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31296A - 재봉틀 - Google Patents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1296A
KR20020031296A KR1020010064163A KR20010064163A KR20020031296A KR 20020031296 A KR20020031296 A KR 20020031296A KR 1020010064163 A KR1020010064163 A KR 1020010064163A KR 20010064163 A KR20010064163 A KR 20010064163A KR 20020031296 A KR20020031296 A KR 20020031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thread
needle
thread
sewing machine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도와키신지로
Original Assignee
야마오카 다께오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오카 다께오,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오카 다께오
Publication of KR20020031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129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1/00Applications of needle-thread guards; Thread-break detecto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3/00Thread- or cord-laying mechanisms; Thread fing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3/00Devices associated with the loop-taker thread, e.g. for tensioning
    • D05B63/02Loop-taker thread take-up lev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6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and for disposing of the severed thread end ; Catching or wiping devices for the severed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간단한 구성으로 첫바늘땀의 윗실의 풀어내는 양을 제한하여 윗실단을 옷감의 뒷면측으로 인출 및 실절단후에 있어 재봉바늘의 상사점 정지시에 윗실의 풀어내는 양을 제한하여 옷감을 빼낼 때 윗실이 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재봉틀 머리부(H)의 정면(HF)에 돌출하는 계지핀(5)을 배치하고, 실절단 후 재봉바늘(1)을 상사점으로 이동하기 전에 계지핀(5)을 돌출하여 천평(4)에 거는 윗실(T)을 계지한다. 또 재봉틀의 운전을 개시해도 계지핀(5)의 돌출상태를 유지하고, 천평(4)이 한번 하강한 후 상승하여 상사점으로 도달했을 때 계지핀(5)을 몰입한다.

Description

재봉틀{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윗실의 풀어내는 양을 제한할 수 있는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바느질 완성시 외관을 중시하는 관점에서 윗실의 풀어내는 양을 제한 함으로써 최초의 솔기형성시에 옷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윗실단을 옷감의 뒷면측으로 끌어내는 재봉틀이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2-186892호에 개시되고 있다.
즉 상기한 재봉틀에 있어서는 천평과 바늘 사이의 윗실을 끼워집도록 천평 아래쪽에 배치된 실끼움부재를 구비하고, 루퍼의 첨단(尖端)이 윗실루프를 붙잡았을 때 윗실을 끼워집어 바늘로의 윗실 공급을 정지하므로 그 후 루퍼의 회전에 의한 루퍼의 인출에 의해 바늘에서 뻗는 윗실단이 봉제물과 바늘판구멍을 거쳐 아래쪽으로 인출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재봉틀에서는 윗실을 끼워집기 위한 협지기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실끼움부재는 바느질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윗실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소형이며 치밀한 부품을 사용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재봉틀은 윗실을 끼워집는 구성이기 때문에 작업자는 윗실을 실끼움부재에 협지되도록 지나게 할 필요가 있어 작업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부터 누름하에서의 옷감의 취급이 쉽도록 누름의 상승량을 확보하는 것이 행해지고, 이에 따라 바늘의 상승량도 확보하는 것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재봉틀은 실절단이 행해지면 천평이 상사점에 왔을 때 정지하지만 이 대로는 바늘이 상사점 보다도 내려간 위치에 있기 때문에 그 후에 재봉틀 상축을 역회전시키고 바늘을 상승시켜 상사점으로 이동하고 있다.
그러나 재봉틀 상축을 역회전시켜 바늘을 상승시키고 상사점으로 이동하면 이번에는 천평이 내려가게 되므로 천평과 바늘 사이에서 윗실이 느슨하게 되어 이 때 실절단 종료후에 옷감을 빼내려고 하면 이 옷감과 함께 상기 느슨한 윗실을 인장하게 되어 바늘로부터 뻗는 윗실단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재봉틀에서는 이 문제점에 대한 기재는 일체 없기 때문에 당연히 윗실단이 길어지게 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첫바늘땀에 윗실의 푸는 양을 제한하여 윗실단을 옷감의 뒷면측으로 인출하는 재봉틀 및 실절단후에 있어 바늘의 상사점 정지시에 윗실의 풀어내는 양을 제한하여 옷감을 빼낼 때 윗실이 인출되지 않도록 하는 재봉틀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재봉틀 머리부 부근의 대략 정면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재봉틀 머리부의 일부 확대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지기동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임챠트.
