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43559Y1 -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의자용 베이스 - Google Patents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의자용 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559Y1
KR200243559Y1 KR2020010010695U KR20010010695U KR200243559Y1 KR 200243559 Y1 KR200243559 Y1 KR 200243559Y1 KR 2020010010695 U KR2020010010695 U KR 2020010010695U KR 20010010695 U KR20010010695 U KR 20010010695U KR 200243559 Y1 KR200243559 Y1 KR 2002435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base
fixed
link
ch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종
Original Assignee
동성사무기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성사무기기(주) filed Critical 동성사무기기(주)
Priority to KR2020010010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5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5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55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이 용이하면서 좌판이 글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함과 안락감 향상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의자용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고정프레임과, 그 중앙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중앙핀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단부에는 등받이프레임의 단부가 고정되는 연장편과, 그 일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선단 내벽에 삼각링크중심핀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일부는 삼각링크핀에 의해 좌판이 고정되는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나머지 일부는 삼각링크핀을 통해 연장편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삼각링크와, 상기 연장편의 후단부에 연결링크핀을 통해 상기 베이스와 연장편을 회전가능하게 연결구속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자용 베이스의 연장편 중앙부에 다수의 고정홈을 갖는 작동부재를 형성하고 각도조절레버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고정홈 속으로 삽탈가능한 걸쇠를 구비하여 등받이의 각도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기계적 구조를 갖는 다단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고장이 적고 의자 사용환경을 크게 고양시킨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의자용 베이스{BASE FOR A CHAIR WHICH IS ADJUSTED ANGLE OF BACK OF A CHAIR}
본 고안은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이 용이하면서 좌판이 글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함과 안락감 향상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의자용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직립하는 다리에 고정 결합되는 좌판부를 형성하고 이 좌판부의 뒤쪽으로 등받이를 연장형성하도록 하여 구성되는데, 사무용 의자나 버스 및 기차 등에 설치되는 의자 그리고 가정용으로 쓰이는 대부분의 의자는 상기 좌판부 및 등받이가 통상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므로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좌판부와 등받이가 사용자의 착좌상태에 따라 유동될 수 있는 구조의 의자가 다수 제안되고 있다.
본 고안은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경향에 부응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127735호 '등받이 록킹장치와 좌판부 부상장치를 구비한 의자' 및 동 등록번호 제135183호 '등받이 조절장치가 부착된 의자용 링크기구'를 더욱 개선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것이다.
종래에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후단부에 등받이 프레임(31)의 하단이 고정결합되고, 선단부에는 삼각링크(35)의 일측과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삼각링크핀(13)이 연결설치되며, 중앙부가 고정프레임(10)의 좌우측벽에 고정되는 중앙핀(11)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링크(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리하여, 등받이 프레임(31)에 지지된 등받이가 후방으로 움직이도록 힘을 가하면 등받이 프레임(31)의 하단에 결합된 슬라이드링크(30)의 후단부가 슬라이드링크 중앙핀(1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슬라이드링크(30)에 연결링크핀(51)으로 연결구속되어 있는 연결링크(50)의 하측이 하강과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되며, 동시에 베이스(20)에 연결링크핀(52)으로 연결구속되어 있는 상기 연결링크(50)의 상측은 하강과 동시에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베이스(2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그 뒤쪽이 앞쪽보다 낮은 높이상에 위치되는 상태로 경사지게 놓이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링크(30)의 전반부는 슬라이드링크 중앙핀(11)을 중심으로 회동상승하여 슬라이드링크(30) 선단부에 삼각링크핀(14)을 통해 구속되어 있는 삼각링크(35)가 그 회전중심인 삼각링크 중심핀(12)을 중심으로 회전연동하면서 상기 베이스(20)의 선단부를 상향이동시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상기한 링크기구는 등받이 프레임(31)에 설치 지지된 등받이가 후방으로 밀릴 때 베이스(20)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과 동시에 베이스(20)의 선단부는 상승되고 후단부는 하강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한 착좌자세를 유지시켜 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등받이의 위치가 등받이 프레임(31)의 탄성에 의해 항상 원상태로 복귀되어 사람의 체형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원하는 등받이위치에서 등받이를 고정시킬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수동 다단 조작에 의해 등받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등받이의 각도조절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강하며 더욱 편안하고 안락한 의자 사용환경을 유도할 수 있는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의자용 베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은 고정프레임과, 그 