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80073A - 림포독소 베타 경로의 차단에 의한 바이러스-유도성 전신쇼크 및 호흡 장애의 반전 - Google Patents

림포독소 베타 경로의 차단에 의한 바이러스-유도성 전신쇼크 및 호흡 장애의 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0073A
KR20010080073A KR1020017004493A KR20017004493A KR20010080073A KR 20010080073 A KR20010080073 A KR 20010080073A KR 1020017004493 A KR1020017004493 A KR 1020017004493A KR 20017004493 A KR20017004493 A KR 20017004493A KR 20010080073 A KR20010080073 A KR 20010080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ta
receptor
cells
antibodies
blocke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8832B1 (ko
Inventor
브라우닝제프
푸글리엘리마리안
아흐메드라피
Original Assignee
아스트루 마이클 제이
바이오겐, 인코포레이티드
추후제출
에모리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트루 마이클 제이, 바이오겐, 인코포레이티드, 추후제출, 에모리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아스트루 마이클 제이
Publication of KR20010080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0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83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4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cytokines, lymphokines or interferons
    • C07K16/241Tumor Necrosis F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7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A61K38/1793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for cytokines; for lymphokines; for interfe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191Tumor necrosis factors [TNF], e.g. lymphotoxin [LT], i.e. TNF-be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6Central respiratory anale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4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cytokines, lymphokines or interferons
    • C07K16/241Tumor Necrosis Factors
    • C07K16/242Lymphotoxin [LT]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66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receptors for 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30Non-immunoglobulin-derived peptide or protein having an immunoglobulin constant or Fc region, or a fragment thereof, attached theret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ll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ycology (AREA)
  • Vi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체에서 항 바이러스성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개체에 유효량의 LT-B 차단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바이러스-유도성 전신 쇼크 및 호흡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림포독소 베타 경로의 차단에 의한 바이러스-유도성 전신 쇼크 및 호흡 장애의 반전{REVERAL OF VIRAL-INDUCED SYSTEMIC SHOCK AND RESPIRATORY DISTRESS BY BLOCKADE OF THE LYMPHOTOXIN BETA PATHWAY}
신 놈브레(Sin Nombre, SNV), 에볼라(Ebola), 마르버그(marburg), 라사 (Lassa) 및 뎅그(Dengue)를 포함하는 수개의 바이러스는 모두 다음과 같은 증상 수개를 갖는 급성 질환을 야기시킨다: 신속한 개시, 열, 전신 쇼크 및 폐질환(Lacy et al.(1997) Adv. Ped.Inf.Dis. 12:21). 이들 감염 중 또다른 공통성은 내피 세포 및 대식세포를 표적으로 한 바이러스 감염의 전신 분포이다(Lacy et al. (1997) Adv. Ped. Inf. Dis. 12:21). SNV를 제외한 대부분의 이들 신생 바이러스들은 수십년 전에 먼저 동정되었다. 이들이 발견되고 여러 해가 지나, 이들 병원체는 재출현하여 전세계적으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1998년 6월, 미국 남서부에서 사슴 마우스 집단의 증가로 인해, 한타바이러스 폐 쇼크 증후의 원인이 되는 병원체인 SNV에 대한 183명의 확인된 환자가 있었다. 이들 환자 중 오직 55%만이 감염으로부터 생존하였다(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MWR. 47,449(1998)). 최근 이들 바이러스의 병원론에 대하여 거의 알려진 바 없으며, 매해 바이러스-유도성 전신 쇼크 및 호흡 장애로 고통받는 전세계적인 수천명의 감염 환자들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에 대하여도 거의 알려진 것이 없다.
따라서, 개체에서 바이러스-유도성 전신 쇼크 및 호흡 장애를 치료하는 신규의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은 1998. 10. 9. 출원된 선행 미국 잠정출원 S.N. 60/103,662의 부분계속출원이다. 이전에 출원된 지역 특허출원에서의 가르침은 본 명세서에 인용문헌으로 통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개체에 항바이러스성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개체에서 바이러스-유도성 전신 쇼크 및 호흡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에는 특정 "림프독소-베타 차단제"를 투여하는 단계가 관여한다.
도 1은 클론 13 LCMV로 NZB를 감염시키면 사망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LCMV-13(n=14)에 감염된 NZB 마우스의 사망 곡선 및 감염 6일 후 LCMV 13(n=7)에 감염된 마우스의 다양한 조직에서의 바이러스 역가.
도 2는, NZB 마우스에서의 LCMV-13 감염의 조직학적 종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A) (100X, H+E)에서의 일반 폐, (B) 감염 5일 후 폐에서 단핵 세포 침윤물 및 액포모양의 두꺼운 세포벽을 갖는 간질의 폐렴(100X, H+E) (C) 지라에서의 림프액고갈, 세포 괴사 및 소포 구조의 폐색(25X, H+E), (D) 고배율로 보여주는 지라에서의 세포 괴사 및 핵붕괴 잔해(158, H+E) (E) 폐에서의 LCMV-13 양성 내피 세포(화살표) 및 대식세포(흰색 화살표) (100X, IHC) (F) 지라에서의 LCMV-13 양성 내피 세포(화살표) 및 중피 세포(화살표 머리) 및 대식세포(흰색 화살표) (50X, IHC) (G) 심장에서의 LCMV-13 양성 내피세포 (100X, IHC) (H) 간에서의 LCMV-13 양성 쿠퍼(Kupffer) 세포 및 동양혈관 내층 세포(100X, IHC).
도 3은 LTβR 신호전달 경로를 차단하는 것이 클론 13-감염 NZB 마우스의 생존율을 상당히 향상시킨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처리된 클론 13-감염 NZB 마우스의 사망 곡선을 여기에서 보여주고 있다. NZB 마우스는 2.5×106pfu Cl 13을 정맥내 주사하고, 이어서 감염 1일 및 4일 후 PBS가 없는 내독소 중 250㎍의 TN3-19.12 항체를 함유하는 복강낸 투여를 2회 하였다(인용문헌 S를 참조하라). 대조군 마우스는 동일 일자에 동일한 부피의 PBS 부재 항체로 투여하였다. 인용문헌 R에 설명된 바와 같이 마우스를 처리하였다. 트리플 처리 군의 경우, 감염 0일 및 3일 후 TNFR55-Ig 및 LTβR 단백질 200㎍을 복강내로 넣었다. 대조군 마우스에는 동일한 일자에 이들 융합 단백질(AY1943-29)의 합성에 사용된 사람 항체를 동일한 양으로 부여하였다. 오직 LTβR-Ig만을 받은 마우스는 TNFR55-Ig 투여를 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수개의 실험, 항-TNF(TN3-19.12) 단독, LTβR-Ig 단독인 경우 n=16, 트리플 처리 군의 경우 n=10 (트리플 처리 군의 경우 n=10, LTβR-Ig 단독의 경우 n=22, LTβR-Ig + TNFR55-Ig 군의 경우 n=10, 항-TNF 및 TNFR55-Ig 처리 군의 경우 n=5, 항-TNF(TN3-19.12) 단독의 경우n=6, 및 대조군의 경우 n=25)으로부터 데이터를 축적하였다.
도 4는 LTβR 경로를 차단하면 CD8 T 세포 기능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감염 6일 후 서로 다르게 처리된 군에 있는 마우스로부터 지라세포를 수집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NP118 9량체 펩티드를 함유하는 Ld4량체로 염색하였다. 주어진 값을 비-특이 백그라운드 염색에 대해 조정하였다. 동일한 펩티들에 반응한 인터페론 감마 생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0.1㎍/㎖의 최종 농도에서의 NP118 및 IL-2의 존재하 5시간동안 37℃에서 세포를 항온처리하였다. 여기서 주어진 값은 펩티드 부재의 경우 백그라운드 수준에 대해 조정한다. 대조군 사람 Ig으로 처리된 3마리의 마우스로부터 나온 지라세포를 두마리의 LTβR-Ig 마우스의 경우와 같게 수집하였다(LT 베타 #2/3). 모든 기타 결과들은 개별적인 마우스로부터 나온다.
도 5는 CD4+T세포가 아닌 CD8+T 세포가 고갈되면 NZB 마우스에서 LCMV-13 감염의 치사 효과가 완전히 바뀌게 된다. 생체내 세포 집단의 고갈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마우스를 처리하였다. 처리된 군 각각에 대하여 사망 곡선을 나타낸다(n=4).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개체에서 바이러스-유도성 전신 쇼크 및 호흡 장에를 치료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언급된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서 림포독소-베타(LT-B) 차단제로 정의된 특정 작용제를 사용하여 개체에서 바이러스-유도성 전신 쇼크 및 호흡 장애를 치료할 수 있다는 발견을 부분적으로 이용하였다. 일구체에에서, LT-B 차단제는 림포독소-베타 수용체(LT-B-R) 차단제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LT-B-R는 림포독소-B 수용체 또는 수용성 림포독소 B 수용체에 대한 항체이다.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LT-B-R 차단제는 면역글로불린 불변 중쇄 도메인에 융합된 LT-B-R 세포외리간드 결합 도메인을 갖는 재조합 LT-B-R 융합 단백질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양상 및 장점 뿐만 아니라, 본 발명 자체는 하기 바람직한 구체예의 설명에 의해 더욱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정의
청구된 발명의 주제를 좀 더 명확하고 간결하게 지적하기 위하여, 하기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특정 용어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정의를 제공한다.
림포독소-베타(LT-베타)는 TNF 패밀리 리간드의 일원이며, TNF 패밀리 리간드는 또한 Fas, CD27, CD30, CD40, OX40 및 4-1BB 수용체에 대한 리간드들도 포함한다(Smith et al., Cell, 76, pp.969-62(1994)). TNF, LT-알파, LT-베타 및 Fas-can을 포함하는 TNF 패밀리의 일원들 수개에 의한 신호전달은 괴사 또는 아폽토시스(프로그램된 세포 사멸)에 의한 종양 세포 사멸을 유도시킨다. 비-종양형성 세포의 경우, TNF 및 다수의 TNF 패밀리 리간드-수용체 상호작용들은 면역계 발달에 영향을 주고 다양한 면역 공격자들에 반응한다.
