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19111A - 타이어 케이싱용 다층 스틸 코드 - Google Patents

타이어 케이싱용 다층 스틸 코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111A
KR20020019111A KR1020017016681A KR20017016681A KR20020019111A KR 20020019111 A KR20020019111 A KR 20020019111A KR 1020017016681 A KR1020017016681 A KR 1020017016681A KR 20017016681 A KR20017016681 A KR 20017016681A KR 20020019111 A KR20020019111 A KR 20020019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wires
layer
cables
wi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6906B1 (ko
Inventor
코르도니에프랑수와-쟈크
도멩고알랭
Original Assignee
미첼 롤리에르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폴 겔리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첼 롤리에르, 소시에떼 드 테크놀로지 미쉐린, 폴 겔리,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미첼 롤리에르
Publication of KR20020019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90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06Reinforcing cords for rubber or plastic articles
    • D07B1/062Reinforcing cords for rubber or plastic articles the reinforcing cords being characterised by the strand configuration
    • D07B1/0633Reinforcing cords for rubber or plastic articles the reinforcing cords being characterised by the strand configuration having a multiple-laye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007Reinforcements made of metallic elements, e.g. cords, yarns, filaments or fibres made from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007Reinforcements made of metallic elements, e.g. cords, yarns, filaments or fibres made from metal
    • B60C2009/0014Surface treatments of steel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06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heavy duty vehicl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06Reinforcing cords for rubber or plastic articles
    • D07B1/0613Reinforcing cords for rubber or plastic articles the reinforcing cords being characterised by the rope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23Strands with co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24Strands twisted
    • D07B2201/2027Compact winding
    • D07B2201/2028Compact winding having the same lay direction and lay pitch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24Strands twisted
    • D07B2201/2029Open wind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24Strands twisted
    • D07B2201/2029Open winding
    • D07B2201/2031Different twist pitch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51Cores characterised by a value or range of the dimension give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52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D07B2201/2059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mprising wir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401/0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 D07B2401/2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401/208Enabling filler penetra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46Tyre co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7/00Textiles: spinning, twisting, and twining
    • Y10S57/902Reinforcing or tyre co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765Characterized by belt or breaker structure
    • Y10T152/1081Breaker or belt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physical properties of elastomer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819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bead portion of the tire
    • Y10T152/10846Bead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or physical properties of elastomer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T152/10Tires, resilient
    • Y10T152/10495Pneumatic tire or inner tube
    • Y10T152/10855Characterized by the carcass, carcass material, or physical arrangement of the carcass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24Noninterengaged fiber-containing paper-free web or sheet which is not of specified porosity
    • Y10T428/249933Fiber embedded in or on the surface of a natural or synthetic rubber matrix
    • Y10T428/249934Fibers are aligned substantially parall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73Particular cross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의 특징(d0, d1, d2, p1및 p2, mm)을 가지며, 스텝 p1에 의해 나선으로 함께 감기는 직경 d1의 6 또는 7개의 와이어(M은 6 또는 7이다)의 중간 층(C1)에 의해 둘러싸인 직경 d0의 코어를 포함[여기서, 층 C1 자체는 스텝 p2에 의해 나선으로 함께 감기는 직경 d2의 N개의 와이어(여기서, N은 층 C1 주위의 하나의 플라이에서 감길수 있는 와이어의 최대수 Nmax의 1 내지 3 미만이다)의 외부 층(C2)에 의해 둘러싸인다]하는, 타이어 캐이징 강화용 강화 부재로서 사용하기 위한, 불포화 외부 다층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i) 0.14 < d0< 0.28,
(ii) 0.12 < d1< 0.25,
(iii) 0.12 < d2< 0.25,
(iv) M이 6인 경우, 1.10 < (d0/d1) < 1.40,
M이 7인 경우, 1.40 < (d0/d1) < 1.70,
(v) 5π(d0+ d1) < p1< p2< 5π (d0+ 2d1+ d2),
(vi) 층 C1 및 C2의 와이어는 동일한 트위스트 방향으로 감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다층 코드에 의해 강화된 제품 또는 반가공 플라스틱 및/또는 고무 생성물, 특히 산업용 차량의 타이어, 보다 특히 중장비 트럭의 타이어 및 이의 외부 케이싱 강화 플라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 케이싱용 다층 스틸 코드{Multilayer steel cord for tyre casing}
본 발명은 타이어와 같은 고무 제품을 강화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스틸 케이블("스틸 코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중장비 차량" 타이어와 같은 산업용 차량에 대한 타이어의 카캐스(carcass) 강화물을 강화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층으로 된"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용 스틸 케이블은 펄라이트 (또는 페로-펄라이트) 카본 스틸(이하, "카본 스틸"이라 칭하며, 이의 탄소 함량은 일반적으로 0.2 내지 1.2%이다)의 와이어로 형성되며, 이들 와이어의 직경은 종종 0.10 내지 0.40mm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의 작업-경화 단계 동안 나타나는 구조적 경화에 의해 수득되는 2,000MPa 초과, 바람직하게는 2,500MPa 초과의 매우 높은 인장 강도가 이들 와이어에서 요구된다. 이들 와이어는 사용되는 스틸이 또한 각종 케이블링 조작에 내성이도록 충분한 토션(torsion) 연성을 요구하는 케이블 또는 스트랜드의 형태로 어셈블리된다.
중장비 차량 타이어의 카캐스 강화물을 강화시키기 위해, 오늘날, 종종 중심 코어 및 이러한 코어 주위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와이어의 동심 층으로 형성된 이른바 "층으로 된" 스틸 케이블("층으로 된 코드") 또는 "다층" 스틸 케이블이 있다. 와이어 사이에 보다 큰 접촉 길이를 선호하는 이들 층으로 된 케이블은 보다나은 압축성 및 프레팅에 의한 마모 민감성이 보다 적어서 노후된 "스트랜드된" 케이블("스트랜드 코드")에 바람직하다. 층으로 된 케이블 중에서, 공지된 방법에서 특히 컴팩트 구조 케이블 및 관형 또는 실린더형 층을 갖는 케이블 사이에 차이가 있다.
중장비 차량의 타이어의 카캐스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발견되는 층으로 된 케이블은 구조 (L+M) 또는 (L+M+N)의 케이블이고, 후자는 일반적으로 가장 큰 타이어를 가리킨다. 이들 케이블은 공지된 방법으로 그 자체가 N개의 와이어의 외부 층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M개의 와이어의 층에 의해 둘러싸인 L개의 와이어(들)의 코어로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L은 1 내지 4이고, M은 3 내지 12이고, N은 8 내지 20이며, 적용가능한 경우, 어셈블리는 가능하게는 마지막 층 둘레에 나선으로 감긴 외부 래핑 와이어에 의해 래핑될 수 있다.
타이어 카캐스, 특히 중장비 차량 타이어의 카캐스를 강화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이러한 층으로 된 케이블은 다수의 공보에 기술되어 있다[참조: 미국 특허원 제3,922,841호, 미국 특허원 제4,158,946호, 미국 특허원 제4,488,587호, 유럽 특허원 제0 168 858호, 유럽 특허원 제0 176 139호 또는 미국 특허원 제4,651,513호, 유럽 특허원 제0 194 011호, 유럽 특허원 제0 260 556호 또는 미국 특허원 제4,756,151호, 유럽 특허원 제0 362 570호, 유럽 특허원 제0 497 612호 또는 미국 특허원 제5,285,836호, 유럽 특허원 제0 568 271호, 유럽 특허원 제0 648 891호, 유럽 특허원 제0 669 421호 또는 미국 특허원 제5,595,057호, 유럽 특허원 제0 709 236호 또는 미국 특허원 제5,836,145호, 유럽 특허원 제0 719 889호 또는미국 특허원 제5,697,204호, 유럽 특허원 제0 744 490호 또는 미국 특허원 제5,806,296호, 유럽 특허원 제0 779 390호 또는 미국 특허원 제5,802,829호, 유럽 특허원 제0 834 613호, 국제특허공보 제WO 98/41682호, RD(Research Disclosure) 제34054호, 1992년 8월, pp 624-33, RD 제34370호, 1992년 11월, pp 857-59].
타이어 카캐스용 강화물로서의 이들의 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해, 층으로 된 케이블은 특히 와이어가 비교적 작은 직경, 통상적으로는 0.28mm 미만, 바람직하게는 0.25mm 미만, 특히 타이어의 크라운 강화물용 통상의 케이블에서 사용되는 와이어의 직경 미만임을 포함하는, 가요성이 양호하고, 굽힘에 대한 내성이 높아야 한다.
또한, 이들 층으로 된 케이블은 타이어의 런닝 동안 주 응력, 특히 인접 층 사이의 접촉, 및 따라서, 마모 및 또한 피로의 결과로서 와이어의 수준에서 마찰을 초래하는 반복된 굽힘 또는 만곡 변화에 처한다. 따라서, 이들은 이른바 "피로-프레팅(fatigue-fretting)" 현상에 대한 내성이 높아야 한다.
최종적으로, 이는 가능한 한 많이 고무로 포화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이러한 침투가 불충분한 경우, 케이블을 따라 빈 채널이 형성되고 절단의 결과로서 타이어로 침투되는 부식제, 예를 들면, 물이 이들 채널을 따라 타이어의 카캐스로 이동하므로, 케이블을 형성하는 와이어 사이의 공간 모두로 이러한 물질을 침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습기의 존재는 부식을 야기시키고 무수 대기에서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상기 분해 과정(이른바 "피로-부식" 현상)을 촉진시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용어 "피로-프레팅-부식"으로 그룹지어지는 모든 이들 피로 현상은 케이블의 기계적 특성의 점진적 분해의 원인이며, 매우 심한 런닝 상황하에 이의 수명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공지된 방법에서 반복된 굽힘 응력이 특히 심한 중장비 차량 타이어 카캐스에서 층으로 된 케이블의 내구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오랜 동안, 특히 고무에 의한 침투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의 디자인을 변형시키고 부식 및 피로-부식에 의한 위험을 한정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9개의 와이어의 제1 층 및 적용가능한 경우, 15개의 와이어의 제2 층으로 둘러싸인 3개의 와이어의 코어로 형성된 구조 (3+9) 또는 (3+9+15)의 층으로 된 케이블이 제시 또는 기술되어 있으며[참조: 유럽 특허원 제0 168 858호, 유럽 특허원 제0 176 139호, 유럽 특허원 제0 497 612호, 유럽 특허원 제0 669 421호, 유럽 특허원 제0 709 236호, 유럽 특허원 제0 744 490호 및 유럽 특허원 제0 779 390호], 코어의 와이어의 직경은 다른 층의 외어어의 직경을 초과하거나 초과하지 않는다. 이들 케이블은 3개의 코어 와이어의 중심에서 채널 또는 모세관의 존재에 기인하여 코어까지 침투할 수 없으며, 고무에 의해 포화된 후, 빈 공간을 남겨 물과 같은 부식 매질을 확산시킨다.
