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04409B1 -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409B1
KR101704409B1 KR1020160061044A KR20160061044A KR101704409B1 KR 101704409 B1 KR101704409 B1 KR 101704409B1 KR 1020160061044 A KR1020160061044 A KR 1020160061044A KR 20160061044 A KR20160061044 A KR 20160061044A KR 101704409 B1 KR101704409 B1 KR 101704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microcomputer
water
sprinkler
flow 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Priority to KR1020160061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40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규모의 공동주택에 사용되는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규모의 공동주택 내의 각 세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세대에서 화재가 발생시에 화재진압부를 통해 소방용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소방용수의 유속을 감지하여 제어부를 통해 소방기관에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자동으로 알려 대형화재로 반지기 이전에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Water supply apparatus for a sprinkler}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규모 공동주택 내의 각 세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세대에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부를 통해 소방용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소방용수의 유속을 감지하여 제어부를 통해 소방기관에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자동으로 알려 대형화재로 번지지 않고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는 소규모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스크링클러 시스템은 대형 건물(소방법 기준으로는 11층 이상) 등에서는 의무적으로 설치되며, 충분한 소방용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지하와 옥상에 대형 수조가 설치되고 각층 마다 설치된 스크링클러에 소방용수를 압송하기 위한 급수라인과 다수의 급수펌프가 설치되어야 하며, 옥상수조로 물을 양수하기 위한 양수라인과 양수펌프 들이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형 건물에 설치되는 스크링클러 시스템은 시공과 유지 관리에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한편 대형 건물의 스크링클러 시스템과는 달리 세대수가 적은 소규모의 공동주택이나 소규모 건물(10층 이하)에서는 소화기나 간단한 소화장비만을 비치하고 있는 실정이며, 따라서 화재 초기에 신속한 진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간이 스크링클러를 사용한 소규모 소방설비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일부 해소한 종래기술을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4,366,865호(등록일자: 1983.01.04)는 수조를 이용한 일체형 스크링클러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으며, 초기에 직수공급관으로부터 스크링클러 헤드에 물을 공급하며, 더 많은 물의 공급이 요구될 때에는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펌프에 의하여 스크링클러 헤드로 압송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상기 미국특허의 스크링클러 시스템의 구성도로써, 직수공급관(18)으로부터 저수조(14)로 물이 공급되어 저장되며, 만수가 되면 수위 레벨제어수단(26)에 의해 물공급이 차단된다. 또한 직수공급관(18)은 분기된 브랜치(22)를 통하여 주공급관(34)에 직접 연결되어 물을 스크링클러 헤드로 공급하게 되며, 다수개의 스프링클러 헤드의 사용으로 인하여 주공급관(34)의 압력이 저하된 것을 압력스위치(36)가 감지하게 되면, 펌프(16)가 가동되어 저수조(14)의 물을 스크링클러 헤드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브랜치(22)와 주공급관(34)에 각각 체크밸브(30)(42)가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화재가 발생시에 초기진압을 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실제 소규모의 공동주택에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못하고,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최초발견자가 스프링클러 시스템이 설치된 위치까지 이동한 이후, 다시 화재가 발생한 지점까지 주공급관을 끌어와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신속한 초기화재진압은 어렵다는 문제점은 물론, 초기화재진압을 위해 비전문적인 사람이 직접 화재를 진압하여야 하기에 이에 따른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한 이후에 사용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신속한 초기화재진압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별도로 소방기관에 연락하여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하기에 신속한 화재진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 특허 등록번호 제4,366,865호(등록일자: 1983.01.04) "스크링클러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소규모의 공동주택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시에 신속하게 초기화재진압이 가능한 것은 물론, 안전사고방지를 위해 비전문적인 사람이 직접 화재를 진압하지 않아도 화재진압이 가능하며, 별도로 연락을 취하지 않고도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방기관에 화재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는 유무선 통신망에 의해 소방기관과 연결되되 직수관과 관 연결되며, 개폐가능한 소방용수관을 통해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제어부 및 소방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와 관 연결되게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되 화재시에 발생하는 열기 또는 유해연기를 감지하여 공급된 소방용수를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하거나 또는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여 상기 소방기관에 화재신고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화재진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재진압부는 상기 공동주택 내에서 소방용수관과 관 연결되되 화재시에 발생하는 열기에 의해 파손되는 감열체에 의해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스프링클러,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클러에 관통삽입되어 설치되되 화재시에 발생하는 유해연기를 감지하여 비상신호를 송출하고, 그 감지한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소규모의 공동주택 내의 각 세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세대에서 화재가 발생시에 화재진압부를 통해 소방용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소방용수의 유속을 감지하여 제어부를 통해 소방기관에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자동으로 알려 대형화재로 번지기 이전에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동래의 스프링클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의 화재진압부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의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이하, 간략하게 '공급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기재된 공동주택이란 스프링클러 등과 같은 소방설비가 필수로 구성되지 않아도 되며, 한 건축물 안에서 각 세대가 독립된 주거생활을 하되 벽, 복도, 계단 등과 같은 설비시설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10층 이하의 주택을 의미한다.
