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5056A - 자동차 운송 차량을 위한 지지 및 배치 후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운송 차량을 위한 지지 및 배치 후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25056A KR20010025056A KR1020007013001A KR20007013001A KR20010025056A KR 20010025056 A KR20010025056 A KR 20010025056A KR 1020007013001 A KR1020007013001 A KR 1020007013001A KR 20007013001 A KR20007013001 A KR 20007013001A KR 20010025056 A KR20010025056 A KR 200100250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uck
- support
- platform
- movable
- chassi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8—Multilevel-deck construction carry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2) 또는 트랙터 반 트레일러(30 후방 하부부분에 설치된지지 및 위치선택을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기계적 베이스 및 캐리어(10)로 구성된다. 후자는 단부 지지대(9)와 두 트랙평면(17,18)에 의해 형성된다.
트랙 평면(17,18)은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병진 및 경사로 움직인다.
상기 발명은 고속도로 챠량 운속 차의 몸체 피터(fitter) 및 제조자에게 흥미가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일반적인 운송 산업을 통한 비용 요소로 인하여 특히 자동차의 대량 운송에 있어서, 운송용량 증가 및 적재 방법 개선 및 하적차량에 대한 많은 요구가 있어왔다.
이에대해, 제조자들은 다른 특정산업의 요구에 맞는 대용량을 가지는 자동차 캐리어를 설계하고 구축했다. 이들은 고속도로규정에 부과된 크기제한, 자동차의 용적에 관계된 기술적 요청, 운송시 차량사이의 안전거리를 유지할 필요성 및 적재 및 하적작업시 인원과 차량의 안전을 포함한다.
트럭 특히 트레일러 트럭의 하부 플랫폼은 일반적으로, 캡의 존재로 인하여 상부 플랫폼보다 짧다.
다음은 종래의 적재 작업에 대한 서술이다.
하부 적재 플랫폼은 트럭캡 근처의 하부 차량의 휠중 하나와 결합하는 몇몇 영역내에 국지적 요홈을 가진다. 따라서 상부 근처의 공간의 많은 양이 남게된다.
상기 공간은 적재 램프(ramp)로 알려진 개별램프에 의해 지지되는 후방을 향하고 하부로 나타내는 다음 차량의 돌출부를 수용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배치는 트레일러의 하부 플랫폼에 의해 운반되는 제 1 차량의 후방단부가 유압 적재 램프에 의해 지지되는 동안 후방을 향하여 각이 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1에서 도시된 상기 특징은 종래기술을 나타낸다.
상기 기술은 세 가지 주요 불리한 점을 가진다.
- 연료탱크, 배터리, 압축된 공기 탱크 등등과 같은 장치 및 악세사리들을 저장하기 위해 트럭 제조자에 의해 종종 선택되는 영역내에 요홈의 형성 및 트럭의 휠베이스 내에 적용이 필요하다.
- 차에 접근하기 전에 경사진 트럭상의 후방 적재 램프는 주변영역을 보기가 어렵기 때문에 차량접근이 어렵고 작업자와 차량에 위험을 주게된다.
- 트레일러의 전면에 필요한 유압 적재 램프는 과도한 비용이 든다.
본 발명은 자동차 캐리어의 후방에 부착하기 위한 후방지지 및 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3/4 상부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의 3/4 하부 사시도.
도 3은 평평한 위치에서 제 2 실시예의 3/4 상부 사시도.
도 4는 상승된 위치에서 제 2 실시예의 3/4 상부 사시도.
도 5는 병진운동이 스크류 핀 유닛에 의해 작동되는 제 3 실시예의 개략도.
도 6은 병진운동이 유압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제 3 실시예의 개략도.
도 7은 연장된 움직이는 표면이 경사진 상태로 보이는 연결된 움직이는 플랫폼을 가지는 보완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후퇴된 움직이는 표면이 경사져 보이는 도 7과 동일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독립적인 움직이는 표면과 공동 각도 메카니즘을 가지는 다른 보완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표면 및 갈라진 각도 메카니즘을 가지는 다른 보완실시예의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4는 다양한 위치를 보이는 후방 구조의 사용을 도시하는 개략도; 마지막 도면 13 및 14는 각각 브리지와 접근 램프로 응용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5 및 도 16은 각각 트럭의 하부 후방위치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지구조와 종래의 지지구조를 가지는 카 캐리어의 양태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 부호설명
1: 지지 및 위치장치 2: 트럭
3: 카 캐리어 트레일러 4: 후방공간
5: 전방공간 6: 베이스
7,8: 스트럿 9: 지지대
10: 지지플랫폼 11: 힌지형 관절
12: 램프 13: 구동수단
19: 휠 26,27,80,81,82,83: 슬라이드
63,64: 액슬 65: 블록
113: 램프 114: 레일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트럭 캐빈과 마지막 트레일러사이의 중첩하는 차량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더 용이하게 사용함으로써 적재공간의 사용을 최대화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트레일러의 처음과 트럭의 후방사이의 공간의 개선된 사용과 결합하는 한편, 적재 및 하적 작업의 수를 감소시키고 이를 용이하게 하여 안전하고 차량의 빠른 적재 및 하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특히 트럭의 후방에 위치한 차량을 위한 적재 및 안전 작업의 안전을 개선하는 것이며, 종래의 시스템에서 트럭의 차량 하부후방이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 뿐만 아니라 차량의 안전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은 경사진 위치로 하부 트럭 플랫폼 상에 있는 마지막 차량을 적재하여 부분적으로 트레일러상의 제 1 하부 차량 위에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캐리어를 위한 개별 지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잇점을 제공한다.
