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79082A -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 - Google Patents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9082A
KR20020079082A KR1020010019733A KR20010019733A KR20020079082A KR 20020079082 A KR20020079082 A KR 20020079082A KR 1020010019733 A KR1020010019733 A KR 1020010019733A KR 20010019733 A KR20010019733 A KR 20010019733A KR 20020079082 A KR20020079082 A KR 20020079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head
pipe pile
head cover
reinforc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규
Original Assignee
구일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일건설(주) filed Critical 구일건설(주)
Priority to KR1020010019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9082A/ko
Publication of KR20020079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08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6Protect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공사를 위하여 연약한 지반보강을 위하여 박은 강관의 두부부분 보강을 위한 구조물을 대량생산하여 현장에서 조립 또는 용접으로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편리성과 더불어 공기의 단축과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토목공사 시 연약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박은 강관말뚝(50)의 두부(51)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강관말뚝 두부보호용 구조물(55)을 시공함에 있어서;
지면에 박힌 강관말뚝의 두부에 보강철근을 일체로 고정한 헤드커버를 씌우고, 상기 헤드커버와 강관말뚝의 두부를 용접으로 고정하여 시공하고;
상기 강관말뚝 두부보호용 구조물(55)은;
지면(53)에 박혀진 강관말뚝(50)의 두부(51)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강관말뚝(50)의 외경크기의 수용홈(56)을 가지고 구비되는 헤드커버(57)와;
상기 헤드커버(57)의 상면에는 종방향으로 띠철근(60,61)을 가지고 등간격으로 용접고정하되는 보강철근(58,59)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Structure method of head cover for steel tube file and its structure}
본 발명은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공사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연약지반에 보강을 위하여 박은 강관말뚝의 두부부분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두부보호용 구조물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토목공사는 일반국도와 고속도로 건설을 위한 도로건설, 각종 교량의 건설과 철도와 항만건설공사, 비행장건설과 해안선 보호를 위한 건설 30층 이상의 대형 고층 건축물등 다양한 종류의 공사가 있다.
이러한 공사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구축물과 건출물이 놓여질 기초공사를 하여야 하는데 지반이 암석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별도의 보강공사없이 바로 기초공사를 시행하면 된다.
그러나, 지반이 토사층이나 자갈, 사암과 같이 연약한 암반층일 경우에는 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공사를 선행한 후 기초공사를 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지반보강을 위한 공사는 강한 암반층이 나올때 까지 지반을 파들어간 후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콘크리트파일을 강한 암반층 까지 박은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과, 강관을 강한 암반층까지 박은 후 강관의 속을 채움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이 있다.
지반을 암반층이 나올때까지 파들어간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과 콘크리트파일을 박는 방법은 상당한 공사기간이 소요되고 공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과, 콘크리트파일의 경우에는 지면에 박는 과정에서 파일이 손상내지 파손됨으로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근자에 들어서는 많이 사용하지 않고 있다.
근자에 들어서는 중분한 강성을 가지고 있는 지면에 박는 과정에서 파손의 우려가 없으며, 지면에 쉽게 박을 수 있는 강관을 많이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강관은 지면에 박은 후에는 손상된 두부부분을 이정하게 절단한 후 보강구조물을 설치한 후 기초공사에 들어간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면(11)에 박혀진 강관(12)의 내부에 속채움(13)을 하고 그 상부에는 설치되는 기초와 연결할 수 있도록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종철근(14)과 띠철근(16)을 배치한다.
상기와 같이 철근(14,16)의 배치가 끝난 후 강관(12)과 철근(14,15)의 유동성을 방지하고 결속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콘크리트(17)를 타설하여 마감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이 길기 때문에 이로 인한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고, 청근의 배치작업에 상당한 시간과 연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기초공사를 위한 지면 전체에 걸쳐 조밀한 간격을 가지도록 강관을 박게되고 이러한 강관의 수가 하나의 기초공사를 위하여 작게는 수십개에서 많게는수백개에 이르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타설과 양생은 물론 철근의 배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콘크리트가 많이 소요되고 이로 인한 인력투입이 많아짐으로서 공사기간이 길어짐은 물론, 공사비가 증가하는 원인이 되는 등 요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기초공사를 위하여 연약한 지반보강을 위하여 박은 강관의 두부부분 보강을 위한 구조물을 대량생산하여 현장에서 조립 또는 용접으로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편리성과 더불어 공기의 단축과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둔다.
도 1은 종래기술이 적용된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50; 강관말뚝
51; 두부
55; 강관말뚝 두부보호용 구조물
57; 헤드커버
58,59; 보강철근
70; 체결공
71; 보강블럭
72; 볼트
74,75; 나사공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토목공사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연약지반에 보강을 위하여 기초시공을 위한 지면에 박은 강관말뚝(50)의 두부(51)부분을 보강할 수 있도록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두부보호용 구조물(55)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55)은,
지면(53)에 박혀진 강관말뚝(50)의 두부(51)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강관말뚝(50)의 외경만큼의 크기를 가지는 수용홈(56)을 형성한 헤드커버(57)를 구비한다.