도 5는 본 발명의 천평과 바늘 및 북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 2실시예의 계지핀의 배치 및 윗실 계지시에 있어 북타이밍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재봉틀에 있어 정지기동을 제어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재봉틀1: 바늘
2: 바늘봉3: 실안내
4: 천누름장치5: 계지핀(계지부재, 구속수단)
6: 에어실린더7: 실텐션자
10: 바늘판H: 재봉틀 머리부
B: 베드T: 윗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 청구항 1기재의 재봉틀은 윗실공급원으로부터의 윗실을 삽통하는 실통과구멍을 갖고 상하이동하는 천평과, 상기 천평에서의 윗실을 바늘구멍에 삽통하고 천평에 연동하여 상하이동하는 바늘과, 상기 바늘의 바늘구멍부근에 형성되는 루프를 거는 뾰족한 끝을 갖고 상기 바늘 및 천평에 연동하는 북을 구비하는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천평의 상하이동경로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천평의 상하이동에 의해 가로지르는 윗실횡단경로상에 있어서 이 윗실보다도 아래쪽으로 진퇴가능하게 배치되고, 진출시에 윗실을 포착함과 동시에 후퇴시에 이 포착을 해제하는 계지부재와, 상기 계지부재를 진퇴하는 구동수단과, 재봉틀 기동시에 첫바늘땀에 있어서 상기 북의 뾰족한 끝이 루프를 포착하기 전에 상기 계지부재를 진출하도록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첫바늘땀에 있어서 바늘의 뾰족한 끝이 루프를 걸기 전에 제어수단이 구동수단에 의해 계지부재를 진출하여 계지부재의 윗면에서 윗실을 포착하여 윗실의 바늘로의 공급이 제한된다. 뾰족한 끝으로 건 루프에 북을 묶도록 루프가 펼쳐질 때 윗실이 인장되지만 이 때 바늘의 천평측 윗실은 공급이 제한되고 있기 때문에 단측의 윗실이 인장되어 윗실단측이 옷감 아래쪽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첫바늘땀에 있어 윗실단의 옷감 아래쪽으로의 인출을 계지부재를 진퇴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또 계지부재는 윗실을 걸기만 하기 때문에 윗실을 실끼움부재에 통과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성이 좋다.
또 청구항 2에 기재한 재봉틀은 청구항 1기재의 재봉틀에 있어서 계지부재가 천평상사점 근방에서 윗실을 계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계지부재가 천평상사점 근방에서 윗실을 계지하므로 첫바늘땀에 있어 바늘로의 윗실공급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있다.
따라서 윗실단을 확실하게 옷감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에 기재한 재봉틀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재봉틀에 있어서 계지부재가 윗실공급원측에서 윗실을 계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이다.
이에 따라 계지부재가 윗실공급원측에서 윗실을 계지하므로 바늘측에서 계지한 경우와 같이 천평의 하강에 따라 바늘측의 윗실이 인장되어 버리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바늘의 바늘구멍에서 윗실단이 빠지게 되는 경우가 없어 작업자의 실통과에 의한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 청구항 4에 기재한 재봉틀은 윗실공급원으로부터의 윗실을 삽통하는 실통과구멍을 갖고 상하이동하는 천평과, 상기 천평으로부터의 윗실을 바늘구멍에 삽통하고 천평에 연동하여 상하이동하는 바늘을 구비하고, 실절단후 천평이 대략 상사점에서 정지하고, 그 후 상기 바늘을 상사점으로 되돌리는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바늘과 윗실공급원 사이에 배치되어 윗실을 구속하는 구속수단과, 상기 구속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실절단된 옷감을 바늘아래쪽으로부터 빼내기 전에 상기 구속수단이 윗실을 구속하도록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실절단된 옷감을 바늘아래쪽에서 빼내기 전에 제어수단이 구동수단에 의해 구속수단을 구동하여 윗실의 바늘로의 공급이 제한된다.
따라서 옷감을 바늘아래쪽으로부터 빼낼 때 함께 윗실이 인장되어 버리는 경우가 없어 실에 남는 윗실길이를 최적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5에 기재한 재봉틀은 청구항 4에 기재한 재봉틀에 있어서 구속수단이 상기 천평의 상하이동 경로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천평의 상하이동에 의해 가로지르는 윗실횡단경로상에 있어서 이 윗실보다도 아래쪽으로 진퇴가능하게 배치되며, 진출시에 윗실을 포착함과 동시에 후퇴시에 이 포착을 해제하는 계지부재로서, 구동수단이 계지부재를 진퇴하고, 제어수단이 실절단된 옷감을 바늘아래쪽에서 빼내기 전에 계지부재를 진출하여 윗실을 포착하도록 구동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천평상사점 근방에 있어 계지부재가 진출함으로써 그 윗면에서 윗실을 포착계지하고 있기 때문에 윗실의 바늘로의 공급이 억제되어 옷감을 바늘아래쪽에서 빼낼 때 함께 윗실이 인장되어버리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옷감을 빼낼 때에 있어 윗실의 인장방지를 계지부재의 진퇴라는 간단한 구성으로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원가를 낮게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6기재의 재봉틀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기재한 재봉틀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천평이 정지하고 있을 때 구동수단에 의해 계지부재를 진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계지부재가 진출할 때 천평은 정지하고 있고 윗실은 정지상태에 있기 때문에 계지부재는 윗실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 오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계지부재의 윗면에서 윗실을 확실하게 계지할 수 있다.
