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0239A - 반도체 기억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기억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70239A KR20010070239A KR1020000070644A KR20000070644A KR20010070239A KR 20010070239 A KR20010070239 A KR 20010070239A KR 1020000070644 A KR1020000070644 A KR 1020000070644A KR 20000070644 A KR20000070644 A KR 20000070644A KR 20010070239 A KR20010070239 A KR 200100702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e
- row
- signal
- address
- power supp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6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4
- BSYNRYMUTXBXSQ-UHFFFAOYSA-N Aspirin Chemical compound CC(=O)OC1=CC=CC=C1C(O)=O BSYNRYMUTXBXS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0—Decode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auxiliary circuits, e.g. defective refresh coun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9)
- 행 방향으로 소정수의 메모리 셀이 각각 접속된 복수의 워드선; 행 방향에 있는 상기 각 메모리 셀의 전류 경로를 소정의 행마다 접속하는 공통 전원선; 상기 각 워드선에 각각 접속되는 행 선택용 복수의 행 선택선; 및 상기 행 선택선을 선택하는 행 디코더를 포함한 반도체 기억 장치에 있어서,상기 각 공통 전원선과 전원간에 각각 접속되어, 통상 동작 모드 또는 테스트 모드의 전환을 지시하는 동작 모드 전환 신호가 테스트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행 디코더에 의해 상기 각 공통 전원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그 선택한 공통 전원선과 전원을 접속하는 동시에 나머지 공통 전원선과 전원간을 차단하며, 상기 동작 모드 전환 신호가 통상 동작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통 전원선의 모두를 전원에 접속하는 선택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각 공통 전원선과 전원간에 퓨즈를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행 방향으로 소정 수의 메모리 셀이 각각 접속된 복수의 워드선; 행 방향에 있는 상기 각 메모리 셀의 전류 경로를 소정의 행마다 접속하는 공통 전원선; 상기각 워드선에 각각 접속되는 행 선택용 복수의 행 선택선; 및 상기 행 선택선을 선택하는 행 디코더를 포함한 반도체 기억 장치에 있어서,테스트 모드 시에 상기 복수의 행 선택선 중 소정의 행 선택선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행 선택선에 대응하여 배치된 상기 공통 전원선을 전원에 접속하는 동시에, 나머지 공통 전원선과 전원간을 차단하는 테스트용 회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각 공통 전원선과 전원간에 퓨즈를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메모리 셀이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되고 또한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된 메모리 셀 어레이;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 내에 설치되어 상기 메모리 셀이 동일 행에 동수 접속된 복수의 워드선; 행을 선택하는 행 선택선과 블록을 선택하는 블록 선택선이 입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워드선 중 소정의 워드선을 선택하는 워드선 선택 회로; 행 방향에 있는 상기 각 메모리 셀의 전류 경로를 소정의 행마다 접속하는 공통 전원선; 및 행 어드레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행 선택선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행 디코더를 포함한 반도체 기억 장치에 있어서,상기 각 공통 전원선과 전원간에 각각 접속되어, 통상 동작 모드 또는 테스트 모드의 전환을 지시하는 동작 모드 전환 신호와 상기 행 디코더로부터 제공되는상기 선택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동작 모드 전환 신호가 테스트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선택 신호에 의해 상기 각 공통 전원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공통 전원선과 전원을 접속하는 동시에, 나머지 공통 전원선과 전원간을 차단하고, 상기 동작 모드 전환 신호가 통상 동작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통 전원선 모두를 전원에 접속하는 선택 수단; 및상기 동작 모드 전환 신호가 테스트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경우에 불량 셀 특정용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서 장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어드레스 출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행 디코더에 공급하는 행 어드레스 신호를 제어하는 어드레스 출력 제어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5항에 있어서,상기 불량 셀 특정용 제어는,상기 행 선택선 중 소정 갯수를 동시에 선택하여 얻어진 제1 대영역(大領域)과 그 나머지 제2 대영역에서 누설 전류치가 소정치보다도 큰 영역을 특정하고, 특정된 제1 또는 제2 대영역에서 또한 소정 갯수의 행 선택선을 동시에 선택하여 얻어진 제1 소영역(小領域)과 그 나머지 제2 소영역에서 누설 전류치가 소정치보다도 큰 영역을 특정하고,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 실행하여 누설 전류치가 소정치보다도 큰 행 선택선을 특정하는 제어이고,상기 어드레스 출력 제어 수단에 공급되는 상기 어드레스 출력 제어 신호는상기 불량 셀 특정용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행 어드레스 신호를 제어하여 상기 행 선택선을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상기 행 디코더의 설치수는 2n개로 하고,상기 어드레스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동작 모드 전환 신호가 통상 동작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2n개의 행 선택선 중 1개를 선택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2n개의 행 선택선 중 (2n/2m)개[m=1, 2, …, n]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2n개의 행 디코더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서, 