30) 측의 단부로부터 필기선단(70) 측의 단부까지 관통하는 원공상(圓孔狀)의 액체유도공(24)이 마련돼 있는 동시에, 이 액체유도공(24)에는, 후에 상술하는 액체유도심(40)이 삽입돼 있다. 그리하여, 이에 의해, 잉크용 액체(50)를 액체수납실(30)로부터 필기선단(70)에 유도하게 하고 있다. 또, 액체유도심(40)에 착색제(60)를 함침시킴에 의해, 착색제(60)를 잉크용 액체(50)와는 분리하여 수납하게 하고 있다. 게다가, 이들에 의해, 잉크용 액체(50)가 필기선단(70)에 유도되는 도중에,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에 첨가되게 하고 있는 것이다.
더구나, 콜렉터(20)는, 무색투명에 형성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유색투명, 반투명, 혹은 불투명에 형성하여도 좋다. 즉, 콜렉터(20)는, 그의 내부가 시인할 수 있는 것이어 좋고, 또는, 그의 내부가 시인할 수 없는 것이어도 좋은 것이다.
또, 액체유도공(24)은, 원공상에 형성되는 경우에 한히지 않고, 예를 들면, 그의 내주면을 다각형상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액체유도공(24)의 내주면에, 그의 액체수납실(30) 측의 단부로부터 필기선단(70) 측의 단부까지 연속하는 다수의 홈을 마련하여도 좋다.
또, 액체유도공(24)에는, 반드시 액채유도심(40)이 삽입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오로지, 이 경우, 액체유도공(24)의 내경을, 모세관현상이 확인될 정도의 크기에 형성하는 동시에, 액체유도공(24)의 내주면에, 그의 액체수납실(30) 측의 단부로부터 필기선단(70) 측의 단부까지 연속하는 다수의 모세관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유도심 40)
상기 액체유도심(40)은, 잉크용 액체(50)를 액체수납실(30)로부터 필기선단 (70)에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 액체유도심(40)은 섬유속체(纖維束體)에 의해, 원주봉상(圓柱棒狀)에 형성돼 있다.
또, 액체유도심(40)은, 콜렉터(20)의 액체유도공(24)에 삽입되어, 그의 일방측의 단부를 액체수납실(30) 근변에 위치시키고, 타방측을 필기선단(70)으로서의 볼펜 팁(71)의 내부에 위치시키어 있다.
또, 액체유도심(40)으로서의 섬유속체에는,기공률이 40% 이상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필기구에서는, 잉크유도심으로서의 섬유속체에 기공률이 30% 이상인 것을 이용하고 있었으나,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액체유도심(40)으로서의 섬유속체에, 착색제(60)를 함침시키기로 하여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액체유도심(40)은, 섬유속체에 의해서 형성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다공질체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다.
또, 액체유도심(40)은 폴리아세탈, 폴리프로필렌 혹은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다. 오로지, 이 경우, 액체유도심(40)의 외주면에, 그의 액체수납실(30) 측의 단부로부터 필기선단(70) 측의 단부까지 연속하는 다수의 모세관홈이나 슬릿이나 요상부(凹狀部)를 마련하거나, 혹은 액체유도심 (40)의 내부에, 그의 액체수납실(30) 측의 단부로부터 필기선단(70) 측의 단부까지 관통하는 다수의 모세관홈이나 모세관공이나 요상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기선단 70)
상기 필기선단(70)은 볼펜 팁(7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필기선단(70)으로서의 볼펜 팁(71)은, 그의 일방측에 볼을 회전자재하게 보지하고, 또 타방측을 콜렉터(20)에 고정하여 있다.
또, 이 필기선단(70)으로서의 볼펜 팁(71)의 내부에는, 액체유도심(40)의 일방측의 단부가 삽입되고, 이에 의해, 잉크용 액체(50)가 액체수납실(30)로부터 볼에 유도되게 되어 있다.
더구나, 필기선단(70)은, 볼펜 팁(71)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 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만년필의 펜촉에 의해서 형성하여도 좋고, 또, 펠트로 이루어지는 필기용첨단에 의해서 형성하여도 좋고, 또, 섬유속체로 이루어지는 필기용첨단에 의해서 형성하여도 좋고, 또, 니들펜에 이용되는 가늘은 관상의 필기용첨단에 의해서 형성하여도 좋다.
(잉크용 액체 50)
상기 잉크용 액체(50)는, 종래의 잉크의 비히클에 상당하는 것으로, 종래의 잉크로부터 염료 또는 안료를 제거한 부분을 주체로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종래의 잉크의 비히클을 그대로 이용함에 의해, 무색투명 또는 반투명의 잉크용 액체(50)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종래의 잉크의 비히클에 소정의 성분을 가함에 의해, 혹은 종래의 잉브이 비히클에서 소정의 성분을 뺌에 의해, 무색투명 또는 반투명의 잉크용 액체(50)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종래의 잉크의 비히클에, 극히 소량의 염료 또는 안료를 용해 또는 분산시킴에 의해, 유색투명 또는 유색반투명의 잉크용 액체(50)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착색제(60)와 동계이며 매우 엷은 색채의 잉크용 액체(50)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착색제(60)와는 다른 색채로서 매우 엷은 색채의 잉크용 액체(50)를 조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잉크용 액체(50)는, 예를 들면, 물, 수용성유기용제, 윤활제, 방부제, 방청제, pH조정제, 건조방지제, 증점제, 또는 이멀션 등을 적의 배합함에 의해 조정할 수가 있다. 게다가, 이들에, 후에 상술하는 염료 또는 안료의 극소량을 용해 또는 분산시키어도 좋다.
그리하여, 이 잉크용 액체(50)는 축통(10)의 내부의 일방측에 마련한 액체수납실(30)에 충전되는 것이다
더구나, 잉크용 액체(50)를 어떻게 조정하는가는, 보는 느낌을 어떻게 하고 싶은가라는 것 등에 의존하는 것이다.
이하, 다시, 잉크용 액체(50)의 조정에 사용되는 물, 수용성유기용제, 윤활제, 방부제, 방청제, pH조정제, 건조방지제, 증점제, 및 이멀션 등에 관하여 상술한다.
(물)
물로서는, 예를 들면, 정제수(精製水), 증류수, 또는 이온교환수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수용성유기용제)
수용성유기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1) 이소프로필일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2)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3)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4)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5)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티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5-펜탄디올, 1,2,6-헥산트리올, 티오디글리콜, 글리세롤 등의 다가알코올류, (6)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n-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프로필에테르 등의 다가알코올류의 저급알킬에테르, (7) 요소, 피롤리돈, N-메틸-2-피롤리돈 등의 질소함유화합물, (8) 디메틸설폭시드, 테트라메틸렌설폭시드 등의 황함유화합물, (9) 폴리글리세린의 에틸렌옥사이드부가물 등의 글리세린유도체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게다가,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 사용되는 용제의 총량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기는, 보조용제는 0.5∼50 중량%의 범위로 존재한다.
