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13616Y1 - 하접점식 원터치 커넥터 - Google Patents

하접점식 원터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616Y1
KR200213616Y1 KR2020000024855U KR20000024855U KR200213616Y1 KR 200213616 Y1 KR200213616 Y1 KR 200213616Y1 KR 2020000024855 U KR2020000024855 U KR 2020000024855U KR 20000024855 U KR20000024855 U KR 20000024855U KR 200213616 Y1 KR200213616 Y1 KR 200213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cable
pressing member
contact
housing
touch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2020000024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6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61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단순한 압압(押壓)부재의 개폐 작업에 의해 접촉 탄성부재와 플렉시블 케이블의 접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접점식 원터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플렉시블 케이블(4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90)를 갖는 하우징(60)과, 그 하우징(60) 내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90) 내에 삽입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40)의 도체 패턴과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 탄성부(20)와 상기 접촉 탄성부(20)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분기부(30)를 가지며, 상기 분기부(30)와 접촉 탄성부(20) 사이에 플렉시블 케이블(40)을 억지로 끼워 맞추기 위한 압압(押壓)부재(10)가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40)을 수용하는 수용부(90)의 개구 측단부에 자유자재로 회동되게 설치되는 원터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압압(押壓)부재(10)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40)의 상층에 구비되는 상기 접촉 탄성부(20)가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40) 방향으로 압박되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40)의 도체 표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복수의 압착용 돌기(120)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하접점식 원터치 커넥터{BOTTOM-CONTACTING ONE-TOUCH CONNECTOR}
본 고안은 하접점식 원터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압압부재의 개폐 작업에 의해 접촉 탄성부재와 플렉시블 케이블의 접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접점식 원터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터치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터치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상기 도면으로 도시한 종래 기술은 1996년 3월 5일 일본에서 발명의 명칭을 'FPC 케이블용 원터치 커넥터(특원 평8-47268)'로 하여 출원된 것으로서, 그 구성 및 동작에 대해 간단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원터치 커넥터는 하우징(2)과, 복수의 커넥터(3)와 압압(押壓)부재(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플렉시블 케이블(FPC; Flexible Printed Circuit, 4)을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커넥터(3)는 도전성 금속으로 구성되며, 플렉시블 케이블(4)의 윗면의 선단부에서 노출하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복수개의 도체패턴(도시하지 않음)과 같은 피치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각 커넥터(3)는 하우징(2)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납땜부(33), 납땜부(33)의 반대측에서 분기한 하측의 분기부(31)와 상측의 접촉 탄성부(32)등으로 구성된다. 분기부(31)의 선단에는 상측에 돌출한 계합부(제 2 계합부, 3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 탄성부(32)의 선단에는 하측에 돌출한 접점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점부(32a)는 플렉시블 케이블(4)의 도체패턴과 접촉한다,
상기 하우징(2)은 절연성 합성수지로 구성되며, 그 내측에는 플렉시블 케이블(4)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압(押壓)부재(5)는, 절연성 합성수지로 구성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측에는 하측에 돌출한 계합부(제 1 계합부, 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압(押壓)부재(5)는 하우징(2)에 구비된 수용부(21)의 개구 측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압압(押壓)부재(5)의 양측에는 회전축부(5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회전축부(51)는 하우징(2)의 양단부에서 자유자재로 회동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압압(押壓)부재(5)는 회동하도록 이루어져있다.
이상의 구성인 본 실시 예의 플렉시블 케이블용 원터치 커넥터에서의 플렉시블 케이블(4)의 접속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되었듯이 압압(押壓)부재(5)를 올린 상태에서 하우징(2)의 수용부(21) 내에 플렉시블 케이블(4)의 선단을 삽입한다. 이후, 상기 압압(押壓)부재(5)를 그 회전축부(51)의 축심(C)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동시킨다. 이 같은 회동작업은 작업자가 한 손으로 할 수 있는 것이 분명하다.
