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72431A - 측쇄의 염기성 n기 및 이온교환기에 의한 엔지니어링고분자의개질 - Google Patents

측쇄의 염기성 n기 및 이온교환기에 의한 엔지니어링고분자의개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2431A
KR20010072431A KR1020017001830A KR20017001830A KR20010072431A KR 20010072431 A KR20010072431 A KR 20010072431A KR 1020017001830 A KR1020017001830 A KR 1020017001830A KR 20017001830 A KR20017001830 A KR 20017001830A KR 20010072431 A KR20010072431 A KR 20010072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acid
basic
groups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9370B1 (ko
Inventor
케레스요헨
울리히안드레아스
해링토마스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우니베르지테트 슈트트가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우니베르지테트 슈트트가르트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72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3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6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1Casting solutions therefor
    • B01D67/00111Polymer pretreatment in the casting solu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3Chemical modification
    • B01D67/00933Chemical modification by addition of a layer chemically bonded to the memb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66Polymers having sulfur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8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76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08 - B01D71/74
    • B01D71/80Block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76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08 - B01D71/74
    • B01D71/82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08 - B01D71/74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introduc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1/00Anion exchange; Use of material as anion 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 anion exchange properties
    • B01J41/08Use of material as anion 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 anion exchange properties
    • B01J41/12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41/1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0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5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involving carbon-to-carbon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2Hydrophil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8Specific temperatures applied
    • B01D2323/082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2Specific ratios of component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0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36Hydrophilic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8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Polysulfo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81/06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Polyamides (AREA)
  • Polyethers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금속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Li 유기 화합물, 아릴 주쇄를 가진 탈프로톤화된 엔지니어링 고분자 그리고 삼차 염기성 N을 함유한 각종 방향족 카르보닐 화합물의 반응 및 반응 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질적으로 a) 금속화 고분자 P-Me와 방향족 알데히드 및 케톤의 반응 그리고 잠재적으로 수득한 반응(I)(케톤의 경우, R1및/또는 R2는 삼차 염기성 N을 가진 방향족 잔기이며, 알데히드의 경우 R1은 삼차 염기성 N을 가진 방향족 잔기이고, R2는 H를 나타낸다), b) 금속화 고분자 P-Me와 방향족 카르복실산 에스테르(X=OR) 또는 카르복실산 할라이드(X=Hal)의 반응 그리고 잠재적으로 수득한 반응(II)(Ar이 삼차 염기성 N을 가진 방향족 라디칼인 경우, 알칸 할라이드에 의한 삼차 N의 사차화가 가능하며(디알칸 할라이드를 사용할 경우 동시에 공유가교)) 그리고 (III)(Ar이 술폰화될수 있는 방향족 라디칼인 경우), c) 반응식 a)와 b)에 언급된 산성 및 염기성 반응 생성물을 혼합하거나 본 발명의 염기성 고분자를 임의의 산성 고분자와 혼합함으로써 수득가능한 산-염기 고분자 혼합물로 만들어진산-염기 고분자 혼합물 및 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측쇄의 염기성 N기 및 이온교환기에 의한 엔지니어링 고분자의 개질{MODIFICATION OF ENGINEERING POLYMERS WITH BASIC N GROUPS AND ION- EXCHANGE GROUPS IN THE SIDE CHAIN}
본 발명의 기재내용
1.본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1) 금속화 고분자에 삼차 염기성 N기(예컨대, 삼차아민, 피리딘, 피라미딘, 트리아진...)을 함유한 방향족 케톤과 알데히드를 첨가함으로써 아릴렌 함유 염기성 N기에 의한 엔지니어링 아릴 주쇄 고분자의 측쇄 개질 방법
(2) 상기 측쇄가 삼차 염기성 N을 수반하는 1종 이상의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상기 방법(1)에 의해 수득된 측쇄 개질 고분자
(3) 측쇄 개질된 고분자에 음이온교환기를 삽입하기위하여 할로겐 알칸으로 상기 개질된 고분자(2)의 삼차 N을 사차화시키는 방법
(4) 상기 방법 (3)에 의해 수득가능한 측쇄에 음이온 교환기를 수반하는 엔지니어링 아릴주쇄 고분자
(5) 금속화 고분자 P-Me와 삼차 염기성 N기(예컨대, 삼차아민, 피리딘, 피라미딘, 트리아진...)를 함유하는 방향족 카르복실산 Ar-COOR'을 하기와 같이 반응시킴으로써 아릴렌 함유 염기성 N기에 의해 엔지니어링 주쇄 고분자의 측쇄를 개질하는 방법
(6) 측쇄가 삼차 염기성 N을 수반하는 1종이상의 방향족기를 함유하는 방법 (5)에 의해 수득가능한 측쇄 개질 고분자
(7) 측쇄 개질 고분자에 음이온 교환기를 삽입하기위하여 할로겐 알칸으로 상기 개질된 고분자(6)의 삼차 N을 사차화하는 방법
(8) 상기 방법 (7)에 의해 수득가능한 측쇄에 음이온 교환기를 수반하는 엔지니어링 아릴 주쇄 고분자
(9) 하기 일련의 반응을 사용하여 술폰산 라디칼을 함유하는 방향족기에 의한 엔지니어링 아릴 주쇄 고분자의 측쇄 개질 방법
(9a) 금속화 고분자 P-Me와 방향족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Ar-COOR' 또는 카르복실산 할라이드 Ar-COHal의 반응
(9b) 황산 SO3/P(O)(OR)3, ClSO3H 등에 의한 측쇄기의 조절된 친전자 술폰화 반응(이 경우 측쇄기는 실질적으로 그의 술폰화 반응성이 고분자 주쇄의 술폰화 반응성 보다 높도록 선택된다).
(10) 상기 방법 (9)에 의해 수득가능한 측쇄내 술폰산 관능기만을 수반하는 엔지니어링 주쇄 고분자
(11) 막이 비가황 또는 공유 가교되어 있을수 있는 고분자 (2), (4), (6), (8) 또는 (10)의 막
(12) 술폰산, 인산 또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고분자와 염기성 고분자 (2), (4), (6), (8)로부터 산-염기 블랜드/산-염기 블랜드막의 제조 방법
(13) 술폰산기를 함유한 고분자(10)과 염기성 고분자(2), (4), (6), (8)로부터 산-염기 블랜드/산-염기 블랜드막의 제조 방법
(14) 블랜드/블랜드 막이 추가로 공유가교된 상기 방법 (12)와 (13)에 의해 수득가능한 산-염기 블랜드/산-염기 블랜드막
(15) 고분자 전해막 연료셀(PEFC), 직접 메탄올 연료막(DMFC), 전해투석 과 같은 막 공정에서 막으로서 이온교환 고분자 (4), (8), (10), (14)의 용도.
(16) 투석, 역삼투, 나노여과, 확산투석, 기체투과, 투과증발 및 막추출(perstraction)에서의 막과 같은 측쇄내 염기성 N을 함유하는 친수성 고분자 (2), (6)의 용도.
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막 기술(역삼투, 나노여과, 마이크로 및 한외여과, 전기투석, 확산투석, 막 전기분해, 막 연료셀)의 여러 분야에서, 이온 교환기를 함유하고 있는 친수화되거나 혹은 화학적으로 안정한 고분자가 요구되었지만, 이들 고분자는 제한된 양으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였으며, 오늘날에도, 일부 경우, 상기 언급된 분야에 아직까지 사용되고 있는 비닐 고분자는 그의 화학적 안정성에 제한이 있다. 더욱이, 상기 상업적 고분자의 성질의 대역은 아주 크지 않다.
3. 선행 기술 및 그의 단점
a) 염기성 N에 의해 개질된 고분자
시판되고 있는 염기성 N-개질 고분자는 아직까지 상대적으로 거의 없으며,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하기의 것이 언급된다.
