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60677Y1 - 단추의 측면 걸어 매듭감기용 재봉실의 장력유지 및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단추의 측면 걸어 매듭감기용 재봉실의 장력유지 및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0677Y1
KR200160677Y1 KR2019970015232U KR19970015232U KR200160677Y1 KR 200160677 Y1 KR200160677 Y1 KR 200160677Y1 KR 2019970015232 U KR2019970015232 U KR 2019970015232U KR 19970015232 U KR19970015232 U KR 19970015232U KR 200160677 Y1 KR200160677 Y1 KR 2001606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thread
button
winding
tension
wor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5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1847U (ko
Inventor
서명원
Original Assignee
서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명원 filed Critical 서명원
Priority to KR2019970015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677Y1/ko
Publication of KR9700518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18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6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67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4Cutting devices
    • D05B37/08Cutting devices with rotatable too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6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and for disposing of the severed thread end ; Catching or wiping devices for the severed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추 측면 재봉실 감아 주기의 초기 작업 시에는 재봉실의 장력을 유지하여 감아 주기 장치의 작업이 원활토록 하면서 단추의 재봉실의 감아 주기 작업이 종료되면 단추로부터 재봉실을 안전하고 편리하면서 간단하게 절단시킴과 동시에 초기와 같은 장력을 자동으로 유지하여 연속적으로 편리하고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 작업공수를 절감하면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장력상태가 미비하게 되고 작업완료 시에는 절단칼로 재봉실을 절단하게 되어서 단추로부터 재봉실이 늘어지게 되므로 별도의 마무리 작업을 이루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공정을 이루게 됨과 동시에 예리한 절단칼로 걸어 감기 종료 시에 재봉실을 절단하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본 고안에서는 단추걸이대(12)의 일 측면에 모우터(54)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20)이 배치되어 단추걸이대(12)로부터 연장되어 감겨진 재봉실(18)과 걸어 감기를 완료한 재봉실(18a)을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끌어당겨 끊도록 구성하여서 재봉된 단추의 측면 걸어 감기 작업시 재봉실이 안전하고 양호한 상태로 장력을 유지하여 편리하면서 양호한 걸어 감기 작업을 이루게 하고 감기 작업 종료 후에 안전사고 없이 간편하게 재봉실을 끊어 별도의 재봉실 절단 작업이 필요 없이 작업을 완료하므로 작업공수를 줄이면서 안전사고 예방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단추의 측면 걸어 매듭감기용 재봉실의 장력유지 및 절단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단추의 측면 걸어 매듭감기용 재봉실의 장력유지 및 절단장치
