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4827Y1 - 탄력성이 우수한 고도 테이퍼링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 - Google Patents

탄력성이 우수한 고도 테이퍼링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827Y1
KR200244827Y1 KR2020010015347U KR20010015347U KR200244827Y1 KR 200244827 Y1 KR200244827 Y1 KR 200244827Y1 KR 2020010015347 U KR2020010015347 U KR 2020010015347U KR 20010015347 U KR20010015347 U KR 20010015347U KR 200244827 Y1 KR200244827 Y1 KR 2002448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stles
tapered
toothbrush
elasticity
brist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스트화성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스트화성, 제일제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스트화성
Priority to KR2020010015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8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8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82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력성이 우수한 고도테이퍼링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에 관한 것으로, 적절한 탄력성과 부드러움을 동시에 구비하며, 양치감과 치석제거능이 양호함은 물론 종래의 고도 테이퍼링 칫솔을 제조함에 있어서 발생하던 재료의 낭비와 높은 불량율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식모된 칫솔모의 끝 부분의 후도가 0.02mm이내이고, 테이퍼된 부분이 칫솔모의 끝 부분으로부터 3.5mm이내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의 칫솔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탄력성이 우수한 고도 테이퍼링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A Toothbrush Combined With High Tapering Hairs Having Superior Elasticity}
본 고안은 테이퍼링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력성이 우수한 고도 테이퍼링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칫솔용 모노필라멘트는 나이론을 재료로 하여 제조되는 데, 나이론을 재료로 한 모노필라멘트는 적당한 탄력과 유연성을 가지는 장점은 있으나, 흡수성이 강하고 사용에 의하여 칫솔모의 형태가 빨리 변형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일정한 탄력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굵기가 어느 정도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부드러움을 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나이론 칫솔모는 도1과 같이 사용할 때 잇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끝부분이 약간 연마된 라운드형을 하고 있다.
한편, 나이론 외의 칫솔용 모노필라멘트로 사용될 수 있는 재료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재료들은 나이론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내구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흡수성이 낮아서 나이론보다는 칫솔모의 재료로서 더욱 적합하다.
그러나 탄력성이 강하고 유연성이 부족하여 칫솔모로 사용될 경우 잇몸을 상하게 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일회용의 저렴한 칫솔에 사용되거나, 또는 원가절감 차원에서 나이론 재질의 칫솔모와 섞어서 사용되는 것이 통례였다.
이러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모노필라멘트의 장점을 살리고 상기에 열거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모노필라멘트의 끝 부분을 바늘과 같은 모양의 테이퍼형으로 가공하는 테이퍼링형 칫솔모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테이퍼 가공된 칫솔은 기계적인 방법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과 연마기로 칫솔모의 끝 부분이 약간 테이퍼링된 것인데, 이러한 기계적인 방법에 의한 약간의 테이퍼링으로는 상기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단점을 충분히 보완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자에 의하여 제시된 약품에 의한 고도 테이퍼링형 칫솔모를 들 수 있다(한국특허 제 130932호, 이하 '선행기술 1'로 칭함). 이 기술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의 모노필라멘트를 테이퍼시켜야 할 필요길이에서 1-4㎜ 정도 더 길게 절단한 후 황산에 수직으로 침지하여 여분의 길이를 용해제거함과 동시에, 필요길이 만큼 테이퍼링시킨 칫솔모이다.
이 기술에 의한 칫솔모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 부분에서 4-10mm 정도부터 테이퍼링되기 시작하여 끝 부분의 직경은 약 0.01㎜ 정도인 고도 테이퍼링을 하고 있으며, 또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강성을 적절히 저하시킴으로써 부드러움을 부여함과 동시에, 도 3과 같이 끝 부분이 완전히 테이퍼링됨으로써 치주 포케트 속의 치석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 1에 의한 칫솔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 종래의 나이론 재질 칫솔의 탄력성에 습관화되어 있는 사용자는 너무 부드러워 양치질감이 떨어진다고 느끼게 된다.