림포독소-베타(또한 p33으로 불림)는 T 림프구, T 세포주, B 세포주 및 림포카인-활성화된 킬러(LAK) 세포의 표면에서 동정되었다. LT-베타는 출원인의 동시 계류중인 국제출원 PCT/US91/04588(1992. 1. 9. WO 92/00329로 공개됨); 및 PCT/US93/11669(1994. 6. 23. WO 94/13808로 공개됨)의 주제이며,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에 인용문헌으로 통합되어 있다.
TNF 패밀리 수용체의 일원인 LT-베타 수용체는 표면 LT 리간드에 특이적으로결합한다. LT-베타-R은 LT 헤테로머 복합체(주로 LT-알파 1/베타 2 및 LT-알파2/베타 1)에 결합하나, TNF 또는 LT-알파에 결합하지 않는다(Crowe et al., Science, 264, pp. 707-10(1994)). LT-베타-R에 의한 신호전달은 말초 림프 기관 발달 및 체액성 면역반응에 역할할 수 있다.
LT-베타-R mRNA는 사람 지라, 흉선 및 기타 주요 기관에서 발견된다. LT-베타-R 발현 패턴은 LT-베타-R이 말초 혈액 T 세포 및 T 세포중에서 결여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p55-TNF-R에 대하여 알려진 것과 유사하다.
"LT-베타-차단제"는 LT-베타에 결합하는 리간드, 세포표면 LT-베타 군집화 또는 LT-베타 신호전달을 감소시키는 작용제 또는 LT-베타 신호가 세포 내 해석되는 방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작용제를 의미한다. LT-베타-차단제의 예는 항-LT-베타, 수용성 LT-베타-R-Fc 분자 및 항-LT-알파, 항-LT-알파/베타 및 항-LT-베타-R Ab들을 포함한다. 항체는 LT-알파 분비형과 교차-반응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LT-베타-수용체 차단제"는 LT-베타-R에 결합하는 리간드, 세포표면 LT-베타-R 군집화 또는 LT-베타-R 신호전달을 감소시키는 작용제 또는 LT-베타-R 신호가 세포 내 해석되는 방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작용제를 의미한다. LT-베타- R 차단제의 예는 수용성 LT-베타-R-Fc 분자 및 항-LT-베타-R Ab들을 포함한다. 항체는 LT-알파 분비형과 교차-반응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LT-베타 수용체 항체"는 LT-베타 수용체의 하나 이상의 에피토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임의의 항체를 의미한다.
"항-LT 항체"는 LT-알파, LT-베타 또는 LT-알파/베타 복합체의 하나 이상의에피토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임의의 항체를 의미한다.
"LT 리간드"는 LT 헤테로머 복합체 또는 LT-베타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이의 유도체를 의미한다.
"LT-베타-R 신호전달"은 LT-베타-R 경로와 관련된 분자반응 및 그 결과인 차후 분자 반응을 의미한다.
"LT-베타-R 리간드 결합 도메인"은 LT 리간드를 특이적으로 인식하고 이와 반응하는데 관여하는 LT-베타-수용체의 일부(들)를 의미한다.
"LT-알파/베타 헤테로머 복합체" 및 "LT 헤테로머 복합체"는 1이상의 LT-알파 및 1이상의 LT-베타 서브유닛 사이의 안정된 연합을 의미하며, 1이상의 서브유닛의 수용성 형태, 변이 형태, 변경된 형태 또는 키메라 형태를 포함한다. 서브유닛은 정전기 결합, 반데르 바알스 결합 또는 공유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LT-알파/62 헤테로머 복합체는 2개 이상의 인접한 LT-베타 서브유닛을 가지면서 인접한 LT-알파 서브유닛을 결여한 것이 바람직하다. LT-알파/베타 헤테로머 복합체가 세포 성장 분석에서 LT-베타-R 활성화제로 작용하는 경우, 복합체는 수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며 화학량론 LT-알파 1/베타 2를 갖는다.
수용성 LT-알파/62 헤테로머 복합체는 막간 도메인을 결여하고 있으며, LT-알파 및/또는 LT-베타 서브유닛을 발현하도록 조작된 적절한 숙주세포에의해 분비될 수 있다(Crowe et al., J.Immunol. Methods, 168, pp.79-89(1994)).
"표면 LT-알파/62 복합체" 및 "표면 LT 복합체"는 세포 표면상에 나타나 있는 LT-알파 및 세포막-결합 LT-베타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복합체를 의미하며, 1이상의 서브유닛의 변이 형태, 변경된 형태 및 키메라 형태를 포함한다. "표면 LT 리간드"는 표면 LT 복합체 또는 LT-베타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이의 유도체를 의미한다.
"유효량"은 유익하거나 바람직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이다. 유효량은 1 회 이상의 투여로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의해, 림포독소-B의 그 수용체에 대한 결합을 차단하는 작용제의 유효량은 바이러스 반응의 전개를 개선, 안정화 또는 지연시키데 충분한 작용제의 양이다. 특히, 바이러스-유도성 전신 쇼크 및 호흡 장애의 발달을 개선, 안정화 또는 지연시키는데 충분한 작용제이다. 효험에 대한 이들 지시제의 검출 및 측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개체"는 척추동물, 특히 포유류의 일원을 의미하며, 가축, 스포츠용 동물 및 사람을 비롯한 영장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미노산 잔기의 "기능적 등가물"은 (i) 기능적 등가물에 의해 치환되는 아미노산 잔기와 유사한 반응 특성을 갖는 아미노산; (ii) 기능적 등가물에 의해 치환된 아미노산 잔기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아미노산으로서 본 발명의 길항제의 아미노산; (iii) 기능적 등가물에 의해 치환되는 아미노산 잔기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비-아미노산 분자이다.
본 발명의 단백질 길항제를 코딩하는 제1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하기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길항제 단백질을 코딩하는 제2 폴리펩티드와 비교되는 "기능적으로 등가"이다:
(a) "기능적 등가물"은 표준 하이브리드화 조건 하에 제2 폴리펩티드와 하이브리드하는 제1 폴리펩티드이고/이거나 제1 폴리펩티드 서열에 대하여 퇴화된 것이다. 인테그린 길항제 단백질의 활성을 갖는 돌연변이 단백질을 코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b) "기능적 등가물"은 발현 상 제2 폴리펩티드에 의해 코딩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제1 폴리펩티드이다.
아미노산 잔기의 "기능적 등가물"은 (i) 기능적 등가물에 의해 치환되는 아미노산 잔기와 유사한 반응 특성을 갖는 아미노산; (ii) 기능적 등가물에 의해 치환된 아미노산 잔기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아미노산으로서 본 발명의 길항제의 아미노산; (iii) 기능적 등가물에 의해 치환되는 아미노산 잔기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비-아미노산 분자이다.
본 발명의 단백질 길항제를 코딩하는 제1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하기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길항제 단백질을 코딩하는 제2 폴리펩티드와 비교되는 "기능적으로 등가"이다;
(a) "기능적으로 등가물"은 표준 하이브리드화 조건 하에 제2 폴리펩티드와 하이브리드하는 제1 폴리펩티드이고/이거나 제1 폴리펩티드 서열에 대하여 퇴화된 것이다. 인테그린 길항제 단백질의 활성을 갖는 돌연변이 단백질을 코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b) "기능적 등가물"은 발현 상 제2 폴리펩티드에 의해 코딩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제1 폴리펩티드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LT-B 차단제는 본 명세서에 목록화된 작용제 뿐만 아니라이들의 기능적 등가물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기능적 등가물"은 LT-B 차단제 또는, 기능적으로 등가인 것으로 여겨지는 LT-B 차단제로서 수용자에게 동일 또는 개선된 유익한 효과를 갖는 LT0B 차단제를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를 의미한다. 기능적으로 등가인 단백질은 재조합 기법, 예컨데 "기능적으로 등가인 DNA"를 발현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연적으로 발생한 DNA 뿐만 아니라 천연적으로 발생한 DNA에 의해 코딩되는 것과 동일한 단백질을 코딩하는 비-천연적으로 발생한 DNA에 의해 코딩되는 LT-B 차단제를 포함한다. 뉴클레오티드 코딩 서열의 퇴화때문에, LT-B 차단제를 코딩하는 다른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서열 내에서 동일 아미노산 잔기를 코딩하는 다른 코돈으로의 치환으로 인해 변경되어 침묵적인 변화를 생성하는 상기 서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이렇게 변경된 서열은 이들 서열의 등가물로 간주된다. 예를 들면, Phe(F)는 두개의 코돈, TTC 또는 TTT에 의해 코딩되고, Tyr(Y)는 TAC 또는 TAT에 의해 코딩되며, His(H)는 CAC 또는 CAT에 의해 코딩된다. 반면, Trp(W)는 오직 하나의 코돈, TGG에 의해 코딩된다. 따라서, 특정 인테그린을 코딩하는 주어진 DNA 서열의 경우 이를 코딩할 다수의 DNA 퇴화 서열들이 존재할 것이라고 이해될 것이다. 이들 퇴화 DNA 서열은 본 발명의 범위 안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융합" 또는 "융합 단백질"은 개별적인 펩티드 백본에 의해 함께-선형으로, 공유 결합된 2개 이상의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들을 의미하며, 이러한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분자의 유전적 발현을 통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백질 또는 이의 단편은 서로 다른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런 유형의 융합 단백질은 "키메라" 분자라고 지칭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융합 단백질은 LT-B 차단제가 아닌 제2 조각에 공유결합된 LT-B 차단제 또는 단편을 포함하는 키메라 단백질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융합 단백질은 항원-결합 특이성을 보유하는 완전한 항체의 부위, 예컨대, Fab 단편, Fab' 단편, F(ab')2 단편, F(v) 단편, 중쇄 단량체 또는 이량체, 경쇄 단량체 또는 이량체, 하나의 중쇄 및 하나의 경쇄로 구성된 이량체 등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한 융합 단백질은 키메라이며, 면역글로불린 경쇄, 중쇄 또는 이들 모두의 힌지 및 불변 영역 모두 또는 일부에 융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연결된 LT-B 차단제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1) LT-B 차단제 조각, (2) 제2 펩티드, 예, LT-B 차단제 조각의 용해도 또는 생체내 수명을 증가시키는 펩티드(예,면역글로불린 수퍼 패밀리의 일원 또는 이의 단편 또는 부위, 예, IgG의 부위 또는 단편, 예, 사람 IgG1 중쇄 불변 영역, 예, CH2, CH3 및 힌지 영역)를 포함하는 분자를 특징으로 한다. 특히, "LT-B 또는 LT-B-R/Ig 융합"은 생물학적으로 활성있는 본 발명의 LT-B 차단제을 포함하는 단백질(예, 수용성 LT-B-R 또는, 면역글로불린 사슬의 N-말단에 연결된 이의 생물학적으로 활성있는 단편(면역글로불린의 N-말단 부위가 LT-B 차단제로 치환됨))이다. 일종의 LT-B 또는 LT-B-R/Ig 융합은 면역글로불린의 불변 도메인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된 본 발명의 LT-B-R를 포함하는 단백질인 "LT-B-R/Fc 융합"이다. 바람직한 Fc 융합은 면역글로불린 중쇄의 C-말단 도메인을 함유하는 항체의 단편에 연결된 본 발명의 LT-B 차단제를 포함한다.