공보 RD 제34370호에는 그 자체가 12개의 와이어의 외부 층에 의해 둘러싸인 6개의 와이어의 중간 층에 의해 둘러싸인 단일 와이어로 형성된 코어로 형성된 컴팩트 형태 또는 동심 관형 층을 갖는 형태의 구조 [1+6+12]의 케이블이 기술되어 있다. 고무 침투 능력은 하나의 층이 다른 층과 상이하거나 심지어 하나의 동일한층 내에서 상이한 와이어의 직경을 사용하여 개선시킬 수 있다. 침투 능력이 와이어의 직경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특히 직경이 큰 코어 와이어의 사용에 의해 개선된 구조 [1+6+12]의 케이블이, 예를 들면, 유럽 특허원 제0 648 891호 또는 국제특허공보 제WO 98/41682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들 통상의 케이블에 비해, 케이블로의 고무 침투를 추가로 개선시키기 위해, 2개 이상의 동심 층에 의해 둘러싸인 중심 코어를 갖는 다층 케이블, 예를 들면, 구조 [1+6+N], 특히 [1+6+11]의 케이블이 제안되어 있으며, 외부 층은 불포화(불완전)되어 있어 고무에 의한 보다 나은 침투 능력을 보장한다[참조: 유럽 특허원 제0 719 889호, 국제특허공보 제WO 98/41682호]. 제안된 구조는 초래되는 자가 래핑 및 외부 층을 통한 고무의 보다 나은 침투로 인해 래핑 와이어를 배제시킬 수 있다. 그러나, 경험은 이들 케이블이 고무에 의해 중심에 침투하지 못하고 아직 최적이지 않음을 나타낸다.
또한, 고무 침투 능력에서의 개선이 충분한 수준의 실행을 보장하는데 충분하지 않음을 주지해야 한다. 이들이 타이어 카캐스를 강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케이블은 부식에 내성이어야 하며, 또한 다수의 모순되는 기준, 특히 인성, 내프레팅성, 높은 고무 부착도, 균일성, 가요성, 반복된 굽힘 또는 정지 마찰 내성, 심한 굽힘 하에 안정성 등을 충족시켜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이유로, 및 주어진 기준에 대하여 만들어진 각종 최근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중장비 차량 타이어용 카캐스 강화물에 오늘날 사용되는 최상의 케이블은 포화(완전) 외부 층과 함께 매우 통상적인 구조, 컴팩트 형태 또는 실린더형 층을 갖는 형태의 소수의 층으로 된 케이블로 한정되는데, 이들은 필수적으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구조 [3+9], [3+9+15] 또는 [1+6+12]의 케이블이다.
이제, 이러한 조사 동안 본 출원인은 중장비 차량 타이어 카캐스 강화용으로 공지된 최상의 층으로 된 케이블의 전반적인 성능을 예기치 않게도 추가로 개선시키는 불포화 외부 층을 갖는 형태의 신규한 층으로 된 케이블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케이블은 부식 문제점을 한정하면서 특정 구조에 의해 고무에 의한 침투 능력이 우수하고 선행 기술의 케이블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개선된 피로-프레팅 내구성을 갖는다. 중장비 차량 타이어 및 이의 카캐스 강화물의 수명은 이에 의해 매우 유의하게 개선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피치 p1에서 나선으로 함께 감긴 직경 d1의 6 또는 7개의 와이어(M은 6 또는 7이다)의 중간 층(C1)에 의해 둘러싸인 직경 d0의 코어(CO)를 포함(여기서, 층 C1 자체는 피치 p2에서 나선으로 함께 감긴 직경 d2의 N개의 와이어(여기서, N은 층 C1에 대하여 하나의 층에서 감길 수 있는 와이어의 최대수 Nmax의 1 내지 3 미만이다)의 외부 층(C2)에 의해 둘러싸인다)하는, 타이어 카캐스 강화물에 대한 강화 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불포화 외부 층을 갖는 다층 케이블이며, 이 케이블은 다음 특징(d0, d1, d2, p1및 p2, mm)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i) 0.14 < d0< 0.28,
(ii) 0.12 < d1< 0.25,
(iii) 0.12 < d2< 0.25,
(iv) M이 6인 경우, 1.10 < (d0/d1) < 1.40,
M이 7인 경우, 1.40 < (d0/d1) < 1.70,
(v) 5π(d0+ d1) < p1< p2< 5π (d0+ 2d1+ d2),
(vi) 층 C1 및 C2의 와이어는 동일한 트위스트 방향으로 감긴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 물질 및/또는 고무로 이루어진 제품 또는 반가공 생성물, 예를 들면, 플라이, 튜브, 벨트, 코베이어 벨트 및 타이어, 보다 특히 통상적으로 금속 카캐스 강화물을 사용하는 산업용 차량용 타이어 강화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케이블은 매우 특히 밴, "중장비 차량"- 즉, 지하철, 버스, 선로 수송 기계류(무개 화차, 트랙터, 트레일러), 오프-로드 차량-, 농업용 기계류 또는 건설 기계류, 항공기 및 기타 수송 또는 조정 차량으로부터 선택된 산업용 차량용 타이어에 대한 카캐스 강화물의 강화 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이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 특히 상기 언급한 산업용 차량 타이어, 보다 특히 중장비 차량 타이어에 의해 강화되는 경우, 그 자체가 플라스틱 물질 및/도는 고무로 이루어진 제품 또는 반가공 생성물 및 또한 이러한 중장비 차량 타이어용 카캐스 강화 플라이로서 사용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로 강화된 고무 조성물의 조성을 갖는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합성 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및 이의 이점은 하기 설명 및 양태의 실시예 및 이들 실시예에 관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구조 [1+6+11]의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선행 기술의 구조 [1+6+12]의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방사상 카캐스 강화물을 갖는 중장비 차량 타이어의 방사상 단면도이다.
I. 측정 및 시험
I-1. 동력학적 측정
금속 와이어 또는 케이블에 관하여, 파단 부하 Fm(최대 부하, N), 인장 강도 Rm(MPa) 및 파단 신도 At(전체 신도, %)의 측정은 ISO 표준 6892(1984)에 따라 장력 하에 수행한다. 고무 조성물에 관하여, 모듈러스의 측정은 표준 AFNOR-NFT-46002(1988.9.)에 따라 장력하에 수행한다. 공칭 할선 모듈러스(또는 겉보기 응력, MPa)은 10% 신도에서 제2 신도(즉, 조정 사이클 후)에서 측정하고, M10(표준 AFNOR-NET-40101(1979. 12.)에 따른 온도 및 습도의 공칭 조건)이라 한다.
I-2. 공기 투과성 시험
공기 투과성 시험은 공기 투과성의 상대 지수, "Pa"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이는 고무 조성물에 의한 케이블의 침투도를 간접 측정하는 간단한 방법이다. 이는 강화시키고 따라서 경화된 고무에 의해 침투되는 가황 고무 플라이로부터 박피에 의해 직접 추출된 케이블 상에서 수행한다.
시험은 다음과 같이 케이블의 주어진 길이(예: 2cm)에서 수행한다. 공기를 주어진 압력(예: 1bar)에서 케이블의 입구로 보내고, 공기의 양을 출구에서 유동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측정 동안, 케이블의 샘플을 세로 축을 따라 하나의 말단으로부터 다른 말단으로 케이블을 통해 지나가는 공기의 양 만이 측정에 고려되도록 밀봉 잠근다. 고무에 의한 케이블의 침투량이 높을수록, 측정된 유동은 낮다.
I-3. 타이어 내구성 시험
피로-프레팅 부식 하에 케이블의 내구성을 매우 긴 내구성 런닝 시험 동안 중장비 차량 타이어의 카캐스 플라이에서 평가한다.
이를 위해, 중장비 차량 타이어를 제조하고, 이의 카캐스 강화물은 시험하고자 하는 케이블에 의해 강화된 단일 고무 처리 플라이로 형성된다. 이들 타이어를 적합한 공지된 림에 지지시키고, 습기로 포화된 공기와 동일한 압력(공칭 압력에 비해 과압으로)으로 팽창시킨다. 이들 타이어를 매우 높은 부하(공칭 부하에 비해 과부하)하에 주어진 킬로미터에 대하여 동일한 속도에서 자동 런닝 머신에서 런닝시킨다. 런닝 종결시, 케이블을 박리에 의해 타이어 카캐스로부터 추출하고, 잔여 파단 부하를 와이어 및 피로 케이블에서 측정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동일한 타이어를 제조하고, 이들을 런닝시키지 않는 것을제외하고는 상기한 동일한 방법으로 박리한다. 따라러서, 비-피로 와이어 및 케이블의 초기 파단 부하를 박리후 측정한다.
최종적으로, 피로 후 파단 부하 변성을 잔여 파단 부하를 초기 파단 부하와 비교하여 계산한다(△Fm, %). 이러한 변성 △Fm은 각종 기계적 응력의 연합 작용에 의해 야기된 와이어의 피로 및 마모(단면 감소), 특히 와이어 사이의 접촉력의 강한 작업 및 주위 공기와 접하는 물, 달리 말해서, 런닝 동안 케이블이 타이어 내에서 겪게 되는 피로-프레팅 부식에 기인한다.
또한, 타이어의 강제 파괴가 카캐스 플라이에서 파단 또는 초기에 일어나는 또 다른 형태의 손상[예: 디트레딩(detreading)]에 기인하여 일어날때까지 런닝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결정될 수 있다.
I-4. 벨트(belt) 시험
"벨트" 시험은, 예를 들면, 위에서 언급한 유럽 특허원 제0 648 891호 또는 국제특허공보 제WO 98/41682호에 기술된 공지된 피로 시험이며, 처리되는 스틸 케이블은 가황되는 고무 제품에 혼입된다.
이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고무 제품은 방사상 형태의 타이어 카캐스에 통상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공지된 고무계 혼합물로 제조된 무한 벨트이다. 각각의 케이블의 축은 벨트의 세로 방향으로 배향하고, 케이블은 약 1mm의 고무의 두께로 후자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다. 벨트가 회전 실린더를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경우, 케이블은 이러한 실린더와 동일한 축의 나사 와인딩(예: 나사 피치는 약 2.5mm와같다)을 형성한다.