상기 헤드커버(57)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보강철근(58,59)을 원형이 되도록 등간격으로 용접고정하여 헤드커버(57)와 일체가 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보강철근(58,59)의 종 방향으로는 띠철근(60,61)을 배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헤드커버(57)는 강관말뚝(50)의 두부(51)를 수용한 상태에서 용접(65)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기초 구조물을 설치할 지면(53)에 지면보강을 위하여 등간격으로 강관말뚝(50)을 박아넣고, 강관말뚝(50)의 박아넣는 작업이 완료되면 박아넣을 때 변형 또는 손상된 강관말뚝(50)의 두부부분을 균일한 치수로 절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띠철근(60,61)을 가지는 보강철근(58,59)을 용접하여 일체화한 헤드커버(57)를 강관말뚝(50)의 두부(51)에 씌우면, 헤드커버(57)의 수용홈(56)이 강관말뚝(50)의 두부(51)를 수용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강관말뚝(50)에 헤드커버(57)를 씌운 상태에서 헤드커버(57)의 하단면과 강관말뚝(50)을 용접(65)시켜 견고한 상태가 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헤드커버(57)와 강관말뚝(50)을 용접(65)으로 고정할 때에는 강관말뚝(50)의 내부에 필요에 따라 속채움(66)을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55)을 구성하는 헤드커버(57)가 강관말뚝(50)의 내경에 수용되도록 한 예이다.
상기 헤드커버(57)의 저면에는 체결공(70)을 가지는 보강블럭(71)을 더 구비하여 강관(50)의 외측에서 볼트(72)로 고정하도록 하고, 상기 헤드커버(57)의 상면에는 보강철근(58,59)를 체결할 수 있는 나사공(74,75)를 형성한 구성이다.
이 경우에는 헤드커버(57)를 강관말뚝(50)의 두부(51)에 수용시킨 후 볼트(72)를 이용하여 보강블럭(71)의 체결공(70)과 결합시켜 강관말뚝(50)과 헤드커버(57)를 결합한다.
상기 헤드커버(57)의 결합이 완료되면 헤드커버(57)의 상면에 형성된 나사공(74,75)에 보강철근(58,59)를 결합하여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55)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일반적이 기초공사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등의 작업을 거침으로서 기초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을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면서도 공사기간과 부자재를 절감함으로서 전체적인 공기의 단축과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기초공사를 위하여 연약한 지반보강을 위하여 박은 강관의 두부부분 보강을 위한 구조물을 대량생산하여 현장에서 조립 또는 용접으로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편리성과 더불어 공기의 단축과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토목공사 시 연약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박은 강관말뚝(50)의 두부(51)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강관말뚝 두부보호용 구조물(55)을 시공함에 있어서;
    지면에 박힌 강관말뚝의 두부에 보강철근을 일체로 고정한 헤드커버를 씌우고, 상기 헤드커버와 강관말뚝의 두부를 용접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의 시공방법.
  2. 토목공사 시 연약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박은 강관말뚝(50)의 두부(51)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강관말뚝 두부보호용 구조물(55)을 구성함에 있어서;
    지면(53)에 박혀진 강관말뚝(50)의 두부(51)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강관말뚝(50)의 외경크기의 수용홈(56)을 가지고 구비되는 헤드커버(57)와;
    상기 헤드커버(57)의 상면에는 종방향으로 띠철근(60,61)을 가지고 등간격으로 용접고정하되는 보강철근(58,5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커버를 강관말뚝의 내경에 삽입하여 볼트로 체결하고, 상기 보강철근은 헤드커버와 나사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의 시공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커버(57)는 강관말뚝(50)의 두부(51)를 수용한 상태에서 용접(65)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커버(57)의 저면에는 체결공(70)을 가지는 보강블럭(71)을 더 구비하여 강관(50)의 외측에서 볼트(72)로 고정하고;
    상기 헤드커버(57)의 상면에는 나사공(74,75)을 형성하여 보강철근(58,59)을 나사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
KR1020010019733A 2001-04-13 2001-04-13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 Ceased KR20020079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733A KR20020079082A (ko) 2001-04-13 2001-04-13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733A KR20020079082A (ko) 2001-04-13 2001-04-13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082A true KR20020079082A (ko) 2002-10-19

Family

ID=27700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733A Ceased KR20020079082A (ko) 2001-04-13 2001-04-13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90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018B1 (ko) * 2002-12-11 2005-03-31 (주) 대호바콘텍 콘크리트 말뚝용 헤드커버 및 그를 이용한 말뚝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510927B1 (ko) * 2002-09-16 2005-08-31 주식회사 우지스 개량 피씨 파일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6432U (ja) * 1983-08-17 1985-03-13 前田製管株式会社 コンクリ−ト杭におけるフ−テイングとの連結構造
