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28028B1 -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028B1
KR101828028B1 KR1020160127170A KR20160127170A KR101828028B1 KR 101828028 B1 KR101828028 B1 KR 101828028B1 KR 1020160127170 A KR1020160127170 A KR 1020160127170A KR 20160127170 A KR20160127170 A KR 20160127170A KR 101828028 B1 KR101828028 B1 KR 101828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gas
remote control
incombustible
nitrogen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웅천종합건설(주)
박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천종합건설(주), 박성준 filed Critical 웅천종합건설(주)
Priority to KR1020160127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4Pipe-line systems pressuris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92Gaseous extinguishing substances, e.g. liquefied gases, carbon dioxide snow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02J13/0003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건축물, 소형기숙사, 주택, 민박 또는 펜션 등과 같은 건축물에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저장용기와 배관 및 배선이 필요 없는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연동하는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및 전기시설의 과부하, 합선, 또는 누전시 경고 및 전기 자동차단 기능과 휴면전기 절약기능으로 구성된 디지털 전기콘센트, 연동된 감지기 센서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건물 내에 가스를 차단하는 가연성 가스차단기, 상기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 사용한 소화설비에서 산란형 방사헤드로 부터 화재주변부터 신속히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분사토록 하기 위한 제어시스템과 상기 제어부의 작동과 연동하여 화재신고를 휴대폰, 안심폰 또는 PDA와 무선 단말기로 소방서와 다수의 관리자에게 자동 통보하고 이를 수신한 소방서는 소방차를 출동시키고, 관리자는 상기 무선 단말기 또는 인터넷을 통해 건물에 설치된 제어부를 통제할 수 있으며 또한 거실내 적외선 감시센서가 인체 이동사항을 감지하여 통보하는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the fire extinguisher using a noncombustible gas nitrogen or IG-541}
본 발명은 건물에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저장용기와 배관 및 산란형 방사헤드로 연결된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및 배선이 필요 없는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건물의 전기를 차단하는 디지털콘센트, 가스를 차단하는 가연성 가스차단기, 상기 질소가스,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시스템과 상기 제어부의 작동과 연동하여 화재신고를 통신시설을 통해서 소방서와 다수의 관리자에게 통보하고 이를 수신한 소방서는 소방차를 출동시키고, 관리자는 휴대폰, GPS 안심폰, PDA와 같은 무선 단말기와 또는 인터넷을 통해 건물의 제어부를 통제할 수 있게 하는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노후건물의 경우 노후한 전기시설 등으로 화재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또한 단독건물이나 다가구 건물 등은 소방시설을 설치해야 하는 의무규정이 지금까지 없고(2017년부터 의무화 됨), 대부분 소화기나 소방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관리소홀 및 유사시 활용할 수 있는 교육훈련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면 초기진압 및 신속한 대처능력의 미비로 피해를 확대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 내에 이산화탄소 또는 하론가스 소화설비를 설치하여 저장된 가스탱크와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배선이 필요한 화재감지기를 설치하고 이산화탄소 또는 하론가스 기동용기와 이산화탄소 또는 하론가스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이산화탄소 또는 하론가스 분사헤드가 있으나, 이와 같은 시설은 상업용 시설이나 고층건물에 일부 설치되어 있을 뿐, 소규모 주거용 건물에는 설치가 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소방시설은 화재 진압을 위해 이산화탄소 또는 하론가스 저장용기에 저장된 불연성 가스 소화약제를 모두 소진한 경우, 더 이상 이산화탄소 또는 하론가스가 공급되지 않아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장 많이 설치된 스프링클러의 경우 다량의 소화수로 인하여 2차적으로 건물내의 수손 피해가 화재소실 피해보다 더 많이 발생하고 있고, 다층 건물의 경우 아래층까지 수손피해가 많이 발생하는 큰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어떠한 경우는 화재가 발생하면, 가연성 가스관을 가열시키거나 또는 가스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2차적으로 가스가 폭발하게 되어 대형화재로 확대되는 문제점과 화재진압 후 배관을 수동으로 패쇄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가연성 가스가 방출되어 2차적으로 질식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1525699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본 