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95924B1 - 도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924B1
KR101195924B1 KR1020110009328A KR20110009328A KR101195924B1 KR 101195924 B1 KR101195924 B1 KR 101195924B1 KR 1020110009328 A KR1020110009328 A KR 1020110009328A KR 20110009328 A KR20110009328 A KR 20110009328A KR 101195924 B1 KR101195924 B1 KR 101195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pper
close contact
coupled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173A (ko
Inventor
이규상
Original Assignee
이규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상 filed Critical 이규상
Priority to KR1020110009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924B1/ko
Publication of KR20120088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3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pivoted lever or eccentric type, e.g. for sliding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8Bearings
    • E05Y2201/636Universal or ball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D)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향 회동시 지면에 밀착되면서 도어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되는 도어 고정장치에 있어, 도어(D)의 하부측 표면에 결합되는 고정판(120)과; 상기 고정판(120)의 표면에 상기 도어(D) 표면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하향 개방된 힌지공(142)을 갖는 힌지부(140)와; 절곡된 일단이 상기 힌지공(1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지면 밀착을 위한 패킹(162)이 결합되어 회동전 도어(D)측 표면에 밀착되고 회동후 상기 패킹(162)이 지면에 밀착 지지되는 스토퍼(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도어 개방후 출입자가 간편하게 스토퍼를 회동시켜 도어의 일시적 개방상태를 유지 및 해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 고정장치{A 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건축물의 현관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 아파트, 일반주택 등에 사용되는 현관 도어의 경우 방화 또는 방범 등의 이유로 주로 여닫이 도어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관 도어는 일측이 힌지축을 통해 도어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되면서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별도로 유압력 및 탄성력을 갖는 탄성 복귀수단이 제공되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외력에 의하지 않고 자동으로 닫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현관 도어는 개방 상태에서 자동으로 닫힘 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고정 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D)의 하부측에 별도의 도어 고정장치(10)를 설치하여 도어가 개방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즉, 사용자가 도어(D)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어(D)의 하부 측에 별도로 도어(D)를 고정시킬 수 있는 도어 고정장치(10)가 구비되고 있다.
상기한 도어 고정장치(10)는, 도어(D)에 결합되는 고정편(12)과, 상기 고정편(12)에 일단부가 힌지(14) 결합되어 회동 하게 되는 노루발 형상의 스토퍼(16)로 구성된다. 상기한 도어 고정장치(10)는 도어(D)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해야 하는 경우 지면을 기준으로 상향 회동된 상태의 스토퍼(16)를 하향 회동시켜 스토퍼(16)의 단부가 지면에 면접촉 되도록 함으로써 마찰 지지력을 통해 도어(D)를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도어 고정장치(10)는 작동시 사용자가 손으로 스토퍼(16)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회전시켜야 하는 구조로 사용자가 사용시마다 허리를 굽혀 스토퍼를 조작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대부분의 사용자는 발을 통해 스토퍼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스토퍼가 도어의 표면과 근접 위치되어 있어 발로 회전시키기 힘든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사용자가 손 또는 발이 아닌 기구 등을 이용해서 스토퍼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스토퍼가 파손 또는 휘어지는 등의 문제로 자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0-0388263호 "도어 고정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이는, 도어의 하단부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소정 공간을 구비하고 상하부에 상기 공간과 연락되는 상하부관통공이 형성되며 어느 일측으로는 소정 간격을 이루게 고정공들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상하부관통공을 통해 몸체의 상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하단부는 텐션스프링이 결합되고 상단부는 완충스프링이 설치되어 소정 텐션을 유지하면서 상하로 슬라이딩 작동하는 작동축; 상기 작동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지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무재; 및 상기 몸체의 고정공들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이 고정돌기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면서 