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67819Y1 - 높이조절 침대 - Google Patents

높이조절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819Y1
KR200167819Y1 KR2019990016965U KR19990016965U KR200167819Y1 KR 200167819 Y1 KR200167819 Y1 KR 200167819Y1 KR 2019990016965 U KR2019990016965 U KR 2019990016965U KR 19990016965 U KR19990016965 U KR 19990016965U KR 200167819 Y1 KR200167819 Y1 KR 2001678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bed
screw shaft
lift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9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태은
Original Assignee
민태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태은 filed Critical 민태은
Priority to KR20199900169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8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8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8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47C19/045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with entire frame height or inclination adjustment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조절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이 높이조절침대는 침대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을 갖고 상면이 개방된 함체로써 일측면 하단부 소정위치에 소정폭과 길이를 갖고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는 작동공을 갖는 본체와; 스크류축에 의해 승하강작동되는 방식으로 상단부에 소정크기의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저면부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다수개의 리프트와; 소정크기를 갖는 판재로써 상기 리프트의 지지판상에 고정설치되어 리프트의 승하강에 따라 승하강되는 지지판과; 상기 작동공을 통하여 리프트의 스크류축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어 스크류축을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레버와; 상기 지지판상에 배치되는 매트릭스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높이조절 침대 {A height adjustable bed}
본 고안은 높이조절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버릇이 험한 어린이들이 침대에서 수면중 떨어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고 평상시에는 놀이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높이조절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침대는 어린이 또는 잠버릇이 험한 어른이 수면중 침대에서 떨어져 부상을 입기 쉬우며, 이러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연부를 따라 소정높이를 갖는 보호난간을 설치하기도 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침대는 양측단에 떨어짐방지 구조가 없어 수면중 침대에서 떨어져 부상을 입거나 상기와 같은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보호난간을 설치한 경우에는 보호난간 때문에 수면시를 제외하고는 침대의 상면을 활용하기가 어렵고, 침대의 높이가 높아져 침대가 배치된 방이 협소해보여 답답한 느낌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별도의 보호난간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서도 어린이 또는 잠버릇이 험한 어른이 수면중 침대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고, 평상시에 특별한 제한 없이 침대의 상면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고, 일반침대와 동일한 높이를 갖고 있어 좁은 방에 배치하더라도 협소한 느낌을 주지 않는 높이조절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침대의 부분절취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직렬배열시 리프트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작동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리프트 배열에 의한 본 고안의 침대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병렬배열시 리프트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작동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높이조절침대 11: 본체
11a: 작동공 12, 13: 리프트
12a, 13a: 지지부재 14: 지지판
15: 작동레버 30, e: 스크류축
31: 스프라킷 32: 구동체인
16: 매트릭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침대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을 갖고 상면이 개방된 함체로써 일측면 하단부 소정위치에 소정폭과 길이를 갖고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는 작동공을 갖는 본체와; 스크류축에 의해 승하강작동되는 방식으로 상단부에 소정크기의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저면부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다수개의 리프트와; 소정크기를 갖는 판재로써 상기 리프트의 지지판상에 고정설치되어 리프트의 승하강에 따라 승하강되는 지지판과; 상기 작동공을 통하여 리프트의 스크류축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어 스크류축을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레버와; 상기 지지판상에 배치되는 매트릭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침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침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침대의 부분절취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직렬배열시 리프트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작동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리프트 배열에 의한 본 고안의 침대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작동상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트의 병렬배열시 리프트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작동상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침대(10)는 본체(11)와, 다수개의 리프트(12)(13)와, 지지판(14)과, 작동레버(15)와, 매트릭스(16)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는 내부에 중공을 갖고 상면이 개방된 함체로써 일측면 하단부 소정위치에 소정폭과 길이를 갖고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는 작동공(11a)을 구비한다.