또 청구항 7에 기재한 재봉틀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기재한 재봉틀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천평이 계지부재 보다도 대략 위쪽으로 위치했을 때 구동수단에 의해 계지부재를 후퇴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계지부재가 후퇴할 때 천평은 계지부재보다도 대략 위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윗실은 느슨해지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느슨한 윗실이 천평주변의 부품 또는 천평자체에 엉켜버리게 되는 경우가 없다.
< 제 1실시예 >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재봉틀(100)은 봉제하는 옷감이 놓여지는 베드부(B)와 이 베드부(B)위쪽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재봉틀 머리부(H)를 갖고,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바늘(1)은 재봉틀 머리부(H) 안쪽에 배치된 재봉틀 상축(도시하지 않음)에 연동하여 상하이동하는 바늘봉(2)에 상단부를 고정하고, 아래쪽부분에 윗실(T)을 삽통하는 바늘구멍(1a)을 갖고 있다. 재봉틀 머리부(H)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나오는 턱부(HA)의 하단에 배치된 실안내부(3)는 윗실(T)을 바늘(1)로 안내한다.
재봉틀 머리부(H)의 정면부(HF)에는 실안내부(3) 위쪽 또는 도 1오른쪽의 위치에 수직으로 장공(H1)이 형성된다. 천평(4)은 선단을 장공(H1)에서 재봉틀 머리부(H)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재봉틀 상축에 연동하여 장공(H1)을 따라 상하로 요동한다. 그 천평(4)의 선단에는 도 1의 좌우방향(장공(H1)에 대한 직교방향)으로 연동하도록 실통과구멍(4a)이 형성되고, 이 실통과구멍(4a)에 윗실(T)이 삽통된다. 도1과 같이 천평(4)은 최상점(상사점)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계지핀(5) 및 계지핀(5)을 포함하는 계지장치(구속장치)(K)전체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와 같이 계지핀(5)은 천평(4)의 실끼움목 또는 천평 상사점에서 약간 아래쪽에 있어 천평(4)의 상하이동경로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천평(4)의 요동방향과의 직교방향을 따라 미끄럼이동이 자유롭도록 정면부(HF)와 배면부(HR)에 관통하여 지지되고 있다. 계지핀(5)의 기단은 배면부(HR)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하여 에어실린더(6)의 로드(6a)에 연결되고 있다. 또 기단부근에 고정된 좌금(5a)과 배면(HR)사이에는 복귀스프링(5b)이 배치되고, 그 스프링력에 의해 좌금(5a)을 통해 계지핀(5)은 평상시에는 뒤쪽(도 2오른쪽)으로 부세되고 있다.
실계지핀(5)이 계지부재 및 구속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 윗실공급원으로서의 실끼움목(도시하지 않음)이 재봉틀 머리부(H)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에어실린더(6)에 공기가 공급되어 로드(6a)가 왼쪽으로 진출하면 계지핀(5)이 복귀스프링(5b)에 맞서 왼쪽으로 이동하고, 그 선단부를 정면부(HF)로부터 천평(4)의 실통과구멍(4a)을 넘은 위치까지 진출하여 도 2와 같이 돌출한 상태가 된다. 이 돌출시에 계지핀(5)은 도 1과 같이 천평(4)의 실통과구멍(4a)과 후술하는 실텐션자(7)에 걸쳐진 윗실(T)이 천평(4)의 상하요동에 의해 가로지르는 횡단경로상에 있어서 상사점의 천평(4)에 걸리는 윗실(T)보다도 아래쪽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에어실린더(6)로의 에어공급을 정지하면 복귀스프링(5b)이 좌금(5a)을 도 2오른쪽으로 압착하고, 계지핀(5)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선단부를 후퇴하며, 계지핀(5)의 선단부가 정면부(HF)와 동일면의 위치까지 후퇴한다.
여기서 천평복귀스프링(5b)과 에어실린더(6)에 의해 구동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계지핀(5)이 진출한 상태에 있다.
실텐션자(7)는 장공(H1)의 우측 또는 아래쪽에 배치되고, 윗실공급원으로서의 실끼움목으로부터의 윗실(T)을 천평(4)으로 안내하고 있다. 실텐션자(7)는 실텐션접시(7a)(7b)사이에 윗실(T)을 끼워집어 윗실(T)에 대해 소정의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베드부(B)에 배치된 바늘판(10)은 바늘(1)이 지나는 바늘판구멍(10a)을 갖는다.