· 폴리(4-비닐 피리딘), 폴리(2-비닐 피리딘) 및 공중합체
상기 두 중합체는 폴리스티렌과의 블록 공중합체로 시판되고 있다. 이들은 예컨대 음이온 교환막(Reiner, Ledjeff1, Gudernatsch, Krumbholz2)의 예비단계로서 사용되거나 선택적인 산소투과3를 위해 코발트를 함유한 Schiff's 염기와 착화된다. 이러한 유형의 고분자의 단점은 고분자 주쇄내에 사차 C-H 결합을 가지고 있어, 산화를 받기쉽다는 것이다.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벤즈이미다졸은 상당한 화학적 및 기계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는 고분자 종류이다. 여러 종류의 폴리벤즈이미다졸(전 또는 부분 방향족)은 이미 합성되고 시험되었다4. 그러나, 단지 몇몇 종류만이 상업적으로 시판되었으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CELAZOLE이라는 상품명으로 Celanese사에서 시판하고 있는 고분자 PBI(폴리(2,2-m-페닐렌)-5,5'-비벤즈이미다졸)이다. 특히, 이 고분자는 소방대용저가염성 텍스타일5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 고분자가 가진 단점은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기 어려워, 작업성이 좋지 않다는 것이고, 더욱이 아주 고가이다.
·폴리에틸렌 이민
폴리에틸렌 이민은 유기 화학과 생화학에서 단백질의 침전제6로 사용되고 있다. 이 고분자의 장점은 그의 높은 친수성(2C상에 1N)으로 인해, 수용성이라는 것이지만, 순수한 형태에서는, 저항성 있는 막을 형성할수 없고, 더욱이 그의 순수한 지방족 구조로 인해, 화학적으로 안정하지 않다.
b) 음이온 교환 고분자 및 막
시판되고 있는 음이온 교환 고분자와 막은 두 개의 카테고리로 구분할수 있다.
·사차 아민과 클로로화7또는 브로모메틸화8고분자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음이온 교환 고분자. 상기 반응의 단점은 할로메틸화 반응이 발암성이라는 것이고, 방향족-CH2-NR3+기의 화학적 안정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삼차 N, 예컨대 폴리(비닐 피리딘)1,2,9의 할로겐 알칸1,2에 의한 알킬화에 의해 제조된 음이온 교환 고분자. 상기 반응의 단점은 삼차 N을 가진 시판되고 있는 고분자가 거의 없다는 것이며 (참고, 이전 단락), 따라서, 달성될수 있는 막 특성의 대역이 제한된다. 폴리(비닐 피리딘)이 가지고 있는 단점은 제한된 화학적 안정성이다(참고, 이전 단락).
c) 측쇄에 술폰화된 양이온 교환 고분자
이러한 유형의 시판 고분자와 막은 거의 없다. 대표적인 상기의 가장 중요한 예는 하기의 것을 들수 있다.
·나피온(nafion)10
상기 고분자는 퍼플루오로알킬 주쇄와 술폰산기를 달고 있는 말단에 퍼플루오로에테르 측쇄를 가지고 있다. 이 고분자는 우수한 화학적 막 안정성, 예컨대 막연료셀11을 요구하는 모든 분야에 사용된다. 상기 고분자의 단점은 높은 가격($800 US/m2)과 복잡한 제조 공정10이다.
·폴리-X 200012
상기 고분자는 폴리(페닐렌) 주쇄와 아릴 측쇄로 구성되며, 정확한 이름은 폴리(옥시-1,4-페닐렌-카르보닐-1,4-페닐렌)이다. 이 고분자는 측쇄의 말단만 술폰화12되어 있다. 문서12에 따르면, 술폰화된 형태의 상기 고분자는 10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조차도 우수한 프로톤 전도 수준을 보여주는데, 술폰화된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는 상기 온도에서 프로톤 전도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이러한 특성은 폴리-X 2000내 술폰산기의 우수한 회합에 의해 생성될수 있으며, 그 이유는 술폰산기가 폴리-X 2000의 경우 측쇄에 있고, 술폰화 PEEK의 경우, 술폰산기가 주쇄에 있어서, 따라서, PEEK 주쇄의 강직성으로 인해, 이들이 쉽게 회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고분자의 단점은 술폰화 PEEK12와 비교하여 열안정성이 낮아,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지 않다는 사실에 있다.
4. 본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결과로, 측쇄에 염기성 질소로 개질되어, 그결과 친수화되고 우수한 열적 및 기계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는 아릴 주쇄 고분자와 막을 수득할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측쇄의 이온 교환기의 존재로 인해, 고분자의 주쇄에 이온교환기가 존재하는 경우 보다도 이온교환기의 회합을 형성할수 있는 높은 자유도를 나타내어, 부가적으로 화학적으로 안정한 양이온 및 음이온 교환 막을 제공할수 있다.
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본 발명의 기재내용)
본 발명의 내용은 명확하게 5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a. 리튬화 고분자의 부가반응에 의한 염기성 N-개질 고분자
b. 리튬화 고분자와 치환 반응에 의한 염기성 N-개질 고분자
c. 음이온 교환 고분자 및 막
d. 측쇄내 술폰화된 양이온 교환 고분자
e. 고분자 a 또는 b와 임의의 술폰화 고분자 혹은 양이온 교환 고분자 d로부터의 산-염기 블랜드 및 산-염기 블랜드 막
a) 리튬화 고분자의 부가반응에 의한 염기성 N-개질 고분자
Guiver은 금속화 반응 그리고 이후에 선택된 알데히드 또는 케톤의 부가를 통해 측쇄내 OH기로 개질된 PSU13을 형성하는 친수성으로 개질된 PSU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도 1). 하기 치환도가 달성되었다. 벤즈알데히드 1.9, 벤조페논 1.0, 아세톤 0.5
이제, 놀랍게도, 도 1의 반응에 따라, 삼차 N을 함유하고 있는 방향족 케톤과 알데히드가 리튬화 PSU에 첨가될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첨가할수 있는 그러한 염기성 방향족 케톤의 예는
·2,2'-비피리딜 케톤
·4,4'-비스(디메틸 아미노)-벤조페논(Michler's 케톤)
·4,4'-비스(디에틸 아미노)-벤조페논이다(참고 도 2).
첨가할수 있는 염기성 방향족 알데히드의 예는
·4-디메틸 아미노 벤즈알데히드
·4-디에틸 아미노 벤즈알데히드
·피리딘-2-알데히드, 피리딘-3-알데히드, 피리딘-4-알데히드이다 (참고 도 2).
상기 반응이 관련된 경우, 치환도는 염기성 방향족 화합물의 크기에 의존한다. 따라서, 입체장애 케톤 2,2-비피리딜 케톤, 4,4'-비스(디메틸 아미노)-벤조페논(Michler's 케톤), 4,4'-비스(디에틸 아미노)-벤조페논에 의해서는 약 1의 치환도가 수득되는 반면, 상기 언급된 입체장애가 적은 알데히드에 의해서는, 2까지의 치환도가 달성될수 있다.
리튬화 PSU에 4,44'-비스(디에틸 아미노)-벤조페논의 첨가에 의한 생성물합성시, 놀랍게도, 치환된 고분자가 색상을 가지고 있으며, 공기에 노출시 시간에 따라 색상이 연녹색에서 아주 어두운 녹색으로 짙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아마도 도 3에 나타난 반응에 따라 대기중 산소에 의해 PSU 부가 생성물의 산화로 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트리페닐 메탄 염료14가 제조된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리튬화가능한 고분자상에 결합될수 있는 발색단기이다. 이들 발색단기는 양전하를 띠고 있어 보상이온, 예컨대 Cl-가 상호교환될수 있기 때문에 음이온 교환기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상이온이 상호교환가능하기 때문에, 산화된 염기성 고분자는 이온 전도성을 나타내며, 실험적으로 입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전하는 계에 걸쳐서 메소메릭하게 분포된다.
