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8174Y1 - 도어용피벗힌지 - Google Patents

도어용피벗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174Y1
KR200248174Y1 KR2019980012399U KR19980012399U KR200248174Y1 KR 200248174 Y1 KR200248174 Y1 KR 200248174Y1 KR 2019980012399 U KR2019980012399 U KR 2019980012399U KR 19980012399 U KR19980012399 U KR 19980012399U KR 200248174 Y1 KR200248174 Y1 KR 200248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hinge
gap
eccentric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3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9342U (ko
Inventor
이공범
Original Assignee
이공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공범 filed Critical 이공범
Priority to KR20199800123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174Y1/ko
Publication of KR199800593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3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17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의 일측에서 고정시켜 도어가 개폐되도록 하는 피벗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상,하측에서 도어가 사용중에 틀어지는 경우 편심축에 의하여 정확히 일치되어 출입문의 개폐위치를 조절하도록 하는 도어용 피벗힌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어용 피벗힌지는 상하부힌지를 단순히 축을 통하여 연결하는 것으로 최초 설치시에나 설치후에 문틀과 도어의 틈새를 교정하기가 매우 어려웠던 것이다.
또한 도어체크를 설치해야만 도어가 열린후 자동으로 닫히게 되나 고가이어서 구입이 어렵되 도어가 부드럽게 개폐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부힌지(1)에서 후레임판(11)과 고정판(16)을 연결하여 도어(3)의 틈새를 교정하는 한편 돌축(16')이 요홈(17')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편심축(15)과, 하부힌지(2)에서 후레임판(20)과 고정판(25)의 지지판(26)을 연결하여 도어(3)의 틈새를 교정하는 한편 회전조절판(28)하측의 돌기(28')가 홈(29)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측으로 베어링(B)과 스프링(22)을 설치하는 편심축(22)으로 구성시켜 도어의 틈새를 간편하게 조절하며, 도어체크가 없이도 도어를 부드럽게 열고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용 피벗힌지
본 고안은 도어의 일측에서 고정시켜 도어가 개폐되도록 하는 피벗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상,하측에서 도어가 사용중에 틀어지는 경우 편심축에 의하여 정확히 일치되어 출입문의 개폐위치를 조절하도록 하는 도어용 피벗힌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방화문이나 각종 출입문 등의 도어는 문틀에 피벗힌지를 설치하여 일측면의 상,하측에서 개폐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서 통풍을 목적으로 일정하게 열어놓을 수 있는 장치를 하측에 설치하였다.
또한 상측부에 힌지를 이용한 자동닫힘기능을 설치하여 열려진 후에는 자동으로 닫아지도록 하는 도어체크가 설치된다.
그러나 도어체크가 설치된 도어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부피가크며 비용이 고가이어서 설치 및 보수유지가 어려우며 도어의 개폐시 힘이 많이드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는 최초의 설치시 피벗힌지에서 문틀과의 틈새가 많이 벌어지고, 어느 한부분에서 이러한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는 것이어서 틈새를 조절하기가 매우 어려워 시공이 까다로운 것이었다.
그리고 하부힌지에 삽입되는 베어링은 도어를 많이 사용하면 마모되어 회전이 부드럽지 못하므로 베어링을 교체해야만 하나 힌지의 전체를 교체하지 않는 한 교체가 불가능 한 것이다.
또한 도어의 사용중에 자중으로 인하여 자주 사용하다 보면 문틀과의 틈새가 발생되는 하자의 발생시 보수가 어려운 것이었다.
본 고안은 도어를 연결하는 고정판과 후레임판을 편심축을 이용하여 연결하면서 편심축을 회전시키면 문틀과의 틈새가 없이 좌우앞뒤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어체크를 사용하지 않아도 하부힌지에 스프링을 삽입하여 열린도어를 자동으로 부드럽게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어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하측의 피벗힌지를 통하여 사용도중에 발생된 도어의 톰새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베어링의 분리가 간편하여 마모된 베어링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하부힌지에 설치되는 편심축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틈새를 조절하도록 하며, 한번 조절된 큼새는 다시 벌어지지 않고 사용도중 자중에 의하여 벌어진 틈새는 도어를 설치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베어링을 간편하게 교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상부힌지에 대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하부힌지에 대한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상부힌지에 대한 조립상태 일부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상부힌지에 대한 설치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하부힌지에 대한 조립상태의 평면에 대한 일부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하부힌지에 대한 설치상태의 평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하부힌지에 대한 분리사시도.
