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30434A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434A
KR20010030434A KR1020000054858A KR20000054858A KR20010030434A KR 20010030434 A KR20010030434 A KR 20010030434A KR 1020000054858 A KR1020000054858 A KR 1020000054858A KR 20000054858 A KR20000054858 A KR 20000054858A KR 20010030434 A KR20010030434 A KR 20010030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assembly
connector
lever
connector housing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캐슬안토니이.
험프리데이빗티.
Original Assignee
조셉 에스. 로마나우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셉 에스. 로마나우,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조셉 에스. 로마나우
Publication of KR20010030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43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 조립체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레버와, 상기 레버에 미끄럼가능하게 부착된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결합 및 분리 모드에서 결합 커넥터 조립체와 미끄럼가능하게 결합 및 분리된다. 각각의 레버는 결합 및 분리 모드에서 결합 커넥터 조립체와 결합 및 분리된다. 슬라이더는 로킹 모드에서 레버가 결합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위치로 이동가능하며, 언로킹 모드에서 레버가 결합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분리되도록 제 2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에 유용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암형 커넥터 조립체와 수형 커넥터 조립체를 결합하는 것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와이어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와이어링 하네스를 포함한다. 각각의 하네스는 하네스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된 각각의 접점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많은 도전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네스 커넥터 하우징과 이에 내장된 다수의 접점은 각각의 헤더 커넥터 하우징과 이에 내장된 접점과 결합된다. 이러한 용도에서는 커넥터 조립체를 한정된 공간을 허용하는 영역에 장착하거나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커넥터 조립체의 요구사항으로 인해, 이것은 달성하기가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커넥터로서의 기능과 함께, 커넥터 조립체는 결합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가 불시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넥터 위치 보장 장치(CPA)를 사용할 것이 요구된다. 또한, 커넥터 조립체는 사용하기가 쉽고 상호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모든 바는 강도와 신뢰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달성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요구사항은 커넥터 조립체가 필요로 하는 것보다 훨씬 대형일 것과 복잡해질 것을 요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한된 공간을 허용하는 영역에 장착되거나 위치될 수 있으며 사용이 쉽고 결합된 커넥터 조립체에 대해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한된 공간을 허용하는 영역에 장착되거나 위치될 수 있으며 CPA 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도와 신뢰성이 보장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에 적어도 하나이상 부응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모든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결합 모드 및 분리 모드에서 결합된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분리 및 미끄럼결합가능한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므로써 상술한 목적과 기타 다른 목적을 달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레버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부착되며, 제 1 단부와 이와 대향인 제 2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단부는 결합 및 분리 모드에서 결합된 커넥터 조립체를 분리 및 결합시킨다. 슬라이더는 상기 레버에 미끄럼가능하게 부착되어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를 미끄러진다. 상기 슬라이더는 로크 모드에서는 레버가 결합된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위치에 대해 제 1 방향으로 미끄러지며, 언로크 모드에서는 결합된 커넥터 조립체로부터의 레버 분리를 제공하기 위해 레버를 피봇하기 위한 압력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제 2 위치에 대한 대향의 제 2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결합중인 헤더 커넥터 조립체와 결합된 본 발명의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에 부착된 레버와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의 레버에 부착된 슬라이더 형태의 사시도.
도 4 는 결합중인 헤더 커넥터 조립체에 대해 분리된 도 1 에 도시된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
도 5 는 도 1 에 도시된 형태의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은 도 6 의 하네스 커넥터의 레버에 부착된 형태의 슬라이더의 사시도.
도 8 은 도 6 에 도시된 형태의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의 사시도.
