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12315A - 가요성 저장 백 및 접을 수 있고 적층가능하며 자동복원가능한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가요성 저장 백 및 접을 수 있고 적층가능하며 자동복원가능한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2315A
KR20010012315A KR1019997010267A KR19997010267A KR20010012315A KR 20010012315 A KR20010012315 A KR 20010012315A KR 1019997010267 A KR1019997010267 A KR 1019997010267A KR 19997010267 A KR19997010267 A KR 19997010267A KR 20010012315 A KR20010012315 A KR 20010012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bag
opening
storage container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4924B1 (ko
Inventor
랜달캐서린진
메이어에릭월터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854,247 external-priority patent/US6164821A/en
Priority claimed from US08/853,773 external-priority patent/US5996882A/en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10012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9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58Elements for flattening or folding the mouth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결합된 외주 플랜지(31)에 의해 규정된 개구부를 갖는 반 폐쇄 저장용기를 형성하도록 조립된 적어도 한장의 가요성 시트 재료를 포함하는 가요성 저장 백(10)을 제공한다. 힌지결합된 개구부를 밀봉하여 플랜지는 반 폐쇄 저장용기를 폐쇄 저장용기로 전환시키기 위한 폐쇄 수단을 구비한다. 바닥이 수평면상에 배치될 때, 저장용기는 자립하며, 그리고 개구부를 개방 상태로 유지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제 1 개방 말단 및 제 2 개방 말단을 구비한 단일의 연속 관상 측벽을 포함하는 접을 수 있고 적층가능하며 자동 복원가능한 저장용기(101)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개방 말단 및 제 2 개방 말단은 그를 통해 연장되는 축방향을 규정한다. 관상 측벽은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반응하여 접을 수 있고 그리고 외력이 제거되면 자동 복원가능하다. 반 폐쇄 저장용기를 폐쇄 저장용기로 선택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관상 측벽에 부착된 리드(401)가 저장용기를 완성시키며, 관상 측벽에 리드를 밀봉시키기 위해 폐쇄 수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요성 저장 백 및 접을 수 있고 적층가능하며 자동 복원가능한 저장용기{FLEXIBLE, COLLAPSIBLE, SELF-SUPPORTING STORAGE BAGS AND CONTAINERS}
다양한 품목의 봉쇄 및 보호 뿐만 아니라 식품류와 같은 상하기 쉬운 재료의 보존에 사용하기 위한 가요성 백은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백은 중합체 필름의 장방형 시트를 포함하는 것이 통상적이며, 상기 중합체 필름은 자체적으로 접고 2개의 연부를 따라 밀봉하여 2개의 가요성 대향 측벽과 3개의 밀봉된 또는 접힌 연부와 하나의 개봉 연부를 갖는 반 폐쇄 저장용기(semi-enclosed container)를 형성한다. 인터로킹된 늑골형 시일과 같은 백으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플라스틱 또는 종이를 입힌 와이어와 같은 것이 별도로 제공된 폐쇄체가 봉쇄 조립체를 완성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가요성(flexible)"은 특히 반복적으로 굽혀지거나 절곡가능하며, 그에 따라 외부에서 가해진 힘에 반응하여 유연하고 항복가능한 재료를 의미한다. 따라서, "가요성"의 의미는 비가요성, 강성 또는 비항복성에 실질적으로 반대이다. 따라서, 가요성이 있는 재료 및 구조체는 형상 및 구조가 변경될 수도 있어서 완전성을 상실함이 없이 외력을 수용할 수 있고 또 그것과 접촉하는 물건의 형상에 일치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가요성 백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올레핀계의 기타 부재와 같은 중합체 필름으로 형성되며, 그 두께는 약 0.0002 인치 내지 약 0.002 인치인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한 필름은 통상 투명하지만, 때로는 불투명하고 및/또는 채색된다.
현재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유형의 가요성 저장 백은 대체로 1회용 봉쇄 장치내에 넓은 범위의 물건 및 재료를 편리하게 저장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전술한 유형의 가요성 저장 백은 상당한 정도의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긴 했지만, 그러한 가요성 저장 백들은 기계적 폐쇄에 의존하므로 어린이, 노인, 관절염 환자 등과 같은 손놀림이 약한 개인이 다루는데 어려움을 야기시키는 경향이 있다. 또한, 그러한 기계적 폐쇄는 시력이 약하거나 손과 눈의 정합이 약한 사람들에게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기계적 조작 요소의 정렬을 요구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또한, 많은 기계적 폐쇄 기구는 기체 또는 가스가 백의 안팍으로 누출될 수 있는 연결된 채널의 말단과 같은 장소에서 누출 구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서, 스트립 또는 접착제의 영역에 의존하여 백의 중첩된 영역을 접합하는 변형 폐쇄 기구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폐쇄체는 개별 폐쇄 요소 또는 연결된 기계적 요소를 이용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중 일부를 해결하기는 했지만, 어떤 접착제 폐쇄 기구는 접착제가 조속히 활성화 되지 않게 하기 위해 박리가능한 라이너를 필요로 하며, 그에 따라 조립하는데 추가의 요소를 부가하고 또 사용전에 추가의 활성화 단계를 부가하게 된다. 또한, 어떤 보호된 접착제 형태는 접착체를 결합하기 위해 적절히 표시되어야 하는 연결된 홈, 채널 또는 돌기를 요구하며, 그에 따라 종래의 기계적 폐쇄 기구의 시각적 요건 및 정합 요건을 다시 증가시키게 된다.
그러한 가요성 저장 백은 사용 전에는 대체로 저장하기가 매우 유효하기는 하지만, 많은 저장 상황에 있어서는 폐쇄 이후에 백 내부에 저장되는 내용물 위 또는 그 주변의 공기 및/또는 자유 공간의 양을 최소화시켜 충전된 백의 저장 공간을 최소화하고 그리고 상하기 쉬운 품목의 보존시에 백의 효력을 돕는 것이 이롭다. 이러한 유형의 폐쇄 기구가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소정량의 손동작과 시각적 적합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종래의 가요성 저장 백으로는 폐쇄를 완성하기 전에 백을 부분적으로만 폐쇄하고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는 종종 어렵다.