(윤활제)
윤활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의 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릴에테르의 인산에스테르, 리놀산칼륨, 리시놀산나트륨, 올레인산칼륨, 올레인산나트륨,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펜타에리스리톨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키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드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일코올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자방산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포름알테히드축합물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게다가,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방부제)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데히드로초산나트륨, 1,2-벤조티아졸린-3-온, 산식향산나트륨, 2-피리딘티오르-1-옥시드나트륨염, 페놀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게다가,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방청제)
방청제로서는, 예를 들면, 트릴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및 그의 유도체, 인산옥틸, 티오인산디옥틸 등의 지방산 인유도체, 이미다졸, 벤조이미다졸 및 그의 유도체, 벤조이미다졸, 2-메르캅토벤조티아졸, 옥틸옥시메탄포스폰산, 디시클로헥실암모늄·나이트라이트, 디이소프로필암모늄·나이트라이트, 프로팔길알코올, 디알킬티오뇨소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게다가,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pH조정제)
pH조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인산칼륨, 수산화칼슘,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암모니아,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프로필아민, 디프로필, 트리프로필아민, 부틸아민, 디부틸아민, 트리부틸아민, 이소부틸아민, 디이소부틸아민, 2-부탄아민, N-(1-메틸프로필)-1-프로판아민, N, N-디메틸부틸아민, 1,2-디메틸프로필아민, N-에틸1,2-디메틸프로필아민, 알릴아민, 디알릴아민, 트리알릴아민, N,N-디메틸알릴아민, N-메틸알릴아민, 3-펜틸아민,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히들록시메틸아미노)에탄올, 2-아미노프로판올, 3-아미노프로판올, 트리에탄올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2-아미노2-메틸-1포루판올, N-이소부틸디에탄올아민, 3-메톡시프로필아민, 3-프로필옥시프로필아민, 3-이소프로필옥시프로필아민, 3-부톡시프로필아민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게다가,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건조방지제)
건조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요소, 티오뇨소, 에틸렌뇨소, 환원전분분해물, 환원덱스트린, 환원말토덱스트린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게다가,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증점제)
증점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라비아고무, 트라가칸트고무, 로카스트빈고무, 구아고무 및 그의 유도체, 알긴산, 알긴산염, 펙틴, 카라기난, 젤라틴, 카제인. 카제인나트륨, 키산탄고무, 람잔고무, 웨란고무, 제란고무, 덱스트란, 메틸셀류로스,에틸셀류로스, 히드록시에틸설류로스, 카르복시메틸셀류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률로스, 전분글리콜산나트륨, 라놀린유도체, 키토산유도체, 락토알부민,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그의 유도체, 폴리아크릴산수지, 가교형폴리아크릴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아크릴수지, 스티렌아크릴수지, 스티렌말레인산공중합체의 알칼리금속염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게다가,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멀션)
이멀션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초산비닐, 벤조구아나민수지, 에폭시수지, α,β-에틸렌성불포화산(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등),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에스테르(예를 들면,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프로필, 아크릴산보틸, 메타크릴산메틸, 에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프로필, 메타크릴산부틸 등), 비닐방향족화합물(예를 들면, 스티렌, 비닐톨루엔)을 공중합하여 얻을 수 있는 것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게다가,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착색제 60)
상기 착색제(60)는, 종래의 잉크의 염료 또는 안료에 상당하는 것으로, 종래의 잉크로부터 비히클을 제외한 부분을 주체로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종래의 잉크의 염료 또는 안료를 그대로 사용함에 의해서, 고형상 또는 고농도의 액상의 착색제(60)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종래의 잉크의 비히클에 매우 다량의 염료 또는 안료를 용해 또는 분산시킴에 의해서, 고농도의 액상의 착색제(60)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종래의 잉크의 비히클중의 소정의 성분에 매우 다량의 염료 또는 안료를 용해 또는 분산시킴에 의해서, 고농도의 액상의 착색제(60)를 조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착색제(60)는 예를 들면, 직접염료, 산성염료, 염기성염료, 형광염료, 또는 식용염료 등의 염료, 혹은 무기계안료, 유기계안료, 무기계형광안료, 또는 유기계형광안료 등의 안료를 그대로 이용함에 의해서 조정할 수가 있다.
또, 물, 수용성유기용제, 윤활제, 방부제, 방청제, pH조정제, 건조방지제, 증점제, 또는 이멀션 등을 적의 배합한 것에, 상술한 염료 또는 안료를 다량으로 용해 또는 분산시킴에 의해서, 착색제(60)를 조정할 수도 있다. 게다가, 이 경우에 있어서, 안료를 분산시키는데는 안료의 분산제로서, 예를 들면, 노니온계계면활성제, 아니온계계면활성제, 또는 수용성고분자 등을 적의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이 착색제(60)는, 액상에 조정된 것에 대해서는, 액체유도심(40)에 함침된다. 이에 의해, 착색제(60)는 필기구의 내부에, 잉크용 액체(50)와는 분리하여 수납되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착새제(60)의 필기구 내부에의 수납은, 액체유도심(40)에 함침시키는 경우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콜렉터(20)의 중심에 마련한 액체유도공(24)에, 고형상 또는 액상에 조정한 착새제(60)를 충전하여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액체유도공(24)의 내주면에, 액상에 조정한 착새제(60)를 도포하여 고화(固化)시키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액체유도심(40)의 외주면에, 액상에 조정한 착새제(60)를 도포하여 고화시키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고형상에 조정한 착색제(60)를 액체유도심(40)의 내부에 묻어도 좋다. 나아가서는, 액체수납실(30) 이외의 장소에, 액상에 조정한 착새제(60)를 보유함과 동시에,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의 흐름에 따라서 잉크용 액체(50)에 서서히 첨가되게 하여도 좋다.
이하, 다시금, 착색제(60)의 조정에 사용되는 직접염료, 산성염료, 염기성염료, 형광염료, 식용염료, 유용성(油溶性)염료, 무기계안료, 유기계안료, 무기계형광안료, 유기계형광안료, 노니온계계면활성제, 아니온계계면활성제, 및 수용성고분자에 관하여 상술한다.
(직접염료)
직접염료로서는, 예를 들면, C.I.다이렉트블랙17, 동19, 동22, 동32, 동38, 동51, 동71, C.I.다이렉트옐로4, 동26, 동44, 동50, C.I.다이렉트레드1, 동4, 동23, 동28, 동31, 동37, 동39, 동75, 동80, 동81, 동83, 동225, 동226, 동227, C.I.다이렉트블루1, 동15, 동71, 동86, 동106, 동119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게다가,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산성염료)
산성염료로서는, 예를 들면, C.I.애시드블랙1, 동2, 동24, 동26, 동31, 동52, 동107, 동109, 동110, 동119, 동154, C.I.애시드옐로7, 동17, 동19, 동23,동25, 동29, 동38, 동42, 동49, 동61, 동72, 동78, 동110, 동141, 동127, 동135, 동142, C.I.애시드레드8, 동9, 동14, 동18, 동26, 동27, 동35, 동37, 동51, 동52, 동57, 동82, 동87, 동92, 동94, 동111, 동129, 동131, 동138, 동186, 동249, 동254, 동265, 동 276, C.I.애시드바이올렛15, 동17, C.I.애시드블루1, 동9, 동15, 동22, 동23, 동25, 동40, 동41, 동43, 동62, 동78, 동83, 동90, 동93, 동103, 동112, 동113, 동158, C.I.애시드그린3, 동9, 동16, 동25, 동27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게다가,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염기성염료)
염기성염료로서는, 예를 들면, C.I.베이식옐로1, 동2, 동21, C.I.베이식오린지2, 동14, 동32, C.I.베이식레드1, 동2, 동9, 동14, C.I.베이식비이롤렛1, 동3, 동7, C.I.베이식브라운12, C.I.베이식블랙2, 동8, C.I.솔벤트바이올렛8, C.I.베이식그린4, C.I.설벤트블루2, C.I.솔벤트레드49, C.I.베이식블루9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게다가,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형광염료)
형광염료로서는, 예를 들면, C.I.애시드옐로7, 또는 C.I.베이식레드1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게다가,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식용염료)
식용염료는, 그의 대부분이 직접염료 또는 산성염료에 포함되나, 이들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C.I.푸드옐로3을 이용할 수가 있다.
