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7213Y1 - 인조혈관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 장치 - Google Patents

인조혈관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213Y1
KR200207213Y1 KR2020000003148U KR20000003148U KR200207213Y1 KR 200207213 Y1 KR200207213 Y1 KR 200207213Y1 KR 2020000003148 U KR2020000003148 U KR 2020000003148U KR 20000003148 U KR20000003148 U KR 20000003148U KR 200207213 Y1 KR200207213 Y1 KR 200207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blood vessel
artificial
artificial blood
vess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스앤지바이오텍
강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스앤지바이오텍, 강성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스앤지바이오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21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522Means for mounting a stent or stent-graft onto or into a placement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61F2/96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 A61F2/9661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the proximal portion of the stent or stent-graft is released fir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61F2002/075Stent-grafts the stent being loosely attached to the graft material, e.g. by stit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rosthe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텐트 삽입 장치의 직경을 최소화 시켜 인조혈관 스텐트를 천자법을 이용하여 혈관의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별도의 지지대 없이도 인조혈관 스텐트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조혈관 스텐트를 스텐트 삽입 장치에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삽입 장치에서 빼낼 수 있도록 한 인조혈관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경과 내경이 각각 일정한 크기 이하로 형성되고, 인조혈관 스텐트의 인조혈관 본체와 제1스텐트 부재를 일정한 크기로 축소하면서 삽입하기 위한 삽입관 부재와; 상기한 삽입관 부재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스텐트 부재 보다 작은 크기로 축소될 수 있는 인조혈관 스텐트의 제2스텐트 부재를 축소하면서 삽입하며 또한 이 제2스텐트 부재를 삽입한 상태에서 제1스텐트 부재 및 인조혈관 본체를 삽입관 부재의 외측으로 밀어내기 위한 제1퓨셔부재와; 상기한 제1퓨셔부재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한 제1퓨셔부재의 내측에 삽입된 인조혈관 스텐트의 제2스텐트 부재를 삽입관 부재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인조혈관 스텐트를 혈관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제2퓨셔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조혈관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 장치{SRENT GRAFT AND STENT INSERTION APPARATUS}
본 고안은 인조혈관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스텐트 삽입 장치의 직경을 최소화 시켜 인조혈관 스텐트를 천자법을 이용하여 혈관의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별도의 지지대 없이도 인조혈관 스텐트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조혈관 스텐트를 스텐트 삽입 장치에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삽입 장치에서 빼낼 수 있도록 한 인조혈관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동맥류는 동맥이 풍선과 같이 부풀어 생기는 질환으로 혈관내 압력이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높아지면 약해진 혈관벽이 파열될 수 있으므로 매우 위험한 질환이다.
이러한 동맥류를 치료하는 방법 중에서 외과적 수술을 통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외과적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의 경우 수술을 하지 않으면서 환자에게 주는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인조혈관 스텐트가 개발되었으나 그 삽관기의 크기가 6mm 이상 크게 되므로 국소적으로 혈관을 수술적으로 개방한 후 삽입함으로 수술보다는 간편한 방법이지만 아직 국소적으로 수술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혈관이 구불 구불한 경우 설치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 천자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천자법은 국소적으로 혈관을 개방하는 수술 없이 혈관 특히, 동맥에 미세한 구멍을 뚫고, 이 구멍을 통하여 스텐트 삽관기를 동맥의 내부로 삽입하고, 이 스텐트 삽관기를 통로로 하여 인조혈관 스텐트를 동맥의 병변 부위로 설치하는 치료 방법이다.