본 고안은 재봉실을 단추의 측면에 감아 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 작업 시에는 재봉실의 장력을 유지하여 감아 주기 장치의 작업이 원활토록 하면서 단추에 재봉실의 감아 주기 작업이 종료되면 단추로부터 재봉실을 안전하고 편리하면서 간단하게 절단시킴과 동시에 초기와 같은 장력을 자동으로 유지하여 연속적으로 편리하고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 작업공수를 절감하면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단추의 측면 걸어 감기용 재봉실의 장력유지 및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을 매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는 단추는 직물과 소정의 단추구멍을 실로 엮어서 부착되고 있으며 인위적인 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재봉기(미싱)가 개발되어 재봉작업으로 편리하게 작업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미싱에 의하여 재봉되는 단추는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운동으로 유동되는 실을 단추와 직물에 꿰어서 단추를 부착하고 있으나 단추가 옷감에 완전 근접상태로 부착되고 있어서 단추를 수용하는 옷감에 마련되어 있는 일자로 절취되어 있는 결속구멍에 집어넣을 유입공간이 크지 않아서 결속에 불편이 많았으며, 또한 지그재그 반복운동으로 재봉된 재봉실이 하나의 실로 재봉되어서 그 중 하나만이 외부로 이탈하기 시작하면 재봉된 재봉선이 모두 풀리게 되어 단추가 직물지로부터 이탈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렇게 부족하게 되는 단추의 여유공간과 실의 풀림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는 도 8에서와 같이 재봉실(1)을 단추(2)에 1차 재봉된 재봉실(3)에 감아서 하나로 단단히 묶어서 풀림을 방지함은 물론 직물지와 단추를 소정거리로 이격시켜서 결속공에 집어넣고 뺄 때에 불편함 없이 용이하고 안전한 결속과 이탈을 이루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단추의 측면에 재봉실을 감아 주는 것에 있어서는 실장력구에서 보급되는 실이 작업초기에 단추걸이대에 얹혀지는 것으로 작업을 이루게되어 장력유지가 되지 않고 있어서 양호한 걸어 감기작업을 이룰 수 없으며, 단추걸이대를 지지하는 유동안내대에 별도의 절단칼과 일체로 된 장력유지구를 부착하여 실이 장력유지를 이루게 하는 것에 있어서는 그 장력상태가 미비하게 되고 작업완료 시에는 절단칼로 재봉실을 절단하게 되어서 단추로부터 재봉실이 늘어지게 되므로 별도의 마무리 작업을 이루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공정을 이루게 됨과 동시에 예리한 절단칼로 걸어 감기 종료 시에 재봉실을 절단하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내 공개 특허공보 제95-8776호와 같은 것에 있어서는 정지물과 함께 공동으로 왕복가능한 재봉품 와어퍼프레임을 가지며, 실공급용 바늘을 운반하는 재봉틀 와이퍼프레임의 진행방향으로 전자 진동하는 바늘 스트링 및 재봉 주기 종료시, 상기 실을 관통시킨 다음 재봉운동 시작시 상기 바늘로부터 자유롭게 해지시키기 위해서 저장측의 바늘 단부를 정지시키는 절단 및 조임 장치를 가지며, 상기 절단 및 조임장치는 상기 재봉품 와이퍼프레임의 진행방향에 평행이동 가능한 운반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절단 및 조임장치의 종운동 및 개방운동은 상기 재봉품 와이퍼프레임의 정지물에 배치되어 있는 캠기구에 의해서 제어가능한 단추구멍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캠기구는 상기 절단 및 조임장치의 상기 두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그의 개방운동으로부터 종운동을 기능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해서 각각 하나의 캠을 구비하며 이들 캠은 적어도 다소 상대적으로 서로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절단 및 조임장치에 의하여 재봉실을 가위절단방식에 의하여 미약하게 끌어당김과 동시에 절단하고 있는 것으로 이는 의복에 형성된 단추구멍의 보존을 강화하기 위하여 절삭된 단추구멍의 주변을 재봉하게 되는 재봉실의 절단을 이루고 있지만 단추에 걸어 감기 되는 재봉실과 같이 소정장력을 제공하면서 걸어감긴 중심에서 절단을 할 수 없을 뿐만이 아니라 단순한 절단작업을 이루기 때문에 단추구멍으로부터 절단된 재봉실의 잔여 분을 다시 마무리작업으로 절단하여야 하는 공정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초기에 걸어 감던 재봉실을 단추로부터 늘어지지 않게 끊어주고 작업 후에도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안전한 상태로 재봉실을 단추로부터 끊어지도록 하여 별도의 마무리 절단작업을 하지 않게 하면서 미려한 외관을 얻을 수 있게 하고 초기 작업에 필요한 재봉실의 장력을 유지하여서 편리하고 양호한 단추의 재봉실 측면감기 작업을 이루는 안전하면서 편리한 작업을 이룰 수 있게 된 단추의 측면 걸어 매듭감기용 재봉실의 장력 유지 및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동안내대의 상단에 