(유용성염료)
유용성염료로서 예를 들면, 바리퍼스트블랙1802(오리엔트가카쿠고교(가부)제), 바리퍼스트블랙1807(동사 제), 바리퍼스트바이올렛1701(동사 제), 바리퍼스트바이올렛1702(동사 제), 바리퍼스트블루1605(동사 제), 바리퍼스트블루1603(동사 제), 바리퍼스트블루1601(동사 제), 바리퍼스트레드1308(동사 제), 바리퍼스트레드
1320(동사제), 바리퍼스트레드1355(동사 제), 바리퍼스트레드1360(동사 제), 바리퍼스트옐로1101(동사 제), 바리퍼스트옐로1105(동사 제), 바리퍼스트그린1308(동사제), 니그로신베이스EXBP(동사 제), 니그로신베이스EX(동사 제), BASE OF BASIC DYES ROB-B(동사 제), BASE OF BASIC DYES RO6G-B(동사 제), BASE OF BASIC DYES VB-B(동사 제), BASE OF BASIC DYES VPB-B(동사 제), BASE OF BASIC DYES MVB-3(동사 제), 아이젠스피론블랙 GMH-스페셜(호도가야가카쿠고교(주) 제), 아이젠스피론바이올렛 C-RH(동사 제), 아이젠스피론블루 GNH(동사 제), 아이제스피론옐로 C-2GH(동사 제), S.P.T레드 522(동사 제), S.P.T블루 GLSH스페셜(동사 제), S.P.T레드 533(동사 제), S.P.T 오린지6(동사 제), S.P.T블루 111(동사 제), S.B.N바이올렛510(동사 제), S.B.N옐로510(동사 제), S.B.N옐로530(동사 제) 등이 있다.
게다가,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무기계안료)
무기계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티탄, 카본블랙, 벤가라, 산화크롬, 철흑(鐵黑), 코발트블루, 알루미나화이트, 산화철황, 비리디안, 유화아연, 리토폰, 카드뮴옐로, 주(朱), 카드뮴레드, 황연, 몰리브덴드오린지, 징크크로메이트, 스트론티움크로메이트, 화이트카본, 클레이, 탤크, 군청(群靑), 침강성유산발륨, 바리이트분, 탄산칼슘, 연백(鉛白), 감청(紺靑), 망간바이올렛, 알미늄분, 스테인레스분, 니켈분, 동분,아연분, 놋쇠분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게다가,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유기계안료)
무기계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아조레이크, 불용성아조안료, 킬레이트아조안료, 프탈로시아닌안료, 페릴렌 및 페리논안료, 안트라키논안료, 퀴나크리돈안료, 염료레이크,니트로안료, 니트로소안료 등의 유기계안료,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탈로시니안블루(C.I. 74160), 프탈로시니안그린(C.I. 74260), 한자옐로 3G (C.I. 11670), 디스아조옐로 GR(C.I. 21100), 퍼머넨트레드 4R(C.I. 12335), 브릴리언트카민 6B(C.I. 15850), 퀴나리돈레드(C.I. 46500)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게다가,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무기계형광안료)
무기계형광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황화아연 등의 중금속염, 혹은 알칼리토류금속의 황화물의 고순도의 것에, 미량의 동, 은, 망간 등의 활성화제를 첨가하여 고온소성시킨 것을 이용할 수가 있다.
(유기계형광안료)
유기계형광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형광염료를 합성수지의 비히클에 용해시킨 고용체(固溶體)를 이용할 수가 있다. 게다가, 여기에서 말하는 형광염료로서는, C.I. 애시드옐로7이나, C.I. 베이식레드1 등이 있으며, 또, 여기에서 말하는 합성수지로서는, 염화비닐수지나, 알키드수지나, 알칼리수지 등이 있다.
(노니온계계면활성제)
노니온계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알킬렌고급지방산에스테르, 다가알코올의 고급지방산부분에스테르, 당(糖)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 등, 보다 구체적으로는, 글리세린의 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의 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펜타에리스리톨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빗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레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포름알데히드축합물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게다가,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아니온계계면활성제)
아니온계계면활성제로서는, 고급지방산아미드의 알킬화설폰산염이나, 알킬아릴설폰산염 등,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킬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N-아실아미노산염, N-아실메틸타우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초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게다가,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수용성고분자)
수용성고분자로서는, 폴리아크릴산, 아크릴산공중합체, 말레인산수지 등,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크릴수지, 스티렌아크릴산수지, 스티렌말레인산수지 등의 수지를 염의 꼴로하여 수용성으로 한 것을 이용할 수가 있다. 게다가, 염을 형성하는 아민으로서는, 모노, 디, 또는 트리메틸아민 등의 지방족제1∼3급아민, 모노, 디, 또는 트리프로판올아민, 메틸에탄올아민, 부틸프로판올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 등의 알코올아민 기타 암모니나, 모르폴린 및 N-메틸폴린 등이 있다.
게다가,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착색제이동방향규제체 80)
상기 착색제이동방향규제체(80)는, 잉크용 액체(50)와 착색제(60)의 사이에 마련되어, 잉크용 액체(50)가 착색제(60) 방향에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지만,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 방향에 향해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다.
이 착색제이동방향규제체(80)는, 반투막(81)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 및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 착색제이동방향규제체(80)로서의 반투막(81)은, 액체유도공(24)의 액체수납실(30) 측의 단부에 마련돼 있다.
이에 의해, 이 착색제이동방향규제체(80)로서의 반투막(81)은, 잉크용 액체 (50)와 착색제(60)의 사이에 위치하여, 잉크용 액체(50)가 착색제(60)의 방향에 향해 이동하는 것은 방해하지 않지만, 착색제(60)가 액체유도공(24)으로부터 잉크용 액체(50) 방향에 향해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그리하여,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중에 혼입하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즉, 반투막(81)은, 직경이 10∼1000 옹스트롬 정도의 구멍을 다수 가지고 있는 것인 바, 잉크용 액체(50)를 구성하는 성분의 대부분은, 이 구멍을 통과할 수 있으나, 착새제(60)를 구성하는 염료 또는 안료는 이 구멍을 통과할 수가 없기 때문에, 잉크용 액체(50)의 착색제(60) 방향에의 이동은 방해되지 않으나, 착색제 (60)의 잉크용 액체(50) 방향에의 이동은 규제되는 것이다.
또, 반투막(81)으로서는, 예를 들면, 셀로판, 폴리비닐알코올막, 방광(膀胱)막, 콜로디온막, 세포박, 또는 초산셀률로스막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더구나, 착색제이동방향규제체(80)는, 반투막(81)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밸브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고, 또, 중공사(中空絲)막, 멤브레인필터, 액체크로마토그래피용칼럼(이온교한수지), 또는 투습성방수소재(예를 들면, 미국의 W.L.고어·앤드·어소시에이츠 사에 의해 개발된 고어텍스(상품명)) 등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다.
또,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중에 혼입하기 쉽게 되지만, 잉크용 액체(50)와 착색제(60)의 사이에 반드기 착색제이동방향규제체(80)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오로지,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중에 혼입하지 않게, 혹은 혼입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는, 잉크용 액체(5)와 착색제(60)의 사이에 착색제이동방향규제체(80)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비용해물 90)
상기 액체비용해물(90)은, 잉크용 액체(50)에 녹지 않는 고형물로서, 잉크용 액체(50)중에 넣어져 있는 것이다.
이 액체비용해물(90)은, 예를 들면, 프라스틱제의 박판, 플라스틱제의 자질구레한 부속물, 금속제의 박막, 금속제의 자질구레한 부속물, 금속분, 또는 유리제의 자질구레한 부속물 등에 의해 형성할 수가 있다.
또, 액체비용해물(90)로서의 플라스틱제의 박판의 표면에, 예를 들면, 상품명, 기업명, 혹은 캐릭터 등을 붙일 수가 있다.