이러한 천자법을 이용하기 위하여는 스텐트 삽관기의 내경이 예컨대, 4mm 이하로 형성되고 외경이 예컨대, 4.5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인조혈관 스텐트도 스텐트 삽관기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스텐트 삽입관으로 삽입될 때 인조혈관 스텐트가 예컨대, 삽입관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오무려지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스텐트 삽관기는 내경이 일정한 크기 이하로 형성되며 인조혈관 스텐트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관과, 상기한 삽입관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삽입관에 삽입된 인조혈관 스텐트를 밀어주기 위한 퓨셔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한 종래의 인조혈관 스텐트는 혈관의 내부로 삽입되는 인조혈관 본체와, 상기한 인조혈관 본체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인조혈관의 본체의 형상을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자체의 탄성력을 갖는 스텐트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에는 인조혈관 스텐트의 스텐트가 동일한 구조를 갖고서 인조혈관 본체와 중복되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인조혈관 스텐트를 수축하였을 때 단면적의 부피가 커지게 되며, 따라서 인조혈관 스텐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관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텐트 삽입 장치의 직경을 최소화 시켜 인조혈관 스텐트를 천자법을 이용하여 혈관의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별도의 지지대 없이도 인조혈관 스텐트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조혈관 스텐트를 스텐트 삽입 장치에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삽입 장치에서 빼낼 수 있도록 한 인조혈관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경과 내경이 각각 일정한 크기 이하로 형성되고, 인조혈관 스텐트의 인조혈관 본체와 제1스텐트 부재를 일정한 크기로 축소하면서 삽입하기 위한 삽입관 부재와; 상기한 삽입관 부재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인조혈관 스텐트의 제2스텐트 부재와 인조혈관 본체를 축소하면서 삽입하며 또한 이 제2스텐트 부재를 제1스텐트 부재 및 인조혈관과 함께 삽입관 부재의 선단부로 밀어주기 위한 제1퓨셔부재와; 상기한 제1퓨셔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유도부재 통과용 카테타가 삽입되며 상기한 제1퓨셔에 삽입된 인조혈관 스텐트의 제2스텐트 부재를 삽입관 부재의 선단부쪽으로 밀어주기 위한 제2퓨셔부재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조혈관 스텐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텐트 삽입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조혈관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인조혈관 스텐트가 삽입 장치에 일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혈관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인조혈관 스텐트가 삽입 장치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혈관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인조혈관 스텐트가 삽입 장치에서 빠져 나오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인조혈관 스텐트(1)는 임의로 휠 수 있는 유연성을 보유함과 아울러 원통형상 또는 부분 원통형상 등으로 형성되고, 혈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혈관 내부의 압력이 약해진 혈관벽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조혈관 본체(3)와;
상기한 인조혈관 본체(3)의 일단부에 일정한 구조를 갖고서 설치됨과 아울러 인조혈관 본체(3)의 형상을 지지시켜 줄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로 축소 가능하고, 일정한 크기의 팽창성을 갖는 제1스텐트 부재(5)와;
상기한 인조혈관 본체(3)의 타단부에 상기한 제1스텐트 부재(5)와 다른 구조를 갖고서 설치됨과 아울러 인조혈관 본체(3)의 형상을 지지하면서 제1스텐트 부재 (5)보다 작은 크기로 축소 가능하며, 일정한 크기의 유연성을 갖는 제2스텐트 부재(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제1스텐트 부재(5)는 인조혈관 본체(3)의 타단부에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적어도 1회 이상의 턴을 형성하고 제1연결부재(9)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되는데, 상기한 제1스텐트 부재(5)는 일정한 크기 이상의 팽창력을 보유할 수 있도록 일턴이 다른 일턴과 교차하여 메쉬 구조를 이룰 때 적어도 1회 이상 꼬임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1스텐트 부재(5)와 인조혈관 본체(3) 사이는 인조혈관 스텐트(1)를 혈관의 내부에 설치할 때 혈액이 흐를 수 있도록 제1연결부재(9)에 의하여 일정한 길이(예, 3~6m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1스텐트 부재(5)는 혈관의 내부에 천자법으로 설치 가능하게 일정한 부피로 수축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예, 0.3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한 제2스텐트 부재(7)는 인조혈관 본체(3)의 일단부에 자체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면서 유연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원주면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왕복함과 아울러 원주면을 따라서 나선상으로 감겨지면서 서로 교차하여 메쉬 구조를 형성하여 제2연결부재(11)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된다.