이들 음이온 교환기는 통상의 음이온 교환기와 비교하여 매우 안정하다.
PSU 부가 생성물의 산화를 방지하려고 한다면, 부가반응시 형성되는 Li-알콜레이트 중간체 화합물을 알킬 할라이드 Alk-Hal로 잡아서, 에테르 PSU-C(C1R2)-OAlk를 형성할수 있다.
따라서, 부가 화합물은 유리 OH기를 가진 부가 화합물보다 더욱 산화에 안정해진다.
b) 리튬화 고분자와 치환반응에 의해 염기성 N이 개질된 고분자
저분자량 방향족 카르복실산이 Li-유기 화합물과 반응한다면, 대부분의 경우, 삼차 알콜의 리튬염이 수득된다(참고, 도 4)16. 놀랍게도, 이소니코틴산 에틸에스테르 및 N,N-디메틸 아미노 벤조산 에틸 에스테르와 같은 염기성 화합물과 리튬화 PSU와의 반응이 선택된 조건(저온, 리튬화 PSU의 용액내 저농도의 고분자, 과량의 염기성 화합물)이 케톤 단계(도 5)에서 일어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런식으로, 리튬화 고분자로부터 그와 같은 고분자를 방향족 측쇄내 염기성 N-기(피리딜 또는 디알킬 아미노기와 같은 삼차 N)으로 개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의 방향 특성 및 카르보닐기를 통한 고분자 주쇄상에 결합으로 인해, 측쇄는 아주 산화에 대해 안정하게된다. 삼차 N을 함유하고 있는 합성 고분자는 추가 단계에서, N-사차화에 의해 산화에 안정한 음이온 교환 고분자로 전환될수 있다(참고, c)).
c) 음이온 교환 고분자 및 막
방향족 측쇄의 염기성 삼차 N으로 개질된 상기 언급된 고분자는 이제, 종래 방법15의 수단으로 반응시켜 음이온 교환 고분자와 막을 제조할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하기방법에 의해 음이온 교환 막조차도 이용할수 있다:
측쇄의 삼차 N으로 개질된 리튬화 가능한 고분자의 용액을 이극성 비양성자 용매(NMP, DMAc, DMF, DMSO, 술포란, 등)에서 제조하여, 목적하는 몰비의 할로겐화 알칸 및 할로겐 디알칸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여 목적하는 밀도의 가교도를 얻고, 용매를 고온에서 증발제거한다. 막 형성시, 삼차 N은 음이온 교환기로 사차화되고, 그와 동시에 디할로겐 알칸은 막내에 공유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d) 측쇄기에 술폰화된 양이온 교환 고분자
b)에 제시된 반응(카르보닐기를 통한 방향족 측쇄기의 아릴 주쇄 고분자로의 결합에 의한 방향족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와 리튬화 아릴 고분자의 반응)을 토대로, 측쇄기에 술폰화된 아릴 주쇄 고분자는, 그의 방향족 측쇄가 고분자 주쇄 보다 더욱 쉽게 친전자적으로 술폰화될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위해서, 측쇄에 존재하는 방향족 탄화수소는 고분자의 모든 방향족 고리의 가장 큰 전자밀도를 가지고 있어야한다. 방향족 측쇄에서 술폰화된 아릴 주쇄 고분자를 수득하는 반응은 도 6에 나타나 있다. 방향족 측쇄내 술폰화된 PSU Udel(상표명)의 경우, 방향족 측쇄의 말단에서 방향족 탄화수소가 전 분자의 가장 큰 전자밀도를 가지고 있다. 이 이유로는, 전자적으로 가능한 o-위치가 에테르 결합에 대해 입체장애를 받기 때문에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가 사실상 에테르 결합에 대해 p-위치에서, 술폰화된다.
e) 목적한대로 술폰화된 a 또는 b 고분자와 양이온 교환 고분자 d로부터 산 -염기 블랜드와 산-염기 블랜드막
상기 a, b 및 d에 기재된 새롭게 수득한 고분자 그리고 다른 술폰화 고분자는 조합되어 새로운 산-염기 블랜드와 산-염기 블랜드막을 형성할수 있다.
방향족 측쇄의 말단에서 산 및 염기성 기의 위치는 이들이 고분자의 주쇄에 있는 경우보다 입체장애가 적기 때문에 블랜드내에서 보다 우수한 이온교환기의 회합을 이끌어낸다. 산과 염기성 기의 회합물이 보다 잘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은 고분자 매트릭스내에서 이온교환기의 국소농도를 증가시킬수 있고, 따라서 주쇄에서 산 및 염기성 기로 개질된 강직한 아릴 주쇄 고분자의 경우보다도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의 이온교환기에서도 높은 수준의 프로톤 전도성을 나타낸다. 극히소수성 퍼플루오로화 주쇄상에서 강하게 회합(cluster)10되어 있는 퍼플루오로화 이온 교환 고분자 나피온의 모폴로지는 결과적으로 그러한 새로운 산-염기 블랜드로 "복사"될수 있다.
폴리염 형성에 의한 이온가교에 덧붙여,
용매내 산과 염기성 고분자의 혼합물에 대해, 디할로겐 알칸이 막 형성시 첨가되어 삼차 N이 사차화된다.
6. 구현 실시예
6.1 N,N-디메틸 아미노 벤즈알데히드와 리튬화 PSU의 반응
배치(Batch):
건조한 PSF Udel P 1800(0.025 몰) 11.05 g
무수 THF 500 ml
5 ml n-BuLi 10N(0.05 몰)
20 ml THF에 용해된 4-디메틸 아미노 벤즈알데히드 (0.13 몰) 10 g
절차
배리어 가스하에, 반응 용기에 THF를 채운다. 그후, 건조된 고분자를 아르곤하에 교반 및 철저히 헹구어진 반응 용기에 도입한다. 고분자가 일단 용해된후, 강한 아르곤 흐름하에 -65℃로 냉각한다. 이후 엷은 황색/오렌지색이 반응 혼합물이 이제 무수인 것을 나타낼때까지 고분자 용액을 n-BuLi로 적정한다. 그후, 10분내에 10N n-BuLi를 주입한다. 교반을 30분간 진행한다., 그후, THF중의 4-디메틸아미노벤즈알데히드를 주입한다. 반응 혼합물이 그의 색상을 소실할때까지 교반한다. -65℃에서 최대 대기시간은 1시간이다. 그후,아세톤 냉각조를 꺼집어내고 얼음조로 대체한다. 0℃로 데운후 0℃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다. 그후, 반응 혼합물을 2리터 이소프로판올에 침전시킨다. 먼저 50℃에서 다이어프램 진공 펌프 이후 오일 진공펌프에서 건조시킨다. 그후, 고분자를 분쇄하고, 500 ml 메탄올에 현탁시킨후, 50℃ 진공중에서 다시한번 건조한다. 형성된 개질 PSU의 화학적 구조는 도 7에 나타나 있다.
상기 고분자의 원소분석 및1H-NMR 스펙트럼 결과는 PSU반복단위당 대략 2개의 기가 치환되었음을 나타내었다.
