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20741A - 신규의 생체 활성화 물질 - Google Patents

신규의 생체 활성화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0741A
KR20010020741A KR1020000019528A KR20000019528A KR20010020741A KR 20010020741 A KR20010020741 A KR 20010020741A KR 1020000019528 A KR1020000019528 A KR 1020000019528A KR 20000019528 A KR20000019528 A KR 20000019528A KR 20010020741 A KR20010020741 A KR 20010020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ance
activated
added
tissues
silicic ac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니시진에몬
Original Assignee
고니시 진우에몬
니폰 조키 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니시 진우에몬, 니폰 조키 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니시 진우에몬
Publication of KR20010020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741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80Polymers contain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755 - A61K31/79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6Skin; Hair; Nails; Sebaceous glands; Cerumen; Epidermis; Epithelial cells; Keratinocytes; Langerhans cells; Ectodermal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ll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Vi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우 고활성의 생리활성을 보유한 신규의 생체 활성화 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규의 생체 활성화 물질은, 동물 또는 식물조직에 내적ㆍ외적 스트레서를 가하여 활성화한 조직으로부터 추출한 식물에 규산염을 첨가하거나 또는 규산 함량이 높도록 추출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생체 활성화 물질은 활성화 조직으로부터 추출한 기존의 생리 활성 물질에 비해 매우 고활성으로, 의약 등으로서 유용성이 높다.

Description

신규의 생체 활성화 물질{NOVEL BIOACTIVATING SUBSTANCE}
본 발명은, 동물 또는 동물조직에 내적ㆍ외적 스트레서를 가하여 활성화된 조직으로부터 추출된 물질에 규산염을 첨가하거나 또는 규산 함량이 되도록 추출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고활성의 신규 생체 활성화 물질에 관한 것이다.
생체는 내적ㆍ외적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생체의 물리ㆍ화학적 상태를 어느 정도 안정한 생리적 조건내로 조절ㆍ유지하여, 개체로서의 생명을 유지하고 있다. 생체는 이러한 항상성을 유지하고 조절하기 때문에, 각종 물질을 항상 체내생산하는 것과 동시에,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침입이나 종양세포의 발생시에는 이들의 외적, 내적 침습에 대한 저항물질을 아울러 체내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어떠한 원인으로 이 생체기능의 밸런스가 무너지고, 이것이 만성화하면, 소위 병태로서의 각종 질병이 발현하게 된다. 질병의 이상적 치료법은, 생체의 항상성 유지기능을 부활ㆍ조절하여, 흐트러진 생체기능의 병적 밸런스를 정상상태로 수복시키는 것이다. 생체기능의 유지ㆍ정상화는, 특히 세포표면의 각종 리셉터나 나트륨, 칼륨, 칼슘 등의 이온채널을 통해 행해진다고 하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포유동물의 세포에서는 DNA의 손상수복력이 저하하거나 프리라디칼의 생체생산이 노화나 교원병, 발암을 촉진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또 콜라겐은 피부나 혈관, 연골이나 안구, 견장 등에 널리 존재하는 비세포 물질이지만, 나이가 들면서 콜라겐질의 가교화가 진행되어 탄력을 잃어 가볍게 된다.
