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51879Y1 - 플라스틱재 병마개 - Google Patents

플라스틱재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879Y1
KR200151879Y1 KR2019960041806U KR19960041806U KR200151879Y1 KR 200151879 Y1 KR200151879 Y1 KR 200151879Y1 KR 2019960041806 U KR2019960041806 U KR 2019960041806U KR 19960041806 U KR19960041806 U KR 19960041806U KR 200151879 Y1 KR200151879 Y1 KR 2001518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cap
bottle
cutting
bridge
plastic bott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774U (ko
Inventor
최성일
Original Assignee
이종범
삼화왕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범, 삼화왕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범
Priority to KR2019960041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879Y1/ko
Publication of KR199800287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7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8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87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42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rigid bead or projections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and coacting with bead or projections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25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65D2401/15Tearable part of the closure
    • B65D2401/20Frangible elements completely enclosed in closure ski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수등의 합성수지재병구에 타전사용하게된 플라스틱재 병마개에 관한것으로, 종전의 병마개는 패킹라이너를 별도로 만들어 부착하였고 전개표시의 절단선은 일적선형으로 형성하였고 하부 밴드부내벽전체에 밀접날개를 돌출형성한 것으로 이는 타전시 밀봉성능이 떨어지고, 브리지의 파열로 내용물의 누수가 되고 병마개 생산공정의 증가로 고가로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본 고안은 플라스틱재 병마개(20)의 내저면주변에 라이너(26)를 직접 형성하며 절취밴드부(33)내벽면에는 서로 다른 두께의 일정간격으로 이루어진 결합돌출부(31)를 수평상태로 형성하고 개전표시(28) 절단선(27)에는 두군데씩 경사부(29)와 수직스토퍼(30)로 이루어진 사다리꼴 형상의 굴곡절단선(27)을 수개 형성함으로서 병마개타전시 브리지의 파열이 없고 밀봉성능을 향상시키며 생산공정을 단축시키고 개전표시 절단성의 기능을 향상시킨 고안이다.