1 : 상부힌지 2 : 하부힌지
3 : 도어 4 : 문틀
11, 20 : 후레임판 12 : 안내축
13, 17, 21 : 보강판 14, 18 : 캡
15, 22 : 편심축 15', 22' : 편심조절홈
16, 25 : 고정판 16' : 돌축
17': 요홈 23 : 덮개
24 : 스프링 26 : 지지판
27 : 보강면 27' : 고정홈
28 : 회전조절판 28' : 돌기
29 : 홈
본 고안은 문틀(4)의 내부에서 개폐되는 도어(3)가 일측의 상부힌지(1)와 하부힌지(2)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부힌지(1)는 후레임판(11)에 조립공(11')이 다수개 설치되어서 문틀(4)에 고정되며 상측으로 보강판(13)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안내축(12)이 삽입되어 상측으로 캡(14)을 고정나사(14')로 고정시킨다.
상기 후레임판(11)의 하측에 설치되며 보강판(17)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도어(3)에 고정되는 고정판(16)을 설치하고 하측에 캡(18)으로 보강판(17)을 보호하며, 후레임판(11)의 안내축(12)에 조립되는 편심축(15)이 연결된다.
상기 편심축(15)은 하측으로 편심조절홈(15')을 형성하여 후레임판(11)에서 고정판(16)이 이동되면서 도어(3)와 문틀(4)의 틈새를 조절하며, 하측의 일측으로 돌축(16')을 돌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보강판(17)은 편심축(15)이 삽입되는 동시에 외측으로 다수의 요홈(17')을 삽입하여 돌축(16')에 의하여 편심축(15)의 회전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하부힌지(2)는 조립공(20')이 형성되어 도어(3)에 고정되는 후레임판(20)과 상측으로 보강판(21)을 일체형이 되도록 형성하며 안내축(21')을 삽입하여 편심축(22)이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편심축(22)이 삽입되는 조립공(26')과 원형으로 다수의 홈(29)이 상측에 형성되는 지지판(26)의 일측면에서 상측으로 라운으형으로 연결되는 보강면(27)과, 그 일측으로 고정홈(27')을 형성한 고정판(25)이 문틀(4)에 설치된다.
상기 편심축(22)은 조립공(26')에 삽입되어 하측 선단을 외측으로 벌려 조립하며 지지판(26)의 상측에 원형으로 설치되는 회전조절판(28)에는 돌기(28')가 돌출되어 홈(29)과 결합되고, 상단의 편심조절홈(22')에서 편심축(22)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하고 상측으로 스프링(24)이 삽입되어 한쪽은 보강판(21)에 다른 한쪽은 고정홈(27')에 걸어서 도어(3)가 열린후 탄성력으로 닫히도록 하며, 회전조절판(28)의 상측으로 베어링(B)이 삽입되고 그 상측으로 돌기(30)가 돌출되어 베어링(B)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보강판(21)에는 스프링(24)이 통과되는 절개홈(23')을 형성하고 고정나사(21)로 고정시켜 스프링(24)을 보호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문틀(4)에 도어(3)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후레임판(11)(20)의 조립공(11')(20')을 통하여 문틀(4)에 고정하며, 고정판(16)(25)을 도어(3)에 고정시킨다.
후레임판(11)의 안내축(12) 하측에서 고정판(16)의 편심축(15)을 삽입하여 조립하고, 하부힌지(2)의 지지판(26)에 형성된 조립공(26)에 편심축(22)을 삽입하여 하측에서 벌려 상측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부힌지(1)의 편심축(15) 하측에서 편심조절홈(15')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편심축(15)이 회전되면서 도어(3)가 전후좌우로 이동되므로 틈새를 교정하고 캡(18)을 고정한다.
이때 편심축(15)의 돌축(16')이 요홈(17')에서 회전이동 되면서 틈새가 교정된 위치에서 상호 조립하고 외측에서 고정나사(19)로 고정하면 턱(19')에 걸려서 교정된 위치를 고수하게 된다.
상부힌지(1)를 통하여 상부틈새를 교정한 후에는 편심축(22)의 하측을 밀어서 돌기(28')가 홈(29)에서 분리되도록 하고 상측에서 편심조절공(22')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편심축(22)이 회전되면서 도어(3)의 하측부분이 전후좌우로 이동되므로 도어(3)의 틈새를 교정한후 편심축(22)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돌기(28')가 다수의 홈(29)중 어느한곳과 결합되도록 한후 편심축(22)에 스프링(24)을 걸어준다.
그러면 돌기(28')와 홈(29)의 결합으로 교정위치의 이동이 없으며, 도어(3)는 베어링(B)에 지지되어 자연스럽게 회전되며, 상측에 덮개(23)를 덮어 보호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사용도중 도어(3)의 자중이나 외력 또는 다른 힘에 의하여 도어(3)와 문틀(4)의 틈새가 발생되면, 상측에서 틈새가 발생되면 캡(18)을 분리하고 고정나사(19)를 분리한후 편심축(15)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돌축(16')을 요홈(17')에서 분리시켜 드라이버로 편심조절홈(15')에 넣어 회전시켜 틈새를 교정하는 것이다.
