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22552A - 형태-안정성 흡수 물품 - Google Patents

형태-안정성 흡수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2552A
KR20010022552A KR1020007001143A KR20007001143A KR20010022552A KR 20010022552 A KR20010022552 A KR 20010022552A KR 1020007001143 A KR1020007001143 A KR 1020007001143A KR 20007001143 A KR20007001143 A KR 20007001143A KR 20010022552 A KR20010022552 A KR 20010022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shaping element
absorbent
absorbent article
incontin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슨로이
Original Assignee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010022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55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a reinforcing memb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4)가 물품의 가랑이 부(8)에 원응력을 주면서 배치되어, 물품의 횡방향으로 본질적으로 연장되는, 길이방향 및 횡방향을 갖는 흡수 물품. 탄성 부재(14)는 흡수체(4)의 제 1 표면 위로 물품의 액체투과성 표면 층(2)과 흡수체(4) 사이에 배치된다. 물품의 횡방향으로의 굽힘에 강성인 형상화 요소(16)는 흡수체(4)의 제 2 표면상에 배치되고, 형상화 요소(16)는 탄성 부재(14)의 수축에 반대로 작용한다.

Description

형태-안정성 흡수 물품{SHAPE-STABLE ABSORBENT ARTICLE}
소변 및 월경액 등의 신체 배설물의 흡수에 사용하기 위한 흡수 물품의 사용법에 대하여, 액체가 물품내로 흡수되는 대신 물품의 표면을 가로질러 흐르고 그 에지를 지나 흘러나오기 때문에 누출이 때때로 일어나는 것이 확인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는 요실금을 앓는 성인들을 위한 실금 안전장치와 관련하여 특히 명백하다. 방뇨시, 실금 환자는 단시간 내에 비교적 많은 양의 소변을 배설한다. 따라서 모든 액체가 실금 안전장치내로 침투할 시간을 가지는 경우는 일어날 수 없다. 과잉의 액체는 따라서 물품의 표면을 가로질러 흘러 사용자의 옷위로 흘러나올 것이다. 소변은 비교적 고압으로 실금 안전장치의 표면에 부딪치기 때문에, 이는 또한 실금 안전장치의 표면에 소변이 단지 되튄 후 실금 안전장치로부터 흘러나올 위험이 있다는 것을 또한 의미한다.
물품내로 흡수되는 대신 흡수 물품의 표면을 가로질러 흐르는 액체에 의해 초래되는 액체의 누출을 피하기 위해, 물품의 표면에 주름을 잡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렇게 함으로써, 한편으론, 물품의 액체수용 용량이 증가하고, 다른 한편으론, 물품의 표면내의 주름은 액체가 표면을 가로질러 자유로이 흐르는 것을 어렵게 한다. 흡수 물품의 표면 내에 주름을 만드는 한 방법은 원응력을 받은 상태의 물품에 고정되는 횡단 탄성 부재를 갖춘 물품을 구비하는 것이다. 그러한 횡단 탄성 수단은 미국 제 4,323,070 호에 기술된다. 횡단 탄성 수단을 흡수 물품에 배치하여, 물품은 또한 액체수용 컵 형태로 만곡해진다.
액체수용 컵 형태 공간을 만들기 위한 다른 방법은 예컨대, 문서 EP 0,091,412, US 4,897,084 및 WO 95/31162에 기술된다. 이들 기 공지의 물품은 누출에 대한 안전성을 증가시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더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기 공지의 컵 형태의 흡수 물품의 단점은 사용되는 동안, 컵 형태를 잃을 정도로 변형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그러한 변형은 특히 소위 경량의 실금 안전장치와 관련하여 두드러지고 곤란하다. 경량 실금 안전장치는 통상의 팬츠내부에 착용되는 비교적 작은 흡수 물품이다. 경량 실금 안전장치는 종종 직업적으로 사회적으로 활동적인 건강한 개인에 의해 사용된다. 따라서 물품이 통상의 의복하에 감춰질 수 있도록 작고 조심스러워야 함이 극히 중요하다. 동시에, 물론, 물품이 높은 흡수용량을 가지고 누출되지 않음이 필수적이다.
