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3287Y1 - 오징어 세절장치 - Google Patents

오징어 세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287Y1
KR200203287Y1 KR2019980024713U KR19980024713U KR200203287Y1 KR 200203287 Y1 KR200203287 Y1 KR 200203287Y1 KR 2019980024713 U KR2019980024713 U KR 2019980024713U KR 19980024713 U KR19980024713 U KR 19980024713U KR 200203287 Y1 KR200203287 Y1 KR 2002032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id
cutting
cut
base
fine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4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930U (ko
Inventor
최승호
Original Assignee
최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호 filed Critical 최승호
Priority to KR2019980024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287Y1/ko
Publication of KR200000119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9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2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28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20Shredding; Cutting into cubes; Flaking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03Processing cephalopod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획된 오징어를 미세하게 절단하는 오징어 세절(細切)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오징어 세절장치는 상부로부터 낙하 투입되는 오징어를 단순히 서로 교차 설치된 상태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절단날 한 쌍만으로 미세, 절단하도록 되기 있기 때문에, 유연하면서 매끈한 오징어가 완벽하게 미세, 절단되지 못한 채 너덜너덜한 상태로 낙하되며 포집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여 절된 오징어의 품질을 만족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세절대상의 오징어에 대해 이를 수령방향으로 급송시키고 급송된 오징어는 소정형태의 받침 다이상에 안착되는 동시에 일 방향 고속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절단날 유니트에 의해 미세하게 절단, 가공되도록 하여, 세절되는 오징어가 절단날의 틈새에 끼거나 또는 절단날과 함께 회전됨 없이 완벽하게 세절되어 고품질의 오징어로 세절, 가공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오징어 세절장치
본 고안은 오징어를 미세하게 절단하는 오징어 세절(細切)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절대상의 오징어를 수평방향으로 급송시키고 급송되는 오징어가 소정의 받침 다이에 안착된 상태에서 일 방향 회전하는 다수의 절단날 유니트에 의해 미세, 절단 가공되도록 하여, 피 세절대상의 오징어에 대한 완벽한 세절작업을 수행하고 장치의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오징어 세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징어젓갈을 생산하기 위한 용도나 기타 세절된 오징어로서 각종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포획된 오징어를 미세하게 절단하는 적업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인력에 의존하면 인건비와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채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근래에 들어서는 자동화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의 오징어 세절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와 같이 오징어를 자동으로 세절하기 위한 종래의 오징어 세절장치는 첨부도면 제4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회진축(3a)상에 다수의 절단날(3b)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절단기구(3)를 복수 개로 구비하고 각 절단기구(3)의 절단날(3b)(3b)은 서로의 공간에 교차되게 설치하여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한 상태에서, 포획된 오징어를 상부로부티 낙하시켜 두 절단기구(3)(3)사이로 투입시켜주면 서로 교차되게 설치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고속회전하고 있는 절단날(3b)(3b)에 의해 투입된 오징어가 미세하게 절단되어진 후 하부로 포집되게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런, 이와 같은 종래 오징어 세절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먼저, 포획된 상태에서 미가공된 오징어는 그 특성상 유연하고 매끄러우며, 특히 껍질부분은 상당히 질기면서도 부드럽기 때문에 이를 미세하게 절단하기에는 상당한 가공상의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 오징어 세절장치는 상부로부터 낙하 투입되는 오징어를 단순히 서로 교차 설치된 상태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절단날(3b)(3b) 한 쌍만으로 미세, 절단하도록 되이 있기 때문에, 유연하면서 매끈한 오징어가 완벽하게 미세 절단되지 못한 채 너덜너딜한 상태로 낙하되며 포집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여 세절된 오징어의 품질을 만족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절단과정에서 세절대상의 오징어 일부와 껍질부분들이 절단날(3b)(3b)들 사이에 끼는 경우나, 또는 오징어껍질부분이 절단날(3b)(3b)의 표면을 감싼 채 함께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문제점이 더욱 증폭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종래 장치에서는 미세, 절단을 위해 낙하 투입되는 오징어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절단날(3b)(3b)사이에서 그 회전속도에 의해 외부로 퉁겨져 나가거나 절단날(3b)(3b)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어떠한 구성도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세절작업시 작동의 정확성을 보장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전술한 오징어의 세절작업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오징어 세절장치에서 드러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세절대상의 오징어에 대해 이를 수평방향으로 급송시키고 급송된 오징어는 소정형태의 받침 다이상에 안착되는 동시에 일방향 고속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절단날 유니트에 의매 미세하게 절단, 가공되도록 하여, 세절되는 오징어가 절단날의 틈새에 끼거나 또는 절단날과 함께 회전됨 없이 완벽하게 세절되어 고품질의 오징어로 세절, 가공시킬 수 있는 오징어 세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절단날 사이로 소정형태 및 길이를 갖는 다수의 가이드핀을 연장 설치하여, 수평급송되어 받침 다이상에 안착되는 오징어가 상기의 가이드핀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약간의 가압을 받으며 안내되도록 함으로서, 세절대상의 오징어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절단날에 의해 외부로 퉁겨져나가거나 또는 절단날과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절장치의 작동신뢰성향상과 함게 오징어에 대한 더욱 완벽한 세절작업을 지원할 수 있는 오징어 세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일부절결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일부절결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발췌도.