또한, 종래의 가요성 저장 백은 기껏해야 한손으로 개방 상태로 가요성 또는 연성 백을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다른 손으로는 다른 저장용기를 조작하여 내용물을 백안에 담거나 또는 품목을 벗기거나 자르거나 또는 다듬어 백안에 삽입할 수 있다는 견지에서 본질적인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그러한 충전 작업중에 백의 적절한(주로 직립) 개봉 방향을 유지하기는 어렵다. 보강된 개구 주변부를 갖는 강성 저장용기 및 연성 저장용기가 그러한 용도로 개발되었기는 하지만, 그들의 비교적 높은 비용과 제한된 경제적 처분가능성은 개선의 여지가 있다. 저장용기 또는 백 개구부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결과에도 불구하고, 손을 사용하지 않는 용이한 충전을 촉진시키기 위해 전술한 특성을 갖는 가요성이면서도 자립하는 저장용기의 필요성이 남아 있다. 한편, 처분가능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보다 저렴한 재료로 이루어진 가요성 저장 백은 충전 후에 백의 적절한 적재에 필요한 구조가 결여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강성 또는 반 강성 저장용기에 대해서, 그러한 저장용기 또한 다양한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함에 있어서는 상당한 정도의 경제적인 성공을 실현한 것으로 인정된다. 그러한 저장용기는 통상적으로는 충전을 위해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그리고 충전하기에 적절한 방위로 개구부를 자체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그러한 저장용기는 적재가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평탄한 하부 및 상단을 종종 구비한다. 그러나, 그러한 저장용기는 보다 고가의 재료로 구성되며 그에 따라 처분가능성이 제한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동시에, 그러한 저장용기의 유효 수명은 전형적인 기계적 폐쇄 기구의 저하를 포함하는 사용중에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손상, 오염 또는 기타 저하에 의해 제한된다. 그러한 3차원의 강성 또는 반강성 저장용기의 저장은 비어 있을 경우 관심이 되는데, 왜냐하면 상기 저장용기가 충전된 상태에서 만큼 비어 있는 많은 체적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비교적 고정된 체적의 구조로 인해, 내용물 위 또는 그 주변의 공기 또는 자유 공간의 양을 최소화하여 충전된 저장용기의 저장 공간을 최소화하고 그리고 상하기 쉬운 품목의 보존시에 저장용기의 유효성을 돕기가 어렵다. 다른 관심사는 사용을 위해 주로 개별 리드(lid) 또는 폐쇄체를 각각의 저장용기와 조화시키는 일이다.
따라서, 가요성 백과 저장 용기 양자의 이로운 특성을 조합하고 그리고 양자의 접근 수단의 불리한 특성을 최소화한 가요성 저장 백 또는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사용시에 밀봉성능이 개선된 가요성 저장 백 또는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폐쇄를 완성하기 전에 내부 공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가요성 저장 백 또는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전 목적을 위해 개방 상태로 자립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밀집된 형태로 접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저장가능한 가요성 백 또는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가의 재료로 제조되어 용이하게 처분가능하면서도 충전된 상태로 안정된 적층을 돕는 백 또는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리한 단일 형태의 전술한 특성을 제공하여 별도의 폐쇄 장치의 필요성을 없앤 백 또는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힌지결합된 외주 플랜지에 의해 규정된 개구부를 갖는 반 폐쇄 저장용기를 형성하도록 조립된 적어도 한장의 가요성 시트 재료를 포함하는 가요성 저장 백을 제공한다. 힌지결합된 플랜지는 개구부를 밀봉하여 반 폐쇄 저장용기를 폐쇄 저장용기로 전환시키기 위한 폐쇄 수단을 구비한다. 백은 개구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시트 재료내에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대향 거싯(gusset)과 개구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바닥을 구비한다. 바닥이 수평면상에 배치될 때, 저장용기는 자립하고 그리고 개구부를 개방 상태로 유지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여 반 폐쇄 저장용기를 폐쇄 저장용기로 전환시키는 폐쇄 수단을 구비하는 가요성 저장 백을 제공한다. 폐쇄 수단은 개구부를 향하여 내측으로 지향된 제 1 측면과 개구부의 외부로 지향된 제 2 측면을 갖는 개구부 외주의 적어도 한 부분을 형성하는 재료의 스트립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측면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기 전에 나타나는 점착 박리력(adhesion peel force) 보다 큰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된 후의 점착 박리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제 1 개방 말단 및 제 2 개방 말단을 구비한 단일의 연속 관상 측벽을 포함하는, 접을 수 있고 적층가능하며 자체 복원 가능한 저장용기를 제공하며, 상기 제 1 개방 말단 및 제 2 개방 말단은 그들을 통해 연장되는 축방향을 규정한다. 제 1 개방 말단은 외주를 형성하는 실질적인 연속 외향 연장 플랜지를 구비한다. 관상 측벽은 그의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반응하여 접을 수 있고 또 힘이 제거되면 스스로 복원가능하다. 본 발명의 저장용기는 바닥 패널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바닥 패널은 관상 측벽의 제 2 개방 말단과 일체로 형성되고 관상 측벽의 제 1 말단을 포위하여 반 폐쇄 저장용기를 형성한다. 반 폐쇄 저장용기를 폐쇄 저장용기로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관상 측벽에 부착된 리드는 저장용기를 완성하고, 그리고 리드를 관상 측벽에 밀봉하기 위해 폐쇄 수단이 제공된다. 폐쇄 수단은 개구부의 내측으로 향하는 제 1 측면과 개구부의 외측으로 향하는 제 2 측면을 구비한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재료의 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면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기 전에 나타나는 점착 박리력 보다 큰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된 후의 점착 박리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반 폐쇄 저장용기 본체를 포함하는, 접을 수 있고 중첩가능하며 자립가능한 저장용기를 제공하며, 상기 저장용기 본체는 2개의 대향 측벽과, 상기 측벽 사이의 2개의 대향 말단벽과, 상기 저장용기 본체의 일단부를 포위하는 바닥 패널을 구비한다. 각 측벽은 바닥 패널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거싯을 구비한다. 저장용기는 반 폐쇄된 저장용기를 폐쇄된 저장용기로 선택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저장용기에 부착된 리드를 구비한다. 마지막으로, 저장용기는 리드를 저장용기 본체에 밀봉하기 위한 폐쇄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벽 및 말단벽은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접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측벽 및 말단벽이 펼친 방위에 있는 동안 저장용기를 리드 및 바닥 패널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을 수 있으면서 실질적으로 자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개구부와, 개구부를 밀봉하여 반 폐쇄된 저장용기를 폐쇄된 저장용기로 전환시키기 위한 폐쇄 수단을 제공한다. 이 폐쇄 수단은 개구부를 내측으로 향하는 제 1 측면과 개구부를 외측으로 향하는 제 2 측면을 구비한 개구부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재료의 스트립을 포함한다. 