도 9 는 와이어의 직각 출구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스트레인 해제 부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20) 22 : 헤더 커넥터 조립체
24 : 램프 26 : 커넥터 하우징
34, 40 : 레버 70, 72 : 슬라이더
74 : 핑거 패드 76 : 베이스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레버가 부착된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각각의 레버는 제 1 단부와 이와 대향하는 제 2 단부를 포함한다. 슬라이더는 각각의 레버에 부착되어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로 미끄러진다.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의 커넥터 하우징은 결합 및 분리 모드에서 결합중인 커넥터 조립체와 미끄럼 결합 및 분리가능하다. 커넥터 하우징에 부착된 각 레버의 제 1 단부는 결합 모드 및 분리 모드에서 결합중인 커넥터 조립체를 분리 및 결합시킨다. 상기 슬라이더는 로크 모드에서는 레버가 결합된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위치에 대해 한쪽 방향으로 미끄러지며, 언로크 모드에서는 결합된 커넥터 조립체로부터의 레버 분리를 제공하기 위해 레버를 피봇하기 위한 압력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제 2 위치에 대해 대향의 다른쪽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제한없이,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차량용 와이어링 시스템에 사용된 형태의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일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와이어링 시스템에서는 종래 와이어링 하네스를 형성하는 다양한 번들의 와이어가 종래 방식으로 하네스 커넥터 하우징에서 각각의 접점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하네스 커넥터 하우징과 접점은 헤더 커넥터 하우징 형태로 각각의 결합중인 커넥터하우징과 헤더 커넥터 조립체의 접점에 연결된다. 헤더 커넥터 조립체의 접점은 전형적으로 회로판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은 회로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도 1 은 결합중인 커넥터에 미끄럼가능하게 결합된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1 은 결합중인 헤더 커넥터 조립체(22)와 미끄럼가능하게 결합된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20)를 도시하고 있다. 램프(24)는 헤더 커넥터 조립체(22)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부착된다. 헤더 커넥터 조립체(22)와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20)의 접점(도시않음)은 종래 방식에 따라 서로 결합된다.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20)의 접점은 전형적인 와이어링 하네스를 형성하는 각각의 도전체(도시않음)에 종래 방식으로 연결된다. 헤더 커넥터 조립체(22)에서의 접점은 종래 방식에 따라 인쇄회로(도시않음)와 같은 회로에 연결된다. 도 1 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20)는 결합 모드 및 분리 모드에서 결합중인 헤더 커넥터 조립체(22)의 커넥터 하우징(28)과 미끄럼가능하게 결합 및 분리된다.
도 2 는 탄성 레버가 부착된 도 1 의 커넥터 하우징(26)을 도시하고 있다. 특히, 제 1 탄성 레버(34)는 커넥터 하우징(26)에 부착된다. 상기 레버(34)는 제 1 단부(36)와 대향의 제 2 단부(38)를 포함한다. 제 2 레버(40)는 커넥터 하우징(26)에 부착된다. 상기 레버(40)는 제 1 단부(42)와 대향의 제 2 단부(44)를 포함한다. 레버(34, 40)의 단부(36, 42)는 하기에 서술되는 바와 같이 결합 및 분리 모드에서 커넥터 조립체(22)와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버(34, 40)는 전방 단부(54)와 대향의 후방 단부(56) 사이에서 하우징의 각각의 측부(50, 52)로부터 연장되는 각각의 비임쌍(46, 48)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26)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부착된다. 레버(34, 40)의 제 1 단부(36, 42)는 전방 단부(54)를 향해 연장되며, 제 2 단부(38, 44)는 상기 전방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도 2 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레버(34, 40)는 각각의 단부(36, 42)를 향해 캔틸레버된 제 1 길이부(58, 60)와, 각각의 단부(38, 44)를 향해 캔틸레버된 제 2 길이부(62, 64)의 쌍을 포함한다. 하우징(26)의 측부(52, 50)에 레버(34, 40)를 위치시키는 것은 커넥터 조립체의 매우 낮은 형태의 상부 및 바닥부를 허용한다. 하우징(26)은 종래 방식에 따라 하우징에 내장된 접점과의 연결을 위해 도전체가 삽입되는 개구(66, 68)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탄성 레버에 부착된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3 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레버(34, 40)에 미끄럼가능하게 부착된 2개의 슬라이더(70, 72)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슬라이더는 논슬립 홈(non-slip groove)과 파지 용이부를 포함하는 핑거 패드(74)를 포함한다. 상기 핑거 패드(74)는 축받이(78)에 의해 베이스(76)에 연결된다. 상기 축받이(78)는 레버(34)의 슬롯(80, 82)에 삽입되는 칫수를 가지므로, 상기 레버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 패드(74)의 바닥과 베이스(76)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각각의 슬롯(80, 82)을 따라 방향(84, 86)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슬라이더(70, 72)의 각각의 측부(88, 90)는 접합면(92)을 포함하며, 레버 길이(62, 64)는 결합 접합면(94)의 쌍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34, 40)와 슬라이더(70, 72)는 접합면(92)이 캠형성되거나 결합 접합면(94)의 아래로 스냅될 때까지 각각의 축받이(78)를 방향(84)으로 삽입하므로써 레버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라이더가 각각의 레버에 부착될 때는 슬라이더가 방향(86)으로 이동시 접합면(92)과 결합 접합면(94)의 결합에 의해 슬롯으로부터의 슬라이더의 제거가 방지된다.
