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94185Y1 - 디지털 소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소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185Y1
KR200194185Y1 KR2020000007806U KR20000007806U KR200194185Y1 KR 200194185 Y1 KR200194185 Y1 KR 200194185Y1 KR 2020000007806 U KR2020000007806 U KR 2020000007806U KR 20000007806 U KR20000007806 U KR 20000007806U KR 200194185 Y1 KR200194185 Y1 KR 200194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igital
unit
power supply
det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창성에이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창성에이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창성에이스산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18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시 불꽃 가스 및 온도 등의 센서 정보를 디지털 분석처리하여 전송하고, 자체 쌍방향 디지털 통신기능을 내장하여 별도의 중계기 없이도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방재센터에서 종합적인 상황을 세부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디지털 소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온도감지기, 적외선 불꽃감지부, 연소가스 감지부, 입력수동조작, 가스 방출, 패키지 도어 열림 확인, 전원의 이상여부, 예비 접점의 입력상태 등을 통하여 화재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감지부에서 발하는 화재 관련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장치 또는 음성장치로 경보를 발하고 기동장치를 동작시켜 소화약제를 방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처리부; 감지부에 대한 감시 및 처리부의 제어상태를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안정된 통신상태를 유지하고, 방재센터에서 원격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통신장치; 상기 감지부와 처리부 그리고 디지털통신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며 퓨즈단선, 예비전원 퓨즈단선, 예비전원 이상시 경보를 발하는 경보기능이 있는 전원부; 상기 처리부 및 전원부에 의한 이상상태 감지에 대한 유무에 대한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져, 디지털 소화 시스템 장비의 디지털화에 따라 제어 자체가 정밀하여 신뢰성을 높여 주는 효과가 있고, 쌍방향 디지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져 화재 대응이 보다 안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순수 국산화에 따라 국내 수요자들에게 저렴한 가격에 공급할 수 있어 외화 절감 및 수출에 기여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시 자동으로 소화기능이 작동되어 단시간 내에 초기 진화가 가능하고 원격지에서도 감시할 수 있어 관리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소화 시스템 {Digital extinguishing system}
본 고안은 소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체 소화 시스템을 종전의 아날로그 형태에서 디지털 형태로 전환하여 화재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체계적이고 신속하게 화재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소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캐비넷형 자동 소화기기는 화재인식 방법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각부 센서가 해당 접점에 접점되며 접점유무에 따라 릴레이(relay)가 연동하여 동작되므로 해당 소화기의 기동장치를 동작시켜 소화동작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방식의 소화 제어 시스템은 소방장비의 접점 유무에 따른 상황판단 정보만을 전달하므로 시스템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처리가 미흡하고, 또 다른 소방장비와의 연동시 별도의 통신용 중계기나 연동장비가 필요하여 관리상의 이원화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시 불꽃 가스 및 온도 등의 센서 정보를 디지털 분석처리하여 전송하고, 자체 쌍방향 디지털 통신기능을 내장하여 별도의 중계기 없이도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방재센터에서 종합적인 상황을 세부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디지털 소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은 화재시 발생하는 열, 연기 등을 이용하여 화재발생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처리부에 신호를 발신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에서 발생하는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장치(음성장치 포함)로 경보를 발하고 기동장치를 동작시켜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제어부와, 감지부에 대한 감시 및 처리부의 제어상태를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안정된 통신상태를 유지하고, 방재센터에서 원격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통신장치와, 시스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며 퓨즈(fuse)의 단선, 예비 전원 이상시 경보를 발하는 전원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소화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소화 시스템의 주요부에 관한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소화 작동 관계에 대한 블록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소화 시스템 중 전원부에 관한 상세블록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소화 시스템 중 메인제어부에 관한 상세 블록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소화 시스템 중 디스플레이부에 관한 상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방재센터 21, 22, 23, N : 다수개의 소방시설
11 : 전원부 12 : 메인 센터
13 : 메인 제어부 14 : 디스플레이부
15 : 수동조작함 16 : 외부경보기기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소화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전체적인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재센터(1)에서 다수개의 소방시설(21,22,23,N)을 원격지에서 관리한다.