상기 작동축에 고정되어 상기 작동축의 상하 슬라이딩 작동되어 고정되게 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도어 고정장치는 수직 이동에 따라 도어 개방후 작동이 힘든 문제점 및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고정장치를 이루는 스토퍼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스토퍼가 사선 방향의 힌지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밀림 이동되면서 회동되는 형태로 제공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향 회동시 지면에 밀착되면서 도어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되는 도어 고정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하부측 표면에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표면에 상기 도어 표면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하향 개방된 힌지공을 갖는 힌지부와; 절곡된 일단이 상기 힌지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지면 밀착을 위한 패킹이 결합되어 회동전 도어측 표면에 밀착되고 회동후 상기 패킹이 지면에 밀착 지지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패킹은 안정된 도어의 지지를 위해 상기 스토퍼의 하단에 형성된 볼 조인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현관 도어의 하측에 구비되는 스토퍼의 회동이 상하 방향이 아닌 사선 방향의 힌지를 중심으로 좌우 경사 방향을 가지며 회동됨에 따라 사용자가 손이 아닌 발로써 간편하게 회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프링 등의 탄성력을 통해 스토퍼가 지면에 밀착되는 경우 가압 지지력 확보 그리고 회동후 도어에 밀착되는 경우 안정된 위치 고정력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고정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4는 도 3에서 스토퍼가 회전되어 도어에 밀착된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고정장치의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어(D)의 하부에 구비되어 회동시 지면에 밀착되어 도어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되는 도어 고정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어 고정장치(100)는, 도어(D)의 하부측 표면에 결합되는 고정판(120)과, 상기 고정판(120)의 표면에 사선방향의 힌지공(142)을 갖는 힌지부(140)와, 절곡된 일단이 힌지공(1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지면 밀착을 위한 패킹(162)이 결합되어 회동전 도어(D)측 표면에 밀착되고 회동후 상기 패킹(162)이 지면에 밀착 지지되는 스토퍼(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12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가 가능하며 상기 고정판(120)의 모서리에는 볼트 안내홀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 안내홀로 결합되는 볼트(122)를 통해 상기 도어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힌지부(140)는, 상기 고정판(120)에 대해 상기 스토퍼(16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어(D)에 대해 상기 고정판(120)에서 사선 방향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140)에는 사선 방향으로 힌지공(142)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공(142)은 하향 개방상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140)는 상기 고정판(120)의 성형시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판(120)의 소재를 합성수지재로 하는 경우 상기 힌지부(140)와 상기 고정판(120)이 일체로 형성하면 된다.
상기 힌지부(140)에 형성된 힌지공(142)은 상기 고정판(120)의 형성시 성형되거나 또는 상기 힌지부(140) 형성후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60)는 일단이 절곡되며 절곡된 단부가 상기 힌지공(1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스토퍼(160)의 단부는 상기 힌지공(142)에 삽입되어 별도로 공지된 결합구 등를 통해 이탈 방지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60)의 하단에는 패킹(162)이 접착재 또는 별도의 체결구를 통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패킹(162)이 상기 스토퍼(160)와 결합시 볼 조인트(170)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스토퍼(160)의 하단에는 호형돌출부(172)가 그리고 상기 패킹(162)의 내측에는 호형홈(174)이 형성되도록 하면 된다.
상기한 경우 상기 스토퍼(160)의 호형 돌출부(172)가 상기 호형홈(174)에 삽입되어 상기 패킹(162)이 각도 "A"만큼 유동 가능함에 따라 상기 패킹(162)의 하단 표면이 지면 밀착시 유동폭 만큼 유동되면서 지면에 밀착되어져 안정된 밀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도어 고정장치의 조립 및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조립시에는, 먼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D)의 하부에 고정판(120)을 볼트(122)를 통해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판(120)의 표면에 형성된 힌지공(142)이 상기 도어(D)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하향 개방된 각도를 갖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볼트(122)를 조임시키면 된다. 그런다음 상기 힌지공(122)에 스토퍼(160)의 절곡된 일단을 삽입시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하면 된다.
이후, 도어(D)가 개폐 동작만을 하는 경우 상기 스토퍼(160)가 상기 도어(D)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시키면 된다. 즉, 상기 스토퍼(160)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면에 대해 수평 방향을 갖도록 하면 된다.