각각의 슬라이더(70, 72)는 커넥터 위치 보장 장치(CPA)로서 작용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더(70, 72)는 로크 모드에서는 레버(34, 40)를 정위치에 로크하기 위해 방향(84)으로 미끄러지며, 언로크 모드에서는 레버를 언로크하기 위해 방향(86)으로 미끄러진다. 슬라이더가 로크 모드에 머무르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부가적인 안전 장치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커넥터 하우징(20)은 래치 부재를 가지며, 각각의 슬라이더는 결합 래치 부재를 갖는다. 제한없이, 커넥터 하우징(20)의 래치 부재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6)의 각각의 측부(50, 52)에 부착된 오목부(96)의 형태를 취하며, 슬라이더(70, 72)의 결합 래치 부재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76)의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딤플(98)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오목부(96)와 딤플(98)은 사용자가 방향(86)으로 힘을 가하여 딤플과 오목부와의 결합을 해제할 경우 로크 모드로부터 용이하게 이동하므로써 언로그 모드에서는 슬라이더(70, 72)의 미끄러짐을 허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오목부(96)와 딤플(98)은 슬라이더(70, 72)의 불시 이동을 방지하도록 제거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필요할 경우 사용자가 슬라이더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사용시, 정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는 접합면(92)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면(92)이 각가의 접합면(94)과 결합될 때까지 슬라이더(70, 72)의 각각의 핑거 패드(74)를 엄지와 집게 손가락 사이에 파지하여 슬라이더를 방향(86)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가 이러한 위치에 있을 때, 본 발명의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20)는 헤더 커넥터 조립체(22)와 미끄럼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엄지와 집게 손가락 사이에 각각의 핑거 패드(74)를 파지하여, 하네스 커넥터 하우징(26)을 헤더 커넥터 하우징(28)에 삽입하기 위해 종래 방식으로 커넥터 조립체(20)를 방향(30)으로 가압하므로써 헤더 및 하네스 커넥터 하우징의 접점들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미끄럼 결합중, 탄성 레버(34, 40)의 단부(36, 42)는 하우징(28)의 각각의 돌출부(100, 102)와 결합하여, 각각의 면(104, 106)에 의해 자동으로 캠동작된다. 접점이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레버(34, 40)는 결합 모드에서 레버의 면(108, 110)이 돌출부(100, 102)의 접합면과 결합하여 하우징(26, 28)을 정위치에 자동으로 조이도록 그 이완 방향으로 복귀될 것이다.
그후, 사용자는 오목부(96)와 딤플(98)이 언로킹 모드에서 결합될 때까지 슬라이더(70, 72)를 방향(84)으로 가압한다. 슬라이더(70, 72)의 이러한 이동은 결합 커넥터 하우징(28)과 결합되었을 때 커넥터 하우징(26)이 이동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더(70, 72)는 로킹 모드에서 레버면(108, 110)이 접합면(112, 114)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레버(34, 40)의 피봇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레버 단부(38, 44)의 하향 피봇 이동을 방지하도록 베이스(76)의 바닥(116)은 돌출부(148, 148')와 결합하며, 베이스(76)의 상부(117)는 레버(34, 40)의 길이부(58, 60)와 결합하므로써 레버 단부(36, 42)의 하향 피봇 이동을 방지하여 레버 단부가 돌출부(100, 102)를 분리시킨다.