6.2 비스(N,N-디에틸 아미노)벤조페논과 리튬화 PSU의 반응
배치:
건조한 PSU Udel P 1800(0.025 몰) 11.05 g
무수 THF 600 ml
3 ml n-BuLi 10N(0.03 몰)
50 ml THF에 용해된 4,4'-비스-디에틸아미노 벤조페논(0.077 몰) 25 g
절차
배리어 가스하에, 반응 용기에 THF를 채운다. 그후, 건조된 고분자를 아르곤하에 교반 및 철저히 헹구어진 반응 용기에 도입한다. 고분자가 일단 용해된 후, 강한 아르곤 흐름하에 -30℃로 냉각한다. 이후 엷은 황색/오렌지색이 반응 혼합물이 이제 무수인 것을 나타낼때까지 고분자 용액을 n-BuLi로 적정한다. 그후, 10분내에 10N n-BuLi를 주입한다. 교반을 50분간 진행한다. 그후, 4,4'-디에틸 아미노 벤조페논 용액을 주입한다. 반응 혼합물이 그의 색상을 소실할때까지 24시간 이상을 교반한다. 그후, 이소프로판올 20 ml와 물 2 ml의 혼합물을 반응 용액에 주입한후, 실온으로 데운다. 이 고분자를 2리터 이소프로판올에 침전시킨후, 여과제거하고, 이소프로판올로 세정한다. 그후, 이 고분자를 i-PrOH 300 ml에 교반시킨다. 그후, 다시한번 여과하고, i-PrOH에 다시 현탁시킨후, 교반하고, 여과한다. 그후, 고분자를 물 5리터에 첨가하고 교반한다. 여과후, 다시한번 물 5리터에 첨가하고, 다시 교반한다. 이후, 추가로 정제한후, pH7로 세정하고, 80℃에서 건조시킨다. 형성된 개질 PSU의 화학적 구조는 도 8에 나타나 있다.
상기 고분자의 원소분석 및1H-NMR 스펙트럼 결과는 PSU반복단위당 대략 1개의 기가 치환되었음을 나타내었다. 고분자는 녹색으로 착색되었는데, 산화에 의해 트리페닐 메틸 발색단이 부분적으로 형성된후 OH기가 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참고 도 3). 고분자를 희석산에서 고온에 유지시킬 경우, 색상은 검녹색으로 깊어진다.1H 및13C-NMR에 의해서, 도 3에 나타난 반응 생성물 6.2의 반응이, 실질적으로 일어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OH 프로톤의1H와13C 시그날의 위치는 5.8 ppm의 화학적 시프트(1H-NMR)와 85 ppm의 화학적 시프트(13C-NMR)로 드러누운 H/D교환에 의해 확인할수 있는데, 반응 생성물 6.2가 60℃에 공기노출하에 묽은 산에서 보관된후 이들은 거의 모두 소멸된다.
발색단의 형성은 예컨대 PSU-Li-알콕시드와 메틸 요오드화물의 반응에 의해 OH기를 에테르화시킴으로써 방지할수 있다(도 9). 산화된 반응 생성물 6.2는 단락 5 a)에서 요약한 이유에 기인하는 이온 전도성을 나타낸다. 이를 위해, 산화된 고분자의 막을 이차 HCl의 처리하 또는 부재하에 0.5N HCl중에 임피던스 분광기로 평가하였다.
결과
고분자 막 막 두께 RaRsp
[㎛] [Ω*sq.cm] [Ω*cm]
6.2+이차처리 55 7.6 500
6.2+이차처리부재 155 4.6 840
6.3 리튬화 PSU와 2,2'-디피리딜 케톤의 반응
배치:
건조한 PSU Udel P 1800(0.01556 몰) 6.88 g
무수 THF 400 ml
1.7 ml n-BuLi 10N(0.017 몰)
20 ml THF에 용해된 디(2-피리딜)-케톤(0.021 몰) 3.89 g
절차
배리어 가스하에, 반응 용기에 THF를 채운다. 그후, 건조된 고분자를 아르곤하에 교반 및 철저히 헹구어진 반응 용기에 도입한다. 고분자가 일단 용해된 후, 강한 아르곤 흐름하에 -30℃로 냉각한다. 이후 엷은 황색/오렌지색이 반응 혼합물이 이제 무수인 것을 나타낼때까지 고분자 용액을 n-BuLi로 적정한다. 그후, 10분내에 10N n-BuLi를 주입한다. 교반을 30분간 진행한다., 그후, THF에 디(2-피리딜)-케톤용액을 주입한다. 반응 혼합물이 그의 색상을 소실할때까지 -30℃에서 48시간 이상을 교반한다. 그후, 이소프로판올 10 ml와 물 1 ml의 혼합물을 반응 용액에 주입한후, 실온으로 데운다. 이 고분자를 2리터 이소프로판올에 침전시킨후, 여과하고, 이소프로판올과 메탄올로 세정한다. 침전된 고분자를 다시 여과하고, 건조한후, 100 ml MeOH에 교반시킨다. 그후, 다시한번 여과하고, MeOH에 다시 현탁시킨후, 교반하고, 여과한후 80℃에서 건조한다. 반응 생성물의 화학적 구조는 도 10에 나타나 있다. 디피리딜 기를 토대로 한 개질된 PSU의 치환도는, 원소분석으로 측정하여, PSU반복단위당 대략 약 0.85였다.
6.4 리튬화 PSU과 이소니코틴산 에틸 에스테르의 반응
배치:
건조한 PSU Udel P 1800(0.02 몰) 8.84 g
무수 THF 300 ml
4 ml n-BuLi 10N(0.04 몰)
10.5 ml 이소니코틴산 에틸 에스테르(0.07 몰)
절차
배리어 가스하에, 반응 용기에 THF를 채운다. 그후, 건조된 고분자를 아르곤하에 교반 및 철저히 헹구어진 반응 용기에 도입한다. 고분자가 일단 용해된 후, 강한 아르곤 흐름하에 -30℃로 냉각한다. 이후 엷은 황색/오렌지색이 반응 혼합물이 이제 무수인 것을 나타낼때까지 고분자 용액을 n-BuLi로 적정한다. 그후, 10N n-BuLi를 주입한다. 50분간 교반시킨다. 그후, 이소니코틴산 에틸 에스테르를 주입하고, 반응 혼합물이 그의 색상을 소실할때까지 -30℃에서 24시간 이상을 교반한다. 그후, 이소프로판올 20 ml와 물 2 ml의 혼합물을 반응 용액에 주입한후, 실온으로 데운다. 상기 고분자를 2ml 이소프로판올에 침전시킨후, 여과하고, 이소프로판올로 세정한다. 그후, 상기 고분자를 300 ml i-PrOH에 교반시킨다. 그후, 다시한번 여과하고, i-PrOH에 다시 현탁시킨후, 교반하고, 여과한다. 여과후, 물 5리터에 첨가하고, 새로이 교반시킨다. 그후, 다시한번 여과한후, 80℃에서 건조시킨다. 반응 생성물은 도 11에 나타나 있다. 4-피리딜 카르보닐기에 의해 개질된 PSU의 치환도는,1H-NMR과 원소분석으로 측정하여, 1.65였다.