먼저,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급장치는 크게 마이컴(210), 송수신부(220), 유속감지센서(230) 및 체크밸브(240)를 포함하는 제어부(200)와 스프링클러(110) 및 화재감지센서(120)를 포함하는 화재진압부(1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여, 공동주택(B) 내의 어느 한 세대(Ba) 안에서 화재가 발생시에 화재감지센서(120)는 유해연기를 감지하여 그 감지정보를 마이컴(210)에 제공하며, 마이컴(210)은 그 감지정보에 따라 체크밸브(240)를 개방하여 교차배관(P1)을 통해 공동주택(B)의 각 세대(Ba)에 가지(bough) 형상으로 설치된 소방용수관(P2)과 관 연결된 스프링클러(110)까지 소방용수가 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화재 열기에 의해 감열체(113)가 파손되어 스프링클러(110)가 자동으로 작동하면 직수의 압력에 의해 소방용수관 내의 소방용수를 분사시켜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며, 소압용수의 유속이 발생하면 소방용수관(P2) 또는 교차배관(P1)에 설치된 유속감지센서(230)는 그 유속을 감지하여 그 유속정보를 마이컴(210)에 제공하며, 상기 마이컴(210)은 송수신부(220)를 통해 소방기관(F/H)에 화재신고를 전달하여 대형화재로 번지지 못하도록 신속하게 공동주택(B)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화재진압부(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동주택(B) 내에 다수 구비된 세대(Ba)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화재가 발생시에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함은 물론,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스프링클러(110) 및 화재감지센서(1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기재된 스프링클러(110)는 각 세대(Ba)에 적어도 하나 이상 천정이나 벽면에 소방용수관(P2)과 관 연결되어 소방용수를 공급받되 열기의 정도에 따라 파손되는 감열체(113)에 의해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통상의 스프링클러(110)를 의미하는 것이며, 화재감지센서(120) 역시, 각 세대(Ba)에 적어도 하나 이상 천정이나 벽면에 설치되며, 화재가 발생시에 유해연기를 감지하여 램프나 음향 등의 비상신호를 송출하되 그 감지정보를 마이컴(210)에 전달하는 통상의 화재감지센서(120)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가 흐려지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스프링클러(110) 외면에는 화재감지센서(120)와 일체형으로 결합할 수 있는 끼움돌기(111)가 돌출형성되며, 화재감지센서(120)에는 스프링클러(110)가 관통삽입되는 관통공(123)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123) 내면에는 상기 끼움돌기(111)가 암수 형태로 서로 끼움 결합할 수 있는 삽입홈(121)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통상의 스프링클러(110) 또는 화재감지센서(120)와 차이가 있음에 유의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시에 상술한 화재진압부(100)의 감지정보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마이컴(210), 송수신부(220), 유속감지센서(230) 및 체크밸브(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마이컴(210)은 공동주택(B)의 내부 또는 외부에 고정설치되는 개폐가능한 함 형상의 제어함 내부에 설치되되 각 세대(Ba)마다 설치된 화재감지센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수의 화재감지센서(120)와 연결된 마이컴(210)은 제어함 외부에 발광가능하도록 설치된 램프 등을 통하여 어느 세대(Ba)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120)가 작동중인지 즉, 화재가 발생한 세대(Ba)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이컴(210)은 직수관(P)과 교차배관(P1) 사이에 설치된 체크밸브(240)를 전기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연결되되 상기 체크밸브(240)의 개방은 공동주택(B) 내에 다수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120)들 중 어느 하나에서 마이컴(210)에 유해가스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감지정보가 전송시에 실행될 수 있도록 하여, 스프링클러(110)의 감열체(113)가 파손됨과 동시에 즉, 화재가 발생시에 신속하게 상기 스프링클러(110)를 통해 소방용수관(P2) 내의 소방용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송수신부(220)는 마이컴(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함에 설치되되 상기 마이컴(210)을 통해 유속감지센서(230)로 소방용수의 유속이 감지되면 소방기관(F/H) 즉, 공동주택(B)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락 가능한 소방서, 관리실, 경찰서 및 안전관리센터 중 어느 한곳에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려 대형화재로 번지기 이전에 신속하게 후기진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송수신부(220)를 통해 소방기관(F/H)으로 전송되는 화재정보는 공동주택(B)의 주소 또는 각 세대(Ba)의 호수 중 어느 하나의 공동주택정보가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속감지센서(230)는 마이컴(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교차배관(P1) 또는 상기 교차배관(P1)과 가지 형상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소방용수관(P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설치된 관내로 이동하는 소방용수의 유속을 감지하며, 해당 유속정보를 마이컴(210)에 전송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상기 마이컴(210)이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화재가 발생한 세대(Ba)에 설치된 스프링클러(110)의 감열체(113)가 파손되면 소방용수관(P2) 또는 교차배관(P1) 내의 소방용수가 일정 시간 동안 분사되어 유속이 발생하게 되고, 이 유속정보는 유속감지센서(230)를 통해 마이컴(210)에 전송된다.