"표준 하이드리드화 조건"-염 및 온도 조건은 하이브리드화 및 세척 모두에서 0.5×SSC 내지 약 5×SSC 및 65℃와 실질적으로 등가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표준 하이브리드화 조건"은 조작상 정의이며 일정 범위의 하이브리드화 조건을 포함한다. 더 높은 스트린전트 조건은, 예를 들면, 플라크 스크린 완충액 (0.2% 폴리비닐피롤리돈, 0.2% Ficoll 400; 0.2% 소혈청 알부민, 50mM Tris-HCl(pH 7.5); 1M NaCl; 0.1% 파이로인산 나트륨; 1% SDS); 10% 황산 덱스트란, 및 100㎍/㎖ 변성되고 초음파처리된 연어 정자 DNA로 65℃에서 12-20시간동안 하이브리드하고 65℃에서 75mM NaCl/7.5mM 시트르산 나트륨(0.5×SSC)/1% SDS로 세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낮은 스트린전트 조건은, 예를들면, 플라크 스크린 완충액, 10% 황산 덱스트란 및 110㎍/㎖ 변성되고 초음파처리된 연어 정자 DNA로 55℃에서 12-20 시간동안 하이브리드하고, 300mM NaCl/30mM 시트르산 나트륨(2.0×SSC)/1% SDS로 55℃에서 세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Sections 6.3.1-6.3.6, (1989)를 참조하라.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치료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단백질 및 기타 생물학적으로 적합한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치료학적 조성물은 물과 같은 부형제 및 단백질과 같은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Ⅱ. 바람직한 구체예의 설명
본 발명은 LT-B 차단제가 개체내에서 항 바이러스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는 발견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개체를 치료하면 개체의 생존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LCMV-13 감염된 NZB 마우스를 LTβR-Ig 융합 단백질과 같은 LT-B 차단제로 치료하여 이들의 생존율이 73%로 증가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최근 에볼라, 뎅그, SNV 및 기타 본 명세서에 언급된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는 질환 전파에 대한 교육을 통해 예방시키는 것이다. 이들 고도의 병원체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구아니딘 유도체인 리바비린(Ribavirin)은 이들 감염들 중 수개에 관한 일반적인 항바이러스성 약물로 사용되어 왔으나, 오직 병의 초기에 사용되는 경우 라사 열(Lassa Fever)의 치료에 대해서만 재현가능한 성공을 제공한다는 것이 입증되었을 뿐이다(M.D. Lacy and R.A. Smego, Adv. Ped. Inf. Dis., 12, 21(1997)). 우리의 데이타는, 이들 바이러스와 연관된 병상 중 일부가 면역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LT 시스템을 차단하면, 순간적으로 바이러스 특이 CD8 T 세포 수 및 이들의 기능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크게 생존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TNFα경로를 차단하려는 수개의 방법을 이용하는 치료학적 시도가 수개의 질환를 처리하는데 이미 사용하고 있다(H.I. Pass, D. Mew, H.A. Pass, et al., Chest Surg. Clin. N. Amer. 5,73(1995)). LTβR-Ig 처리는 동물 모델에서 더 시험되어져야 한다고 생각되는데 이는 쇼크 및/또는 폐 장애와 관련되어 있으면서 신속하게 전개되는 급성 바이러스성 감염에 걸린 환자와 관련이 있는 인간에서의 시행이 궁극적인 용도이기 때문이다.
LT-B 차단제
본 발명의 일구체예에서, LT-베타 차단제는 LT-베타 신호전달을 억제하는,LT-베타에 대한 항체(Ab)를 포함한다. 항-LT-베타 Ab가 단클론성 항체(mAb)인 것이 바람직하다. 억제성 항-LT-베타 Ab들 및 기타 LT-베타 차단제는, LT 리간드에 결합하거나 또는 세포 상 LT-베타 신호전달의 효과를 억제하는 하나이상의 작용제의 능력을 검출하는 스크리닝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동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LT-베타 차단제는 LT-베타 수용체(LT-B-R) 차단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LT-B-R 차단제는 LT-베타-R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LT-베타-R에 대한 항체(Ab)이다. 항-LT-베타-R Ab가 단클론성 항체(mAb)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억제성 항-LT-베타-R mAb는 BDA8 mAb이다. 억제성 항-LT-베타-R Ab 및 기타 LT-베타-R 차단제는, LT-베타-R 또는 LT 리간드에 결합하거나 또는 세포 상 LT-베타-R 신호전달의 효과를 억제하는 하나이상의 작용체의 능력을 검출하는 스크리닝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동정할 수 있다.
한 스크리닝 방법은 LT-베타-R를 함유하는 종양 세포 상에서 LT-베타-R 신호전달의 세포독성 효과를 이용한다. 종양 세포가 하나이상의 LT-베타-R 활성화제에 노출되면 LT-베타-R 신호전달을 유도한다. LT-베타-R 활성화제는 IFN-감마 존재 하 LT-알파/62 헤테로머 복합체(바람직하게는 수용성 LT-알파 1/베타 2), 또는 활성화된 항-LT-베타-R Ab를 포함한다(하기 참조; 또한, 출원인의 공동 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08/378,968호에 기재된 것 참조).
LT-베타-R 신호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항체 및 기타 작용제는 하기 분석에서 종양 세포 상에서 LT-베타-R 신호전달의 세포독성 효과를 억제하는 활성에 기초하여 선별될 수 있다:
1) HT29 세포와 같은 종양 세포를, 순차적으로 희석된 시험될 작용제의 존재 또는 부존재하에 배지 및 1이상의 LT-베타-R 활성화제를 함유하는 일련의 조직 배양 웰에서 3 또는 4일간 배양한다;
2) MTT와 같은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측정하는 치명적인 염료 염색(vital dye stain)을 종양 세포 혼합물에 첨가하고 수 시간동안 반응시킨다;
3) 각 웰에 있는 혼합물의 광학적인 밀도를 550㎚ 파장의 빛(OD 550)에서 정량화한다. OD 550은 각 웰 내 LT-베타-R 활성화제 및 시험용 LT-베타-R 차단제의 존재하에서 남아있는 종양세포의 숫자에 비례한다. LT-베타-R 활성화된 종양세포 세포독성을 상기 분석에서 2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는 작용제 또는 이들 작용제의 조합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는 LT-베타-R 차단제이다.
LT-베타-R 신호전달을 활성화시키는 임의의 작용제 또는 이들 작용제의 조합을 상기 분석에서 사용하여, LT-베타-R 차단제를 동정할 수 있다. LT-베타-R 신호전달을 유도하는 LT-베타-R 활성화제(예, 항-LT-베타-R mAb들을 활성화하는 것)는 상기 설명한 종양 세포 분석을 사용하여 단독 또는 종양세포 세포독성의 효력을 강화시키는 기타 작용제와 조합한 상기 활성화제 능력에 기초하여 선별할 수 있다.
LT-베타-R 차단제를 선별하는 또다른 방법은 LT 리간드-수용체 결합을 직접 방해하는 추정의 작용제의 능력을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20% 이상 리간드-수용체 결합을 차단할 수 있는 작용제 또는 이들 작용제의 조합은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LT-베타-R 차단제이다.
리간드-수용체 결합의 크기를 측정하는 수많은 분석 중 하나를 사용하여 추정의 LT-베타-R 차단제와 경쟁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수용체 및 리간드 간의 결합 크기는 효소-연결된 면역흡수 분석(ELISA) 또는 방사선-면역분석(RIA)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따. 또한 특이 결합도 항체-항원 복합체를 형광으로 표지하고 형광-화성화된 세포 선택(FACS)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또는 기타 면역검출 방법을 수행함으로써(이들 방법들은 모두 당업계에 공지된 것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리간드-수용체 결합 상호작용은 플라스몬(plasmon) 공명 검출을 이용한 BIAcore TM 기구(Pharmacia Biosensor)로 측정할 수 있다(Zhou et al., Biochemistry, 32, pp. 8193-98 (1993); Faegerstram and O'Shannessy, "Surface plasmon resonance detection in affinity technologies", in Handbook of Affinity Chromatography, pp.229-52, Marcel Dekker, Inc., New York(1993)).
BIAcore TM 기법을 통해 수용체를 금 표면에 결합시키고 그 위에 리간드를 흐르게 할 수 있다. 플라스몬 공명 검출을 통해 실시간으로 표면에 결합된 물질의 양을 직접 정량화할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은 on 및 off 속도 상수 모두를 산출하며, 이어서 리간드-수용체 결합 상수 및 친화성 상수를 추정의 LT-베타-R 차단제의 존재 및 부재하에서 직접 결정할 수 있다.