또 베드부(B)에는 북(11)도 상축에 연결되어 구동되고 바늘판(10)아래쪽에서 바늘(1)과의 협동에 의해 솔기를 형성하는 북(11)(도 5참조)이 배치된다. 따라서 바늘(1), 천평(4) 및 북(11)은 각각 연동관계에 있다.
베드부(B)내의 바늘판 아래쪽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실절단 구동원(16)(도 3참조)에 의해 구동되는 실절단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봉제종료 후 윗실 및 밑실을 절단하도록 되어있다.
다음 제어블록을 도 3을 기초로 설명한다.
부호 12는 제어수단으로 봉제동작에 필요한 제어프로그램이나 제어데이터를 기억하는 ROM과, 다시 써넣을 수 있도록 한 데이터 및 일시적으로 기억해 두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과, 상기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에 의해 구성된다.
부호 13은 예를들면 재봉틀 테이블 등에 배치된 누름보턴(도시하지 않음)을압착함으로써 스타트신호를 발생하는 스타트스위치로서, 제어수단(12)의 CPU가 스타트스위치(13)로부터의 스타트신호를 입력하면 봉제동작을 스타트한다.
부호 E는 예를들면 상축에 접속된 로터리 엔코더에 의해 구성하는 바늘위치 검출수단으로 제어수단(12)의 CPU가 바늘위치 검출수단으로부터 상축의 회전위치에 대응한 회전위치신호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예를들면 상축과 연동하는 바늘봉(2)의 상하위치 또는 천평(4) 상사점에 대응하는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에어실린더(6)는 전자밸브(14)를 통해 제어수단(12)에 접속되고 제어수단(12)이 전자밸브(14)를 개폐함으로써 에어실린더(6)로의 에어공급원으로부터의 에어의 공급을 제어하고 있다.
재봉틀 모터(M)는 드라이버(15)를 통해 제어수단(12)에 접속되고, 제어수단(12)이 드라이버(15)를 통해 재봉틀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고 있다.
부호 16은 실절단 구동원으로 드라이버(17)를 통해 제어수단(12)에 접속되고, 제어수단(12)이 드라이버(15)를 통해 실절단 구동원의 구동을 제어하고 있다.
다음 도 4, 도 5, 도 7에 의해 작용을 설명한다.
상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바늘봉(2)과 천평(4)은 도 4와 같은 위상관계로 동작한다. 또한 도 5는 도 4중 (a)~(e)에 대응하여 천평과 바늘과 북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페달 등의 조작에 의해 실절단 지령이 발생하면(스텝 S1), 도 4에 도시하는 봉제종료시에 있어 실절단 구간안에 제어수단(12)의 제어를 기초로 실절단 구동원(16)이 구동되어 천밑에서 윗실(T) 및 밑실의 실절단이 행해진다(스텝 S2).이 실절단후에는 절단된 윗실(T)의 바늘(1)에 이어지는 측의 실단이 옷감을 관통한 상태로 남아있다.
또 제어수단(12)은 실절단 종료후에 바늘위치 검출수단(E)에 의해 천평상사점에 대응하는 바늘봉 위치가 검출되면(스텝 S33), 재봉틀 모터(M)를 정지하여 재봉틀의 운전이 정지되고(스텝 S4), 바늘봉(2)과 천평(4)은 도 5(b)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그 후 에어실린더(6)가 구동되어 계지핀(5)을 진출시키고(스텝 S5), 도 5(b)와 같이 계지핀(5) 선단은 천평(4)에 걸리는 윗실(T)의 바로 아래로 이동한다. 이 때 천평(4)은 정지하고 있기 때문에 계지핀(5)을 확실하게 윗실(T)의 바로 밑으로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윗실(T)은 계지핀(5)에 포착된 계지상태가 된다.
다음 제어수단(12)은 도 4와 같이 역전구간에서 재봉틀 모터(M), 즉 상축을 역회전하여 바늘봉(2)을 상승시키고(스텝 S6), 바늘위치 검출수단(E)에 의해 바늘봉(2)이 상사점에 위치하는 것이 검출되면(스텝 S7), 재봉틀 모터(M)를 정지한다(스텝 S8). 이에 따라 도 5(a)와 같이 바늘봉(2)의 정지위치가 상사점이 되므로 옷감 취급이 쉬워지게 된다. 그 후 스타트스위치(13)가 눌릴 때 까지의 정지구간 중 바늘(1)아래쪽 위치로부터 옷감이 빠지지만 윗실(T)은 계지핀(5)으로 굴곡적항 또는 마찰저항이 부여되어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므로 빠지는 옷감과 함께 윗실(T)이 인장되어 버리는 경우가 없어 윗실(T)은 옷감에서 바로 빠져나와 바늘(1)에 남는 윗실길이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그 후 스타트스위치(13)가 눌리면 제어수단(12)으로 스타트신호가 출력되고(스텝 S9), 제어수단(12)은 드라이버(15)를 통한 재봉틀 모터(M)의 구동을 포함하는 재봉틀의 운전을 개시하여 운전구간으로 이행한다(스텝 S10).