이때 다수개의 소방시설(21,22,23,N)은 갯수가 1개 내지 2개일 수 있고, 또한 무게가 45kg 또는 7.5kg의 소형의 것 등으로 다양하게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방재센터(1)와 다수개의 소방시설(21,22,23,N)이 서로 쌍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RS-485를 이용하여 통신설치가 된 상태이다.
이렇게 원격으로 소방시설이 있는 실내의 상황을 감시하기 위하여 소방시설 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감지기, 적외선 불꽃감지부, 연소가스 감지부, 입력수동조작, 가스 방출, 패키지 도어 열림 확인, 전원의 이상여부, 예비 접점의 입력상태 등을 통하여 화재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에서 발하는 화재 관련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장치 또는 음성장치로 경보를 발하고 기동장치를 동작시켜 소화약제를 방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제어부(13)와, 감지부에 대한 감시 및 처리부의 제어상태를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안정된 통신상태를 유지하고, 방재센터에서 원격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통신장치와, 상기 감지부와 처리부 그리고 디지털통신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며 퓨즈단선, 예비전원 퓨즈단선, 예비전원 이상시 경보를 발하는 경보기능이 있는 전원부(11)와, 상기 처리부 및 전원부에 의한 이상상태 감지에 대한 유무에 대한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4)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제어부(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전원부로부터 단선 이상상태에 대해 입력되는 신호를 종합하여 화재발생으로 감지되면, 외부경보기기에 경보신호를 발하고 디스플레이부에 해당 상황을 표시해주며, 솔레노이드(solenoid)를 기동시켜 가스를 방출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상기 전원부(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회로, 충전회로, 역전압방지회로, 전압-주파수변환회로 외에도 상시전원 예비전원 등의 퓨즈 단선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감지부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상태와 자동/수동 모드 여부와 예비전원 상태 및 화재발생, 이상상태 발생, 소화가스방출, 소화가스기동, 통신 등에 관한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LED 및 LCD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화재 발생시 소화과정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동작을 도 3을 참고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재가 발생되면 소방시설이 있는 실내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 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 L1, L2가 동작되고, 이에 따라 LCD의 L1, L2가 점등되고 화재 알람경보음이 울린다.
이때 자동모드(AUTO모드)로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자동프로그램에 의해 화재시 동작되는 경보음, 알람점등, 센터에 화재통보, 예비 릴레이 연동을 수행하고, 불을 끄기 위해 가스 방출을 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를 기동시켜 화재를 진압한다.
그리고 가스가 방출되면 압력스위치 접점되어 이에 따라 가스가 방출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센서 L1/L2 또는 센서 L2/L1이 동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수동조작함의 기동스위치를 조작하여 스위치를 온(on)하거나, 판넬 기동스위치 및 방재센터(1)에서 관리자의 판단하에 화재경보음을 울림과 동시에 소화기능을 하도록 스위치를 온(on)하여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가스가 방출되어 화재가 진압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디지털 소화 시스템은 장비의 디지털화에 따라 제어 자체가 정밀하여 신뢰성을 높여 주는 효과가 있고, 쌍방향 디지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짐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화재에 대응할 수 있어 안정적인 화재 대비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순수 국산화에 따라 국내 수요자들에게 저렴한 가격에 공급할 수 있어 외화 절감 및 수출에 기여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시 자동으로 소화기능이 작동되어 단시간내에 초기 진화가 가능하고 원격지에서도 감시할 수 있어 관리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소방시설 산업상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온도감지기, 적외선 불꽃감지부, 연소가스 감지부, 입력수동조작, 가스 방출, 패키지 도어 열림 확인, 전원의 이상여부, 예비 접점의 입력상태 등을 통하여 화재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에서 발하는 화재 관련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장치 또는 음성장치로 경보를 발하고 기동장치를 동작시켜 소화약제를 방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처리부와,
    감지부에 대한 감시 및 처리부의 제어상태를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안정된 통신상태를 유지하고, 방재센터에서 원격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통신장치와,
    상기 감지부와 처리부 그리고 디지털통신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며 퓨즈단선, 예비전원 퓨즈단선, 예비전원 이상시 경보를 발하는 경보기능이 있는 전원부와,
    상기 처리부 및 전원부에 의한 이상상태 감지에 대한 유무에 대한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소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전원부로 단선 이상상태에 대해 입력되는 신호를 종합하여 화재발생으로 감지시 외부경보기기에 경보신호를 발하고, 디스플레이부에 해당 상황을 표시해주며, 기동장치(솔레노이드)를 기동시켜 가스를 방출토록 하여 제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소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통신장치는
    RS-485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쌍방향 데이터 통신을 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소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정류회로, 충전회로, 역전압방지회로, 전압-주파수변환회로 외에도 상시전원 예비전원 등의 퓨즈 단선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소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전원 공급 상태와 자동/수동 모드 여부와 예비전원 상태 및 화재발생, 이상상태 발생, 소화가스방출, 소화가스기동, 통신 등에 관한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LED 및 LC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소화 시스템.