항원 항체 반응에 있어서, 체구성세포 중의 비만세포로부터 방출되는 히스타민은 각종 알레르기반응의 원인으로 되지만, 이 비만세포의 파열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유함으로써, 이상 병태를 완화시켜 정상화에 기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자는, 병태시에 생기는 생체의 세포기능부전에 따른 신경계, 내분비계의 이상을 조절하고, 이것을 수복하는 생체의 항상성 유지기구에 착안하여, 생체내, 특히 생체의 외적ㆍ내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기에 생체내에서 생산되는 물질, 즉 생체조직의 활성화시에 생산되어, 생체의 자연치유력을 높이고, 생체의 기능정상화에 작용하는 물질에 관련하여 예의연구해 오던 중, 보다 고활성화를 보유한 신규의 생체 활성화 물질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각종 동물 또는 동물세포에 스트레서로서 바이러스나 종양세포를 접종하여 세포를 활성화시킨 후, 이 활성화 조직으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하고, 여기에 가용성 규산염을 첨가하거나, 또는 규산 함량이 높도록 상기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하는 것에 의해서 얻어진 고활성의 신규 생체 활성화 물질로서, 히스타민 유리억제작용 및 히알로니다아제 활성저해작용 등의 생리활성을 보유하고, 병태시에 발생하는 기능이상을 수복하여, 정상화하는 생체기능의 조절ㆍ유지물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고활성의 생리활성을 보유한 신규의 생체 활성화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물질은, 동물의 활성화 조직을 마쇄(磨碎)하고, 추출용매를 가하여 조직편을 제거한 후, 단백질 제거처리를 행하고, 이것을 흡착제에 흡착시키고, 다음에 흡착성분을 용출하여 얻어진 생리활성물질에 일정량의 가용성 규산염을 첨가하거나, 또는 규산 함량이 높도록 흡착제로부터 용출조작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고생리활성을 보유한 신규의 생체 활성화 물질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물조직으로는, 사람 및 각종 동물의 바이러스 감염 배양조직, 배양세포 및 바이러스 감염 염증조직 또는 부화 계란의 장요막(漿尿膜) 등을 사용하고, 동물조직의 활성화에 사용되는 스트레서로의 바이러스로는, 왁치니아 바이러스, 우두바이러스, 두창바이러스, 액트로메리어바이러스, 원숭이폭스바이러스, 등의 올소폭스바이러스, 오프바이러스, 파라왁치니아바이러스, 소 난두상구내염 바이러스 등의 파라폭스라이러스, 양폭스바이러스, 염소폭스바이러스, 괴피병(塊皮病)바이러스 등의 양폭스바이러스, 닭폭스바이러스, 산토끼 선유종 바이러스 등의 닭폭스바이러스, 토끼점액종 바이러스 등의 토끼폭스바이러스, 그 이외에 돈두(豚痘)바이러스, Yava원숭이종양바이러스, Tara폭스바이러스 등의 폭스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바이러스류 등을 사용한다. 또한 스트레서로서의 종양세포로는 사람 또는 각종 동물세포 유래의 종양배양세포주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동물, 동물조직에 접종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활성화 조직을 얻기 위한 동물로는, 토끼, 소, 말, 양, 염소, 돼지, 닭 등의 가축ㆍ가금류, 또는 원숭이, 쥐, 모르모트, 햄스터 등의 포유동물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는 스트레서의 종류나 목적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또, 배양세포로는, 사용하는 스트레서가 증식가능한 배양세포이면 좋고, 예컨대, 사람혈구나 태반 등의 각종 조직 및 상기 동물 및 이 태아의 견장, 피부, 폐장, 고환, 간장, 근육, 부견, 갑상선, 뇌, 신경세포, 혈구 등 각 조직의 배양세포를 들 수 있다.
이 활성화 조직을 무균적으로 채취하여 마쇄하고, 이것의 1 내지 5배량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유화 현탁액을 만든다. 추출용액으로는, 증류수, 생리식염수, 약산성 내지 약염기성의 완충액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글리세린 등의 안정화제, 페놀 등의 살균ㆍ방부제, 염화 나트륨, 염화 칼륨, 염화 마그네슘 등의 무기염류 등을 적당히 첨가하여도 좋다. 이 때, 동결융해, 초음파, 세포막 용해효소 또는 계면활성제 등의 처리에 의해 세포조직을 파괴하여 추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얻어진 유상 추출물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조직편을 제거한 후, 단백질 제거처리를 행한다. 단백질 제거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고, 가열, 초음파, 단백질변성제, 예컨대 산, 염기, 요소, 구아닌, 유기용매, 계면활성제 등에 의한 처리, 등전점침전, 염석 등의 방법을 적용할 수가 있다. 다음에, 여과지(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등), 유리필터, 세라이드, 자크 여과판 등을 사용한 여과, 한외여과, 겔여과, 이온교환수지, 원심분리 등에 의해 석출된 불용의 단백질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추출분화를, 염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등의 산을 사용하여 산성, 바람직하게는 pH 3.5 내지 5.5로 조정하고, 흡착제로의 흡착조작을 행한다. 사용가능한 흡착제로는, 활성탄, 카오린, 이온교환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추출액 중에 흡착제를 첨가하여 교반하거나, 흡착제를 충전한 칼럼을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유효성분을 흡착시킬 수가 있다.