이 벨트를 다음의 응력에 처리한다: 벨트를 각각의 케이블의 각 부재 부분이 초기 파단 부하의 12%의 장력에 처리하고 만곡의 무한 반경으로부터 40mm의 만곡의 반경을 지나는 만곡의 변화 사이클(이는 5천만 사이클 이상이다)에 처리하도록 2개의 롤러 둘레에서 회전시킨다. 시험은 조절된 대기 하에 수행하고, 벨트와 접촉하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는 약 20℃ 및 60% 상태 습도에서 유지된다. 각 벨트에 대한 응력의 지속은 3주 정도이다. 이들 응력의 끝에서, 케이블을 박리에 의해 벨트로부터 추출하고, 피로 케이블의 와이어의 잔여 파단 부하를 측정한다.
두번째로, 벨트를 상기와 동일하게 제조하고, 이를 케이블을 피로 시험에 처리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박리한다. 따라서, 비-피로 케이블의 와이어의 초기 파단 부하를 측정한다.
최종적으로, 피로 후 파단 부하 변성을 잔여 파단 부하를 초기 파단 부하와 비교함으로써 계산한다(△Fm, %).
이러한 변성 △Fm은 공지된 방법으로 응력의 연합 작용에 의해 야기되는 외어의 피로 및 마모 및 주위 공기와 접하는 물에 기인하며, 이들 조건은 강화 케이블이 타이어 카캐스에 처리된 것과 비교된다.
I-5. 파상 정지 마찰 시험
"파상 정지 마찰" 시험은 시험되는 물질이 압축 응력 없이 순수한 단축 신장(신장-신장)으로 피곤하게 한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널리 공지된 피로 시험이다.
원리는 다음과 같다: 각각의 2개의 말단에서 정지 마찰 기기의 2개의 조(jaw)에 의해 유지된 시험되는 케이블의 샘플을 인장 또는 신장 응력에 처리하고, 세기 σ는 주어진 부하비 "R"=(σminmax)에서 평균 값(σavg) 주위의 2개의 가장자리 값 σminavga) 및 σmaxavga) 사이에서 평균 값에 대하여 순환적이고 대칭적으로(σavg±σa) 변한다. 따라서, 평균 응력 σavg는 σavga(1+R)/(1-R)에 의해 부하비 R 및 크기 σa에 연결된다.
실시에서, 시험을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제1 크기의 응력 σa을 선택하고(일반적으로 케이블의 내성 Rm의 1/4 내지 1/3 정도의 범위 내에서), 피로 시험을 최대 수의 105사이클(주파수 30Hz)로 시작하며, 부하비 R은 0.1로 고정한다. 수득된 결과에 따라-즉, 이러한 최대 105사이클 후 케이블의 파단 또는 비-파단-, 새로운 크기 σa를 이른바 단계 방법(참조: Dixon & Mood,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43, 1948, 109-126)에 따라 이러한 값 σa을 변화시켜 새로운 시험 편에 적용한다(각각 상기 보다 작거나 초과함). 따라서, 총 17회 반복이 수행되며, 이러한 단계 방법에 의해 규정된 시험의 통계적 처리는 내구 한계-σd-의 측정을 초래하며 105피로 사이클의 끝에서, 케이블의 파단의 50% 확률에 상응한다.
이러한 시험을 위해, 피로기(제조원: Schenck, Model PSA)을 사용하고, 2개의 조 사이의 유용한 길이는 10cm이고 측정은 조절된 무수 대기(상대 습도의 양은 5% 이하이고, 온도는 20℃이다)에서 수행한다.
II. 발명의 상세한 설명
II-1. 본 발명의 케이블
케이블을 기술하기 위해 본 설명에서 사용되는 경우, 용어 "구조(formula 또는 structure)"는 간단하게는 이들 케이블의 구조이다.
본 발명의 케이블은 직경 d0의 코어(C0), 직경 d1의 6 또는 7개의 와이어(M는 6 또는 7이다)의 중간 층(C1), 및 직경 d2의 N개의 와이어의 불포화 외부 층(C2)을 포함하는 다층 케이블이며, 여기서 N은 층 C1 둘레에서 단층으로 감길 수 있는 와이어의 최대 수 Nmax의 1 내지 3 미만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층으로 된 케이블에서, 코어의 직경 및 층 C1 및 C2의 와이어의 직경, 나사 피치(및 따라서 각도) 및 상이한 층의 와인딩 방향은 하기 특징(d0, d1, d2, p1및 p2, mm) 모두에 의해 한정된다.
(i) 0.14 < d0< 0.28,
(ii) 0.12 < d1< 0.25,
(iii) 0.12 < d2< 0.25,
(iv) M이 6인 경우, 1.10 < (d0/d1) < 1.40,
M이 7인 경우, 1.40 < (d0/d1) < 1.70,
(v) 5π(d0+ d1) < p1< p2< 5π (d0+ 2d1+ d2),
(vi) 층 C1 및 C2의 와이어는 동일한 트위스트 방향으로 감긴다.
상기 특징 (i) 내지 (vi)는 조합하여 다음을 모두 한꺼번에 수득할 수 있다:
- 층 C1의 와이어의 마모를 감소시키고 피로를 적게하는데 유익한, C0 및 C1 사이에서 충분하지만 제한된 접촉력,
- 특히 직경비(d0/d1) 및 층 C1 및 C2의 와이어에 의해 형성된 나선 각도의 최적화에 의한, 특히 최종 층 주위에서 래핑 와이어의 존재를 요하지 않는, 첫번째로 부식 및 이의 가능한 진행에 대한 매우 높은 보호를 보장하고, 두번째로 높은 굽힘 응력 하에 케이블의 최소 분열을 보장하는 층 C1 및 C2 및 후자의 중심 C0를 통한 고무의 최적 침투, 및
- 2개의 층 C1 및 C2 사이에 상이한 피치의 존재(p1≠p2)에도 불구하고, 층 C1 및 C2의 와이어 사이에 프레팅에 의한 마모 감소.
특징 (v) 및 (vi)-상이한 피치 p1및 p2, 및 동일한 트위스트 방향으로 감긴 층 C1 및 C2-은 공지된 방법으로, 층 C1 및 C2의 와이어가 사실상 2개의 인접 동심 실린더형(즉, 관형) 층으로 배열됨을 의미한다. 이른바 "관형" 또는 "실린더형"층으로 된 케이블은 코어(즉, 코어 부분 또는 중심 부분) 및 하나 이상의 동심 층으로 형성된 케이블을 의미하며, 여기서, 각 관형은 적어도 정지 케이블에서 각 층의 두께가 사실상 이를 형성하는 와이어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이러한 코어 주위에 배열된 형태이며, 그 결과, 케이블의 단면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실상 원형인 윤곽 또는 쉘(E)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린더형 또는 관형 층을 갖는 케이블은 특히 동일한 피치로 동일한 트위스트 방향으로 감긴 와이어의 어셈블리인 이른바 "컴팩트" 층으로 된 케이블과 혼동하지 않아야 하며, 이러한 케이블에서, 압축성은 와이어의 뚜렷한 층이 실제로는 가시되지 않는 것이고, 이로써, 이러한 케이블의 단면은, 예를 들면,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더이상 원형이 아니라 다각형인 외형을 갖는다.
외부 층 C2는 "불포화" 또는 "불완전한", 즉 정의에 의해, 직경 d2의 하나 이상의 (N+1)개의 와이어를 가하기 위하여 이러한 관형 층 C2에서 충분한 공간이 있는 N개의 와이어의 관형 층이며, 몇몇의 N개의 와이어는 가능하게는 서로 접촉하고 있다. 상호간에, 이러한 관형 층 C2는 직경 d2의 하나 이상의 (N+1)개의 와이어를 가하기 위하여 이러한 층에서 충분한 공간이 없는 경우, "포화" 또는 "완전한"이라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케이블은 구조 [1+M+N]의 층으로 된 케이블, 즉 코어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케이블을 "C-I"라 함) 단일 와이어로 형성된다.
도 1은 코어 및 케이블의 축(O)에 수직인 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케이블은 직각이고 정지 상태이다. 코어(CO, 직경 d0)는 단일 와이어로 형성되고, 피치 p1에서 나선으로 함께 감긴 직경 d2의 6개의 와이어의 중간 층 C1에 의해 둘러싸이고 이와 접촉하고 있으며, 두께가 d1에 사실상 동일한 이러한 층 C1은 그 자체가 피치 p2에서 나선으로 함께 감기고 두께가 d2에 사실상 동일한 직경 d2의 11개의 와이어의 외부 층 C2에 의해 둘러싸이고 이와 접촉하고 있다. 코어 C0 주위에 감긴 와이어는 2개의 인접하고 동심인 관형 층(층 C1의 두께는 d1에 사실상 동일하고, 층 C2의 두께는 d2에 사실상 동일하다)으로 배열된다. 층 C1의 와이어는 실제로 파선으로 나타낸 제1 원 C1에 배열된 축(O1)을 갖는 반면, 층 C2의 와이어는 실제로 또한 파선으로 나타낸 제2 원 C2에 배열된 축(O2)을 갖는다.
특히 고무에 의해 침투되는 케이블의 능력 및 상이한 층 사이에서 접촉력 면에서 최상의 결과는 다음을 만족할때 수득된다.
(vii) 5.3π(d0+ d1) < p1< p2< 4.7π(d0+ 2d1+ d2)
피치 및 층 C1 및 층 C2의 와이어 사이에서 접촉각을 오프셋팅(offsetting)하여, 이들 2개의 층 사이에서 침투를 위한 채널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침투시키고자 하는 케이블의 능력을 이의 피로-프레팅 성능을 최적화하면서 추가로 개선시킨다.
공지된 정의에 따라, 피치는 이러한 피치를 갖는 와이어가 케이블의 축 O 주위에 완전 회전시키는 말단에서 케이블의 축 O에 평행으로 측정된 길이를 나타내므로, 축 O가 축 O에 수직인 2개의 평면에 의해 구획되고 2개의 층 C1 또는 C2 중의 하나의 와이어의 피치와 동일한 길이로 분리되는 경우, 이러한 와이어의 축(O1또는 O2)은 이들 2개의 평면에서 당해 와이어의 층 C1 또는 C2에 상응하는 2개의 원에 동일한 위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에서, 층 C1 및 C2의 와이어는 모두 동일한 트위스트 방향, 즉 S 방향("S/S" 배열) 또는 Z 방향("Z/Z" 배열)로 감긴다. 층 C1 및 C2의 이러한 배열은 층으로 된 케이블의 가장 통상적인 구조 [L+M+N], 특히 층 C2의 와이어가 그 자체 층 C1의 와이어를 래핑하도록 2개의 층 C1 및 C2의 크로싱(또는 "S/Z" 또는 "Z/S" 배열)을 가장 빈번히 요하는 구조 [3+9+15]에 다소 반대된다. 동일한 방향으로 층 C1 및 C2를 와인딩하여 유익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에서 2개의 층 C1 및 C2 사이에서 마찰을 최소화하고 이들을 구성하는 와이어의 마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블에서, 비(d0/d1)는 층 C1의 와이어의 수 M(6 또는 7)에 따라 주어진 범위내에서 고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비의 값이 너무 작으면, 코어 및 층 C1의 와이어 사이가 마모된다. 이러한 값이 너무 높으면, 최종적으로 크게 개질되지 않능 내성 수준 면에서 케이블의 압축성 및 이의 가요성에 악영향을 주며, 과도하게 큰 직경 d0에 의한 코어의 증가된 강성은 또한 케이블링 조작 동안 케이블의적합성 자체에 바람직하지 않다.