하여 마이컴(210)은 해당 유속정보를 판단하여 송수신부(220)를 통해 소방기관(F/H)에 현재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마이컴(210)은 최소 1분이상 지속적으로 유속감지센서(230)를 통해 소방용수의 이동이 감지되거나 또는 최소 2m/hr 이상의 유속을 감지한 경우에만 송수신부(220)를 통해 소방기관(F/H)으로 공동주택정보를 전송하도록 하여 소방용수관(P2) 또는 교차배관(P1)의 파손에 의해 소방용수의 유속정보에 마이컴(210)이 오작동을 일으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크밸브(240)는 마이컴(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일단이 직수관(P)과 관 연결되며, 타단이 교차배관(P1) 또는 소방용수관(P2)과 연결되어 마이컴(210)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체크밸브(240)는 화재감지센서(120)가 유해가스를 감지하여 그 감지정보를 마이컴(210)에 전송하였을 경우에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마이컴(210)에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직수관(P)은 체크밸브(240)과 연결되어 소방용수로 사용하기도 하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세대(Ba)의 수도계량기(W/G)와 연결되어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소규모의 공동주택 내의 각 세대(B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세대(Ba)에서 화재가 발생시에 화재진압부(100)를 통해 소방용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소방용수의 유속을 감지하여 제어부(200)를 통해 소방기관(F/H)에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자동으로 알려 대형화재로 반지기 이전에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화재진압부 110: 스프링클러
111: 끼움돌기 113: 감열체
120: 화재감지센서 121: 삽입홈
123: 관통공 200: 제어부
210: 마이컴 220: 송수신부
230: 유속감지센서 240: 체크밸브
F/H: 소방기관

Claims (1)

  1. 유무선 통신망에 의해 소방기관(F/H)과 연결되되 직수관(P)과 관 연결되며, 개폐가능한 소방용수관(P2)을 통해 소방용수를 공급하는 제어부(200); 및
    소방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200)와 관 연결되게 공동주택(B)의 각 세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되 화재시에 발생하는 열기 또는 유해연기를 감지하여 공급된 소방용수를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하거나 또는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부(200)에 전송하여 상기 소방기관(F/H)에 화재신고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화재진압부(100);를 포함하되,
    상기 화재진압부(100)는
    상기 공동주택(B) 내에서 소방용수관(P2)과 관 연결되되 화재시에 발생하는 열기에 의해 파손되는 감열체(113)에 의해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스프링클러(110), 상기 제어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클러(110)에 관통삽입되어 설치되되 화재시에 발생하는 유해연기를 감지하여 비상신호를 송출하고, 그 감지한 감지정보를 상기 제어부(200)에 전송하는 화재감지센서(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00)는
    전기적으로 개폐가능하되 일단이 상기 직수관(P)과 관 연결되되 타단은 상기 소방용수관(P2) 또는 교차배관(P1)과 관 연결되게 설치되는 체크밸브(240), 상기 체크밸브(240)를 제어하되 다수의 상기 화재감지센서(120)와 전기적으로 개별연결되어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마이컴(210), 상기 마이컴(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소방용수관(P2) 또는 상기 교차배관(P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속을 감지하여 상기 마이컴(210)에 그 감지정보를 전송하는 유속감지센서(230), 상기 마이컴(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유속감지센서(230)를 통해 상기 소방용수관(P2) 또는 상기 교차배관(P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속이 감지되면 상기 소방기관(F/H)에 화재발생 여부를 알려주는 송수신부(220)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컴(210)은 상기 유속감지센서(230)로 감지된 유속이 2m/hr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송수신부(220)를 통해 상기 소방기관(F/H)으로 화재발생 여부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