2개의 출력단을 포함하는 어드레스 버퍼를 포함하고, 장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n개의 행 어드레스 신호를 n개의 상기 어드레스 버퍼의 입력단에 인가하는 구성으로 하고,상기 어드레스 출력 제어 수단은,상기 동작 모드 전환 신호가 통상 동작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n개의 어드레스 버퍼의 한쪽의 출력단에 행 어드레스 신호와 동상(同相)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출력단에 행 어드레스 신호와 역상(逆相)의출력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동작 모드 전환 신호가 테스트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어드레스 버퍼의 2개의 출력단 모두에 상기 행 어드레스 신호와 동상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5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상기 어드레스 출력 제어 신호는 이미 설치한 데이터 입출력용 단자에 인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5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상기 불량 셀 특정 제어에 의해서 누설 불량 셀이 특정된 경우에 그 누설 경로를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각 공통 전원선과 전원간에 각각 퓨즈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메모리 셀이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메모리 셀 어레이의 열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각 메모리 셀이 접속된 복수의 비트선과, 상기 복수의 비트선으로부터 소정의 비트선을 선택하는 열 선택 스위치를 포함한 반도체 기억 장치에 있어서,테스트 모드 시에 상기 각 비트선의 일단에 접속된 전원 라인으로부터 각 비트선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테스트 모드 전환 제어 수단; 및상기 테스트 모드 시에 소정의 비트선을 선택하여 상기 비트선에 대하여 테스트용 전원을 공급하는 테스트용 전원 공급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각 비트선과 그 일단에 접속된 전원 라인간에 각각 퓨즈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메모리 셀이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메모리 셀 어레이의 열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각 메모리 셀의 데이터 전송 게이트의 일단에 접속된 복수의 비트선; 열 어드레스 신호에 기초하여 열 선택선에 열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열 디코더; 상기 열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비트선으로부터 소정의 비트선을 선택하는 열 선택 스위치; 및 상기 열 선택 스위치를 통해 상기 각 비트선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데이터선을 포함한 반도체 기억 장치에 있어서,통상 동작 모드 또는 테스트 모드의 전환을 지시하는 동작 모드 전환 신호가 테스트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각 비트선의 일단에 접속된 전원 라인으로부터 각 비트선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테스트 모드 전환 제어 수단; 및상기 테스트 모드 시에 상기 열 선택 스위치에서 선택된 비트선의 누설 전류를 검지하기 위해, 상기 비트선에 대하여 상기 열 선택 스위치를 통해 테스트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테스트용 전원 단자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각 비트선의 일단에 각각 접속된 비트선 부하 수단, 비트선 풀 업 수단 및 비트선 이퀄라이즈 수단을 포함하고,상기 테스트 모드 전환 제어 수단은,상기 비트선 부하 수단, 상기 비트선 풀 업 수단 및 상기 비트선 이퀄라이즈 수단을 비활성화하여 상기 각 비트선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선에 접속된 데이터선 풀 업 수단 및 데이터선 이퀄라이즈 수단을 포함하고,상기 테스트용 전원 단자는 상기 데이터선 풀 업 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이고, 상기 테스트 모드 시에 상기 데이터선 풀 업 수단, 상기 데이터선 및 상기 열 선택 스위치를 통해 선택된 비트선의 누설 전류를 검지하기 위해 상기 전원 단자로부터 테스트용 전원을 공급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메모리 셀이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메모리 셀 어레이의 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각 메모리 셀의 데이터 전송 게이트의 일단에 접속된 복수의비트선; 열 어드레스 신호에 기초하여 열 선택선에 열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열 디코더; 상기 열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비트선으로부터 소정의 비트선을 선택하는 열 선택 스위치; 및 상기 열 선택 스위치를 통해 상기 각 비트선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데이터선을 포함한 반도체 기억 장치에 있어서,통상 동작 모드 또는 테스트 모드의 전환을 지시하는 동작 모드 전환 신호가 테스트 모드를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각 비트선의 일단에 접속된 전원 라인, 및 데이터선에 접속된 전원 라인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테스트 모드 전환 제어 수단; 및테스트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테스트용 전원 단자; 및상기 테스트용 전원 단자와 접지간에 접속되어, 상기 테스트 모드 시에 상기 열 선택 스위치에서 선택된 비트선만에 대해서, 상기 비트선의 누설 전류를 검지하기 위해 상기 테스트용 전원을 공급하는 비트선 누설 부하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3항, 제14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상기 동작 모드 전환 신호가 테스트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경우에, 불량 비트선 특정용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서 장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어드레스 출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열 디코더에 공급하는 열 어드레스 신호를 제어하는 어드레스 출력 제어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불량 비트선 특정용 제어는,상기 열 선택선 중 소정 갯수를 동시에 선택하여 얻어진 제1 대영역과 그 나머지 제2 대영역에서 누설 전류치가 소정치보다도 큰 영역을 특정하고, 특정된 제1 또는 제2 대영역에서 또한 소정 갯수의 열 선택선을 동시에 선택하여 얻어진 