흡착제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을 용출하는 것은, 상기 흡착제에 추출용매, 예컨대 염기성 수용액 또는 알코올 등의 물 혼화성 용매 또는 이들 혼합용액을 가하고, 바람직하게는 pH 9 내지 12로 하여 실온 또는 적당히 가열하거나 또는 교반하여 용출하고, 여과 등의 통상의 방법으로 흡착제를 제거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다음에 필요에 따라서, 크로마토그래피, 한외여과법, 역침투여과법 등을 사용한 투석법 등 관용의 방법을 사용하거나 또는 탈염기처리하는 것에 의해서, 보다 정제의 생리활성물질을 얻을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활성화 조직으로부터 추출한 생리활성물질은, 건고물인 경우, 1mg 중 규산류를 규산환산량으로 하여 1~20㎍을 함유하는 것이다.
상기 생리활성물질에 첨가하는 규산류로는, 수용성 규산 또는 규산이 중합된 규산폴리머 및 그 염류가 있고, 이것은 올쏘규산, 메타규산, 메소이규산, 메소삼규산, 메소사규산 등의 규산이나 이들의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과의 염, 또 물유리 등이 단체 또는 폴리머화한 형태로 가해질 수 있다. 또, 경질 및 중질 무수규산을 알칼리 용액에서 용해한 형태가 가해질 수 있고, 수정, 석영, 장석, 화강암, 화강암, 감람암 등 규소를 다량으로 함유한 광물질을 알칼리 용융한 물질이나 규조토, 벤트나이트유리, 활성탄을 알칼리성 물질로 처리한 것을 가할 수도 있고, 또는 규소 함유의 고토크서, 자령지, 두중(杜中), 벼, 보리, 대나무, 참억새, 쇠뜨기, 해선(海線), 규조류 등의 식물 또는 동물 또는 규조토로부터 추출한 가용성 규산염을 가할 수 있다. 또, 활성화 조직으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을 제조할 때, 활성탄, 카오린, 벤트나이트 등의 흡착제에 의해 용출하는 경우, pH의 상승이나 용출시간의 연장, 용출온도의 상승에 의해 흡착제로부터 규조류가 혼입되어, 규산 함유량이 높은 본 발명의 생체 활성화 물질을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물질 중의 규소 화합물은, 그 사용목적에 따라서, 또 그 작용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상기 생리활성물질에 적당히 첨가ㆍ함유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물질 중에 함유된 규소류는, 수용성 규산 또는 규산염이 중합된 규산폴리머이고, 이들은 올쏘규산, 메타규산, 메소이규산, 메소삼규산, 메소사규산 등의 규산이나 이들의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과의 염 등이 단체 또는 폴리머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물질 중에는 건고물 1mg 중 규소류를 규소환산량으로 하여 20㎍ 이상을 함유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낸다.
(1) 활성화 조직으로부터 추출ㆍ제조한 물질로서, 아미노산 (닌하이드린반응), 당(오르시놀-염화철Ⅲ-염산법), 인(몰리브덴블루법) 및 규산(몰리브덴블루법)에 대한 정색반응이 양성이고, 단백질(트리클로로초산법) 및 페놀(염화철 시험법)에 대한 정성반응이 음성이고, 건고물 1mg 중 규소류를 규소환산량으로 하여 20㎍ 이상을 함유하는 신규의 생체 활성화 물질.
(2) 활성화 조직으로부터 추출한 물질에 규산염을 가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생체 활성화 물질.
(3) 활성화 조직으로부터 추출한 물질에 규산폴리머를 가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생체 활성화 물질.
(4) 활성화 조직으로부터 추출한 물질에, 산화규소를 수산화 나트륨 또는 수산화 칼륨으로 용해한 규산염을 가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생체 활성화 물질.