KR1020160061044A 2016-05-18 2016-05-18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704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044A KR101704409B1 (ko) 2016-05-18 2016-05-18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044A KR101704409B1 (ko) 2016-05-18 2016-05-18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409B1 true KR101704409B1 (ko) 2017-02-10

Family

ID=5812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044A Expired - Fee Related KR101704409B1 (ko) 2016-05-18 2016-05-18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4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5672A (zh) * 2018-07-05 2018-10-16 池州智栋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预防火灾的监视器
CN108831095A (zh) * 2018-06-26 2018-11-16 东台市海鸥航海设备有限公司 一种消防感应器
JP2018191753A (ja) * 2017-05-15 2018-12-06 ニッタン株式会社 情報発信アダプ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6865A (en) 1981-04-07 1983-01-04 Makibbin James J Packaged sprinkler system using a dead water tank
JP2585800B2 (ja) * 1989-07-10 1997-02-26 治 越澤 火災警報装置および放水センサ装置
KR20100019883A (ko) * 2008-08-11 2010-02-19 금성방재공업 주식회사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52324B1 (ko) * 2015-03-18 2015-09-10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건물 화재 진압용 복합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1644084B1 (ko) * 2016-04-20 2016-08-01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통제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6865A (en) 1981-04-07 1983-01-04 Makibbin James J Packaged sprinkler system using a dead water tank
JP2585800B2 (ja) * 1989-07-10 1997-02-26 治 越澤 火災警報装置および放水センサ装置
KR20100019883A (ko) * 2008-08-11 2010-02-19 금성방재공업 주식회사 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52324B1 (ko) * 2015-03-18 2015-09-10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건물 화재 진압용 복합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1644084B1 (ko) * 2016-04-20 2016-08-01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통제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91753A (ja) * 2017-05-15 2018-12-06 ニッタン株式会社 情報発信アダプタ
CN108831095A (zh) * 2018-06-26 2018-11-16 东台市海鸥航海设备有限公司 一种消防感应器
CN108665672A (zh) * 2018-07-05 2018-10-16 池州智栋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预防火灾的监视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54952A1 (en) Platform of Smart Security Protection Integrated System
US20160051850A1 (en) Fire Protection System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KR101701455B1 (ko) 공동주택의 원격소방점검 시스템
KR101704409B1 (ko)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
KR101291717B1 (ko) 소화설비 압력제어 시스템
KR101644084B1 (ko)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통제시스템
KR102530287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예방 시스템
KR200429154Y1 (ko) 자동 소화 장치
KR20070085192A (ko) 이산화탄소(또는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KR102601337B1 (ko) 건물 층별 소화유니트 및 이를 적용한 건물 층간 독립형 소방시스템
KR101828028B1 (ko)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KR101880756B1 (ko)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안전 전원공급장치
JP5911143B2 (ja) 消火設備および消火装置
KR10253028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관리 시스템
CN211836020U (zh) 一种住宅分区控制自动灭火系统
KR20170000100A (ko) 다중영역 관리용 소화시스템
KR102332919B1 (ko)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CN210331473U (zh) 一种家居厨房用智能报警灭火装置
CN111420332A (zh) 消防设备及消防设备控制方法
CN221014306U (zh) 一种具有火灾探测功能的室内灭火装置
JP2011194015A (ja) 消火設備
KR102530286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 진화 시스템
KR102726067B1 (ko)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자동 경보 알림시스템
KR102349411B1 (ko) 건물 화재 진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