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164Y1 -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99164Y1 KR200299164Y1 KR20-2002-0027701U KR20020027701U KR200299164Y1 KR 200299164 Y1 KR200299164 Y1 KR 200299164Y1 KR 20020027701 U KR20020027701 U KR 20020027701U KR 200299164 Y1 KR200299164 Y1 KR 20029916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reservoir
- air supply
- guide member
- steam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만두나 빵 또는 그 이외 증열을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구, 즉 적어도 1열이상 적층식으로 음식물을 증숙시키는 조리기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조리기구는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만두나 빵 또는 그 이외 증열을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구, 즉 적어도 1열이상 적층식으로 음식물을 증숙시키는 조리기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조리기구는 증숙수가 저장되는 저수부를 가지며, 내부에 적어도 1열이상의 다공 트레이들이 설치되는 본체와; 이 본체내 트레이들의 중앙 상부로 관출되어서 저수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유도 안내하여 각층의 트레이로 공급되게하는 급기유도부재를 갖추어서 다층적으로 설치되는 각 트레이의 음식물에 증기가 고루 급기되도록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만두나 빵 또는 그 이외 증열을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구, 즉 적어도 1열이상 적층식으로 음식물을 증숙시키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층의 음식물에 증기가 고루 급기되도록한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찜 조리는 증열을 이용한 것으로서, 그러한 찜 조리를 위한 음식물 조리기구는 현재까지 여러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찜 조리기구는 대략 적당한 높이의 운두를 가지는 포트형상의 본체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레이가 적당한 간격을 유지해 적층식으로 내장되고, 이렇게 중첩적으로 다적층된 각 트레이상에 찜을 위한 음식물을 올려 놓고 증기 가열식으로 음식물의 찜 조리를 이루게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찜 조리기구는 음식물의 찜 조리를 위한 증기 가열은 대체적으로 상향식으로서 즉, 본체의 하부측에서 발생하는 증열이 자연대류작용에 의해 상승되는 것으로 목적하는 증숙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중첩적으로 다층 설치되는 각 트레이에 증기(증열)가 고루 급기되지 못하고 따라서, 각층의 트레이에 놓여진 음식물이 균일하게 증숙되지 못하는 다시설명하면, 최하층 트레이의 음식물은 과증숙되거나 또는 중간층이나 최상층 트레이의 음식물에는 증기의 공급이 원할하지 못해 미증숙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며, 조리작업성이 떨어지는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리용기의 중앙부분에 증기를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유도하며 각 층의 트레이에 고루 급기시키는 급기유도부재를 갖추므로서, 음식물의 조리가 균일하고 조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만두나 빵 또는 그 이외 증열을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구, 즉 적어도 1열이상 적층식으로 음식물을 증숙시키는 조리기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조리기구는 증숙수가 저장되는 저수부를 가지며, 내부에 적어도 1열이상의 다공 트레이들이 설치되는 본체와; 이 본체내 트레이들의 중앙 상부로 관출되어서 저수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유도 안내하여 각층의 트레이로 공급되게하는 급기유도부재를 갖추어서 다층적으로 설치되는 각 트레이의 음식물에 증기가 고루 급기되도록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적용되는 증열 급기유도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2 :뚜껑
14 :계단턱 16 :저수부
18 :트레이 20 :급기유도부재
22 :좌대 24 :도관
26 :손잡이
다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찜 요리 즉, 만두나 빵 또는 그 이외 증열을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구, 즉 적어도 1열이상 적층식으로 음식물을 증숙시키기 위한 조리기구이다.
조리기구는 상면이 개구되고 적당한 너비를 가지고 증열을 이용한 찜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개구된 상면은 별도의 뚜껑(12)으로 개폐되게 하고 있다.
본체(10)는 하부에 증숙수가 저장되는 저수부(16)을 갖추고 있다.