발명은, 건물 내에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를 설치하되, 배선이 필요없는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연동하여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를 설치하여 기존의 물소화설비에서 발생하는 소화수로 인한 2차적 수손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건물 내에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를 설치하되, 배선이 필요없는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에서 화재 발생을 감지하면 연동하여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에 산란형 방사헤드를 설치하여 화재주변부터 신속히 불연가스를 분사됨으로써 신속하게 불을 진압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화재 발생 감지와 연동하여 건물 내로 공급되는 전기, 가연 가스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2차적으로 발화원인을 제거하고, 아울러 화재 및 구급 발생사실을 통보받은 다수의 관리자는 인터넷 또는 휴대폰, GPS 안심폰, PDA와 같은 무선 단말기를 통해서 건물 내의 전기시설, 가스시설을 제어할 수 있고 CCTV 감시제어를 통하여 실시간 동영상으로 현장을 확인하는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재 진압을 위한 시스템 제어 및 경보 전송역할을 하기 위한 설비로서, 무선 CDMA 모듈이 내장되고, 각종 센서 등에 연동하여 각 시설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고, 비상 상황시 경보음 및 다수의 문자메시지, 음성 통보 기능과, 인터넷 또는 휴대폰, GPS 안심폰 또는 PDA와 같은 무선달말기를 사용한 각종 시설의 설정과 해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원격 제어부(전기제어, 가스제어, CCTV 감시제어, 입출입자 제어, 인체감시 제어, 비상벨, 싸이렌방범벨 제어)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일반건축물, 소형기숙사, 주택, 민박, 펜션와 같은 건축물내의 화재위험 장소에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를 설치하고, 상기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는 화열 및 연기에 의해 자동 작동되어 불연성 가스 소화약제를 방사하게 구성하되, 상기 불연성 가스는 소방차와 연결되는 옥외주입구, 불연성 가스 소화약제를 저장하는 가스저장 용기와 연결되는 연결관, 산란형 방사헤드가 연결된 소화용 가스배관에 압력스위치(39)와 선택밸브를 설치하여,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에서 불연성 가스가 자동으로 방사되어 배관에 흐를때 경보음 및 다수의 문자메시지, 음성 통보기능과, 인터넷 또는 휴대폰, GPS 안심폰 또는 PDA와 같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각종 시설의 설정과 해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화재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전기시설의 과부하, 합선, 또는 누전과 같은 이상현상 발생시 경고 및 전기 자동차단 기능과 휴면전기 절약기능으로 구성된 디지털콘센트를 설치하고, 이를 상기 원격 제어부와 연동하게 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건물에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게 하거나 원격으로 제어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질소가스는 불연성 가스로서 고압으로 방사하여 화재발생 지역의 공기의 공급을 차단해서 화재를 질식소화를 할 수 있다. 또한 IG-541은 대기 중의 성분인 질소 52%, 아르곤 40%, 이산화탄소 8% 등 세 가지의 혼합물로 구성된 환경친화적인 불활성 가스이고, 화재의 질식소화에 효과적인 특징 있다.
특히, IG-541에 포함된 아르곤은 가스 소화약제를 공기보다 약 5% 무겁게 만들어 소화 약제 방출 후 소화농도 이상으로 20분 이상을 유지해주기 때문에 재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세민, 독거노인, 소년소녀 가장과 같은 취약계층의 거주시설에서 화재 및 응급환자 발생 시 대처가 어려워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므로 다수의 문자메시지 및 음성 통보 기능과, 인터넷(27) 또는 휴대폰, 안심폰 또는 PDA와 같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CCTV 감시제어 기능으로 현장상황을 확인하여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배선이 필요없는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에서 화재를 감지하고 신속히 연동하는 시스템으로 기존설비들은 배선을 해야하는 설비이므로 전기자재와 인건비가 절약됨은 물론 단선, 배선저항 등으로 인한 고장이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의 원격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 소화설비로의 소화약제 공급은 추가적으로 불연가스 옥외 주입구(11)를 통한 화학소방차의 가스 공급 및 예비 가스저장 용기를 선택적으로 원격제어 할 수 있어 비상 상황시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IG-541를 계속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원격 제어부를 통해 자동으로 다수의 관리자나 인근 소방서 상황실에 화재 발생 사실을 통보하게 함으로써 소방차의 신속한 출동으로 화재진압 등 긴급사항을 초기에 조치하게 할 수 있고, 화재발생 감지와 연동하여 건물 내로 공급되는 전기, 가스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화재로 인한 2차적인 발화원인을 제거하게 되므로 가스폭발이나 전기 감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어 안전하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본 