6.5 리튬화 PSU와 N,N-디메틸아미노 벤조산 에틸 에스테르의 반응
배치:
건조한 PSU Udel P 1800(0.025 몰) 11.05 g
무수 THF 600 ml
5 ml n-BuLi 10N(0.05 몰)
100 ml THF에 용해시킨 N,N-디메틸아미노벤조산 에틸 에스테르 48.32 g(0.25 몰)
절차
배리어 가스하에, 반응 용기에 THF를 채운다. 그후, 건조된 고분자를 아르곤하에 교반 및 철저히 헹구어진 반응 용기에 도입한다. 고분자가 일단 용해된 후, 강한 아르곤 흐름하에 -60℃로 냉각한다. 이후 엷은 황색/오렌지색이 반응 혼합물이 이제 무수인 것을 나타낼때까지 고분자 용액을 n-BuLi로 적정한다. 그후, 10분내에 10N n-BuLi를 주입한다. 50분동안 교반시킨다. 그후, N,N-디메틸아미노벤조산 에틸 에스테르를 THF에 주입하고, 10분동안 교반시킨다. 이후, 이소프로판올 20 ml와 물 2 ml의 혼합물을 반응 용액에 주입한후, 실온으로 데운다. 상기 고분자를 2리터 이소프로판올에 침전시킨후, 여과하고, 이소프로판올과 메탄올로 세정한다. 침전된 고분자를 다시 여과하고, 건조한후 100ml MeOH에 교반시킨다. 그후, 다시한번 여과하고, MeOH에 다시 현탁시킨후, 여과하고, 80℃에서 건조시킨다. 원소분석결과 PSU 반복단위당 p-N,N-디메틸 아미노 페닐 카르보닐기의 치환도는 0.75였다. 다른 시험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치환도는 리튬화 PSU와 N,N-디메틸 아미노벤조산 에틸 에스테르의 반응시간을 길게함으로써 증가시킬수 있다. 상기 반응(PSU반복단위당 p-N,N-디메틸 아미노 페닐 카르보닐기에 의한)의 반응 생성물은 도 12에 나타나 있다.
6.6 술폰화 PSU와 반응 생성물 6.2의 산-염기 블랜드 막
SO3Li 형태의 술폰화 PSU Udel(상표명) 4 g을 N-메틸 피롤리돈 25 g에 용해시킨다. 그후, 반응 6.2로부터 수득한 반응 생성물(PSU반복단위당 1.1개의 기) 1 g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용해될때까지 교반시킨다. 그후, 아주 검녹색 용액을 여과하고, 탈기하고, 얇은 막으로 유리판에 도포한다. 이후 이 용액을 120℃에 증발시킨다. 그후, 유리판을 완전히 탈염된 물이 채워진 조에 넣어 유리판으로부터 고분자막을 분리시킨다. 그후, 막을 처음에 70℃에서 10% 황산에 처리한 후, 완전히 탈염된 물에서 이차 처리시킨다. 그후, 막을 평가한다.
특성 결과:
이온교환능: 1.35 meq SO3H/g
팽윤(H+-형태, RT): 33.14%
비저항(H+-형태, RT): 27.6 Ωcm
6.7 술폰화 PSU와 반응 생성물 6.4으로 구성된 산-염기 블랜드 막
SO3Li 형태의 술폰화 PSU Udel(상표명) 4 g을 N-메틸 피롤리돈 25 g에 용해시킨다. 그후, 반응 6.4로부터 수득한 반응 생성물(PSU반복단위당 1.65개의 기) 1 g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용해될때까지 교반시킨다. 그후, 상기 용액을 여과하고, 탈기하고, 얇은 막으로 유리판에 도포한다. 이후 이 용액을 120℃에 증발시킨다. 그후, 유리판을 완전히 탈염된 물이 채워진 조에 넣어 유리판으로부터 고분자막을 분리시킨다. 그후, 막을 처음에 70℃에서 10% 황산에 처리한 후, 완전히 탈염된 물에서 이차 처리시킨다. 그후, 막을 평가한다.
특성 결과:
이온교환능: 1.09 meq SO3H/g
팽윤(H+-형태, RT): 24.6 %
비저항(H+-형태, RT): 21.2 Ωcm
6.8 술폰화 PSU와 반응 생성물 6.5으로 구성된 산-염기 블랜드 막
SO3Li 형태의 술폰화 PSU Udel(상표명) 4 g을 N-메틸 피롤리돈 25 g에 용해시킨다. 그후, 반응 6.5로부터 수득한 반응 생성물(PSU반복단위당 0.75개의 기) 1g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용해될때까지 교반시킨다. 그후, 상기 용액을 여과하고, 탈기하고, 얇은 막으로 유리판에 도포한다. 이후 이 용액을 120℃에 증발시킨다. 그후, 유리판을 완전히 탈염된 물이 채워진 조에 넣어 유리판으로부터 고분자막을 분리시킨다. 그후, 막을 처음에 70℃에서 10% 황산에 처리한 후, 완전히 탈염된 물에서 이차 처리시킨다. 그후, 막을 평가한다.
특성 결과:
이온교환능: 1.11 meq SO3H/g
팽윤(H+-형태, RT): 23.5 %
비저항(H+-형태, RT): 17.6 Ωcm
7. 본 발명의 신규성
상기 언급된 신규 고분자 및 막 그리고 그의 제조 방법은 이제까지 문헌에 기재되어 있지 않았다.
8. 본 발명의 이점
본 발명은 방향족 측쇄로 인해 화학적으로 안정한 신규 고분자 및 막을 포함하며, 이들은 관리하에 더 개질될수 있다.
· 알칼리 할라이드에 의한 염기성 N의 사차화에 의해, 새로운 음이온 교환 고분자 및 막이 제조될수 있는데, 방향족 측쇄상에 염기성 N의 직접 결합으로 인해,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음이온 교환 고분자 및 막 보다 화학적으로 더욱 안정하다. 디할로겐 알칸의 사용가능성으로 인해, 음이온 교환 고분자막은 동시에 공유 가교될수 있다.
·방향족 측쇄기에서 술폰화된 방향족 측쇄기를 가진 고분자의 합성은 고분자 매트릭스내에서 술폰산기의 회합을 개선시킬수 있어, 상대적으로 낮은 이온교환 기농도에서도 높은 프로톤 전도성을 이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염기 블랜드와 산-염기 블랜드막은 산과 염기성기가 고분자의 주쇄에 존재하는 산-염기 블랜드 및 산-염기 블랜드막 보다 우수한 이온교환기 회합을 나타내는데, 그 이유는, 측쇄기가 고분자 주쇄기 보다 더욱 이동가능하기 때문이다. 폴리염 형성으로 인한 이온 가교에 덧붙여, 이들 블랜드와 블랜드 막은 공유 가교에 의해 팽윤 및 기계적 안정성의 관점에서 더 안정화될수 있다.
9. 주제어
아릴 주쇄 고분자
염기성 사차 N을 함유한 측쇄기에 의한 개질
음이온 교환 고분자
음이온 교환 고분자막
양이온 교환 고분자
양이온 교환 고분자막
염기성 삼차 N을 함유한 방향족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카르복실산 할라이드
염기성 사차 N을 함유한 방향족 케톤 및 알데히드
산-염기 고분자 블랜드
산-염기 고분자 블랜드막
금속화된 아릴 주쇄 고분자
막연료셀
제막 방법
10. 문헌
1. Cr/Fe 레독스 배터리를 위한 폴리(비닐피리딘)과 폴리(비닐벤질 클로라이드)로 구성된 음이온 교환막
A. Reiner, K. Ledjeff
Journal of Membrane Science 36, 535-540(1988)
2. 고분자량의 유기산을 위한 개선된 투과성을 가진 음이온 교환막의 개발
W. Gudernatsch, Ch. Krumbholz, H. Strathmann
Desalination 79, 249-260 (1990)
3. 산소투과를 위한 코발트 함유 schiff's 염기로 착화된 폴리(스티렌-블록-부타디엔-블록-스티렌-그라프트-2-비닐 피리딘)막
G.-H. Hsiue, J.-M. Yang
Die Makromolekulare Chemie (Macromolecular Chemistry)192, 2687-2699 (1991)
4. E.-W. Chloe, D.D. Choe, 폴리벤즈이미다졸(개요), Polymeric Materials Encyclopedia 8권 5619-5683, CRC Press, 뉴욕 1996
5. 셀라니즈 PBI-폴리벤즈이미다졸 섬유의 특성 및 적용
D.R. Coffin, G.A.Serad, H.L.Hicks, R.T. Montgomery
Textile Research Journal 52(7), 466-72 (1982)
6. 폴리아스파라긴산 꼬리를 함유한 베타-갈락토시다제 퓨젼의 폴리전해질 침전
J.Zhao, C.F.Ford, C.E.Glatz, M.A. Rougvie, S.M.Gendel
J.Biotechnol. 14(304), 273-83(1990)
7. 방향족 폴리술폰 기재의 신규 이온교환막
P. Zschocke, D Quellmalz
Journal of Membrane Science 22, 325-332 (1985)
8. 폴리술폰기재 인터폴리머 음이온교환막
A. Warshawsky, O.Kedem
Journal of Membrane Science 53, 37-44 (1990)
9. I.M.Khan, 비닐피리딘 고분자,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17권 567-577, Wiley-Interscience, 뉴욕 1996
10. 퍼플루오로화 이온교환 고분자 및 연구 및 산업에서의 그의 용도
W.G. Grot
Macromolecular Symposia, 82, 161-172 (1994)
11. 다이 가역성 막-브렌스토프젤레(Brennstoffzelle)(가역성 막연료셀)
Ledjeff, K.; Heinzel, A.; Mahlendorf, F.; Peinecke, V.