중앙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중앙핀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단부에는 등받이프레임의 단부가 고정되는 연장편과, 그 일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선단 내벽에 삼각링크중심핀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일부는 삼각링크핀에 의해 좌판이 고정되는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나머지 일부는 삼각링크핀을 통해 연장편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삼각링크와, 상기 연장편의 후단부에 연결링크핀을 통해 상기 베이스와 연장편을 회전가능하게 연결구속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자용 베이스에 있어서, 상기 중앙핀과 삼각링크핀을 연결구속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중앙핀에 인접하여 삼각링크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연장편 하단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에서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다수의 치차형 고정홈을 갖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인접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배설된 각도조절레버에 의해 상기 고정홈 속으로 삽탈가능하게 배치되는 걸쇠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자용 베이스의 내부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베이스의 내부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베이스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베이스의 상부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베이스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베이스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베이스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고정프레임 130 : 중앙핀
200 : 베이스 300 : 등받이프레임
310 : 연장편 320 : 장공
330 : 연결링크 332,334 : 연결링크핀
340 : 고정브라켓 342 : 작동부재
346 : 고정홈 350 : 걸쇠
380 : 고정편 384 : 가이드홈
388 : 작동공 400 : 삼각링크
420,422 : 삼각링크핀 430 : 탄성스프링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베이스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베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베이스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따르면, 고정프레임(100)은 의자의 좌판 하단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중앙에 축공(110)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110)에는 은선으로 도시한 지지축(112)이 삽설된다.
상기 지지축(112)은 높낮이조절레버(360)에 의해 상기 축공(110) 속으로 삽입되는 길이가 용이하게 조절가능하다.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축공(110) 일측 인접위치에는 '∪'형상의 지지요홈부(12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요홈부(120)와 거리를 두고 또하나의 지지요홈부(122)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지지요홈부(120)에는 후술할 중앙핀(130)이 거치되는 바,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양측면에 상기 중앙핀(130)의 양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그 길이 일부가 상기 지지요홈부(120)에 안착되어 지지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요홈부(122)에는 상기 중앙핀(13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술할 삼각링크중심핀(410)이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양측면에 그 양단이 고정된 채 거치된다.
한편,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고정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배설된 연장편(310)을 갖는 등받이프레임(300)이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후단부, 즉 상기 지지요홈부(122)의 대향단측에 설치된다.
상기 등받이프레임(300)은 착좌시 신체의 일부, 예컨대 등이나 허리 등이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받쳐주는 등받이를 지지 고정하는 부재이다.
상기 연장편(310)은 상기 등받이프레임(300)과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그 길이를 대략 3등분하여 각각 연결링크핀(334), 중앙핀(130), 삼각링크핀(422)이 차례로 그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며 각 핀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장편(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각 핀(334,130,422)이 결합되는 부위에는 구멍이 천공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연장편(310)의 단부인 상기 삼각링크핀(422)이 결합되는 부위의 구멍은 유격을 갖도록 장공(320)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공(320)에는 삼각링크(400)를 지지하는 삼각링크핀(422)이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삼각링크(400)는 삼각링크중심핀(410)과 두개의 삼각링크핀(420,422)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삼각링크(40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삼각링크중심핀(410)과 하나의 삼각링크핀(420)의 양단은 각각 고정프레임(100)과 베이스(200)의 폭방향 양단에 고정되고 나머지 하나의 삼각링크핀(422)은 상기 연장편(310)의 선단에 형성된 장공(320)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아이들(IDLE)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삼각링크핀(420)과 중앙핀(130) 사이에는 한쌍의탄성스프링(430)이 연결되어 상기 삼각링크(400)가 탄성이동가능하게 하여준다.
한편, 연장편(310)의 중앙부 하단면에는 고정브라켓(340)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340)에는 작동부재(34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작동부재(342)에는 다수, 바람직하게는 4개의 고정홈(346)이 상하방향으로 치차형태로 형성되고, 그 전방에는 각도조절레버(370)에 의해 상기 고정홈(346) 속으로 삽탈가능한 걸쇠(350)가 구비된다.
상기 걸쇠(350)는 스프링(352)에 의해 고정프레임(100)의 바닥면에 지지고정된다.
상기 삼각링크(400)가 구비되는 고정프레임(100)의 대향단부에는 연결링크(330)가 구비되는 바, 상기 연결링크(330)는 두개의 연결링크핀(332,33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링크핀(332,334)중 하나는 베이스(200)의 양단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등받이프레임(300)과 연결된 연장편(310)을 관통하여 아이들하게 고정된다.
