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57767Y1 - 건어물 포육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어물 포육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767Y1
KR200257767Y1 KR2020010029550U KR20010029550U KR200257767Y1 KR 200257767 Y1 KR200257767 Y1 KR 200257767Y1 KR 2020010029550 U KR2020010029550 U KR 2020010029550U KR 20010029550 U KR20010029550 U KR 20010029550U KR 200257767 Y1 KR200257767 Y1 KR 2002577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ed fish
supply means
meat
fish
pres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덕
Original Assignee
김지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덕 filed Critical 김지덕
Priority to KR2020010029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7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76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북어나 대구등 각종 건어물의 포육을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포육 제조장는 펼쳐진 건어를 받아드리어서 육질을 연하게함과 동시에 장치로 유입시키게 하는 한쌍의 가압롤를 갖는 제1공급수단과 상기 압착수단에 교차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어서 상기 압착수단을 통과하여 유입된 건어물을 무한궤도의 벨트를 이용해 운반시키는 제2공급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의 끝부분상에 설치되어 운반되오는 건어물을 회전롤에 갖춘 수용홀에서 낱개식으로 받아드리어 투입시키는 제3공급수단 및 상기 제3공급수단을 이용해 투입되는 건어물을 받아드리어서 회전속도를 달리함과 동시에 다수의 절단날과 파지핀을 각기 갖는 한쌍의 제1 및 제2롤을 이용해 건어물을 저미어내는 파쇄수단을 포함하여서 기계적인 공정으로 건어물의 포육을 제조하여 양산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건어물 포육의 제조장치{Apparatus for making slices of dried fish}
본 고안은 북어나 대구등 각종 건어물의 포육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계적인 공정으로 양산할 수 있도록된 건어물 포육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북어나 대구등의 각종 어류 포육은 일반적으로 수공적인 작업으로 이루고 있다. 그 일례로 북어의 포육을 제조하는 경우를 들면, 통상 도구등을 이용해 두둘겨 북어의 몸체 육질 부분이 헤처지면서 연하게 한 후 가위나 칼등을 이용해 연해진 육질을 저미어서 포육을 얻게 된다. 여기서, 포육을 얻기 위해 북어 몸체의 육질을 저미는 것을 보면 작업자가 일반적으로 수공적인 작업,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북어 몸체를 한손으로 잡고 다른 한손으로 육질을 잡아당기어 뜯어내고 있는 것으로, 그 작업이 극히 원시적이고 따라서, 작업성은 물론 생산성이 저조하며, 더욱이 수공적인 작업으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포육이 균일하지 못해 상품성이 떨어지는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일련의 기계적인 공정을 통해 포육을 제조케 함으로서, 작업성은 물론이고 생산성을 높이어 저럼한 가격으로 보급시키며, 포육이 균일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건어물 포육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북어나 대구등 각종 건어물의 포육을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포육 제조장는 펼쳐진 건어를 받아드리어서 육질을 연하게함과 동시에 장치로 유입시키게 하는 한쌍의 가압롤를 갖는 제1공급수단과 상기 압착수단에 교차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어서 상기 압착수단을 통과하여 유입된 건어물을 무한궤도의 벨트를 이용해 운반시키는 제2공급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의 끝부분상에 설치되어 운반되오는 건어물을 회전롤에 갖춘 수용홀에서 낱개식으로 받아드리어 투입시키는 제3공급수단 및 상기 제3공급수단을 이용해 투입되는 건어물을 받아드리어서 회전속도를 달리함과 동시에 다수의 절단날과 파지핀을 각기 갖는 한쌍의 제1 및 제2롤을 이용해 건어물을 저미어내는 파쇄수단을 포함하여서 기계적인 공정으로 건어물의 포육을 제조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 건어물 포육의 제조장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개략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 건어물 포육의 제조장치 전체적인 내부 구성을 보여 주는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측단면도,
도 3a는 도 2의 A-A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B-B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1공급수단 12,14 :롤
20 : 제2공급수단 30 : 제3공급수단
32 : 회동롤 34 : 수용훌
36 : 제어부재 40 : 파쇄수단
42 : 제1롤 42a : 절단날
44 : 제2롤 44a : 파지핀
다음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건어물 포육의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평면도이고 도 2는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건어물, 예를 들어 북어나 대구등의 포육을 제조하는 제조장치로서, 적당하게 건조된 건어물을 일련의 기계적이고 연속적인 공정을 통해 압착하고 저미어서 목적하는 포육을 얻게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은 크게 나누어서 제1공급수단(10)과 제2공급수단(20) 및 제3공급수단(30) 그리고, 파쇄수단(40)들을 순차적으로 연이어 설치된다.