Dechema Monographs, 128권, VCH Verlagsgesellschaft 103-118 (1993)
12.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과 폴리(4-페녹시벤조일-1,4-페닐렌)으로부터 유도된 프론톤 전도 고분자
T.Kobayashi, M. Rikukawa, K, Sanui, N. Ogata
Solid State Ionics 106(1998), 219-225
13. 합성과 화학적 개질에 의한 관능기를 함유한 방향족 술폰
M.D.Guiver
Dissertation, Carletown University, Ottawa-Ontario, Canada (1987)
14. Beyer/Walter, 유기 화학의 매뉴얼, 19판, S, Hirzel Verlag Stuttgart, 569f, 1981
15. J. Goerdeler, 사차 암모늄 화합물의 제조, Houben-Weyl, 유기화학의 방법, XI/2권, Stickstoffverbindungen (질소 화합물)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S. 591f (1958)
16. U. Schollkopf, 리튬 유기화합물의 제조 및 전환방법, Houben-Weyl, 유기 화학의 방법, XIII/1권, Metallorganische Verbindungen (Metal Organic Compound), Georg Thieme Verlag, S. 185f(1970)

Claims (26)

  1. 도 14에 기재된 반응에 의해, 삼차 염기성 N기를 함유한 방향족 케톤 및 알데히드 (예컨대 삼차 아민 또는 염기성 N기와 같은 삼차 염기성 N기를 함유한 피리딘, 피리미딘, 트리아진, 이미다졸, 피라졸, 트리아졸, 티아졸, 옥사졸 등과 같은 복소환 방향족 화합물)를 브리징 기 R4, R5또는 R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라디칼 R1및/또는 R2를 함유할수 있는 금속화 고분자 P-Me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릴렌 함유 염기성 N기에 의한, 도 13에 수록된 기로 구성될수 있는 금속유기 화합물에 의해 탈프로톤화되는데 적합한 엔지니어링 아릴 주쇄 고분자의 측쇄 개질 방법.
    (상기에서 중간체 화합물로 형성된 Me-알코올레이트는 추가 단계에서, 물로 프로톤화되거나, 혹은 할로겐 알칸으로 에테르화될수 있다).
  2. 제 1 항에서 사용된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염기성 삼차 N기로 측쇄개질된 고분자
  3. 개질된 고분자를 할로겐 모노알칸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과 제 2 항의 개질된 고분자에서 삼차 N의 사차화 방법.
  4. 개질된 고분자를 할로겐 모노- 및 할로겐 디알칸의 혼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과 제 2 항의 개질된 고분자내 삼차 N기를 동시 사차화 및 공유가교화시키는 방법.
  5. 제 3 항과 제 4 항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측쇄내 음이온교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공유가교가능한 엔지니어링 아릴 주쇄 고분자.
  6. 삼차 염기성 N기(예컨대, 삼차 아민, 피리딘, 피리미딘, 트리아진, 이미다졸, 피라졸, 트리아졸 등 실질적으로 삼차 염기성 N기를 가지고 있는 모든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하는 방향족 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하기 반응식에 따라 금속화 고분자 P-Me와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릴렌 함유 염기성 N기에 의한 엔지니어링 아릴 주쇄 고분자의 측쇄 개질 방법.
    (각 성분은 도 13에 나타난 성분으로 구성될수 있다. Ar은 염기성 삼차 N기를 수반하는 방향족 라디칼이며, Me는 Na, Li이고, R'는 알킬 또는 아릴 라디칼이다).
  7. 제 6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측쇄 개질 고분자
  8. 용액중의 개질된 고분자를 할로겐 알칸과 반응시켜 음이온 교환기를 측쇄 개질 고분자에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6 항과 제 7 항에 기재된 개질 고분자의 삼차 N기의 사차화 방법.
  9. 제 6 항과 제 7 항에 기재된 고분자를 용액중에서 할로겐 모노- 및 디알칸의 혼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가교 음이온 교환 고분자와 막의 제조 방법.
  10. 제 8 항과 제 9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측쇄내 음이온 교환기를 수반하는 엔지니어링 아릴 주쇄 고분자 및 막
  11. 하기 일련의 반응을 금속화 고분자가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술폰산 라디칼을 함유한 방향족 기에 의한 엔지니어링 아릴주쇄 고분자의 측쇄 개질 방법.
    11a) - 방향족 카르복실산 유도체 Ar-COX, 예컨대 카르본산 에스테르 Ar-OOR' 또는 방향족 카르복실산 할라이드 Ar-COHal과 금속화 고분자 P-Me의 반응:
    11b) 황산기, SO3/P(O)(OR)3, ClSO3H 또는 다른 친전자술폰화 시약에 의한 측쇄기의 조절된 친전자성 술폰화 반응(이 경우에 측쇄기는 술폰화 반응성이 실질적으로 술폰화를 위한 고분자 주쇄의 반응성보다 높게되도록 선택된다).
  12. 제 11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고분자로서, 단지 측쇄기내에 술폰산 관능기를 함유한 엔지니어링 아릴 주쇄 고분자.
  13. 고분자를 이극성 비양성자성 용매에 용해시키고, 이후 고분자 용액을 지지판(유리판, 직포, 양털(fleece))에 얇은 필름으로 도포한후, 용매를 증발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항, 제 5 항, 제 7 항, 제 10 항, 제 12 항에 기재된 고분자로부터 막을 제조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수득가능한 고분자 막
  15. 제 2 항, 제 5 항, 제 7 항, 제 10 항에 기재된 측쇄에 염기성 기를 함유한 고분자를 술포네이트, 포스포네이트 또는 카르복실레이트기를 함유한 고분자(산 또는 염 형태)와 함께 이극성 비양성자성 용매에 혼합한후, 두 고분자를 함유한 용액을 지지판(유리판, 직포, 양털)에 얇은 필름으로 도포한후, 용매를 증발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염기 블랜드/산-염기 블랜드막의 제조 방법.
  16. 제 2 항, 제 3 항, 제 7 항, 제 10 항에 기재된 측쇄에 염기성 기를 함유한 고분자를 이극성 비양성자성 용매중에서, 제 12 항에 기재된 고분자와 혼합한후,두 고분자를 함유한 용액을 지지판(유리판, 직포, 양털(fleece))에 얇은 필름으로 도포한후, 용매를 증발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염기 블랜드/산-염기 블랜드막의 제조 방법.
  17. 블랜드/블랜드 막이 추가로 공유가교된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산-염기 블랜드/산-염기 블랜드막.