JPS6119047U (ja) * 1984-07-11 1986-02-04 旭化成株式会社 杭頭接続装置
JPS62110344U (ko) * 1985-12-24 1987-07-14
JPS6391530U (ko) * 1985-07-09 1988-06-14
JPH04124321A (ja) * 1990-09-13 1992-04-24 Taisei Corp 杭の剛結方法
JPH1161847A (ja) * 1997-08-12 1999-03-05 Eiji Suzuki 杭頭補強用接合部材
JPH11280063A (ja) * 1998-03-27 1999-10-12 Geotop Corp 杭頭構造および杭頭金物
JP2000064274A (ja) * 1998-08-17 2000-02-29 Nippon Concrete Ind Co Ltd コンクリート杭
JP2000160576A (ja) * 1998-12-01 2000-06-13 Tenox Corp 円筒形既製杭部材の頭部接続構造
KR200189590Y1 (ko) * 2000-02-26 2000-07-15 코리아테크엔지니어링주식회사 강관 말뚝용 덮개판
JP2001011871A (ja) * 1999-06-28 2001-01-16 Masayo Tanaka 既製杭の突起式金具による杭頭端部構造
KR20010016494A (ko) * 2000-12-14 2001-03-05 홍성영 외주용접을 이용한 강관말뚝 머리부 처리용 결합구조 및그 결합구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6432U (ja) * 1983-08-17 1985-03-13 前田製管株式会社 コンクリ−ト杭におけるフ−テイングとの連結構造
JPS6119047U (ja) * 1984-07-11 1986-02-04 旭化成株式会社 杭頭接続装置
JPS6391530U (ko) * 1985-07-09 1988-06-14
JPS62110344U (ko) * 1985-12-24 1987-07-14
JPH04124321A (ja) * 1990-09-13 1992-04-24 Taisei Corp 杭の剛結方法
JPH1161847A (ja) * 1997-08-12 1999-03-05 Eiji Suzuki 杭頭補強用接合部材
JPH11280063A (ja) * 1998-03-27 1999-10-12 Geotop Corp 杭頭構造および杭頭金物
JP2000064274A (ja) * 1998-08-17 2000-02-29 Nippon Concrete Ind Co Ltd コンクリート杭
JP2000160576A (ja) * 1998-12-01 2000-06-13 Tenox Corp 円筒形既製杭部材の頭部接続構造
JP2001011871A (ja) * 1999-06-28 2001-01-16 Masayo Tanaka 既製杭の突起式金具による杭頭端部構造
KR200189590Y1 (ko) * 2000-02-26 2000-07-15 코리아테크엔지니어링주식회사 강관 말뚝용 덮개판
KR20010016494A (ko) * 2000-12-14 2001-03-05 홍성영 외주용접을 이용한 강관말뚝 머리부 처리용 결합구조 및그 결합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927B1 (ko) * 2002-09-16 2005-08-31 주식회사 우지스 개량 피씨 파일
KR100480018B1 (ko) * 2002-12-11 2005-03-31 (주) 대호바콘텍 콘크리트 말뚝용 헤드커버 및 그를 이용한 말뚝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5809B1 (ko) 흙막이용 프리캐스트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시공공법
KR100914158B1 (ko) 무지보형의 차수벽 흙막이공법
KR100936668B1 (ko) 흙막이 벽체용 합성 파일 및 그것을 이용한 원심성형방식의 흙막이 벽체
KR20110041391A (ko) 기초 공사용 지지력 보강 파일 구조체 형성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파일 구조체
KR101283672B1 (ko) 리프팅수단을 이용한 비개착 터널 시공방법
KR20140013497A (ko) 절토지 네일링 보강사면 연결 탑다운 블록식 보강토옹벽 공법
KR101864857B1 (ko) 보강 케이싱 구조를 갖는 기초말뚝 시공방법
KR100618597B1 (ko) 인너튜브와 콘크리트 오름방지장치를 사용한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90109890A (ko) 차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흙막이 벽체용 합성 phc 파일
JP2000352296A (ja) 地下構造物直下の通路の形成方法
KR10034910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을 이용한 수직구 건설 공법
KR100984040B1 (ko) 이중 보강 공법을 통한 절토용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KR100862387B1 (ko)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을 위한 긴장용 키트와이를 이용한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 방법
KR20020079082A (ko) 강관말뚝의 두부보호용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
KR101032408B1 (ko) 선 보강칼럼 및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절토용 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
JP2001329545A (ja) 橋脚基礎工法及び橋脚用床版
KR101047257B1 (ko) 복합시트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조성공법
JP2012031678A (ja) 構造物用基礎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3234833B2 (ja) 深礎型ウェル基礎の構築方法
JP3768220B2 (ja) 橋脚工法及び橋脚
KR101052641B1 (ko) 본 벽체 형성에 활용되는 흙막이 벽체용 철골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본 벽체 형성방법
KR100322623B1 (ko) 콘크리트 블록 부착용 보조장치
KR100327547B1 (ko) 가설흙막이벽을영구구조물로활용하는지하옹벽구축방법
JPH0517955A (ja) 直接基礎の施工法及び直接基礎用型枠パネル
JPS63280153A (ja) 地下躯体の逆打ち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4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10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