경량 실금 안전장치 및 월경대는 사용 중 내의와 맞닿는 안전장치 또는 월경대의 측면상에 배치되는 특수 자기점착성 표면에 의해 사용자의 내의상의 가랑이 부분에 일반적으로 고정된다. 사용시에, 흡수 물품은 함께 가압되어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한정된 공간에 들어맞도록 한다. 그렇게 함에 있어서, 물품은 자유로운 방식으로 변형되고 주름이 잡혀서, 흡착량 및 배설된 체액을 신속히 수용할 능력 양쪽에 악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에지부가 액체투과성 표면 층을 가로질러 접혀지므로, 실제로 액체를 수용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표면이 크게 감소된다. 사용자가 움직일 때, 예컨대 걷거나 뛸 때, 물품의 역학적인 형상화가 발생하여, 종종 물품의 흡착제가 함께 뭉쳐지고 균열이 생긴다. 물론, 그러한 변형은 또한 물품의 기능에 악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은 월경대 또는 기저귀 등의 실금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품은 액체투과성 커버 층, 액체불투과성 커버 층, 및 그 두 커버 층 사이에 에워싸인 흡수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가 물품의 가랑이 부에 원응력을 주면서, 물품의 측면 에지 사이에 본질적으로 물품의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도시된 그림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될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사용 중에 사용자 쪽으로 향하도록 한 측면으로부터 보여지는, 본 발명의 제 1 구체예에 따른 실금 안전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금 안전장치를 통해서 직선 II-II를 따라 취해진 단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형상화 요소를 위한 다른 형태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구체예에 따른 실금 안전장치의 사시도이다.
하지만, 본 발명으로, 서론에서 언급한 형태인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기 공지된 물품과 관련한 물품의 단점이 크게 감소된 흡수 물품을 얻는 것이 가능해졌다. 본 발명의 물품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가 흡수체의 제 1 표면 위로 액체투과성 표면 층과 흡수체 사이에 배치된다는 사실, 및 물품의 횡방향으로의 굽힘에 대해 강성인 형상화 요소가 흡수체의 제 2 표면 위로 물품의 측면 에지 사이에 배치된다는 사실에 의해 주로 특징지워지며, 상기 형상화 요소는 탄성 부재의 수축에 반대로 작용한다.
굽힘에 대해 강성이고, 탄성 부재의 수축력을 어느 정도 중화하는 구성요소를 배치하여, 물품은 사용 중 자유로운 방식으로 함께 구져짐이 예방된다. 대신, 굽힘 및 컵 형태가 잘 규정되어, 배설된 체액은 컵에 취해진 후 물품내로 흡수될 수 있다. 형상화 요소는 또한 흡수 물품의 흡수체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하므로, 흡수 재료가 함께 뭉쳐지거나 균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형상화 요소는 굽힘에 대해 유리하게 탄성적이어서 그 형태는 물품의 사용 중에 일어나는 힘의 변화에 연속적으로 적응할 수 있다. 굽힘에 대해 탄성적인 형상화 요소를 사용하여, 물품은 횡방향 압축후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그 원형을 되찾을 수 있다.
이러한 관계에서 형상화 요소로 사용될 때 특히 잘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된 재료는 발포체 재료의 층이다. 그러한 발포체 재료는 또한 물품의 액체불투과성 커버 층으로 사용될 수 있어서 동시에 형상화 요소로서 역할을 한다.
형상화 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재료는 예컨대 문헌 WO 94/10953 및 WO 94/10956에 기술된 형태의 강하게 압축된 섬유 층이다. 그러한 섬유 물질은 적어도 0.1 g/㎤까지의 밀도를 갖는다.