(5) 활성화 조직으로부터 추출한 물질에, 규소 함량이 높은 토크서, 자령지, 두중, 벼, 보리, 대나무, 참억새, 쇠뜨기, 해선, 규조류 등의 식물 또는 동물 또는 규조토로부터 추출한 가용성 규산염을 가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생체 활성화 물질.
(6) 활성화 조직으로부터 추출한 물질에, 수정, 석영, 장석, 화강암, 감람암, 유리 등의 규소를 다량으로 함유한 암석류를 알칼리로 추출한 규산을 가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생체 활성화 물질.
(7) 활성화 조직으로부터 추출할 때, 흡착제로부터의 용출조작에 있어서 규소의 혼입을 증가하여 얻어지는 상기 (1)에 기재된 생체 활성화 물질.
이하에는, 본 발명의 물질의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건강한 성숙 집토끼의 피부에 왁치니아 바이러스를 접종하고, 활성화시킨 후, 활성화한 피부를 무균적으로 박출하고, 이것을 미세하게 절단하여 물을 가하고, 호모게나이저로 마쇄하여 유상물을 만들었다. 다음에 이것을 가압여과하고, 얻어진 여과액을 염산으로 pH 5.0으로 조정한 후, 100℃에서 가열하였다. 여과하여 단백질을 제거한 뒤, 수산화 나트륨으로 pH 9.1로 만들고, 추가로 100℃에서 가열처리한 후 여과를 행하였다. 여과액을 염산으로 pH 4.1로 조정하고, 활성탄 2%를 가하여 2시간 교반한 후 여과를 행하였다. 여과액은 활성탄 5.5%를 추가로 가하여 2시간 교반한 후 여과를 행하였다. 최초로 여과하여 얻은 활성탄에 물을 가하고, 수산화 나트륨으로 pH 9.9로 만들고, 60℃에서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를 행하였다. 최초의 활성탄 및 다음의 활성탄에 물을 가하고, 수산화 나트륨으로 pH 10.9로 만들고, 60℃에서 1.5시간 교반한 후 여과를 행하였다. 여과액을 합하여 염산으로 중화한 후, 감압하에서 건고하였다. 활성화 피부 1kg으로부터의 수량은 4g이었다. 이것을 발두(發痘)피부 추출물로 한다. 이 추출물은 이하의 성질을 보유한 것이었다.
(1) 성상: 담황갈색 무정형의 흡습성 분말이다.
(2) 용해성: 물에 가용, 벤젠, 에테르에 불용
(3) pH: 7.5
(4) 자외부 흡취: λmax= 270nm
(5) 정색반응: 아미노산(닌하이드린반응:양성), 당(오르시놀-염화철Ⅲ-염산법:양성), 인(몰리브덴블루법:양성), 단백질(트리클로로초산법:음성), 페놀(염화철 시험법:음성)
물 100mL에 상기 발두피부 추출물 1g, 메타규산 나트륨 500mg(규소로서 50mg)을 가한다. 이것을 염산으로 pH 7.5로 만든 후, 감압하에서 건고하여 본 발명의 생체 활성화 물질을 분말상으로 한 것을 얻었다.
(실시예 2)
백금 또는 니켈의 도가니에 경질의 무수규산 3g 및 수산화 나트륨 2g을 넣고, 물 13mL를 가하여 교반하였다. 이 도가니를 더 가열하여 5분간 비등시킨 후, 이 액에 물을 가하여 100mL를 만들었다. 이 액 100mL 중에는 규소 1.4g을 함유시켜서, 이것을 규산용액으로 한다. 물 100mL에 실시예 1의 발두 추출물 0.5g 및 규산용액 2.1mL를 가하여 pH 7.5로 되게 하고, 감압하에서 건고하였다.