그리하여, 잉크용 액체(50)중에, 액체비용해물(90)로서의 플라스틱제의 자질구레한 부속물이나, 금속분이나, 혹은 유리제의 자질구레한 부속물을 봉입하여 놓으면, 필기시 등에 이들이 잉크용 액체(50)중에서 흔들려 움직이고, 또, 상품명, 기업명, 혹은 캐릭터 등을 붙인 플라스틱제의 박판을 봉입하여 놓으면, 종래의 잉크로는 읽을 수가 없었던 문자 등을 시인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더구나, 이 액체비용해물(90)은, 잉크용 액체(50)중에 넣어도 좋고, 또, 넣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필기구는, 잉크용 액체(50)와 착색제(60)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동시에, 잉크용 액체(50)가 필기선단(70)에 유도되는 도중에,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에 첨가되게 형성함에 의해, 필기선단(70)에서는 소정의 색채를 나타내는 잉크로 필기할 수 있지만, 보는 느낌이 종래의 필기구와는 전혀 다르게 하여 있는 것이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필기구는, 잉크용 액체(50)와 착색제(60)의 사이에, 착색제이동방향규제체(80)를 마련함에 의해,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 (50)중에 혼입하기 어렵게 하여서, 보는 느낌이 전혀 다른 모양을 장기에 걸쳐 계속하게 하여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필기구는, 잉크용 액체(50)중에, 액체비용해물(90)을 봉입함에 의해, 필기시에 이 액체비용해물(90)이 잉크용 액체(50)중에서 흔들려 움직이게 하여, 보는 느낌이 대단히 재미있게 하거나, 혹은 선전광고효과가 매우 높아지게 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콜렉터(20)를 구비한 필기구를 보이었으나, 본 발명은, 콜렉터(20)를 구비한 필기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콜렉터(20)를 구비하지 않은 직액식의 사인펜, 마커펜, 혹은 볼펜에도 이용할 수가 있다.
(제2의실시의형태)
이하, 본 발명중, 제 2의 실시의 형태로서, 청구항 4 내지 8 기재의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필기구의 요부 측면 단면도이다.
도 4에 보아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필기구는, 원통상의 축통을 구비하여, 이 축통의 일방측의 내부에는, 잉크용 액체(50)를 수납하기 위한액체수납실(30)이 형성되고, 또, 타방측의 내부에는, 액체수납실의 압력변화에 의한 잉크용 액체의 필기선단으로부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콜렉터(20)가 압입되어 있다.
또, 상기 콜렉터(20)의 반(反)액체수납실(30) 측에는, 필기선단(70)으로서의 볼펜 팁(71)이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콜렉터(20)의 중심에는, 그의 액체수납실(30) 측의 단부로부터 필기선단(70) 측의 단부까지 관통하는 액체유도공(24)이 마련돼 있다.
또, 상기 액체유도공(24)에는, 액체수납실(30)로부터 필기선단(70)에 잉크용 액체(50)를 유도하기 위한 착색액체유도심(40) 및 포획액체유도심(41)이 삽입되어있다.
(축통 10)
도 4 내지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축통(10)은, 거의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그이 일방측의 내부에는, 잉크용 액체(50)를 수납하기 위한 액체수납실 (30)이 형성되고, 또, 타방측의 내부에는, 액체수납실(30) 내의 압력변화를 조정하기 위한 콜렉터(20)가 압입돼 있다.
이 축통(10)의 설명은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콜렉터 20)
상기 콜렉터(20)는, 도 4 내지 도 6에 보이고 있으며, 액체수납실(30) 내의 압력변화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더구나, 이 콜렉터(20)의 설명은, 액체유도심(40)이 필요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의 실시 형태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착색액체유도심 40 및 포획액체유도심 42)
상기 착색액체유도심(40) 및 포획액체유도심(42)은, 잉크용 액체(50)를 액체수납실(30)로부터 필기선단(70)에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 후술하는 착새제(60)를 함침시킨 착새액체유도심(40) 및 잉크용 액체(50)를 착색액체유도심(40)에 유도하는 동시에, 착색제(60)의 잉크용 액체(50)중에의 이동을 방지하는 포획액체유도심(41)은, 섬유속체에 의해서, 원주봉상에 형성돼 있다.
또, 이 착색액체유도심(40) 및 포획액체유도심(42)은, 콜에터(20)의 액체유도공(24)에 삽입되어, 그의 일방측의 단부를 액체수납실(30) 근변에 위치시키고, 타방측을 필기선단(70)으로서의 볼펜 팁(71)의 내부에 위치시켜 있다.
또, 착색액체유도심(40) 및 포획액체유도심(42)으로서의 섬유속체에는, 기공률이 40% 이상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필기구에서는, 잉크유도심으로서의 섬유속체에, 기공률이 30% 이상의 것을 이용하고 있었으나,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착색액체유도심(40)으로서의 섬유속체에, 착색제(60)를 함침시키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로지, 기공률은 이러한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잉크용 액체(50)를 유도할 수 있으면 족하다.
게다가, 착색액체유도심(40) 및 포획액체유도심(42)은, 폴리아세탈, 폴리프로필렌 혹은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서 형성하여도 좋다. 오로지, 이 경우, 착색액체유도심(40) 혹은 포획액체유도심(42)의 어느 일방 또는 쌍방 외주면에, 일방의 단부로부터 타방의 단부까지 연속하는 다수의 모세관홈이나 슬릿이나 요상부를 마련하거나, 혹은 착색액체유도심(40) 혹은 포획액체유도심(42)의 어느 일방 또는 쌍방의 내부에, 일방의 단부로부터 타방의 단부까지 관통하는 다수의 모세관홈이나 모세관공이나 요상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구나 여기서는, 착색액체유도심(40)과 포획액체유도심(41)이 접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밖에도, 예를 들면, 액체수납실(30), 포획액체유도심 (42), 공극(잉크저장), 착색액체유도심(40) 처럼, 사이에 타의 부분이 끼이게 할 수도 있다.
또 여기서는, 포획액체유도심(41)이 일체의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복수개에 분할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복수개에 분할한 포획액체유도심(41)의 내부 뿐 아니라, 분할면에도 착색제(60가 포획되므로, 포획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이 때에, 분할한 포획액체유도심(41) 각각의 모세관력을 다르게 할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분할면 내, 모세관력의 다른 면에 많은 착색제(60)거 포획되므로, 더욱 착색제(60)의 포확률이 향상한다.
(필기선단 70)
상기 필기선단(70)에 관하여서는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중복하므로 생략한다.
(잉크용 액체 50)
상기 잉크용 액체(50)에 관하여서는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중복하므로 생략한다.
(착색제 60)
상기 착색제(60)는, 종래의 잉크의 염료 또는 안료에 상당하는 것이며, 종래의 잉크로부터 비히클을 제외한 부분을 주체로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종래의 잉크의 염료 또는 안료를 그대로 이용함에 의해서, 고형상 또는 고농도의 액상의 착색제(60)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종래의 잉크의 비히클에, 매우 다량의 염료 또는 안료를 용해 또는 분산시킴에 의해서, 고농도의 액상의 착색제(60)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종래의 잉크의 비히클중의 소정의 성분에, 매우 다량의 염료또는 안료를 용해 또는 분산시킴에 의해서, 고농도의 액상의 착색제(60)를 조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착색제(60)는, 예를 들면, 직접염료, 산성염료, 염기성염료, 형광염료, 또는 식용염료 등의 염료, 혹은 무기계안료, 유기계안료, 무기계형광안료, 또는 유기계형광안료 등의 안료를 그대로 이용함에 의해서 조정할 수가 있다.