제 1 측면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기 전에 나타나는 점착 박리력 보다 큰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된 후의 점착 박리력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요성 저장 백 및 저장용기는, 개선된 밀봉성을 제공하고 폐쇄하기 전에 내부 공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며 충전을 위한 개방 상태에서 자립가능하게 하고 밀집된 형태로 접어서 용이하게 저장가능하게 하며 그리고 저가의 재료로 일체로 제조하여 처분가능성을 촉진시키고 또 별도의 폐쇄 장치의 필요성을 없애는 것에 의해서, 가요성 백과 저장용기 양자의 이로운 특성을 조합하고 그리고 그들 양자의 불리한 특성을 최소화한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특별하게 강조하고 명확하게 청구하는 청구범위로 종결되지만,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실시예로부터 보다 상세히 이해될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하기 쉬운 재료를 포함하는 각종 품목의 수납 및 저장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가요성 저장 백 및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넓은 사용 조건 범위에서 내부에 수납된 품목의 봉쇄 및 보호를 위한 개선된 밀봉성을 갖는 가요성 저장 백 및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개방된 형태의 본 발명의 가요성 저장 백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요성 저장 백의 충전후의 부분적 폐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가요성 저장 백의 충전 후의 폐쇄 및 밀봉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가요성 저장 백에 있어서 백의 밀봉 연부를 선택적으로 접어 적층을 위한 평탄한 상부면을 제공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부분 중첩 상태의 도 1의 가요성 저장 백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가요성 저장 백의 완전히 접은 평탄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보강 패널을 구비하지 않은 변형 가요성 저장 백을 도시하는, 도 6과 유사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저장 용기의 폐쇄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저장용기를 고형 물건으로 부분적으로 충전된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저장용기의 완전히 평탄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도 8의 저장용기의 연부의 부분 단면도로서, 저장용기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폐쇄 수단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11과 유사한 부분 단면도로서, 저장용기 본체의 외주부 및 리드가 복합 구조체로 형성되어 있는 변형 저장용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도 11과 유사한 부분 단면도로서, 외력에 반응하는 저장용기의 부분적 접힘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과 유사한 부분 단면도로서, 저장용기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의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저장용기의 고형 물건으로 부분적으로 채워진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15의 저장용기를 접을 준비가 된 수평 위치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도 15의 저장용기를 부분적으로 중첩된 접힌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도 15의 저장용기를 완전히 중첩된 접힌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폐쇄 수단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의 바람직한 실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상호연결된 패턴의 요소로 포위된 절두원추형 돌기부를 갖는 재료의 편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돌기의 어레이를 도시하는 도 20의 재료의 확대 부분 평면도,
도 22는 도 21의 절단선 22-22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돌기들 사이의 요소 층의 스탠도프(standoff)로서 작용하여, 돌기의 최외측 말단에 접촉하는 표적면이 요소의 층에는 접촉하지 않도록 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도 22와 유사한 단면도로, 재료를 표적면에 대해 압축시켜 그에 따라 돌기들 사이의 요소 층을 표적면과 접촉시키도록 실질적으로 뒤집고 및/또는 압착시키는 것에 의해 돌기가 변형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도 20 내지 도 23의 재료의 단면도로서, 돌기의 바람직한 치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폐쇄 수단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의 적절한 제조 방법의 사시도로서, 진공 드럼과 구동 풀리 둘레에 감긴 벨트로서 성형 스크린을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저장 백(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요성 저장 백(10)은 백 본체(20)를 포함하며, 이 백 본체는 플랜지(31)로 규정된 개구부를 갖는 반 폐쇄된 저장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접고 접합시킨 한장의 가요성 시트 재료로 형성된다. 가요성 저장 백(10)은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히 폐쇄된 저장용기 또는 용기를 형성하도록 저장 백(10)의 개방 말단을 밀봉하기 위한 플랜지(31)와 결합된 폐쇄 수단(30)을 구비한다. 이 폐쇄 수단(30)은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개방가능하고 밀봉가능하며 그리고 재밀봉가능하다.
도 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폐쇄 수단(30)은 플랜지(31)로 형성된 개구부의 외주를 완전히 둘러싼다. 그러나, 어떤 상황하에서는 약간의 포위[예를 들면, 플랜지(31)의 단 한 측면을 따라 배치된 폐쇄 수단]에 의해 형성된 폐쇄 수단이 적절한 폐쇄 일체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플랜지(31)는 백 본체(2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백 본체에 접합된 별도의 재료의 요소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별도의 요소, 바람직하게는 강성 재료 요소로서 제공되는 경우, 백 본체의 재료는 주름진 모서리를 갖는 그의 상측 연부(개구부를 형성함)에서 적어도 작은 외주 플랜지로 형성되어 백 본체를 플랜지에 결합시키기에 적합한 결합점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 저장 백(10)은 백 본체내에 수납되는 다양한 재료 및/또는 물건을 수납 및 보호하기에 적합하다. 도 1은 폐쇄 수단(30)이 해제되어 플랜지(31)가 개방됨으로써 재료 및/또는 물건을 저장 백(10)의 백 본체부의 내부안에 도입할 수 있도록 된 개방 상태의 저장 백(10)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다수의 일반적 고형 물건이 저장 백(10)내부에 저장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관련하여 전술한 가요성 저장 백은 통상적으로 이용가능한 가요성 저장 백 및 저장용기에 비해서 많은 이점을 제공함과 아울러, 사용을 매우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손으로 지지함이 없이 물품의 접근 및 물품 충전을 촉진할 수 있도록 백이 자립 형태를 취할 수 있게 하는 추가의 특성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자립(self-supporting)"은 중력의 방향에 평행한 평면내에서 그들의 방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재료, 구조체 또는 저장용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자립 재료, 특히 시트 금속을 중첩시키거나 접지 않고 중력 방향에 평행하게 상측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그의 방위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킬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비 자립 재료는 그들의 지지점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되지 않는다면 중첩되거나 접혀질 것이며 중력의 힘에 평행하게(즉, 수직으로) 고정되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자립 백 또는 저장용기는 중첩되거나 또는 접혀짐이 없이 중력에 반대로 지지부의 베이스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표면에 의해 그의 방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요성 저장 백(10)은 대체로 평탄한 2개의 측면 패널(23)과, 대체로 평탄한 2개의 거싯 말단 패널(gusseted end panel)(21)과, 대체로 평탄한 하나의 바닥 패널(50)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들은 상측 플랜지(31)로 규정된 개구부를 구비한 반 폐쇄된 저장용기를 형성한다. 측면 패널(23)은 측면 연부(22) 및 바닥 연부(26)를 구비하는 반면, 말단 패널(21)은 수렴형 베이스 주름(42) 및 중앙 주름(46)을 갖는 대체로 통상의 구조로 된 거싯 및 바닥 연부(48)를 구비한다.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백은 자립 개방 상태에 있다. 특히, 힌지(32)(도 2에 가장 잘 도시됨)가 도 1의 개방 형태를 향하여 플랜지(31)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실제 힌지인 경우에, 플랜지(31)는 도 1에 도시된 개방 상태로 백의 개방 말단을 고정시키는 것을 돕기에 충분히 탄력이 있고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요성 저장 백의 구조는 백이 자립 형태를 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손으로 지지함이 없이 물품의 접근 및 물품 충전을 용이하게 한다.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거싯 백은 최소의 어려움으로 용이하게 채워지고 비워질 수도 있는 자립식 개방 백을 제공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의 거싯 백과는 달리, 본 발명의 가요성 저장 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활성화가능한 폐쇄 수단(30)을 구비한다. 따라서, 거싯 가요성 저장 백(10)은 자립형인것 이외에도 전술한 이로운 밀봉 특성을 제공한다.
