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9764Y1 - 장애인용 식사도구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식사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764Y1
KR200209764Y1 KR2020000022893U KR20000022893U KR200209764Y1 KR 200209764 Y1 KR200209764 Y1 KR 200209764Y1 KR 2020000022893 U KR2020000022893 U KR 2020000022893U KR 20000022893 U KR20000022893 U KR 20000022893U KR 200209764 Y1 KR200209764 Y1 KR 2002097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spoon
support surface
handle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김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수 filed Critical 김명수
Priority to KR2020000022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7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764Y1/ko

Lin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장애인용 식사도구에 관한 본 고안은, 일단부에 일정간격의 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어 음식물을 들어올리는 것으로, 상기 틈새내에 단부가 삽입되어 틈새의 내측 지지면으로부터 지지력을 제공받으며 회동가능한 픽업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대해 회동한 픽업부가 회동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틈새를 조여 틈새의 내측 지지면이 픽업부 단부에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조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장애인용 식사도구는, 손잡이에 대해 숟가락부 또는 포크부를 필요한 만큼 회동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팔에 장애가 있는 사람이라도 숟가락 또는 포크를 정확한 각도로 입으로 가져갈 수 있어 혼자서도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애인용 식사도구{Gadget for eating meal for handicapped person}
본 고안은 장애인용 식사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숟가락이나 포크의 손잡이부에 대해 숟가락부나 포크부가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팔을 구부릴 수 없는 장애를 갖는 장애인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애인용 식사도구에 관한 것이다.
팔에 장애를 가져 손을 입쪽으로 가져가지 못하는 사람은 혼자힘으로 식사를 하기가 매우 힘이들어 옆에서 간호하는 사람이 식사를 보조해 주어야 한다. 또한 장애의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입의 근처까지 손을 가져갈 수 있다하더라도 팔의 관절을 이용해 숟가락이나 포크등을 정확히 입에 넣기는 힘이들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결국 상기와 같이 팔에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혼자서 식사를 하기 힘들고 그에 따라 간호하는 사람이 계속적으로 식사를 보조해주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우며 식사하는 자체가 피곤한 일이고 하나의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 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불편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손잡이에 대해 숟가락부 또는 포크부를 필요한 만큼 회동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팔에 장애가 있는 사람이라도 숟가락 또는 포크를 정확한 각도로 입으로 가져갈 수 있어 혼자서도 식사 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애인용 식사도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식사도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로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식사도구에 손잡이부와 픽업부의 연결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식사도구의 손잡이부와 픽업부의 연결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식사도구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손잡이부 12:숟가락부
14:포크부 16:포크겸숟가락부
18:조임나사 20:너트
22:관통구 24:틈새
26:관통구 28:단부
30:접시형스프링 32:홈
34:돌기 38:하부지지면
40:상부지지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단부에 일정간격의 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어 음식물을 들어올리는 것으로, 상기 틈새내에 단부가 삽입되어 틈새의 내측 지지면으로부터 지지력을 제공받으며 회동가능한 픽업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대해 회동한 픽업부가 회동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틈새를 조여 틈새의 내측 지지면이 픽업부 단부에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조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픽업부는 숟가락 또는 포크 또는 포크겸숟가락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조임수단은 손잡이부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틈새내에 삽입된 픽업부의 단부를 관통하는 조임나사와 상기 조임나사와 결합하는 너트이며, 상기 틈새의 내측 지지면과 픽업부의 단부 사이에는 탄성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틈새의 일측의 지지면과 픽업부의 단부 사이에는 탄성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틈새의 타측 지지면에는 한 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픽업부의 단부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부분 구형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식사도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식사도구는, 손잡이부(10)와, 상기 손잡이부(10)의 일단부에서 회동가능 하도록 연결된 숟가락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0)와 숟가락부(12)는 조임나사(18) 및 너트(2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조임나사(18)가 숟가락부(12)의 회동축의 역할을 한다.