제1공급수단(10)은 구동모터에 의해 적당한 속도로 회전하는 한쌍의 롤(12,14)를 가지고 건어물을 일측으로 받아드리어 다소의 가압력을 가하며 건어물의 육질을 연하게 하여서 타측으로 밀어내 이후에 설명할 제2공급수단(20)측으로 공급시킨다.
제2공급수단(20)은 구동모터에 의해 적당한 속도로 회전하는 무한궤도의 콘베이어벨트(22)를 가지고 제1공급수단(10) 후단에 건어물의 공급방향과는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어서 제1공급수단(10)을 통하여 공급되는 건어물을 길이방향으로 받아드리고 이렇게 길이방향으로 받아드려진 건어물을 수평이동시키어 이후에 설명할 제3공급수단(30)에 공급시키게 될 것이다.
제3공급수단(30)은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 받아 적당한 속도로 회전하는 회동롤(32)에 적어도 1개이상의 수용홀(34)들을 가지고 제2공급수단(20)의 후단부상에 인접하게 설치되어서 제2공급수단(20)을 타고 운반되오는 건어물을 1개씩 이후에 설명할 파쇄수단(40)측으로 공급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제3공급수단(30)에는 제2공급수단(20)을 타고 운반되오는 건어물들이 중첩되어 유입되지 않도록하는 제어부재(36)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제어부재(36)는 대략 탄성판재를 이용하고 있다.
파쇄수단(40)은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 받아 각기 다른 회전속도로 구동하는 한쌍의 제1롤(42)와 제2롤(44)를 포함하며, 이들 중 제1롤(42)은 절단날(42a)을 가지며, 제2롤(44)은 파지핀(44a)을 가지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 3a와 도 3b에서와 같이 제1롤(42)에는 그 원주면에 등간격으로 수개의 절단날(42a)을 방사상으로 설치하고 있고, 이에 대하여 제2롤(42)는 절단날(42a)이 수용되는 요홈(44b)을 원주면에 갖추고 있고, 이 요홈(44b)의 인접한 양측변에 파지핀(44a)을 갖추어서 제1및 제2롤(42,44)들의 사이로 유입되는 건어물을 제2롤(44)의 파지핀(44a)이 잡아주고 이와같은 상태에서 제1롤(42)의 절단날(42a)이 빠른속도로 지나면서 건어물을 저미게 된다. 다시설명하면 제1롤(42)과 제2롤(44)의 회전속도를 달리가지고 구동하면서 목적하는 건어물의 포육을 얻게될 것이다. 여기서 파쇄수단(40)에는 제3공급수단(30)으로 부터 유입되는 건어물을 받아드림시 제2롤(44)상에 다소의 가압력을 가하여 파지핀(44a)에 건어물이 꽤어지게하는 가압부재(46)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 파쇄수단(40)과 제3공급수단(30)의 사이에는 건어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부재(50)와 제3공급수단(30)으로부터 운반되오는 건어물을 파쇄수단(40)측으로 밀어넣는 제4공급수단(60)을 갖추고 있다.
그러면 본 고안 건어물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제1공급수단(10)을 통하여 건어물이 펼쳐진 상태로 유입된다. 이때 펼쳐진 상태로 유입되는 건어물을 한쌍의 롤(12,14)로 강제적으로 끌어드리면서 다소의 가압력을 가하여 건어물의 육질을 연하게하는 작용을 이루어서 제2공급수단(20)으로 공급시키게 된다. 제2공급수단(20)은 제1공급수단(10)으로부터 건어물을 받아 수평방향으로 운반시키어서 그 후단에 설치되어 있는 제3공급수단(30)을 이용해 파쇄수단(40)측으로 1개씩 공급시키고, 파쇄수단(40)은 건어물을 받아 회전속도를 달리하는 제1 및 제2롤(42,44)들을 이용해 건어물을 저미어 포육을 얻게된다.