부착된 단추걸이대로 직물지에 단추를 1차 재봉한 재봉실이 걸리게 하여 별도의 재봉실을 돌려 걸어 감기를 이루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추걸이대의 일 측면에 모우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이 배치되어 단추걸이대로부터 연장되어 감겨진 재봉실과 걸어 감기를 완료한 재봉실을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끌어당겨 끊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어 감기가 완료된 재봉실은 단추걸이대에 결속 걸리면서 회전축에 감겨 단추로부터 끊어진 상태에서 장력을 유지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의 선단에 전방이 넓고 후방으로 점차 좁아지는 십자홈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은 전기장치의 신호로 정역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기술적 수단이 제공된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재봉실 걸어 감기 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전봉이 부착된 모우터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장력유지상태를 보인 단추걸이대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단추의 재봉실 측면걸어감기 초기상태의 요부 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단추의 재봉실 감기 작업을 완료하고 재봉실을 절단하는 상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하여 직물지에 단추가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에 의한 단추를 감은 재봉실이 초기 상태와 완료상태에서 불필요한 재봉실을 절단하는 상태도
제8도는 종래의 기술로서 재봉실의 측면 걸어 감기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동안내대 12 : 단추걸이대
14 : 직물지 16 : 단추
18a, c : 재봉실 20 : 회전축
22 : 십자홈 40 : 리미트스위치
54 : 모우터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일 실시예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재봉실 걸어 감기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회전봉이 부착된 모우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장력유지상태를 보인 단추걸이대의 정면도로써, 본 고안의 단추의 측면 걸어 감기용 재봉실의 장력유지 및 절단장치는 프레임(30)의 상단에 올려지는 단추(16)의 크기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유동안내대(10)의 상단에 단추걸이대(12)를 부착하고 이 단추걸이대(12)에 직물지(14)에 1차 재봉된 단추(16)가 후방으로, 직물지(14)는 전방으로 향하면서 재봉한 재봉실(18c)이 걸리게 배치하여서 별도의 재봉실(18)을 돌려 걸어감길 수 있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단추걸이대(12)의 일 측면에는 모우터(54)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20)이 배치되어 단추걸이대(12)로부터 연장되어 감겨진 재봉실(18)과 걸어 감기를 완료한 재봉실(18a)을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끌어당겨 끊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어 감기가 완료된 재봉실(18a)은 단추걸이대(12)에 결속되어 걸리면서 회전축(20)에 감겨 단추(16)로부터 끊어진 상태에서 장력을 유지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축(20)의 선단은 전방으로 넓고 후방으로 점차 좁아지는 십자홈(2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20)은 전기장치의 신호로 정역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되는데 도 1과 도 7에서와 같이 초기에는 재봉실(18)이 회전드럼(42)에 의하여 단추(16)에 소정회수 걸어감아 준 상태가 되면 회전축(20)이 회전하여 끊기 작업을 완료한 후 정지하고 단추(16)가 단축걸이대(12)로부터 이탈된 후 다시 다른 단추를 단추걸이대(12)에 걸어 동일한 작업을 이루게 하고서 상기 작업 완료되어 단추걸이대(12)로부터 이탈된 단추(16)를 리미트스위치(40)에 접촉하여 모우터(54)에 의해 회전축(20)을 구동시키게 되면 단추(16)를 1차 재봉한 재봉실(18c)에 매듭되어진 재봉실(18a)은 끊어지게 구성된다.