제1 소영역과 그 나머지 제2 소영역에서 누설 전류치가 소정치보다도 큰 영역을 특정하며,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 실행하여 누설 전류치가 소정치보다도 큰 열 선택선을 특정하는 제어이고,상기 어드레스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불량 비트선 특정용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 열 어드레스 신호를 제어하여 상기 열 선택선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열 디코더의 설치수는 2n개이고, 그 출력의 상기 열 선택선의 갯수는 2n개로 하고,상기 어드레스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동작 모드 전환 신호가 통상 동작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2n개의 열 선택선 중 1개를 선택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2n개의 열 선택선 중 (2n/2m)개[m=1, 2…,n]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2n개의 열 디코더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서, 2개의 출력단을 갖는 어드레스 버퍼를 포함하고, 장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n개의 열 어드레스 신호를 n개의 상기 어드레스 버퍼의 입력단에 인가하는 구성으로 하고,상기 어드레스 출력 제어 수단은,상기 동작 모드 전환 신호가 통상 동작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n개의 어드레스 버퍼의 한쪽의 출력단에 열 어드레스 신호와 동상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출력단에 열 어드레스 신호와 역상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동작 모드 전환 신호가 테스트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어드레스 버퍼의 2개의 출력단 모두에 상기 열 어드레스 신호와 동상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상기 어드레스 출력 제어 신호는 이미 설치한 데이터 입출력용 단자에 인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상기 불량 비트선 특정 제어에 의해서 누설 불량 비트선이 특정된 경우에 그 누설 경로를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각 비트선과 그 일단에 접속된 전원 라인간에 각각 퓨즈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동작 모드 전환 신호가 테스트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경우에, 불량 비트선 특정용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서 장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어드레스 출력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열 디코더에 공급하는 열 어드레스 신호를 제어하는 어드레스 출력 제어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어드레스 출력 제어 신호는 이미 설치한 데이터 입출력용 단자에 인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불량 비트선 특정 제어에 의해서 누설 불량 비트선이 특정된 경우에 그 누설 경로를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각 비트선과 그 일단에 접속된 전원 라인간에 각각 퓨즈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불량 비트선 특정 제어에 의해서 누설 불량 비트선이 특정된 경우에 그 누설 경로를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각 비트선과 그 일단에 접속된 전원 라인간에 각각 퓨즈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어드레스 출력 제어 신호는 이미 설치한 데이터 입출력용 단자에 인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불량 셀 특정 제어에 의해서 누설 불량 셀이 특정된 경우에 그 누설 경로를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각 공통 전원선과 전원간에 각각 퓨즈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 제9항에 있어서,상기 불량 셀 특정 제어에 의해서 누설 불량 셀이 특정된 경우에 그 누설 경로를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각 공통 전원선과 전원간에 각각 퓨즈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999-334971 | 1999-11-25 | ||
JP33497199 | 1999-11-25 | ||
JP2000-287191 | 2000-09-21 | ||
JP2000287191A JP2001216799A (ja) | 1999-11-25 | 2000-09-21 | 半導体記憶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70239A true KR20010070239A (ko) | 2001-07-25 |
KR100402041B1 KR100402041B1 (ko) | 2003-10-17 |
Family
ID=3658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70644A Expired - Fee Related KR100402041B1 (ko) | 1999-11-25 | 2000-11-25 | 반도체 기억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6529438B1 (ko) |
JP (1) | JP2001216799A (ko) |
KR (1) | KR100402041B1 (ko) |
TW (1) | TW518746B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30165A (ko) * | 2001-10-09 | 2003-04-18 | 동부전자 주식회사 | 메모리 디바이스의 전원 불량 테스트 장치 |
KR100442148B1 (ko) * | 2002-08-09 | 2004-07-27 | 동부전자 주식회사 | 반도체 장비에서의 누전 셀 검출장치 |
US8422328B2 (en) | 2009-01-05 | 2013-04-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voltage supply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82937B2 (ja) * | 2001-03-27 | 2011-09-28 | 株式会社東芝 | 半導体記憶装置 |
JP3644913B2 (ja) * | 2001-07-23 | 2005-05-11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半導体装置 |
US6813579B1 (en) * | 2001-12-14 | 2004-11-02 | Cirrus Logic,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 mode control |
US7188263B1 (en) * | 2003-05-07 | 2007-03-06 | Nvid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state of a multi-lane serial bus link having a plurality of state transition detectors wherein powering down all the state transition detectors except one |