탄성 부재와 형상화 요소간의 협력을 통해 물품이 컵 형태로 더욱 쉽게 굽혀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흡수체가 굽힘 노치를 가진다면 유리할 수 있다. 그러한 굽힘 노치는, 흡수체가 흡수 재료내에서 자유로운 방식으로 주름이나 균열의 형성없이 만곡해질 수 있는 결과로서, 예컨대 흡수체내의 오목부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굽힘 노치는 흡수체내에서 슬릿 또는 압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액체투과성 커버 층에 부수하는 굽힘 노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사하게, 형상화 요소도 당연히 굽힘 노치를 가질 수 있다.
더 큰 컵 형태를 얻기 위하여, 또는 흡수 물품의 다른 부분에 다른 깊이를 갖는 컵을 형성하기 위하여, 끈, 밴드 등의 형태의 복수의 탄성 부재가 물품의 측면 에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이 경우에 배치되어 동일하게 원응력을 주거나 서로 다르게 원응력을 줄 수 있다.
탄성 요소 또는 요소들은 전적으로 물품의 횡방향으로 배치되어서는 안된다. 하지만, 수축력이 물품의 횡방향으로 발생되는 것이 필요하다.
더욱이, 형상화 요소는 물품의 길이방향으로 분리되는 둘 이상의 "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형상화 요소의 각 부는 물품의 측면 에지 사이에 연장된다. 그러한 배치의 이점은 물품이 길이방향으로 더 큰 가요성을 획득하고 따라서 사용자의 체형에 보다 용이하게 맞춰진다는 점이다. 게다가, 본 물품은 사용하지 않는 물품을 포장할 때 그리고 또한 사용 후에, 물품을 폐기할 때 보다 용이하게 접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실금 안전장치(1)는 사용 중 사용자 쪽으로 향하도록 한 실금 안전장치(1)의 측면에 배치된 액체투과성 커버 층(2), 사용 중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도록 한 실금 안전장치(1)의 측면에 배치된 액체불투과성 층(3), 두 커버 층(2), (3)사이에 에워싸인 흡착체(4)로 이루어진다.
액체투과성 커버 층(2)의 재료는, 예컨대, 다공성 플라스틱 막, 플라스틱 또는 직물 재료의 네트, 부직포 재료, 또는 그러한 재료 층의 2 이상의 적층물일 수 있다. 액체투과성 표면 재료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물질은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물질이다. 부직포 재료라는 표현은 부직 섬유 직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적당한 부직포 원료는 셀룰로오스 또는 면 등의 천연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나일론, 또는 재생 셀룰로오스 등의 합성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2 이상의 성분이 포함된 섬유로부터 제조된 부직포 물질, 및 다른 섬유 형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액체투과성 커버 층(2)은 액체를 수용하고 그것을 흡착체(4)내로 운반하도록 예정된다. 더욱이, 커버 층(2)은 사용자의 몸에 대해 부드럽고 안락해야 하고, 소위 재적셔짐, 즉 흡수된 체액이 사용자의 피부 쪽으로 되돌려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야 한다. 안락함을 이유로, 그리고 피부 자극을 예방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피부에 접한 실금 안전장치(1)부분의 표면은 사용 중 가능하면 건조하게 유지해야 함이 중요하다. 실금 안전장치의 건조한 표면은 또한 사용 중 더욱 상쾌하고 사용자에게 더욱 안락하고, 교환 시 실금 안전장치를 취급할 때 시각적으로 깨끗하고 젖은 표면보다 더욱 만족스럽다.
액체불투과성 커버 층(3)은 액체불투과성 재료로 구성된다. 얇고, 액체불투과성인 플라스틱 막은 이러한 목적에 적당하다. 그러나, 처음에 액체투과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나, 플라스틱, 수지 또는 다른 액체불투과성 재료가 제공되어져 왔다. 이러한 방식으로, 흡수 물품의 이면으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이 예방된다. 액체불투과성 커버 층(3)은 따라서 피부와 양립할 수 있고 액체불투과성의 기준을 만족하는 임의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장벽 층으로 적당한 물질의 예는 플라스틱 막, 부직포 물질 및 여러 형태의 적층물이다. 사용될 수 있는 플라스틱 막의 예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것이다. 다르게는, 액체불투과성 커버 층(3)은 흡수체 쪽으로 향하는, 액체불투과성 플라스틱 층의 적층물, 그리고 사용자의 내의 쪽으로 향하는 부직포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구조는 직물 감촉을 갖는 누출없는 장벽 층을 만든다.