하네스 및 헤더 커넥터 조립체(20, 22)를 분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때, 사용자는 오목부(96)와 딤플의 결합을 극복하도록 핑거 패드(74)를 파지하여 슬라이더(70, 72)를 방향(86)으로 가압하므로써 접합면(92)이 각각의 접합면(94)과 결합할 때까지 슬라이더를 방향(86)으로 이동시킨다. 그후, 사용자는 레버(34, 40)의 길이부(62, 64)의 쌍을 서로를 향해 피봇시키기 위해 슬라이더(70, 72)의 핑거 패드(74)를 대향의 압력 포인트로 사용하므로써, 길이부(58, 60)를 서로를 향해 상향으로 피봇하여 언로킹 모드에서 접합면(112, 114)으로부터 면(108, 110)의 분리를 제공하게 된다. 그후, 사용자는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20)를 방향(32)으로 당겨 분리 모드에서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와 헤더 커넥터 조립체(22)를 분리시킨다. 2개의 레버(34, 40)와 대향의 핑거 패드(74)의 사용에 의해 커넥터 조립체(20)의 신뢰성과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스퀴즈(squeeze)" 해제 동작은 종래기술에서처럼 대향의 래치상에서 외측으로 상승 또는 견인 동작을 필요로 하는 래치 해제보다 인체공학적으로 보다 유리하다.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그 후방 단부에서 커넥터 하우징과 해제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는 연장가능한 도전체의 길이부에 스트래들 미끄럼 결합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넥터 조립체(20)는 후방 단부(56)에서 커넥터 하우징(26)과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118)를 포함한다. 도 5 에는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18)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5 에 도시된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118)는 2쌍의 아치부(120, 120')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의 쌍은 아치부(122, 122')와 대면하여 각각의 개구(124, 126)를 제공하며 도 2 에 도시된 관형부(128, 130)와 결합하여 접점을 트랩하므로써 도전체를 지지한다. 특히, 아치부(120, 120')는 관형부재(128, 130)의 외측면과 결합하며, 아치부(122, 122')는 관형부재(128, 130)의 개구(66, 68)내로 연장된다. 도 4 는 이러한 방식으로 커넥터 하우징에 연결된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118)를 도시하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과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 사이의 제거가능한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도전체 하우징은 래치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는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대향의 래치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넥터 하우징(26)은 측부(50, 52) 사이에서 연장되는 대향의 바닥부(134)와 상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132)는 래치 요소(136)를 포함하며, 바닥부(134)도 상기 래치 요소(136)를 포함한다(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 도 5 에 있어서,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118)는 대향의 탄성 래치 요소(138)를 포함한다. 사용시, 각각의 도전체(도시않음)는 개구(124, 126)를 통해 관형 부재(128, 130)의 개구(66, 68)내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26)에 수용된 접점에 연결된다. 도전체에 대한 스트레인 해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118)는, 아치부(120, 120', 122, 122')가 각각의 관형부(128, 130)와 완전히 결합될 때까지 래치 요소(136)가 서로에 대해 각각의 결합 래치 요소(138)와 캠동작되도록 방향(84)으로 가압된다. 이러한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결합 래치 요소(138)는 결합 래치(138)의 면(140)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요소(136)의 각각의 접합면(142)에 대해 정위치에 스냅되도록 그 이완 방향으로 복귀되어, 도전 스트레인 해제 부재(118)를 커넥터 하우징(26)에 대해 정위치에 지지할 것이다. 스트레인 해제는 접점과 엘라스토머 밀봉부를 트랩하므로써 제공되며, 상기 밀봉부는 아치부(122, 122')에 의해 관형부재(128, 130)의 개구(66, 68)에 삽입된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넥터 조립체는 2개의 대향 레버(34, 40)를 가지며, 이들 각각은 이에 미끄럼가능하게 부착된 슬라이더(70, 72)를 갖는다. 도 6 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200)는 하나의 레버(202)와 하나의 슬라이더(204)를 갖는다. 상기 슬라이더(204)는 슬라이더(70, 72)가 각각의 레버(34, 40)에 부착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레버(202)에 부착되어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커넥터 조립체(200)는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낮은 프로필과 단순성과 강도를 제공하며, 소형 하네스 용도에 특히 적합하다. 이를 위해, 커넥터 조립체(200)는 폭 및/또는 높이에서 매우 낮은 프로필을 갖는 헤더 커넥터 조립체를 수용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이러한 특징은 매우 작은 영역에 장착되는 일부 차량용 램프에 특히 유용하다.