층 C1 및 C2의 와이어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직경을 가져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링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해 직경이 동일한 와이어(d1=d2)가 사용된다.
층 C1 주위에 단일 포화 층으로 감길 수 있는 와이어의 최대수 Nmax는 물론 다수의 매개변수와 관련이 있다(코어의 직경 d0, 층 C1의 와이어의 수 M 및 직경 d1, 층 C2의 와이어의 직경 d2). 예를 들면, Nmax가 12인 경우, N은 9 내지 11(예: 구조 [1+M+9], [1+M+10] 또는 [1+M+11])이고, 예를 들면, Nmax가 14인 경우, N은 11 내지 13(예: 구조 [1+M+11], [1+M+12] 또는 [1+M+13])이다.
바람직하게는, 층 C2에서 와이어의 수 N은 Nmax의 최대수의 1 내지 2 미만이다. 이는 대부분의 경우에서, 고무 조성물에 대하여 와이어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형성시켜 층 C2의 와이어 사이에 침투하고 층 C1에 도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구조 [1+6+10], [1+6+11], [1+6+12], [1+7+11], [1+7+12] 및 [1+7+13]의 케이블로부터 선택된 케이블에 의해 충족된다.
d1=d2인 본 발명에 따르는 바람지한 케이블, 특히 상기 (vii)을 만족시키고 다음의 구조를 갖는 케이블이 일례로서 언급될 수 있다:
- [1+6+10], d0=0.15mm, d1=d2=0.13mm, 4.7mm<p1<p2<8mm,
- [1+6+10], d0=0.23mm, d1=d2=0.20mm, 7.2mm<p1<p2<12.3mm,
- [1+6+11], d0=0.20mm, d1=d2=0.175mm, 6.2mm<p1<p2<10.7mm,
- [1+6+11], d0=0.26mm, d1=d2=0.225mm, 8.1mm<p1<p2<13.8mm,
- [1+6+12], d0=0.26mm, d1=d2=0.20mm, 7.7mm<p1<p2<12.7mm,
- [1+6+12], d0=0.225mm, d1=d2=0.175mm, 6.7mm<p1<p2<11.1mm,
- [1+7+11], d0=0.25mm, d1=d2=0.175mm, 7.1mm<p1<p2<11.4mm,
- [1+7+11], d0=0.215mm, d1=d2=0.15mm, 6.1mm<p1<p2<9.8mm,
- [1+7+12], d0=0.23mm, d1=d2=0.155mm, 6.4mm<p1<p2<10.3mm,
- [1+7+12], d0=0.26mm, d1=d2=0.175mm, 7.2mm<p1<p2<11.6mm,
- [1+7+13], d0=0.24mm, d1=d2=0.15mm, 6.5mm<p1<p2<10.2mm,
- [1+7+13], d0=0.275mm, d1=d2=0.185mm, 7.7mm<p1<p2<12.3mm.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중장비 차량 타이어의 카캐스에서 구조 [1+6+N], 보다 바람직하게는 [1+6+10], [1+6+11] 또는 [1+6+12]의 케이블에 의해 충족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구조 [1+6+11]의 케이블이 사용된다.
케이블의 강도, 적합성 및 굽힘 강도 및 고무 조성물에 의한 침투 능력 사이에서 보다 나은 절충을 위해, 이들 와이어의 직경이 동일한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층 C1 및 C2의 와이어의 직경이 0.14 내지 0.2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서, d1=d2인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는 다음을 만족시킨다:
5 < p1< p2< 15
중장비 차량 타이어에 대한 카캐스 강화물에 대하여, 직경 d1및 d2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16 내지 0.19mm에서 선택되고, 0.19mm 미만의 직경은 와이어가 케이블의 만곡에서 주요 변화시 받게 되는 응력의 수준을 저하시킬 수 있는 반면, 0.16mm을 초과하는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와이어의 강도 및 산업적 비용 이유로 선택될 수 있다.
d1및 d2가 0.16 내지 0.19mm에서 선택되는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는 다음을 만족시킨다:
- 0.18 < d0< 0.24,
- 5 < p1< p2< 12.
유익한 한 양태는, 예를 들면, p1을 5 내지 8mm로 선택하고 p2를 8 내지 12mm로 선택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 형태의 스틸 와이어, 예를 들면, 유럽 특허원 제0 648 891호 또는 국제특허공보 제WO 98/4168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카본 스틸 와이어 및/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에 의해 충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본 스틸이 사용되나, 다른 스틸 또는 기타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카본 스틸이 사용되는 경우, 이의 탄소 함량(스틸의 중량%)은 바람직하게는0.50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68 내지 0.95%이며, 이들 함량은 타이어에 요구되는 기계적 특성 및 와이어의 적합성 사이에 양호한 절충을 나타낸다. 최고의 기계적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적용에서, 카본 스틸이 유익하게 사용되며, 이의 탄소 함량은 0.50 내지 0.68%, 특히 0.55 내지 0.60%이며, 이러한 스틸은 궁극적으로 이들이 보다 용이하게 드로잉(drawing)되므로 비용면에서도 보다 적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익한 양태는 또한 의도된 적용에 따라, 특히 보다 낮은 비용 및 보다 용이한 드로잉에 기인하여 탄소 함량이 낮은, 예를 들면, 0.2 내지 0.5%인 스틸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케이블이 산업용 차량의 강화된 타이어 카캐스에 사용되는 경우, 이들 와이어는 바람직하게는 2000MPa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MPa 초과의 인장 강도를 갖는다. 매우 큰 치수의 타이어의 경우에서, 특히 인장 강도가 3000 내지 4000MPa인 와이어가 선택될 수 있다. 당해 분야의 숙련가는 특히 스틸의 탄소 함량 및 이들 와이어의 최종 작업-경화비(ε)를 조절함으로써 이러한 강도를 갖는 카본 스틸 와이어를 어떻게 제조하는지 알고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케이블은, 예를 들면, 금속이든지 아니든지 외부 층의 피치보다 짧은 피치에서 외부 층의 방향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와인딩 방향으로 케이블에 대하여 나선으로 감긴 단일 와이어로 형성된 외부 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의 특정 구조에 기인하여, 이미 자체 래핑된 본 발명의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외부 래핑 와이어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유익하게는 케이블의 최외부 층의 와이어 및 랩 사이의 마모 문제점을 해결한다.
그러나, 래핑 와이어가 사용되는 경우, 층 C2의 와이어가 카본 스틸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경우에서, 스테인레스 스틸의 래핑 와이어는 유익하게는 국제특허공보 제WO 98/41682호에 교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스틸 랩과 접촉하는 이들 카본 스틸 와이어의 프레팅에 의한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선택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는 가능하게는, 예를 들면, 유럽 특허원 제0 976 541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스킨이 스테인레스 스틸이고 코어가 카본 스틸인 합성 와이어에 의해 등가의 방법으로 대체될 수 있다.
II-2. 본 발명의 타이어
본 발명은 또한 산업용 차량의 타이어, 보다 특히 중장비 차량의 타이어 및 또한 이들 중장비 차량의 타이어용 카캐스 강화 플라이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도 3은 이러한 일반적인 표시로 본 발명에 따르거나 따르지 않는 방사상 카캐스 강화물을 갖는 중장비 차량 타이어(1)의 방사상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타이어(1)는 크라운(2), 2개의 측벽(3) 및 2개의 비이드(4)(이들 비이드(4) 각각은 비이드 와이어(5)에 의해 강화된다)를 포함한다. 공지된 방법으로, 크라운(2)은, 예를 들면, 공지된 금속 케이블에 의해 강화된 2개 이상의 중첩 교차 플라이로 형성된 크라운 강화물(6)에 의해 강화된다. 카캐스 강화물(7)은 각각 비이드(4) 내 2개의 비이드 와이어(5) 주위에 감기고, 이러한 강화물(7)의 업턴(upturn, 8)은, 예를 들면, 림(rim, 9) 위에 설치된 타이어(1)의 외부를 향해 배열된다. 카캐스 강화물(7)은 이른바 "방사상" 케이블에 의해 강화된 하나 이상의 플라이로 형성된다. 즉, 이들 케이블은 중앙 원주 평면(2개의 비이드(4) 사이에 불충분하게 위치하고, 크라운 강화물(6)의 중심을 통해 지나는 타이어의 회전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80 내지 90°의 각을 형성하도록 서로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하나의 비이드로부터 다른 비이드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타이어는 카캐스 강화물(7)이 하나 이상의 카캐스 플라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방사상 케이블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다층 스틸 케이블이다.
이러한 카캐스 플라이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방사상 플라이 dm당 40 내지 100케이블,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케이블이고, 따라서, 축으로부터 축까지 2개의 인접 방사상 케이블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2.0mm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은 2개의 인접 케이블 사이의 고무 브릿지의 폭()이 0.35 내지 1mm가 되도록 배열된다. 공지된 방법으로 폭은 캘린더링 피치(고무 직물에서 케이블의 레이닝(laying) 피치) 및 케이블의 직경 사이의 차를 나타낸다. 지시된 최소 값 미만에서, 매우 협소한 고무 브릿지는 플라이의 작업 동안, 특히 평면에서 전단 신장에 의해 받게 되는 변형 동안 기계적 변성 위험이 있다. 지시된 최대 값 이상에서, 타이어의 측벽 또는 케이블 사이에서 천공에 의해 대상물의 침투 측벽에서 나타나는 흠 발생 위험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동일한 이유로, 폭은 0.5 내지 0.8mm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가황되는 경우(즉, 경화 후) 카캐스 플라이의 직물에 대하여 사용된 고무 조성물은 8MPa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MPa의 할선 인장 모듈러스 M10을 갖는다. 이는 본 발명의 케이블 및 이들 케이블에 의해 강화된 직물 사이에 최상의 내구성 절충이 기록되는 범위의 모듈이다.