Description

플라스틱재 병마개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단하여 내부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플라스틱재 병마개로 합성수지재 병구를 막은 구조를 단면으로 보인 측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점선부분 확대도.
제4도는 제1도의 (b)점선부분 확대도.
제5도는 제1도의 (c)점선부분 확대도.
제6도는 종래의 플라스틱재 병마개 단면도.
제7도는 종래의 합성수지재병의 일부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플라스틱재 병마개 26 : 라이너
27 : 절단선 27 : 굴곡절단선
28 : 개전표시 29 : 경사부
30 : 수직스토퍼 31 : 결합돌출부
31' : 상부턱 31 : 경사면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병구를 막어 사용하게 된 플라스틱재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마개의 저면주면에 병구면을 감싸서 밀봉시켜주는 라이너를 직접 돌출형성하여 밀봉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병마개 생산공정을 단축시키고 또 절취밴드부위의 개전표시 절단선에 중간중간 두개씩의 경사부와 스토퍼로 이어지는 굴곡 절단선으로 되게 형성하여 병구를 막을시에 과도한 가압력이 가해져도 절단선, 브리지의 파열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또 병마개 하부 절취밴드부의 내면에 일정간격의 서로 다른 두께로 성형된 결합돌출부를 형성시켜서 합성수지재병구와의 안전한 결합과 밀봉도를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플라스택재 병마개는 제6도에 단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병마개(16)내벽의 나선돌기(13)를 제7도의 합성수지재병구(1)하부의 나선부(2)를 따라서 틀어 막을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 내저면에는 별도의 패밍라이너(4)를 만들어 부착하였고 하부 절취밴드부(18)위에 일직선상의 개전표시 절단선(14), 브리지(14')를 형성하고 있으며 절취밴드부(18)내벽에는 밀접날개(13)가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한 하단에 돌기테(19)를 형성하여 병구(1)의 걸림턱(3)에 걸리도록 하고 밀접날개(13)는 병구(1)외벽을 압압접촉하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병마개는 플라스티재 병마개(16)를 개전표시의 기능을 갖는 절단선(14), 브리지(14')가 파열되기 직전까지 병마개를 개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병구(1)와 병마개의 라이너와 밀착이 떨어져서 내용물이 누수되거나 공기가 흡입되어 내용물의 변질을 가져올 염려가 있었다. 즉, 주스같은 무방무제 제품은 공기와의 접촉이 되면 내용물이 변질되어 부패할 위험이 매우 많다.
이러한 무방부재 제품은 고의가 아니더라도 브리지(14')가 파열되기 직전까지 병마개가 개전방향으로 회전됐을 경우 병구(1)와 병마개(16), 라이너(4)와의 밀착이 떨어져 공기가 흡입되므로 내용물이 변질될 경우 병이 팽창하여 터지는 경우도 발생하며 또한 병마개(16)를 병구(1)에 막게될때 일직선형 절단선(14)의 브리지(14')에 힘이 가해져서 과도한 가압력이 가해질경우와 운반취급중 충격으로 인하여 절단선(14)의 브리지(14')가 파열케되는 경우가 생기는 결함이 있다.
또한 절취밴드부(15)내벽면에 다수 일정간격으로 돌출시킨 밀접날개(13)는 병구(1)하측면을 강한 쐬기역활을 하기때문에 병마개막는 작업시의 브리지(14')파열이 더욱 많은 결함이 있었으며 또 별도의 라이너(4)를 생산하여 부착시키는 작업공정이 뒤따르므로 고가로 되는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그러한 종래의 결함들을 개선시킨 것으로 본 고안은 기존 병마개(16)의 밀접날개(13)대신에 절취밴드부와 수평으로 형성되어진 결합돌출부를 가진다.
이 결합돌출부가 합성수지재병구의 걸림턱부위와 결합되어 밀봉되어지며 또 합성수지재병구에 병마개를 막어 밀봉시키는 작업이 쉽게되고 개전할때 병의 걸림턱 부위와 완벽하게 밀착되도록 서로 다른 두께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진다.
이 결합돌출부가 너무 두꺼우면 병마개를 병구에 밀봉시킬때에 어려우며, 얇으면 개전표시의 절취밴드부의 성능이 불충분하다 이런점을 보완 개선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병구면을 감싸주는 라이너가 플라스틱재 병마개로 내저면주위에 직접 돌출형성함으로 라이너의 중간 삼각압접부와 양측접합부가 병구면을 완벽히 밀봉시켜주기 때문에 개전방향을 병마개를 회전시켜도 내용물의 누수나 공기와의 접촉이 않되어 완벽한 밀봉성능을 갖출수 있으므로 소비자가 내용물을 안심하고 음용할수가 있으며, 또한 절취밴드부를 형성시키는 절단선의 브리지는 일정간격에 두군데씩의 경사부와 수직스토퍼로 이루어진 사다리꼴형상의 굴곡절단선을 이루고 있으므로 플라스틱재병마개를 합성수지재병구에 막어 밀봉시킬때에 경우에 따라 과도한 가압력이 병마개에 가해질 경우 개전여부를 표시해주는 절단선의 브리지가 파열되는 일이 없고 완벽하다. 더욱이 스토퍼의 구조는 막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때 절취밴드부와 수직으로 된 부위에 힘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과도한 가압력이 가해져도 절단선 브리지의 파열을 막을 수 있고 스토퍼 반대측으로 경사부를 이루고 있어서 개전시에는 용이하게 개전할 수 있도록 착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라스틱재 병마개(20)의 내부벽에 나선돌기(21)를 형성하여 합성수지재병(22)의 병구(22')외벽면에 형성시키 나선부(23)를 따라 틀어넣어서 병마개(20)를 막게 된 통상의 병마개에 있어서, 병마개(20)의 내저면주변에 중간의 삼각압접부(25)와 양측접합부(25')(25)로 이루어진 러이너(26)를 병마개(20)와 같이 직접 돌출형성하여 병구(22')상면을 감싸 밀봉할 수 있게 하고 병마개(20)하부 절취밴드부(33)위의 절단선(27)및 브리지(27')로 이어진 개전표시(28) 절단선(27)에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두군데씩의 경사부(29)와 수직스토퍼(30)로 이루어진 사다리꼴 형상의 굴곡절단선(27)이 이루어지게 형성하였다. 그리고 절취 밴드부(33)의 내벽면에는 사로 다른 두께로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절취밴드부(33)와 수평으로 형성시킨 결합돌출부(31)를 가진다.
이 결합돌출부(31)는 병마개(20)를 병구(22')에 막는 작업을 순조롭게 하고 막은후에 완벽한 밀봉을 지니게 하기 위하여 상부턱(31')에서 하부로 얇은 구조의 경사면(31)으로 형성하였다.
결합돌출부(31)는 합성수지재병(22)의 하부걸림턱(32)에 걸리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병(22)의 병구(22')에 막어 사용하도록 된 플라스틱재 병마개(20)는 상기에서와 같이 병마개(20)내저면주변에 삼각압접부(25)와 양측접합부(25')(25)로 이루어진 밀봉의 라이너(26)를 직접 돌출형성하고 있으며 또 하부의 절취밴드부(33)내벽면에 수평상태의 서로 다른 두께로서 이루어진 상부턱(31')과 하부로 얇은 구조의 경사면(31)를 이룬 결합돌출부(31)를 형성한 구조이므로 플라스틱재 병마개(20)를 병구(22')에 밀봉시키는 방향으로 틀어주어 막게되면 제2도의 도시상태와 같이 라이나(26)의 삼각압접부(25)는 병구(22')상면에 양측접합부(25')(25)는 병구(22')의 내외면을 강력한 탄성력으로 압접되고 또 압압시킴과 동시에 하부의 절취밴드부(33)내벽 결합돌출부(31)의 상부턱(31')에서 합성수지재병(22)의 걸림턱(32)에 스라이딩되어 걸리게 되므로 쉽게 병마개(20) 관착작업할수가 있고 또 개전표시(28) 절단선(27)의 브리지(27')가 파열됨이 없는 안전한 효과가 있을뿐 아니라, 밀봉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절취밴드부(33)위에 형성시킨 개전표시(28)의 절단선(27)은 일정간격을 두고 경사부(29)와 수직스토퍼(30)를 두군데씩 형성하여 사다리꼴형상의 굴곡절단선(27)을 이루고 있으므로 병마개(20)를 병구(22')에 틀어 막을때는 가해진 힘이 수직스토퍼(30)에서 스톱되어지므로 브리지(27')가 파열되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또 병마개(20)를 틀어 개전시킬때는 가해진 힘이 경사부(29)를 따라 이동되므로 개전표시(28) 절단선(27)의 브리지(27') 곧 파열케되므로 쉽게 병마개를 개전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라이너(26)는 병마개(20)에 직접 형성시킨 구조이므로 병마개생산비 절감의 이점도 있다.