도 2는 도 1의 가요성 저장 백을 물품(99)을 삽입한 후의 부분적 폐쇄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31)는 통상 "실제 힌지"로 언급되는 힌지인 것이 전형적인 것과 같은 플랜지(31)의 재료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 한쌍의 힌지(32)를 구비한다. 힌지(32)는 도 1에 도시된 개방 상태를 향해 적어도 약간 바이어스시켜 저장용기를 개방된 자립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돕도록 하는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형의 가요성 저장 백을 백의 내부안에 물품을 삽입한 후와 같은 밀봉된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거싯의 중앙 주름(46)은 도 2와 유사한 방식으로 도 1의 형태로부터 내측으로 밀어넣여졌다. 그러나, 폐쇄 수단(30)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폐쇄 수단의 상부에 놓인 중첩된 영역이 접착제로 서로 접합됨으로써 백의 플랜지(31)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안전한 유체 및 기체 불투과성 시일을 형성한다. 도 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폐쇄 수단은 플랜지(31)에 의해 규정된 백의 개방 말단을 완전히 포위하여 활동시에 전체 외주의 완전한 고착이 확보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단계의 순서를 관찰하는 것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백의 본체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가요성 시트 재료는 도 1의 개방 상태와 도 3의 폐쇄 상태 사이로 이동할 때 힌지결합된 플랜지의 움직임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탄성이 있고 항복가능하다. 특히, 플랜지의 힌지부가 바닥 패널(50)을 향해 하부로 피봇회전함과 아울러 플랜지의 외측부[탭(35) 근처]는 서로를 향해 상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말단 패널(21)은 자체적으로 접혀지거나 또는 주름을 이루기에 충분할 정도로 탄성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요성 저장 백의 다른 고유 성능의 이점을 도시한다. 특히, 힌지결합된 플랜지는 가요성 저장 백의 개구부의 축에 직교하고 또 플랜지에 인접한 내벽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폐쇄 수단(30)을 배향시킨다. 이러한 배향은 개구부를 통해 백 내부로 삽입되는 재료로부터 폐쇄 수단을 고립시키고 그리고 사용전에 오염을 방지하는 경향이 있다. 그와 동시에, 백을 폐쇄하면 폐쇄 수단이 수평으로부터 수직으로, 즉 개구부의 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개구부의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90°변화되어, 저장용기형 장치로부터 백형 장치로 가요성 저장 백의 폐쇄를 효율적으로 변화시키고 그에 따라 양자의 이점을 조합한다.
도 3의 백을 개봉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한쌍의 탭(35)을 쥐고 그들을 횡방향의 대향 방향으로 잡아당겨 플랜지(31)의 대향 절반부, 여기서는 폐쇄 수단(30)의 분리를 개시하고 증대시킨다. 변형예로, 폐쇄 수단 위의 백의 말단 연부(전술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는 접착제가 없는 것이 바람직함)를 쥐고 분리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백을 폐쇄되고 밀봉된 상태로 도시한 것으로, 상부를 바닥(5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선택적으로 접어서 안정된 적층가능한 형태을 얻고, 그에 따라 저장용기, 물품 등을 백상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백 본체의 재료의 가요성 특성은 그러한 접음을 유효한 저장을 위한 가변적 선택사항으로 만든다. 이격되고 한정된 모서리를 갖는 거싯형 주름진 측벽 구조체는 충전된 백에 추가의 일체성과 안정성을 부가하여, 사용시의 적층성을 개선시키고 전복 등의 경우에도 안정성을 부가한다.
거싯형 가요성 저장 백(10)은 자립형인것 외에도, 용이하게 중첩가능하거나 또는 접을 수 있어서 최소 공간을 차지하는 용이한 저장을 제공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거싯형 가요성 저장 백(10)을 부분적으로 중첩하거나 또는 접은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중앙 주름(46)을 서로를 향하여 내측으로 밀면 측면 연부(22)가 중앙 주름(46)의 대향 측면상에서 서로를 향하게 되고 그들 주변부에서는 베이스 주름(42)에 다소 평행하게 된다. 폐쇄 수단과는 무관한 그러한 예상가능한 중첩 특성은 내용물을 삽입한 후에 저장용기의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폐쇄 후에 백 내부에 담기는 내용물 위 또는 그 주변의 공기 및/또는 자유 공간의 양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충전된 백의 저장 공간을 최소화시키고 또 상하기 쉬운 품목의 보존시에 백의 효용을 도울 수 있다. 도 6은 바닥(50)이 측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때까지 중첩이 계속되는 보다 완전히 중첩된 상태의 거싯형 가요성 저장 백(10)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대체로 장방형의 평탄한 바닥 패널(50)에 추가의 일체성 및 안정성을 부가하는 선택적 보강 패널(55)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바닥 패널에 추가의 보강을 부가하면, 빈 백의 중력 중심이 낮아져서 충전하기 전에 그리고 충전중에 보다 큰 안정성이 제공되고, 또 대부분의 충전 또는 비어 있는 상황에서 백의 바닥의 강성이 증가되어 부가의 안정성이 제공되며, 그리고 중량의 내용물로 채워질 경우 백의 바닥이 처질 가능성이 감소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본체의 바닥 패널(50)을 형성하는 플랩을 내측으로 접으면 유사한 기능이 수행된다. 보강 패널은 백 재료와 유사한 재료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소 내구성이 있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고, 그리고 접착제 도포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바닥 패널에 고정된다. 보강 패널이 사용되는 경우 그것은 바닥 패널의 내부면 보다는 바닥 패널의 외부면상에 배치하여 백 내용물의 수납 구역을 제공할 수도 있는 백의 내부상에 추가의 표면, 접합부 및 틈새를 부가함이 없이 그리고 세척의 어려움을 발생시킴이 없이 지지 및 보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도 6과 유사하지만, 바닥(50)상의 선택적 보강 패널이 없는 백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7에 있어서, 바닥(50)의 솔기 및 중첩 구조를 명확히 볼 수 있다. 그러한 중첩 형태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 바닥을 갖는 종래의 중첩된 거싯 백인 것이 전형적이며, 접착제, 열 밀봉 등으로 적절하게 밀봉되어 실질적으로 액밀 및 기밀 바닥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가요성 저장 백을 구성하기에 적합한 각종 복합물은 주로 전적으로 2차원이던지 또는 3차원 구조로 형성되던지 간에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염화비닐리덴(PVCD),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알루미늄 호일, 피복(왁스 등) 및 비 피복된 종이, 피복된 부직포 등과 같은 실질적인 불투과성 재료와; 스크림, 메쉬, 직물, 부직포 또는 천공 또는 다공성 필름과 같은 실질적인 투과성 재료를 포함한다. 그러한 재료는 단일 복합물 또는 층을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요소의 담체로서 이용되는 실제 재료를 포함하는 다중 재료의 복합 구조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는 헌츠먼 필름 프로덕츠 코포레이션(Huntsman Film Products Corp.)으로부터 상표명 X420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며 두께가 0.004 내지 0.006 인치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용기(10A)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 용기(10A)는 시트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저장용기 본체(20A)와, 상기 저장용기 본체(20A)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힌지 라인(45A)에서 저장용기 본체에 적어도 힌지연결식으로 부착된 리드(40A)를 구비한다. 또한, 저장용기(10A)는 리드(40A)와 저장용기 본체(20A)의 외주부를 밀봉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 폐쇄된 저장용기 또는 용기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연부(28A)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폐쇄 수단(30A)을 구비한다. 