III. 본 발명의 양태의 실시예
III-1. 사용되는 와이어의 성질 및 특성
본 발명에 따르거나 따르지 않는 일례의 케이블을 제조하기 위해, 예를 들면, 유럽 특허원 제0 648 891호 또는 국제특허공보 제WO 98/4168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초기 직경이 약 1mm인 시판되는 와이어로부터 출발하여 제조된 미세한 카본 스틸 와이어가 사용된다. 사용되는 스틸은 공지된 카본 스틸(USA 표준 AISI 1069)이고, 이의 탄소 함량은 약 0.7%이며, 망간 약 0.5% 및 규소 0.2%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철 및 스틸의 제조 공정에서 결합된 통상의 부득이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시판되는 출발 와이어를 우선 이들의 나중 작업 전에 공지된 탈그리징 및/또는 피클링 처리한다. 이러한 단계에서, 이들의 인장 강도는 약 1150MPa이고, 파단 신도는 약 10%이다. 구리를 각각의 와이어에 부착시키고, 주위 온도에서 전해질적으로 아연을 부착시킨 다음, 와이어를 주울(Joule) 효과에 의해 540℃로 열적으로 가열하여 구리 및 아연의 확산에 의해 브래쓰를 수득하고, 중량비(상 α)/(상 α+상 β)는 약 0.85이다. 브래쓰 피막이 수득되면, 열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이른바 "최종" 작업-경화는 각각의 와이어(즉, 최종 열 처리 후) 물 중의 유제의 형태인 드로잉 윤활제로 습윤 매질에서 냉각-드로잉에 의해 수행한다. 이러한 습윤 드로잉은 공지된 방법으로 수행하여 시판되는 출발 와이어에 대하여 상기 지시된 초기 직경으로부터 계산된 최종 작업-경화 비(ε)를 수득한다.
정의에 의해, 작업-경화 작동 비, ε는 수학식 1로 주어진다.
위의 수학식 1에서,
Ln은 나페리안(Naperian) 대수이고,
Si는 이러한 작업-경화 전 와이어의 초기 단면을 나타내고,
Sf는 이러한 작업- 경화 후 와이어의 최종 단면을 나타낸다.
최종 작업-경화 비를 조절하여, 상이한 직경의 와이의 2개의 그룹을 제조하고, 제1 그룹의 와이어의 평균 직경 Φ는 지수 1의 와이어(와이어를 F1이라 한다)에 대하여 약 0.200mm(ε는 3.2이다)이고, 제2 그룹의 와이어의 평균 직경 Φ는 지수 2의 와이어(와이어를 F2라 한다)에 대하여 약 0.175mm(ε는 3.5이다)이다.
이렇게 드로잉된 스틸 와이어는 표 1에 나타낸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와이어를 둘러싸는 브래쓰 피막은 두께가 매우 작고, 유의하게는 1㎛ 미만, 예를 들면, 0.15 내지 0.30㎛ 정도이며, 이는 스틸 와이어의 직경과 비교하여 무시가능하다. 물론, 상이한 원소(예: C, Mn, Si)에서 와이어의 스틸의 조성은 출발 와이어의 스틸의 조성과 동일하다.
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 동안, 브래쓰 피막은 와이어의 드로잉을 돕고, 와이어의 고무 접착을 돕는다. 물론, 와이어는 브래쓰 이외에, 예를 들면, 와이어의 내부식성 및/또는 이의 고무 접착성을 개선시키는 기능을 하는 다른 미세한 금속 층, 예를 들면, Co, Ni, Zn, Al의 미세한 층 또는 화합물 Cu, Zn, Al, Ni, Co, Sn의 2개 이상의 합금의 미세한 층으로 피복될 수 있다.
III-2. 케이블의 제조
상기 와이어를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에 대한 구조 [1+6+11]의 층으로 된 케이블의 형태(케이블 C-I) 또는 선행 기술의 케이블에 대한 구조 [1+6+12]의 층으로 된 케이블의 형태(케이블 C-II)로 어셈블리하고, 와이어 F1을 사용하여 코어 C0을 형성시키고, 와이어 F2를 사용하여 이들 각종 케이블의 층 C1 및 C2를 형성시킨다.
이들 케이블을 케이블링 장치(Barmag cabler)를 사용하고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기술되지 않은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널리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케이블 C-II을 단일 케이블링 조작(p1=p2)으로 제조하는 반면, 상이한 피치 p1및 p2에 기인한 케이블 C-I는 2개의 연속 조작을 요하며([1+6] 케이블의 제조는 [1+6] 케이블 주위에 최종 층이 케이블링된다), 이들 2개의 조작은 가능한 유익하게는 일련으로 배열된 2개의 케이블러를 사용하여 인-라인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 C-I는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 구조 [1+6+11],
- d0=0.200,
- (d0/d1)=1.14,
- d1=d2=0.175,
- p1=7, p2=10.
대조 케이블 C-II는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 구조 [1+6+12],
- d0=0.200,
- (d0/d1)=1.14,
- d1=d2=0.175,
- p1=10, p2=10.
케이블에 무관하게, 층 C1 및 C2의 와이어 F2는 동일한 트위스트 방향(Z 방향)으로 감긴다. 시험되는 2개의 케이블은 랩이 부재하고, 약 0.90mm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이들 케이블의 코어의 직경 d0은 단일 와이어 F1의 직경과 동일하고,이는 실질적으로 그 자체에 대한 토션이 부재한다. 이들 2개의 와이어는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본 발명의 케이블은 외부 층 C2가 하나 적은 와이어를 포함하고, 피치 p1및 p2가 상이하다는 점에서 구별되며, 또한, 상기 (v)를 만족시킨다. 케이블 C-I에서, N은 층 C1 주위에서 단일 포화 층으로 감길 수 있는 와이어의 최대 수(여기서, Nmax는 12이다)의 1 미만이다.
본 발명의 케이블은 이미 설명한 도 1에서 단면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관형 층을 갖는 케이블이다. 대조 케이블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컴팩트 층으로 된 케이블이다. 특히 도 2의 단면으로부터, 매우 유사한 구조일지라도, 케이블링 방법에 기인하여(와이어가 동일한 방향으로 감기고, 피치 p1및 p2가 동일하다) 케이블 C-II는 케이블 C-I보다 매우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며, 이로 인해, 와이어의 관형 층은 육안으로 볼 수 없고, 이러한 케이블 C-II의 단면은 더이상 원형은 아니나, 육각형인 외형 E를 갖는다.
본 발명의 케이블 C-I은 다음 기준을 만족한다:
- (i) 0.14 < d0< 0.28,
- (ii) 0.12 < d1< 0.25,
- (iii) 0.12 < d2< 0.25,
- (iv) 1.10 < (d0/d1) < 1.40,
- (v) 5π(d0+d1) < p1< p2< 5π(d0+2d1+d2),
- (vi) 층 C1 및 C2의 와이어는 동일한 트위스트 방향으로 감긴다.
케이블 C-I은 또한 각각 다음의 바람직한 특징을 충족시킨다.
- 5.3π(d0+d1) < p1< p2< 4.7π(d0+2d1+d2),
- 0.18 < d0< 0.24,
- 0.16 < d1=d2< 0.19,
- 5 < p1< p2< 12.
이들 각종 케이블의 기계적 특성은 표 2에 나타내었다. 와이이에 대하여 나타낸 신도 At는 와이어의 파단시 기록된 전체 신도, 즉 탄성 부분의 신도(Hooke's Law) 및 플라스틱 부분의 신도 둘 다이다. 케이블의 신도에 대하여, 공지된 방법으로 이들 2개의 부분에 시험되는 케이블의 특정 기하학에 고유적인 이른바 구조 부분의 신도를 가한다.
III-3. 타이어의 내구성
A) 시험 1
상기 층으로 된 케이블을 방사상 중장비 차량 타이어용 카캐스 플라이를 제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천연 고무 및 강화 충전제로서 카본 블랙을 기본으로 하는 공지된 조성으로 형성된 고무 처리 직물 상에서 캘린더링에 의해 혼입시킨다(M10은 경화 후 약 6MPa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본질적으로 탄성체 및 강화 충전제 이외에 산화방지제, 스테아르산, 증량 오일, 접착 촉진제로서 코발트 나프테네이트 및 최종적으로 가황 시스템(황, 촉진제, ZnO)을 포함한다.
이들 케이블을 공지된 방법으로 케이블의 직경을 고려하여 2개의 인접 케이블 사이에서 약 0.70mm인 고무 브릿지의 폭에 상응하는 플라이 dm당 63케이블의 밀도에서 평행하게 배열한다.
치수 315/80R 22.5 XZA의 2개의 일련(참조 P-1 및 P-2)의 중장비 차량 타이어를 각각의 일련의 2개의 타이어에서 원뿔형 시트(15°의 경사)을 갖는 림 위에 런닝 및 새로운 타이어에 대한 박리를 위해 설치되도록 제조한다. 이들 타이어의 카캐스 강화물은 각각 케이블 C-I 및 C-II에 의해 강화된 상기 고무 처리 직물로 형성된 단일 방사상 플라이로 형성된다.
타이어 P-1은 본 발명에 따라 시리즈를 구성하고, 타이어 P-2는 선행 기술의 대조 시리즈를 구성한다. 이들 타이어는 카캐스 강화물(7)을 강화시키는 층으로 된 케이블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특히 크라운 강화물(6)은 공지된 방법으로 26°(방사상 내부 플라이) 및 18°(방사상 외부 플라이)로 경사진 확장할 수 없는 금속 케이블로 강화된 (ii) 2개의 교차 중첩 작업 플라이에 의해 덮인 65°로 경사진 금속 케이블로 강화된 (i) 2개의 삼각 분할 1/2 플라이로 형성되고, 이들 2개의 작업 플라이는 18°로 경사진 탄성 금속 케이블(높은 신도)로 강화된 (iii) 보호 크라운 플라이에 의해 피복된다. 이들 크라운 강화 플라이 각각에서, 사용되는 금속 케이블은 서로 사실상 평행하게 배열된 공지된 통상의 케이블이고, 지시된 경사각 모두는 중앙 원주 평면에 대하여 측정된다.
타이어 P-2는 중장비 차량에 대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시판되는 타이어이고, 인지된 성능에 기인하여 이러한 시험에 대한 대조 선택을 구성한다.
이들 타이어를 총 250,000km를 커버링하는 §I-3에 기술된 런닝 시험에 처리한다. 각각의 유형의 타이어에 부과된 거리는 매우 크며, 이는 약 5개월간 지속되는 연속 런닝 및 8천만 피로 사이클에 상응한다.
이들 매우 심한 런닝 조건에도 불구하고, 시험되는 2개의 타이어는 시험 말기까지, 손상 없이, 특히 카캐스 플라이의 케이블의 파단 없이 런닝되고, 이는 특히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대조 타이어를 포함하여, 2개 유형의 타이어의 높은 성능을 예시한다.