- 트레일러상의 유압 적재램프의 제거
- 트럭의 휠베이스 내에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장치를 배치하는 위험이 없으며 캡 근처에서 하부 적재 플랫폼으로 이송되는 차량 하부의 하나이상의 휠에 설계된 요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 잘 보이는 상태에서 하부 트럭 플랫폼으로 후방차량을 적재할 수 있으므로 차량과 인원의 안전이 개선됨;
- 하부 트럭 플랫폼상의 후방차량이 본 발명을 사용하는 플랫 위치에 장치로 적재될 수 있고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결국 차량이 두 번째로 위치된다.;
- 지지장치는 트럭이 홀로 사용되는 경우 트럭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위한 램프로 사용될 수 있다.;
- 지지구조는 적재 및 하적 작동시 트럭과 트레일러 사이의 브리지로 기능한다.
- 제조 지지구조가 일반적이고 대량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을 개선한다.
- 최적 적재용량
- 차량의 새로운 배치로 인하여 트럭상의 적재의 분배를 개선.
- 구형도 가능하고 본발명은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기 때문에 여러모로 쓰일수 있음.
본 발명의 다른 특성 및 특징은 도면을 참조로 비제한적인 예제로써 주어진 다음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트럭(2) 또는 캐리어 트레일러(3)의 하부 후방 적재 플랫폼 및 특히 중량 트럭의 중간 트레일러에 이송되어지는 차량을 수용하기 위한 지지 및 위치 장치(1)를 부착하는 일반적인 발명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다.
상기 장치(1)는 단순한 또는 결합된 병진 경사 동작에서 유닛으로 움직일 수 잇는 기계적 지지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유닛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 하기하는 잇점을 주기위해 트럭(2)의 후방공간(4) 및 트레일러의 전방공간(5) 또는 중트럭에 부착된 트레일러의 하나의 개선된 사용을 위해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지지장치(1)는 두 스트럿(7,8)으로 구성되고 단부가 이송되어지는 차량을 수용하는 지지플랫폼(10)의 단부를 구성하는 단부지지대(9)와 통합되는 단단한 기계적 베이스(6)를 포함한다.
가장 간단한 버전에서, 상기 플랫폼은 단일 조작으로 형성되나 다른 경우 힌지 형 관절(11)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분절되는 두 평평한 조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계적 베이스(6)에 의해 지지되고 이에 부착된 전체 플랫폼(10)은 전송 구동 수단(13) 예를들어 유압 또는 기계적 실린더의 상으로 구성된 실린더 구동수단으로 인하여 트럭(2)이 세로축을 따로 이송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역시 스트럿의 단부를 상승 및 경사지게 하는 장치(16)를 사용하여 각이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유닛은 두 기본 운동을 조합함으로써 움직인다.: 병진 및 경사
단부 지지대(9)의 길이는 단순한 가로 조작의 폭으로부터 전체 플랫폼 길이까지 다양할 수 있다.
이중 경사가능 램프(12)는 두 평행하거나 평평한 가동 표면(17,18)에 의해 이송되는 차량(21)의 두 전방 휠(19) 또는 후방휠(20)이 지지가능하도록 위치하는 상부에 형성된다.
베이스(6)는 캐리지 요소의 하나에 의해 트럭 섀시에 부착되는 기계적 유닛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는 병진 및 각도로 둘 다 움직일 수 있고 그 기능에 따라 위치가 변할 수 있다. : 적재, 이송, 하적...
다음 각각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6을 통하여 상세히 서술된다.
도 1 및 2에서 보여지는 제 1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10)은 두 내부 관절연결된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두 측면 트랙을 포함하는 제 1 단부 지지대(9)와 두 움직이는 표면(17,18)으로 구성된 제 2 이중 램프(12).
상기 표면들은 각각 힌지형 회전 관절(11)에 의해 한 단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로 관절연결된다.