즉 운전이 개시되면 바늘(1)은 하강함과 동시에 천평(4)은 상사점으로 상승하고, 도 5(b)의 상태로 복귀하고나서 바늘(1)의 선단은 옷감을 관통한다. 그 후 도 5(c)와 같이 천평(4)은 하강함과 동시에 바늘(1)은 하사점에 도달한다. 이 동안 윗실(T)은 계지핀(5)에 포착되고 있기 때문에 윗실은 천평(4)이 하강해도 느슨해지지 않고 팽팽한 상태로 유지된다. 먼저 실절단에 의해 절단된 절단단인 윗실단(TE)은 바늘(1)이 하사점에 이르렀을 때도 옷감위에 위치한다.
계속해서 바늘(1)이 하사점으로부터 상승하기 시작하고, 도 5(d)와 같이 바늘(1)의 루프(L)에 북(11)의 뾰족한 끝(11a)이 돌입한다. 그리고나서 다시 북(11)이 회전함에 따라 도 5(e)와 같이 북(11)이 루프(L)안을 묶도록 루프(L)는 점점 펼쳐지지만 이 동안도 윗실(T)은 계지핀(5)에 포착되므로 바늘(1)에 이어지는 측의 윗실(T)은 인출되지 않고 윗실단(TE)에 이어지는 측의 윗실(T)이 인장된다. 이 때문에 루프(L)의 확대와 함께 윗실단(TE)은 옷감의 아래쪽(뒤쪽)으로 인출된다. 또한 도 5(e)에서는 도 5(d)의 상태로부터 바늘(1)이 상승함과 동시에 천평(4)이 하사점에 도달한 타이밍으로 윗실단(TE)이 옷감에서 인출된 도면을 도시하고 있지만 타이밍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5(d)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이 뾰족한 끝(11a)이 루프(L)를 걸고나서 북(11)이 루프(L)안을 묶도록 루프(L)를 다 펼칠 동안 인출할 수 있다.
그 후 도 5(a)와 같이 다시 바늘(1)은 상사점으로 이동하고, 다시 도 5(b)와같이 천평(4)이 상사점으로 이동하며, 바늘위치 검출수단(E)에 의해 스타트신호 발생후 2회째의 천평상사점에 대응한 바늘봉 위치가 검출되면 즉 천평상사점에 대응한 바늘위치 검지수단(E)의 검지신호(n)가 n=2가 될 때(스텝 S11), 에어실린더(6)의 에어가 빠져 스프링(5b)의 작용에 의해 계지핀(5)이 후퇴한다(스텝 S12). 이와같이 계지핀(5)의 후퇴를 천평(4)이 상사점으로 이동했을 때 행하고 있기 때문에 계지핀(5) 후퇴후의 윗실(T)이 느슨해 지지 않고 느슨한 윗실(T)이 천평주변의 부품에 걸리게 되는 경우가 없다.
그리고 계지핀(5)이 후퇴한 후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봉제가 행해지고 실절단 후 다시 상기와 같이 계지핀(5)을 진출하여 바늘봉(2) 상사점에서 재봉틀을 정지하고, 스타트스위치(13)의 압착을 기다린다.
제 1실시예의 재봉틀은, 계지핀(5)은 선단이 정면부(HF)와 동일면 까지 후퇴하므로 계지핀(5)이 후퇴한 후는 윗실(T)에 접촉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윗실에 접촉하는 것에 의한 장력의 발생이나 윗실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실시예의 재봉틀은 계지핀(5)을 1회 진퇴동작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실절단 후 옷감을 빼낼 때 윗실의 인출방지 및 봉제시작의 첫바늘땀에 있어 윗실의 인출방지라는 2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2실시예>
제 2실시예를 도 6을 기초로 설명한다. 제 2실시예는 계지장치(K)의 배치위치가 다를 뿐으로 그 외의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6과 같이 계지핀(5)이 장홈(H1)에 대해 실끼움목과는 반대의 바늘측 또는 장홈(H1)의 상하방향 대략 중앙부근에 배치되고 있다.