(작용)
본 발명의 생체 활성화 물질은 종래의 발두피부 추출물에 비해 규소 화합물이 고함량으로 된 것이고, 그 생리활성효과로는, 비만세포로부터의 히스타민 유리억제작용, 히알로니다아제 활성저해작용, 히스타민 환류에 의한 비강내 혈관 투고성의 억제작용, Ⅱ형 알레르기 반응 억제 등의 효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하, 비만세포로부터의 히스타민 유리억제작용 및 히알로니다아제 활성저해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비만세포로부터의 히스타민 유리억제작용
위스터계 쥐의 머리를 자르고 복강내부터 비만세포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취출하였다. 이 세포액에 시료용액 및 화합물 48/80을 가하고, 37℃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냉각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유리 히스타민을 올쏘프탈알데히드로 형광을 발생시켜서 측정을 행하였다. 시료의 첨가에 의한 히스타민 유리의 억제율을 %로 나타내었다. 시료용액중의 발두피부 추출물의 농도를 15mg/mL로 하고, 각종 농도로 규소류를 함유시킨 발두피부 추출물에 대하여 히스타민 유리억제작용을 조사하여, 본 발명의 생체 활성화 물질이 고활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의 일 예를 표 1에 나타낸다.
시료용액 중의 규소농도 히스타민 유리억제율(%)
100㎍/mL 16.9
300㎍/mL 43.4
400㎍/mL 53.0
500㎍/mL 65.1
(2) 히알로니다아제 활성저해작용
알레르기 반응인 PCA의 염증반응 부위에는 현관 투과성의 항진에 병행하여 히알로니다아제 활성이 상승한다는 것과, 또 히알로니다아제 활성의 저해가 모세혈관 투과성을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물질에 히알로니다아제 활성저해시험을 행하였다.
히알로니다아제 표준액(최종농도: 5단위/mL) 0.5mL 및 시험용액 0.5mL를 37℃에서 10분간 인큐베이트한 후, 그 0.1mL를 히알론산 용액(150㎍/mL) 0.9mL에 가하고, 37℃에서 15분간 인큐베이트하였다. 2.5mg의 소혈청 알부민을 함유한 초산 완충액(pH 4.0) 5m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정확하게 5분 후, 540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험 용액 대신에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였고 흡광도를 대조하여, 효소활성억제율을 구하였다. 시료용액 중의 발두피부 추출물의 농도를 150mg/mL로 하고, 본 발명의 생체활성물질의 히알로니다아제 활성저해작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의 일 예를 표 2에 나타낸다.
피검물질 시료용액중의 규소농도 저해율(%)
발두피부 추출물 50㎍/mL 10.9
본 발명의 생체 활성화 물질 500㎍/mL 89.1
상기 약리시험결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생체 활성화 물질은 활성화 조직으로부터 추출한 기존의 생리활성물질에 비해 매우 고활성을 보유하여, 항알레르기제 등의 의약로서 유용성이 높다.
본 발명의 생체 활성화 물질은, 의약용 각종 담체 또는 희석제와 적당히 조합시켜서 통상의 방법에 의해 각종 제제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경구 또는 비경구 투를 위한 고체, 반고체, 액체 또는 에어로졸 등의 제형으로 처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처방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물질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그 이외의 의약 활성성분과 적당히 조합시켜 처방하여도 좋다.
주사제로는, 수성용제 또는 비수성용제, 예컨대 주사용 증류수, 생리식염수, 링겔액, 식물유, 합성지방산 글리세리드, 고급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하고, pH를 조정하고, 등장화할 수가 있다. 또, 식염, 유당, 백당, 만니트 등과 함께 동결건조하고, 사용시 용해용 주사제로 한 것을 들 수가 있다.
경구투여제제로는, 그대로 또는 적당한 첨가제, 예커대, 유당, 만니트, 옥수수 전분, 결정셀룰로오스 등의 관용의 부형제와 함께, 셀룰로오스 유도체, 아라비아 고무, 옥수수 전분, 젤라틴 등의 결합제,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칼메로오스, 칼메로오스 칼슘 등의 붕괴제, 활석,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등의 활택제, 그 이외에 증량제, 습윤화제, 완충제, 보존제, 향료 등을 적당히 조합시켜서 정제, 산제, 과립제 또는 캡슐제로 한 것을 들 수가 있다. 또 환자의 상태나 질환의 종류에 따라서, 그 치료에 적합한 상기 이외의 제형, 예컨대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실리콘유, 유동파라핀, 우셀린, 각종 계면활성제과 함께 크림, 연고로 한 것을 들 수 있고, 또 위텝졸과 함께 좌제, 그 이외에 흡입제, 에어로졸, 파프제, 점안제 등으로 적당히 제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

  1. 활성화 조직으로부터 추출ㆍ제조한 물질로서, 아미노산(닌하이드린반응), 당(오르시놀-염화철Ⅲ-염산법), 인(몰리브덴블루법) 및 규산(몰리브덴블루법)에 대한 정색반응이 양성이고, 단백질(트리클로로초산법) 및 페놀(염화철 시험법)에 대한 정성반응이 음성이고, 건고물 1mg 중 규소류를 규소환산량으로 하여 20㎍ 이상을 함유하는 신규의 생체 활성화 물질.