발명은,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의 산란형 방사헤드를 설치하여 건축물 내부 화재주변과 화재공간에 신속히 불연가스를 분사함으로써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더욱이, 화재 발생 사실을 통보 받은 다수의 관리자는 인터넷 또는 휴대폰, GPS 안심폰 또는 PDA과 같은 무선 단말기를 통해서 건물내의 전기시설, 가스시설 및 소화용 배관을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무엇보다도 건물화재의 발생과 그 피해규모를 혁신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물을 소화약제로 사용함으로써 물로 인한 2차적으로 수손 피해가 화재소실 피해보다 더 많다는 것을 감안하면 2차적으로 수손 피해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한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한 소화설비 연동 원격제어 시스템의 가스소화 배관부 작동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한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의 원격 제어부의 작동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한 소화설비 원격제어 통신제어부의 작동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한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의 산란형 방사헤드의 구성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의 연동제어 시스템의 작동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의 원격 제어부의 작동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의 통신제어부의 작동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한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의 산란형 방사헤드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은, 소화용 불연성 가스 소화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불연가스 연동제어부(10)와, 화재 진압을 위한 시스템 제어 및 경보 전송역할을 하기 위한 원격 제어부(20)와, 관리자 및 소방서로의 화재사실 통보와 관리자의 시스템 제어 수단으로서의 통신제어부(30)가 상호 결합되어 있다.
상기 불연가스 연동제어부(10)는 화학소방차(미도시) 또는 가스저장 예비용기(35)를 추가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불연가스 옥외 주입구(11)는 건물 내 소정 위치에 설치된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가스 배관(13)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가스 배관(13) 상단에는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산란형 방사헤드(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산란형 방사헤드(14)는 화재감지용 감지기에서 화재발생 장소 신호를 보내면 화재발생 구역의 선택밸브와 불연가스 저장용기크의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켜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연결된 배관을 통하여 산란형 방사헤드에서 방사되도록 구성하여 냉각소화, 질식소화 및 연쇄반응 차단효과로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스저장 용기(36)와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가스 배관(13) 사이에는 체크밸브(12)가 설치되어 불연성 방사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하는데, 여기에서 배관의 소정 위치에는 배관을 자동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는 배관 차단기(15)와,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가스 배관(13)으로 이송되는 불연성 방사가스의 흐름을 측정하는 압력스위치(39)와 선택밸브(16)를 구성한다. 상기 압력스위치(39)와 선택밸브(16)는 원격 제어부(20)와 연동하여 작동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불연가스 연동제어부(10)는 불연가스 옥외 주입구(11) 외에, 가스저장 예비용기(36)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불연가스 연동제어부(10)의 작동 순서를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건물내의 A회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22)에서 화재 발생이 검지되어 화재발생 장소 신호를 보내면 비상벨등의 주경종 또는 지구경종 장치인 경보음장치(26) 및 다수의 문자메시지와 음성 통보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고 B회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22)가 작동되면 화재발생 구역 배관에 설치된 기동용 솔레노이드밸브(43)와 연동하여 불연가스 저장용기(36)의 가스가 개방되어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IG-541를 사용하는 연결된 배관을 통하여 산란형 방사헤드(14)에서 방사되어 화재가 신속하게(30초 이내) 진압된다.
이때,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산란형 방사헤드(14)에서 계속 방사되면 배관에 설치된 압력스위치(39)가 배관내 가스 흐름을 검지하여 경보음 및 다수의 문자메시지와 음성 통보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고 인터넷(27) 또는 휴대폰, 안심폰 또는 PDA와 같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각종 시설의 원격 제어(전기제어, 가스제어, CCTV 감시제어, 입출입자 제어, 인체감시 제어 또는 비상벨 싸이렌 방범벨 제어)를 할 수 있다.