2)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칫솔모를 약품에 침적시켜 완전히 테이퍼링시키기 때문에 농도, 온도, 시간 등의 작업조건이 매우 까다로워 규격품의 제품을 얻기까지 불량율이 50% 이상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본 고안자에 의한 한국특허 제 261658호(이하, '선행기술 2'로 칭함)이다. 이 기술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의 칫솔용 모를 필요한 규격으로 절단 후, 양면의 끝 부분이 용해되어 길이가 짧아지기 직전까지 100-180℃의 강알칼리 또는 강산 용액에 침적 후, 수세, 건조한 다음, 식모한 후 절단연마기로 칫솔모 상단을 0.5-1.5㎜ 정도 절단하고, 칫솔모의 끝 부분의 직경이 0.04-0.08㎜가 될 때까지 연마시킨 탄력성이 우수한 테이퍼링형 칫솔모로 구성되며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이 선행기술 2에 의한 칫솔모는 탄력성이 양호하여 탄력성이 부족한 본 고안자에 의한 상기 선행기술 1의 문제점은 해결하였으나 칫솔모 끝 부분의 직경이 0.04-0.08㎜로, 상기 선행기술 1에 의한 것보다 굵기 때문에 치주 포케트 속의 치석제거 제거에 불리한 문제점과, 이로 인하여 상기 선행기술에 의한 칫솔모 보다 가격이 1/4에 불과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적절한 탄력성을 구비함과 동시에 양치시 잇몸손상을 방지하고, 치주 포케트 속의 치석 제거에 적합하도록 끝 부분이 고도 테이퍼링된 칫솔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도 테이퍼링형 칫솔모의 제조시 발생하는 재료의 손실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양치질 후 양치감이 양호한 칫솔모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라운드형 칫솔모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테이퍼링형 칫솔모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고도 테이퍼링형 칫솔모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종래의 탄력성이 우수한 테이퍼링형 칫솔모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탄력성이 우수한 고도 테이퍼링 칫솔모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연구한 결과, 칫솔모의 끝 부분의 직경이 0.02㎜ 이내이고, 테이퍼된 부분이 끝 부분으로부터 3.5㎜ 이내인 칫솔모는 목적하는 바의 효과를 발휘함을 밝혀 내게 되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선행기술 1에 의한 도3에 기재된 칫솔모는 끝 부분이 0.01㎜의 후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테이퍼된 부분은 끝 부분으로부터 4-10㎜, 통상 7-8㎜정도로 비교적 길게 된다. 그 이유는 칫솔모를 약품에 침적하게 되면 약품이 끝 부분만 선택적으로 부식시키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부식시키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탄력성이 저하되는 것이다.
선행기술 2에 의한 도 4에 기재된 칫솔모는 끝 부분이 0.04-0.08㎜ 정도의 후도를 가지며, 테이퍼된 부분은 끝 부분으로부터 4-5㎜ 정도이다. 이 칫솔모는 테이퍼된 부분의 길이가 짧아서 칫솔모에 탄력성을 부여할 수는 있으나, 끝 부분의 후도가 비교적 굵어서 치주 포케트 속의 치석제거에 불리하다는 점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칫솔모로서, 끝 부분의 후도는 0.02㎜ 이내, 바람직하게는 0.01㎜ 이내이며, 테이퍼 부분은 끝 부분에서 3.5㎜ 이내, 바람직하게는 3㎜ 이내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칫솔모는 선행기술 1 에 의한 칫솔모에 비하여 끝 부분의 후도가 더욱 작아서 치주 포케트 속의 치석제거가 유리할 뿐만 아니라, 선행기술 2에 의한 칫솔모 보다 탄력성이 더욱 양호하여 양치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끝 부분의 후도가 작아서 적절한 부드러움도 겸비하여 양치시 칫솔모가 잇몸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특성을 가진 본 고안의 칫솔모는 종래기술들이 가진 각각의 단점들을 모두 해결한 이상적인 칫솔모라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실시예>
샌드베스(Sandbath)가 장착된 1,000㎖ 비이커에 50% 농도의 NaOH 용액을 비이커 밑부분에서 1㎝ 높이가 되도록 넣고 용액의 온도가 120℃가 되도록 한 후, 0.2㎜ 직경의 일본국 도레이사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520) 필라멘트를 30㎜ 길이로 절단한 묶음을 수직으로 끝 부분으로부터 3.5㎜가 잠길 정도로 침적하고 18분이 지났을 때 필라멘트의 끝 부분이 녹아서 길이가 짧아지기 직전이었으며, 19분이 지났을 때는 길이가 짧아진 직후였다. 이 때 필라멘트 묶음을 모두 꺼집어 낸 후 반대 면을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침적처리한 필라멘트 묶음을 물에 담가서 충분히 세척한 다음, 고무줄로 묶고 건조시킨 후 식모기로 식모하였으며, 식모 후 2700rpm으로 회전하는 절단연마기의 연마부분에 240번 메쉬 페이퍼를 부착하고 5초간 연마시킨 후, 같은 속도로 회전하는 320번 메쉬 페이퍼가 부착된 연마기에 다시 5초간 연마시킨 다음, 같은 속도로 회전하는 400번 메쉬페이퍼로 5초간 연마시켜 끝 부분의 후도는 0.01㎜ 정도이고, 테이퍼된 부분이 끝 부분으로부터 3.0㎜ 정도인 고도 테이퍼링 칫솔을 얻었다.