상기한 제2스텐트 부재(7)와 인조혈관 본체(3) 사이는 인조혈관 스텐트(1)를 혈관의 내부에 설치할 때 혈액이 흐를 수 있도록 제2연결부재(11)에 의하여 일정한 길이(예, 3~6m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2스텐트 부재(7)는 제1스텐트 부재(5) 보다 작은 부피로 축소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예, 0.25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스텐트 삽입 장치는 일정한 길이 이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외경과 내경이 각각 일정한 크기 이하로 형성되고, 인조혈관 스텐트(1)의 인조혈관 본체(3)와 제1스텐트 부재(5)를 일정한 크기로 축소하면서 삽입하기 위한 삽입관 부재(13)와;
상기한 삽입관 부재(13)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스텐트 부재(5) 보다 작은 크기로 축소될 수 있는 인조혈관 스텐트(1)의 제2스텐트 부재(7)를 축소하면서 삽입하며 또한 이 제2스텐트 부재(7)를 삽입한 상태에서 제1스텐트 부재(5) 및 인조혈관 본체(3)를 삽입관 부재(13)의 외측으로 밀어내기 위한 제1퓨셔부재(Pusher Member)(15)와;
상기한 제1퓨셔부재(15)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유도부재 통과용 카테타(17)가 삽입되며 상기한 제1퓨셔부재(15)의 내측에 삽입된 인조혈관 스텐트(1)의 제2스텐트 부재(7)를 삽입관 부재(13)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인조혈관 스텐트(1)를 혈관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제2퓨셔부재(Pusher Member)(19)를 포함한다.
상기한 삽입관 부재(13)는 혈관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인조혈관 스텐트(1)와 제1퓨셔부재(15)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외경을 4.5mm~4.7mm이하로 형성하며 또한 내경을 4mm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제1퓨셔부재(15)는 삽입관 부재(13)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2스텐트 부재(7)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외경을 3.8mm~3.9mm 이하로 형성하며 또한 내경을 3mm~3.4mm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삽입관 부재(13)와 제1퓨셔부재(15)는 인조혈관 스텐트(1)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는 테플론(Teflon) 등과 같은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한 제2퓨셔부재(19)는 제1퓨셔부재(15)의 내부에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2스텐트 부재(7)를 삽입관 부재(13)의 선단부쪽으로 용이하게 밀어줄 수 있도록 철, 강 등과 같은 금속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비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강 등과 같은 경질재를 코일상으로 감아서 형성함과 아울러 외경을 2.7mm~2.9mm 이하로 형성하며 또한 내경을 1.4mm~1.6mm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제2퓨셔부재(19)의 내부에는 이 제2퓨셔부재(19)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21)가 일정한 길이로 제공되며, 상기한 보강부재(21)는 제2퓨셔부재(19)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것이면 합성수지 또는 금속, 비금속 등 어떠한 것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상기한 유도부재 통과용 카테타(17)는 외경을 1mm~1.3mm 이하로 형성하며 또한 내경을 0.9mm~1mm 이하로 형성하고, 그 선단부에는 유도부재의 유도를 위한 팁부(23)가 유선형으로 형성되는데, 상기한 팁부(23)의 외경은 4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인조혈관 스텐트를 스텐트 삽입장치를 이용하여 혈관의 내부에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삽입관 부재(13)와 제1퓨셔부재(15)를 유도부재 통과용 카테터(17)의 외측에 삽입한 후 유도부재 통과용 카테터(17)의 일정한 위치에서 삽입관 부재(13)의 말단부와 제1퓨셔부재(15)의 선단부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하게 배치한다