만약, 불연가스 저장용기의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 가스가 방사되어 화재가 진압되지 않는 경우 불연가스 옥외 주입구(11)를 통한 화학소방차의 가스를 공급 받도록 하였고 또한 예비 가스저장 용기를 추가로 연결하여 기기결함 등으로 인한 사고를 대비하고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 가스가 계속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도1 및 도3을 참조한 원격 제어부(20)는, 전기시설이 과부하, 합선 또는 누전과 같은 이상현상 발생시 경고를 표시하거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게 하고 휴면전기를 자동 차단하는 디지털콘센트(21), 건물 천장 소정부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22), LNG 또는 LPG의 가스 누설 여부를 감지하는 가연성 가스경보기(23), 상기 가연성 가스경보기(23)에서 가스 누설이 탐지되면 가스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게 하는 가연성 가스차단기(24), 그 외에 외부인의 침입을 감시하는 적외선 감시센서(26)와 비상상황 발생을 알리기 위한 비상벨등의 주경종 또는 지구경종 장치인 경보음장치(26) 및 인터넷 네트워크와 연결된 CCTV 및 인터넷 컴푸터(27)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콘센트(21)는 전기시설이 과부하, 합선 또는 누전과 같은 이상현상 발생시 위험 표시와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외출시 절전모드로 자동 전환되며 휴면전기를 자동 차단하여 전기료를 약 20% 절약할 수 있게 하고, 수동, 자동 변환과 원격 제어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부(20)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에 설치된 A회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22)로 부터 화재가 감지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불연가스 연동제어부(10)의 구성을 통해서 소화용 불연가스를 방사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화재 감지와 연동하여 가연성 가스경보기(23)의 가스 누설 여부 감지와 상관없이 가연성 가스차단기(24)를 작동하게 하여 가스 공급을 차단하게 하고, 또한 동시에 전기의 과부하 여부 등과 관계없이 디지털콘센트(21)가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함으로써, 가스 공급 또는 전기 공급으로 인한 2차적인 발화 원인을 원천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22)를 통해서 경보음이나 사이렌, 음성신호 등을 출력시켜서 주위 사람들에게 경각심 또는 위험 상태를 통지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격 제어부(20)는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가스 배관(13)의 가스흐름을 감시하는 압력스위치(39)(16)로 부터 송출되는 신호에 의해서 경보음 및 다수의 문자메시지와 음성 통보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고 인터넷 또는 휴대폰, GPS 안심폰 또는 PDA와 같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각종 시설의 원격 제어(전기제어, 가스제어, CCTV 감시제어, 입출입자 제어, 인체감시 제어 또는 비상벨 싸이렌 방범벨 제어)를 할 수 있다.
한편, 도1 및 도4를 참조한 통신제어부(30)는 화재 및 구급발생이 감지되면 통신사 기지국(31)을 통해서 소방서 상황실과 건물 소유자 또는 다수의 관리자에게 각각 화재 및 구급발생 사실을 문자메시지, 음성, 동영상 등으로 통보하게 되고, 이때 소방서는 소방차와 구급차를 신고한 건물로 출동시켜서 초기 진화는 물론 대형화재 예방과 응급조치를 함으로써 인명피해를 방지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화재 및 구급 발생사실을 인지한 관리자는 휴대폰, GPS 안심폰 또는 PDA와 같은 무선 단말기 또는 인터넷에 연결된 컴푸터(27) 제어를 통해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 가스를 산란형 방사헤드(13)로의 방사상황 이나 응급상황 등을 확인하고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작동 및 가스, 전기 공급을 차단하거나 공급하는 등의 원격제어 및 응급상황에 따른 조치를 할 수 있게 하는 원격제어 시스템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무선 단말기(32)는 휴대폰, GPS 안심폰, PDA일 수 있고, 또는 건물 내부에서 원격 제어부(20)를 제어할 수 있게 한 리모트 컨트롤러일 수 있으며, 리모트 컨트롤러인 경우, 하나의 단말기를 통해 건물 내부의 모든 제어부(20)를 제어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관리자의 송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수신장치(33)가 구성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 산란형 방사헤드(14)는 불연가스가 방사되는 헤드의 중앙부에 노줄구(114')가 구성되며,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구멍(115)이 형성되어 불연가스가 산란 방사되는 구조이다.