작동부재(342)와 걸쇠(350) 간의 결합관계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따르면, 고정프레임(10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각도조절레버(37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브라켓(340)의 고정홈(346) 전방 인접측에 위치된다.
상기 각도조절레버(370)의 단부 상하면에는 작동핀(372)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작동핀(372)의 하단에는 고정프레임(100)의 바닥면에 고정된 작동스프링(374)이 삽입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각도조절레버(370)는 자유롭게 유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작동핀(372)의 상단은 고정편(380)의 가이드홈(384)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편(380)은 상기 고정브라켓(340)의 인접상측에 서로 간섭되지 않게 설치되며 그 장변 일측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브라켓(340)의 작동부재(342)가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승하강될 수 있도록 작동홈(382)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홈(382)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가이드홈(384)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작동공(388)이 형성되는 바, 상기 가이드홈(384)에는 상기 작동핀(372)이 삽입되고 상기 작동공(388)에는 후술할 스프링(354)의 상단이 유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홈(384)의 일단에는 걸림부(386)가 형성되어 상기 작동핀(372)이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공(388)에 고정되는 스프링(354)은 걸쇠(350)의 하측에 구비되는 바, 고정프레임(100)의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축(356)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즉, 상기 스프링(354)은 상기 고정축(356)에 끼워진 후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걸쇠(350)의 걸림공(352)을 관통하여 고정편(380)의 작동공(388)에 삽입된다.
걸쇠(350)는 상기 각도조절레버(370)의 선단과 접촉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걸쇠(350)와 각도조절부재(370)의 선단은 서로 대응되어 걸림가능한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의자용 베이스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7에서와 같이, 각도조절레버(370)를 민 상태에서 등받이(B)를 뒤쪽으로젖히게 되면, 즉 '가'방향으로 밀게 되면 좌판(S)은 사선방향, 즉 '나'방향으로 글라이딩(GLIDING)되게 된다.
즉, 상기 각도조절부재(370)의 선단에 고정된 작동핀(372)의 상단은 가이드홈(384)의 걸림부(386)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386)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동시에, 스프링(354)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걸쇠(35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등받이프레임(300)이 '가'방향으로 하향이동되면 연장편(310)은 그 중앙부의 중앙핀(130)을 중심으로 그 선단이 시계방향으로 상향이동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연장편(310) 선단의 장공(320)에 유동가능하게 구속되어 있던 삼각링크핀(422)이 연동되어 시계방향으로 상향이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삼각링크핀(422)과 연결구속되어 있던 삼각링크(400)가 그 삼각링크중심핀(41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며, 동시에 또다른 삼각링크핀(420)과 연결되어 있던 탄성스프링(430)이 인장되면서 베이스(200)를 '나'방향으로 글라이딩시키게 된다.
베이스(200)의 글라이딩에 의해 상기 베이스(200)상에 고정되어 있던 좌판(S)이 이동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베이스(200)의 글라이딩을 원활하게 유도하는 연결링크(330)가 작동된다.
즉, 등받이프레임(300)의 작동에 의해 삼각링크(400)가 동작되면서 동시에 연장편(310)의 후단부를 구속하고 있던 연결링크(330)는 삼각링크(400)의 회전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향이동(후퇴)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 이르게 되면 작동부재(342)의 고정홈(346)은 상기 연장편(310)과 연동되게 되고 착좌에 편안한 상태에 이르러 위치고정을 위해 상기 각도조절레버(370)를 당기게 되면 상기 각도조절레버(370)의 선단이 걸쇠(35)를 밀게 되고 밀린 걸쇠(350)는 고정홈(346)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게 되며 동시에 작동핀(372)은 가이드홈(384)의 걸림부(386)에 걸려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은 등받이프레임(300)의 복귀과정에서 탄성스프링(430)은 그 복귀력에 조력하게 되며 삼각링크(400) 및 연결링크(330)는 초기 위치로 용이하게 복귀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착좌상태에 따라 의자 등받이(B)의 각도를 다단으로 용이하게 조절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다단, 예컨대 4단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처에 따라 다양한 단수로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구조에 있어서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대응하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등받이를 원하는 위치에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의자 사용환경을 극대화시킨 장점을 제공한다.