가동 표면(17,18)의 자유단부는 변위 지지대로 사용되는 트럭(2)의 섀시와 통합된 평평한 표면과 접촉하는 슬라이딩 또는 롤링 요소를 형성하도록 각각 설계되는 각각의 트래버스 요소(22,23)내에서 끝난다.
상기 슬라이딩 또는 롤링 접촉 및 경사 모터(16)에 의해 유발된 동작은 가동 요소(17,18)의 각을 제어한다.
플랫폼(10)의 단부 지지대(9)는 중앙 병진 실린더(28)에 의해 슬라이드(26,27)를 따라 측면 스트럿(24,25)에 의해 세로로 변위된다.
각 슬라이드(26,27)의 전방단부는 트럭(2)의 섀시에 가로로 배치된 각각의고정된 단부 액슬(29)에 회전가능하게 관절연결된다. 단부 지지대(9)는 두 측면 스트럿(24,25)과 통합된다.
상기 유닛은 슬라이드(26,27)밑의 한 측면에 각각 형성된 두 실린더(31,32)를 사용하여 경사지게 할 수 있다. 각각의 실린더는 일치하는 실린더 근처에 연장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각각 부착된 브레이스(33,34)에 의해 평행으로 보강된다.
경사진 실린더(31,32)와 연결된 브레이스(33,34)는 먼저 슬라이드(26,27)의 부표면에 예를들어 그 단부중 하나 근처에 회전가능하게 분절되고, 두 번째로 트럭(2)의 섀시와 통합된 요소에 고정된 단부 액슬(29,30)에 의해 관절연결된다.
도 2에서는, 단부 지지대(9)를 보강하는 고정된 관상 구조(35)가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제 2 실시에는 전체구조는 병진 및 각도로 둘 다 움직이고 적재 플랫폼(10)은 힌지형 관절(11)를 가지고 서로 회전가능하게 분절되는 단일 조각 또는 두 부분(9,12)으로 나누어진 것 중 하나로 형성되고, 트럭 섀시와 통합된 표면을 따라 슬라이드 또는 롤링되는 접촉 요소 및 가동 표면(17,18)의 단부에 존재하는 범위의 동일한 발명적인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다.
지지구조(1)의 기계적 베이스(6)는 상기 실시예에서, 각각의 스트럿(38,39 및 40,41)이 결합될 때 서로 내부로 슬라이드되는 제 1 프레임(36)과 제 2 프레임(37)에의해 형성된다.
트럭을 가로지르고 트럭 섀시와 통합된 지지대에 부착된 두 고정된 단부 액슬(42,43)상에서 경사진다.
제 1프레임(36)은 그에 부착된 병진 실린더(47)에 의해 작동되었을 때 제 1 프레임내의 스트럿(38,39)을 따라 세로로 병진되어 슬라이드 되는 제 2 프레임(37)을 지지한다.
제 2 프레임(37)은 서로 결합된 세 섹션내에서 도면에서 보여진 평평한 요소(48)를 자유단부에서 단부 지지대(9)에 의해 고정된다.; 요소(48)의 목적은 이송되는 차량의 두 전방 또는 후방 휠(19 또는 2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단부 지지대(9)는 각각의 교차 피스(53,54)에 연결된 두 쌍(51,52)의 경사진 지지대와 함께 다양한 각도 폭의 삼각 메카니즘(55,56)을 형성하는 두 점진 지지대(49,49)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경사지게되는 두 가동 표면(17,18)에 의해 형성되는 이중 경사가능 램프(12)를 형성하는 힌지(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관절연결된다.
삼각형 요소(55,56)는 도 3에서 보여진 가동 표면(17,18)의 자유단부를 따라 그리고 하부에서 이들을 위치함으로써 후퇴될 수 있다. 상기 형태에서 점진 지지대(49,50)는 상기지지 표면밑에 위치한다.
상술한 것은 두 갈라진 가동 표면를 가지는 형태에 관한 것이다. 플랫폼은 역시 단일 조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동표면(17,18)은 사용시 점진지지 단부(49,50)에서 또는 자유단부에서 트럭(2)이 섀시와 통합된 접촉표면을 따라 각각 슬라이드 또는 롤링된다.
이 경우 상기 접촉표면을 따라 변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점진 지지대(49,50)의 단부들은 움직임을 위해 지지액슬을 형성하는 교차피스(57,58)가 형성되고, 로코모션(59,60), 예를들어 작은 휠쌍 수단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는 병진운동의 조합, 유닛의 경사, 및 플랫폼(17,18)의 각의 수동조정으로 인해 변위 및 각 조정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도 5 및 6에 도시된 제 3 실시예는 역시 장치(1)가 카 캐리어의 트럭 또는 트레일러의 하부 적재 표면상에 후방위치에 배치되고, 전체 유닛이 병진 및 각도 상으로 움직이고 두 스트럿(7,8)이 형성된 기계적 베이스(6)와 스트럿 단부와 통합된 단부 지지대(9)를 가지는 범위의 동일한 일반적 발명 개념을 기초로 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기계적 베이스(6)상의 스트럿(61,62)은 이들이 특정 형상에서 결합되지 않도록 하는 두 경사진 측면을 가지기 때문에 형상이 한정된다.