KR1020000019528A 1999-04-15 2000-04-14 신규의 생체 활성화 물질 Withdrawn KR200100207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822199 1999-04-15
JP99-108221 1999-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741A true KR20010020741A (ko) 2001-03-15

Family

ID=1447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528A Withdrawn KR20010020741A (ko) 1999-04-15 2000-04-14 신규의 생체 활성화 물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65192B1 (ko)
EP (1) EP1046397A3 (ko)
KR (1) KR20010020741A (ko)
CN (1) CN1272365A (ko)
AU (1) AU763224B2 (ko)
CA (1) CA23058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721A (ko) 2000-02-18 2001-08-30 고니시 진우에몬 지방산 함유 조성물
KR101307999B1 (ko) 2004-12-01 2013-09-12 니폰 조키 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건조물 및 그 제조방법
US20060134646A1 (en) * 2004-12-17 2006-06-22 Ansari Aftab A Method for treatment of HIV infection
DE502006008670D1 (de) * 2006-07-14 2011-02-17 Paolo Colombini Magmatithaltige topische Zusammensetzung
TWI483729B (zh) 2010-03-11 2015-05-11 Nippon Zoki Pharmaceutical Co 慢性前列腺炎、間質性膀胱炎及/或排尿障礙之改善或治療劑
WO2012051173A2 (en) 2010-10-14 2012-04-19 Nippon Zoki Pharmaceutical Co., Ltd. A method for promoting the synthesis of collagen and proteoglycan in chondrocytes
WO2014178394A1 (ja) 2013-04-30 2014-11-06 日本臓器製薬株式会社 抽出物及び該抽出物を含有する製剤
CN104310407B (zh) * 2014-09-16 2017-02-08 苏州大学 一种仿生制备水溶性荧光硅纳米颗粒的方法
CN115212235A (zh) * 2022-07-25 2022-10-21 威世药业(如皋)有限公司 一种稀释后痘苗病毒致炎兔皮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97351A (en) 1951-01-16 1953-09-23 Masuichi Takino Improve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nerve sedatives
US4089883A (en) 1976-07-09 1978-05-16 Blount David H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organic hydroxy silicate compounds and their condensation products
JPS53101515A (en) 1977-02-17 1978-09-05 Nippon Zoki Pharmaceutical Co Medicine having anodyne * sedative and antiallergic activity and production thereof
JPS5777697A (en) 1980-11-04 1982-05-15 Nippon Zoki Pharmaceut Co Ltd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nsq
JPS57183720A (en) 1981-05-01 1982-11-12 Junji Mitani Health drug for fish farming
JPS5835117A (ja) 1981-08-25 1983-03-01 Nippon Zoki Pharmaceut Co Ltd 新規生理活性物質nsh
DE3670504D1 (de) 1986-06-16 1990-05-23 Agfa Gevaert Nv Verfahren zur umwandlung von roentgenstrahlen.
JPS6339572A (ja) 1986-08-05 1988-02-20 株式会社チノー 葉たばこ乾燥装置
JPS63185398A (ja) 1986-09-10 1988-07-30 Nippon Zoki Pharmaceut Co Ltd 生理活性物質測定法
JP2651674B2 (ja) 1987-07-23 1997-09-10 日本臓器製薬 株式会社 新規生理活性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US4863518A (en) 1987-10-19 1989-09-05 Blount David H Production of polyol-alkali metal silicate glass emulsion
US4985254A (en) 1987-11-06 1991-01-15 Nippon Zoki Pharmaceutical Co., Ltd. Method of treating ischemic diseases
ES2059816T3 (es) 1988-04-30 1994-11-16 Nippon Zoki Pharmaceutical Co Sustancias activas fisiologicamente, un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y composiciones farmaceuticas de las mismas.