이 폐쇄 수단(30A)은 리드(40A)의 가장자리 부분과, 저장용기 본체(20A)의 가장자리 플랜지 부분(25A) 또는 그 양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힌지 라인(45A)은 단일의 실제 힌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택적으로는 저장용기 본체로부터 리드를 선택적으로 분리시킬 수도 있는 새김줄(scoring), 천공(perforation) 등에 의해 절취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의 바람직한 구조에 있어서, 폐쇄 수단(30A)은 연부(28A)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의 외주를 완전히 포위한다. 그러나, 어떤 상황에서는 포위된 정도가 덜한 폐쇄 수단[예컨데, 힌지 라인(45A)을 제외한 연부(28A)의 모든 부분을 따라 배치된 폐쇄 수단]이 적절한 폐쇄 완전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저장용기(10A)는 저장용기 본체 내부에 수납된 다양한 재료 및/또는 물체를 수납하고 보호하기에 적합하다. 도 9는 폐쇄 수단(30A)이 해제되고 그에 따라 연부(20A)가 개방되어 재료 및/또는 물체를 저장용기(10A)의 본체부의 내부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 상태의 저장 용기(10A)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있어서, 다수의 일반적 고형 물체(99)가 저장용기(10A) 내부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탄성변형 가능한 저장용기는 사용자에게 물품 보호를 제공할 뿐만아니라 용이한 사용을 위해 그의 원형에 가깝게 자동 복원되는 경향이 있는 용이하고 조밀한 저장을 위한 일시적인 성형성(compactability)을 제공한다. 비압축 상태에 있어서, 저장용기는 용이한 충전 및 사용을 위한 팽창된 복원 상태에 있게 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자립"은 중력의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서 그의 방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재료, 구조체 또는 저장용기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자립 재료, 특히 시트 재료는 중력 방향에 평행하게 상측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중첩하거나 접지 않고 그의 방위를 유지하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비 자립 재료는 그들의 지지점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지 않는다면 중첩되거나 접혀질 것이며, 중력에 평행하게(즉, 수직으로) 고정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 통상적이다. 따라서, 자립식 백 또는 저장용기는 중첩되거나 또는 접혀지지 않고 중력에 반대로 지지부의 기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표면에 의해 그의 방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저장용기 본체(20A)는 변형가능한 실질적인 연속 튜브 또는 후프(hoop) 재료를 포함한다. 저장용기가 실질적으로 장방형 형상을 갖는 도시된 형태에 있어서, 튜브 또는 후프는 측벽부(21A, 22A, 23A, 24A)를 포함하는 실질적인 연속 측벽을 형성한다. 튜브 또는 후프는 거의 모든 소망의 단면으로 될 수도 있지만, 장방형인 것이 전형적이다. 단면에 관계 없이, 반 폐쇄된 저장용기를 형성하는 저장용기 본체는 벽, 바닥 패널 등을 서로 접합하여 저장용기 내용물의 용이한 제거 및 세척의 용이함을 촉진시키는 내부 모서리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상 측벽을 형성하는 튜브의 일단부는 저장용기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해 개방된 채로 유지되며 피봇회전가능한 리드(40A)로 선택적으로 밀봉가능하다. 관상 측벽의 타단부는 관상 측벽과 동일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바닥 패널(50A)로 밀봉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용기는 비교적 두껍고 강한 리드 및 바닥 벽을 포함하며, 이들은 탄성변형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서로를 향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본 발명의 탄성변형 가능한 패키지는 저가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제조하기가 용이하며, 수많은 변형 사이클에 견딜 수 있음과 아울러 그들의 기능 및 미적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탄성변형 가능한 저장용기는 측벽을 포함하는 재료의 탄성이 증가될 때 두꺼운 측벽 두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반대로, 측벽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된 재료의 탄성이 감소될 때는 본 발명의 저장용기의 탄성변형 가능한 특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두꺼운 벽 두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측벽(21A, 22A, 23A, 24A)의 원주 부착부는 측벽을 따라 도시된 "주름"효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F"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는 튜브 또는 후프를 형성한다. 관상 측벽에 이용되는 재료의 특성 및 인접 측벽이 만나는 모서리의 반경에 의존하여, 이러한 주름 효과는 모서리에서 다소 집중될 수도 있고 그리고 측벽의 중앙부에서 만곡되거나 또는 튀어나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변형은 측벽이 얇기 때문에 그리고 측벽을 포함하는 재료의 탄성변형 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발생된다. 변형력 "F"이 가요성 저장용기의 상부[도 10의 리드(40)]로부터 제거되면, 상호연결된 측벽에 의해 형성된 튜브 또는 후프는 대체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 본체(20A)를 그의 실질적인 최초 비 변형 형상으로 자동 복원시켜 도 10에 도시된 중첩 또는 주름을 실질적으로 없앤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자동 복원"는 변형력이 제거될 때 변형에 기인하는 영구 설정이 없이 그의 최초의 비 변형 상태로 탄성변형 가능한 저장용기(10A)를 복귀시키는 경향을 의미한다. 이러한 복원은 패키지를 정확한 최초 형상 및 외관으로 완전히 복원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실질적으로 강한 패키지와는 달리, 탄성변형 가능한 저장용기(10A)는 적어도 연속된 기능적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자동복원될 것이다. 자동 복원가능한 저장용기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는 1995년 1월 10일자 머켄퍼스(Muckenfuhs)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79,879 호에 개시되어 있다.
열성형을 사용하여 저장용기 본체(20A) 및/또는 리드(40A)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적절한 몰드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최종 저장용기에 저렴한 비용으로 매우 장식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텍스쳐, 로고, 지시사항 등을 저장용기 본체(20A) 및/또는 리드(40A)내에 몰딩하여 보조 프린팅 또는 라벨링 작업을 필요로 함이 없이 소망의 미관적 외관 및/또는 일체식 브랜드 증명서 및/또는 사용 지시사항을 만들 수 있다. 저장용기에 가해질 수도 있는 비틀림력은 측벽(21A-24A)을 교차시키는 것에 의해서 뿐만아니라 실질적으로 평탄하고 두꺼운 바닥 패널 및 리드의 비틀림 저항에 의해서 각각 저항을 받는다. 따라서, 측벽(21A-24A) 및 비교적 두꺼운 바닥 패널 및 리드는 일단 외력 전체가 패키지로부터 제거되고 나면 실질적으로 그의 최초 형태로 패키지를 복원시키는 것을 돕는다.
도 9를 참조하면, 탄성변형 가능한 저장용기(10A)의 리드(40A), 측벽(21A-24A) 및 바닥 패널(50A)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필요는 없으며,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소정의 이점이 있을 수도 있다. 제조 관점으로부터, 유사한 재료를 사용하느 것에 의해 가열 밀봉, 초음파 등과 같은 공지된 기법을 이용하여 리드, 측벽 및 바닥 패널을 서로 용이하게 그리고 저렴한 비용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그의 사용 수명의 말기에 저장용기의 재생과 관련하여, 저장용기를 포함하는 전체 요소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면 그러한 재생은 용이할 수도 있으며, 그에따라 재료 복원 공정 이전에 요소들을 서로간에 분리시킬 필요가 없다.