그리고 인조혈관 스텐트(1)의 제2스텐트 부재(7)를 축소한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이 제2스텐트 부재(7)를 제1퓨셔부재(15)의 선단부 쪽에 삽입하고, 상기한 삽입관 부재(13)의 말단부 쪽에 인조혈관 스텐트(1)의 제1스텐트 부재(5)와 인조혈관 본체(3)를 순차적으로 축소하면서 삽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한 제1퓨셔부재(15)를 그 선단부로부터 삽입관 부재(13)의 말단부 내측으로 삽입한 후 제1퓨셔부재(15)를 삽입관 부재(13)의 내측을 따라서 삽입관 부재(13)의 선단부 쪽으로 밀어주거나 제1퓨셔부재(15)를 고정한 상태에서 삽입관 부재(13)를 제1퓨셔부재(15)의 말단부 쪽으로 밀어주면, 상기한 제1퓨셔부재(15)가 인조혈관 스텐트(1)의 인조혈관 본체(3)를 삽입관 부재(13)의 선단부로 밀어 주고 인조혈관 스텐트(1)의 제1스텐트 부재(5)가 도 4와 같이 삽입관 부재(13)의 선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삽입관 부재(13)와 제1퓨셔부재(15)의 내측에 인조혈관 스텐트(1)를 삽입한 상태에서 삽입관 부재(13)의 선단부가 유도부재 통과용 카테터(17)의 내부에 삽입되는 유도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환자의 혈관 병변 부위에 위치하게 삽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한 제1퓨셔부재(15)를 삽입관 부재(13)의 선단부까지 밀어주면 제1퓨셔부재(15)가 인조혈관 스텐트(1)의 인조혈관 본체(3)를 삽입관 부재(13)의 외측으로 밀어주므로 인조혈관 스텐트(1)의 제1스텐트 부재(5)와 인조혈관 본체(3)가 도 5와 같이 삽입관 부재(13)의 외측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
이와 아울러 상기한 제2퓨셔부재(19)를 제1퓨셔부재(15)의 말단부 내측으로부터 삽입한 후 상기한 제2퓨셔부재(19)를 삽입관 부재(13)의 선단부 외측으로 밀어주면, 상기한 제2퓨셔부재(19)가 제2스텐트 부재(7)를 제1퓨셔부재(15) 및 삽입관 부재(13)의 외측으로 밀어 주게 되고, 상기한 제2스텐트 부재(7)가 삽입관 부재(13)의 외측으로 빠져 나오게 되며, 따라서 상기한 인조혈관 스텐트(1)의 제1스텐트 부재(5), 인조혈관 본체(3), 제2스텐트 부재(7)가 혈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스텐트 삽입 장치의 직경을 최소화 시켜 인조혈관 스텐트를 천자법을 이용하여 혈관의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별도의 지지대 없이도 스텐트를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조혈관 스텐트를 스텐트 삽입 장치에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삽입 장치에서 빼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인조혈관 스텐트의 제작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임의로 휠 수 있는 유연성을 보유함과 아울러 원통형상 또는 부분 원통형상 등으로 형성되고, 혈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혈관 내부의 압력이 약해진 혈관벽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조혈관 본체와;
    상기한 인조혈관 본체의 일단부에 일정한 구조를 갖고서 설치됨과 아울러 인조혈관 본체의 형상을 지지시켜 줄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로 축소 가능하고, 일정한 크기의 팽창성을 갖는 제1스텐트 부재와;
    상기한 인조혈관 본체의 타단부에 상기한 제1스텐트 부재와 다른 구조를 갖고서 설치됨과 아울러 인조혈관 본체의 형상을 지지하면서 제1스텐트 부재 보다 작은 크기로 축소 가능하며, 일정한 크기의 유연성을 갖는 제2스텐트 부재를 포함하는 인조혈관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스텐트 부재는 인조혈관 본체의 타단부에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적어도 1회 이상의 턴을 형성하는 인조혈관 스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스텐트 부재는 일정한 크기 이상의 팽창력을 보유할 수 있도록 일턴이 다른 일턴과 교차하여 메쉬 구조를 이룰 때 적어도 1회 이상 꼬임으로 연결되는 인조혈관 스텐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스텐트 부재는 인조혈관 본체의 일단부에 자체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면서 유연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원주면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왕복함과 아울러 원주면을 따라서 나선상으로 감겨지면서 서로 교차하여 메쉬 구조를 형성하는 인조혈관 스텐트.