  18. 본 발명에 따른 개질 반응에 바람직한 염기성 고분자가 폴리에테르 술폰의 군의 고분자이며, 본 발명에 따른 시판중인 폴리에테르 술폰의 예가 다음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분자 및 막:
    ·폴리에테르 술폰 PSU Udel (상표명): R2(R3=CH3)-R4-R1(R3=H)-R5-R1-R4
    ·폴리에테르 술폰 PES Victrex(상표명): R1-R5-R1-R4
    ·폴리페닐 술폰 PPhSU Radel(상표명):R1(R3=H)-R1(R3=H)-R4-R1(R3=H)-R5-R1-R4
    ·폴리에테르 에테르 술폰 PEES Radel A(상표명): [R4-R1(R3=H)-R4-R1(R3=H)-R5-R1(R3=H)]n-[R4-R1(R3=H)-R5-R1(R3=H)]m, n/m=0.18
  19. 제 18 항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개질 반응을 위한 염기성 고분자가 폴리(에테르 술폰) PSU Udel(상표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및 막.
  20. NR2- 유형(R=임의 알킬 라디칼)을 수반하는 이방향족 케톤과 금속화 고분자의 반응에 의해 합성된 제 1 항 및 제 2 항에 기재된 치환 고분자가 희석 광물산중에 현탁/희석에 의해, 공기 유입에 의해, 혹은 산상(acid phase)에서 다른 산화제와의 반응에 의해, 산화되어 도 3에 언급된 유형의 기를 가지는 고분자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교환 고분자의 제조 방법.
    반응식
  21. 제 20 항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음이온교환 고분자.
  22. 제 13 항과 제 14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 20 항과 제 21 항에 기재된 음이온 교환 고분자로부터 막의 제조.
  23. 제 20 항 내지 제 23 항에 기재된 음이온 교환 고분자를 제 15 항 내지 제 17 항에 기재된 산성 고분자와 반응시켜 산-염기 블랜드/산-염기 블랜드막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염기 블랜드/산-염기 블랜드막의 제조방법.
  24. 제 23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산-염기 블랜드/산-염기 블랜드막.
  25. 고분자 전해막 연료셀(PEFC), 직접 메탄올 연료셀(DMFC), 확산 투석 및 전기투석과 같은 막 공정에서 막으로서 제 5 항, 제 9 항, 제 10 항, 제 12 항, 제 17항, 제 18 항, 제 19 항, 제 20 항, 제 21 항, 제 22 항, 제 23 항, 제 24 항에 기술된 이온교환 고분자의 용도.
  26. 투석, 역삼투, 나노여과, 기체투과, 투과증발 및 막여과와 같은 제 2 항, 제 5 항, 제 7 항, 제 9 항, 제 10 항, 제 12 항, 제 14 항, 제 17 항, 제 18 항, 제 19 항, 제 20 항, 제 21 항, 제 22 항, 제 23 항, 제 24 항에 기재된 친수성 고분자의 용도.
KR1020017001830A 1998-08-12 1999-08-12 측쇄의 염기성 n기 및 이온교환기에 의한 엔지니어링고분자의개질 KR100649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36514A DE19836514A1 (de) 1998-08-12 1998-08-12 Modifikation von Engineeringpolymeren mit N-basischen Gruppe und mit Ionenaustauschergruppen in der Seitenkette
DE19836514.4 1998-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431A true KR20010072431A (ko) 2001-07-31
KR100649370B1 KR100649370B1 (ko) 2006-12-21

Family

ID=7877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830A KR100649370B1 (ko) 1998-08-12 1999-08-12 측쇄의 염기성 n기 및 이온교환기에 의한 엔지니어링고분자의개질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590067B2 (ko)
EP (1) EP1105433B1 (ko)
JP (1) JP2002522607A (ko)
KR (1) KR100649370B1 (ko)
CN (1) CN1293123C (ko)
AT (1) ATE280795T1 (ko)
AU (2) AU771230B2 (ko)
BR (1) BR9912935B1 (ko)
CA (1) CA2338606A1 (ko)
DE (2) DE19836514A1 (ko)
DK (1) DK1105433T3 (ko)
ES (1) ES2237145T3 (ko)
IL (2) IL141972A0 (ko)
WO (1) WO2000009588A1 (ko)
ZA (1) ZA2001020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E04023B1 (et) 1996-10-18 2003-04-15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Seriinproteaaside, eriti C-hepatiidi viiruse NS3-proteaasi inhibiitorid
DE19836514A1 (de) 1998-08-12 2000-02-17 Univ Stuttgart Modifikation von Engineeringpolymeren mit N-basischen Gruppe und mit Ionenaustauschergruppen in der Seitenkette
DE19919708A1 (de) * 1999-04-30 2001-03-01 Univ Stuttgart Stufenweise Alkylierung von polymeren Aminen
DE10021106A1 (de) * 2000-05-02 2001-11-08 Univ Stuttgart Polymere Membranen
DE10054233A1 (de) * 2000-05-19 2002-05-08 Univ Stuttgart Lehrstuhl Und I Kovalent vernetzte Kompositmembranen
DE10024576A1 (de) * 2000-05-19 2001-11-22 Univ Stuttgart Kovalent und ionisch vernetzte Polymere und Polymermembranen
DE10024575A1 (de) * 2000-11-02 2001-11-22 Univ Stuttgart Kovalent vernetzte Polymere und Polymermembranen via Sulfinatalkylierung
SV2003000617A (es) 2000-08-31 2003-01-13 Lilly Co Eli Inhibidores de la proteasa peptidomimetica ref. x-14912m
DE10292065D2 (de) 2001-05-11 2004-08-05 Thomas Haering Modifikation von verstreckten Folien
ATE339466T1 (de) 2001-07-30 2006-10-15 Asahi Glass Engineering Co Ltd Anionenaustausch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nionenaustauschmembran
AU2003223602B8 (en) 2002-04-11 2010-05-27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Inhibitors of serine proteases, particularly hepatitis C virus NS3-NS4 protease
DE10394072D2 (de) * 2002-11-21 2005-10-13 Thomas Haering Modifikation von Verstreckten Folien
US7211203B2 (en) * 2003-02-04 2007-05-01 Honda Motor Co., Ltd. Polymer electrolyte, proton conductive membrane and membrane-electrode assembly
DE10320320B4 (de) * 2003-05-06 2007-08-16 Forschungszentrum Jülich GmbH Katalysatorschicht, geeignete Katalysatorpaste, sowie Herstellungsverfahren derselben
AR045596A1 (es) 2003-09-05 2005-11-02 Vertex Pharma Inhibidores de proteasas de serina en particular proteasa ns3-ns4a del vhc
EP1692157B1 (en) 2003-10-10 2013-04-17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Inhibitors of serine proteases, particularly hcv ns3-ns4a protease
WO2005043118A2 (en) 2003-10-27 2005-05-12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Drug discovery method
EP1944042A1 (en) 2003-10-27 2008-07-16 Vertex Pharmceuticals Incorporated Combinations for HCV treatment
AU2005212257A1 (en) 2004-02-04 2005-08-25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Inhibitors of serine proteases, particularly HCV NS3-NS4A protease
JPWO2005122277A1 (ja) * 2004-06-10 2008-04-10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有機薄膜トランジスタ
JP2009505966A (ja) * 2005-08-02 2009-02-12 バーテッ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セリンプロテアーゼのインヒビター
JP5203203B2 (ja) * 2005-08-19 2013-06-05 バーテッ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製造工程および中間体
US8399615B2 (en) 2005-08-19 2013-03-19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Processes and intermediates
US7964624B1 (en) * 2005-08-26 2011-06-21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Inhibitors of serine proteases
AR055395A1 (es) 2005-08-26 2007-08-22 Vertex Pharma Compuestos inhibidores de la actividad de la serina proteasa ns3-ns4a del virus de la hepatitis c
KR20140098867A (ko) 2005-11-11 2014-08-08 버텍스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C형 간염 바이러스 변이체
DE102005054149A1 (de) * 2005-11-14 2007-05-16 Basf Ag Aminhaltige Katalysatortinte für Brennstoffzellen
EP1984430A2 (de) 2006-02-03 2008-10-29 Universität Stuttgart - Institut für Chemische Verfahrenstechnik Phosphonsäure-haltige blends und phosphonsäure-haltige polymere
EP1986769B1 (de) 2006-02-16 2011-07-13 Basf Se Katalytisches verfahren für die phosphonylierung von hochtemperaturpolymeren