도 11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저장용기(10A)의 측벽(22A)을 통해 절단한 부분 단면도로서, 앞서 언급한 각종 요소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플랜지(25A)는 측벽(22A)과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 측벽은 바닥 패널(50A)과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리드(40A)는 일체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12는 원하는 경우 각종 요소로 형성될 수도 있는 중앙 리드 패널(42A) 및 리드 프레임(44A)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리드(40A)를 도시하고 있다. 플랜지(25A)는 작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선택적으로 측벽(22A)과 여전히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측벽은 선택적으로 바닥 패널(50A)과 여전히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저장용기 본체의 외부는 플랜지(25A)에 고정되고 그리고 그로부터 횡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 외측 플랜지(27A)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의 바닥의 강성 및 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공된 선택적 보강 바닥 패널(55A)이 존재하며, 이것은 저장용기를 세척하고 비우는데 어려움을 발생시키는 저장용기 내부 안쪽의 추가의 표면 및 연부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 패널에 추가의 보강부를 부가하면, 빈 저장용기의 중력 중심을 저하시켜 충전 이전에 그리고 충전중에 안정성을 크게할 수 있고, 저장용기의 바닥의 강성을 증가시켜 대부분의 충전 및 비워진 상황에서 안정성을 부가할 수 있으며, 중량의 내용물로 채워질 때 저장용기의 바닥이 처질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보강 패널은 저장용기 본체의 재료와 유사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거나 또는 다소 내구성이 있는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그리고 접착제 도포 및 기타 적절한 수단에 의해 바닥 패널에 고정된다. 보강 패널을 사용할 경우, 그것은 바닥 패널의 내부면 보다는 바닥 패널의 외부면상에 배치하여, 내용물의 수납 구역을 제공하는 저장용기 내부상에 추가의 표면, 접합부 및 틈새를 부가함이 없이 그리고 세척의 어려움을 발생시킴이 없이 지지 및 보강을 제공하도록 한다.
다중 복합 요소의 저장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능력은 관상 측벽용 재료의 마름질과는 관계없이 리드 패널용의 투명 중합체 패널 또는 플랜지 및 리드 프레임용의 보다 강성의 탄성 재료와 같은 별개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1에 대응하는 부분 단면도로서, 저장용기를 부분적으로 그리고 완전히 압축된 상태로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상 측벽의 축방향에 대해 축방향으로 가해진 외력(F)에 반응하여 저장용기를 부분적으로 접거나 또는 압축시키면, 관상 측벽이 주름지거나 또는 접혀진다. 이러한 접음은 상부의 주름 또는 중첩부가 만나서 측벽 재료의 고형 적층체를 형성하고 그리고 저장용기의 추가의 압축을 방해할 때, 도 14(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접은 상태가 나타날때 까지 계속된다. 측벽의 두께는 도 11 내지 도 14에서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태는 리드 및 바닥 패널이 서로 충분히 근접하여 충분한 압축시에 실제로 최소의 전체 저장용기 두께를 제공할 경우에만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의 배출 특성이 있거나 또는 없거나 간에, 본 발명의 선택적으로 활성화가능한 폐쇄 수단을 주 폐쇄에 사용하면, 사용하기 쉬운 밀봉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밀봉 전에 내용물 위 또는 그 둘레의 공기 및/또는 자유 공간을 배출 또는 방출시키는 것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저장용기의 본체는 폐쇄 공정을 완료하기 전에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되어 저장용기의 내부 체적을 감소시킨 다음 폐쇄 공정을 완료하여 저장용기를 밀봉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저장용기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각종 복합물은 주로 전적으로 2차원이던지 또는 3차원 구조로 형성되던지 간에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염화비닐리덴(PVCD),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알루미늄 호일, 피복(왁스 등) 및 비 피복된 종이, 피복된 부직포 등과 같은 실질적인 불투과성 재료와; 스크림, 메쉬, 직물, 부직포 또는 천공 또는 다공성 필름과 같은 실질적인 투과성 재료를 포함한다. 그러한 재료는 단일 복합물 또는 층을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요소의 담체로서 이용되는 실제 재료를 포함하는 다중 재료의 복합 구조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는 아메리칸 내셔널 캔(American National Can)으로부터 상표명 DZ-2002-2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며 두께가 0.012 인치인 중합체 필름을 포함한다.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용기(10B)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의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 용기(10B)는 시트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저장용기 본체(20B)와, 상기 저장용기 본체(20B)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힌지 라인(45B)에서 저장용기 본체에 적어도 힌지연결식으로 부착된 리드(40B)를 구비한다. 또한, 저장용기(10B)는 리드(40B)와 저장용기 본체(20B)의 외주부를 밀봉하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 폐쇄된 저장용기 또는 용기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연부(28B)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폐쇄 수단(30B)을 구비한다. 이 폐쇄 수단(30B)은 리드(40B)의 가장자리 부분과, 저장용기 본체(20B)의 가장자리 플랜지 부분(25B) 또는 그 양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폐쇄 수단(30B)은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개봉가능하고, 밀봉가능하며, 재밀봉가능하다. 도 16에 도시된 힌지 라인(45B)은 단일의 실제 힌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택적으로는 저장용기 본체로부터 리드를 선택적으로 분리시킬 수도 있는 새김줄, 천공 등에 의해 절취선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5의 바람직한 구조에 있어서, 폐쇄 수단(30B)은 연부(28B)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의 외주를 완전히 포위한다. 그러나, 어떤 상황에서는 포위된 정도가 덜한 폐쇄 수단[예컨데, 힌지 라인(45B)에서 힌지부를 제외한 연부(28B)의 모든 부분을 따라 배치된 폐쇄 수단]이 적절한 폐쇄 일체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플랜지(25B)는 저장용기 본체(20B)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저장용기 본체에 접합된 별도 재료의 요소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별도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별도 재료 요소로서 제공되는 경우, 저장용기 본체의 재료는 주름진 모서리를 갖는 상측 연부(개구부를 규정함)에서 적어도 작은 외주 플랜지로 형성되어 저장용기 본체를 플랜지에 접합시키기에 적합한 결합점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쇄 수단은 플랜지(25B), 리드(40B) 또는 양자의 결합부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저장용기(10B)는 저장용기 본체 내부에 수납된 다양한 재료 및/또는 물체를 수납하고 보호하기에 적합하다. 도 16은 폐쇄 수단(30B)이 해제되고 그에 따라 연부(20B)가 개방되어 재료 및/또는 물체를 저장용기(10B)의 본체부의 내부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 상태의 저장 용기(10B)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에 있어서, 다수의 일반적 고형 물체(99)가 저장용기(10B) 내부에 도시되어 있다.