여기서 회동할 때, 압압(押壓)부재(5)의 계합부(52)는 커넥터(3)의 계합부(31a)와 접촉하고, 계속해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합부(31a)를 타고 넘는다. 또한, 이 계합부(31a)와 계합부(52)와의 계합에 의해, 압압(押壓)부재(5)가 플렉시블 케이블(4)을 커넥터(3)에 억지 끼워 맞추게 되는 도 3의 형태가 되기 이전에 작업자는 조작감촉을 느낄 수 있음과 동시에 도 3과 같이 플렉시블 케이블(4)의 윗면을 커넥터(3)에 억지로 끼워 맞춘 상태로 압압부재(5)를 계지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압압부재에 제 1 계합수단을 구비하고, 분기부에 제 2 계합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압압부재에 따라 두 계합수단을 결합시켜 플렉시블 케이블을 커넥터에 연결되도록 하는 종래 기술은 압압부재와 분기부에 계합수단을 구비하여야 함으로 정밀한 설계와 금형 작업이 뒤따라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금형과 같은 사출공정을 통해 상기 압압부재에 계합수단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분기부에 계합수단을 형성시키는 경우, 초기 디자인 형태로 상기 계합수단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플렉시블 케이블을 커넥터에 억지로 끼워 맞추기 위해 작업자가 강하게 힘을 가해야 하며, 그 반대로 결합을 해제시킬 경우 그 결합이 쉽게 해제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단순한 압압부재의 개폐 작업에 의해 접촉 탄성부재와 플렉시블 케이블의 접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접점식 원터치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원터치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원터치 커넥터에서 압압(押壓)부재를 열어 플렉시블 케이블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 원터치 커넥터에서 압압(押壓)부재를 회동시켜 닫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커넥터에서 압압(押壓)부재를 열어 플렉시블 케이블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커넥터에서 압압(押壓)부재를 회동시켜 닫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압압(押壓)부재 20 : 접촉 탄성부
30 : 분기부 40 : 플렉시블 케이블
50 : 납땜 60 : 하우징
70 : 터미널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4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90)를 갖는 하우징(60)과, 그 하우징(60) 내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90) 내에 삽입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40)의 도체 패턴과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 탄성부(20)와 상기 접촉 탄성부(20)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분기부(30)를 가지며, 상기 분기부(30)와 접촉 탄성부(20) 사이에 플렉시블 케이블(40)을 억지로 끼워 맞추기 위한 압압(押壓)부재(10)가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40)을 수용하는 수용부(90)의 개구 측단부에 자유자재로 회동되게 설치되는 원터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압압(押壓)부재(10)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40)의 상층에 구비되는 상기 접촉 탄성부(20)가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40) 방향으로 압박되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40)의 도체 표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복수의 압착용 돌기(120)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커넥터에서 압압(押壓)부재를 열어 플렉시블 케이블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커넥터에서 압압(押壓)부재를 회동시켜 닫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첨부 도면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접점식 원터치 커넥터는, 플렉시블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90)를 갖는 하우징(60)과, 그 하우징(60) 내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90) 내에 삽입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40)의 도체 패턴(도면에 미도시되어 있음)과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 탄성부(20)와 상기 접촉 탄성부(20)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분기부(30)를 가진다.
상기 분기부(30)와 접촉 탄성부(20) 사이에 플렉시블 케이블(40)을 억지로 끼워 맞추기 위한 압압(押壓)부재(10)가 회전축(80)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40)을 수용하는 수용부(90)의 개구 측단부에 자유자재로 회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압압(押壓)부재(10)는, 작업자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40)의 상층에 구비되는 상기 접촉 탄성부(20)가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40) 방향으로 압박되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40)의 도체 표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복수의 압착용 돌기(120)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압압(押壓)부재(10)의 양 측단에는 홈(100)이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홈(100)에는 상기 하우징(60)의 하부 양 측단에 형성된 체결용 돌기(110)가 구비되어 상기 압압(押壓)부재(10)가 상기 하우징(60)에 결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압(押壓)부재(10)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압착용 돌기(120)는, 복수의 접촉 탄성부(20)에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배치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0은 터미널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하접점식 원터치 커넥터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압(押壓)부재(10)를 들어올린 개방 상태에서 하우징(60)의 수용부(90) 내에 플렉시블 케이블(40)의 선단을 삽입한 후, 압압(押壓)부재(10)를 회전축(80)을 중심으로 하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압(押壓)부재(10)의 양 측단에 형성된 홈(100)에 하우징(60)의 하부 양 끝단에 형성된 체결용 돌기(110)가 체결되어 압압(押壓)부재(10)와 하우징(60)이 일체형으로 결착된다.