KR2020000007806U 2000-03-20 2000-03-20 디지털 소화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20019418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938A KR100385758B1 (ko) 2000-03-20 2000-03-20 디지털 소화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938A Division KR100385758B1 (ko) 2000-03-20 2000-03-20 디지털 소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185Y1 true KR200194185Y1 (ko) 2000-09-01

Family

ID=196566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806U Expired - Fee Related KR200194185Y1 (ko) 2000-03-20 2000-03-20 디지털 소화 시스템
KR10-2000-0013938A Ceased KR100385758B1 (ko) 2000-03-20 2000-03-20 디지털 소화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938A Ceased KR100385758B1 (ko) 2000-03-20 2000-03-20 디지털 소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418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731B1 (ko) 2006-08-17 2012-11-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자동 소화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828028B1 (ko) * 2016-09-30 2018-02-09 웅천종합건설(주)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CN112447017A (zh) * 2019-08-27 2021-03-05 青岛中阳消防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断路时报火警的缆式线型感温火灾探测器
CN117717733A (zh) * 2024-02-06 2024-03-19 力高(山东)新能源技术股份有限公司 储能电池模组灭火组件状态监测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5405A (ja) * 1998-09-17 2000-03-28 Kuroishi Tekko Kk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731B1 (ko) 2006-08-17 2012-11-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자동 소화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828028B1 (ko) * 2016-09-30 2018-02-09 웅천종합건설(주)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CN112447017A (zh) * 2019-08-27 2021-03-05 青岛中阳消防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断路时报火警的缆式线型感温火灾探测器
CN117717733A (zh) * 2024-02-06 2024-03-19 力高(山东)新能源技术股份有限公司 储能电池模组灭火组件状态监测系统及方法
CN117717733B (zh) * 2024-02-06 2024-05-10 力高(山东)新能源技术股份有限公司 储能电池模组灭火组件状态监测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038A (ko) 2001-10-24
KR100385758B1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4282B2 (ja) 警報器
US8068026B1 (en) Periodic tester to determine readiness of a fire pump system
JP2003281647A (ja) 監視装置
KR200416819Y1 (ko) 배전반 소화장치
KR100892604B1 (ko) 소방 복합 관제 모듈
KR102234285B1 (ko)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KR100750513B1 (ko) 소방관리용 p형 및 p형복합식 수신기
KR200194185Y1 (ko) 디지털 소화 시스템
JP2013085914A (ja) アラーム弁とそれを備えた消火設備および火災報知設備
KR20050064510A (ko) 원격제어 소방시스템
CN210384673U (zh) 灭火控制系统
KR20130059248A (ko) 자동 소화 시스템
JP5781792B2 (ja) 警報器及び監視システム
JP3963416B2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JP3322381B2 (ja) 消火設備
JP7441919B2 (ja) 防災システム
KR20000008505A (ko) 자동 소화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CN116271619A (zh) 一种模块化全氟己酮储能集装箱消防系统及灭火方法
JP3575940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異常通報装置の監視装置
JP3113206B2 (ja) 自動消火設備における故障発生表示方式
JP3190746U (ja) 警報器
KR200466538Y1 (ko) 화재시 소화 약제를 방출시키는 솔레노이드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KR102062302B1 (ko) 소방선로에 사용되는 교차 회로 감지기 및 그 작동방법
KR19990064937A (ko) 자동소화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KR20090080282A (ko) 화재 단계별 통지기능을 구비한 소방관리용 가스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320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6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32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1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8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