계지핀(5)의 배치위치는 도 6과 같이 북(11)의 뾰족한 끝(11a)이 루프(L)를 걸 때 천평(4)이 위치하는 상하방향위치보다도 약간 아래쪽에 위치함과 동시에 계지핀(5)이 진출상태가 되었을 때 그 선단부가 천평(4)에 거는 윗실(T)의 바로 밑으로 들어가는 위치이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봉제개시후 천평(4)이 하강해 와서 계지핀(5)의 오른쪽 위에 위치했을 때 계지핀(5)을 진출하여 윗실(T)의 바로 밑으로 넣어지고, 계지핀(5)에 윗실(T)이 포착되어 계지상태가 된다. 이 때 북(11)은 뾰족한 끝(11a)에 의해 루프(L)를 걸고 있다. 그 후 북(11)은 계속해서 회전하여 루프(L)내를 묶도록 루프(L)를 펼치지만 윗실(T)은 계지핀(5)의 윗면에서 계지되고 있기 때문에 바늘(1)측의 실은 인장되지 않고 실단측의 실을 인장하여 윗실단(TE)을 옷감 및 바늘판구멍(10a)의 아래쪽으로 인출할 수 있다.
제 2실시예에서는 계지핀(5)을 진출하는 타이밍을 천평(4)이 계지핀(5)의 오른쪽 위에 위치했을 때로 하고 있지만 이 타이밍에 한정되지 않고 진출한 계지핀(5)이 천평(4)에 걸리는 윗실(T)의 아래쪽으로 들어가는 타이밍이면 된다.
계지핀의 상하위치를 제 1실시예에서는 천평상사점 부근으로 하고, 제 2실시예에서는 장홈 중앙부근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북끝에 뾰족한 부분이 루프를 걸때까지 진출한 계지핀이 천평에 거는 윗실의 아래쪽으로 넣는 위치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실시예에 있어 계지핀의 위치를 상한으로 하고, 제 2실시예에 있어 계지핀의 위치를 하한으로 한 영역이면 된다. 계지핀이 위쪽에 있는 경우는 빠른 단계에서 윗실을 계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늘로의 윗실 공급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윗실단을 확실하게 옷감 아래쪽으로 인출할 수 있다.
또 계지핀의 천평에 대한 좌우위치를 제 1실시예에서는 실끼움목측으로 하고, 제 2실시예에서는 바늘측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계지핀이 실끼움목측에 있으면 천평의 하강에 의해 실끼움목으로부터 다소 윗실이 인출되고, 이에 대해 바늘측에 있으면 대부분 인출되는 경우가 없거나 또는 역으로 바늘측의 실을 인입하게 되는 것에 관계된다. 즉 제 1실시예와 같이 계지핀이 위쪽에 있는 경우 윗실을 계지한 상태에서 바늘이 하강하므로 이 때 윗실이 인출되지 않도록 하면 바늘의 바늘구멍에서 윗실이 빠져버리게 되므로 이 경우에는 계지핀을 실끼움목측에 배치함으로써 바늘로부터의 윗실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 2실시예와 같이 계지핀이 아래쪽에 있을 경우 계지핀이 윗실을 계지하고나서 바로, 건 루프를 북둘레로 묶도록 펼치는 것으로 윗실단을 인장하려고 하기 때문에 이 때 천평측으로부터 윗실이 인출되어 버리면 윗실단을 인장하지 않게 되므로 이 경우에는 계지핀을 바늘측에 배치함으로써 윗실단을 확실하게 인장할 수 있다. 따라서 바늘이 하사점 부근에 달하기 전에 윗실을 계지할 경우에는 계지핀을 실끼움목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늘이 하사점 부근에 달하고 나서 계지할 경우에는 계지핀을 바늘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실절단 후 바늘을 상사점으로 이동하여 정지하므로 옷감을 바늘아래쪽에서 빼낼 때 윗실이 인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의 변형예로서는 일본국 특개소 62-186892호와 같이 실끼움부재를 천평아래쪽 또는 천평과 바늘 사이에 배치하고, 실절단 후 실끼움부재를 구동하고 윗실을 협지하여 구속하며, 윗실이 바늘측으로 인출되지 않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실끼움부재가 구속수단을 구성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첫째,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재봉틀 기동시에 첫바늘땀에서 북의 뾰족한 끝이 루프를 포착하기 전에 계지부재를 진출하도록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첫바늘땀에서 바늘의 뾰족한 끝이 루프를 걸기 전에 제어수단이 구동수단에 의해 계지부재를 진출하여 계지부재의 윗면에서 윗실을 포착하여 윗실의 바늘로의 공급이 제한된다. 뾰족한 끝으로 건 루프에 북을 묶도록 루프가 펼쳐질 때 윗실이 인장되지만 이 때 바늘의 천평측 윗실은 공급이 제한되고 있기 때문에 단측의 윗실이 인장되어 윗실단측이 옷감 아래쪽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첫바늘땀에서 윗실단의 옷감 아래쪽으로의 인출을 계지부재를 진퇴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또 계지부재는 윗실을 걸기만 하기 때문에 윗실을 실끼움부재에 통과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성이 좋다.