수용체-리간드 상호작용을 측정하는 이들 또는 기타 기법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표면 또는 수용성 LT 리간드가 표면 또는 수용성 LT-베타-R 분자에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는, 단독 또는 기타 작용제와 조합한, LT-베타-R 차단제의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사용하여 LT-베타-R 차단제 또는 이러한 작용제의 유도체(예, 융합, 키메라, 변이체 및 키메라적으로 변경된 형태)를 단독 또는조합으로 시험하여 LT-베타-R 활성화를 차단하는 작용체를 변경시키는 능력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체예에 있는 LT-베타-R 차단제는 수용성 LT-베타 수용체 분자를 포함한다. 사람 LT-베타-R의 세포외 부위의 서열은 리간드 결합 도메인을 코딩하고 있으며, 본 명세서에 인용문헌으로 통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5,925,351호의 도1에 나타나 있다. 미국 특허 제5,925,351호의 도 1에 있는 서열 정보 및 당업계에 잘 알려진 재조합 DNA 기법을 이용하여, LT-베타-R 리간드 결합 도메인을 코딩하는 기능적인 단편들을 벡터 안으로 클로닝하고 적절한 숙주에서 발현시켜 수용성 LT-베타-R 분자를 생성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분석에 따라, LT 리간드 결합에 대하여 천연 LT-베타 수용체와 경쟁할 수 있는 수용성 LT-베타-R 분자를 LT-베타-R 차단제로 선별한다.
미국특허 제5,925,351호의 도 1에 도시된 아미노산 서열로부터 선별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수용성 LT-베타 수용체를 하나 이상의 이질성 단백질 도메인 ("융합 도메인")에 결합하여 수용체 융합 단백질의 생체내 안정성을 증가시키거나 그 생물학적 활성 또는 위치결정을 변조시킬 수 있다. 안정한 플라스마 단백질-통상 반감기가 순환시 20시간 이상 임-을 사용하여 수용체 융합 단백질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플라스마 단백질을 면역글로불린, 혈청 알부민, 지단백질, 아포-지단백질 및 트랜스페린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용성 LT-베타-R 분자를 특정 세포 또는 조직 유형에 표적화시킬 수 있는 서열들은 또한 LT-베타-R 리간드 결합 도메인에 결합하여 특이적으로-위치결정된 수용성 LT-베타-R 융합 단백질을 형성한다. LT-베타-R 리간드 결합 도메인을 포함하는 LT-베타-R 세포외 영역(미국 특허 제5,925,351호의 도 1) 모두 또는 기능적인 일부는 사람 IgG1 중쇄의 Fc 도메인과 같은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에 융합될 수 있다(Browning et al., J.Immunol., 154, pp 33-46(1995)). 수용성 수용체-IgG 융합 단백질은 일상적인 면역학적 작용제이며 이들을 제작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예, 미국 특허 제5,225,538호 참조). 기능적인 LT-베타-R 리간드 결합 도메인은 IgG1이 아닌 면역글로불린 클래스 또는 서브클래스 유래의 면역글로불린 (Ig) Fc 도메인에 융합될 수 있다. 상이한 Ig 클래스 또는 서브클래스에 속하는 항체들의 Fc 도메인들은 다양한 제2 효과인자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활성화는 Fc 도메인이 동족의 Fc 수용체에 결합되었을 때 일어난다. 제2 효과인자 기능은 보체계를 활성화시키고 태반을 가로지르고 다양한 미생물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다. 면역글로불린의 상이한 클래스 및 서브클래스의 특성은 Roitt et al., Immunology, p4.8(Mosby-Year Book Europe Ltd., 3rd ed. 1993)에 기재되어 있다. 보체 효소 캐스케이드는 항원-결합된 IgG1, IgG3 및 IgM 항체들의 Fc 도메인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IgG2의 Fc 도메인은 덜 효과적이며, IgG4, IgA, IgD 및 IgE의 Fc 도메인은 활성화 보체에서 비효과적이다. 따라서, 관련된 제2 효과인자 기능이 특정 면역 반응 또는 LT-베타-R-Fc 융합 단백질로 치료하는 질환에 대하여 바람직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Fc 도메인을 선택할 수 있다. 만일 LT 리간드-함유 표적 세포에 해를 미치거나 이를 치사시키는 것이 유익한 경우, 특히 활성이 있는 Fc 도메인(IgG1)을 선별하여 LT-베타-R-Fc 융합 단백질을 제조할 수 있다. 대안으로, 보체 시스템을촉발시키지 않으면서 LT-베타-R-Fc 융합 단백질을 세포에 표적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불활성 IgG4 Fc 도메인을 선택할 수 있다.
Fc 수용체와의 결합 및 보체 활성화를 감소시키거나 제거시키는 Fc 도메인의 돌연변이가 설명되어 있다(S. Morrison, Annu, Rev. Immunol., 10, pp.239-65 (1992)). 이들 또는 기타 돌연변이를 단독 또는 조합으로 사용하여, LT-베타-R-Fc 융합 단백질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Fc 도메인의 활성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리간드 결합 서열이 사람 면역글로불린 Fc 도메인에 융합된 수용성 사람 LT-베타-R 융합 단백질(hLT-베타-R-Fc)을 생산하는 것은 본 명세서에 인용문헌으로 통합되어 있는 미국특허 제5,925,351호의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다. hLT-베타-R-Fc를 분비하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작된 CHO 라인은 "hLT 베타; R-hC1 CHO#14"로 지칭된다. 이 라인의 시료는 부다페스트 조약의 규정에 따라 1995. 7. 21.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Rockville, Md.)에 기탁하였으며, ATCC 기탁번호 CRL 11965를 부여받았다.
수용성 쥐 LT-베타-R 융합 분자(mLT-베타-R-Fc)의 제조는 본 명세서에 인용문헌으로 통합되어 있는 미국특허 제5,925,351호의 실시예 2에 기재되어 있다. mLT-베타-R-Fc를 분비하는 미국특허 제5,925,351호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작된 CHO 라인은 "mLT 베타; R-hC1 CHO#1.3.BB"로 지칭된다. 이 라인의 시료는 부다페스트 조약의 규정에 따라 1995. 7. 21.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Rockville, Md.)에 기탁하였으며, ATCC 기탁번호 CRL 11964를 부여받았다.
수용체-Ig 융합 단백질의 연결점을 형성하는 상이한 아미노산 잔기들은 수용성 LT-베타 수용체 융합 단백질의 구조, 안정성 및 궁극적인 생물학적 활성을 변경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선별된 LT-베타-R 단편의 C-말단에 첨가하여 선별된 융합 도메인과의 연결점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LT-베타-R 융합 단백질의 N-말단은 선별된 LT-베타-R DNA 단편이 그의 5' 끝에서 절단되어 재조합 발현 벡터 내로 삽입되는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LT-베타-R 차단제를 선별하는 일상적인 실험 및 분석을 사용하여, 각 LT-베타-R 융합 단백질의 안정성 및 활성을 시험하고 최적화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세포외 도메인 안에 있는 LT-베타-R 리간드 결합 도메인 서열을 사용하여,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들도 제조하여 LT 리간드에 대한 수용성 LT-베타 수용체 또는 융합 단백질의 친화도를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용성 LT-베타-R 분자는 표면 LT 리간드 결합에 대하여 내인성 세포 표면 LT-베타 수용체와 경쟁할 수 있다. LT 리간드 결합에 대하여 세포 표면 LT-베타 수용체와 경쟁할 수 있는 LT-베타-R 리간드 결합 도메인을 포함하는 임의의 수용성 분자는 본 발명의 범위안에 있는 LT-베타-R 차단제라는 것을 내포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에서, 사람 LT-베타 수용체에 대한 항체들(항-LT-베타-R Ab들)은 LT-베타-R 차단제로써 기능하여 바이러스-유도성 전신 쇼크 및 호흡 장애에 걸려 있거나 걸릴 위험성이 있는 사람을 포함한 개체가 걸린 질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항-LT-베타-R Ab들은 다클론성 또는 단클론성(mAb)일 수 있으며, 상기 항체들을 수정하여 LT-베타-R 신호전달, 생체내 생물학적 유용성, 안정성 또는 기타 바람직한 특징을 차단하도록 이들의 능력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사람 LT-베타 수용체에 대한 다클론성 항체 혈청을 준비하여, 염소, 토끼, 랫트, 햄스터 또는 마우스와 같은 동물에 완전한 프로인드 면역보강제 중 사람 LT-베터 수용체-Fc 융합 단백질로 피하주사하고(미국특허 제5,925,351호의 실시예 1) 이어서 불완전 프로인드 안에서 복강내 주입 또는 피하주사하는 것과 같은 통상적인 기법에 사용한다. LT-베타 수용체에 대한 바람직항 항체들을 함유하는 다클론성 항혈청을 통상적인 면역학적 공정으로 스크리닝한다.
사람 LT-베타 수용체-Fc 융합 단백질에 대한 마우스 단클론성 항체(mAb)는, 미국특허 제5,925,351호의 실시예 5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준비한다. 마우스 항-사람 LT-베타-R mAb BDA8을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 라인(BD.A8.AB9)은 부다페스트 조약의 조항에 따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10801 University Boulevard, Manassas, Va. 20110-2209)에 1995. 1. 12. 기탁하였으며, ATCC 기탁 번호 HB11798를 부여받았다.
또한, 항-LT-베타-R 항체들의 다양한 형태들을 제조하여 표준 재조합 DNA 기법에 사용할 수 있다(Winter and Milstein, Nature, 349, pp.293-99(1991)). 예를들면, 동물 항체 유래의 항원 결합 도메인을 사람 불변 도메인에 연결시킨 "키메라" 항체를 제작할 수 있다(예, Cabilly et al., 미국특허 제4,816,567호; Morrison et al., Proc.Natl.Acad.Sci. U.S.A., 81, pp. 6851-55(1984)). 키메라 항체는, 사람 치료에 사용되는 경우 동물 항체에 의해 유도되는 관찰된 면역원성 반응을 감소시킨다. 게다가, LT-베타-R을 인식하는 재조합 "인간화된 항체"를 합성할 수 있다. 인간화된 항체는, 특이적인 항원-결합에 관여하는 영역이 삽입된 사람 IgG 서열을 대부분 포함하는 키메라이다(예, WO 94/04679). 동물을 바람직한 항원으로 면역화시키고, 이에 해당하는 항체를 분리하고, 특이적인 항원 결합에 관여하는 가변 영역 서열들의 일부를 제거한다. 이어서, 동물-유래의 항원 결합 영역을, 항원 결합 영역을 제거시킨 적절한 사람 항체 유전자 안으로 클로닝시킨다. 인간화된 항체는 사람 항체에서의 이질성 (종간) 서열의 사용을 최소화시키고, 치료하고자 하는 피험자에서 면역 반응을 덜 야기시킬 것이다.
