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87249Y1 -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 - Google Patents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249Y1
KR200287249Y1 KR2020020016156U KR20020016156U KR200287249Y1 KR 200287249 Y1 KR200287249 Y1 KR 200287249Y1 KR 2020020016156 U KR2020020016156 U KR 2020020016156U KR 20020016156 U KR20020016156 U KR 20020016156U KR 200287249 Y1 KR200287249 Y1 KR 200287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sfet
gate
voltage
drive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영
Original Assignee
(주)우선제어
이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선제어, 이사영 filed Critical (주)우선제어
Priority to KR2020020016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2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24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Inverter Devices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법을 적용하는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에 있어서, 절연된 전원공급이 필요하지 않은 다수의 전력용 MOSFET를 사용하고, 단일전원을 사용하여 상기 전력용 MOSFET의 게이트를 구동하며 모터의 전원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

Description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A power inverter driver circuit}
본 고안은 펄스폭변조 방식 전력변환기를 구성하고 있는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구동 및 전원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변환기의 주 회로에서 MOSFET의 게이트 특성을 갖는 전력용 반도체 소자를 사용했을 때 게이트 구동전원을 절연된 전원공급이 필요하지 않는 게이트 전원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보 모터(servo motor)는 통상적인 모터에 비해 시동 토크가 크고 입력변화에 대한 응답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로보트(robot)를 포함한 자동 제어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서보 모터의 제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모터에 유입되는 전압과 전류를 효율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과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전력제어라고 하며 전력제어는 전력제어 변환기에 의하여 제어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교류 서보 모터 드라이버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하면 펄스폭변조 신호선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제 1포토커플러(1)와, 교류 신호선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정류부(2)와, 상기한 제 1 포토커플러(1)와 정류부(2)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 드라이브(3)와, 상기한 게이트 드라이브(3)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파워 스위칭 소자부(4)와, 전류 센서(5)와, 과전류 검출부(6)와, 상기 과전류 검출부(6)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제 2 포토 커플러(7)와, 각종 전압 검출부(8)와, 상기 각종 전압 검출부(8)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제 3포토 커플러(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교류 서보모터 구동 제어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펄스폭 변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포토커플러(1)는 상기 펄스폭 변조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제거한 뒤에 이를 게이트 드라이브(3)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 드라이브(3)는 정류부(2)에 의해 직류전원을 공급받아서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포토커플러(1)를 통해서 입력되는 펄스폭 변조신호를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파워 스위칭 소자부(4)로 출력한다.
상기 파워 스위칭 소자부(4)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로 구성되어있으며, 상기 게이트 드라이브(3)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3상의 교류모터 전원신호(U, V, W)를 교류서보모터(도시되지 않음)로 출력한다.
종래에는 상기 파워 스위칭 소자부(4)로서 일반적으로 절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 IGBT)가 사용된다. IGBT는 이름에도 나타난 바와 같이 그 내부구조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전력 MOSFET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것을 MOSFET의 제어하기 쉬운 특성과 고속의 스위칭 속도를 이용하고 바이폴러 트랜지스터의 고압 대용량의 특성을 살리기 위하여 고안된 전력 제어소자로서 최근 대용량 전력 제어소자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서보 모터의 제어를 위한 전력변환기를 구성하기 위한 전력소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제어 요소를 필요로 한다.
① 높은 스위칭 용량