KR100505711B1 (ko) * | 2003-09-30 | 2005-08-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칼럼 선택 신호 제어 방법 및 칼럼 선택 신호 제어 회로 |
US7369452B2 (en) * | 2006-04-07 | 2008-05-06 | Freescale Semiconductor, Inc. | Programmable cell |
JP2009266317A (ja) * | 2008-04-25 | 2009-11-12 | Elpida Memory Inc |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データ縮約テスト方法 |
JP2011134386A (ja) * | 2009-12-24 | 2011-07-07 | Elpida Memory Inc | 半導体装置 |
WO2013179593A1 (ja) * | 2012-05-29 | 2013-12-05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半導体記憶装置を搭載した半導体装置 |
KR102651706B1 (ko) * | 2017-01-09 | 2024-03-28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라인 결함 검출 회로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45598A (ja) * | 1997-07-25 | 1999-02-16 | Nec Corp | 半導体記憶装置 |
JPH11154400A (ja) * | 1997-11-21 | 1999-06-08 | Toshiba Corp |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テスト方法 |
JP3309822B2 (ja) * | 1999-01-12 | 2002-07-29 | 日本電気株式会社 |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試験方法 |
-
2000
- 2000-09-21 JP JP2000287191A patent/JP2001216799A/ja active Pending
- 2000-11-18 TW TW089124473A patent/TW518746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11-22 US US09/722,195 patent/US652943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11-25 KR KR10-2000-0070644A patent/KR100402041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30165A (ko) * | 2001-10-09 | 2003-04-18 | 동부전자 주식회사 | 메모리 디바이스의 전원 불량 테스트 장치 |
KR100442148B1 (ko) * | 2002-08-09 | 2004-07-27 | 동부전자 주식회사 | 반도체 장비에서의 누전 셀 검출장치 |
US8422328B2 (en) | 2009-01-05 | 2013-04-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voltage supply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02041B1 (ko) | 2003-10-17 |
US6529438B1 (en) | 2003-03-04 |
JP2001216799A (ja) | 2001-08-10 |
TW518746B (en) | 2003-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46429A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a redundancy circuitry for repairing a defective memory cell and a method for repairing a defective memory cell | |
KR0158484B1 (ko) |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의 행리던던씨 | |
US4556975A (en) | Programmable redundancy circuit | |
US4672240A (en) | Programmable redundancy circuit | |
JP2629645B2 (ja) | 半導体記憶装置 | |
US5388076A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US5485424A (en) | Semiconductor memory and redundant-address writing method | |
KR0177740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던던시 회로 및 그 방법 | |
KR100402041B1 (ko) | 반도체 기억 장치 | |
KR0161343B1 (ko) | 용장메모리셀을 가지는 반도체기억장치 | |
JPH0358399A (ja) | 半導体記憶装置 | |
US5703816A (en) | Failed memory cell repair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 |
US5706231A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redundant memory cell | |
US7218558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having column redundancy circuits therein that support multiple memory blocks | |
US6731561B2 (en) | Semiconductor memory and method of testing semiconductor memory | |
US6269033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redundancy unit for data line compensation | |
US5923672A (en) | Multipath antifuse circuit | |
US7903482B2 (en) |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and memory cell test method | |
US7095642B1 (en) | Method and circuit for reducing defect current from array element failures in random access memories | |
US20110134707A1 (en) | Block isolation control circuit | |
US6545920B2 (en) | Defective address storage scheme for memory device | |
KR100390146B1 (ko) | 번-인 테스트 기능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US7546491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standby current failure judging function and method for judging standby current failure | |
KR100246182B1 (ko) | 메모리 셀 리페어 회로 | |
KR0166496B1 (ko) | 반도체 기억소자의 리던던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310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9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9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