또한, 건물내의 화재 질식효과를 순식간에 높이기 위해, 상기 산란형 방사헤드(14)의 본체 하부에 산란 반사판(118)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산란 반사판(118)의 상부측과 상기 방사헤드(14)의 하부가 고정 브라켓(117)으로 결합되고, 상기 산란 반사판(118)은 하부와 측면부에 다수개의 구멍(116,116')이 형성된 삼각형 플라스크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방사헤드(14)는 노즐로 부터 고압으로 하방향으로 방사하므로 화재주변은 물론 건물내 전체를 짧은 시간에 화재 질식효과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의 산란 반사판(118)을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 불연가스 연동제어부 11 : 불연가스 옥외 주입구(11)
12 : 체크밸브 13 : 소화용 가스배관
14 : 산란형 불연가스 방사헤드
15 : 배관차단기 16 : 불연가스 선택밸브(cv)
20 : 원격 제어부 21 : 디지털콘센트
22 :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A회로 단독경보형 감지기, B회로 단독경보형 감지기)
23 : 가연성 가스경보기 24 : 가연성 가스차단기
25 : 적외선 감시 센서 26 : 경보음장치
27 : 컴푸터 감시모니터 28 : 감시카메라 (CCTV)
30 : 통신제어부 31 : 통신 기지국
32 : 무선 단말기 33 : 수신장치
34 : 릴리프 밸브 35 : 불연가스 예비용기
36 : 불연가스 저장용기 37 : 불연가스 기동용기
38 : 불연가스 기동 예비용기 39 : 압력 스위치 (PS)
40 : 연동제어부 41 : 방화문 릴리즈(FD)
42 : 댐퍼릴리즈(DP) 43 : 기동용 솔레노이드 밸브
117 : 고정 브라켓 118 : 산란 반사판

Claims (7)

  1. 화재 감지와 연동하여 소화약제가 방사되게 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소화배관(13)은 불연가스 옥외 주입구(11) 또는 불연가스 저장 예비용기(35)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비상시에 사용 가능하도록 연결하되 상기 소화배관(13)과 상기 불연가스 옥외주입구(11) 또는 불연가스 저장 예비용기(35)를 연결하는 연결관과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산란형 방사헤드(14) 사이에 압력스위치(39)(16)를 설치하여, 상기 압력스위치(39)로 부터 송출되는 신호에 의해서 약제흐름을 검지하여 경보음 및 다수의 문자메시지와 음성 통보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고 인터넷(27) 또는 무선 단말기(휴대폰, 안심폰 또는 PDA)를 이용한 각종 시설의 원격 제어(전기제어, 가스제어, CCTV 감시제어, 입출입자 제어, 인체감시제어 또는 비상벨 싸이렌 방범벨 제어)를 할 수 있는 수신장치(33) 및 불연가스 연동제어부(10)가 구성되고,
    건물에 디지털콘센트(21)가 더 구성되고, 상기 화재 감지는 건물의 천장에 부착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22)와 연동하되, 화재 감지시 디지털콘센트의 작동으로 전원 공급이 차단되게 한 원격 제어부(20)가 구성되고,
    상기 건물에 가연성 가스차단기(23)가 더 구성되고, 상기 화재 감지는 건물의 천장에 부착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22)와 연동하되, 화재 감지시 가연성 가스경보기의 경보음 발생 및 가연성 가스차단기의 작동으로 가스가 차단되게 한 원격 제어부(20)가 구성되고,
    상기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를 통한 화재 감지시 소방서 상황실로 화재신고를 통보함과 동시에, 문자 또는 음성메시지를 통해 다수의 관리자에게 화재신고를 통보하고, 관리자는 무선 단말기(32) 또는 인터넷(27)을 통한 모니터로 가스차단 여부와 전원 차단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원격 제어부(20)의 가스차단 및 전원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통신제어부(30)가 구성되고,
    상기 무선 단말기(32)는 다수의 관리자 휴대폰, 안심폰, PDA, 건물내 원격 제어부(20)의 제어를 위한 리모트 컨트롤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제어부(30)에 의한 다수 관리자의 원격 제어부(20) 제어에는 상기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의 방사를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자동 제어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산란형 방사헤드(14) 헤드본체의 측면이 불연가스 산란 방사를 위해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본체에 고정 브라켓으로 결합되고, 하부와 측면부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삼각형 플라스크 형상의 산란 반사판이 설치고정되고,
    상기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22)는 A회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22) 및 B회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22)로 구성되고, 상기 A회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22)에서 화재 발생이 검지되어 화재발생 장소 신호를 보내면 비상벨의 주경종 또는 지구경종 장치인 경보음장치(26)가 경보를 발생하고 문자메시지 발송 및 음성 통보기능을 자동 수행하고, 상기 B회로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22)가 작동되면 화재발생 구역 배관에 설치된 기동용 솔레노이드밸브(43)와 연동하여 불연가스 저장용기(36)의 가스가 개방되어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IG-541를 사용하는 연결된 배관을 통하여 산란형 방사헤드(14)에서 방사되어 화재를 진압하도록 구성되고,