또, 물, 수용성유기용제, 윤활제, 방부제, 방청제, pH조정제, 건조방지제, 증점제, 또는 이멀션 등을 적의 배합한 것에, 상술한 염료 또는 안료를 다량으로 용해 또는 분산시킴에 의해서, 착색제(60)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안료를 분산시키는 데는, 안료의 분산제로서, 예를 들면, 노니온계계면활상제, 아니온계계면활성제, 또는 수용성고분자 등을 적의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착색제(60)는, 액상에 조정된 것에 대해서는, 착색액체유도심 (40)에 함침된다. 이에 의해, 착색제(60)는, 필기구의 내부에, 잉크용 액체(50)와는 분리하여 수납되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착색제(60)의 필기구 내부에의 수납은, 착색액체유도심(40)에 함침시키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콜렉터(20)의 중심에 마련한 액체유도공(24)에, 고형상 또는 액상에 조정한 착색제(60)를 충전하여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액체유도공(24)의 내주면에, 액상에 조정한 착색제(60)를 도포하여 고화시키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액체유도심(40)의 외주면에, 액상에 조정한착색제(60)를 도포하여 고화시키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고형상에 조정한 착색제(60)를 액체유도심(40)의 내부에 묻어도 좋다. 게다가, 액체수납실(30) 이외의 장소에, 액상에 조정한 착색제(60)를 보유하는 동시에, 이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의 흐름에 따라서 잉크용 액체(50)에 서서히 첨가되게 하여도 좋다.
이하, 또한, 착색제(60)의 조정에 이용되는 직접염료, 산성염료, 염기성염료, 형광염료, 또는 식용염료 등의 염료, 혹은 무기계안료, 유기계안료, 무기계형광안료, 유기계형광안료, 노니온계계면활상제, 아니온계계면활성제, 및 수용성고분자에 관해서의 설명은,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살명과 중복하므로 생략한다.
(액체비용해물 90)
상기 액체비용해물(90)에 관하여서는,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살명과 중복하므로 생략한다.
(제3의실시의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필기구의 실시의 형태를, 도시예와 함께 설명한다.
도 7, 도 8은,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필기구의 요부 측면 단면도이다.
도 7,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필기구는, 원통상의 축통을 구비하여, 이 축통의 일방측의 내부에는, 잉크용 액체(50)를 수납하기 위한 액체스납실(30)이 형성되고, 또, 타방측의 내부에는, 액체수납실의 압력변화에 의한 잉크용 액체의 펜촉으로부터의 누출을 방지, 조정하기 위한 콜렉터(20)가압입되어 있다.
또 상기 콜렉터(20)의 반(反)액체수납실(30) 측에는, 필기선단(70)으로서의 볼펜 팁(71)이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콜렉터(20)의 중심에는, 그의 액체수납실(30) 측의 단부로부터 필기선단(70) 측의 단부까지 관통하는 액체유도공(24)이 마련되어 있다.
또, 상기 액체유도공(24)에는, 액체수납실(30)로부터 필기선단(70)에 잉크용 액체(50)를 유도하기 위한 액체유도심(40)이 삽입돼 있다.
그리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필기구는, 액체수납실(30)에 잉크용 액체(50)을 충전하는 동시에, 표면다공질체(80)를 위치시시키고, 다시, 액체유도심 (40)에 착색제(60)를 함침시킴에 의해, 잉크용 액체(50)와 착색제(60)를 분리하여 수납하고 있는 것이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필기구는, 잉크용 액체(50)가, 착새제(60)를 함침시키고 있는 액체유도심(40)을 전해 퍼져, 필기선단(70)에 이르게 형성되고, 이에 의해, 잉크용 액체(50)가 필기선단(70)에 유도되는 도중에,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에 첨가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하, 다시,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필기구에 관하여 상술한다.
(축통 10)
도 7 및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축통(10)은, 거의 원통상에 형성되어, 그의 일방측의 내부에는, 잉크용 액체(5)를 수납하기 위한 액체수납실(30)이 형성되고, 또, 타방측의 내부에는, 액체수납실(30) 내의 압력변화를 조정하기 위한콜렉터(20)가 압입되어 있다.
축통(10)의 설명은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설명과 중복하므로 생략한다.
(콜렉터 20)
상기 콜렉터(20)은, 도 7 및 도 8에 보이고 있으며, 액체수납실(30) 내의 압력변화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 이 콜렉터(20)의 설명은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설명과 중복하므로 생략한다.
(액체유도심 40)
상기 액체유도심(40)은, 도 7 및 도 8에 나태내 있으며, 잉크용 액체(50)를 액체수납실(30)으로부터 필기선단(70)에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더구나, 이 액체유도심(40)의 설명은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설명과 중복하므로 생략한다.
(필기선단 70)
상기 필기선단(70)의 설명은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설명과 중복하므로 생략한다.
(잉크용액체 50)
상기 잉크용 액체(50)의 설명은 제 1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설명과 중복하므로 생략한다.
(착새제 60)
상기 착색제(60)는, 종래의 잉크의 염료 또는 안료에 상당하는 것으로, 종래의 잉크로부터 비히클을 제외한 부분을 주체로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종래의 잉크의 염료 또는 안료를 그대로 이용함에 의해서, 고형상 도는 고농도의 액상의 착새제(60)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종래의 잉크의 비히클에, 매우 다량의 염료 또는 안료를 용해 또는 분산시킴에 의해서, 고농도의 액상의 착색재(60)를 조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착색제(60)는, 예를 들면, 직접염료, 산성염로, 염기성염료, 형광염료, 또는 식용염료 등의 염료, 혹은 무기계안료, 유기계안료, 무기계형광안료, 또는 유기계형광안료 등의 안료를 그대로 이용함에 의해서 조정할 수가 있다.
또, 물, 수용성유기용제, 윤활제, 방부제, 방청제, pH조정제, 건조방지제, 증점제, 또는 이멀션 등을 적의 배합한 것에, 상술한 염료 또는 안료를 다량으로 용해 또는 분산시킴에 의해서, 착색제(60)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안료를 분산시키는 데는, 안료의 분산제로서, 예를 들면, 노니온계계면활상제, 아니온계계면활성제, 또는 수용성고분자 등을 적의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착색제(60)는, 액상에 조정된 것에 대해서는, 착색액체유도심 (40)에 함침시킨다. 이에 의해, 착색제(60)는, 필기구의 내부에, 잉크용 액체(50)와는 분리하여 수납되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착색제(60)의 필기구 내부에의 수납은, 착색액체유도심(40)에 함침시키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콜렉터(20)의 중심에 마련한액체유도공(24)에, 고형상 또는 액상에 조정한 착색제(60)를 충전하여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액체유도공(24)의 내주면에, 액상에 조정한 착색제(60)를 도포하여 고화시키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액체유도심(40)의 외주면에, 액상에 조정한 착색제(60)를 도포하여 고화시키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고형상에 조정한 착색 제(60)를 액체유도심(40)의 내부에 묻어도 좋다. 게다가, 액체수납실(30) 이외의 장소에, 액상에 조정한 착색제(60)를 보유하는 동시에, 이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의 흐름에 따라서 잉크용 액체(50)에 서서히 첨가되게 하여도 좋다.
이하, 또한, 착색제(60)의 조정에 이용되는 직접염료, 산성염료, 염기성염료, 형광염료, 식용염료, 유용성염료, 무기계안료, 유기계안료, 무기계형광안료, 유기계형광안료, 노니온계계면활상제, 아니온계계면활성제, 및 수용성고분자에 관해서의 설명은,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살명과 중복하므로 생략한다.
(표면다공질물질 80)
상기 적어도 표면이 다공질인 물질은,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액체수납실 (30)에 넣는 경우나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착색제함유 위치와 액체수납실(30)의 사이에 마련된다.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액체수납실(30)에 넣어진 경우, 착색제의 잉크용 액체(50)에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착색제를 흡수할 목적이며, 액체수납실 (30)에 있는 잉크용 액체(50) 중에 직접 넣는 경우, 및 액체수납실(30)에 적어도 표면이 다공질인 물질을 캡슐처럼 타의 물질로 싸서 그것을 잉크용 액체(50)의 안에 넣는 경우, 액체수납실에 설치개소를 마련하여, 적어도 표면이 다공질인 물체를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8과 같이 착색제함유 위치와 액체수납실(30)의 사이에 설치하는 경우는, 잉크용 액체(50)가 착색제(60) 방향에 향해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지만, 착색제가 잉크용 액체(50) 방향에 향해 이동하는 것을 표면이 다공질인 물질의 흡착작용에 의해 규제, 방지하는 것이다.