둘째, 등받이의 각도를 수동 다단 조절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기계식이어서 고장이 적고 비용이 저렴한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3)

  1. 고정프레임(100)과, 그 중앙부가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내부 일측에 중앙핀(130)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단부에는 등받이프레임(300)의 단부가 고정되는 연장편(310)과, 그 일부는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선단 내벽에 삼각링크중심핀(41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일부는 삼각링크핀(420)에 의해 좌판(S)이 고정되는 베이스(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나머지 일부는 삼각링크핀(422)을 통해 연장편(310)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삼각링크(400)와, 상기 연장편(310)의 후단부에 연결링크핀(332,334)을 통해 상기 베이스(200)와 연장편(310)을 회전가능하게 연결구속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링크(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자용 베이스에 있어서,
    상기 중앙핀(130)과 삼각링크핀(420)을 연결구속하는 탄성스프링(430)과;
    상기 중앙핀(130)에 인접한 위치의 연장편(310) 하단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340)에서 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다수의 치차형 고정홈(346)을 갖는 작동부재(342)와;
    상기 작동부재(342)의 인접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배설된 각도조절레버(370)에 의해 상기 고정홈(346) 속으로 삽탈되면서 쇄정 및 해정가능하게 배치되는 걸쇠(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의자용 베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342)의 인접 상측에는 고정편(38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편(380)에는 상기 각도조절부재(370)의 선단을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작동핀(372)을 임시고정하는 걸림부(386)를 갖는 가이드홈(38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의자용 베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350)는 고정프레임(100)의 바닥면에 돌설된 고정축(356)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걸쇠(350)의 걸림공(352)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편(380)의 작동공(388)에 걸림되게 설치되는 스프링(354)에 의해 탄성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의자용 베이스.
KR2020010010695U 2001-04-16 2001-04-16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의자용 베이스 Expired - Fee Related KR2002435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695U KR200243559Y1 (ko) 2001-04-16 2001-04-16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의자용 베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695U KR200243559Y1 (ko) 2001-04-16 2001-04-16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의자용 베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559Y1 true KR200243559Y1 (ko) 2001-10-11

Family

ID=73064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695U Expired - Fee Related KR200243559Y1 (ko) 2001-04-16 2001-04-16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의자용 베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5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580A (ko) * 2002-11-04 2004-05-12 허기탁 자세 교정용 사무용 의자
CN109419197A (zh) * 2017-08-30 2019-03-05 永艺家具股份有限公司 用于办公椅背座同步联动装置的锁定机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580A (ko) * 2002-11-04 2004-05-12 허기탁 자세 교정용 사무용 의자
CN109419197A (zh) * 2017-08-30 2019-03-05 永艺家具股份有限公司 用于办公椅背座同步联动装置的锁定机构
CN109419197B (zh) * 2017-08-30 2024-05-24 永艺家具股份有限公司 用于办公椅背座同步联动装置的锁定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6310B2 (ja) 幼児用椅子
CA1180655A (en) Backrest height adjustment for office chair
US7373679B2 (en) Adjustable mobility assistance device
US5509719A (en) Multi-position chair
US7475944B2 (en) Reclining and convertible seating furniture with trendelenburg feature
CA1232832A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chair backrest
US20070273191A1 (en) Angle-adjustable backrest device for a child highchair
CA2028200A1 (en) Multi-function infant car seat including glider assembly
KR20010039873A (ko) 어린이용 카시트 및 머리 받침
US6398304B1 (en) Highchair with an improved seat angle adjustment mechanism
EP1807282B1 (en) Seat slide adjustment mechanism
EP0466489B1 (en) Height-controllable chair
KR200243559Y1 (ko)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의자용 베이스
JP2003527911A (ja) 椅子を調整するための装置
JP2592766B2 (ja) 椅 子
KR200292591Y1 (ko)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
KR200243560Y1 (ko)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가스식 의자용 베이스
KR200292593Y1 (ko) 의자용 팔걸이
US20040084944A1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n infant support structure
KR200326757Y1 (ko) 자동차용 유아 안전의자의 각도조정장치
CN215456817U (zh) 儿童座椅
CN215097160U (zh) 宽度可调的椅体及儿童安全座椅
JP2569965Y2 (ja) 育児椅子
CN208640148U (zh) 一种座椅角度可调的婴幼儿餐椅
EP0382855B1 (en) Reclin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41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8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4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0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9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7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