상기 기계적 베이스(6)는 경사지거나 각 스트럿(61,62)의 자유단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것과 같은 스크류 블록상(65)에 위치하는 트럭에 가로지르는 두 각진 액슬(63,64)상에서 완전히 상승된다.
각각의 스크류 블록(65)은 실린더(69)와 같은 기계적 실린더를 함께 구성하는 베어링(68)과 같은 단부베이링과 모터(67)와 같은 유압 로터리 구동 모터사이에 연장되는 핀(66)과 같은 핀에 의해 지지된다.
경사진 회전 액슬(63,64)은 각각 기계적 실린더969)내의 스크류를 배치함으로써 또는 두 유압 실린더(70,71)(도 6의 실시예)그룹에 의해 각각 병진 운동한다.
상기 운동은 차량이 세로축을 따른 병진운동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에에서와 같이 단부 지지대(9)는 스트럿(61,62)의 각 단부와 통합된다. 기계적 베이스의 자유단부는 외부각도 장치(72), 예를들어, 실린더(74)에 의해 작동되는 하나이상의 관절연결된 리프팅 아암(73)를 사용하여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상기 아암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요소들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목적으로 단부 지지대(9)의 부표면 또는 스트럿(61,62)의 이 하부부분과 협동하는 작은 단부 휠을 가진다.
상기 단부 지지대(9)는 이것이 충분히 긴 경우, 이송되는 차량(21)의 두 전방휠(19) 또는 후방 휠(2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중 경사 램프(12)는 단부 지지대(9)에 예를 들어 힌지(11)로 회전가능하게 관절연결된다.
도시된 형태에서, 이것은 수동으로 경사지게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섀시(12)상의 스트럿(61,62)에 대해 조절가능하도록 커넥터 또는 다른 보유장치(76)에 의해 자유단부 근처에 부착된다.
램프(12)는 실시에에서 롤링 도는 슬라이딩을 위한 수단이 장착되며 여기에 단부 지지대(9)가 단순한 단부 트래버스 피스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모든실시예에서, 가동 표면(17,18)은 후퇴가능한 연장 피스를 사용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접히거나 부착될 수 있고 그 자유단부는 트럭 섀시와 통합된 표면을 따라 동일한 롤링 또는 슬라이딩 수단이 장착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도 7 내지 도 10에서 도시된 보완 실시예는 동일한 일반적 발명개념으로 처리된다.
개별 후방 지지대를 형성하고 카 캐리어를 장착한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개별장치는 단순 또는 복합 동작중 하나로 움직이며 이는 차량의 세로축을 따라 병빈운동하거나 차량의 트레버스 액슬상에서 각도 운동을 하거나 또는 절대적 이송위치가 달성될대 까지 두 상기 기본 운동의 조합으로 움직이며, 트럭의 후방 단부 및 트레일러의 전방 단부내의 공간의 사용을 개선한다.
상기 보완 실시예사이에는 이중 가동표면9도 7 및 8)을 가지는 보완실시예와 독립 가동 표면과 공동 경사 장치(도 9) 또는 분리된 장치(도 10)중 하나를 가지는 두 보완 실시예가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라 가동표면(17,18)은 단부 지지대(9)를 구성하는 단부 트래버스 지지대(79)에 의해 연결된다. 가동 표면(17,18)은 각 쌍이 가동표면(17,18)중 하나와 연결되는 두 쌍의 슬라이드(80,81 및 82,83)로 형성된 경사가능 지지베이스에 의해 병진적으로 지지되는 이중 램프(12)로 구성된다.
도시된 형태에서, 스트럿(84,85 및 86,87)은 각 가동표면의 경계를 이루고 병진운동시 슬라이드들(80내지 83)과 협동한다.
지지베이스는 관절 지지대(90)사이에 연장되는 분절 트래버스 지지대(89)와 평행하고 차량을 가로지르는 도형축(88)에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이중 램프(12)는 단부 트래버스 지지대(79)와 분절 트래버스 지지대(89) 사이에 위치한 세로 실린더(91)의 작용으로 인해 병진하도록 배치된다.
슬라이드들(81,82)과 대향하여 통합된 트래버스 요소(95)와 차량상에 고정된 지지대 사이에서 관절연결된 실린더 쌍(93,94)으로 구성되는 구동 각 운동을 위한 구동수단(92)이 상기 유닛을 경사지게 한다.