상기 조임나사(18)와 너트(20)의 결합정도를 손잡이부(10)에 대해 숟가락부(12)가 외력에 의해 회동가능하고 또한 일단 회동하였으면 회동한 위치에서 머물러있을 정도로 하여 사용자가 숟가락부(12)에 힘을 가하여 필요한 각도만큼 의도적으로 회동시킨 상태로 숟가락을 사용하더라도 숟가락은 돌아가지 않고 회동한 각도에 머물러 사용자가 음식을 편리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임나사(18)와 너트(20)가 강하게 조여질수록 숟가락부(12)를 회동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모멘트가 커짐은 물론이다.
상기 손잡이부(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위이며, 그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서 당연히 변형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0)의 일단부에는 틈새(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틈새(24)는 손잡이부(10)의 일단부에 형성한 일정간격의 슬릿으로서 숟가락부(12)의 단부(28)를 내부에 수용한다.
상기 틈새(24)가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10)의 단부에는 틈새(24)를 관통하는 관통구(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숟가락부(12)의 단부(28)에도 관통구(2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틈새(24)내에 숟가락부(12)의 단부(28)를 삽입하면 관통 구(22,26)는 상호 연통하고 조임나사(18)를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틈새(24)의 양 내측면은 평평한 형상을 취하고 또한 숟가락부(12)의 단부(28)도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숟가락부(12)의 단부(28)는 틈새(24)의 양 내측면에 의해 가이드되며 안정적으로 회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임나사(18)와 너트(20)를 조여 손잡이부(10)와 숟가락부(12)를 직접 접하도록 하였지만 후술하는 바와같이 손잡이부와 숟가락부의 접촉면 사이에 탄성수단을 개재시킬 수 도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식사도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는 상기 숟가락부(12) 대신에 포크부(14)를 적용하였고, 도 3은 통상의 포크겸숟가락부(16)를 적용하였다. 상기 포크겸숟가락부(16)는 숟가락과 포크를 결합한 공지의 도구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므로 생략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식사도구에 있어서 손잡이부와 숟가락부 또는 포크부 또는 포크겸숟가락부(이하, 숟가락부)와의 결합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틈새(24)의 상부지지면(40) 및 하부지지면(38)과 숟가락부의 단부(28) 사이에는 공지의 접시형스프링(30)이 설치되어 있고, 이 상태로 틈새(24)가 조임나사(18) 및 너트(20)에 의해 조여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임나사(18) 및 너트(20)의 조임력은 접시형스프링(30)을 통해 단부(28)의 상하면에 전달된다. 결국 손잡이부(10)에 대한 숟가락부의 회동을 위한 필요 모멘트는 조임나사(18)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다.
즉, 조임나사(18)와 너트(20)를 보다 강하게 조이면 상기 접시형스프링(30)에 가해지는 힘이 강해지고 그만큼 접시형스프링(30)이 단부(28)에 제공하는 탄성력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반대로 조임나사(18)와 너트(20)의 조임정도를 상대적으로 작게하면, 접시형스프링(30)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작아지므로 보다 작은 힘으로도 숟가락부를 회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접시형스프링(30)을 복수개 적층하여 사용할 수 도 있고, 접시형스프링(30) 대신에 코일스프링을 적용할 수 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식사도구에 있어서, 손잡이부와 숟가락부와의 결합구조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틈새(24)내에 삽입된 단부(28)의 상부에는 접시형스프링(30)이 설치되어 있고 단부(28)의 하면에는 돌기(34)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틈새(24)의 하부지지면(38)에는 상기 돌기(34)를 수용하는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34)는 한 개 이상 형성되며 부분 구형의 형태를 취하여 숟가락부의 회동운동시 홈(32)의 내부로부터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홈(32)은 상기 조임나사(18)를 중심으로 삼는 원의 원주의 방향을 따라 한 개 이상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홈(32)의 개수는 돌기(34)의 개수보다 같거나 커야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단부(28)의 상부에는 접시형스프링(3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단부(28)는 틈새(24)내에서 항상 하부지지면(38)측으로 탄성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도 7에서와 같이 손잡이부(10)에 대해서 숟가락부를 회동시키면, 돌기(34)가 삽입되어 있던 홈(32)으로부터 빠지고 다음 홈(32)으로 이동하여, 숟가락부는 원하는 각도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조임나사(18)와 너트(20)의 조임을 조절하여 접시형스프링(30)이 제공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