흡수체(4)는 본질적으로 셀룰로오스 플러프 펄프로 유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그들 자신의 중량의 수 배의 물 또는 체액을 흡수할 능력을 갖는 중합체인, 소위 초흡수제의 혼합물과 함께 또는 없이 건조상태에서 탈섬유화되고 플러프 형태에서 펄프 시트로 전화된 롤, 곤포 또는 시트의 형태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물질의 예는 면사, 피트모스 등의 여러 형태의 천연섬유이다. 물론 흡수성 합성 섬유 또는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흡수 재료는 또한 액체를 확산시키기 위한 부재 등의 다른 성분, 또는 예컨대 열처리되어 하나의 연속적 단위로 단사 및 입자를 함께 보유하도록 하는 열가소성 섬유 등의 결합제를 함유한다. 또한 흡수체(4)내에 다른 형태의 흡수성 발포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흡수체(4)는 하나의 연속적 층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복수의 다른 층 또는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두 커버 층(2), (3)은 흡수체(4)의 외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실금 안전장치(1)의 전체 주변 둘레로 돌출한 마아진(5)을 형성한다. 커버 층 (2), (3)은 점착성 결합, 바느질, 또는 열 또는 초음파 용접 등에 의해 임의의 적당한 방법으로 결합된다.
실금 안전장치(1)는 본질적으로 모래시계 형태이고 사용 중 사용자의 앞뒤로 향하도록 한 두개의 말단부(6), (7)를 갖고, 또한 사용자의 가랑이에 배치되도록 한 중간의 폭이 좁은 가랑이 부(8)를 갖는다. 실금 안전장치(1)는 또한 내부로 만곡한 두 측면에지(9), (10)와 외부로 만곡한 두 말단에지(11), (12)를 갖는다.
실금 안전장치(1)의 두 말단 부(6), (7) 및 가랑이 부(8)로의 구분은 다른 부분(6) 내지 (8) 사이에 뚜렷한 경계가 있다는 의미로 간주되어서는 안되지만, 주로 사용자의 몸에 관련하여 어떻게 배치되게 하였나에 대하여 다른 부분 (6) 내지 (8)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를 기준으로 실금 안전장치(1)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다른 부분(6) 내지 (8)간의 전이는 규정된 횡단 선에서가 아닌, 오히려 각각의 말단 에지(11), (12)로부터 실금 안전장치의 길이의 약 1/3의 거리에 위치하는 전이 영역내에서 일어난다. 가랑이 부(8)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 중, 배설된 체액의 대부분을 수용하고 흡수하도록 한 실금 안전장치의 부분이 된다.
팬츠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실금 안전장치(1)는 실금 안전장치의 말단부(6), (7)에 배치되는 자기점착성 표면 형태의 고정 부재(13)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물론 점착성 고정 부재의 사용, 또는 도 1에 도시된 특수 점착성 형태에 제한되는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된다. 따라서, 점착성 고정부는 사용자의 팬츠 쪽으로 향하도록 한 액체불투과성 커버 층(3)의 전체면 위에 배치되거나, 길이방향의 세편, 스폿 또는 다른 적당한 형태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실금 안전장치는 다르게 구비될 수 있고, 또는 내리누름 단추, 클립 등의 기계적 고정 수단을 갖춘 점착성 고정 수단과 조합하여 구비될 수 있다.
고무, 탄성 부직포,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 재료의 테이프 형태의 탄성 부재(14)는 실금 안전장치(1)의 횡단 중심선(15)을 따라 배치된다. 탄성 부재(14)는 실금 안전장치의 측면 에지(9), (10)사이에 연장되고 돌출 마아진(5)내의 두 커버 층(2), (3)사이에 고정된다. 탄성 부재는 또한 흡수체(4) 및/또는 액체투과성 커버 층(2)내의 구성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14)는 긴장된 상태로 실금 안전장치(1)에 고정되기 때문에, 탄성 부재(14)는 긴장되지 않은 상태를 회복하려고 한다. 그렇게 함에 있어, 실금 안전장치의 가랑이 부(8)는, 도 2에 가장 잘 도시될 수 있듯이, 컵 형태로 만곡해진다.