나머지 보완 실시예(도 9 및 10)는 독립적인 가동 표면(17,18)을 가지며 먼저 후방단부에서 볼록한 연결지지대(96,97)에 의해, 두 번째로 분절 트래버스 지지대(89)로 상호연결된 슬라이드 요소를 따라 슬라이드된다.
개별 기계적 병진 실린더(98,99)는 각각의 가동표면(17,18)에 부착되고 각각의 가동표면의 단부에서 부표면상에 위치한 병진실린더의 샤프트의 분절점(100,101)과 분절 트래버스 지지대(89)사이에 부착된다. 상기 분절 점은 도 9에서 도시된 회전 분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각 배치 구동수단은 상기와 같이 트래버스요소(95)에서 작동하는 실린더 쌍 또는 단일 실린더 와 같이, 차량 섀시상의 고정점과 일치하는 슬라이드(도 10)사이에서 각각 분절되는 실린더의 두 독립된 쌍(102,103)중 하나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후자의 실시예에서, 관절연결된 트래버스 지지대(89)는 두 부분(104,105)으로 분리된다.
독립적으로 병진하는(그리고 후자의 실시예에서 역시 독립적으로 경사질 수 있는) 가동표면을 가지는 실시예에서 두 가동 표면(17,18)의 병진운동은 동기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명백하다. 두 번째 실시예에서, 각운동도 역시 동기화 되어야 한다.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주요 잇점중 하나를 도시한다.
두 중요한 차이점은 본 발명의 개별 지지장치가 장착되거나 되지 않는지에 따라 동일한 카 캐리어(2)의 적재 용량에서 명백하다.
왜냐하면 후방 연장부에서 하부 적재 플랫폼상의 마지막 차(106)는 상부로 각이지기 때문에 각각의 동일하게 적재된 차량의 길이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구조를 가지는 차량으로 인해 길이 "DL"에서 감소되므로 다르다. 한편, 트레일러의 단부에서 아직 더 큰 차량(108)조차 또는 하부 적재 플랫폼으로 적재되는 하나이상의 더 큰 차량(107)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더 큰 차는 도 15에서 사선으로 해칭된 영역에서 나타난다.
도 15 및 16은 단순하며, 본 발명의 지지장치(1)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되는 용량에서 얻어지는 방법을 결정하는 포맷을 도시한다.
종래의 적재 시스템(도 15)에서 트레일러(3)의 하부 적재 플랫폼상의 두 차(109,110)는 전방을 향하여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적재된 차량이 돌출함으로써 길이 "DL"로 감소되는 동안 후방에서 동일한 차(110)를 유지하는 트레일러상의 하부 전방위치에서 더 큰 차 모델(108)을 허용하고 트레일러 상의 하부 전방위치에서는 더 큰 차 모델(107)을 위치시킬 수 있게된다.
상기 잇점은 사용자가 적재시에 더 높이 있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응용에 따라 점선으로 보여지는 연장부(도 12)에서와 같이 더 큰 크기의 차를 적절히 이송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도면들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 11 내지 도 14에서 관찰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장치(1)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두 형태에서, 캐리어로 사용된다. 제 1 형태에서, 이송된 차량(21)은 예로, 단일 이송 트럭(도 11)의 경우, 전방에 면하는 위치에서 트럭의 후방에 적재된다.
제 2 형태는 트레일러(도 12)상의 하부 전방 위치에서 차량(107)을 적응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이송된 차량밑에 공간을 형성하는 차량의 후방의 뒤에 면하고 상승된 이송된 차량(21)을 가지는 트레일러 카 캐리어(3)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역시 상기 지지구조(1)가 하부위치에 있을 때, 트럭(2)과 트레일러(3)사이에서 브리지 플랫폼(111)으로 기능한다.; 상기 장치는 역시 트레일러(3)(도 13)의 플랫폼(112)과 트럭(2)후방사이의 연결요소로 기능하도록 후방으로 돌출한다.
마지막 사용(도 14)은 트럭의 후방에서 상승 또는 하강 램프(113)인 형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접근 램프(113)는 동일한 평면을 따라 지면에서 연속적으로 하강하는 적재 레일(114)로 연장된다.