사용시,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200)는 슬라이더(204)를 언로크 모드에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206)으로 이동시켜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200)를 가압하여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로 서술한 바와 같이 헤더 커넥터 조립체와 결합시키므로써 헤더 커넥터 조립체와 미끄럼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네스와 헤더 커넥터 조립체가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레버(202)의 단부(208)는 결합 모드에서 레버(345, 40)의 단부(36, 42)가 도 4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돌출부(100, 102)와 결합되는 방식으로 헤더 커넥터 조립체의 돌출부와 결합되기 위해 복귀될 것이다. 그후, 슬라이더(204)는 방향(210)으로 로크 위치로 이동하여 레버(202)의 피봇을 방지하고, 상술한 도 1 내지 도 5 의 실시예에 대해 서술한 로크 모드와 유사한 로크 모드에서 단부(208)가 돌출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 에는 슬라이더(204)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204)는 홈이 형성된 핑거 패드(212)를 포함한다. 상기 핑거 패드(212)는 슬라이더(70, 72)의 핑거 패드(74)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한다. 슬라이더(204)는 도 6 에 도시된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200)의 커넥터 하우징(218)에서 오목부(216)와 결합하는 딤플(214)을 포함한다. 슬라이더(204)가 방향(210)으로 이동하여 로크 모드가 되었을 때, 딤플(214)은 오목부(216)와 결합하여 슬라이더를 로크 모드에서 레버(202)에 대해 정위치에 지지한다.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핑거 패드(212)의 상부면(220)은 커넥터 하우징(218)의 후방 단부(222)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며, 면(224)은 전방 단부(226)을 향해 대면한다. 이와는 반대로, 핑거 패드(70, 72)의 상부면(228)은 커넥터 조립체(26)의 전방 단부(54)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며, 면(230)은 후방 단부(56)와 대면한다. 헤더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200)의 분리는 도 1 내지 도 5 의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실행된다. 특히, 사용자는 슬라이더(204)를 방향(206)으로 가압하여 커넥터 하우징(218)에서 딤플(214)과 오목부(216)의 결합을 극복하므로써, 슬라이더를 도 6 에 도시된 언로킹 모드로 이동시킨다. 그후, 사용자는 분리 모드에서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200)를 헤더 커넥터 조립체로부터 잡아당겨 이들을 서로 분리시킨다.
도 6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넥터 하우징(218)은 상부(232)와, 이와 대향인 바닥부(234)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202)는 도 1 내지 도 5 의 실시예의 레버(34, 40)가 커넥터 하우징(26)의 각각의 측부(52, 50)에 피봇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부(232)로부터 피봇된다. 이러한 배치는 매우 협소한 폭을 갖는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며, 레버는 측부가 아닌 상부에 배치되게 된다.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200)는 도 1 내지 도 5 의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118)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되는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6 은 후방단부에서 커넥터 하우징(218)과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236)를 도시하고 있다. 도 8 에는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236)가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236)는 개구(242, 244)를 제공하여 커넥터 하우징(218)의 각각의 관형부(246, 248)와 결합하도록 배치된 비임(240, 240')과 아치부(238, 238')를 포함한다. 특히,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임(240, 240')은 관형부가 서로 인접한 관형부(246, 248)를 파지하거나 이와 결합하며, 아치부(238, 238')는 관형부재(246, 248)의 개구로 연장된다.
커넥터 하우징과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 사이에 제거가능한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래치 요소를 포함하며,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는 서로 결합되도록 배치되어 대향의 래치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8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넥터 하우징(218)은 측부(250)와, 상부(232)와 바닥부(234) 사이로 연장되는 대향의 측부(252)를 포함한다. 상기 측부(250)는 래치 요소(254)를 포함하며, 측부(252)는 동일한 래치 요소(254)(도면에는 보이지 않음)를 포함한다. 도 8 에 있어서,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는 대향의 탄성 래치 요소(256)를 포함한다. 사용시, 각각의 도전체(도시않음)는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236)의 개구(242, 244)를 통해 관형부재(246, 248)내로 연장되어, 하우징(218)내에 수용된 접점에 연결된다. 도전체를 위한 스트레인 해제를 제공하기 위해,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236)가 방향(210)으로 가압되므로, 래치 요소(254)는 아치부(238, 238')가 완전히 내부에 있게 될 때까지 서로에 대해 각각의 결합 래치 요소(256)와 캠동작되며, 비임(240, 240')은 각각의 관형부(246, 248)와 결합된다. 이와 같은 삽입과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결합된 래치 요소(256)는 그 정상 위치로 복귀되므로, 각각의 결합 요소(256)의 면(258)은 래치 요소(254)의 각각의 접합면(260)에 대해 정위치에 스냅되어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236)를 커넥터 하우징(218)에 대해 정위치에 지지한다. 스트레인 해제는 도 1 내지 도 5 의 실시예에서처럼 아치부(238, 238')가 구비된 관형부(246, 248)의 개구내로 삽입되는 와이어 도전체에 크림프된 엘라스토머 밀봉부와 접점을 트랩핑하므로써 제공된다.