또한, 서로 다른 클래스의 면역글로불린으로부터 분리된 항-LT-베타-R 가변 도메인 및 사람 불변 도메인(CH1, CH2, CH3)을 포함하는 키메라 또는 인간화된 항체를 제조함으로써 상이한 클래스의 재조합 항-LT-베타-R 항체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원 결합 부위를 사람 뮤 사슬 불변 영역을 갖는 벡터 안으로 클로닝함으로써, 증가된 항원 결합 부위 가수를 갖는 항-LT-베타-R IgM 항체를 재조합으로 생산할 수 있다(Arulanandam et al., J.Exp.Med., 177, pp. 1439-50(1993); Lane et al., Eur.J. Immunol., 22, pp. 2573-78(1993); Traunecker et al., Nature, 339, pp. 68-70(1989)). 게다가, 표준 재조합 DNA 기법을 사용하여, 항원 결합 부위에 근접한 아미노산 잔기들을 변경시킴으로써 재조합 항체들의 항원과의 결합 친화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분자 모델링에 기초한 돌연변이형성에 의해 인간화된 항체의 항원 결합 친화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Queen et al., Proc.Natl.Acad. Sci. U.S.A., 86, pp. 10029-33(1989);WO 94/-4679).
LT-베타-R에 대한 항-LT-베타-R Ab들의 친화도는 예상되는 표적화된 조직 유형 또는 특정 치료 스케쥴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 농도의 항-LT-베타-R Ab들로 환자를 치료하여 반-예방적으로 치료하는데 LT-베타 경로를 통한 신호전달의 능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LT-베타-R에 대한 증가된 친화도를 갖는 억제성 항-LT-베타-R Ab들이 단기간 치료에 유익할 수 있다.
사람 LT-베타 수용체에 대한 기타 항체들을 시험함으로써, 사람에서 LT-베타-R 차단제로써 작용하는 부가적인 항-LT-베타-R 항체들을 동정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일상적인 실험 및 분석을 사용함으로써 바이러스-유도성 전신 쇼크 및 호흡 장애에 걸린 또는 걸릴 위험이 있는 사람을 포함하는 개체의 이상을 치료할 수 있다고 예상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는 LT-베타-R 차단제로써 작용하는 LT 리간드에 대한 항체들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방법이 관여한다. 항-LT-베타-R Ab들에 대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LT-베타-R 차단제로써 기능을 하는 항-LT 리간드 항체들은 다클론성 또는 단클론성일 수 있으며, 일상적인 공정에 따라 수정되어 이들의 항원 결합 특성 및 이들의 면역원성을 변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항-LT 항체들은, 수용성, 변이체, 변경된 및 키메라 형태의 LT 서브유닛을 포함한 두개의 LT 서브유닛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만들 수 있다. 만일 LT 서브유닛이 항원으로써 사용될 경우, LT-베타 서브유닛이 바람직하다. 만일 LT-알파 서브유닛이 사용된다면, 결과로 나온 항-LT-알파 항체는 표면 LT 리간들에 결합하고 분비된 LT-알파와 교차-반응하지 않거나 (미국특허 제5,925,351호의 실시예 3에 기재된 분석에 따라) TNF-R 활성을 변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 호모머 (LT-베타) 또는 하나 이상의 LT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헤테로머 (LT-알파/62) 복합체에 대항 항체들을 만들어 LT-베타-R 차단제로써 활성을 스크리닝할 수 있다. LT-알파 1/베타 2 복합체를 항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의한 바와 같이, 결과로 나온 항-LT-알파 1/베타 2 항체가, 분비된 LT-알파에 결합하지 않고 TNF-R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표면 LT 리간들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클론성 항-사람 LT-알파 항체들을 생산하는 것은 출원인의 공동-계류중인 출원(WO 94/13808)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단클론성 항-LT-알파 및 항-LT-베타 항체도 기재되어 있다(Browning et al., J. Immunol., 54, pp. 33-46(1995)). 마우스 항-사람 LT-베타 mAb들은 미국특허 제5,925,351호의 실시에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준비한다. 마우스 항-사람 LT-베타-R mAb B9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 라인(B9.C9.1)은 부다페스트 조약의 조항에 따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10801 University Boulevard, Manassas, Va. 20110-2209)에 1995. 7. 21. 기탁하였으며, ATCC 기탁번호 11962를 부여 받았다.
단클론성 햄스터 항-마우스 LT-알파/62 항체는 미국특허 제5,925,351호의 실시예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준비하였다. 햄스터 항-마우스 LT-알파/62 mAb BB.F6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 라인(BB.F6.1)은 부다페스트 조약의 조항에 따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10801 University Boulevard, Manassas, Va. 20110-2209)에 1995. 7. 21. 기탁하였으며, ATCC 기탁번호 11963를 부여 받았다.
미국특허 제5.925,351호의 실시예 6 및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형광-활성화된 세포 선별(FACS) 분석을 개발하여, LT-베타-R 차단제로써 작용할 수 있는 LT 서브유닛 및 LT 복합체에 대항 항체를 스크린하였다. 이 분석에서, 수용성 사람 LT-베타-R-Fc 융합 단백질을 증가한 양의 시험용 항체의 존재하에서, 표면 LT 복합체(Browning et al., J. Immunol., 154, pp. 33-46(1995))를 발현하는 PMA-활성화된 Ⅱ-23 세포에 첨가한다. LT-베타 수용체-리간드 상호작용을 20% 이상 억제시킬 수 있는 항체를 LT-베타-R 차단제로 선별한다.
항원으로써 LT서브유닛이 아닌 LT-알파/베타 복합체를 사용하여 동물을 면역화시킴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면역화를 유도할 수 있거나, 표면 LT 리간들에 대한 더 높은 친화도를 갖는 항체를 그 결과로 만들 수 있다. LT-알파/62 복합체로 면역화시킴으로써, LT-알파 및 LT-베타 서브유닛 모두에 있는 아미노산 잔기(예, LT-알파/62 파편을 형성하는 잔기)를 인식하는 항체를 분리할 수 있다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사람 LT-알파/ 62 헤테로머 복합체에 대한 항체들을 시험함으로써, 사람에서 LT-베타-R 차단제로 기능하는 부가적인 항-LT 항체들을 동정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일상적인 실험 및 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투여
개체에서 바이러스-유도성 전신 쇼크 및 호흡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조성물을 유효한 용량으로 투여할 것이다. 주어진 적용에 있어서 바람직한 약학적 제제 및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투여량을 결정하는 것은 당업자에게잘 알려진 것이며, 예를들면 환자의 상태 및 몸무게, 바람직한 치료의 정도 및 치료하고자 하는 환자의 내성을 고려한다. 약 1㎎/㎏의 수용성 LT-베타-R의 투여량은 치료 투여량을 최적화시키는데 적절한 시작점으로 예상된다.
또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투여량을 결정하는 것은 표적 세포(차단제에 의존하는 LT-베타-R 또는 LT 리간드-양성 세포)를 1 내지 14일 동안 코팅하는데 필요한 LT-베타-R 차단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시험관내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수용체-리간드 결합 분석을 사용하여 세포 코팅 반응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FACS를 사용하여 LT-베타-R 또는 LT 리간드-양성 세포를 활성화된 림포구 집단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시험관내 결합 분석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적절한 LT-베타-R 차단제 농도의 범위를 선택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분석에 따라 동물에서 시험할 수 있다.
면역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작용제를 통상 수용되는 양식의 투여법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분리된 그리고 정제된 형태의 항체 또는 복합체, 이들의 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도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수용성 LT-베타-R 분자, 항-LT 리간드 및 항 LT-베타-R Ab들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치료법에 사용되는 약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형식하에 있을 수 있다. 이들은 예를들면, 정제, 환약, 분말, 액체 용액 또는 현탁액과 같은 고형, 반-고형 및 액상 투여 형식, 좌약 및 주사가능한 용액 및 불용해성 용액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형식은 의도하는 투여 양태 및 치료학적 적용에 좌우된다.