Claims (19)
- 트럭(2) 및 하나 또는 그이상의 트레일러(30의 형태인 관절연결된 카 캐리어상에서 하나이상의 차량을 위한 지지 및 위치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트럭(2) 또는 트레일러(3)의 하부 후방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장치가 트레일러의 전방 단부의 공간과 트럭의 후방단부의 공간의 사용을 개선하기위해 트럭(2)의 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진 한정 이송 위치를 달성할 때 까지, 지지플랫폼(10)에서 병진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 차량의 세로축을 따라 병진하거나 차량을 가로지르는 회전축주위를 기게적베이스상의 경사수단에 의해 이루어진 각도로 병진하거나 두 기본 운종의 조합으로 운동하고;상기 장치가 단부 지지대(9)와 두 가동 표면(17,18)으로 형성된 지지플랫폼(10)과 기계적 베이스(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랫폼(10)이 두 가동 표면(17,18)을 가지는 단일 조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전항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갖동 표면(17,18)이 그루브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가동표면(17,18)이 단부지지대(9)에 회전가능하게 분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전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가동표면(17,18)이 트럭의 섀시와 통합된 표면을 따라 롤링 또는 슬라이딩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 후방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2항내지 제 5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표면이 상승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지지대(9)가 단순한 트래버스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베이스가 두 스트럿과 상기 스트럿과 통합되는 단부 지지대(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병진운동이 기계적 또는 유압 실린더의 사용을 통하여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동작이 상기 트럭 섀시와 통합된 회전 액슬을 사용하여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전항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액슬이 트럭의 세로방향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동작이 기계적 베이스96)의 단부의 하나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지지 플랫폼(10)의 병진 운동이 플랫폼(10)의 단부를 지지하는 요소를 따라 또는 그 상에서 슬라이딩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항 또는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베이스(6)가 두 평행한 스트럿으로 형성되고 동일한 측면에 위치한 스트럿 단부가 차량의 세로축을 따라 선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섀시의 대향하는 단부 또는 플랫폼이 실린더에의해 회전되는 관절연결된 아암의 단부를 배치함으로써 경사질 수 있고, 상기 플랫폼 몸채가 경사가능한 램프를 형성하고, 이를 연결하는 두 커낵터에 의해 섀시상의 각 스트러트로 그 단부 근처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가 전체 유닛이 경사지도록 차량 섀시와 통합된 회전 분절에 의해 한단부에서 각각 세로로 움직일 수 없는 슬라이드를 따라 배치되어 안내되는 두 스트럿으로 형성되고 각각 이중 실린더에와 브레이스에 의해 트럭상의 고정된 영역에 연결되며, 상기 플랫폼의 제 2 부분은 각각 플랫폼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분절되며 두 가동 표면(17,18)을 형성하는 이중 램브(12)로 구성되고, 상기 플랫폼은 세로 실린더에 의해 병진운동하도록 분절되며, 트럭 섀시의 표면을 따라 이들을 가동 표면의 자유단부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환상 또는 원형의 단부를 가지는 트레버스가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베이스(6)가 서로 내부로 슬라이딩되는 두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제 1 섀시는 상기 유닛을 지지하고, 제 2 프레임은 플랫폼의 단부를 지지하고, 후자는 병진 실린더에 의해 작동할 때 제 1 섀시를 따라 병진운동하고, 상기 제 1 프레임은 경사실린더에 의해 경사지고, 상기 플랫폼의 제 2 부분은 플랫폼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관절연결된 두 독립적인 가동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표면은 각각 그 자유단부에서 다양한 각도의 지지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전항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각가의 다양한 각 지지대가 노치를 가지고 점진적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한 단부에의해 가동표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다른 단부에서 운동을 위한 수단을 가지며 상기 단부는 트럭 섀시를 따라 움직일 수 있으며, 각각 점진적인 지지시 두 대향되는 노치내에서 연결된 브레이스의 하부 단부를 연결하는 단부 트래버스의 각각 점진적인 지지로 이들을 연결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위치를 연속적으로 점차 지지하도록 연결되는 다른 브레이스의 단부를 가지고 수동을 움직일 수 없고 상기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브레이스 쌍에 의해 접촉되어 다시 위치되는 가동표면의 자유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표면(17,18)이 병진시 기계적으로 독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전항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표면(17,18)이 병진 및 각 운동시 기계적으로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9806498A FR2778880B1 (fr) | 1998-05-20 | 1998-05-20 | Structure arriere de support et de positionnement pour un vehicule de transport de voitures |
FR98/06498 | 1998-05-20 | ||
PCT/FR1999/001186 WO1999059839A1 (fr) | 1998-05-20 | 1999-05-19 | Structure arriere de support et de positionnement pour un vehicule de transport de voitur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25056A true KR20010025056A (ko) | 2001-03-26 |