도 9 는 본 발명의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3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스트레인 해제 부재(300)는 도 5 의 실시예의 아치부(120, 120')와 마찬가지로 베이스(210)로부터 연장되는 아치부의 쌍(302, 304 : 306, 308)을 포함한다. 2개의 아치부(312, 314)는 베이스(210)로부터 연장된다. 베이스(210)에는 2개의 채널(316, 318)이 제공되어 각각의 단부(320, 322)로부터 대향의 단부(324, 326)로 연장된다. 채널(316, 318)의 베이스(328, 330)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스트레인 해제 부재(300)는 도 5 의 래치 요소(138)와 마찬가지로 베이스(310)로부터 연장되는 탄성 래치 요소(332)를 부가로 포함한다. 채널(316, 318)과 아치부(312, 314)는, 그 내부로 삽입되어 가상선(334, 33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90°로 굴곡된다. 도전체 해제 부재(300)는, 도 1 내지 도 5 의 실시예의 하우징(26)의 관형부(128, 130)처럼 커넥터 하우징의 관형부내로 아치부(312, 314)를 삽입하므로써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에 부착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래치 요소(332)는 하우징(26)의 결합 래치 요소(136)와 같은 결합 래치 요소와 결합되도록 배치된다.
사용시, 도전체(334, 336)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레인 해제 부재에 90°로 삽입된 후, 아치부(312, 314)가 관형부(128, 130)의 개구(66, 68)내로 삽입되므로써, 아치부(312, 또는 314)내에 배치된 각 도전체(334, 336)의 길이부는 관형부(128, 130)의 아치부(144, 146) 및 아치부(312, 314)의 각각의 오목면(338, 340 : 312, 314) 사이에 샌드위치된다. 접점 유지 스트레인 해제는, 도 1 내지 도 5 의 실시예에서처럼 아치부(238, 238')가 구비된 관형부(246, 248)의 각각의 개구에 삽입된 와이어 도전체에 크림프된 엘라스토머 밀봉부와 접점을 트랩핑하므로써 제공된다.
모든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118, 236, 300)에 있어서, 이들 각각은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의 과응력 보호를 위한 장벽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 접합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스트레인 해제 부재(118)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4, 40)의 길이부(62, 64)의 서로를 향한 피봇 이동을 제한하는 평탄면(118')을 포함한다. 스트레인 해제 부재(300)도 이와 유사한 평탄면(300')을 포함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6 및 도 8 에 도시된 스트레인 해제 부재(236)는 비임에 인접한 레버(202)의 세그먼트의 하향 피봇 운동을 제한하는 비임(240)에 의해 제공된 평탄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종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예를 들어, 레버가 부착된 커넥터 하우징과 슬라이더와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는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될 수도 있다. 필요할 경우, 직선 드로잉 주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사용이 용이하며 커넥터 조립체의 언로킹 및 분리와 결합 및 로킹의 신뢰성이 양호한 컴팩트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에 특히 유용하다. 이러한 하네스 커넥터 조립체는 차량용에 유용하며, 모듈 하네스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헤드램프의 크기에 관계없이 헤드램프 헤더 커넥터 조립체와 함께 헤드램프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로 사용될 수 있다. 간단하고 효과적이며 컴팩트한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크기에 관계없이 광범위한 커넥터 용도에 적합하게 하며, 현존의 많은 커넥터 조립체를 대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CPA 로킹 특성이 부가된 소형 크기는 커넥터 조립체를 한정된 공간 영역에 커넥터 조립체를 위치시킬 필요가 있을 때 안전 특성을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슬라이더형 CPA 는 다기능으로 작동된다. 특히, 결합된 커넥터 조립체에 대한 로킹 기구를 제공하는 동시에, 슬라이더는 사용자 손가락에 안락한 압력 포인트를 제공하며, 용이한 파지 형태를 갖고 있으므로 슬라이더의 작동을 촉진시킨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실시예는 커넥터 하우징의 대향측에 위치된 2개의 대향 레버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이러한 레버는 필요할 경우 커넥터 조립체의 상부 및 바닥부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6 내지 도 8 에 도시된 실시예는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에 단일 레버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이러한 레버도 바닥부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레버에 대한 다른 방향 및 위치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17)

  1. 결합 및 분리 모드에서 커넥터 조립체와 미끄럼가능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피봇가능하게 부착되고 제 1 단부와 이와 대향하는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레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버에 미끄럼가능하게 부착되고 제 1 단부와 제 2 단부 사이에서 미끄러지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부는 결합 모드 및 분리 모드에서 결합 커넥터 조립체와 분리 및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로킹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레버가 결합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방향의 제 1 위치로 미끄러지며 언로킹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버를 피봇하여 레버가 결합 커넥터로부터 분리되도록 대향의 제 2 방향의 제 2 위치로 미끄러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래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결합 