    가연성 가스를 차단하는 가연성 가스차단기(24)를 더 구비하고, 가스차단기(24)는 상기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22)의 화재 감지와 연동하여 가연성 가스경보기(23)의 가스 누설 여부 감지 여부와 상관없이 가스 공급을 차단하게 하고 동시에 디지털콘센트(21)가 전기의 과부하 여부에 상관없이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불연가스 옥외 주입구(11)는 화학소방차 또는 예비 가스저장용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 소화설비로 추가적으로 계속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127170A 2016-09-30 2016-09-30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KR101828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170A KR101828028B1 (ko) 2016-09-30 2016-09-30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170A KR101828028B1 (ko) 2016-09-30 2016-09-30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028B1 true KR101828028B1 (ko) 2018-02-09

Family

ID=6119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170A KR101828028B1 (ko) 2016-09-30 2016-09-30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0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9997A (zh) * 2018-12-28 2019-03-12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西北电力设计院有限公司 一种组合式发电厂防火防爆吹扫系统及控制方法
CN119126583A (zh) * 2024-02-01 2024-12-13 南京赛榜广科技有限公司 智慧家居管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185Y1 (ko) * 2000-03-20 2000-09-01 주식회사창성에이스산업 디지털 소화 시스템
KR101278177B1 (ko) * 2012-05-04 2013-06-27 양형규 화재 진압 능력을 높인 화재 진압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185Y1 (ko) * 2000-03-20 2000-09-01 주식회사창성에이스산업 디지털 소화 시스템
KR101278177B1 (ko) * 2012-05-04 2013-06-27 양형규 화재 진압 능력을 높인 화재 진압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9997A (zh) * 2018-12-28 2019-03-12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西北电力设计院有限公司 一种组合式发电厂防火防爆吹扫系统及控制方法
CN109459997B (zh) * 2018-12-28 2024-02-09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西北电力设计院有限公司 一种组合式发电厂防火防爆吹扫系统及控制方法
CN119126583A (zh) * 2024-02-01 2024-12-13 南京赛榜广科技有限公司 智慧家居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3086B2 (en) Social safe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 for both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crime prevention
US20150254952A1 (en) Platform of Smart Security Protection Integrated System
CN111643834A (zh) 一种集装箱储能系统消防装置及其控制方法
RU2517813C2 (ru) Разбрызгиватель с интегрированным клапаном и использующая его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CN201927150U (zh) 火灾智能报警灭火系统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CN111258251B (zh) 一种面向智能建筑的消防系统
KR101851319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및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경보 장치
KR101853291B1 (ko) 천장용 소화기시스템
CN110801588B (zh) 一种车辆自动灭火系统及其灭火方法
CN114694338A (zh) 一种智能建筑消防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KR102172697B1 (ko)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CN111199625A (zh) 一种建筑整体消防安全智能系统
KR101828028B1 (ko)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KR20070085192A (ko) 이산화탄소(또는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CN200980912Y (zh) 简易远程遥控自动消防系统
KR102409440B1 (ko)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KR101704409B1 (ko)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
KR101683442B1 (ko) 상하 분사형 소방 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JP2023068011A (ja) 消火設備
KR101880756B1 (ko)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안전 전원공급장치
JP2017023452A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および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5911143B2 (ja) 消火設備および消火装置
KR102162488B1 (ko) 무인 화재진화 자동제어시스템
KR100801040B1 (ko) 간이 스프링클러 원격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