즉, 초기에 소정회수로 매듭을 이루는 재봉실(18b)은 재봉실(18d)부분에서 끊어지고 작업 완료된 재봉실(18a)은 재봉실(18e)부분에서 끊어지게 되어 1차재봉실(18c)외면에서 재봉실(18a)(18c)이 남게 되어 늘어지거나 외부로 표출됨이 없게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직물지(14)에 재봉된 단추(16)를 분리하면서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단추걸이대(12)에 올려놓으면 재봉된 재봉실(18c)이 걸쳐지게 되고 이어서 회전드럼(42)을 회전시켜서 재봉실(18)이 재봉실(18c)을 수회 회전하여 감아 주면 전기장치의 신호로 모우터(54)가 회전하여 회전축(20)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작업초기에 적절한 장력을 유지하여 걸어 감기작업이 양호한 상태가 되도록 회전축(20)의 선단에 마련된 십자홈(22)을 통하여 재봉실(18)이 감겨져 단추걸이대(12)로부터 재봉실(18)이 양호한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모우터(54)의 회전으로 회전되는 회전축(20)은 재봉실(18)을 걸어감은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 초기에 단추(16)를 부착하고 있는 1차 재봉실(18c)에 매듭 되고 있던 재봉실(18b)은 피로점을 넘어서 유지된 장력이상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재봉실(18d)부분에서 끊어지게 되는데 끊어지는 위치는 도 7도의 재봉실(18d)부분이 된다.
이는 최초에 단추걸이대(12)에서 변곡점을 이루고 있어서 회전축(20)에서 재봉선(18)을 걸어감아 회전하면 변곡점인 단추(16)부위에서 끊어지게 되므로 외부로 늘어짐 없이 단정한 상태를 이루게 한다.
이어서 회전드럼(42)이 재차 회전하여 재봉실(18a)을 또다시 수회 감아 주게되면 재봉된 재봉실(18c)의 외면을 풀리지 않게 결속된 상태로 감아 주기 작업을 완료한 직물지(14)를 잡고 상부로 들어올리면 부착된 단추(16)가 일체로 단추걸이대(12)로부터 이탈되고, 이때 걸어 감긴 재봉실(18a)은 연결된 상태를 따라 소정길이 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직물지(14)를 계속하여 끌어당기면 늘어지게 되어 회전축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늘어진 재봉실(18a)을 회전축(20)의 선단에 마련된 십자홈(22)에 끼우고 단추(16)를 리미트스위치(40)에 밀착시키면 모우터(54)가 회전됨과 동시에 회전축(20)이 회전하여 재봉실(18a)을 감아 돌려 단추(16)에 감기 재봉선(18a)을 끌어당겨 그 장력의 피로점을 넘기게 되면 재봉실(18a)이 끊기게 되는데 여기에서도 단추(16)외면이 회전축(20)의 외면에 지지되는 상태로 재봉실(18a)이 당겨지면서 도 7의 재봉실(18e)부위가 끊어지게 되므로 단추(16)로부터 재봉실(18a)은 노출됨이 없이 끊어져 미려한 외관을 이루게 함과 동시에 별도의 마무리 작업이 필요치 않게 된다.
이때에는 도 3의 초기상태와 같이 재봉실(18)이 회전축에 감겨진 상태로 단추걸이대(12)에 결속되고 있어서 그 장력이 양호하게 유지되어 다음작업이 어려움 없이 진행되면 장력유지로 감지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별도의 칼날 없이도 회전축(20)의 회전으로 재봉실(18)을 당겨서 장력을 유지하고 끊어주기 때문에 칼날사용으로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일이 없어 안전사고로부터 예방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재봉된 단추의 측면 걸어 감기 작업시 재봉실이 안전하고 양호한 상태로 장력을 유지하여 편리하면서 양호한 걸어 감기 작업을 이루게 하고 감기 작업 종료 후에 안전사고 없이 간편하게 재봉실을 끊어 별도의 재봉실 절단 작업이 필요 없이 작업을 완료하므로 작업공수를 줄이면서 안전사고 예방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5)

  1. 유동안내대(10)의 상단에 부착된 단추걸이대(12)로 직물지(14)에 단추(16)를 재봉한 재봉실(18)이 걸리게 하여 별도의 재봉실(18)을 돌려 걸어 감아 장력을 유지하면서 재봉실을 절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추걸이대(12)의 일 측면에 모우터(54)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20)이 배치되어 단추걸이대(12)로부터 연장되어 감겨진 재봉실(18)과 걸어 감기를 완료한 재봉실(18a)을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끌어당겨 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의 측면 걸어 매듭감기용 재봉실의 장력유지 및 절단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걸어 감기가 완료된 재봉실(18a)은 단추걸이대(12)에 결속 걸리면서 회전축(20)에 감겨 단추(16)로부터 끊어진 상태에서 장력을 유지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의 측면 걸어 매듭감기용 재봉실의 장력유지 및 절단장치.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재봉실(18)을 1차재봉실(18c)의 외면을 수회 매듭지게 감은 상태에서 초기에 재봉실(18)을 감고 있던 회전축(20)이 회전하여 당기면서 매듭부위와 재봉실(18d)이 끊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의 측면 걸어 매듭감기용 재봉실의 장력유지 및 절단장치.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0)의 선단은 전방을 넓고 후방으로 점차 좁아지는 십자홈(2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의 측면 걸어 매듭감기용 재봉실의 장력유지 및 절단장치.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0)은 전기장치의 신호로 정역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의 측면 걸어 매듭감기용 재봉실의 장력유지 및 절단장치.