래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 부재는 로킹 모드에서 결합 래치 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는 로킹 모드에서 결합 래치 부재와 제거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버는 커넥터 하우징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서 커넥터 하우징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전방 단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 2 단부는 후방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핑거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단부에서 커넥터 하우징과 제거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는 접점을 여유있게 트랩핑하므로써 래치된 접점 지지부의 스트레인 해제를 실행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하우징은 제 1 래치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는 각각의 제 1 래치 요소와 결합하도록 배치된 제 2 래치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부와 이와 대향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버는 상부와 바닥부중 한쪽에 피봇되며, 제 1 단부를 향해 캔틸레버된 제 1 길이부와 제 2 단부를 향해 캔틸레버된 제 2 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제 1 측부와 이와 대향하는 제 2 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버는 제 1 측부 및 제 2 측부에 피봇된 제 1 레버와 제 2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레버와 제 2 레버는 제 1 단부를 향해 캔틸레버된 제 1 길이부와 제 2 단부를 향해 캔틸레버된 제 2 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는 커넥터 하우징의 각각의 외측면 세그먼트와 결합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제 1 부분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각각의 내측면 세그먼트와 제 2 부분 사이에서 각각의 접점이나 접점 밀봉부와 결합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 2 부분은 다수의 제 1 아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 1 부분은 다수의 제 2 아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 1 부분은 대향의 비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는 다수의 채널을 포함하며, 이들 채널 각각은 제 1 아치부내로 개방되고 상기 각각의 제 1 아치부에 대해 도전체를 위한 경사형 통로를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는 상기 레버의 피봇 운동을 제한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단부에서 커넥터 하우징과 제거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전체 스트레인 해제 부재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000054858A 1999-09-20 2000-09-19 커넥터 조립체 KR200100304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99,413 US6250943B1 (en) 1999-09-20 1999-09-20 Connector assembly
US9/399,413 1999-09-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434A true KR20010030434A (ko) 2001-04-16

Family

ID=2357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858A KR20010030434A (ko) 1999-09-20 2000-09-19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50943B1 (ko)
EP (1) EP1085613A3 (ko)
JP (1) JP2001110525A (ko)
KR (1) KR20010030434A (ko)
CA (1) CA23165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8563A (zh) * 2019-05-31 2020-12-01 香港商安费诺(东亚)有限公司 具有滑动锁定框的连接器组及其插头连接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4110A (ja) * 2000-11-27 2002-06-07 Jst Mfg Co Ltd 高電圧用コネクタ
US6716052B2 (en) * 2002-02-21 2004-04-0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latch
US7192296B1 (en) * 2006-07-03 2007-03-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atchable electrical connector
FR2904153B1 (fr) * 2006-07-21 2008-11-28 Valeo Vision Sa Dispositif de raccordement entre deux connecteurs d'alimentation electrique pour une lampe a decharge, d'un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notamment
DE202006020722U1 (de) * 2006-11-17 2009-08-13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Steckverbinderkupplung
DE102007056458B4 (de) * 2007-11-23 2016-09-15 Volkswagen Ag Steckkontaktgehäuse mit einem Rastarm zur Gehäuseverriegelung mit einem Gegensteckgehäuse
DE102011102715B4 (de) * 2011-05-20 2016-08-1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Steckverbinderset und Platte hierzu
JP5895209B2 (ja) 2012-01-31 2016-03-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接続ケーブル
US9595789B1 (en) * 2016-02-10 2017-03-14 I.D. Systems, Inc. Connector locking mechanism having a sliding connection retention component
FR3088490B1 (fr) * 2018-11-12 2023-12-08 Raydiall Boitier de connecteur equipe d'un dispositif d'assurance de position de connecteur (cpa) ameliore