실금 안전장치의 제어되고 잘 규정된 형상화를 얻기 위해, 그리고 안전장치의 원하지 않는 변형 및 구김을 피하기 위해, 굽힘에 대해 강성인 형상화 요소(16)가 액체불투과성 커버 층(3)과 흡수체(4) 사이에 배치된다. 형상화 요소는 유리하게 발포체 재료 또는 플라스틱의 강성 및 탄성 층으로 이루어져 탄성 부재(14)의 수축력에 반대로 작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물품의 액체불투과성 커버 층(3)은 주름이나 구김살없이, 평탄한 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물품의 측면 에지(9), (10)가 액체투과성 커버 층(2)을 가로질러 접혀지는 것을 또한 예방하는 데, 이는 그러한 내부 접힘이 강성 형상화 요소에 의해 중화되기 때문이다.
형상화 요소(16)는 직사각형 시트의 재료로서 도시된다. 물론 형상화 요소가 다른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고; 예컨대, 도 3에 도시되는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생각할 수 있는 형상화 요소는 하나 이상의 횡단 "리브같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형상화 요소(16)는 탄성 부재(14)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후자와 협력할 수 있어야 한다.
도시된 예에서, 실금 안전장치(1)는 오직 하나의 탄성 부재(14)를 갖는다. 물론 형상화 요소(16)와 함께 실금 안전장치(1)의 컵 형태를 이루는 복수의 본질적으로 횡단 탄성 부재를 대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실금 안전장치의 가랑이 부(8)에서 컵 형성의 정도는 탄성 부재 갯수의 선택 및 실금 안전장치에 배치된 탄성 부재로 인한 원응력에 의해 제어된다. 예컨대, 탄성 부재를 사용하여 상호간의 원응력을 주어, 실금 안전장치(1)의 횡단 중심선(15)에서 가장 깊고 실금 안전장치의 말단 부(6), (7)가 같은 수준인 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금 안전장치의 굽힘을 제어하는 다른 방법은 형상화 요소(16)를 위한 재료의 선택을 통해서이다. 따라서, 탄성 부재(14)의 동일한 원응력이 주어지면, 형상화 요소(16)가 더 뻣뻣할 수록 컵 형성이 작아진다. 게다가, 형상화 요소(16)는 실금 안전장치의 적당한 굽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오목부, 홈, 주름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 방법으로 가능했던 것보다 더 뻣뻣한 재료의 형상화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형상화 요소(16)는 적셔진 후에도 기계적 특성이 주된 영향을 받지 않는 재료로 본질적으로 제조됨이 유리하다. 재료의 강성이 적셔진 후에 유지되는 것이 특히 편리하다. 하지만, 형상화 요소는 체액을 흡수하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점차적으로 그 강도를 상실한다. 그러한 재료의 예는 WO 94/10953 및 WO 94/10956에 기술되는 섬유 층이다. 이러한 물질은 이전 단계로 탈섬유 단계없이 실금 안전장치내에 배치되는 고농도 및 강도의 건조형성된 섬유 층이다. 기재된 물질은 원하는 컵 형태를 만들도록 탄성 부재와 협력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컵의 밑 부분이 일정 시간 후에 그 강도를 상실하더라도, 재료의 주변부에서의 강도는 여전히 남아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이것은 실금 안전장치의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실금 안전장치가 사용 중인 동안 충분히 높게 확보될 만큼 충분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 부재(14)는 사용자 쪽으로 향하도록 한 흡수체(4)의 표면 상에 배치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실금 안전장치가 사용자 몸 쪽으로 컵이 형성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만곡해져야 하고, 솟은 언덕이 아님을 의미한다.