둘째, 재봉틀에서 계지부재가 천평상사점 근방에서 윗실을 계지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계지부재가 천평상사점 근방에서 윗실을 계지하므로 첫바늘땀에서 바늘로의 윗실공급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있다. 따라서 윗실단을 확실하게 옷감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다.
셋째, 계지부재가 윗실공급원측에서 윗실을 계지하므로 바늘측에서 계지한 경우와 같이 천평의 하강에 따라 바늘측의 윗실이 인장되어 버리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바늘의 바늘구멍에서 윗실단이 빠지게 되는 경우가 없어 작업자의 실통과에 의한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넷째,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윗실공급원으로부터의 윗실을 삽통하는 실통과구멍을 갖고 상하이동하는 천평과, 상기 천평으로부터의 윗실을 바늘구멍에 삽통하고 천평에 연동하여 상하이동하는 바늘을 구비하고, 실절단후 천평이 대략 상사점에서 정지하고, 그 후 상기 바늘을 상사점으로 되돌리는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바늘과 윗실공급원 사이에 배치되어 윗실을 구속하는 구속수단과, 상기 구속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실절단된 옷감을 바늘아래쪽으로부터 빼내기 전에 상기 구속수단이 윗실을 구속하도록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절단된 옷감을 바늘아래쪽에서 빼내기 전에 제어수단이 구동수단에 의해 구속수단을 구동하여 윗실의 바늘로의 공급이 제한된다. 따라서 옷감을 바늘아래쪽으로부터 빼낼 때 함께 윗실이 인장되어 버리는 경우가 없어 실에 남는 윗실길이를 최적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섯째, 또다른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구속수단이 상기 천평의 상하이동 경로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천평의 상하이동에 의해 가로지르는 윗실횡단경로상에서 이 윗실보다도 아래쪽으로 진퇴가능하게 배치되며, 진출시에 윗실을 포착함과 동시에 후퇴시에 이 포착을 해제하는 계지부재로서, 구동수단이 계지부재를 진퇴하고, 제어수단이 실절단된 옷감을 바늘아래쪽에서 빼내기 전에 계지부재를 진출하여윗실을 포착하도록 구동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천평상사점 근방에 있어 계지부재가 진출함으로써 그 윗면에서 윗실을 포착계지하고 있기 때문에 윗실의 바늘로의 공급이 억제되어 옷감을 바늘아래쪽에서 빼낼 때 함께 윗실이 인장되어버리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옷감을 빼낼 때에 있어 윗실의 인장방지를 계지부재의 진퇴라는 간단한 구성으로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원가를 낮게 할 수 있다.
여섯째, 또 다른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계지부재가 진출할 때 천평은 정지하고 있고 윗실은 정지상태에 있기 때문에 계지부재는 윗실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 오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계지부재의 윗면에서 윗실을 확실하게 계지할 수 있다.
일곱째, 또 다른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제어수단은 천평이 계지부재 보다도 대략 위쪽으로 위치했을 때 구동수단에 의해 계지부재를 후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지부재가 후퇴할 때 천평은 계지부재보다도 대략 위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윗실은 느슨해지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느슨한 윗실이 천평주변의 부품 또는 천평자체에 엉켜버리게 되는 경우가 없다.