이때, 상기 압압(押壓)부재(10)는 상기 하우징(60)과 일체형으로 결착되기 위해 하측으로 이동되고, 상기와 같이 하측으로 이동되는 압압(押壓)부재(10)에 의해 상기 접촉 탄성부(20)가 압박 받으면서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 탄성부(20)는 하측으로 상기 압압(押壓)부재(10)가 압박하는 만큼 휘게 되어 플렉시블 케이블(40)에 구비된 도체 패턴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압압(押壓)부재(10)가 하우징(60)과 일체형으로 결착됨과 동시에 상기 접촉 탄성부(20) 또한 플렉시블 케이블(40)의 도체 패턴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작업자가 압압(押壓)부재가 하측 방향으로 압박시켜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체결되면, 상기 압압(押壓)부재는 접촉 탄성부를 압박하게 되고, 그 압박에 의해 접촉 탄성부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도체 표면에 밀착됨으로써, 작업자가 거의 힘을 들이지 않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후 확인 작업이 불필요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플렉시블 케이블(4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90)를 갖는 하우징(60)과, 그 하우징(60) 내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부(90) 내에 삽입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40)의 도체 패턴과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 탄성부(20)와 상기 접촉 탄성부(20)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분기부(30)를 가지며, 상기 분기부(30)와 접촉 탄성부(20) 사이에 플렉시블 케이블(40)을 억지로 끼워 맞추기 위한 압압(押壓)부재(10)가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40)을 수용하는 수용부(90)의 개구 측단부에 자유자재로 회동되게 설치되는 원터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압압(押壓)부재(10)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40)의 상층에 구비되는 상기 접촉 탄성부(20)가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40) 방향으로 압박되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40)의 도체 표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복수의 돌기(120)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접점식 원터치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押壓)부재(10)의 양 측단에는 홈(100)이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홈(100)에는 상기 하우징(60)의 하부 양측단에 형성된 체결용 돌기(110)가 구비되어 상기 압압(押壓)부재(10)가 상기 하우징(60)에 결착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접점식 원터치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押壓)부재(10)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돌기(120)는, 상기 복수의 접촉 탄성부(20)에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접점식 원터치 커넥터.
KR2020000024855U 2000-09-01 2000-09-01 하접점식 원터치 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200213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855U KR200213616Y1 (ko) 2000-09-01 2000-09-01 하접점식 원터치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855U KR200213616Y1 (ko) 2000-09-01 2000-09-01 하접점식 원터치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616Y1 true KR200213616Y1 (ko) 2001-02-15

Family

ID=7305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855U Expired - Fee Related KR200213616Y1 (ko) 2000-09-01 2000-09-01 하접점식 원터치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6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3262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EP0631341A1 (en) An electric device having a circuit wiring in a band
KR100490250B1 (ko) 플렉시블 평면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KR200213616Y1 (ko) 하접점식 원터치 커넥터
JPH09199241A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の中継用コネクタ
JP3118688B2 (ja)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用ワンタッチコネクタ
KR100362710B1 (ko) 차량 배선용 커넥터의 방수장치
JP2502160Y2 (ja) コネクタ
JPH0215260Y2 (ko)
KR200169593Y1 (ko) 플렉시블 프린티드 케이블(flexible printed cable)용 접속장치
JPH0218541Y2 (ko)
KR200181483Y1 (ko) 분배전반의 전력선 연결구조
US6030253A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EP1681744A1 (en) Connector
JPH0638447Y2 (ja) トップカバーのアース
JPH02865Y2 (ko)
JPH0615428Y2 (ja) コネクタ
JP2562081Y2 (ja) 印刷配線板接続装置
JPS6335492Y2 (ko)
JPH0327336Y2 (ko)
JPH0446379Y2 (ko)
JP2533098Y2 (ja) 押し嵌め式コネクタ
JP2595512Y2 (ja) コネクタ
JP2502232Y2 (ja) コネクタ
KR200225094Y1 (ko) 어스 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9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2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90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22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27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