제4도는 종래 오징어 세절장치의 동작원리를 보여주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체 20 : 급송기구
3,30 : 절단기구 3b,34 : 절단날
35 : 받침 다이 35 : 가이드핀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첨부도면 제1도 내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절대상의 미가공된 오징어가 수납되는 호퍼(11)와 세절된 오징어가 배출되는 배출구(12)가 각각 소정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기체(10)상에, 세절대상의 오징어를 수평방향으로 급송시키기 위한 급송기구(20)와, 급송된 오징어를 미세하게 절단하는 절단기구(30)가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들의 구성상태를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급송기구(20)는, 제1구동모터(21)와 동력전달부재(22)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로울러(23)가 기체(10)내에 설치되고, 구동로울러(23)와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종동로울러(24)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로울러(23)와 종동로울러(24)를 경유하여 무한이송벨트(25)가 감겨져 이루어진다.
다음 세절기구(30)는, 제2구동모터(31)와 동력전달부재(32)에 의해 연결되는 회전축(33)상에 절단날(34)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된 상태에서 기체(10)내부로 설치되고, 상기 절단날(34) 저부에는 받침 다이(35)가 설치되되 상기 다수의 절단날(34)하측 일 부위는 받침 다이(35)상에 형성된 다수의 절개홈(35a)을 관통하여 위치되게 이루어져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급송기구(20)의 종동로울러(24) 상부 측으로 기체(10)내에 소정의 지지봉(41)을 설치하고, 이 지지봉(41)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가이드핀(40)일단을 부착 설치하되 이 가이드핀(40)은 절단날(34)사이의 간극을 통과하여 연장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핀(40)의 끝단 상부 측에는 기체(10)내로 이탈방지봉(42)을 설치,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체(10)에는 가이드핀(40)이 부착되어 있는 지지봉(41)과 절단날(34)이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33)을 각각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설치홈(13)(14)을 마련하여, 기체(10)의 설치홈(13)(14)으로부터 각각 절단날(34)과 가이드핀(40) 부위를 분리하는 것으로 이들에 대한 청소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로서 15는 오징어에 대한 세절작업시 외부 이물질이 투입되거나 또는 세절되는 오징어 파편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덮개를, 16은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박스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및 제2구동모터(21)(31)를 작동하여 구동로울러(23)와 회전축(33)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무한이송벨트(25)와 다수의 절단날(34)이 각각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 상태에서, 호퍼(11)상에 수납되어 있던 세절대상의 오징어를 무한이송벨트(25)상으로 투입시켜 주면 오징어는 무한이송벨트(25)에 의해 절단날(34)측으로 수평 급송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절단날(34)측으로 수평 급송된 오징어는 받침 다이(35)상에 안착되어 지지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일 방향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던 절단날(34)에 의해 미세하게 절단되게 된다. 이때, 가이드핀(40)을 별도로 설치하였을 경우 이 가이드핀(40)은 급송된 오징어의 체적에 의해 일시적으로 들어올려지나 이탈방지봉(42)에 의해 그 움직임이 제한을 받게 됨과 더불어 자체 탄성력으로써 오징어가 받침 다이(35)측에 도달하는 순간부터 오징어를 가압하며 밀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오징어는 외부 이탈됨이 없이 구속된 상태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절단날(34)에 의해 미세, 절단되게 됨으로써 오징어의 세절작업이 보다 완벽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세절된 오징어는 기체(1)의 배출구(12)측으로 유도된 후 포집되는 것으로 오징어에 대한 미세, 절단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미세, 절단되어진 오징어는 주로 젓갈을 생산하기 위한 기초재료로서 사용되어지나, 기타 세절된 오징어로 제조할 수 있는 어떠한 물품에도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세절대상의 오징어에 대해 이를 수평방향으로 급송시키고 급송된 오징어는 소정형태의 받침 다이상에 안착되는 동시에 일방향 고속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절단날 유니트에 의해 미세하게 절단, 가공되도록 되어 있어, 세절되는 오징어가 절단날의 틈새에 끼거나 또는 절단날과 함께 회전됨 없이 완벽하게 세절되어 고품질의 오징어로 세절, 가공시킬 수 있고, 가이드핀을 부가 설치할 경우 수평 급송되어 받침 다이상에 안착되는 오징어가 상기의 가이드핀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약간의 가압을 받으며 안내됨으로써, 세절대상의 오징어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절단날에 의해 외부로 퉁겨져나가거나 또는 절단날과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절장치의 작동신뢰성향상과 함께 오징어에 대한 더욱 완벽한 세절작업을 지원할 수 있는 등의 여러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오징어를 