도 1 및 2에 도시되는 실금 안전장치(1)는 또한 흡수체(4)내에 형성되는 초승달형태의 오목부(17), (18)를 갖는다. 오목부(17), (18)은 흡수체(4)의 횡단 만곡을 용이하게 하고 실금 안전장치(1)의 가랑이 부(8)에서 가장 깊은 컵형태의 공간의 형성에 기여하도록 한다. 실금 안전장치가 만곡해짐에 따라, 액체투과성 커버 층(2)에 위치한 각각의 오목부(17), (18)의 에지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모아진다. 이는 자유로운 방식으로 흡수체가 접혀짐이 없이 실금 안전장치의 측면 에지(9), (10)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게 한다.
도 4에 도시되는 실금 안전장치(401)의 경우에, 액체불투과성 커버 층(403)은 동시에 형상화 요소(416)로서 작용하는 재료로 구성된다. 실금 안전장치(401)는 끈, 테이프 등의 형태의 많은 횡단 탄성 부재(414)를 구비하여, 형상화 요소(416)과 협력하여 실금 안전장치가 컵 형태를 형성하도록 한다. 실금 안전장치는 또한 안전장치(401)의 측면 에지(409), (410)를 따라 배치되는 길이방향의 탄성 부재(419), (420)을 가져 실금 안전장치(401)가 또한 길이방향으로 만곡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이 실금 안전장치과 관련하여 위와 같이 기술되었지만, 월경대 및 어린이 및 실금 성인을 위한 기저귀에 물론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기서 기술되는 예증적 구체예에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고, 대신 많은 다른 변형 및 변경이 첨부된 청구항의 영역내에서 가능하다. 따라서, 예컨대, 기재된 예증적 구체예의 생각할 수 있는 모든 조합이 본 발명에 의해 포함될 것이다.

Claims (12)

  1. 길이방향 및 횡방향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두 측면 에지(9, 10) 및 횡방향으로 연장된 두 말단 에지(11, 12)를 갖고, 액체투과성 커버 층(2), 액체불투과성 커버 층(3), 및 두 커버 층(2, 3) 사이에 에워싸인 흡수체(4)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4)가 물품의 가랑이 부(8)에 원응력을 주면서 두 측면 에지(9, 10) 사이에 물품의 횡방향으로 본질적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흡수 물품에 있어서,
    탄성 부재(14)가 흡수체(4)의 제 1 표면 위로 액체투과성 표면 층(2)과 흡수체(4)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물품의 횡방향으로의 굽힘에 강성인 형상화 요소(16)가 흡수체(4)의 제 2 표면 위로 물품의 측면 에지(9, 10) 사이에 배치되고, 형상화 요소(16)가 탄성 부재(14)의 수축에 반대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형상화 요소(16)가 굽힘에 대해 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형상화 요소(16)가 발포체 재료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형상화 요소(416)가 물품의 액체불투과성 커버 층(403)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5.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형상화 요소(16)가 습윤 상태 및 건조 상태에서 본질적으로 동일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6. 제 1 항에 있어서, 형상화 요소(16)가 적어도 0.1 g/㎤의 밀도를 갖는 강하게 압축된 섬유 재료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7.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체(4)가 굽힘 노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8. 제 7 항에 있어서, 굽힘 노치가 흡수체(4)내에 오려낸 부분(17, 1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9. 제 8 항에 있어서, 굽힘 노치가 흡수체(4)내에 압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10.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끈, 밴드 등의 형태의 많은 탄성 부재(414)가 물품의 측면 에지(9, 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11.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형상화 요소(16)가 굽힘 노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12.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형상화 요소가 물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리된 적어도 2 개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물품.