연속해서 도어(D)를 개방시킨 후 개방 상태를 유지시키고자 하는 경우, 스토퍼(160)의 끝단부 즉, 패킹(162) 부분을 하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스토퍼(160)가 힌지공(142)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패킹(162)이 지면에 밀착되고 이에따라 도어(D)가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해제시에는 출입자가 상기 스토퍼(160)의 하단부분을 오른쪽 방향으로 밀어낸다. 그러면 스토퍼(160)가 힌지공(142)을 중심으로 상향 회동되면서 도어(D)의 표면에 지면과 수평 상태를 이루며 위치 고정되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스토퍼(160)와 상기 고정판(120) 사이에 스프링 등을 결합시켜 상기 스토퍼(160)가 탄성력을 통해 지면에 밀착 또는 도어(D) 벽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스토퍼(160)가 상기 고정판(120)에 공지의 경첩 즉, 상기 스토퍼(160)에는 힌지 브래킷을 상기 고정판(120)에는 고정 브래킷을 구비시킨 후 상기 힌지 브래킷과 상기 고정 브래킷을 회전핀으로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D: 도어
100: 도어 고정장치
120: 고정판 122: 볼트
140: 힌지부 142: 힌지공
160: 스토퍼 162: 패킹
170: 볼 조인트

Claims (2)

  1. 도어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향 회동시 지면에 밀착되면서 도어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되는 도어 고정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하부측 표면에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표면에 상기 도어 표면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하향 개방된 힌지공을 갖는 힌지부와;
    절곡된 일단이 상기 힌지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회동전 도어측 표면에 밀착되고 회동후 지면에 밀착 지지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타단에 지면 밀착을 위한 패킹이 결합되고, 상기 패킹에 호형 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의 하단에 형성된 호형 돌출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고정장치.
KR1020110009328A 2011-01-31 2011-01-31 도어 고정장치 KR101195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328A KR101195924B1 (ko) 2011-01-31 2011-01-31 도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328A KR101195924B1 (ko) 2011-01-31 2011-01-31 도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173A KR20120088173A (ko) 2012-08-08
KR101195924B1 true KR101195924B1 (ko) 2012-11-05

Family

ID=46873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328A KR101195924B1 (ko) 2011-01-31 2011-01-31 도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9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502B1 (ko) * 2013-07-30 2013-11-07 박선하 도어스토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027Y1 (ko) 2003-04-28 2003-09-02 성완경 도어 개방 고정구
KR100748616B1 (ko) 2006-09-15 2007-08-10 한재호 출입문 고정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027Y1 (ko) 2003-04-28 2003-09-02 성완경 도어 개방 고정구
KR100748616B1 (ko) 2006-09-15 2007-08-10 한재호 출입문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173A (ko)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6489C2 (ru) Дверной блок
KR101641021B1 (ko) 창호 잠금장치
KR101350352B1 (ko) 창호용 환기장치
KR101195924B1 (ko) 도어 고정장치
KR101819485B1 (ko) 폴딩도어 경첩
KR20170121907A (ko) 폴딩도어의 양방향 회전식 절첩장치
KR101849986B1 (ko) 폴딩도어의 양방향 회전식 절첩장치
JP2005336983A (ja) 閉扉装置
KR101778077B1 (ko) 출입문용 방범 도어
KR20110009737U (ko) 발로 조작 가능한 도어스토퍼
KR20120086853A (ko) 발로 개폐 가능한 여닫이 문
KR101232692B1 (ko) 도어 고정장치
KR102075071B1 (ko) 완전 개폐 창호 시스템
KR20090005688U (ko) 개방상태 고정이 가능한 여닫이창문용 스테이
KR101544144B1 (ko) 힌지장치
KR101137823B1 (ko) 여닫이문
JP2017180038A (ja) ドア
KR101085556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
JP5112653B2 (ja) 上吊式引き戸サッシにおける網戸支持構造
KR200395663Y1 (ko) 상하좌우로 작동되는 여닫이문 고정장치
KR200325027Y1 (ko) 도어 개방 고정구
JP4860943B2 (ja) 扉装置
KR20100008672U (ko) 회전접이식 현관방충망
AU2012202839B2 (en) Improvements in Window Fittings
KR200495643Y1 (ko) 경첩 결합형 외측 문 틈새 차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