런닝 후, 박리를 수행한다. 즉, 타이어로부터 케이블을 추출한다. 케이블을 시험되는 각각의 케이블에 대하여 케이블에서 와이어의 위치에 따라, 각 유형의 와이어의 초기 파단 부하(케이블을 새로운 타이어로부터 추출한다) 및 잔여 파단 부하(케이블을 런닝 후 타이어로부터 추출한다)를 각 시간으로 측정하여 인장 시험한다. 표 3에 %로 주어진 평균 변성 △Fm은 코어 와이어(C0) 및 층 C1 및 C2의 와이어에 모두에 대하여 계산된다. 전체 변성 △Fm은 또한 케이블 자체에 대하여 측정한다.
표 3에서, 분석되는 케이블의 구역(코어 C0, 층 C1 또는 C2)에 상관없이, 최상의 결과가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 C-I에서 기록된다. 변성 △Fm이 외부 층 C2에서 유사하지만(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에서 보다 적지만), 케이블로 침투되고(층 C1에 이어 코어 C0),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의 이점으로 갭이 보다 크며, 코어의 변성은 특히 본 발명의 케이블에서 4배 미만이다(8% 대신 2%). 본 발명의 케이블의 전체 변성 △Fm은 대조 케이블의 것보다 사실상 적다(5% 대신 2%).
상기 결과에 유사하게, 각종 와이어의 가시 시험은 와이어 서로간의 반복된 마찰로부터 생성되는 마모 또는 프레팅의 현상(접촉점에서 물질의 부식)이 케이블 C-2와 비교하여 케이블 C-1에서 사실상 감소함을 보인다.
이들 결과는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예기치 않은 것이며, 이와는 정반대로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에서 상이한 나선 피치 p1및 p2의 선택 및 층 C1 및 C2 사이에서 상이한 접촉각의 존재가 - 접촉 표면을 감소시키고, 층 C1 및 C2의 와이어 사이에서 접촉 압력을 증가시키는 효과- 마찰 및 와이어 사이에서 마모 증가의 반대되는 결과를 초래하며 최종적으로, 결국에는 케이블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는 그러한 경우가 아니다.
B) 시험 2
새로운 런닝 시험을 케이블 C-I 및 C-II로 강화되고, 선행 시험에서와 같이 동일한 치수의 2개의 다른 시리즈의 타이어(시리즈당 2개의 타이어)를 제조하여 상기 기술한 바와 동일한 직물로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타이어는 P-3라 하고, 대조 타이어는 P-4라 한다. 런닝 시험의 특정 조건은 상기와 동일하나, 이동되는 거리가 50,000km로 추가 증가하여 타이어에 총 300,000km이 부과되는 것만 상이하다.
표 3의 결과는 상기 표 1의 결과를 확인해 준다. 최저의 변성은 당해 층에 무관하게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 C-I에서 다시 기록된다(타이어 P-3). 케이블로 침투되고, 본 발명의 케이블의 이점으로 캡이 보다 크고, 코어의 변성은 특히 대조 케이블의 경우에서 보다 4배 미만이다(12% 대신 3%). 결과는 대조 케이블보다 사실상 작은 본 발명의 케이블의 전체 변성이다(7% 대신 4%).
C) 시험 3
새로운 런닝 시험을 치수 10.00 R 20 XZE의 플랫 시트 림 위에 설치하고자 하는 중장비 차량 타이어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한 고무 처리 직물로 수행한다.
시험되는 타이어는 카캐스 강화물(7)로 강화되는 층으로 된 케이블인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다. 이러한 카캐스 강화물(7)은 케이블 C-I 또는 케이블 C-III에 의해 강화된 상기 고무 처리 직물로 형성된 단일 방사상 플라이로 형성된다. 이들 타이어의 크라운 강화물(6)은 공지된 방법으로 22°로 경사진 금속 케이블로 강화된 (i) 2개의 교차 중첩 작업 플라이로 형성되고, 이들 2개의 작업 플라이는 22°로 경사진 탄성 금속 케이블에 의해 강화된 (ii) 보호 크라운 플라이에 의해 커버링된다. 이들 크라운 강화 플라이 각각에서, 사용되는 금속 케이블은 서로 사실상 평행하게 배열된 공지된 통상의 케이블이고, 지시된 경사각은 모두 중앙 원주 평면에 대하여 측정된다.
2개의 타이어(P-5라 함) 시리즈를 케이블 C-I로 강화시키고, 또 다른 2개의타이어(P-6이라 함) 시리즈를 이후에 기술되는 공지된 케이블(C-III이라 함)로 강화시킨다. 각각의 시리즈에서, 하나의 타이어는 런닝을 위한 것이고, 다른 것은 새로운 타이어에 대한 박리를 위한 것이다. 따라서, 타이어 P-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시리즈로 구성되고, 타이어 P-6은 대조 시리즈로 구성된다.
케이블 C-III은 이러한 치수의 중장비 차량 타이어를 강화시키기 위해 통상 사용되는 래핑 구조 [3+9](0.23)의 공지된 케이블이다. 이들은 동일한 직경 0.23mm의 12개의 와이어(표 4에서 F3이라 함)로 형성되고 3개의 와이어의 코어는 6.5mm의 피치에서 나선으로 함께 감기고(S 방향), 이러한 코어는 9개의 와이어의 단일 층에 의해 둘러싸이며, 그 자체는 12.5mm의 피치에서 나선으로 함께 감기고(S 방향), 어셈블리는 3.5mm의 피치에서 나선으로 감긴(Z 방향) 직경 0.15mm의 단일 와이어로 래핑된다. 12개의 와이어(F3이라 함) 및 케이블(C-III이라 함)은 표 4에서 지시된 특성을 갖는다.
이들 타이어를 시험되는 타이어 중의 하나의 파괴가 일어날때까지 시험을 수행하는 것만 제외하고는 I-3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심한 런닝 시험을 수행한다.
이에 부과되는 런닝의 강제 조건 하에 대조 타이어 P-6은 100,000km의 끝에서 파괴되고, 카캐스 플라이가 파단된다(다수의 케이블 C-III이 파단된다). 런닝을 본 발명에 따르는 타이어 P-5에 대하여 중단하고, 본 발명의 케이블을 추출하여 이들 파단 부하의 변성 △Fm을 측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 C-I은 모두 런닝 시험에 견디고(파단 없음), 이들은 10% 미만(케이블에 대하여 8%, 분석되는 층에 따라 개별적으로 취한 와이어에 대하여 7 내지 9%)이므로 비교적 낮은 평균 파단 부하 손실 △Fm을 경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의 사용으로 대조 타이어와 비교하여 이미 우수한 카캐스의 수명을 꽤 유의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D) 공기 투과성 시험
이미 기술된 내구성 결과는 이후 예시되는 바와 같이 고무에 의한 케이블의 침투량과 관련이 있다.
비-피로 케이블 C-I 내지 C-III(새로운 타이어로부터 추출한 후)을 1분 케이블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평균 10회 측정)을 측정함으로써 I-2에 기술된 공기 투과성 시험에 처리한다. 수득되는 투과성 지수 Pa는 표 5에 나타내었다(상대 단위). 지시된 3개의 값은 타이어의 카캐스 강화물의 상이한 지점(타이어의 숄더, 중간 측벽 및 바닥 부분)에서 취한 샘플에 상응하고, 기본 100은 타이어 P-2 및 P-4에서 사용되는 구조 [1+6+12]의 대조 케이블 C-II에 사용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은 최저의 공기 투과성 지수 Pa(대조 케이블 C-II의 10배 이하, 및 실질적으로 대조 케이블 C-III의 30배 이하)를 가지고 최고의 고무 침투량을 갖는다. 이러한 특정 구조는 타이어의 성형 및/또는 경화 동안 사실상 케이블 내에서 케이블의 중심까지 빈 채널의 형성 없이 고무의 완전한 이동을 가능케 한다. 고무에 의해 침투되지 않은 케이블은, 예를 들면, 카캐스 강화물의 영역을 향해 타이어의 측벽 또는 트레드로부터 통과하는 산소 및 수분의 유동으로부터보호되고, 공지된 방법에서 케이블은 가장 심한 기계적 작업에 겪게 된다.
III-4. 기타 비교 시험
새로운 시리즈의 시험에서, 상기 I-5에서 기술된 파상 정지 마찰 피로 시험에 처리하기 위해, 구조 [1+6+11] 또는 [1+7+11]의 5개의 층으로 된 케이블(C-IV 내지 C-VIII이라 함)을 제조하고, 케이블은 본 발명에 따르거나 따르지 않을 수 있다.
A) 시험 4(케이블 C-IV 내지 C-VI)
상기 기술한 와이어 F1및 F2로부터 제조된 케이블 C-IV 내지 C-VI는 표 6에 지시된 특성 및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케이블 C-IV(본 발명에 따름):
- 구조 [1+6+11],
- d0=0.200,
- (d0/d1)=1.14,
- d1=d2=0.175,
- p1=7, p2=10.
케이블 C-V(대조):
- 구조 [1+6+11],
- d0=0.200,
- (d0/d1)=1.14,
- d1=d2=0.175,
- p1=5, p2=10.
케이블 C-VI(대조):
- 구조 [1+6+11],
- d0=0.200,
- (d0/d1)=1.14,
- d1=d2=0.175,
- p1=7.5, p2=15.
따라서, 케이블은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3개의 경우에서, N은 층 C1 주위에 단일 포화 층으로 감길 수 있는 와이어의 최대 수(여기서, Nmax는 12이다)의 1 미만이며, 이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층 구조를 가지고, 피치 p1및 p2는 각각의 케이블에 대하여 상이하고, 피치 p2는 또한 케이블 C-IV 및 C-V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케이블 C-IV 만이 (v)를 충족시키므로, 본 발명에 따른다.
파상 정지 마찰 피로 시험에서, 이들 3개의 케이블은 표 7에 나타낸 결과를제공하고, σdy는 MPa 및 상대 단위(r.u.)로 나타내고, 기본 100은 본 발명의 케이블에 대하여 사용된다.
예기치 않게도, 케이블의 매우 유사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케이블 C-IV는 2개의 대조 케이블 보다 유의하게는 더 나은 피로 강도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특히 본 발명의 케이블과 비교하여 피치 p1이 상이한 대조 케이블 C-V[(v)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보다 23% 초과한다.
B) 시험 5(케이블 C-VII 및 C-VIII)
케이블 C-VII 및 C-VIII을 층 C1 및 C2에 대하여 상기 기술된 와이어 F2(평균 직경 ψ은 0.175mm이다) 및 코어 C0에 대하여 와이어(F4라 함, 평균 직경 ψ은 약 0.250mm이다)로부터 출발하여 제조한다. 이들 와이어 F4는 상기 III-1에 지시된 바와 같이 최종 직경을 수득하기 위해 최종 작업 경화비를 조절함으로써 제조한다. 이들은 표 8에 지시된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케이블 C-VII 및 C-VIII은 다음의 특성을 갖는다(표 8에서 기계적 특성 참조):
케이블 C-VII(본 발명에 따름):
- 구조 [1+7+11],
- d0=0.250,
- (d0/d1)=1.43,
- d1=d2=0.175,
- p1=7, p2=11.