Claims (1)

  1. 플라스틱재 병마개(20)의 내저면주변에 라이너(26)를 직접 형성한 절취밴드부(33)내벽면에 서로 다른 두께의 일정간격으로 이루어진 결합돌출부(31)를 형성하고 개전표시(28) 절단선(27)에는 두군데씩 경사부(29)와 수직스토퍼(30)로 이루어진 사다리꼴 형상의 굴곡절단선(27)을 수개 형성하여서 된 플라스틱재 병마개.
KR2019960041806U 1996-11-25 1996-11-25 플라스틱재 병마개 Expired - Lifetime KR2001518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806U KR200151879Y1 (ko) 1996-11-25 1996-11-25 플라스틱재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806U KR200151879Y1 (ko) 1996-11-25 1996-11-25 플라스틱재 병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774U KR19980028774U (ko) 1998-08-05
KR200151879Y1 true KR200151879Y1 (ko) 1999-07-15

Family

ID=1947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806U Expired - Lifetime KR200151879Y1 (ko) 1996-11-25 1996-11-25 플라스틱재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87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25709A1 (it) * 2021-10-07 2023-04-07 Sacmi Tappo per contenitor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774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9924A (en) Cap
US5979682A (en) Tab construction for closures having tamper evident rings
EP1056650B1 (en) Pour spout fitment for use with packaging
US4442947A (en) Plastic closure with sealing flaps
US6082568A (en) Containers and caps having tamper-evident liners
US6126027A (en) Self-centering container closure
US4522305A (en) Opening arrangement for packing containers with pressurized contents
CN1871164B (zh) 封盖
CA1038806A (en) Closure for containers
WO1998021111A1 (en) Container safety cap and combination of safety cap and container
KR920017938A (ko) 음료를 함유하고 있는 병에 사용할수 있도록 된 병에대한 폐쇄장치
CN106573706B (zh) 排出口栓以及包装容器
US20110108509A1 (en) Container closure
JP2008517843A (ja) スナップトップ閉止装置
JPH1035699A (ja) ワンピース型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CN1997560A (zh) 瓶子密封件
US3972445A (en) Easy-opening container ends
KR200151879Y1 (ko) 플라스틱재 병마개
US20040026286A1 (en) Carton Closure
JP3966597B2 (ja) 合成樹脂製複合キャップ
CN215923091U (zh) 一种液体密封盖
JP3602195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US5829612A (en) Tab Construction for closures having tamper evident rings
JP2006027663A (ja) 高温開栓性が改良された耐熱ライナー及びこの耐熱ライナーを備えたボトル用キャップ
JP6594120B2 (ja) キャップ及びこのキャップを備えた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112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2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811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4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42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