도 6은 상기 도 5의 하부지지면과 숟가락부의 단부를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손잡이부(10)의 하부지지면(38) 중앙에는 조임나사(18)가 관통하는 관통구(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22)의 주위에 다수의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숟가락부의 단부(28) 하측면에는 상기 홈(32)에 끼워지는 다수의 돌기(3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홈(32)의 형성갯수가 많을수록 손잡이부(10)에 대한 숟가락부의 회동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식사도구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손잡이부(10)에 대해 숟가락부(12)가 조임나사(18)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하여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숟가락부(12)의 회동각도는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장애인용 식사도구는, 손잡이에 대해 숟가락부 또는 포크부를 필요한 만큼 회동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팔에 장애가 있는 사람이라도 숟가락 또는 포크를 정확한 각도로 입으로 가져갈 수 있어 혼자서도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일단부에 일정간격의 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어 음식물을 들어올리는 것으로, 상기 틈새내에 단부가 삽입되어 틈새의 내측 지지면으로부터 지지력을 제공받으며 회동가능한 픽업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대해 회동한 픽업부가 회동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틈새를 조여 틈새의 내측 지지면이 픽업부 단부에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조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식사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는 숟가락 또는 포크 또는 포크겸숟가락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식사도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수단은 손잡이부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틈새내에 삽입된 픽업부의 단부를 관통하는 조임나사와 상기 조임나사와 결합하는 너트이며,
    상기 틈새의 내측 지지면과 픽업부의 단부 사이에는 탄성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식사도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의 일측의 지지면과 픽업부의 단부 사이에는 탄성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틈새의 타측 지지면에는 한 개 이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픽업부의 단부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부분 구형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식사도구.
KR2020000022893U 2000-08-11 2000-08-11 장애인용 식사도구 KR2002097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893U KR200209764Y1 (ko) 2000-08-11 2000-08-11 장애인용 식사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893U KR200209764Y1 (ko) 2000-08-11 2000-08-11 장애인용 식사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764Y1 true KR200209764Y1 (ko) 2001-01-15

Family

ID=7308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893U KR200209764Y1 (ko) 2000-08-11 2000-08-11 장애인용 식사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76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987B1 (ko) * 2015-10-08 2017-07-05 문정욱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
KR101850686B1 (ko) * 2016-03-09 2018-04-20 윤시원 숟가락
KR200492422Y1 (ko) 2020-04-08 2020-10-13 이지인 식사도구
KR200492794Y1 (ko) 2020-03-17 2020-12-14 이지인 식사도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987B1 (ko) * 2015-10-08 2017-07-05 문정욱 척추손상 장애인용 식사보조기구
KR101850686B1 (ko) * 2016-03-09 2018-04-20 윤시원 숟가락
KR200492794Y1 (ko) 2020-03-17 2020-12-14 이지인 식사도구
KR200492422Y1 (ko) 2020-04-08 2020-10-13 이지인 식사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70595S1 (en) Assay device
USD462060S1 (en) Knurled sleeve for co-axial cable connector in open position
USD460739S1 (en) Knurled sleeve for co-axial cable connector in closed position
USD469871S1 (en) Hand held surgical instrument
USD467657S1 (en) Hand held surgical instrument
WO2001082827A3 (en) Multi-positional support device
USD488523S1 (en) Exercising device
KR200209764Y1 (ko) 장애인용 식사도구
WO2006005523A1 (en) Computer input device
USD410308S (en) Scrubbing pad
USD391454S (en) Eating Utensil
USD471400S1 (en) Tray holder with hand grips
CN112277013B (zh) 用于个人护理器具的耦接组件
USD443469S1 (en) Handle for kitchen utensils
USD482080S1 (en) Puzzle
JP2006231081A (ja) 飲食用補助具
KR20220148787A (ko) 가구용 손잡이
US12201245B2 (en) Ergonomic serving utensil with tilting receptacle
JP2002095571A (ja) 食事用スプーン類
USD451345S1 (en) Concave roasting rack with handles
USD461401S1 (en) Quick-connect mechanism
USD520058S1 (en) Writing utensil
JPH0610970Y2 (ja) 外科用メス
JP3156223U (ja) 乳幼児用・介護用スプーン
JPH044675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81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0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10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2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9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1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