전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은 절연 전압과 낮은 도통 저항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절연전압은 전력소자가 동작하지 않고 있을 때 즉, 오프(off)되어 있을 때 소자 양단에 걸리는 전압에 의하여 소자가 파괴되지 않는 전압을 말한다.또한 낮은 도통 저항은 소자가 구동되어 질 때 소자의 양단에서 측정되어 지는 저항 값을 말하는데 이것은 소자를 통하여 대용량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때 소자의 저항성분이 손실로 나타나게 된다. 전류의 제곱과 저항의 곱에 의하여 손실이 나타나고 발열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손실은 열로서 발열하게 되고 동작 도통 저항이 크면 대용량의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전력 소자의 선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용량의 선정이며,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드라이버 또한 용량이 증가하게 되면 상당부분 코스트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② 높은 스위칭 주파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부하에 인가되는 공급 전압의 폭을 조절하여 제어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며 이를 펄스 폭 변조 (Pulse Width Modulation : PWM) 제어라고 한다. 이렇게 공급 전압의 폭을 제어하는 것은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을 펄스 파형으로 인가하게 되며 이는 전압을 온-오프(on-off) 제어하여 공급하게 된다. 이렇게 온-오프(on-off) 제어되는 스위칭 전압 파형의 왜곡을 막기 위해서 고속의 스위칭 소자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서보 모터의 경우 수십 Khz 대역의 스위칭 주파수를 갖는다.
전력변환기의 회로에서 게이트 전위가 서로 다른 스위칭 소자들은 절연게이트바이폴라트랜지스터(IGBT)용 드라이버 회로의 예시도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별도로 독립된 게이트 전원을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방법으로는 이들 회로를 소형화, 경량화 하기 위하여 고주파의 스위칭 전원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이 방법은 회로의 소형, 경량화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펄스폭변조 방식을 적용하는 전력변환기의 게이트 구동용 전원을 단일전원만을 사용하는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절연된 전원공급을 필요로 하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대신하여 전력용 MOSFET를 스위칭소자로 사용하여 회로를 소형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는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법을 적용하는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에 있어서, 절연된 전원공급이 필요하지 않은 다수의 전력용 MOSFET를 사용하고, 단일전원을 사용하여 상기 전력용 MOSFET의 게이트를 구동하며 모터의 전원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의 세부적 특징은 상기 전력용 MOSFET의 게이트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들이, 단일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정전압 집적회로(IC)와; 상기 단일전원에 의한 제 1 MOSFET의 통전을 위해 상기 전원에 직렬로 연결된 다이오드 및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1 MOSFET가 통전상태일 때, 상기 정전압 IC를 거쳐 전달되는 전압을 충전하여 제 2 MOSFET의 게이트 구동 전원을 확보하기 위한 제 2 캐패시터와; 컨트롤러로부터 제공되는 펄스폭변조 신호를 각MOSFET의 게이트단에 전달하기 위해 병렬로 연결된 신호전달용 저항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제 1 MOSFET가 오프상태일 때 상기 다이오드에 역전압이 인가되어 제 2 MOSFET의 게이트 전원이 상기 단일전원과 별도로 분리되는 점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교류 서보모터 드라이버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절연게이트바이폴라트랜지스터(IGBT)용 드라이버 회로의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의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전원(20V)을 사용하며 그 전원은 다수의 정전압 집적회로(7812)에 의해 각 게이트 구동회로(G1, G2, G3 …G6)가 안정되게 동작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소자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본 고안에서는 종래와 달리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지 않고 전력 MOSFET를 사용한다.
전력 MOSFET는 게이트(gate) 단자에 인가되는 소신호 전압에 의하여 드레인(Drain)과 소스(Source)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것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에 비하여 그 구조에서 제어하기가 쉽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온-오프(On-Off) 스위칭 속도가 빠르다.
게이트 구동회로 G4, G5 및 G6은 하나의 정전압 IC(7812)에 의해 구동되며 G1, G2 및 G3은 각각 정전압 IC를 구비한다.
G1, G2 및 G3은 동일한 구성을 이룬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MOSFET는 G4에서의 T4, G5에서의 T5 및 G6에서의 T6을 나타내며, 제 2 MOSFET는 G1에서의 T1, G2에서의 T2 및 G3에서의 T3을 나타낸다.
상기 단일전원(20V)에 의한 제 1 MOSFET의 통전을 위해 상기 전원(20V)과 연결된 다이오드(D) 및 제 1 캐패시터 (C1)이 위치한다. 상기 제 1 MOSFET(T4, T5, T6)가 통전상태일 때, 상기 정전압 IC(7812)를 거쳐 전달되는 전압을 충전하여 제 2 MOSFET(T1, T2, T3)의 게이트 구동 전원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 2 캐패시터(C2)가 상기 정전압 IC에 연결된다. 컨트롤러로부터 제공되는 펄스폭변조 신호를 각 MOSFET의 게이트단에 전달하기 위해 신호전달용 저항들(R1, R2)이 포토커플러와 각 MOSFET의 게이트(gate) 단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다.
컨트롤러로부터 게이트 단에 제공되는 신호에 의해 제 1 MOSFET(T4, T5, T6)가 통전 상태일 때 제 2 캐패시터(C2)에서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충전되는 전압에 의해 제 1 MOSFET(T1, T2, T3)의 게이트 전원이 확보된다. 상기 제 1 MOSFET(T4, T5, T6)가 오프 상태일 때, 다이오드(D)에 역전압이 인가되어 제 2 MOSFET(T1, T2, T3)의 게이트 전원이 전원(20V)과 별도로 분리된다. 각 정전압 IC에 의해 각 게이트 구동회로가 안정된 동작을 하여 MOSFET가 스위칭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를 적용하면 게이트 전원회로의 부피가 소형화되고 집적화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전압 검출, 전류 검출 및 상단락 보호기능이 추가되어 외부의 회로 및 기기가 불필요하다.