KR1020007001143A 1997-08-20 1998-08-04 형태-안정성 흡수 물품 KR200100225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702999-5 1997-08-20
SE9702999A SE510391C2 (sv) 1997-08-20 1997-08-20 Absorberande alster
PCT/SE1998/001434 WO1999008639A1 (en) 1997-08-20 1998-08-04 Shape-stable absorbent art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552A true KR20010022552A (ko) 2001-03-26

Family

ID=20407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143A KR20010022552A (ko) 1997-08-20 1998-08-04 형태-안정성 흡수 물품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6520945B1 (ko)
EP (1) EP1011579B1 (ko)
JP (1) JP2001514929A (ko)
KR (1) KR20010022552A (ko)
AR (1) AR009900A1 (ko)
AT (1) ATE233526T1 (ko)
AU (1) AU734874B2 (ko)
CA (1) CA2295642A1 (ko)
CO (1) CO4810379A1 (ko)
DE (1) DE69811916T2 (ko)
DK (1) DK1011579T3 (ko)
ES (1) ES2194333T3 (ko)
GB (1) GB2328377A (ko)
MY (1) MY133033A (ko)
PE (1) PE109399A1 (ko)
PL (1) PL337941A1 (ko)
RU (1) RU2204974C2 (ko)
SE (1) SE510391C2 (ko)
TN (1) TNSN98152A1 (ko)
TW (1) TW360528B (ko)
WO (1) WO1999008639A1 (ko)
ZA (1) ZA9873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651B1 (ko) * 1998-12-01 2007-04-24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EP1535589A1 (en) * 2002-08-29 2005-06-01 Pigeon Corporation Absorptive product
JP3805732B2 (ja) * 2002-08-29 2006-08-09 ピジョン株式会社 吸収性製品
US7462172B2 (en) 2003-12-11 2008-12-09 Dsg Technology Holdings Ltd. Elastic composite for a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DE102004032377A1 (de) * 2004-06-29 2006-01-26 Paul Hartmann Ag Wegwerfbarer absorbierender Hygieneartikel in Pantform
JP4870365B2 (ja) * 2005-02-23 2012-02-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8652116B2 (en) * 2005-09-30 2014-02-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ferential bend structure and articles containing said structure
JP4917366B2 (ja) * 2006-07-07 2012-04-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EP2214613B1 (en) * 2007-11-20 2013-03-20 Sca Hygiene Products AB Shaped absorbent article with edge elastics
JP5185765B2 (ja) * 2008-10-14 2013-04-17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JP5350078B2 (ja) * 2009-05-28 2013-11-27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尿吸収物品
CN106389012B (zh) * 2009-10-28 2020-04-14 瑞德科技控股有限公司 具有一定分布型式吸收芯部的一次性吸收物件
JP5436268B2 (ja) * 2010-02-26 2014-03-0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3648460B (zh) 2010-09-16 2016-07-06 瑞德科技控股有限公司 具有弹性分布的物件及其制造系统和方法
US10993849B2 (en) 2010-09-16 2021-05-04 Dsg Technology Holdings Ltd. Article with chassis having an elastic distribution, absorbent core and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5939773B2 (ja) * 2010-12-22 2016-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の吸収層
US9351886B2 (en) 2013-03-15 2016-05-31 Dsg Technology Holdings Ltd. Absorbent articles with elastic core
EP3058916B1 (en) 2015-02-17 2018-01-3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ackage for absorbent articles forming a three-dimensional basin
EP3058912B1 (en) 2015-02-17 2018-11-0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forming a three-dimensional basin
EP3058910B1 (en) 2015-02-17 2019-04-1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forming a three-dimensional basin
EP3058915B1 (en) * 2015-02-17 2018-11-0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for absorbent articles
CN108601680B (zh) 2015-11-24 2021-08-17 Dsg 科技控股有限公司 一种弹性芯体复合材料或组件以及制造弹性复合材料组件的系统和方法
US12016756B2 (en) 2017-12-19 2024-06-25 Lyv Life, Inc. Ultrathin absorbent hygienic pads
USD926974S1 (en) * 2019-03-01 2021-08-03 Lyv Life, Inc. Ultrathin absorbent bladder liner with absorbent pod