저수부(16)상에는 급기유도부재(20)가 설치되는데, 급기유도부재(20)는 본체(10)의 저수부(16)상에 설치되는 다공판의 트레이(18)와, 이 트레이(18)상에 일정길이 상향으로 연장되는 다공관형상의 도관(24)을 일체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급기유도부재(20)의 도관(24)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제2트레이들(18a)이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된다. 이때 제2트레이들(18a)은 도관(24)의 상단에걸이대(23)을 이용해 걸이식으로 설치될 것이다. 여기서 도관(24) 상단에는 급기유도부재(20)을 본체(10)내로 들어낼 고리(25)을 갖고 있으며, 제2트레이들(18a)에도 급기유도부재(20)의 고리(25) 상부에서 인접되게 설치되는 고리(27)를 갖추고 있다.
또 급기유도부재(20)의 트레이(18)는 본체(10) 저수부(16) 상연부에 갖추어지는 단턱(14)에 턱걸림식으로 설치된 예를 보이고 있으나, 이러한 턱걸림방식 이외 트레이(18)의 저면에 적당한 높이의 지각을 갖추어서 저수부(16) 수위 이상에서 설치되게 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본체(10)는 적당한 높이를 가지고 그 주벽이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가면서 계단형으로 너비가 점차 좁아지며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적어도 하나이상의 계단턱들(14)과 저면에 증숙수가 저장되는 저수부(16)를 갖는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체(10)의 각 계단턱(14)에는 각기 계단턱들(14)의 너비에 맞추워 너비를 갖는 다공의 트레이(18)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10)내에는 저수부(16)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각 트레이들(18)에 공급안내하는 급기유도부재(20)가 설치된다. 이 급기유도부재(20)는 도 3에서와 같이 저수부(16)의 저면에 안착되는 갓형상의 좌대(22)와 이 좌대(22)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본체(10)의 계단턱들(14)에 설치되는 트레이들(18)의 중앙 상부로 관출되어 저수부(16)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본체(10)의 중앙 상부측으로 유도 안내하여 각층의 트레이(18)로 분배 공급되게하는 다공의 도관(2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좌대(22)의 하부는 파형상으로 이루어져 저수부(16)의 저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하여 증숙수가 좌대(22) 내.외측으로 자유로이 유동하게 된다.
또 도관(24)의 주벽에는 계단턱들(14)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트레이(18)를 급기유도부재(20)와 함께 본체(10) 외부로 인출을 위한 단턱(25)을 구비하고 있고, 상단부에는 손잡이(26)을 갖추고 있다.
본 고안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의 증숙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본체(10)의 저수부(16)에 증숙수를 일정수위에 까지 저수시키고, 음식물이 탑재된 트레이들(18)을 급기유도부재(20)에 순차적으로 적층시킨후 급기유도부재(20)와 함께 트레이들(18)을 본체(10)에 내장시킨다.
그리고 본체(10)를 가열기상에 올려 놓고 가열시키면 저수부(16)내의 증숙수에서 증기가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일부의 증기는 저수부(16) 수표면상에서 발생하여 트레이들(18)측으로 상승되고 급기유도부재(20)의 갓형상 좌대(22)내의 증숙수 수표면상에서 발생되는 증기는 다공의 도관(24)을 통하여 각층의 트레이들(18)들에 분배되어 고루 급기된다.