투여의 양태는 경구, 비경구, 피하주사, 정맥주사, 상처내(intralesional)또는 국소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용성 LT-베타-R 분자, 항-LT 리간드 및 항-LT-베타-R Ab들은 예를 들면, 흡수 또는 안전성을 자극하는 보조인자 존재 또는 부재하에 멸균, 등장액 제형에 넣을 수 있다. 제형은 액상이 바람직하여, 동결건조된 분말일 수 있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수용성 LT-베타-R 분자, 항-LT 리간드 및 항-LT-베타-R Ab들을 5.0㎎/㎖ 시트르산 일수화물, 2.7 ㎎/㎖ 시트르산 삼나트륨, 41㎎/㎖ 만니톨, 1㎎/㎖ 글리신 및 1㎎/㎖ 폴리소르베이트 20을 포함하는 제형 완충액으로 희석할 수 있다. 이 용액은 동결건조되고, 냉장보관되고 주사용 멸균수(sterile Water-For-Injection)(USP)로 투여하기 전에 원상태로 돌릴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통상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예를들면,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6th Edition, 1980, Mac Publishing Company 참조). 이러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사람 혈청 알부민 또는 플라스마 제형을 비롯한 기타 의약제, 담체, 유전적 운반체, 면역보강제, 부형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은 단위 투여량의 형식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하루에 1회 이상 투여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마이크로스페어, 리포좀, 기타 미세입자 전달 시스템 또는 지속된 분비 제형을 사용하여 영향받을 조직 또는 혈류 안에, 근처에 또는 이와 연락하면서 투여할 수 있다. 지지된 분비 담체의 적절한 예는 좌약 또는 마이크로캡슐과 같은 일정 형태의 물품의 형식으로 있는 반-투과가능한 폴리머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이식가능한 또는 마이크로캡슐형태의 지속되는 분비 매트릭스는 폴리엑티드(미국특허 제3,773,319호, EP 제58,481호), L-글루탐산 및 에틸-L-글루타메이트의 공중합체(Sidman et al, Biopolymers, 22, pp. 547-56(1985); 폴리(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Langer et al., J. Biomed. Mater. Res,. 15, pp. 167-277(1981); Langer, Chem. Tech., 12, pp. 98-105(198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용성 LT-베타-R 분자, 항-LT 리간드 및 항-LT-베타-R Ab들을 함유하는 리포좀은, 단독 또는 조합으로,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예, DE 3,218,121; Epstei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2, pp.3688-92(1985); Hwang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77, pp.4030-34(1980); 미국 특허 제4,485,045호 및 제4,544,545호 참조). 일상적으로, 리포좀은 지질 함량이 30몰% 콜레스테롤 이상인 작은(약 200-800Å) 단일박판 유형이다. 콜레스테롤의 비율을 선택하여 수용성 LT-베타-R 분자, 항-LT 리간드 및 항-LT-베타-R Ab 분비에 최적 속도를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용성 LT-베타-R 분자, 항-LT 리간드 및 항-LT-베타-R Ab들을 다른 LT-베타-R 차단제, 면역억제제 또는 시토킨들을 함유하는 리포좀에 결합시켜, LT-베타-R 차단 활성을 변조시킬 수 있다. 표적화된 전달을 위해 독소 또는 화학치료제를 항체에 연결시키는데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헤테로-이작용성 교차-결합제를 비롯한 임의의 공지된 교차-결합제를 사용함으로써 LT-베타-R 분자, 항-LT 리간드 및 항-LT-베타-R Ab들을 리포좀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탄수화물-지휘하의 교차-연결제 4-(4-말레이미도페닐) 부티르산 하이드라진(MPBH)(Duzgunes etal., J. Cell. Biochem. Abst. Suppl. 16E 77(1992))를 사용함으로써 리포좀으로의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의 LT-베타-R 차단제를 수정하여, 치료할 질환, 장애 또는 질환에 따른 바람직한 수준의 LT-베타-R 신호전달을 얻을 수 있다. LT-베타-R 차단제의 각 분자 표적에 대한 농도 및 친화도를 조작함으로써 절대 수준치의 LT-베타-R 신호전달을 정교하게 조율할 수 있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일구체예에서, 수용성 LT-베타-R 분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험자에 투여한다. 수용성 LT-베타 수용체는 표면 LT 리간드 결합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세포 표면 LT-베타 수용체와 경쟁할 수 있다. 표면 LT 리간드와 경쟁하는 능력은 수용성 LT-베타-R 분자 및 세포 표면 LT-베타-R 분자의 상대 농도에 좌우되고 리간드 결합에 대한 이들의 상대적인 친화도에 좌우된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표준 재조합 DNA 기법을 이용하여, 표면 LT 리간드에 대한 변이체 수용성 LT-베타-R의 결합 친화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돌연변이들을 갖고 있는 수용성 LT-베타-R 분자를 만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한 일상적인 실험 및 기법을 이용하여, 위치-지정 또는 무작위 돌연변이를 갖는 다수의 분자들에 대하여 LT-베타-R 차단제로써 작용하는 이들의 활성을 시험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에서, LT-베타 수용체 또는 하나 이상의 LT 리간드 서브유닛에 대한 항체들은 LT-베타-R 차단제로써 작용한다. 이들 항체가 LT-베타 수용체 신호전달을 차단하는 능력은 돌연변이, 화학적 수정 또는, 피험자에 전달될 항체의 효과적인 농도 또는 활성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기타 방법에 의해서 수정될 수 있다.
용법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개체 내 항바이러스성 반응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유효량의 LT-B 차단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치료될 바이러스성 반응은 임의의 다수의 공지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신 놈브레(SNV), 에볼라, 마르버그, 라사, 및 뎅그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균등물
본 발명은 그의 정신 또는 주요 특성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기타 특정 형식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하기 구체예들은 모든 사항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로 간주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설명에 의해서가 아닌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지적되며, 청구항의 균등 범위에 있는 모든 변화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 것임을 의도한다.
종양 괴사 인자(TNF α)는 바이러스 감염 및 기타 면역원에 대한 급성 쇼크 반응을 촉진시키는데 주요 역할을 한다(K.C.F. Sheehan, N.H. Ruddle, and R.D. Schreiber., J.Immunol., 142, 3884(1989); G.W.H. Wong and D.V. Goeddel Nature 323, 819(1986); B.Beutler, I.W. Milsark, A. Cerami, Science 229, 869(1985);F. Mackay, P.R. Bourdon, D.A. Griffiths, et al. J.Immuol. 159, 3299(1997); P.D. Crowe, T.L. VanArsdale, B.N. Walter, et al. Science 264, 707(1994)). 쇼크가 관련된 뎅그 열(Dengue Fever) 에피소드동안, 환자의 혈청에서의 TNFα의 수준은 수용성 tnfr-75의 수준과 같이 높아진다(D. Hober, et al., J. Trop. Med. Hyg., 48, 324(1993); D.B. Bethell, K. Flobbe, C.X.T. Phuong, et al., J. Ingect. Dis., 177, 778(1998)). 림포구성 맥락수막염 바이러스, LCMV, 클론 13(LCMV-13)(HH, Ⅱ)의 변이체에 감염된 마우스의 혈청에서의 TNFα수준을 측정하였다. LCMV-13에 감염된 마우스의 혈청에서의 TNFα수준은 감염 4일 후까지 분석의 검출 수준 바로 위 수준으로 밝혀졌다(혈청 TNFα 수준은 ELISA 분석에 의해 측정되었다(Genzyme Corporation, catalog number 80-2802-00)). 질병이 최고조인 5일 및 6일째에 혈청에서의 수용성 TNFα수준이 통상 보다 3-6 배 증가하였다(데이타는 나타나 있지 않음). 그러므로, 단클론성 항체, TN3-19.12를 사용함으로써 TNFα기능을 차단하기로 하였고, 이때, 상기 항체는 분비된 TNFα에 결합하여 ELISA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마우스로부터 TNFα의 고갈을 야기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C.F. Sheehan, N.H. Ruddle, and R.D. Schreiber., J.Immunol., 142, 3884(1989) G.W.H. Wong and D.V. Goeddel Nature 323, 819(1986); B. Beutler, I.W. Milsark, A. Cerami, Science 229, 869(1985); F. Mackay, P.R. Bourdon, D.A. Griffiths, et al. J.Immunol. 159, 3299(1997); P.D. Crowe, T.L. VanArsdale, B.N. Walter, et al. Science 264, 707(1994); D. Hober, et al., J. Trop. Med. Hyg., 48, 324(1993); D.B. Bethell, K. Flobbe, C.X.T. Phuong, etal, J. Infect. Dis., 177, 778(1998)). 혈청 TNFα수준은 ELSIA 분석으로 측정하였다(Genzyme Corporation, catalog number 80-2802-00). NZB 마우스는 2.5×106pfu Cl 13를 정맥내 주사로 주었으며, 이어서, 감염후 1일째 및 4일째 내독소가 없는 PBS 중의 TN3-19.12 항체 250㎍(인용문헌 S 참조)를 함유하는 복강내 감염을 2번 수행하였다. 대조군 마우스는 동일한 날짜에 항체가 결여된 PBS를 동일한 부피로 감염시켰다. 이러한 처리(항-TNF)는 이들 마우스의 생존율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도 3). TNFβ로도 알려진 림포독소 알파(LTα)는, TNFα와 동일한 수용체 및 다수의 생물학적 효과를 공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항체에 의해 인식되지 않는다(F. Mackay, P.R. Bourdon, D.A. Griffiths, et al. J. Immunol. 159, 3299(1997)). TNFα 및 TNFβ 모두를 표적화하는 것은 생존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필요하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가정을 시험하기 위해, 상기 TN3-19.12 mAb 및, 사람 IgG1의 CH2 및 CH3 도메인에 TNF p55 수용체의 세포외 도메인을 융합시킨 수용체 융합 단백질(TNFR55-Ig)을 사용하였다(W.R.Force, B.N. Walter, C. Hession, et. al.,J.Immunol.,155,5280(1995); G.T. Miller, P.S. Hochman, W.Meier, et.al., JEM., 178, 211(1993); J.L. Browning, I.Dougas, A. Ngam-ek, et al., J. Immunol., 154:33(1995)). 인용문헌 R에 기재된 바와 같인 마우스를 처리하였다. 트리플 처리 군에, TNFR55-Ig 및 LTβR-Ig 단백질 200㎍을 감염 후 0일째 및 3일째 복강내로 주입하였다. 대조군 마우스는 이들 융합 단백질(AY1943-29)의 합성에 사용된 사람 항체를 동일한 날짜에 동일한 야으로 주었다. 오직 LTβR-Ig만을 받은 마우스는 TNFR55-Ig 투여를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처리되었다. 또한,이러한 처리는 LCMV-13으로 감염된 NZB 마우스에서의 생존율을 상당히 변경시키지는 않았다(항-TNF 및 TNFR55-Ig 군을 참조하라). 림포독소의 세포막 형태인 LTα 및 LTβ의 헤테로머는 TNFR-75 또는 TNFR-55를 인지하지 않고, 오히려 LTβR(15)이라고 지칭되는 제3의 수용체에 결합한다. 사람 IgG1의 CH2 및 CH3 도메인에 연결된 LTβR 세포외 도메인을 함유하는 융합 단백질(LTβR-Ig)을 선택하였다. 마우스를 항-TNFαmAb, TNFR55-Ig 및 LTβR-Ig(트리플 처리 또는 TNFR55-IG 및 LTβR-Ig)로 마우스를 처리한 결과 생존율이 각각 80% 및 70%로 극적으로 증가하였다 대조적으로 항-TNFαmAb 및 TNFR55-Ig로 처리된 마우스는 오직 20%만이 감염으로부터 생존하였다. 최근 LTβR에 대한 제2 리간드인, LIGHT가 동정되었다(D.N.Mauri, R. Ebner, R.I. Montgomery, et al. Immunity 8, 21(1998); R.I. Montgomery, M.S. Warner, B.Lum, et al. Cell 87, 427(1996)). 또한, LIGHT는 허피스바이러스 침입 매개자(HVEM)에 결합하는 것으로 보여졌으며, 상기 매개자는 활성화된 CD4 및 CD8 T 세포상에서 발현되는 TNFR 패밀리의 일원과 상당한 동종성을 갖는 유형 Ⅰ의 막간 단백질이다(D.N. Mauri, R. Ebner, R.I. Montgomery, et al. Immunity 8, 21 (1998); R.I. Montgomery, M.S. Warner, B. Lum, et al. Cell 87, 427(1996)). 본 명세서에서 제공한 결과들에 기초하여, LTβR-Ig에 의한 LTβ2α1및 LIGHT의 결합에 의해서 LTβR 신호전달 및 가능성있는 HVEM 신호전달을 방해하는 것은 트리플 처리 군에서 보여준 대부분의 효과에 책임이 있는 것처럼 보였다. 단지 LTβR-Ig 융합 단백질로 LCMV-13 감염된 NZB 마우스를 처리함으로써 상기 가설이 확인되었다. 상기 군에서 마우스의 생존율(73%)은 거의 트리플 처리 군과 거의 같은 정도로높았다(도 3). 이와 함께, 이러한 데이타는 LTβR 및/또는 HVEM 신호전달 경로가 전신 쇼크 및 호흡 장에와 관련된 치명적인 급성 질환의 조정에 연루되어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보여준다.
