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5898Y1 -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 - Google Patents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898Y1
KR200455898Y1 KR2020110003100U KR20110003100U KR200455898Y1 KR 200455898 Y1 KR200455898 Y1 KR 200455898Y1 KR 2020110003100 U KR2020110003100 U KR 2020110003100U KR 20110003100 U KR20110003100 U KR 20110003100U KR 200455898 Y1 KR200455898 Y1 KR 2004558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urface
cooking
heat
present
cookwa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범
Original Assignee
김지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범 filed Critical 김지범
Priority to KR2020110003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8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8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89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냄비 등의 조리기구 저면에 나선형의 접촉면을 하방으로 돌출형성하고, 그 접촉면의 측벽에 요홈을 형성하므로서, 바닥의 표면적을 넓혀 열이 오래 머물러 열효율을 높힐 수 있고, 가열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빠른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리기구 내의 음식물을 골고루 익힐 수 있도록 한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냄비 등의 조리기구(10) 저면에 표면적을 넓게 하여 열이 오래 머물수 있어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접촉면(20)을 하방으로 다수 개 돌출형성하되, 그 접촉면(20)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주연부로 원형 또는 나선형상을 갖도록 형성하고, 그 각각의 접촉면(20)의 측벽(21) 양측면에는 장홈(22)을 횡방향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Bottom structure of cooking receptacle}
본 고안은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냄비 등의 조리기구 저면에 나선형의 접촉면을 하방으로 돌출형성하고, 그 접촉면의 측벽에 요홈을 형성하므로서, 바닥의 표면적을 넓혀 열이 오래 머물러 열효율을 높힐 수 있고, 가열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빠른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리기구 내의 음식물을 골고루 익힐 수 있도록 한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비, 후라이팬 등의 조리기구라 함은 판재상태의 재료를 프레스를 이용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원판형의 바닥구조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각종 음식 등을 조리하는 데 사용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의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에 의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부 즉, 바닥면은 밋밋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에 의하면, 조리기구(100)의 바닥면(110), 즉 저면이 밋밋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서, 열이 외부와 맞닿게 되어 열이 외부로 쉽게 손실되게 되어 가열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열이 바닥면(110)에 균일하게 전달되지 않아 바닥면(110)이 균일하게 가열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조리기구(100) 내의 음식물을 골고루 익히는 데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으로는 조리기구 저면에 원형 또는 나선형의 접촉면을 하방으로 돌출형성하고, 그 접촉면의 측벽 양측면에는 횡방향의 장홈을 형성하므로서, 바닥의 표면적을 넓혀 열이 오래 머물러 열효율을 높힐 수 있고, 가열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빠른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리기구 내의 음식물을 골고루 익힐 수 있도록 한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는
냄비 등의 조리기구에 있어서,
조리기구 저면에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주연부로 원형 또는 나선형상을 갖는 접촉면을 하방으로 돌출형성하고, 그 접촉면의 측벽 양측면에는 횡방향의 장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바닥면으로 사용되는 재질은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재질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에 의하면, 조리기구 저면에 나선형의 접촉면을 하방으로 돌출형성하고, 그 접촉면의 측벽 양측면에는 횡방향의 장홈을 형성하므로서, 바닥의 표면적을 넓혀 열이 오래 머물러 열효율을 높힐 수 있고, 가열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빠른 조리를 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조리기구 내의 음식물을 골고루 익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조리기구의 바닥면을 보인 저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의 바닥면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의 바닥면을 보인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의 일실시예를 보인 저면사시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바닥면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조리용기의 바닥면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 등의 조리기구(10) 저면에 표면적을 넓게 하여 열이 오래 머물수 있어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접촉면(20)을 하방으로 다수 개 돌출형성하되, 그 접촉면(20)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주연부로 원형 또는 나선형상을 갖도록 형성하고, 그 각각의 접촉면(20)의 측벽(21) 양측면에는 장홈(22)을 횡방향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바닥면으로 사용되는 재질은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재질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면(11)에 하향 돌출형성되는 접촉면(20)은 가열기구로부터의 전해지는 열이 바닥면(11)에 쉽게 도달할 수 있도록 조리기구(10)의 바닥면에서 하방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바닥면 구조에 의하면, 냄비 등의 조리기구(10) 저면에 접촉면(20)을 하방으로 돌출형성하고, 접촉면(20)의 측벽(21) 양측면에는 장홈(23)을 형성하므로서, 표면적을 넓게 하여 열이 오래 머물수 있어 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됨은 물론, 그 접촉면(20)은 중앙부를 중심부로 외주연부로 원형 또는 나선형상을 갖도록 형성하므로서, 중앙부에 집중되는 열이 원형 또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면(20)을 따라 외주연부로 전달되면서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지 않게 되고 외주연부로 서서히 이동하게 되면서 조리기구(10) 가장자리를 가열하게 되어 조리기구(10)내의 음식물을 골고루 익힐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바닥면 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조리기구(10)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주연부로 원형 또는 나선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각각의 접촉면(20)의 측벽(21) 양측면에는 복수 개의 요홈(23)을 형성하므로서, 바닥의 표면적을 넓혀 열이 오래 머물러 열효율을 높힐 수 있고, 가열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빠른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리기구 내의 음식물을 골고루 익힐 수 있게 된다.