상기 다수개의 리프트(12)(13)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륜 등을 교체할 때 사용되는 스크류축 작동방식으로써 4개의 작동부재(a)의 양단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마름모꼴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하단부의 연결부에는 고정대(b)(c)에 의해 지지되고, 양측단부의 연결부에는 내주면에 스크류홈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너트(d)를 구비되며, 외주면에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축(e)은 상기 대향되는 작동너트(d)와 회전가능하게 일축으로 스크류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리프트(12)(13)의 상부 고정대(b)상에는 소정크기를 갖는 지지부재(12a)(13a)가 수평으로 고정부착되고, 상기 리프트(12)(13)의 하부 고정대(c)는 상기 본체(11)의 내측 저면에 상호 소정간격을 갖고 상기 작동너트(d)가 일축상에 위치되도록 직결로 고정설치되고, 단일의 스크류축(e)에 의해 상기 다수개의 리프트(12)(13)의 작동너트(d)가 스크류조립되어 스크류축(e)의 회전작동에 따라 각각의 리프트(12)(13)가 동시에 승하강 작동된다.
상기 스트류축(e)의 일단부는 체결구(f)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1)의 작동공(11a)측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레버(15)와 착탈가능하게 체결되어 수동으로 정역회전 구동된다.
상기 지지판(14)은 소정크기를 갖는 판재로써 상기 리프트(12)(13)의 지지부재(12a)(13a)상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어 본체(11)의 내측에서 상기 리프트(12) (13)의 승하강 작동에 따라 승하강 작동되며, 지지판(14)의 상면에는 상기 매트릭스(16)가 안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높이조절침대(10)에 대한 일 실시예는 상기 지열판(14)상에 안착되어 있는 매트릭스(16)상에 어린이를 눕힌 후 상기 작동레버(15)를 사용하여 리프트(12)(13)의 스크류축(e)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리프트(12)(13)는 작동너트(d)가 스크류축(e)의 회전에 의해 상호 대향되게 외향으로 각각 이동됨으로 상기 작동부재(a)의 양측 연결부위는 접혀지고 상하단측 연결부위는 펴지게되어 상기 리프트(12)(13)는 하강된다.
상기 리프트(12)(13)가 하강되면, 상기 지지판(14) 및 매트릭스(16)는 상기 본체(11)의 내측에서 리프트(12)(13)와 연동하여 하강됨으로 지지판(14)과 매트릭스(16)가 하강된 높이만큼 상기 본체(11)의 측면부가 매트릭스(16) 보다 높아지게되어 본체(10)의 측면부가 보호난간 역할을 하게됨으로 침대(10)에서 자는 어린이가 심하게 몸을 뒤적이더라도 침대(10)에서 떨어지지 않고 편안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면시간 이외에는 상기 작동레버(15)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리프트(12)(13)를 상승시킴으로서 지지판(14)과 매트릭스(16)가 상기 본체(11)의 상면부까지 상승되도록 함으로서 어린이들의 놀이공간 또는 사람들이 걸터앉을 수 있는 쇼파 공간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침대(10)의 리프트 배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고안의 높이조절침대(10)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의 리프트 배치구조는 병렬배치방식이다.
상기 리프트(12)(13)의 병렬배치는 상기 리프트(12)(13)가 각각 독립된 스크류축(30)을 각각 구비하고, 본체(11)의 내측 저면상에 상호 소정간격져서 평행하게 고정설치된다.