적어도 표면이 다공질인 물체란, 예를 들면, 활성탄으로 불리는 탄소질 재료인 목재, 석탄, 야자껍질, 사란,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합성수지를 부활한 것이나 폴리아크릴로니트릴섬유, 세률로스 및 코르타르피치를 부활한 섬유상활성탄, 기타, 골탄이나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일루미나나 고분자물질 등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이들 적어도 표면이 다공질인 물질은, 그 물질의 큰 표면적으로 인해, 착색제(60)를 흡착하는 능력을 가져, 종래 석유의 정제에서의 탈색, 탈취나 정당(精糖)에서의 당액의 탈색 등의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더구나, 실시의 형태에서는, 콜렉터(20)를 구비한 필기구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콜렉터(20)를 구비한 필기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콜렉터(20)를 구비하지 않은 직액식의 볼펜, 사인펜, 마커펜에도 이용할 수가 있다.
이하, 도시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 중, 청구항 1 내지 3의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의 구성의 필기구를 제조하였다.
우선, 하기의 조성의 잉크용 액체(50)를 제조하였다,
물: 59.0 중량%
에틸렌글리콜 (수용성유기용제): 30.0 중량%
글리세린 (수용성유기용제): 10.0 중량%
칼리비누H (계면활성제): 1.0 중량%
또, 하기의 조성의 착색제(60)를 제조하였다.
청(靑)105호 (염료): 30.0 중량%
물: 18.45 중량%
에틸알코올 (수용성유기용제): 50.0 중량%
페놀 (방부제): 0.5 중량%
암모나아수 (pH조정제): 0.5 중량%
벤조트리아졸 (방청제): 0.05 중량%
칼리비누H (계면활송제): 0.5 중량%
그리하여, 상기 잉크용 액체(50)를,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나타낸 필기구의 액체수납실(30)에 충전하는 동시에, 상기 착색제(60)를,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나타낸 필기구의 액체유도심(40)에 함침, 건조시키었다.
(실시예 2)
하기의 구성의 필기구를 제조하였다.
우선, 하기의 조성의 잉크용 액체(50)를 제조하였다.
스피론레드C-GH (염료): 0.1 중량%
물: 59.4 중량%
N-메틸-2-피롤리돈 (수용성유기용제): 30.0 중량%
글리세린 (수용성유기용제): 10.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인산에스테르 (계면활성제): 0.5 중량%
또, 하기의 조성의 착섹제(60)를 제조하였다.
스피론레드C-GH (염료): 10.0 중량%
에틸알코올 (수용성유기용제): 40.0 중량%
N-메틸-2-피롤리돈 (수용성유기용제): 48.45 중량%
페놀 (방부제): 0.5 중량%
암모나아수 (pH조정제): 0.5 중량%
벤조트리아졸 (방청제): 0.0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인산에스테르 (계면활성제): 0.5 중량%
그리하여, 상기 잉크용 액체(50)를,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나타낸 필기구의 액체수납실(30)에 충전하는 동시에, 상기 착색제(60)를,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나타낸 필기구의 액체유도심(40)에 함침, 건조시키었다.
(실시예 3)
하기의 구성의 필기구를 제조하였다.
우선, 하기의 조성의 잉크용 액체(50)를 제조하였다.
물: 64.8 중량%
글리세린 (수용성유기용제): 25.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성유기용제): 10.0 중량%
리놀산칼륨 (계면활성제): 0.2 중량%
또, 하기의 조성의 착색제(60)를 제조하였다.
카본블랙 (안료): 30.0 중량%
물: 39.05 중량%
글리세린 (수용성유기용제): 10.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성유기용제): 10.0 중량%
스티렌말레인산수지 (분산제): 10.0 중량%
페놀 (방부제): 0.3 중량%
벤조트리아졸 (방청제): 0.05 중량%
암모나아수 (pH조정제): 0.3 중량%
리놀산칼륨 (계면활송제): 0.3 중량%
그리하여, 상기 잉크용 액체(50)를,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나타낸 필기구의 액체수납실(30)에 충전하는 동시에, 상기 착색제(60)를,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나타낸 필기구의 액체유도심(40)에 함침, 건조시키었다.
(필기구의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각 필기구에 대하여서의 평가를 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어느 필기구도, 잉크용 액체(50)와 착색제 (60)를 분리하여 수납할 수가 있었다.
또,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어느 필기구도, 착색제이동방향규제체 (80)에 의해서, 착색제(60)가 잉크용 액체(50)중에 혼입하기 어려워지게 할 수가 있었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어느 필기구도, 필기선단(70)에서는, 소정의 색채(청색, 적색, 혹은 흑색)를 나타내는 잉크로 필기할 수가 있었다.
이에 의해,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어느 필기구도, 보는 느낌이 종래의 필기구와는 전혀 다른 필기구로 할 수가 있었다.
이하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 중, 청구항 4 내지 8에 기재한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4)
하기구성의 필기구를 제조하였다.
우선, 하기의 조성의 잉크용 액체(50)를 제조하였다,
정제수: 57.45 중량%
N-메틸-2피롤리돈(수용성유기용제): 30 중량%
글리세린(수용성유기용제):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인산에스테르 (계면활성제): 0.5 중량%
트리에타놀아민 (pH조정제): 1.0 중량%
밴조트리아졸 (방청제): 0.05 중량%
또, 하기의 조성의 착색제를 제조하였다.
스피론레드C-GH (염료, 호도가야가카쿠고교샤 제): 10중량%
에틸알코올: 90 중량%
그리하여, 상기 잉크용 액체(50)를,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나타낸 필기구의 액체수납실(30)에 충전하는 동시에, 상기 착색제(60)를, 상기 실시의 형태 도 4에서 나타낸 필기구의 착색액체유도심(40)에 함침후, 건조시키었다.
또, 착색액체유도심(40)과 액체수반실(30)의 사이에 포획액체유도심(41)을 착색액체유도심(40)에 접합시키었다. 액체유도심으로서는, 이하의 것을 사용하엿다.
착색액체유도심 폴리에스테르섬유속심(수지로 외피 코팅) 기공률 60%
포획액체유도심 폴리에스테르섬유속심(수지로 외피 코팅) 기공률 60%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4로부터 포획액체유도심(41)을 제외, 착색액체유도심(40)이 직접액체수납실(30)에 접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하기의 구성의 필기구를 제조하였다.
우선, 하기의 구성의 잉크용 액체(50)를 제조하였다.
스피론옐로C-GNH (염료, 호도가야가가쿠고교샤 제 ): 0.01 중량%
정제수: 54.04 중량%
2-피롤리돈: 30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스티렌아크릴수지J-61J (증점제, 존슨폴리머 사 제): 5 중량%
칼리비누H (계면활성제): 0.3 중량%
페놀 (방부제): 0.1 중량%
암모니아수 (pH조정제): 0.5 중량%
벤조트리아졸 (방청제): 0.05 중량%
또, 하기의 조성의 착색제(60)를 제조하였다.
스피론옐로C-GNH (염료, 호도가야가가쿠고교샤 제 ): 10 중량%
에틸알코올: 90 중량%
그리하여, 상기 잉크용 액체를, 상기 실시의 형태 도 4에서 나타낸 필기구의 액체수납실(30)에 충전하는 동시에, 상기 착색제를, 상기 실시의 형태 도 4에서 나타낸 필기구의 착색액체유도심(40)에 함침, 건조시키었다.
또, 착색액체유도심(40)과 액체수반실(30)의 사이에 포획액체유도심(41)을 착색액체유도심(40)에 접합시키었다. 액체유도심으로서는, 이하의 것을 사용하엿다.