KR2019970015232U 1997-06-21 1997-06-21 단추의 측면 걸어 매듭감기용 재봉실의 장력유지 및 절단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1606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232U KR200160677Y1 (ko) 1997-06-21 1997-06-21 단추의 측면 걸어 매듭감기용 재봉실의 장력유지 및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232U KR200160677Y1 (ko) 1997-06-21 1997-06-21 단추의 측면 걸어 매듭감기용 재봉실의 장력유지 및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847U KR970051847U (ko) 1997-09-08
KR200160677Y1 true KR200160677Y1 (ko) 1999-11-15

Family

ID=19503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5232U Expired - Lifetime KR200160677Y1 (ko) 1997-06-21 1997-06-21 단추의 측면 걸어 매듭감기용 재봉실의 장력유지 및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6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565B1 (ko) * 2000-12-13 2008-03-24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보턴마무리 재봉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565B1 (ko) * 2000-12-13 2008-03-24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보턴마무리 재봉틀
KR100816564B1 (ko) 2000-12-13 2008-03-24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보턴마무리 재봉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847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45468A (ja) ミシン及びこのタイプのミシンを用いてシームの初めを縫う方法
CN113322593A (zh) 一种刺绣机剪线装置及刺绣机剪线方法
KR100453732B1 (ko) 바느질땀의풀림방지방법및장치
KR200160677Y1 (ko) 단추의 측면 걸어 매듭감기용 재봉실의 장력유지 및 절단장치
JP3757335B2 (ja) 千鳥縫いミシンの糸端処理装置
JP4022043B2 (ja) 縫製縫い目によって作られる通路の張紐を開放することができるミシンおよび縫製方法
US4250824A (en)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an overcast seam with a zig-zag sewing machine
KR870001525B1 (ko) 새로운 형(型)의 바늘땀과 그 형성방법 및 장치
JPH03126481A (ja) 自動糸掛け糸通しミシン
JPH07204375A (ja) 素材の部分切断を伴う縫製方法及び縫製用ミシン
JP3969574B2 (ja) ミシン
JP2687950B2 (ja) 間歇ステッチ縫い方法及びそのミシン
JP2736602B2 (ja) 刺しゅう部へのかがり穴の形成方法
JPH07303781A (ja) 自動ミシンの制御装置
JPS6111637B2 (ko)
CN218059466U (zh) 一种用于缝纫机的松线装置及缝纫机
JPH09225166A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
CN105283596B (zh) 具有至少一个双锁式针迹旋梭的刺绣机
JPS6389191A (ja) オ−バ−ロツクミシンの空環巻込み装置
JPH0560957B2 (ko)
JPH0372320B2 (ko)
JPH0328960B2 (ko)
JPS6225395B2 (ko)
JPH0376859A (ja) 刺繍用ミシンにおける自動糸切り装置
JP2006191967A (ja) ボタン付け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62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62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62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03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8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8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14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