미세하게 절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세절대상의 미가공된 오징어가 수납되는 호퍼(11)와 세절된 오징어가 배출되는 배출구(12)가 각각 소정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기체(10)상에; 제1구동모터(21)와 동력전달부재(22)에 의해 연결되는 구동로울러(23)가 기체(10)내에 설치되고, 구동로울러(23)와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종동로울러(24)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로울러(23)와 종동로울러(24)를 경유하여 무한이송벨트(25)가 감겨져 이루어지는 급송기구(20)와; 제2구동모터(31)와 동력전달부재(32)에 의해 연결되는 회전축(33)상에 절단날(34)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된 상태에서 기체(10)내부로 설치되고, 상기 절단날(34) 저부에는 받침 다이(35)가 설치되되 상기 다수의 절단날(34)하측 일부위는 받침 다이(35)상에 형성된 다수의 절개홈(35a)을 관통하여 위치되게 구성된 세절기구(30)가;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세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송기구(2)의 종동로울러(24) 상부 측으로 기체(10)내에 소정의 지지봉(41)을 설치하고, 이 지지봉(41)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가이드핀(40)일단을 부착 설치하되 이 가이드판(40)은 절단날(34)사이의 간극을 통과하여 연장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핀(40)의 끝단 상부 측에는 기체(10)내로 이탈방지봉(42)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세절장치.
KR2019980024713U 1998-12-11 1998-12-11 오징어 세절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032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713U KR200203287Y1 (ko) 1998-12-11 1998-12-11 오징어 세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713U KR200203287Y1 (ko) 1998-12-11 1998-12-11 오징어 세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930U KR20000011930U (ko) 2000-07-05
KR200203287Y1 true KR200203287Y1 (ko) 2000-12-01

Family

ID=1954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713U Expired - Fee Related KR200203287Y1 (ko) 1998-12-11 1998-12-11 오징어 세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2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252B1 (ko) 2007-04-13 2008-06-25 김근화 오징어 절단 장치
KR20210073347A (ko) *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참코청하 건조어물채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378B1 (ko) * 2002-08-20 2005-01-27 김형기 오징어 국수 제조장치
KR102424330B1 (ko) * 2022-03-14 2022-07-21 조성호 대왕 오징어 가공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252B1 (ko) 2007-04-13 2008-06-25 김근화 오징어 절단 장치
KR20210073347A (ko) *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참코청하 건조어물채 제조장치
KR102356645B1 (ko) * 2019-12-10 2022-01-28 주식회사 참코청하 건조어물채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930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195B1 (ko) 고기 절단기
US4967969A (en) Apparatus for chipping solid materials
US4813317A (en) Rotary slicing machine
CN111645125B (zh) 一种棒状中药旋转切片装置
KR200203287Y1 (ko) 오징어 세절장치
KR101963114B1 (ko) 원심력을 이용한 약재절단기
CN114903185A (zh) 一种食品处理设备及方法
JPH05236923A (ja) 野菜、果物処理装置
KR101739237B1 (ko) 물결무늬 감자스틱을 제조하기 위한 감자절단장치
CN113636177B (zh) 一种包装袋拆包装置
KR20010046801A (ko) 밤 박피 장치
CN105996067A (zh) 一种切刀倒置式鲜莲子剥壳机及其使用方法
JPH08229426A (ja) 細断装置
CN107334162B (zh) 一种桃干加工用快速自动分桃肉及桃核装置
US6736041B2 (en) Vegetable stick cutting machine
CN110340957A (zh) 一种姜片深加工用生姜切片装置
JP3638092B2 (ja) 野菜切断加工装置
CN211388998U (zh) 一种高效新型中药材切片机
JP3061133B1 (ja) 食材の切断装置
CN218748100U (zh) 一种蔬菜深加工切片机
US2917093A (en) Potato slicing machine
US1240261A (en) Machine for slicing meat, vegetables, &c.
CN210389322U (zh) 一种全自动果蔬切片机
CN223071554U (zh) 一种水果罐头加工用切丁机
KR101579708B1 (ko) 과일 꼭지 제거가 가능한 과일 자동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121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1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9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090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5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8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