착색액체유도심 폴리에스테르섬유속심(수지로 외피 코팅) 기공률 60%
포획액체유도심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구무가공품(다공질체) 기공률 50%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5로부터 포획액체유도심(41)을 제외, 착색액체유도심(40)이 직접 액체수납실(30)에 접하게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4 및 실시예 5, 및 비교예 1 및 비고예 2의 어느 필기구도, 잉크용 액체(50)와 착색제(60)를 분리하여 수납할 수가 있었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 4 및 실시예 5, 및 비교예 1 및 비고예 2의 어느 필기구도, 필기선단(70)에서는, 소정의 색채(적색, 황색)를 나타내는 잉크로 필기할 수가 있었다.
또, 이 필기구를 뉘어놓아 상온하에서 1개월간 방치한 후의 잉크용 액체(50)의 상태 및 필기성능에 관하여 비교한 것을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경시의경우의잉크용액체의변화및필기성능변화
평가필기구 조립직후잉크용액체외관 경시후잉크용액체외과 필기성
실시예 4 무색투명 무색투명 양호
실시예 5 엷게황색착색 엷게황색착색 양호
비교예 1 무색투명 적색착색 양호
비교예 2 엷게황색착색 황색착색 양호
이하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 중, 청구항 9 내지 11에 기재한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6)
하기구성의 필기구를 제조하였다.
우선, 하기의 조성의 잉크용 액체(50)를 제조하였다.
정제수: 57.45 중량%
N-메틸-2피롤리돈 (수용성유기용제): 30 중량%
글리세린 (수용성유기용제): 1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인산에스테르 (계면활성제): 0.5 중량%
트리에타놀아민 (pH조정제): 1.0 중량%
벤조트리아졸 (방청제): 0.05 중량%
또, 하기의 조성의 착색제를 제조하였다.
스피론레드C-GH (염료, 호도가야가가쿠고교샤 제 ): 10중량%
에틸알코올: 90 중량%
그리하여, 상기 잉크용 액체(50)를,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나타낸 필기구의 액체수납실에 충전하는 동시에, 상기 착색제(60)를, 상기 실시의 형태 도 7에서 나타낸 필기구의 액체유도심에 함침후, 건조시키었다.
또, 필기구의 액체수납실에 적어도 표면이 다공질인 물질로서 하기의 과립상활성탄을 액체수납실의용적에 대하여, 10% 넣었다.
활성탄 (니무라가가구샤 제, 다이코SG, 과립활성탄) 10%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6으로부터 활성탄을 뺀 필기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하기의 필기구를 제조하였다.
우선, 하기의 구성의 잉크용 액체(50)를 제조하였다.
스피론옐로C-GNH (염료, 호도가야가가쿠고교샤 제): 0.01 중량%
정제수: 54.04 중량%
2-피롤리돈: 30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스티렌아크릴수지J-61J (증점제, 존슨폴리머 사 제): 5 중량%
칼리비누H (계면활성제): 0.3 중량%
페놀 (방부제): 0.1 중량%
암모니아수 (pH조정제): 0.5 중량%
벤조트리아졸 (방청제): 0.05 중량%
또, 하기의 조성의 착색제(60)를 제조하였다.
스피론옐로C-GNH (염료, 호도가야가가쿠고교샤 제): 10 중랴%
에틸알코올: 90 중량%
그리하여, 상기 잉크용 액체를, 상기 실시의 형태 도2에서 나타낸 필기구의 액체수납실(30)에 충전하는 동시에, 상기 착색제를, 상기 실시의 형태 도 7에서 나타낸 필기구의 액체유도심(40)에 함침, 건조시키었다.
또, 염료함유의 액체유도심(40)과 액체수납실(30)의 사이에 하기의 섬유상활성탄을 장착시키었다.
섬유상활성탄 (ACF, 니무라가가구샤 제) 가공품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5로부터 섬유상활성탄을 빼고 대신에 섬유를 다발로 한 심을 장착시켜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우선, 하기의 구성의 잉크용 액체(50)를 제조하였다.
정제수: 79.42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10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벤조트리아졸 (방청제): 0.05 중량%
트리에타놀아민 (pH조정제): 0.5 중량%
1,2-벤즈이소티아졸린3-온 (방부제): 0.03 중량%
또, 하기의 착색제(60)를 제조하였다.
카본블랙분산액체(CW-1, 올리엔트샤 제): 50 중량%
정제수: 50 중량%
그리하여, 상기 잉크용 액체를, 상기 실시예의 형태 도 1에서 보인 필기구의 액체수납실(30)에 충전하는 동시에, 상기 착색제를, 상기 실시의 형태 도 7에서 나타낸 필기구의 액체유도심(40)에 함침, 건조시키었다.
또, 필기구의 액체수납실에 적어도 표면이 다공질인 물질로서 하기의 합성흡착제를 액체수납실의 용적에 대하여, 10% 넣었다.
DIAION-HP(미쓰비시가가쿠샤 제): 10%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6으로부터 합성흡착제를 뺀 필기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어느 것 필기구도, 잉크용 액체(50)와 착색제(60)를 분리하여 수납할 수가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이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어느 것의필기구도, 필기선단(70)에서는, 소정의 색체(적색, 황색, 혹은 흑색)를 나타내는 잉크로 필기할 수가 있었다.
또, 이 필기구를 뉘어놓아 상온하에서 3개월간 방치한 후의 잉크용 액체(50)의 상태 및 필기성능에 관하여 비교한 것을 이하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경시의경우의잉크용액체의변화및필기성능변화
평가필기구 조립직후잉크용액체외관 경시후잉크용액체외과 필기성
실시예 6 무색투명 무색투명 양호
실시예 7 엷게황색착색 엷게황색착색 양호
실시예 8 무색투명 무색투명 양호
비교예 3 무색투명 적색착색 양호
비교예 4 엷게황색착색 황색착색 양호
비교예 5 무색투명 흑색착색 양호
본 발명은, 잉크중에 포함되는 잉크용 액체와 착색의 주체를 분리하여 수납하는 동시에, 잉크용 액체가 필기선단에 유도되는 도중에, 착색제가 잉크용 액체에 첨가되도록 형성함에 의해, 예를 들어, 잉크용 액체를 무색투명으로 하기도 하고, 혹은 잉크용 액체의 색채를 착색제와는 다른 색채로 하기도 하며, 혹은 잉크용 액체의 색채를 착색제와 동계의 매우 엷은 색채로 하기도 하여, 필기선단에서는 소정의 색채를 나타내는 잉크로 필기하는 것이지만, 보는 느낌이 종래의 필기구와는 전혀 다른 필기구를 제공한다.