Claims (3)

  1.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법을 적용하는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에 있어서,
    절연된 전원공급이 필요하지 않은 다수의 전력용 MOSFET를 사용하고, 단일전원을 사용하여 상기 전력용 MOSFET의 게이트를 구동하며 모터의 전원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용 MOSFET의 게이트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들은,
    단일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정전압 집적회로(IC)와;
    상기 단일전원에 의한 제 1 MOSFET의 통전을 위해 상기 전원에 직렬로 연결된 다이오드 및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1 MOSFET가 통전상태일 때, 상기 정전압 IC를 거쳐 전달되는 전압을 충전하여 제 2 MOSFET의 게이트 구동 전원을 확보하기 위한 제 2 캐패시터와;
    컨트롤러로부터 제공되는 펄스폭변조 신호를 각 MOSFET의 게이트단에 전달하기 위해 병렬로 연결된 신호전달용 저항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OSFET가 오프상태일 때 상기 다이오드에 역전압이 인가되어 제 2 MOSFET의 게이트 전원이 상기 단일전원과 별도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
KR2020020016156U 2002-05-27 2002-05-27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2002872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156U KR200287249Y1 (ko) 2002-05-27 2002-05-27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156U KR200287249Y1 (ko) 2002-05-27 2002-05-27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343A Division KR100440223B1 (ko) 2002-05-27 2002-05-27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249Y1 true KR200287249Y1 (ko) 2002-08-27

Family

ID=73084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156U Expired - Fee Related KR200287249Y1 (ko) 2002-05-27 2002-05-27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24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523B1 (ko) 2019-12-04 2021-01-27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해성 Ldc 및 obc 통합 모듈 장치
KR20240097081A (ko) 2022-12-20 2024-06-27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해성 Ldc 및 obc가 일체로 형성된 전력 변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523B1 (ko) 2019-12-04 2021-01-27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해성 Ldc 및 obc 통합 모듈 장치
KR20240097081A (ko) 2022-12-20 2024-06-27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해성 Ldc 및 obc가 일체로 형성된 전력 변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04129B2 (ja) モータ駆動装置及び方法
JP3325697B2 (ja) パワーデバイスの制御装置およびモータの駆動制御装置
US20110080149A1 (en) Power conversion control apparatus
US7777437B2 (en) Switching control system and motor driving system
US4532443A (en) Parallel MOSFET power switch circuit
KR20110123169A (ko) 스위칭 게이트 드라이브
US10381949B2 (en) Power converter with reduced power loss
JP2011223309A (ja) 電流双方向検出機能付き負荷駆動回路
JP3052792B2 (ja) インバータ装置
JP3259283B2 (ja) インバータ装置及びその信号レベル変換回路
JP7436142B2 (ja) 駆動ユニット、電気パワーコンバータ、車両、および電気パワーコンバータの駆動方法
EP14803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the size of a transistor beyond one integrated circuit
JPH08149796A (ja) 電圧駆動型スイッチ素子のドライブ回路
KR200287249Y1 (ko)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
JP2022135911A (ja) バイポーラパルス電圧ゲートドライバ
KR100440223B1 (ko) 전력변환기 드라이브 회로
CN110752739B (zh) 功率设备驱动装置
US55657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gic signal level translation to a semiconductor switch
JP6642074B2 (ja) スイッチング素子の駆動装置
EP1440501B1 (en) Motor control circuit and associated full bridge switching arrangement
JP2758477B2 (ja) 携帯形情報機器
JP3164201B2 (ja) 直流電源装置
JPH0698560A (ja) インバータ装置
JP6965817B2 (ja) 車載dc−acインバータ
JP3404287B2 (ja) インバータ装置の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27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02071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8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5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6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06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