USD917043S1 (en) 2019-03-01 2021-04-20 Lyv Life, Inc. Ultrathin absorbent asymmetrical bladder liner
USD917044S1 (en) 2019-03-01 2021-04-20 Lyv Life, Inc. Ultrathin absorbent asymmetrical bladder liner with channel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33429B (sv) * 1979-02-02 1984-05-28 Moelnlycke Ab Engangsbloja
SE8202090L (sv) 1982-04-01 1983-10-02 Moelnlycke Ab Absorberande produkt
GB2168612B (en) * 1984-12-21 1988-12-14 Smith & Nephew Ass Sanitary product
SE453886B (sv) 1986-07-02 1988-03-14 Moelnlycke Ab For engangsanvendning avsedd vetskabsorberande artikel, foretredesvis ett inkontinensskydd
SE455667B (sv) * 1986-12-19 1988-08-01 Moelnlycke Ab Menstruationsbinda
US5171302A (en) * 1988-03-31 1992-1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central hinge
US4895568A (en) * 1988-08-18 1990-01-23 Kimberly-Clark Corporation Diaper liner with selectively elasticized portions
US5591150A (en) * 1991-07-23 1997-01-0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having a resilient body-conforming portion
SE508961C2 (sv) 1992-11-17 1998-11-23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struktur och absorberande alster innehållande strukturen ifråga
SE508261C2 (sv) * 1993-12-13 1998-09-21 Moelnlycke Ab Blöja
SE502818C2 (sv) 1994-05-16 1996-01-22 Moelnlycke Ab För engångsanvändning avsedd vätskeabsorberande artikel
JP3053561B2 (ja) * 1995-10-19 2000-06-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9702999L (sv) 1999-02-21
US6520945B1 (en) 2003-02-18
EP1011579A1 (en) 2000-06-28
GB2328377A (en) 1999-02-24
DK1011579T3 (da) 2003-06-23
CO4810379A1 (es) 1999-06-30
TW360528B (en) 1999-06-11
PE109399A1 (es) 1999-11-22
ES2194333T3 (es) 2003-11-16
CA2295642A1 (en) 1999-02-25
WO1999008639A1 (en) 1999-02-25
ATE233526T1 (de) 2003-03-15
TNSN98152A1 (fr) 2000-12-29
DE69811916D1 (de) 2003-04-10
MY133033A (en) 2007-10-31
SE510391C2 (sv) 1999-05-17
PL337941A1 (en) 2000-09-11
ZA987333B (en) 1999-02-16
JP2001514929A (ja) 2001-09-18
AU8470898A (en) 1999-03-08
DE69811916T2 (de) 2003-12-04
SE9702999D0 (sv) 1997-08-20
EP1011579B1 (en) 2003-03-05
RU2204974C2 (ru) 2003-05-27
AU734874B2 (en) 2001-06-21
AR009900A1 (es) 2000-05-03
GB9818089D0 (en) 1998-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2552A (ko) 형태-안정성 흡수 물품
EP1551344B1 (en) Absorbent article with multiple core
JP3859419B2 (ja) 吸収性物品
KR20010030800A (ko) 높은 수집 용량을 갖는 폐기가능 흡수용품
US20120078209A1 (en) Absorbent article
IE70064B1 (en) Disposable urinary pad
CN1121432A (zh) 具有一个与身体相适应的吸湿芯的吸湿用品
JPH06296644A (ja) 吸収性物品
JP2001504729A (ja) 高く持ち上げられた部分を有する吸収物品
AU780631B2 (en) Absorbent article
WO2004019849A1 (ja) 吸収性物品
RU2277403C2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такое как гигиеническая прокладка, подгузник, защит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используемое при недержании, или прокладка для трусов
US6610902B1 (en) Absorbent structure for use in an absorbent article
JP3740790B2 (ja) 使い捨ておむつ
AU2508399A (e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 component layer having a hindrance to fluid flow across the layer
JP7484188B2 (ja) 吸収性物品
JP7171986B2 (ja) 吸収性物品
JP7596635B2 (ja) 吸収性物品
RU2305526C2 (ru) Ад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с улучшенной прилегаемостью
KR100710651B1 (ko) 흡수성 물품
CA2527045C (en) Absorbent articles
KR20180125955A (ko) 흡수성 물품
MXPA99004367A (en) Absorbent article with a reinforced h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2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7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12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10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