다중 복합 요소의 저장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능력은 저장용기 본체(20B)의 재료의 마름질과는 관계없이 리드 패널용의 투명 중합체 패널 또는 플랜지 및 리드 프레임용의 보다 강성의 탄성 재료와 같은 별개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리드(40B)는 소망하는 경우 각종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는 중앙 리드 패널(42B) 및 리드 프레임(44B)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리드(40B)가 단일의 구성으로 될 수도 있다.
도 15의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용기(10B)는 2개의 대체로 평탄한 말단 패널(50B), 2개의 대체로 평탄한 거싯 측면 패널(60B), 대체로 평탄한 바닥 패널(70B)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들은 상측 플랜지(25B)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부를 구비한 반 폐쇄된 저장용기를 형성한다. 각 패널(50B)은 측면 패널(55B) 및 바닥 패널(54B)을 구비하는 반면, 측면 패널(60B)은 바닥 연부(64B) 및 거싯을 구비하며, 상기 거싯은 수렴형 베이스 주름(62B), 중간 주름(61B) 및 횡방향 주름(63B)을 구비한 대체로 통상의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된 형태에 있어서, 저장용기는 자립 개방 상태에 있다. 플랜지(25B)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 상태에서 저장용기의 개방 말단을 고정시키는 것을 돕기에 충분한 탄성 및 강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와 관련하여 전술한 저장용기는 통상적으로 입수가능한 가요성 저장 백 및 저장용기에 비해서 많은 이점을 제공하지만, 사용을 매우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손으로 지지함이 없이 물품 접근 및 물품 충전을 돕도록 저장용기를 자립 구조로 할 수 있는 추가의 이점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자립"은 중력의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서 그의 방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재료, 구조체 또는 저장용기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자립 재료, 특히 시트 재료는 중력 방향에 평행하게 상측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중첩하거나 접지 않고 그의 방위를 유지하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비 자립 재료는 그들의 지지점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지 않는다면 중첩되거나 접혀질 것이며, 중력에 평행하게(즉, "수직으로") 고정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 통상적이다. 따라서, 자립식 백 또는 저장용기는 중첩되거나 또는 접혀지지 않고 중력에 반대로 지지부의 기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표면에 의해 그의 방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거싯 가요성 저장 백(10B)은 자립형인것 이외에도, 용이하게 중첩가능하거나 또는 접을 수 있어서 최소 공간을 차지하는 용이한 저장을 제공한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거싯 저장용기(10B)가 접을 준비가 된 측면상에 횡방향으로 위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거싯형 가요성 저장 백(10B)을 부분적으로 중첩하거나 또는 접은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중앙 주름(61B)을 서로를 향하여 내측으로 밀면, 바닥 연부(64B)가 플랜지(25B)를 향하에 거기에 대체로 평행하게 된다. 도 19는 바닥(70B)이 플랜지(25B)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또 그와 근접할 때까지 중첩이 계속되는 보다 완전히 중첩된 상태의 거싯형 가요성 저장용기(10B)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대체로 장방형의 평탄한 바닥 패널(70B)에 추가의 일체성 및 안정성을 부가하는 선택적 보강 패널(72B)이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저장용기 본체의 중첩가능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보강 바닥 패널(72B)은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은 중첩을 위해 측방향 주름(63B)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주름(71B)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택적 보강 패널(72B)은 말단 패널(50B)을 덮거나 보강하는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바닥 패널에 추가의 보강을 부가하면, 빈 저장용기의 중량 중심이 낮아져서 충전하기 전에 그리고 충전중에 보다 큰 안정성이 제공되고, 또 대부분의 충전 또는 비어 있는 상황에서 저장용기의 바닥의 강성이 증가되어 부가의 안정성이 제공되며, 그리고 중량 내용물로 채워질 경우 저장용기의 바닥이 처질 가능성이 감소된다. 보강 패널은 저장용기 본체의 재료와 유사한 재료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소 내구성이 있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고, 그리고 접착제 도포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바닥 패널에 고정된다. 보강 패널이 사용되는 경우 그것은 바닥 패널의 내부면 보다는 바닥 패널의 외부면상에 배치하여 내용물의 수납 구역을 제공할 수도 있는 저장용기의 내부상에 추가의 표면, 접합부 및 틈새를 부가함이 없이 그리고 세척의 어려움을 발생시킴이 없이 지지 및 보강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용기의 본체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가요성 시트 재료는 도 15의 개방 상태 및 도 19의 폐쇄 상태 사이에서 저장용기 본체의 중첩 또는 접음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탄성이 있고 항복가능하다. 특히, 측면 패널(60B)은 바닥 패널(70B)이 리드(40B)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말단 패널(50B)이 서로를 향하여 내측으로 피봇회전할 때 중첩되거나 주름이 지기에 충분할 정도로 가요성이 있다.
도 15의 저장용기를 개봉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한쌍의 탭(35B)을 쥐고 그것을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 대향된 플랜지(31B)의 절반부, 즉 폐쇄 수단(30B)의 분리를 개시하고 증대시킬 수도 있다.
도 15 내지 도 19에 있어서, 말단 패널(50B)의 솔기 및 중첩 구조를 명확히 볼 수 있다. 그러한 중첩 형상은 정방형 또는 장방형 바닥을 갖는 종래의 중첩 거싯형 백인 것이 전형적이며, 접착제, 열 밀봉 등으로 적절히 밀봉되어 실질적인 액밀 및 기밀 패널 구조체를 제공한다. 이격되고 규정된 모서리를 갖는 거싯형의 주름진 측벽 구조체는 충전된 저장용기에 추가의 일체성 및 안정성을 부가하여, 사용시의 적층성을 개선시키고 또 전복 등의 경우에도 안정성을 부가한다.
특히,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 본체의 재료를 중첩하여 말단 패널(50B)을 형성하는 방법은 중첩 플랩(51B, 52B)을 형성하는 복수 층의 재료로 귀결되며, 이러한 패널들은 저장용기의 다리부 또는 지지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도 15의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저장용기에 추가의 안정성 및 강성을 부가한다. 또한, 플랩(51B, 52B)의 대각선 중첩 연부, 즉 연부(53B)는 본 발명의 저장용기에 소망하는 레벨의 완전성과, 자립성 및 적층성을 제공하는 가요성 재료로부터 말단 패널(50B)의 구조를 추가로 돕는 대각선 보강 폴드(folds) 또는 브레이스(braces)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저장용기를 구성하기에 적합한 각종 복합물은 주로 전적으로 2차원이던지 또는 3차원 구조로로 형성되던지 간에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염화비닐리덴(PVCD),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알루미늄 호일, 피복(왁스 등) 및 비 피복된 종이, 피복된 부직포 등과 같은 실질적인 불투과성 재료와; 스크림, 메쉬, 직물, 부직포 또는 천공 또는 다공성 필름과 같은 실질적인 투과성 재료를 포함한다. 그러한 재료는 단일 복합물 또는 층을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요소의 담체로서 이용되는 실제 재료를 포함하는 다중 재료의 복합 구조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는 헌츠먼 필름 프로덕츠 코포레이션(Huntsman Film Products Corp.)으로부터 상표명 X420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며 두께가 0.006 인치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포함한다.