Family
ID=9526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7013001A Withdrawn KR20010025056A (ko) | 1998-05-20 | 1999-05-19 | 자동차 운송 차량을 위한 지지 및 배치 후방구조 |
Country Status (15)
Country | Link |
---|---|
US (1) | US6447226B1 (ko) |
EP (1) | EP1079988B1 (ko) |
KR (1) | KR20010025056A (ko) |
CN (1) | CN1108248C (ko) |
AT (1) | ATE246106T1 (ko) |
AU (1) | AU3829599A (ko) |
BR (1) | BR9910530A (ko) |
CA (1) | CA2340016A1 (ko) |
DE (1) | DE69910012T2 (ko) |
ES (1) | ES2205816T3 (ko) |
FR (1) | FR2778880B1 (ko) |
RU (1) | RU2244638C2 (ko) |
TR (1) | TR200003410T2 (ko) |
UA (1) | UA51843C2 (ko) |
WO (1) | WO199905983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307069U1 (de) * | 2003-05-06 | 2003-07-24 | Fehring Fahrzeugbau GmbH & Co. KG, 33014 Bad Driburg | Kraftfahrzeugtransporter |
US7025547B2 (en) * | 2004-03-29 | 2006-04-11 | Boydstun Metal Works, Inc. | Vehicle transporter with screw actuators |
CN1299929C (zh) * | 2004-05-31 | 2007-02-14 | 沈阳市万事达汽车改装厂 | “零公里”车辆装卸平移装置 |
US7114897B1 (en) * | 2005-05-25 | 2006-10-03 | Boydstun Metal Works, Inc. | Vehicle support and retention system for a vehicle transporter |
US20070059118A1 (en) * | 2005-09-09 | 2007-03-15 | Chun-I Chang | Frame structure for auto transport trailer |
ITPA20060016A1 (it) * | 2006-04-13 | 2007-10-14 | Cambiocasa S R L | Pianale con rampa per piccoli e medi autocarri per lo scarico e carico di materiali o per il superamento delle barriere architettoniche. |
US7575402B2 (en) * | 2006-07-06 | 2009-08-18 | Toyota Motor Credit Corporation | Vehicle transporter with screw actuators |
US7926831B2 (en) * | 2009-04-22 | 2011-04-19 | Brandy M. Blair | Folding cargo deck assembly for a fifth-wheel truck |
CN101992811B (zh) * | 2009-08-26 | 2013-08-28 | 中集车辆(集团)有限公司 | 载货台及具有该载货台的商品车运输车 |
US8905454B2 (en) | 2011-05-06 | 2014-12-09 | Fyda Freightliner Cincinnati, Inc. | Casket handling system |
RS55039B1 (sr) * | 2011-06-16 | 2016-12-30 | Rolfo Spa | Utovarna ravna ploča za transportna vozila |
CN105480236B (zh) * | 2015-12-17 | 2017-10-03 | 南车二七车辆有限公司 | 一种运输卡车的铁路货车及卡车装卸方法 |
CN105958347B (zh) * | 2016-06-03 | 2018-09-25 |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宁供电公司 | 室内开关柜运输安装工具 |
CN109205118A (zh) * | 2017-07-06 | 2019-01-15 |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 运车架 |
US10099596B1 (en) * | 2018-02-09 | 2018-10-16 | Cottrell, Inc. | Riser apparatus and system for vehicle transport |
EP3604075B1 (de) * | 2018-08-03 | 2021-02-24 | Kässbohrer Transport Technik GmbH | Hebbare tragvorrichtung |
US11059411B2 (en) * | 2018-12-19 | 2021-07-13 | Cottrell Incorporated | Bridge apparatus and system for vehicle transport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888476A (en) * | 1957-01-10 | 1962-01-31 | Burtonwood Engineering Company | Improvements relating to load-handling vehicles principally for carrying other vehicles |
FR1605260A (ko) * | 1968-08-08 | 1973-11-30 | ||
FR2187573A1 (ko) * | 1972-06-06 | 1974-01-18 | Lohr Sa | |
US4221422A (en) * | 1974-03-18 | 1980-09-09 | Harold Billy E | Vehicle transport trailer |
US3994523A (en) * | 1974-03-18 | 1976-11-30 | Harold Billy E | Vehicle transport trailer |
FR2290325A1 (fr) * | 1974-11-11 | 1976-06-04 | Kaessbohrer Fahrzeug Karl | Vehicule tracteur pour camion avec remorque pour le transport de voitures |
US4239275A (en) * | 1979-03-05 | 1980-12-16 | Jerr-Dan Corporation | Vehicle transporter |
FR2455528A3 (fr) * | 1979-05-04 | 1980-11-28 | Farid Spa | Vehicule pour le transport d'automobiles |
DE8011609U1 (de) * | 1979-05-04 | 1980-07-31 | Farid S.P.A., Moncalieri, Turin (Italien) | Fahrzeug fuer den transport von personenkraftwagen |
US4372727A (en) * | 1981-03-30 | 1983-02-08 | Dakota Manufacturing Co., Inc. | Trailer including a multiple fold powered ramp tail |
FR2631903B1 (fr) * | 1988-05-31 | 1992-06-19 | Lohr Ind | Ensemble unitaire porteur a plateaux individuels mobiles en mouvements composes multiples pour vehicules porte-voitures |
SU1597303A1 (ru) * | 1988-09-26 | 1990-10-07 | Ленинградский Филиал Всесоюзного Института По Проектированию Организации Энергетического Строительства "Оргэнергострой" |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 перевозки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х грузов |