LTβ차단 치료에 의한 생존 메카니즘을 결정하기 위해, NP118 특이 T세포, NZB LD계의 우성 CD8 에피토프에 대한 CD8/사량체 공동-염색 및 NP118 펩티드에 의해 자극된 지라세포에 의한 인터페론 감마 생성에 대한 세포내 염색 모두를, 대조군 항체, LTβR-Ig 단독, 또는 트리플 처리되고 LCMV-13 감염된 NZB 마우스 유래의 시료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도 4는 트리플 처리된 마우스에서 보여준 최대 효과로 NP118 특이 CD8 T 세포의 숫자가 감소된 것을 보여준다. 대조군 항체로 처리된 마우스의 경우, 오직 10%의 사량체 양성 세포만이 활발하게 INFγ를 생성하였다. LCMV-13 감염 동안 아너지 T 세포의 출현은 이전에 밝혀졌으며, 이는 마우스에서의 바이러스성 항원의 고농도가 원인인 것 같다(도 1). NP118 특이 세포의 숫자가 LTβR-Ig 처리된 마우스에서 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세포 생성하는 INFγ의 백분율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트리플 처리 군에서 더욱 명백하다. 따라서, CD8 구획은 LCMV-13에 대한 상기 치명적인 NZB 반응의 근원지일 수 있다는 것이 가능하다. 활성화된 CD8들이 LTβ2α1을 제시하다고 알려진 사실은 상기 가설과 일치한다(Y. Abe, A. Horiuchi, Y. Osuka, et al., Lymph. Ctyok. Res., 11, 115 (1992); C.F.Ware, P.D. Crowe, M.H. Grayson, et al., J. Immunol., 149, 3881 (1992); J.L. Browning, A. Ngam-ek, P. Lawton, et al., Cell, 72, 847(1993)).이러한 주장을 지지하기 위해 감염된 NZB 마우스에서 이들의 생체내 CD8 또는 CD4 양성 T 세포를 고갈시켰다(수컷 NZB 마우스는 정맥내로 2.5×10 pfu LCMV-13를 주입하고 나서, 항 T 세포 항체 500㎕를 복강내도 2번 주입하였다. mAb Lyt2.43을 사용하여 CD8+T 세포를 고갈시키고, GK1.5(M1) 항체를 사용하여 CD4+T 세포를 고갈시켰다. 항체 모두는 하이브리도마 상청액을 황산 암모늄 침전시키고 PBS에 대하여 희석시킴으로써 준비하였다. FACS분석을 사용하여 수 마리의 마우스에서 고갈을 확인하였다.). CD4 T 세포의 고갈은 생존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반대로, CD8 T 세포의 고갈은 그 결과로 LTβR-Ig 처리된 마우스와 달리 질환 증상없이 100% 생존을 보여주었다(도 5). CD8 고갈된 마우수의 수 개의 조직에서의 바이러스 역가는 처리되는 않은 것보다 높았기 때문에 치사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조직 파괴라기 보다는 CD8 T 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독성 면역 반응에 의한 것처럼 보인다.
본 명세서에, NZB 마우스는 고 용량의 LCMV-13로 정맥내 감염될 때, 에볼라, 마르버그, 라사, 뎅그, 및 신 놈브레 감염과 수개의 공통된 특성을 공유하는, 신속히 전개되는 급성 질환으로 발달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이 질환의 치사는 활성화될 때 TNFα, LTα 및 LTβ를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진 CD8+T 세포의 존재에 의존하였다. 비록 이것이 고무적인 발견임에도 불구하고, CD8+T세포의 고갈로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는 추천할 만하지 못하다. 이러한 치료는 다른 가능성 있는 감염으로부터 환자를 노출시킬 수 있다. 게다가, 바이러스 제거는 CTL의 부존재 시 일어날것 같지 않으므로, CD8+구분획의 재설립시 바이러스를 허용하는 환자의 위험은 상당히 존재할 것이다. 본 발명자에 의해 LTβR-Ig 의 투여로 LTβR/HVEM 경로를 차단하는 것은 일단 치료가 정지되면 자연적으로 생체항상성으로 신속히 회복되는 순간적인 매우 강력한 치료법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Mackay and Browning, 미공개). 이러한 방법으로 치료된 생존한 마우스는 결국 시험용 조직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였으며(데이타는 나타있지 않음), 더이상 질병의 징후를 보여주지 않는다.
이러한 데이타는, LTβR 신호전달인 항바이러스성 반응 및 CD8 T 세포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보여준다. 림포독소 시스템은 T 및 B 세포 조직화를 지시하는 수개의 케모킨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림프계 구조를 조직화하는 것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Chaplin et al. Curr. Opin. Immunol. 10, 289(1998), J. Cyster, 출판됨). 성숙한 기능적인 상태의 소포 수상돌기 세포는 일정 B 세포 신호전달에 의해 유지되며, 이들 세포는 LTβR신호전달이 중단된지 1일 안에 사라진다. 이들 세포는 B 및 T 세포 구획에 항원을 제시하는데 중요하다. 이성적인 추론에 의하면, CD8 세포에 항원을 제시하거나 성숙하는 동안 케모킨 구배에 이들 세포를 적당히 위치해 놓는 것은 어떤 면에서 LTβR신호전달을 분열시킴으로써 방해될 수 있다. LT 기능에 대한 이전 연구는 B 세포 생물학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나, T 세포 기능의 관여는 예기치 않았다. LT는 부가적인 기능을 가지거나 이러한 데이타는 신규의 리간드 LIGHT의 역할을 반영한다. HVEM 및 LIGHT가 본 명세서에서 입증된 질환의 전개에 있어서 하는 역할은 현재 명백하지 않다.

Claims (8)

  1. 개체에서 항바이러스성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림포독소-β가 이의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차단시키는 유효량의 작용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제는 LT-베타-R 차단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제는 림포독소-β 수용체 또는 수용성 림포독소-β 수용체에 대한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제는 림포독소-β수용체/Ig 융합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제는 수용성 림포독소-β 또는 림포독소-β에 대한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개체에서 항바이러스성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림포독소-β-수용체 및/또는 HVEM 신호전달 경로를 차단하는 유효량의 작용제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신 놈브레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마르버그 바이러스, 라사 바이러스 또는 뎅그에 감염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제는 림포독소-β-R/Ig 융합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7004493A 1998-10-09 1999-10-08 림프독소 베타 경로의 차단에 의한 바이러스-유도성 전신 쇼크 및 호흡 장애의 반전 Expired - Fee Related KR100888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366298P 1998-10-09 1998-10-09
US60/103,662 1998-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073A true KR20010080073A (ko) 2001-08-22
KR100888832B1 KR100888832B1 (ko) 2009-03-17

Family

ID=22296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4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888832B1 (ko) 1998-10-09 1999-10-08 림프독소 베타 경로의 차단에 의한 바이러스-유도성 전신 쇼크 및 호흡 장애의 반전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US (3) US20020001585A1 (ko)
EP (1) EP1119370B1 (ko)
JP (2) JP4713738B2 (ko)
KR (1) KR100888832B1 (ko)
CN (1) CN1200733C (ko)
AT (1) ATE329618T1 (ko)
AU (1) AU777492C (ko)
BR (1) BR9915025A (ko)
CA (1) CA2344049C (ko)
CY (1) CY1105059T1 (ko)
CZ (1) CZ20011272A3 (ko)
DE (1) DE69931944T2 (ko)
DK (1) DK1119370T3 (ko)
EA (1) EA006703B1 (ko)
EE (1) EE04661B1 (ko)
ES (1) ES2267294T3 (ko)
HU (1) HUP0103773A3 (ko)
IL (2) IL142284A0 (ko)
IS (1) IS2514B (ko)
NO (1) NO326905B1 (ko)
NZ (1) NZ510560A (ko)
PL (1) PL195264B1 (ko)
PT (1) PT1119370E (ko)
SG (1) SG121778A1 (ko)
SK (1) SK4662001A3 (ko)
TR (1) TR200100974T2 (ko)
WO (1) WO20000215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5351A (en) * 1995-07-21 1999-07-20 Biogen, Inc. Soluble lymphotoxin-β receptors and anti-lymphotoxin receptor and ligand antibodies as therapeutic agents for the treatment of immunological disease
US6998108B1 (en) 1997-07-07 2006-02-14 La Jolla Institute For Allergy And Immunology Antibodies to p30 polypeptides and methods making and using same
US7118742B2 (en) 1997-07-07 2006-10-10 La Jolla Institute For Allergy And Immunology Ligand for herpes simplex virus entry mediator and methods of use
US7060667B1 (en) 1998-01-30 2006-06-13 Biogen Idec Ma, Inc. Treatment of follicular lymphomas using inhibitors of the LT pathway
NZ510560A (en) * 1998-10-09 2003-09-26 Biogen Inc Reversal of viral-induced systemic shock and respiratory distress by blockade of the lymphotoxin beta pathway
TR200504220T2 (tr) * 1998-12-17 2007-04-24 Biogen Idec Ma Inc. Aktif limfotoksin-beta reseptör imunoglobülin şimeAktif limfotoksin-beta reseptör imunoglobülin şimerik proteinlerinin yüksek düzey ifadesi ve saflaştrik proteinlerinin yüksek düzey ifadesi ve saflaştırılması için bir yöntem.ırılması için bir yöntem.