JP2539665B2 (ja) 1988-06-20 1996-10-02 日本臓器製薬株式会社 神経疾患治療剤
JPH0343279A (ja) 1989-07-12 1991-02-25 Fujitsu Ltd 印字ヘッドギャップ設定機構
US5733871A (en) 1991-11-08 1998-03-31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neuronal damage associated with ischemia, hypoxia or neurodegeneration
JP2588109B2 (ja) 1993-03-19 1997-03-05 日本臓器製薬株式会社 鎮痛剤
JP2594222B2 (ja) 1993-09-28 1997-03-26 日本臓器製薬株式会社 新規生理活性物質−kf
JP2732379B2 (ja) 1995-12-18 1998-03-30 日本臓器製薬株式会社 知覚異常改善剤
JP4033936B2 (ja) 1997-01-08 2008-01-16 日本臓器製薬株式会社 一酸化窒素産生抑制剤
JPH1180005A (ja) * 1997-09-12 1999-03-23 Nippon Zoki Pharmaceut Co Ltd 骨粗鬆症治療剤
KR19990044835A (ko) * 1997-11-28 1999-06-25 고니시 진우에몬 생약추출물
AU2402399A (en) 1998-04-27 2000-11-02 Nippon Zoki Pharmaceutical Co., Ltd. A therapeutic agent for ischemic disea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46397A2 (en) 2000-10-25
EP1046397A3 (en) 2003-04-23
AU763224B2 (en) 2003-07-17
CN1272365A (zh) 2000-11-08
AU2778300A (en) 2000-10-19
CA2305825A1 (en) 2000-10-15
US6365192B1 (en) 2002-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9144B1 (ko) 신규 생리 활성 물질
CN116555176B (zh) 一种神经修复蛋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其应用
KR100347880B1 (ko) 상어연골추출물,그의제조방법및용도
HUE024101T2 (hu) Extracelluláris Streptomyces koganeinsis hialuronidáz
US10265345B2 (en) Use of extracts from rabbit skin inflamed by vaccinia virus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acute cerebrovascular disease
CN104522683A (zh) 一种具有抗氧化、延缓衰老作用的当归多肽在制备食品中的应用
KR101357078B1 (ko) 굴 패각을 이용한 항염증 또는 골관절염 저해 효과를 갖는 분획물의 분리방법
JP6169807B2 (ja) 多能性幹細胞遊走促進剤
KR20010020741A (ko) 신규의 생체 활성화 물질
CN104163847A (zh) 蝇蛆活性蛋白肽的制备方法与所制备的蝇蛆活性蛋白肽及其用途
US11045670B2 (en) Cosmetic use of extracts derived from somatic embryo enriched plant cell cultures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ose extracts
US2025007329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homogeneous polysaccharide or derivative thereof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o improve muscle satellite cells
EP2730585A1 (en) Protein-polypeptide complex with a specific effect on skin tissue, method for producing said complex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on the basis thereof
CN104000813A (zh) 槲皮素对糖尿病性白内障的防治作用
JP2000355544A (ja) 新規生体活性化物質
WO2018056412A1 (ja) シュワン細胞分化促進剤及び末梢神経再生促進剤
JP2539674B2 (ja) 新規生理活性物質
CN110179828B (zh) 含有痘苗病毒接种炎症组织提取物的n-乙酰基半乳糖胺转移酶表达促进剂
CN116059246B (zh) MSCs和AMP在制备干预特应性皮炎产品中的应用和制剂
CN118978571B (zh) 棉籽抗氧化肽e5r及其应用
KR20250049663A (ko) 트레할로스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항노화 기능성 강화 및 세포외소포 생성 촉진용 조성물
JP6849191B2 (ja) 筋損傷の予防又は治療剤
KR20240126260A (ko) 돈태반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우울증 또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GB2124900A (en) Product for stimulating the synthesis of melanotic pigment in the skin
CN107158038A (zh) 生物活性物质的制备方法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4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