Claims (7)

  1. 윗실공급원으로부터의 윗실을 삽통하는 실통과구멍을 갖고 재봉틀축에 연동하여 상하이동하는 천평과,
    상기 천평으로부터의 윗실을 바늘구멍에 삽통하고 재봉틀축에 연동하여 상하이동하는 바늘과,
    상기 바늘의 바늘구멍 부근에 형성되는 루프를 거는 뾰족한 끝을 갖고 상기 바늘 및 천평에 연동하는 북을 구비하는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천평의 상하이동 경로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천평의 상하이동에 의해 가로지르는 윗실횡단경로상에서 이 윗실보다도 아래쪽으로 진퇴가능하게 배치되며, 진출시에 윗실을 포착함과 동시에 후퇴시에 이 포착을 해제하는 계지부재와,
    상기 계지부재를 진퇴하는 구동수단과,
    재봉틀 기동시에 첫바늘땀에 있어 상기 북의 뾰족한 끝이 루프를 포착하기 전에 상기 계지부재를 진출하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재가 천평상사점 근방에서 윗실을 계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재가 윗실공급원측에서 윗실을 계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4. 윗실공급원으로부터의 윗실을 삽통하는 실통과구멍을 갖고 상하이동하는 천평과,
    상기 천평으로부터의 윗실을 바늘구멍에 삽통하고 천평에 연동하여 상하이동하는 바늘을 구비하고, 실절단후 천평이 대략 상사점으로부터 정지하고 그 후 상기 바늘을 상사점으로 되돌리는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바늘과 윗실공급원 사이에 배치되어 윗실을 구속하는 구속수단과,
    상기 구속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실절단된 옷감을 바늘 아래쪽으로부터 빼내기 전에 상기 구속수단이 윗실을 구속하도록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이 상기 천평의 상하이동경로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천평의 상하이동에 의해 가로지르는 윗실횡단경로상에 있어서 이 윗실보다도 아래쪽으로 진퇴가능하게 배치되며, 진출시에 윗실을 포착함과 동시에 후퇴시에 이 포착을 해제하는 계지부재로서,
    상기 구동수단이,
    상기 계지부재를 진퇴하고,
    제어수단이,
    실절단된 옷감을 바늘 아래쪽으로부터 빼내기 전에 계지부재를 진출하여 윗실을 포착하도록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재봉틀.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천평이 계지부재보다 위쪽에 정지하고 있을 때 구동수단에 의해 계지부재를 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7.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천평이 계지부재보다도 대략 위쪽에 위치했을 때 구동수단에 의해 계지부재를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KR1020010064163A 2000-10-23 2001-10-18 재봉틀 KR200200312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22050A JP2002126387A (ja) 2000-10-23 2000-10-23 ミシン
JPJP-P-2000-00322050 2000-10-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296A true KR20020031296A (ko) 2002-05-01

Family

ID=18799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163A KR20020031296A (ko) 2000-10-23 2001-10-18 재봉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2126387A (ko)
KR (1) KR20020031296A (ko)
CN (1) CN1350083A (ko)
CZ (1) CZ20013795A3 (ko)
TW (1) TW5541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8148A (ja) * 2007-07-25 2009-02-12 Juki Corp ミシン
JP2013220262A (ja) * 2012-04-18 2013-10-28 Brother Ind Ltd ミシン
JP6995474B2 (ja) * 2016-12-19 2022-01-14 株式会社ジャノメ ミシン
JP6998665B2 (ja) * 2017-03-24 2022-01-18 株式会社ジャノメ 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20013795A3 (cs) 2003-05-14
JP2002126387A (ja) 2002-05-08
TW554111B (en) 2003-09-21
CN1350083A (zh) 200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2936B1 (ko) 솔기의 풀림 방지 장치 및 풀림 방지 방법
JP5494598B2 (ja) 縫目のほつれ止め方法、縫目のほつれ止め装置及び縫目構造
KR101955279B1 (ko) 솔기 풀림 방지 장치를 가진 이중 체인 스티치 재봉틀
KR101965646B1 (ko) 이중 체인 스티치의 솔기의 풀림 방지 방법, 이중 체인 스티치 재봉틀의 솔기의 풀림 방지 장치 및 이중 체인 스티치의 솔기 구조
KR20080045071A (ko) 재봉기
JP5618241B2 (ja) 縫目のほつれ止め方法及び縫目のほつれ止め装置
JP2009066191A (ja) 縫目ほつれ防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20031296A (ko) 재봉틀
JP2008068005A (ja) ミシン
JP4185703B2 (ja) 単糸環縫い縫い目の端部結び目を形成させ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単糸環縫いミシン
JP3447335B2 (ja) 刺繍ミシンの上糸切断装置及び上糸切断方法
JPS60173156A (ja) ミシン
JP2001129283A (ja) 縫い目のほつれ防止装置
JPH06503008A (ja) 本縫いミシンにおいて縫製開始時に上糸端の長さを短縮させる方法及び装置
JP6099378B2 (ja) ボタン付けミシン
JP4181005B2 (ja) ミシンの再起動方法
JP2000037582A (ja) ミシンにおける糸切断装置およびこの糸切断装置の使用方法
JP4722274B2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JP7324393B2 (ja) 縫目のほつれ止め方法及び縫目のほつれ止め装置
JPH0343919B2 (ko)
KR20080014655A (ko) 오버록 미싱의 공환 꿰매넣음 장치
JP3661948B2 (ja) ミシン
JPH0634873B2 (ja)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の空環巻込み装置
JPH05200179A (ja) ミシンの糸切り方法及びその装置
JP6327425B2 (ja) 生地の縫製方法及び二重環縫い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