10 ; 조리기구 11 ; 바닥면
20 ; 접촉면 21 ; 측벽
22 ; 장홈 23 ; 요홈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냄비와 같은 조리기구(10)의 바닥면(11) 저면에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주연부로 나선형상을 갖는 접촉면(20)을 하방으로 다수 개 돌출형성한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10) 저면에 돌출형성되는 접촉면(20)의 측벽(21) 양측면에는 횡방향의 장홈(22)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
  4. 냄비와 같은 조리기구(10)의 바닥면(11) 저면에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주연부로 나선형상을 갖는 접촉면(20)을 하방으로 다수 개 돌출형성한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10) 저면에 돌출형성되는 접촉면(20)의 측벽(21) 양측면에는 다수 개의 요홈(23)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
  5. 삭제
KR2020110003100U 2011-04-12 2011-04-12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4558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100U KR200455898Y1 (ko) 2011-04-12 2011-04-12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100U KR200455898Y1 (ko) 2011-04-12 2011-04-12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898Y1 true KR200455898Y1 (ko) 2011-09-30

Family

ID=45089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100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5898Y1 (ko) 2011-04-12 2011-04-12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8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271Y1 (ko) 2012-05-30 2014-02-11 박선이 우수한 열전도율 및 열효율을 갖는 조리기구의 측면과 바닥면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7013A (ja) 1998-03-25 1999-10-05 Toshiba Home Techno Corp 炊飯器
JPH11267011A (ja) 1998-03-25 1999-10-05 Toshiba Home Techno Corp 炊飯器
KR20000005278U (ko) * 1998-08-26 2000-03-25 진옥상 흡열판이 구비된 가열용기
KR200379455Y1 (ko) 2004-12-31 2005-03-18 이재천 조리용 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7013A (ja) 1998-03-25 1999-10-05 Toshiba Home Techno Corp 炊飯器
JPH11267011A (ja) 1998-03-25 1999-10-05 Toshiba Home Techno Corp 炊飯器
KR20000005278U (ko) * 1998-08-26 2000-03-25 진옥상 흡열판이 구비된 가열용기
KR200379455Y1 (ko) 2004-12-31 2005-03-18 이재천 조리용 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271Y1 (ko) 2012-05-30 2014-02-11 박선이 우수한 열전도율 및 열효율을 갖는 조리기구의 측면과 바닥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98781A1 (en) Portable Passive Convection Cooking Oven
JP2015503366A (ja) 調理鍋、調理システム及び調理方法
CN204438237U (zh) 烤盘组件及微波炉
JP3194420U (ja) 多機能調理器
KR200455898Y1 (ko)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
KR20110037387A (ko) 조리용기의 뚜껑 및 구이판과 전골냄비의 겸용이 가능한 조리기기
JP6467570B2 (ja) ガスコンロのグリル庫用陶磁器製調理器
KR101530070B1 (ko) 구이 및 탕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JP2013169298A (ja) 調理用プレート
KR200471271Y1 (ko) 우수한 열전도율 및 열효율을 갖는 조리기구의 측면과 바닥면 구조
KR101350636B1 (ko) 다용도 조리기구
KR101230419B1 (ko) 중탕조리기
US20200093328A1 (en) Pots, pans, and frying pans with insulated bottom
KR200479981Y1 (ko) 다목적 조리 기구
CN201888718U (zh) 一种电饼铛
CN213282599U (zh) 多功能蒸烤炊具
KR200473141Y1 (ko) 가스 오븐 찜기
CN203619301U (zh) 燃气灶高效节能锅具套装
KR200471403Y1 (ko) 전기오븐찜기
KR101129602B1 (ko) 전자레인지용 내열용기
TWM515352U (zh) 適用於電磁爐之鍋具
KR101061798B1 (ko) 주방용기
KR200307333Y1 (ko) 양면요리판이 구비된 전기쿠커
KR20070061492A (ko) 황토의 원적외선을 이용한 다용도 요리기구
CN207940736U (zh) 一种电陶炉烤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41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5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12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72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9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5060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5060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7070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60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