케이블 C-VIII(대조):
- 구조 [1+7+11],
- d0=0.250,
- (d0/d1)=1.43,
- d1=d2=0.175,
- p1=5, p2=10.
따라서, 이들 케이블은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2개의 경우에서 N은 층 C1 주위에 단일 포화 층으로 감길 수 있는 와이어의 최대수(여기서, Nmax=13)의 2 미만이며, 이들 케이블 모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형 층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피치 p1및 p2는 케이블에서 서로 유사하나, 케이블 C-VII은 (v)를 충족시키므로 본 발명에 따른다.
파상 정지 마찰 피로 시험에서(표 9, 기본 100은 대조 케이블에 대하여 사용되고, 값은 상대 단위이다), 본 발명의 케이블 C-VII은 상기 시험의 결과를 확인해 주는 유의하게는 보다 우수한 내구성 σd(대조와 비교하여 약 26% 플러스)에 의해구별된다(표 7). 또한, 공기 투과성 측정 Pa을 수행하여 고무에 의한 침투능력 면에서 케이블 C-VII의 우수성 및 본 발명의 케이블로 유용한 특성의 최상의 전체 절충이 강조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각종 시험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은 타이어, 특히 중장비 차량 타이어의 카캐스 강화물에서 피로-프레팅 부식의 현상을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타이어의 수명을 개선시킬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양태의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케이블의 코어 C0은 비-원현 단면의 와이어, 예를 들면, 가소적으로 탈형된 것, 특히 사실상 타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 예를 들면, 삼각형,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코어 C0은 원형 단면에 무관하게 미리 성형된 와이어, 예를 들면, 파상 또는 나선 와이어 또는 나선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트위스트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코어의 직경 d0은 코어 와이어를 둘러싸는 가공 회전 원주의 직경을 나타내고(벌크의 직경), 코어 와이어 자체의 직경은 아니다(또는 이의 단면이 원형이 아닌 경우, 횡단 크기가 아니다). 코어 C0가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단일 와이어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 동일하게 적용되고, 다수의 와이어는 함께 어셈블리되며, 예를 들면, 2개의 와이어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거나 중간 층 C1과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는 트위스트 방향으로 함께 트위스트된다.
산업적 적합성, 비용 및 전체 성능의 이유로, 원형 단면의 통상적인 단일 선형 코어 와이어에 의해 본 발명이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어 와이어가 케이블에서 다른 와이어보다 케이블링 작동 동안 덜 응력되므로, 예를 들면, 이러한 와이어에서 높은 토션 연성을 제공하는 스틸 조성물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유익하게는 임의 형태의 스틸,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스틸이, 예를 들면, 중심에서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 및 이 주위에 17개의 카본 스틸 와이어를 포함하는 국제특허공보 제WO 98/41682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혼성 스틸 [1+6+11]를 초래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층 C1 및/또는 C2 중의 하나의 하나(이상)의 선형 와이어는 또한, 예를 들면, 고무 또는 기타 물질에 의해 침투시키고자 하는 케이블의 능력을 개선시키기 위해 예비 성형된 또는 변형된 와이어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직경 d1및/또는 d2의 와이어와 상이한 단면의 와이어에 의해 대체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대체 와이어의 벌크의 직경은 가능하게는 당해 층(C1 및/또는 C2)을 구성하는 기타 와이어의 직경(d1및/또는 d2) 미만이거나, 직경과 동일하거나, 직경을 초과한다.
본 발명의 취지를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을 구성하는 와이어의 전부 또는 일부는 금속성에 무관하게 스틸 와이어 이외의 와이어, 특히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무기 또는 유기 금속의 와이어, 예를 들면, 국제특허공보 제WO 92/12018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액정 유기 중합체의 모노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기본 스트랜드로서 본 발명에 따르는 층으로 된 케이블이 혼입된 멀티-스트랜드 스틸 케이블("멀티 스트랜드 루프")에 관한것이다.
와이어 φ Fm(N) At(%) Rm(MPa)
F1 0.200 81.7 1.8 2718
F2 0.175 62.3 2.1 2856
케이블 Fm(N) At(%) Rm(MPa)
C-I 1173 2.7 2696
C-II 1255 2.8 2750
타이어 케이블 △Fm(%)
C0 C1 C2 케이블
P-1P-2 C-IC-II 28 26 35 25
P-3P-4 C-IC-II 312 38 45 47
와이어 또는 케이블 Fm(N) At(%) Rm(MPa)
F3 113 1.8 2790
C-III 1310 3.3 2560
케이블 Pa(상대 단위) 평균 Pa
C-I 10-17-6 11
C-II 102-97-102 100
C-III 315-280-305 300
케이블 Fm(N) At(%) Rm(MPa)
C-IV 1193 2.4 2661
C-V 1181 2.5 2614
C-VI 1211 2.4 2702
케이블 σd(MPa) σd(상대 단위)
C-IV 765 100
C-V 621 81
C-VI 676 88
와이어 또는 케이블 Fm(N) At(%) Rm(MPa)
F4 139 2.0 2824
C-VII 1312 2.4 2667
C-VIII 1275 2.5 2570
케이블 σd(MPa) σd(상대 단위) Pa(상대 단위)
C-VII 779 126 38
C-VIII 619 100 100

Claims (21)

  1. 다음의 특징(d0, d1, d2, p1및 p2, mm)을 가지며, 피치 p1에서 나선형으로 함께 권취되는 직경 d1의 6 또는 7개의 와이어(M은 6 또는 7이다)의 중간 층(C1)에 의해 둘러싸인 직경 d0의 코어(CO)를 포함[여기서, 층 C1 자체는 피치 p2에서 나선형으로 함께 권취되는 직경 d2의 N개의 와이어(여기서, N은 층 C1에 대하여 하나의 층으로 권취될 수 있는 와이어의 최대수 Nmax의 1 내지 3 미만이다)의 외부 층(C2)에 의해 둘러싸인다]하는, 타이어 카캐스 강화물에 대한 강화 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불포화 외부 층을 갖는 다층 케이블.
    (i) 0.14 < d0< 0.28,
    (ii) 0.12 < d1< 0.25,
    (iii) 0.12 < d2< 0.25,
    (iv) M이 6인 경우, 1.10 < (d0/d1) < 1.40,
    M이 7인 경우, 1.40 < (d0/d1) < 1.70,
    (v) 5π(d0+ d1) < p1< p2< 5π(d0+ 2d1+ d2),
    (vi) 층 C1 및 C2의 와이어는 동일한 트위스트 방향으로 권취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구조가 [1+M+N]이고, 코어가 단일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는 케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구조가 [1+6+10], [1+6+11], [1+6+12], [1+7+11], [1+7+12] 및 [1+7+13]으로부터 선택되는 케이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구조가 [1+6+N]인 케이블.
  5. 제4항에 있어서, 구조가 [1+6+11]인 케이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을 충족시키는 케이블.
    - d1= d2,
    - 5 < p1< p2< 15.
  7. 제6항에 있어서, 다음을 충족시키는 케이블.
    - 0.18 < d0< 0.24,
    - 0.16 < d1= d2< 0.19,
    - 5 < p1< p2< 12.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틸 케이블임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9. 제8항에 있어서, 스틸이 카본 스틸임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을 충족시키는 케이블.
    5.3π(d0+ d1) < p1< p2< 4.7π(d0+ 2d1+ d2)
  11. 플라스틱 물질 및/또는 고무의 제품 또는 반가공 생성물에 대한 강화 부재로서의,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케이블의 용도.
  12. 밴(van), 중장비 차량, 농업용 기계류 또는 건설 기계류, 항공기 및 기타 수송 또는 조종 차량으로부터 선택되는 산업용 차량용 타이어에 대한 카캐스 강화물의 강화 부재로서의,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케이블의 용도.
  13. 카캐스 강화물이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중장비 차량 타이어.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케이블에 의해 강화된 고무 조성물의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중장비 차량 타이어에 대한 카캐스 강화 플라이(ply)로서 유용한 복합 직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케이블 밀도가 직물 dm당 40 내지 100케이블인 직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케이블 밀도가 직물 dm당 50 내지 80케이블인 직물.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인접 케이블 사이에서 고무 조성물의 브릿지의 폭이 0.35 내지 1mm인 직물.
  18. 제17항에 있어서, 폭이 0.5 내지 0.8mm인 직물.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황되는 경우, 고무 조성물의 할선 인장 모듈러스 M10이 8MPa 미만인 직물.
  20. 제19항에 있어서, 가황되는 경우, 고무 조성물의 할선 인장 모듈러스 M10이 4 내지 8MPa인 직물.
  21. 카캐스 강화물이 제14항 내지 제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하나 이상의 직물을 강화 플라이로서 포함하는 중장비 차량 타이어.