US5332345A (en) * | 1992-04-09 | 1994-07-26 | Lillard Dale R | Vehicle carrier |
NO933766D0 (no) * | 1993-10-20 | 1993-10-20 | Olaussen Johan | Snoescooterstige |
US5676507A (en) * | 1995-03-13 | 1997-10-14 | Lugo; Paul | Automobile transporting trailer |
US5755540A (en) * | 1996-05-21 | 1998-05-26 | Boydtun Metal Works Inc. | Vehicle transporter |
DE29612209U1 (de) * | 1996-07-12 | 1997-11-06 | Kässbohrer Transport Technik GmbH, Salzburg | Fahrzeug |
-
1998
- 1998-05-20 FR FR9806498A patent/FR2778880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
- 1999-05-19 TR TR2000/03410T patent/TR200003410T2/xx unknown
- 1999-05-19 CA CA002340016A patent/CA2340016A1/fr not_active Abandoned
- 1999-05-19 WO PCT/FR1999/001186 patent/WO1999059839A1/fr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9-05-19 BR BR9910530-6A patent/BR9910530A/pt unknown
- 1999-05-19 ES ES99920885T patent/ES2205816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05-19 DE DE69910012T patent/DE69910012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5-19 CN CN99806312A patent/CN1108248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5-19 AT AT99920885T patent/ATE246106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05-19 UA UA2000127341A patent/UA51843C2/uk unknown
- 1999-05-19 US US09/674,784 patent/US644722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5-19 RU RU2000132230/11A patent/RU2244638C2/ru active
- 1999-05-19 AU AU38295/99A patent/AU3829599A/en not_active Abandoned
- 1999-05-19 EP EP99920885A patent/EP1079988B1/fr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05-19 KR KR1020007013001A patent/KR20010025056A/ko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FR2778880B1 (fr) | 2000-07-21 |
CN1108248C (zh) | 2003-05-14 |
WO1999059839A1 (fr) | 1999-11-25 |
BR9910530A (pt) | 2001-01-16 |
CA2340016A1 (fr) | 1999-11-25 |
CN1301221A (zh) | 2001-06-27 |
US6447226B1 (en) | 2002-09-10 |
RU2244638C2 (ru) | 2005-01-20 |
DE69910012T2 (de) | 2004-05-13 |
ATE246106T1 (de) | 2003-08-15 |
AU3829599A (en) | 1999-12-06 |
EP1079988A1 (fr) | 2001-03-07 |
ES2205816T3 (es) | 2004-05-01 |
FR2778880A1 (fr) | 1999-11-26 |
TR200003410T2 (tr) | 2001-03-21 |
DE69910012D1 (de) | 2003-09-04 |
UA51843C2 (uk) | 2002-12-16 |
EP1079988B1 (fr) | 2003-07-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10025056A (ko) | 자동차 운송 차량을 위한 지지 및 배치 후방구조 | |
US5662453A (en) | Truck bed lift system and method | |
US6135700A (en) | Transport vehicle deck lowering mechanism | |
DE3070548D1 (en) | Procedure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semi-trailers on and off low loading rail cars and low loading rail car therefor | |
US4943202A (en) | Tilting mobile platform | |
KR20010013117A (ko) | 차량 화물 리프트 | |
US5718443A (en) | Longitudinally and vertically adjustable axle assembly | |
RU2000132230A (ru) | Задняя конструкция удержания и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для сочлененной автодорожной системы,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й для перевозки легковых автомобилей | |
US3720437A (en) | Transporter vehicles | |
GB2281279A (en) | Stowable forklift truck | |
US3343865A (en) | Vehicle transport | |
EP0418178A1 (fr) | Unité supérieure porte-voiture pour véhicule routier | |
US20050186057A1 (en) | Vehicle sideloading elevator platform | |
EP0595051B1 (en) | A motor-vehicle transporter | |
CN117416764A (zh) | 车载宽度可调节的站台 | |
US3960401A (en) | Vehicle transport trailer | |
EP0780264B1 (en) | A vehicle with two superposed decks for transporting motor vehicles | |
JP4505120B2 (ja) | 積載調整機構 | |
US4106805A (en) | Vehicle transport trailer | |
CN112793608A (zh) | 运输车 | |
US20020145267A1 (en) | Hydraulically operated gooseneck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 |
SU1283143A1 (ru) | Сочленен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 |
EP0049121A2 (en) | Improved mechanical handling apparatus | |
CN218950507U (zh) | 应用于铁路装卸站台车的可移动站台 | |
CZ293933B6 (cs) | Železniční vozidlo pro kombinovanou kolejovou a silniční dopravu a dopravní souprava obsahující taková vozidl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011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