본 고안 건어물 포육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일련의 기계적이고 연속적인 공정을 통해 건어물의 포육을 얻을 수 있게 함으로서, 작업성은 물론이고 양산이 가능하여 포육을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시키어 경제적인 이점을 얻으며, 더욱이 건어물을 기계적으로 저미어 포육이 균일하고 따라서, 제품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펼쳐진 건어를 받아드리어서 육질을 연하게함과 동시에 장치로 유입시키게 하는 한쌍의 가압롤를 갖는 제1공급수단;
    상기 압착수단에 교차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어서 상기 압착수단을 통과하여 유입된 건어물을 무한궤도의 벨트를 이용해 운반시키는 제2공급수단;
    상기 이송수단의 끝부분상에 설치되어 운반되오는 건어물을 회전롤에 갖춘 수용홀에서 낱개식으로 받아드리어 투입시키는 제3공급수단; 및
    상기 제3공급수단을 이용해 투입되는 건어물을 받아드리어서 회전속도를 달리함과 동시에 다수의 절단날과 파지핀을 각기 갖는 한쌍의 제1 및 제2롤을 이용해 건어물을 저미어내는 파쇄수단을 포함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어물 포육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급수단은 제2공급수단을 타고 운반되오는 건어물이 중첩되어 유입되지 않도록하는 제어부재를 더 갖는 건어물 포육의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수단은 투입되는 건어물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갖는 건어물 포육의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급수단과 파쇄수단의 사이에 받침부재를 개재하여서된 것을 포함하는 건어물 포육의 제조장치.
KR2020010029550U 2001-09-25 2001-09-25 건어물 포육의 제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577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550U KR200257767Y1 (ko) 2001-09-25 2001-09-25 건어물 포육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550U KR200257767Y1 (ko) 2001-09-25 2001-09-25 건어물 포육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767Y1 true KR200257767Y1 (ko) 2001-12-29

Family

ID=7310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550U Expired - Fee Related KR200257767Y1 (ko) 2001-09-25 2001-09-25 건어물 포육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7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440B1 (ko) * 2010-08-23 2011-08-08 김병희 황태포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되는 황태포
KR101311175B1 (ko) 2011-07-11 2013-09-24 김병희 건어물 가공품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440B1 (ko) * 2010-08-23 2011-08-08 김병희 황태포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되는 황태포
KR101311175B1 (ko) 2011-07-11 2013-09-24 김병희 건어물 가공품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7767Y1 (ko) 건어물 포육의 제조장치
EP1712344B1 (en) Rubber member conveying device and rubber member supplying system with the same
US200401343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ped cutting and slitting of food products
EP0643915A1 (en) Layering machine
KR20100066257A (ko) 떡 절단장치
US2603262A (en) Sectionalizing cutting machine
ATE361694T1 (de) Rotierendes messer für gerät zum herstellen von nahrunsmitteln und gerät mit einem solchen messer
KR100605392B1 (ko) 게발살과 같은 어묵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010046801A (ko) 밤 박피 장치
KR100880007B1 (ko) 커틀릿 제조기의 육류가공장치
JP3061133B1 (ja) 食材の切断装置
JP2994595B2 (ja) 花弁の分離装置
KR101739237B1 (ko) 물결무늬 감자스틱을 제조하기 위한 감자절단장치
KR100708464B1 (ko) 옥수수 껍질 제거 장치
CN213999602U (zh) 一种枳壳对半分切机
JP2010179275A (ja) 鱗茎菜類の調製選別装置
KR200203287Y1 (ko) 오징어 세절장치
KR100974198B1 (ko) 웜과 웜기어를 구비한 중공구형체의 연속절단장치
KR200375661Y1 (ko) 양면 칼집기
US2445488A (en) Piece cutting machine
US3477625A (en) Rotary cutting apparatus
KR20200001483A (ko) 양파 껍질 탈피장치
JP3645344B2 (ja) ネギ用切断機
KR102322316B1 (ko) 식재료 절단장치
JP3223247B2 (ja) スライス玉葱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92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2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9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12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20529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4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0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