WO2001079496A2 (en) * 2000-03-13 2001-10-25 La Jolla Institute For Allergy And Immunology Ligand for herpes simplex virus entry mediator and methods of use
ATE365214T1 (de) * 2000-04-12 2007-07-15 Jolla Inst Allergy Immunolog Ligand des zelleintritt-vermittelnden proteins von herpes simplex und methoden zu dessen verwendungen
EP1641827A2 (en) * 2003-06-27 2006-04-05 Biogen Idec MA Inc. Use of hydrophobic-interaction-chromatography or hinge-region modifications for the production of homogeneous antibody-solutions
CN1980957A (zh) * 2004-03-23 2007-06-13 比奥根艾迪克Ma公司 受体偶联剂及其治疗用途
WO2006074399A2 (en) * 2005-01-05 2006-07-13 Biogen Idec Ma Inc. Multispecific binding molecules comprising connecting peptides
US8338376B2 (en) * 2006-10-20 2012-12-25 Biogen Idec Ma Inc. Compositions comprising variant LT-B-R-IG fusion proteins
KR20090071652A (ko) 2006-10-20 2009-07-01 바이오겐 아이덱 엠에이 인코포레이티드 가용성 림프독소-베타-수용체를 이용한 탈수초성 장애의 치료
WO2009039310A2 (en) * 2007-09-18 2009-03-26 La Jolla Institute For Allergy And Immunology Light inhibitors for asthma, lung and airway inflammation, respiratory, interstitial, pulmonary and fibrotic disease treatment
CN106591446A (zh) * 2016-12-07 2017-04-26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微生物流行病研究所 细胞通路调控分子在作为药物靶点及诊断ebov感染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3919A (en) * 1969-10-23 1973-11-20 Du Pont Polylactide-drug mixtures
IE52535B1 (en) 1981-02-16 1987-12-09 Ici Plc Continuous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4485045A (en) * 1981-07-06 1984-11-27 Research Corporation Synthetic phosphatidyl cholines useful in forming liposomes
DE3218121A1 (de) 1982-05-14 1983-11-17 Leskovar, Peter, Dr.-Ing., 8000 München Arzneimittel zur tumorbehandlung
US4816567A (en) * 1983-04-08 1989-03-28 Genentech, Inc. Recombinant immunoglobin preparations
US4544545A (en) * 1983-06-20 1985-10-01 Trustee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Liposomes containing modified cholesterol for organ targeting
US5225538A (en) * 1989-02-23 1993-07-06 Genentech, Inc. Lymphocyte homing receptor/immunoglobulin fusion proteins
US7030080B2 (en) * 1990-06-27 2006-04-18 Biogen, Inc. Lymphotoxin-β, lymphotoxin-β complexes, pharmaceutical preparation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ES2157889T3 (es) * 1990-06-27 2001-09-01 Biogen Inc Linfotoxina complejada de superficie.
US5795964A (en) * 1990-06-27 1998-08-18 Biogen, Inc. Lymphotoxin-beta and lymphotoxin-beta complexes
WO1994004679A1 (en) 1991-06-14 1994-03-03 Genentech, Inc. Method for making humanized antibodies
EP0672143B1 (en) 1992-12-04 2008-06-04 Biogen Idec MA Inc. Lymphotoxin-beta, lymphotoxin-beta complexes, pharmaceutical preparation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US6312691B1 (en) * 1996-01-26 2001-11-06 Jeffrey L. Browning Lymphotoxin-α/β complexes and anti-lympotoxin-β receptor antibodies as anti-tumor agents
KR100475492B1 (ko) 1995-01-26 2005-03-14 바이오겐 아이덱 엠에이 인코포레이티드 항종양제로서의 림프독소-α/β 복합체 및항-림프독소-β수용체 항체
US5925351A (en) * 1995-07-21 1999-07-20 Biogen, Inc. Soluble lymphotoxin-β receptors and anti-lymphotoxin receptor and ligand antibodies as therapeutic agents for the treatment of immunological disease
US6291207B1 (en) * 1995-07-28 2001-09-18 Northwestern University Herpes virus entry receptor protein
US7255854B1 (en) * 1996-10-25 2007-08-14 Biogen, Inc. Use of lymphotoxin-β receptor blocking agents for the treatment of antibody mediated immunological diseases
BR9712670A (pt) * 1996-10-25 1999-10-19 Biogen Inc Receptores para linfotoxina-beta, anticorpos anti-receptor para linfotoxina, e anticorpos antiligante de linfotoxina como agentes terapêuticos para o tratamento de doencas imunológicas
GB9622660D0 (en) * 1996-10-31 1997-01-08 Biocine Spa Immunogenic detoxified mutant toxin
US7060667B1 (en) * 1998-01-30 2006-06-13 Biogen Idec Ma, Inc. Treatment of follicular lymphomas using inhibitors of the LT pathway
NZ510560A (en) * 1998-10-09 2003-09-26 Biogen Inc Reversal of viral-induced systemic shock and respiratory distress by blockade of the lymphotoxin beta pathway
TR200504220T2 (tr) * 1998-12-17 2007-04-24 Biogen Idec Ma Inc. Aktif limfotoksin-beta reseptör imunoglobülin şimeAktif limfotoksin-beta reseptör imunoglobülin şimerik proteinlerinin yüksek düzey ifadesi ve saflaştrik proteinlerinin yüksek düzey ifadesi ve saflaştırılması için bir yöntem.ırılması için bir yöntem.
WO2004002431A2 (en) * 2002-07-01 2004-01-08 Biogen, Inc. Humanized anti-lymphotoyin beta receptor antibod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77492C (en) 2005-05-26
CN1323223A (zh) 2001-11-21
EA006703B1 (ru) 2006-02-24
NZ510560A (en) 2003-09-26
EP1119370B1 (en) 2006-06-14
HUP0103773A2 (hu) 2002-01-28
CY1105059T1 (el) 2010-03-03
IL142284A (en) 2009-11-18
IL142284A0 (en) 2002-03-10
US7452530B2 (en) 2008-11-18
WO2000021558A9 (en) 2001-05-25
CA2344049A1 (en) 2000-04-20
HUP0103773A3 (en) 2003-10-28
DE69931944D1 (de) 2006-07-27
EP1119370A1 (en) 2001-08-01
ATE329618T1 (de) 2006-07-15
PL195264B1 (pl) 2007-08-31
IS2514B (is) 2009-06-15
JP2010155852A (ja) 2010-07-15
NO20011757L (no) 2001-06-08
SK4662001A3 (en) 2001-11-06
SG121778A1 (en) 2006-05-26
EE200100211A (et) 2002-08-15
ES2267294T3 (es) 2007-03-01
JP4713738B2 (ja) 2011-06-29
WO2000021558A1 (en) 2000-04-20
US20090087403A1 (en) 2009-04-02
CN1200733C (zh) 2005-05-11
NO20011757D0 (no) 2001-04-06
PL347177A1 (en) 2002-03-25
JP2002527403A (ja) 2002-08-27
KR100888832B1 (ko) 2009-03-17
NO326905B1 (no) 2009-03-16
DK1119370T3 (da) 2006-10-02
DE69931944T2 (de) 2007-02-08
IS5882A (is) 2001-03-09
AU6296499A (en) 2000-05-01
US20020001585A1 (en) 2002-01-03
EA200100430A1 (ru) 2001-10-22
CA2344049C (en) 2009-12-15
EE04661B1 (et) 2006-08-15
AU777492B2 (en) 2004-10-21
BR9915025A (pt) 2001-08-14
CZ20011272A3 (cs) 2001-09-12
PT1119370E (pt) 2006-09-29
TR200100974T2 (tr) 2001-11-21
US20040198635A1 (en) 200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87403A1 (en) Reversal of viral-induced systemic shock and respiratory distress by blockade of the lymphotoxin beta pathway
US7001598B2 (en) Anti-lymphotoxin-beta receptor antibodies as anti-tumor agents
JP2007169296A (ja) 抗腫瘍因子としてのリンフォトキシン−α/β複合体および抗リンフォトキシン−βレセプター抗体
KR100584704B1 (ko) 면역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로서의 가용성 림포톡신-베타 수용체, 항림포톡신 수용체 항체 및 항림포톡신 리간드 항체
US6015559A (en) Fas antagonists
MXPA01003605A (en) Reversal of viral-induced systemic shock and respiratory distress by blockade of the lymphotoxin beta pathway
MXPA97005629A (en) Linfotoxin-alpha / beta complexes and anti-tetration antibodies of lymphotoxin beta as agents anti-tu
HK1065472A (en) Anti-lymphotoxin-beta receptor antibodies as anti-tumor agents
HK1006356B (en) Lymphotoxin-alpha/beta complexes and anti-lymphotoxin-beta receptor antibodies as anti-tumor ag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4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0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7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