CN101489557B (zh) 2006-02-27 2013-12-18 弗特克斯药品有限公司 包含vx-950的共晶体和包含所述共晶体的药物组合物
WO2007109080A2 (en) 2006-03-16 2007-09-27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Deuterated hepatitis c protease inhibitors
EP2134717A2 (en) * 2007-02-27 2009-12-23 Vertex Pharmceuticals Incorporated Inhibitors of serine proteases
EP2463284A1 (en) * 2007-02-27 2012-06-13 Vertex Pharmceuticals Incorporated Co-crystal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ES2381410T3 (es) 2007-05-04 2012-05-28 Vertex Pharmceuticals Incorporated Terapia de combinación paa el tratamiento de infecciones por VHC
JP5443360B2 (ja) * 2007-08-30 2014-03-19 バーテッ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共結晶体およびそれを含む医薬組成物
JP5481880B2 (ja) * 2008-03-10 2014-04-23 東レ株式会社 電解質膜の製造方法
DE102009014906A1 (de) 2008-04-01 2009-10-15 Basf Se Polymerelektrolyte basierend auf Lewis-Säure modifizierten Imidazoliumsalzen
US7816482B1 (en) 2009-03-26 2010-10-19 Sandia Corporation Epoxy-crosslinked sulfonated poly (phenylene) copolymer proton exchange membranes
US8110636B1 (en) 2009-04-17 2012-02-07 Sandia Corporation Multi-block sulfonated poly(phenylene) copolymer proton exchange membranes
JP6008870B2 (ja) * 2010-12-12 2016-10-19 ベン‐グリオン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ザ ネゲヴ リサーチ アン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オーソリティ 陰イオン交換膜、その調製方法および用途
CN102728237A (zh) * 2012-06-20 2012-10-17 中国科学技术大学 均相阴离子交换膜及其制备方法
US10384167B2 (en) 2013-11-21 2019-08-20 Oasys Wate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osmotically driven membrane systems
EP2902431A1 (en) * 2014-02-04 2015-08-05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Polymer blends with high ion-exchange capacity and high ion-conductivity as well as methods for preparing the same
US9534097B2 (en) 2014-04-25 2017-01-03 Sandia Corporation Poly(phenylene alkylene)-based lonomers
US11236196B2 (en) 2014-11-18 2022-02-01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Polymer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CA2968110C (en) 2014-11-18 2023-10-10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Novel polymer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WO2018119020A1 (en) 2016-12-20 2018-06-28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Proton exchange membrane material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200238272A1 (en) 2017-07-06 2020-07-30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Ionic functionalization of aromatic polymers for ion exchange membranes
CN113366680B (zh) 2018-11-26 2024-06-07 伦斯勒理工学院 磷酸根阴离子-季铵离子对配位的聚合物膜
CN109810254A (zh) * 2019-01-18 2019-05-28 北京赛特超润界面科技有限公司 离子交联型聚醚醚酮-聚醚砜聚合物及其合成方法和薄膜及该薄膜在盐差发电中的应用
CN109860701B (zh) * 2019-02-15 2020-09-08 云南大学 一种用于锂离子电池的全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
BR112022010144A2 (pt) 2019-11-25 2022-09-06 Twelve Benefit Corp Conjunto de eletrodos de membrana para redução de cox
US11465139B2 (en) 2020-03-20 2022-10-11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Thermally stable hydrocarbon-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and ionomers
CN112510236B (zh) * 2020-11-30 2022-04-15 中国石油大学(北京) 质子交换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083032B (zh) * 2021-04-26 2022-10-28 贵州省材料产业技术研究院 一种荷正电共混超滤膜及其制备方法
CN113231442B (zh) * 2021-05-08 2022-05-24 南宁市城乡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基于离子交换与交联反应的铝尾矿渣改良方法
WO2024211793A2 (en) * 2023-04-07 2024-10-10 1S1 Energy, Inc. Conjugate acid proton exchange polym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conjugate acid proton exchange polymer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179A (en) 1974-07-11 1976-01-22 Daicel Ltd Sentakutokaseikobunshimakuoyobisono seizoho
US4444868A (en) * 1981-08-06 1984-04-24 Agency Of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Photosensitive composition
US4598137A (en) * 1984-11-30 1986-07-01 Canadian Patents And Development Limited Polyarylene polyethersulfone ionomers
CA1258736A (en) * 1985-10-29 1989-08-22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Preparation of substituted polysulfones by metalation
GB2216134B (en) * 1988-03-29 1992-08-12 Paterson Candy Int Membranes and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EP0506611A3 (en) * 1991-03-25 1993-04-21 Ciba-Geigy Ag Imino functional polyethers and their use
EP0574791B1 (de) 1992-06-13 1999-12-22 Aventis Research & Technologies GmbH & Co. KG Polymerelektrolyt-Membra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9632285A1 (de) * 1996-08-09 1998-02-19 Hoechst Ag Protonenleiter mit einer Temperaturbeständigkeit in einem weiten Bereich und guten Protonenleitfähigkeiten
DE19836514A1 (de) 1998-08-12 2000-02-17 Univ Stuttgart Modifikation von Engineeringpolymeren mit N-basischen Gruppe und mit Ionenaustauschergruppen in der Seitenke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3123C (zh) 2007-01-03
ES2237145T3 (es) 2005-07-16
ATE280795T1 (de) 2004-11-15
BR9912935B1 (pt) 2010-09-08
EP1105433B1 (de) 2004-10-27
DK1105433T3 (da) 2005-01-10
BR9912935A (pt) 2001-09-25
CA2338606A1 (en) 2000-02-24
EP1105433A1 (de) 2001-06-13
WO2000009588A1 (de) 2000-02-24
KR100649370B1 (ko) 2006-12-21
JP2002522607A (ja) 2002-07-23
AU771230B2 (en) 2004-03-18
IL141972A0 (en) 2002-03-10
IL141972A (en) 2008-06-05
ZA200102025B (en) 2002-02-13
DE19836514A1 (de) 2000-02-17
US6590067B2 (en) 2003-07-08
AU5621299A (en) 2000-03-06
AU2004200396A1 (en) 2004-02-26
US20020045729A1 (en) 2002-04-18
CN1312833A (zh) 2001-09-12
DE59910949D1 (de)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9370B1 (ko) 측쇄의 염기성 n기 및 이온교환기에 의한 엔지니어링고분자의개질
US8455557B2 (en) Membranes, coatings and film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US7132496B2 (en) Step-by-step alkylation of polymeric amines
JP6008870B2 (ja) 陰イオン交換膜、その調製方法および用途
CA2324963C (en) Engineering ionomer blends and engineering ionomer blend membranes
JP5209165B2 (ja) 複合イオン交換材料
US8710109B2 (en) Chemically resistant membranes, coatings and film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JP2003528187A (ja) イオン交換材料
KR20120006764A (ko) 양이온 교환기를 갖는 폴리(아릴렌에테르) 공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AU2005201750A1 (en) Step-by-step alkylation of polymeric Amines New Title: Crosslinked Acid-Base Membranes
JPH03115440A (ja) 複層陰イオン交換膜
IL195391A (en) Membranes, coatings and film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7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