그러면 본 고안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의 효과에 설명하겠다. 본 고안은 본체 저수부의 증숙수 수표면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급기유도부재를 통하여 중첩적으로 다층 설치되는 트레이들의 각층에 고루 급기되게 함으로서, 트레이의 층열에 관계없이 균일한 증숙을 얻을 수 있고, 조리시간을 단축시키어 조리효율을 높이며, 조리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 하부에 증숙수가 저장되는 저수부를 갖는 본체;상기 본체내의 저수부상에 설치되는 다공판의 트레이상에 일정길이 상향으로 연장되는 다공관형의 도관을 일체로 설치하여서 저수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유도 안내하여 본체내 전체적으로 고루 공급되게하는 급기유도부재; 및상기 급기유도부재의 도관 상부에 상기 트레이와 적당한 간격이 유지되어 걸이식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다공판 제2트레이들을 포함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
- 주벽이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가면서 계단형으로 너비가 점차 좁아지며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적어도 하나이상의 계단턱과 저면에 증숙수가 저장되는 저수부를 갖는 본체;상기 본체의 상기 각 계단턱에 각기 턱걸림식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다공 트레이; 및상기 본체의 저수부 저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계단턱에 설치되는 트레이들의 중앙 상부로 관출되어서 저수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유도 안내하여 각층의 트레이로 공급되게하는 급기유도부재를 포함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
- 제2항에 있어서,상기 급기유도부재는 상기 저수부 저면에 안착되는 갓형의 좌대와, 이 좌대상부에 수직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다공 도관으로 구성된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상기 도관의 주벽에는 상기 본체의 상기 계단턱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서 상기 트레이를 상기 급기유도부재와 함께 본체로부터 인출해 내기 위한 단턱을 갖춘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7701U KR200299164Y1 (ko) | 2002-09-16 | 2002-09-16 |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7701U KR200299164Y1 (ko) | 2002-09-16 | 2002-09-16 |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56036A Division KR100471364B1 (ko) | 2002-09-16 | 2002-09-16 |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99164Y1 true KR200299164Y1 (ko) | 2003-01-03 |
Family
ID=4939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27701U Expired - Fee Related KR200299164Y1 (ko) | 2002-09-16 | 2002-09-16 |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99164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2295B1 (ko) | 2006-04-28 | 2008-03-17 | 박정규 | 조리장치 |
KR101019413B1 (ko) | 2010-08-09 | 2011-03-07 | 박향례 |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 |
-
2002
- 2002-09-16 KR KR20-2002-0027701U patent/KR200299164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2295B1 (ko) | 2006-04-28 | 2008-03-17 | 박정규 | 조리장치 |
KR101019413B1 (ko) | 2010-08-09 | 2011-03-07 | 박향례 |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10000380A1 (en) | Food steamer | |
US20050092762A1 (en) | Food cooking basket for pressure cooker pressure cooker for receiving cooking basket and method for making a cooking basket by swaging | |
JP2004504902A (ja) | 調節可能な換気システムを備えた調理容器 | |
CN206324480U (zh) | 具有可单独升降式盖体的多口烹饪餐台 | |
JP4727481B2 (ja) | 調理器具 | |
KR100471364B1 (ko) |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 | |
KR200299164Y1 (ko) | 찜 요리를 위한 조리기구 | |
JP6467570B2 (ja) | ガスコンロのグリル庫用陶磁器製調理器 | |
US9445685B1 (en) | Apparatus for steaming tamales | |
KR101530070B1 (ko) | 구이 및 탕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 |
CN206324638U (zh) | 组合式多口烹饪餐台 | |
KR101831559B1 (ko) | 조리장치 | |
US20190069353A1 (en) | Dimpled Wok | |
JP2022159734A (ja) | 電気圧力鍋及び電気圧力鍋用蒸し器 | |
CN202218804U (zh) | 烹饪器具 | |
CN206062875U (zh) | 一种带有蒸笼隔板的内胆和含有其的陶胆电炖锅 | |
KR200441724Y1 (ko) | 다용도 요리기. | |
KR20210097970A (ko) | 열효율이 강화된 냄비 | |
CN214595569U (zh) | 一种用于食物烘烤器具的烤盘及食物烘烤器具 | |
CN214964732U (zh) | 一种蒸汽空气炸锅的蒸烤盘 | |
CN211722759U (zh) | 烹饪器具 | |
JP3141942U (ja) | オーブン用蒸し器 | |
CN217610513U (zh) | 一种具有多蒸层的多功能锅 | |
CN217645028U (zh) | 一种电蒸锅的蒸盘 | |
KR200455898Y1 (ko) |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UA0107 |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16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212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91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