또한 도어(3)를 개방시킨후 닫지 않아도 스프링(24)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자동으로 부드럽게 닫히게 된다.
또한 도어(3)를 오랜동안 사용하면 베어링(B)이 마모되는 경우에는 하부힌지(2)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어서 베어링(B)을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베어링(B)의 상측으로 돌기(30)가 설치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판(25)과 지지판(26)을 연결하는 보강면(27)은 라운드지도록 형성하여 도어(3)의 자중이 작용하는 부분이므로 지지판(26)이 하측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한다.
본 고안은 상,하부힌지에서 편심축을 이용하여 도어를 설치하므로 설치시에나 설치후에도 틈새가 발생되면 편심축을 회전시켜 간편하게 틈새를 교정하는 것이어서 도어의 설치 및 사용중의 수리가 간편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부힌지에 돌축과 요홈을 이용하고 하부힌지에 돌기와 홈을 이용하여 틈새의 조절후 교정위치를 고수하도록 하여 교정위치의 이동이 없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하부힌지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도어가 부드럽게 열리도록 할 뿐만아니라 열린후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하부힌지의 편심축에 설치되는 베어링이 마모되면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문틀(4)에서 개폐되며 상부힌지와 하부힌지로 연결되는 도어(3)에 있어서, 상부힌지(1)에서 후레임판(11)과 고정판(16)을 연결하여 도어(3)의 틈새를 교정하는 편심축(15)과,
    하부힌지(2)에서 후레임판(20)과 고정판(25)의 지지판(26)을 연결하여 도어(3)의 틈새를 교정하는 편심축(22)으로 구성되고,
    편심축(22)은 지지판(26)의 조립공(26')에 조립되며 회전조절판(28)의 하측으로 돌출된 돌기(28')가 홈(29)에서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베어링(B)이 돌기(30)에 의해 고정되며 상단에 편심조절공(22')을 구성시키고,
    편심축(22)에 스프링(24)이 삽입되어 보강판(21)과 고정판(25)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피벗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편심축(15)은 하측에 편심조절홈(15')이 형성되며 외측으로 돌축(16')이 설치되어 요홈(17')에서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턱(19')에 고정나사(19')로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피벗힌지.
  3.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판(25)과 지지판(26)을 연결시키는 보강면(27)이 라운드지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피벗힌지.
KR2019980012399U 1998-07-08 1998-07-08 도어용피벗힌지 Expired - Fee Related KR200248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399U KR200248174Y1 (ko) 1998-07-08 1998-07-08 도어용피벗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399U KR200248174Y1 (ko) 1998-07-08 1998-07-08 도어용피벗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342U KR19980059342U (ko) 1998-10-26
KR200248174Y1 true KR200248174Y1 (ko) 2001-12-17

Family

ID=69509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399U Expired - Fee Related KR200248174Y1 (ko) 1998-07-08 1998-07-08 도어용피벗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17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395B1 (ko) * 2005-04-11 2007-02-15 최영수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방화문의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342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5507A (en) Screw operated ajustably positioned hinge leaf
US4391020A (en) Gravity return hinge having an axle rod in an axle sleeve
US20080104798A1 (en) Adjustable Hinge Set
KR102176888B1 (ko) 도어 수직바의 위치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도어
KR200248174Y1 (ko) 도어용피벗힌지
EA017559B1 (ru) Дверная петля для дверного элемента, установленного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оворота на стеновом элементе,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душевой перегородки
EP0844352B1 (en) Hinged fastening device for household appliance door
JP2602937Y2 (ja) 調整蝶番
KR100188300B1 (ko) 도어용 피벗힌지
KR102375404B1 (ko) 공장조립에 의한 현장시공이 용이한 손끼임방지 및 폐쇄시 도어충격방지 안전도어
KR20090009120U (ko) 내외부로 개폐되는 도어의 힌지장치
KR19990010016U (ko) 도어용 경첩의 개방각도 조절장치
KR200380544Y1 (ko) 외부은폐형 힌지가 결합된 도어장치
JP5180886B2 (ja) ヒンジ装置および建具
KR20010071648A (ko) 회전식 도어의 힌지장치
JP2001090425A (ja) 開口部装置
KR200376958Y1 (ko) 외부은폐형 도어힌지장치
KR102228658B1 (ko) 무경첩 도어
KR0119877Y1 (ko) 건물의 환기구용 셔터
KR20220142303A (ko) 도어의 힌지유닛 결합구조
KR101085556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
KR200406889Y1 (ko) 외부은폐형 도어힌지
KR19980055663U (ko) 강화유리문용 플로어힌지의 지지장치
KR100352173B1 (ko) 스프링 경첩의 각도 조절장치
KR101195924B1 (ko) 도어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7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0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708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053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9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109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16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