KR1020017016681A 1999-06-29 2000-06-26 타이어 케이싱용 다층 강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대형 차량용 타이어 Expired - Fee Related KR100686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08446 1999-06-29
FR9908446A FR2795751A1 (fr) 1999-06-29 1999-06-29 Cable d'acier multicouches pour carcasse de pneuma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111A true KR20020019111A (ko) 2002-03-09
KR100686906B1 KR100686906B1 (ko) 2007-02-27

Family

ID=954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68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86906B1 (ko) 1999-06-29 2000-06-26 타이어 케이싱용 다층 강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대형 차량용 타이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748989B2 (ko)
EP (1) EP1200671B1 (ko)
JP (1) JP4686086B2 (ko)
KR (1) KR100686906B1 (ko)
CN (1) CN1295393C (ko)
AT (1) ATE299964T1 (ko)
AU (1) AU5819900A (ko)
BR (1) BR0012004B1 (ko)
CA (1) CA2377170C (ko)
DE (1) DE60021389T2 (ko)
FR (1) FR2795751A1 (ko)
MX (1) MXPA01013237A (ko)
RU (1) RU2227186C2 (ko)
WO (1) WO200100092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761B1 (ko) * 2006-11-23 2007-12-2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복합 스틸코드 및 이를 이용한 래디얼 타이어
CN102639337A (zh) * 2009-12-04 2012-08-15 米其林集团总公司 包括具有不同渗透程度的胎体增强件缆线的轮胎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38581C (zh) 1999-12-30 2006-01-25 米其林技术公司 用于轮胎胎体的多层钢缆
JP2004527666A (ja) 2001-01-04 2004-09-09 ソシエテ ド テクノロジー ミシュラン タイヤのクラウン補強体の多層スチールケーブル
WO2002053828A1 (fr) * 2001-01-04 2002-07-11 Societe De Technologie Michelin Cable d'acier multicouches pour armature de sommet de pneumatique
FR2841573A1 (fr) * 2002-06-26 2004-01-02 Michelin Soc Tech Cables hybrides a couches utilisables pour renforcer des pneumatiques
US20050222318A1 (en) * 2002-10-02 2005-10-06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Carcass reinforcement for tire intended to bear heavy loads
JP4543145B2 (ja) * 2002-10-11 2010-09-15 ソシエテ ド テクノロジー ミシュラン 重車両用タイヤの補強に用いるケーブル
JP2005002515A (ja) * 2003-06-13 2005-01-06 Bridgestone Corp スチールコード
PL1646749T3 (pl) * 2003-07-17 2008-10-31 N V Bekaert Sa Stalowy kord o otwartych warstwach o wysokim obciążeniu zrywającym
FR2864556B1 (fr) * 2003-12-24 2006-02-24 Michelin Soc Tech Cable a couches pour armature de carcasse de pneumatique
JP2006283249A (ja) * 2005-04-01 2006-10-19 Toyo Tire & Rubber Co Ltd スチールコードの製造方法とスチールコード及び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4806587B2 (ja) * 2006-05-25 2011-11-02 東京製綱株式会社 スチールコードの製造方法及びスチールコード
FR2938557B1 (fr) * 2008-11-17 2011-02-18 Michelin Soc Tech Cable a trois couches, gomme in situ, pour armature de carcasse de pneumatique
FR2940183B1 (fr) 2008-12-22 2011-03-04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comportant des cables d'armature de carcasse presentant une faible permeabilite, et des fils textiles associes a l'armature de carcasse
FR2940184B1 (fr) * 2008-12-22 2011-03-04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comportant des cables d'armature de carcasse presentant une faible permeabilite, et des fils textiles associes a l'armature de carcasse
FR2947574B1 (fr) 2009-07-03 2012-11-09 Michelin Soc Tech Cable multitorons dont les torons elementaires sont des cables a deux couches gommes in situ.
FR2947575B1 (fr) 2009-07-03 2011-08-19 Michelin Soc Tech Cable multitorons dont les torons elementaires sont des cables a deux couches gommes in situ.
FR2947577B1 (fr) 2009-07-03 2013-02-22 Michelin Soc Tech Cable metallique a trois couches gomme in situ de construction 3+m+n
FR2950838B1 (fr) * 2009-10-07 2013-02-22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comportant des cables d'armatures de carcasse presentant une faible permeabilite, et des epaisseurs de melanges caoutchouteux variables.
US20120193006A1 (en) * 2009-10-16 2012-08-02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FR2954219A1 (fr) * 2009-11-17 2011-06-24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comportant des cables d'armature de carcasse presentant des permeabilites differentes
FR2953452B1 (fr) * 2009-12-04 2011-12-09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comportant des cables d'armature de carcasse frettes
FR2989028B1 (fr) * 2012-04-06 2015-03-06 Michelin & Cie Pneumatique comportant une armature de carcasse dont les elements de renforcement sont fortement penetres
JP5825234B2 (ja) 2012-09-11 2015-12-02 横浜ゴム株式会社 ゴム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およびコンベヤベルト
FR2999614B1 (fr) * 2012-12-14 2015-08-21 Michelin & Cie Cable metallique a couches a haute penetrabilite
TWI427207B (zh) * 2013-04-26 2014-02-21 Yuan Hung Wen 繩索
KR101523429B1 (ko) * 2013-09-06 2015-05-2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보강용 스틸코드 및 이를 적용한 래디얼 타이어
FR3014914B1 (fr) * 2013-12-16 2016-12-09 Michelin & Cie Cable metallique multi-torons a deux couches
FR3014913B1 (fr) * 2013-12-16 2016-12-09 Michelin & Cie Cable metallique multi-torons a deux couches
DE102015203527A1 (de) 2015-02-27 2016-09-01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Nutzfahrzeugreifen mit niedriger Querschnittshöhe
EP3645785B1 (en) * 2017-06-27 2024-06-19 Bekaert Advanced Cords Aalter NV A reinforcement strand for reinforcing a polymer article
ES2984917T3 (es) * 2017-06-27 2024-10-31 Bekaert Advanced Cords Aalter Nv Correa reforzada con hebras de acero
FR3103200A1 (fr) 2019-11-15 2021-05-21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Câble métalliques à deux couches avec couche interne gainée à rendement amélioré
CN116397452A (zh) * 2023-05-24 2023-07-07 江苏兴达钢帘线股份有限公司 一种钢丝帘线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312B2 (ja) 1973-07-17 1985-02-0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補強用スチ−ルコ−ド
GB1582647A (en) 1977-07-07 1981-01-14 Bekaert Sa Nv Metal cord
NL191315C (nl) * 1981-05-08 1995-05-16 Bekaert Sa Nv Kabel voor het versterken van elastomeer materiaa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dergelijke kabel.
JPS58188201U (ja) 1982-06-04 1983-12-1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ラジアルタイヤ
EP0169588B1 (en) 1984-07-09 1987-12-09 N.V. Bekaert S.A. Steel cord twisting structure
GB8424086D0 (en) 1984-09-24 1984-10-31 Bekaert Sa Nv Steel cord
AU563184B2 (en) 1985-02-26 1987-07-02 Bridgestone Corporation Steel reinforcement cords
FR2603916B1 (fr) 1986-09-15 1990-11-30 Michelin & Cie Assemblages de fils de renfort pour matieres plastiques et/ou caoutchoucs comportant une ame; articles renforces par ces assemblages
JPS6410098U (ko) * 1987-02-16 1989-01-19
FR2636978B1 (fr) 1988-09-28 1990-11-02 Michelin & Cie Assemblage a couches de fils concentriques
US5285836A (en) 1991-01-31 1994-02-15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3+7+13 steel cord and tire including same
JP3538205B2 (ja) * 1992-03-09 2004-06-1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のカーカス用のスチールコード、タイヤのフィラー用のスチールコード、及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
ES2090867T3 (es) 1992-04-27 1996-10-16 Bridgestone Corp Cordones de acero para refuerzo de articulos de caucho y neumaticos radiales.
FR2711149A1 (fr) 1993-10-15 1995-04-21 Michelin & Cie Fil en acier inoxydable pour carcasse d'enveloppe de pneumatique.
EP0669421B1 (en) 1994-02-24 2000-05-24 Bridgestone Corporation Steel cords for the reinforcement of rubber articles and pneumatic radial tires using the same
EP0709236A1 (en) 1994-10-28 1996-05-01 Sumitomo Rubber Industries Limited Tyre cord
JP3805007B2 (ja) * 1994-11-14 2006-08-0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物品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
JPH08176977A (ja) * 1994-12-26 1996-07-09 Bridgestone Corp ゴム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及びそれを使用したラジアルタイヤ
JP3455352B2 (ja) * 1994-12-26 2003-10-1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及びそれを使用したラジアルタイヤ
US5806296A (en) 1995-05-26 1998-09-15 Bridgestone Metalpha Corporation Corrosion resistant spiral steel filament and steel cord made therefrom
DE69609041T2 (de) 1995-12-14 2001-03-08 Bridgestone Corp., Tokio/Tokyo Stahlseile zur Verstärkung von Gummiartikeln und solche Stahlseile aufweisender radialer Luftreifen
ES2192679T3 (es) 1996-04-18 2003-10-16 Bridgestone Corp Hilos de acero para el refuerzo de articulos de caucho y cubiertas neumaticas.
RU2196856C2 (ru) 1997-03-14 2003-01-20 Компани Женераль Дез Этаблиссман Мишлен-Мишлен э Ко Гибридный стальной корд для автопокрыше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761B1 (ko) * 2006-11-23 2007-12-2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복합 스틸코드 및 이를 이용한 래디얼 타이어
CN102639337A (zh) * 2009-12-04 2012-08-15 米其林集团总公司 包括具有不同渗透程度的胎体增强件缆线的轮胎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86086B2 (ja) 2011-05-18
ATE299964T1 (de) 2005-08-15
US6748989B2 (en) 2004-06-15
CN1295393C (zh) 2007-01-17
US20020153078A1 (en) 2002-10-24
BR0012004A (pt) 2002-03-12
DE60021389D1 (de) 2005-08-25
DE60021389T2 (de) 2006-04-27
CA2377170A1 (fr) 2001-01-04
EP1200671B1 (fr) 2005-07-20
MXPA01013237A (es) 2002-06-21
CN1359435A (zh) 2002-07-17
WO2001000922A1 (fr) 2001-01-04
FR2795751A1 (fr) 2001-01-05
CA2377170C (fr) 2008-12-30
WO2001000922A8 (fr) 2001-07-12
AU5819900A (en) 2001-01-31
KR100686906B1 (ko) 2007-02-27
EP1200671A1 (fr) 2002-05-02
BR0012004B1 (pt) 2011-07-12
JP2003503605A (ja) 2003-01-28
RU2227186C2 (ru) 2004-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6906B1 (ko) 타이어 케이싱용 다층 강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대형 차량용 타이어
US6837289B2 (en) Multi-layer steel cable for tire carcass
US4836262A (en) Metal cords and pneumatic tires using the same
CN1898435B (zh) 用于轮胎胎体增强层的三层金属缆绳
JP5276717B2 (ja) タイヤのカーカス補強材のための現場ゴム引き層状ケーブル
US4966216A (en) Heavy duty radial tires with metallic carcass ply
EP2504485B1 (en) Open multi-strand cord
EP0373595A1 (en) Steel cord fo reinforcing rubber
EP0719889B1 (en) Steel cords for the reinforcement of rubber article
US20110253279A1 (en) Tyre reinforced with steel cords comprising fine filaments
JP2016504502A (ja) 高浸透性の層を有する金属コード
JPH0331601B2 (ko)
US6766841B2 (en) Multi-layer steel cable for tire crown reinforcement
US6962182B2 (en) Multi-layer steel cable for tire crown reinforcement
KR100683956B1 (ko) 타이어용 나일론―스틸 하이브리드 코드
JP2007031890A (ja) スチールコード及び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KR100693083B1 (ko) 타이어 보강용 셀룰로오스 스틸 하이브리드 코드
KR100693082B1 (ko) 타이어 보강용 셀룰로오스 스틸 하이브리드 코드
JP2531771B2 (ja) 重荷重用ラジアルタイヤ
JP2023502224A (ja) 被覆内層を有する、浸透性が改善された2層マルチストランドケーブル
JPH10158983A (ja) ゴム物品補強用スチールコード
MXPA06007235A (en) Three-layer metal cord for tyre carcass reinfor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6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