JP7330845B2 (ja) * 2019-10-11 2023-08-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CN116742391B (zh) * 2023-08-15 2023-10-13 湖南省华芯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一次性使用电性插头和一次性内窥镜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0211A (en) * 1979-12-26 1982-01-12 Amp Incorporated High current contact system for solar modules
US4634204A (en) * 1985-12-24 1987-01-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assist device
US5122076A (en) * 1990-09-28 1992-06-16 Amp Incorporated Data connector locking mechanism
JP2563323Y2 (ja) * 1990-10-22 1998-02-1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5120240A (en) * 1991-09-03 1992-06-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IT1273125B (it) * 1994-04-12 1997-07-04 Framatome Connectors Italia Connettore elettrico
JP2916572B2 (ja) * 1994-04-15 1999-07-05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のパッキン固定方法及びその構造
DE69415164T2 (de) * 1994-10-10 1999-10-28 Molex Inc., Lisle Elektrischer Verbinder mit Lagesicherungssystem.
DE69520323T2 (de) * 1994-10-28 2001-09-06 The Whitaker Corp., Wilmington Gehäuse für Verbinderanordnung
US5628648A (en) * 1995-03-17 1997-05-1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system
US5643003A (en) * 1995-06-02 1997-07-01 The Whitaker Corporation Housing latch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5759058A (en) * 1995-06-06 1998-06-02 Cardell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omponent
DE19609522C2 (de) * 1996-03-11 1998-04-16 Framatome Connectors Int Steckverbinder mit verrastbarer Zusatzverriegelung
US6004153A (en) * 1996-03-27 1999-12-2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H10112356A (ja) * 1996-10-07 1998-04-28 Yazaki Corp 半嵌合防止コネクタ
US5947763A (en) * 1997-11-17 1999-09-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Bi-directional staged CPA
US6071153A (en) * 1998-02-19 2000-06-06 Delphi Technologies, Inc. Dual lock for multi-row electrical connector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8563A (zh) * 2019-05-31 2020-12-01 香港商安费诺(东亚)有限公司 具有滑动锁定框的连接器组及其插头连接器
CN112018563B (zh) * 2019-05-31 2022-04-01 香港商安费诺(东亚)有限公司 具有滑动锁定框的连接器组及其插头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16547A1 (en) 2001-03-20
EP1085613A3 (en) 2003-04-02
JP2001110525A (ja) 2001-04-20
US6250943B1 (en) 2001-06-26
EP1085613A2 (en) 2001-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67202B2 (ja)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US4778403A (e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US6824406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0734599B1 (en) Connector assembly for ic card
US7232324B2 (en) Electrical connector bridge arrangement with release means
US5613870A (en) Positive latching connector with delatching mechanism
US5827086A (en) Half-fitting prevention connector
EP1369964B1 (e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EP076054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latching system
JP6898395B2 (ja) スライダー部を備える結合コネクター
US5591041A (en) Electrica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system
EP2362498B1 (en) Male and female connectors and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US6749459B2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US6386898B1 (en) Connector fitting construction
KR20010030434A (ko) 커넥터 조립체
US10886640B2 (en) Conductive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JPH07302648A (ja) コネクタのロック結合検知構造
GB2308755A (en) Half-fitting prevention connector
US4441776A (en) Quick detachable coupling
US5112243A (en) Latching device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6966790B2 (en) Lockable electrical plug and socket connection
JPH11297422A (ja) コネクタロック構造
US5364287A (en) Connector restraining apparatus
US6638098B2 (en) Connection detecting connector
US6250944B1 (en) Latch device for releasably locking mating electrical connectors toget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9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9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2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10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