얻어진 칫솔로 성인 10인을 대상으로 양치질을 한 후 평가하게 한 결과, 탄력성, 부드러움, 양치감, 치석제거능 등에서 매우 양호한 평가를 받았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시행하되, 침적시간을 필라멘트의 끝 부분이 녹기 직전인 18분으로 하고, 식모 후 연마과정에서 360번 메쉬 페이퍼로 연마하는 과정을 생략하였다.
얻어진 칫솔의 칫솔모 끝 부분의 후도는 0.04㎜ 이었고, 테이퍼된 부분은 끝 부분으로부터 3.5㎜ 이었다.
얻어진 칫솔로 성인 10인에게 양치질을 한 후 평가하게 한 결과, 탄력성, 부드러움, 양치감, 치석제거능 등에서 실시예에 의하여 얻어진 칫솔보다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칫솔은 적절한 탄력성과 부드러움을 동시에 구비하며, 양치감과 치석제거능이 양호하다. 또한 종래의 고도 테이퍼링 칫솔을 제조함에 있어서 발생하던 재료의 낭비와 높은 불량율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고도 테이퍼링된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에 있어서, 식모된 칫솔모의 끝 부분의 후도가 0.02㎜ 이내이고, 테이퍼된 부분이 칫솔모의 끝 부분으로부터 3.5㎜ 이내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의 칫솔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성이 우수한 고도 테이퍼링된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칫솔모의 끝 부분의 후도는 0.01㎜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성이 우수한 고도 테이퍼링된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
  3. 제 1항에 있어서, 테이퍼된 부분이 칫솔모의 끝 부분으로부터 3.0㎜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성이 우수한 고도 테이퍼링된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
KR2020010015347U 2001-05-24 2001-05-24 탄력성이 우수한 고도 테이퍼링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 Expired - Fee Related KR2002448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347U KR200244827Y1 (ko) 2001-05-24 2001-05-24 탄력성이 우수한 고도 테이퍼링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347U KR200244827Y1 (ko) 2001-05-24 2001-05-24 탄력성이 우수한 고도 테이퍼링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217A Division KR100421454B1 (ko) 2001-02-23 2001-02-23 탄력성이 우수한 고도 테이퍼링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 및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827Y1 true KR200244827Y1 (ko) 2001-10-15

Family

ID=73101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347U Expired - Fee Related KR200244827Y1 (ko) 2001-05-24 2001-05-24 탄력성이 우수한 고도 테이퍼링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8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311B1 (ko) * 2007-05-14 2013-01-02 가바 인터내셔널 악티엔게젤샤프트 경사부를 갖는 칫솔 강모와 이러한 강모를 구비한 칫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311B1 (ko) * 2007-05-14 2013-01-02 가바 인터내셔널 악티엔게젤샤프트 경사부를 갖는 칫솔 강모와 이러한 강모를 구비한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1454B1 (ko) 탄력성이 우수한 고도 테이퍼링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 및그 제조방법
KR100261658B1 (ko) 테이퍼링형치솔의제조방법
JP4436072B2 (ja) 柔らかい毛と硬い毛とを同時に備えた歯ブラシ
JP2021100576A (ja) 口腔ケア器具用のヘッド及び口腔ケア器具
KR100485220B1 (ko) 다양한 끝 점 후도를 가진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 및 그제조방법
JPS601018B2 (ja) 歯垢除去ならびに歯肉マツサージ用具
JP2021058726A (ja) 口腔ケア器具用のフィラメント及び口腔ケア器具
JP2008154888A (ja) 歯刷子用刷毛及びそれを用いた歯刷子、並びに歯刷子用刷毛の製造方法
CN104334051A (zh) 具有双层结构尖头的牙刷刷毛以及包含该牙刷刷毛的牙刷
JP3547672B2 (ja) 歯ブラシ
JP2021106898A (ja) 口腔ケア器具用の毛束、口腔ケア器具用のヘッド及び口腔ケア器具
JP2001169829A (ja) 歯ブラシ用毛材
KR200244827Y1 (ko) 탄력성이 우수한 고도 테이퍼링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
JP2001178543A (ja) 歯ブラシ
JP4097323B2 (ja) 歯ブラシ
JP2022000183A (ja) 口腔ケア器具用の毛束及びヘッド並びに口腔ケア器具
JP2003144227A (ja) 歯ブラシ
CN214283803U (zh) 一种刷丝
KR0114700Y1 (ko) 테이퍼링형 솔이 식모된 치솔
JP3943780B2 (ja) 歯ブラシ
JPH11192246A (ja) 歯牙清掃具
CN211933033U (zh) 一种螺纹刷毛的牙刷
JP4534547B2 (ja) 口腔清掃具
JP4688344B2 (ja) 歯ブラシ
KR200303607Y1 (ko) 연성 모와 경성 모를 동시에 구비한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24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8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52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2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0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