KR2020000003148U 2000-02-07 2000-02-07 인조혈관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0721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568A KR100354821B1 (ko) 2000-02-07 2000-02-07 인조혈관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568A Division KR100354821B1 (ko) 2000-02-07 2000-02-07 인조혈관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213Y1 true KR200207213Y1 (ko) 2000-12-15

Family

ID=196443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568A Expired - Fee Related KR100354821B1 (ko) 2000-02-07 2000-02-07 인조혈관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 장치
KR2020000003148U Expired - Fee Related KR200207213Y1 (ko) 2000-02-07 2000-02-07 인조혈관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568A Expired - Fee Related KR100354821B1 (ko) 2000-02-07 2000-02-07 인조혈관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548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022B1 (ko) 2013-06-07 2015-01-07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외관이동부가 구비된 스텐트 삽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472B1 (ko) 2006-05-16 2007-11-06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인공혈관 스텐트 삽입장치
KR100780318B1 (ko) * 2006-12-11 2007-11-28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인공혈관 스텐트 삽입장치
KR102176732B1 (ko) * 2018-08-29 2020-11-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풍선 카테터처럼 사용 가능한 스텐트 카테터
KR102230324B1 (ko) * 2019-04-30 2021-03-22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및 스텐트 매듭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1287B2 (ja) * 1991-10-18 1999-10-12 グンゼ株式会社 生体管路拡張具、その製造方法およびステント
KR100189094B1 (ko) * 1996-08-19 1999-06-01 박재형 인조혈관 스텐트
KR100241822B1 (ko) * 1998-01-07 2000-02-01 권병두 내강 확장용 스텐트
JPH10277068A (ja) * 1997-04-08 1998-10-20 Ube Ind Ltd ステント付き人工血管
AUPP083597A0 (en) * 1997-12-10 1998-01-08 William A Cook Australia Pty Ltd Endoluminal aortic stents
KR100315449B1 (ko) * 1999-02-19 2001-11-26 이수빈 스텐트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022B1 (ko) 2013-06-07 2015-01-07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외관이동부가 구비된 스텐트 삽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4821B1 (ko) 2002-10-11
KR20010077639A (ko) 200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62885B2 (ja) 人造血管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挿入装置
US5810837A (en) Device for the implantation of a self-expanding endoprosthesis
US10130347B2 (en) Hemostasis-enhancing device and method for its use
US4813925A (en) Spiral ureteral stent
US5876450A (en) Stent for draining the pancreatic and biliary ducts and instrumentation for the placement thereof
EP1959876B1 (en) A stent
EP1985244A2 (en) Interventional medical device system having a slotted section and radiopaque mark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12502746A (ja) ステント
JP2003500105A (ja) 捻れを防止するステント送達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装填し使用する方法
EP2164431A1 (en) Vascular stent and method of making vascular stent
WO2007022496A2 (en) Medical device deployment instrument
EP2745804A1 (en) Flexible stent and delivery system
KR100601969B1 (ko) 인조혈관 스텐트
EP2452718A1 (en) Insertion aid for medical devices and medical device using said insertion aid
KR200207213Y1 (ko) 인조혈관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 장치
JP4317475B2 (ja) 管状器官治療具の挿入装置
KR200312490Y1 (ko) 혈관 시술용 인공혈관 스텐트 삽입장치
JPH0213006Y2 (ko)
JP2540719Y2 (ja) カテーテル
JP2000157637A (ja) ステント及び製造法
JP2000157629A (ja) チュ―ブ及び挿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207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00081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0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2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05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0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