Claims (11)

  1. 잉크용 액체와, 이 잉크용 액체에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의 주체가 분리하여 수납돼,
    상기 잉크용 액체가 필기선단에 유도되는 도중에, 상기 착색제가 잉크용 액체에 첨가되게 형성돼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잉크용 액체와 착색제의 사이에는, 착색제가 잉크용 액체 방향에 향해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착색제 이동방향 규제체가 마련돼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잉크용 액체중에는, 액체비용해물이 들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4. 잉크용 액체와, 이 잉크용 액체에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의 주체가 분리하여 수납돼, 상기 잉크용 액체가 필기선단에 유도되는 도중에, 상기 착색제가 잉크용 액체에 첨가되게 형성하고 있는 필기구에 있어서, 잉크용 액체 수납부와 착색제 수납부의 사이에, 모세관력이 있는 물질이 짜 넣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필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모세관력이 있는 물질은, 잉크용 액체 수납부와 착색제 수납부의 사이에 직접 마련돼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6. 제 4 항에 있어서,
    모세관력이 있는 물질은, 잉크용 액체 수납부와 착색제 수납부의 사이에서 분할하여 마련돼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분할하여 마련된 모세관력이 있는 물질은, 모세관력이 다른 것이 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8. 제 4, 5, 6 또는 7 항에 있어서,
    착색제수납부는, 착색제를 함침시킨 착색액체유도심에 의해 형성하고, 모세관력이 있는 물질은, 잉크용 액체를 착색액체수납부에 유도히는 것이지만, 착색제가 잉크용 액체 방향에 이동하는 도중에 착색제를 포획하는 포획액체유도심에 의해서 형성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9. 잉크용 액체와, 이 잉크용 액체에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의 주체가 분리되어 수납되어, 잉크용 액체가 필기선단에 유도되는 도중에, 착색제가 잉크용 액체에 첨가되게 형성돼 있는 필기구에 있어서, 적어도 잉크용 액체 또는 잉크용 액체와 착색제의 사이의 어느 것에 적어도 표면이 다공질인 물질을 짜 넣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잉크용 액체와 착색제의 사이에 직접 적어도 표면이 다공질인 물질을 위치시키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11. 제 9 항에 있어서,
    잉크용 액체와 착색제의 사이에, 잉크용 액체의 유도심을 위치시키고, 잉크용 액체와 유도심의 사이 또는 유도심과 착색제의 어느 것에 적어도 표면이 다공질체인 물질을 위치시키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KR1020027012142A 2000-03-22 2001-03-22 필기구 KR1007206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80214A JP2001260586A (ja) 2000-03-22 2000-03-22 筆記具
JPJP-P-2000-00080214 2000-03-22
JP2000366495A JP2002166690A (ja) 2000-12-01 2000-12-01 筆記具
JPJP-P-2000-00366494 2000-12-01
JP2000366494A JP2002166691A (ja) 2000-12-01 2000-12-01 筆記具
JPJP-P-2000-00366495 2000-12-01
PCT/JP2001/002293 WO2001070515A1 (fr) 2000-03-22 2001-03-22 Accessoire d'ecri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697A true KR20030003697A (ko) 2003-01-10
KR100720698B1 KR100720698B1 (ko) 2007-05-21

Family

ID=2734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142A KR100720698B1 (ko) 2000-03-22 2001-03-22 필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11466B2 (ko)
EP (1) EP1266770A4 (ko)
KR (1) KR100720698B1 (ko)
CN (1) CN1263612C (ko)
AU (1) AU2001242755A1 (ko)
CA (1) CA2403819A1 (ko)
WO (1) WO20010705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18328A1 (fr) * 2001-08-24 2003-03-06 Mitsubishi Pencil Kabushikikaisha Article pour l'ecriture
JP4530321B2 (ja) * 2001-08-24 2010-08-25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
JPWO2003018329A1 (ja) 2001-08-31 2004-12-09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
DE102004012479A1 (de) * 2004-03-15 2005-10-06 Dokumental Gmbh & Co. Schreibfarben Nichtwässrige polare Tintenzusammensetzung
WO2007027820A2 (en) * 2005-08-30 2007-03-08 Flynn Jerome R Precision liquid applicator and applicator head
US9150045B2 (en) 2012-01-31 2015-10-06 Novadaq Technolog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surgical marking
AU2013335145B2 (en) * 2012-10-26 2015-09-1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EP2940084B1 (en) * 2012-12-27 2017-11-01 Zebra Co., Ltd. Water-based ink composition and water-based ballpoint pen
US10334930B2 (en) * 2013-11-26 2019-07-02 Freshnails Sanitizer, Inc. Nail sanitizer tool
JP6367561B2 (ja) * 2014-01-20 2018-08-01 株式会社呉竹 筆記具用リフィル及び筆記具
JP6514480B2 (ja) * 2014-10-16 2019-05-15 株式会社呉竹 インク充填具
EP3398788A4 (en) * 2015-12-28 2019-07-31 Mitsubishi Pencil Company, Limited WRITE DEVICE
US10414200B1 (en) 2018-07-22 2019-09-17 Alan Jay Ariail Nib for a calligraphic dip pen
CN109575645B (zh) * 2018-12-27 2020-12-29 长沙族兴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醇水型油墨的铝银浆及其制备方法
EP3798015B1 (en) * 2019-09-30 2023-07-12 Société BIC Nib for writing felt pen
CN111055610B (zh) * 2019-12-30 2021-09-24 上海思勤文具制造有限公司 水性笔
JP7550550B2 (ja) 2020-06-29 2024-09-13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
CN113954552A (zh) * 2021-02-05 2022-01-21 上海羽兮品牌策划有限公司 一种引液元件及具有该元件的液体笔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78676A (en) * 1934-05-01 1934-10-30 Russell B Kingman Soluble ink fountain pen
US1998930A (en) * 1934-10-16 1935-04-23 Russell B Kingman Soluble ink fountain pen
US2131016A (en) * 1937-04-08 1938-09-20 Edward Gumbel Fountain pen
US2269232A (en) * 1941-05-26 1942-01-06 Frank A Schreiner Pen
JPS376219B1 (ko) * 1959-06-23 1962-06-27
US3993409A (en) * 1974-05-20 1976-11-23 Hart Una L Coloring pen assembly
DE4112420B4 (de) * 1991-04-16 2004-10-14 Merz & Krell Gmbh & Co. Kgaa Nachfüllbares Schreibgerät und Flüssigkeitsspeicherverfahren
IT228171Y1 (it) * 1992-05-28 1998-02-05 Dream Di Del Vecchio E Poli S Serbatoio di inchiostro per penna stilografica, sviluppato come accessorio da viaggio
DE4237616A1 (de) * 1992-11-06 1994-05-11 Merz & Krell Kapillar-Schreibstoff-Speichersystem
US6398442B1 (en) * 1998-05-01 2002-06-04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ki Writing instrument
WO2001043985A1 (fr) * 1999-12-16 2001-06-21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Instrument d'ecriture a collecteur
JP4387565B2 (ja) * 2000-06-29 2009-12-16 サンクス株式会社 静電容量センサ
JP2003007603A (ja) * 2001-06-26 2003-01-10 Toshiba Electronic Engineering Corp 基板加熱装置及び部品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11466B2 (en) 2006-03-14
EP1266770A4 (en) 2008-08-20
CN1419500A (zh) 2003-05-21
EP1266770A1 (en) 2002-12-18
AU2001242755A1 (en) 2001-10-03
WO2001070515A1 (fr) 2001-09-27
CA2403819A1 (en) 2002-09-20
US20030081981A1 (en) 2003-05-01
CN1263612C (zh) 2006-07-12
KR100720698B1 (ko) 2007-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698B1 (ko) 필기구
US7070352B2 (en) Writing implement
CA2437806C (en) Marker pens
EP0667882B1 (en) Ink eradicator system
JP2019206151A (ja) 筆記具
JP7123570B2 (ja) 筆記具
US7083349B2 (en) Writing implement
TW564225B (en) Writing implement
JP7598206B2 (ja) 筆記具
JP2002166690A (ja) 筆記具
JP7277660B1 (ja) 筆記具
JP7441762B2 (ja) 筆記具
JP4497538B2 (ja) 筆記具
JP2001260586A (ja) 筆記具
JP2004050653A (ja) 筆記具および透明インク用液体用カートリッジ
JP2004074704A (ja) 筆記具
JP7291486B2 (ja) 出没式の中綿式マーキングペン、並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中芯
TW567149B (en) Writing implement
CN2740422Y (zh) 一种标记笔
JP4530321B2 (ja) 筆記具
JP2004142255A (ja) 筆記具
JP2004009350A (ja) 筆記具
KR20230163478A (ko) 색연필심, 색연필심의 제조 방법 및 색연필심과 그것을 수용한 교환 심 케이스를 구비하는, 교환 심 제품
JP2004142256A (ja) 筆記具
JP2023104219A (ja) 筆記具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1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