상기 스크류축(30)의 일단부에는 각각 소정직경의 스프라킷(31)을 갖고, 상기 스프라킷(31)은 순환되게 양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구동체인(32)에 의해 상호 연동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리프트(12)(13)중 일측 리프트(12)의 스크류축(30)에는 체결구(f)가 장착되어 상기 본체(11)의 작동공(11a)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리프트 배열방식은 상기 리프트(12)의 체결구(f)에 작동레버(15)를 체결시킨 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되면, 상기 리프트(12)의 스크류축(30)이 회전되면서 양측단부의 연결부는 접히고, 상하단부의 연결부는 펴지게 되어 리프트(12)가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구동체인(32)에 의해 상기 리프트(13)의 스크류축(30)도 연동되어 동일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리프트(12)(13)는 동시에 하강작동 되어 지지판(14)과 매트릭스(16)를 본체(11)내로 수납시킨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15)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리프트(12)(13)는 상기 작동의 역으로 진행되어 상승되어 본체(11)의 상면부까지 지지판(14)과 매트릭스(16)를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보호난간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서도 어린이 또는 잠버릇이 험한 어른들이 수면중 침대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고, 평상시에 특별한 제한없이 침대의 상면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고, 일반침대와 동일한 높이를 갖고 있어 좁은 방에 배치하더라도 협소한 느낌을 주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침대에 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을 갖고 상면이 개방된 함체로써 일측면 하단부 소정위치에 소정폭과 길이를 갖고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는 작동공(11a)을 갖는 본체(11)와; 스크류축에 의해 승하강작동되는 방식으로 상단부에 소정크기의 지지부재(12a)(13a)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11)의 저면부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다수개의 리프트(12)(13)와; 소정크기를 갖는 판재로써 상기 리프트(12)(13)의 지지판(12a) (13a)상에 고정설치되어 리프트(12)(13)의 승하강에 따라 승하강되는 지지판(14)과; 상기 작동공(11a)을 통하여 리프트(12)(13)의 스크류축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어 스크류축을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레버(15)와; 상기 지지판(14)상에 안착되어 지지판(14)과 함께 상하강하는 매트릭스(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리프트(12)(13)는 단일의 스크류축(e)으로 작동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축(e)의 일단부가 은 상기 본체(11)의 작동공(11a)에 위치되게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리프트(12)(13)는 각각의 독립된 스크류축(30)을 갖고 상호 병렬로 평행하게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침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12)(13)는 각각의 스크류축(30)의 일단부에 소정직경을 갖는 스프라킷(31)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라킷(31)은 구동체인(32)에 의해 상호 연동되게 연결되어 상호 연동되게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침대.
KR2019990016965U 1999-08-17 1999-08-17 높이조절 침대 KR2001678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965U KR200167819Y1 (ko) 1999-08-17 1999-08-17 높이조절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965U KR200167819Y1 (ko) 1999-08-17 1999-08-17 높이조절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819Y1 true KR200167819Y1 (ko) 2000-02-15

Family

ID=1958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965U KR200167819Y1 (ko) 1999-08-17 1999-08-17 높이조절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8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426B1 (ko) * 2012-11-21 2014-06-12 주식회사 알파침대 보조침대
KR20190125666A (ko) 2018-04-30 2019-11-07 김도원 매트리스 커버 교체가 용이한 승하강 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426B1 (ko) * 2012-11-21 2014-06-12 주식회사 알파침대 보조침대
KR20190125666A (ko) 2018-04-30 2019-11-07 김도원 매트리스 커버 교체가 용이한 승하강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8532A (en) Apparatus for elevating one end portion of a bed frame
DE60117394T2 (de) Hubeinrichtung für patientenliegefläche
US3780387A (en) Pediatric bed
US4190043A (en) Massage table drive system
WO2000033784A3 (en) Hospital bed mechanisms
AU710246B2 (en) Crib
JPH09500803A (ja) 患者用ベッド
KR200167819Y1 (ko) 높이조절 침대
DE202022100239U1 (de) Elektrisches Hebeschrägbett für Säuglinge zur Verwendung in einem Bett
US7281283B2 (en) Sleeping surface elevation device
KR20090094419A (ko) 양옆으로 기울게 해 욕창을 방지하는 기구
US5692255A (en) Apparatus for elevating the foot of a bed
EP1138226A2 (en) A bed
JP3820692B2 (ja) 昇降天板付き学習机
KR100477551B1 (ko) 욕창방지용 침대
KR200335954Y1 (ko)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
KR0136800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침대의 베개 받침구
JP3035465B2 (ja) 起床式ベッド装置
JP3679754B2 (ja) 家具移動装置
JP3343484B2 (ja) ベッド装置
CN218075487U (zh) 一种手动移位机
KR200284803Y1 (ko) 식탁
JPH0361A (ja) ベッド装置
CN209827307U (zh) 一种多功能病床
JP2545337Y2 (ja) 床板起伏式寝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81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1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0818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00106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