백 또는 저장용기 본체용으로 이용될 재료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포함하는 소망의 시트 재료를 소정의 바람직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제조하고 나면, 백 또는 저장용기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형태의 백 또는 저장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기술 분야에 공지된 것과 같은 소정의 공지된 적절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열 또는 접착제 밀봉 기법을 이용하여 백의 각종 성분 또는 요소를 서로 접합하거나 또는 저장용기 자체를 서로 접합할 수도 있다. 또한, 백 또는 저장용기 본체는 폴딩 또는 본딩 기법에 의존하기 보다는 열성형되거나, 송풍되거나 또는 그밖의 방법으로 성형되어 재료의 웨브 또는 시트로부터 백 또는 저장용기 본체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9에 도시된 폐쇄 수단은 폴드, 주름, 접착제,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리브, 비드 및 홈과 같은 기계적 인터로킹 폐쇄 등의 임의의 폐쇄 구조를 이용하는 임의의 공지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활성화시에 확고한 폐쇄 시일을 제공하는 선택적으로 활성화가능한 접착제 지지 구조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폐쇄 수단은 개구부를 가로질러 대향 재료의 표면을 서로 접합하는 선택적으로 활성화가능한 접착제형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폐쇄 수단과 표적면 사이의 접합은 산소, 습기/수증기, 향 등의 전달에 대해 방벽 시일을 제공하여, 상하기 쉬운 품목을 재료 자체의 장벽 특성의 범위까지 만족할만하게 폐쇄하고 보존할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하다. 표적면은 백의 개별 요소를 포함하거나 폐쇄 수단 자체의 다른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선택적으로 활성화 가능한"은 사용자가 어떤 작용을 가하여 재료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접착제의 특성을 노출시킬때 까지는 표적면과 접촉할 경우 실질적으로 비 접착 특성을 나타내는 재료를 의미한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활성화가능한 특성은 라이너 재료(통상적으로, 실리콘 피복 종이 스트립)의 제거에 의존하여 사용을 위해 접착제를 노출시키는 접착제의 영구적 활성 스트립과는 다르다.
그러한 재료의 선택적 활성화는 활성화 및 접착이 달성되기 전에 사용자가 대향면을 적절히 위치설정하는 것을 허용할 뿐만아니라 충전 작업중에 백 또는 저장용기에 의해 폐쇄 수단이 오염될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이러한 특성은 폐쇄 수단을 자체적으로 또는 개구부의 다른 부분에 또는 백/저장용기 본체에 영구 고착 또는 접착시키는 어려움이 없이 그리고 별도의 박리지, 라이너, 스페이서 등을 필요로 함이 없이 소망의 형태로 가요성 저장 백 또는 저장용기를 개봉하고 충전하며 및/또는 조작하는 것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선택적 활성화 공정은 폐쇄 수단이 비활성화될 수도 있고 그리고 백 또는 저장용기가 개방되어 내용물을 충전하거나 또는 제거한 다음 접착 가능성의 상당한 손실 없이 추가의 폐쇄를 위해 재활성화될 수 있도록 반전가능하다.폐쇄 수단에 이용되는 재료가 2개의 활성 측면 또는 표면을 구비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 따라 특별한 적용에 소망되는 경우, 그러한 재료에 단 하나의 활성화 측면 및 하나의 비활성화 또는 불활성 측면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그의 활성 표면상에 접착제의 간헐적 또는 비연속 층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자체 또는 다른 표면면을 갖는 비연속 접합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폐쇄 재료를 설계하는 것이 허용가능하거나 또는 바람직할 수도 있다.
압축에 의한 기계적 활성화, 인장력에 의한 기계적 활성화 및 열적 활성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하는 각종 활성화 수단을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원에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한 접착제 또는 접착제형 특성을 개시하는 다른 활성화 수단이 존재하거나 또는 개발될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활성화 측면은 재료의 시트상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활성화 가능하다. 이러한 힘은 재료의 시트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부 압축력이거나, 재료의 시트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부 인장력이거나 또는 그의 조합된 힘일 수도 있다.
활성화 방식에 관계 없이, 본 발명에 따른 폐쇄 수단으로서 유용한 재료는 단순히 밀착 또는 친화 특성과는 반대되는 접착, 부착 또는 고정 특성을 나타낼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접착(adhesive)"은 통상 접착제로서 이해되고 표시되는 복합물을 실제로 포함하는 것의 여부에 관계 없이 부착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재료의 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러한 재료는 그러한 표면에 단순히 부착되는 것과는 반대로 자체로 또는 다른 표적면에 접촉할 때 접합 또는 시일을 형성할 것이다. 선택적 부착 재료의 사용과 같은 다수의 접근법을 이용하여 소망의 접착 특성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감압형 접착(pressure-sensitive adhesive)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접근 수단이다.
본 발명에 따라 폐쇄 수단으로서 유용한 재료를 설계할 때, 특정 용도에 소망되는 영구 접합 또는 제거가능한 접합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특수 접착제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영구 접합이 소망되는 경우, 그내부의 물품에 접근하기 위해 가요성 저장 백 또는 저장용기를 개봉하려면 백 또는 저장용기를 파괴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제거가능한 접합은 파괴시킴이 없이 접합 구역에서 백 또는 저장용기 자체 또는 다른 부분으로부터 폐쇄 수단의 분리를 허용하는 것에 의해서 접근을 제공한다. 또한, 재료의 구조에 사용되는 활성화 기구에 의존하여, 최초의 활성화/접합/제거 사이클 이후에 충분한 접착 특성이 유지되는 경우 제거가능한 접합은 추가로 재고정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폐쇄 재료는 적절한 정도의 취급에 견디고 그리고 상하기 쉬운 품목의 보존이 확보되도록 대향면과 소망의 레벨의 밀봉 체결을 유지하는 동안 가요성 저장 백 또는 저장용기가 사용중에 직면하게 되는 외력 또는 내력에 견디기에 충분한 접착력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시일을 유지하는 최소 접착이 폐쇄 수단에 소망되며, 그에 따라 폐쇄 수단은 저장된 품목에 접근하기 위해 쉽게 벗겨 개봉할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폐쇄 수단은 실질적으로 비밀착성 재료이다. 접착 및 밀착 특성을 측정하고 한정하는 적절한 방법은 해밀튼 및 맥가이어(Hamilton and McGuire)의 명의로 1996년 11월 8일자로 출원된 "변형가능한 스탠도프로 보호되는 물질 및 그 제조 방법"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출원 제 08/744,850 호에 보다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되는 폐쇄 수단은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을 구비한 재료의 시트를 포함한다. 제 1 측면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 되기 전에 나타나는 접착 박리력보다 큰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된 후의 접착 박리력을 나타내는 활성 측면을 포함한다. 폐쇄 수단의 활성 측면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된 후에 선형 인치(linear inch)당 적어도 약 1 온스, 보다 바람직하게는 선형 인치당 약 1 내지 약 2.5 온스의 접착 박리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폐쇄 수단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그러한 재료중 하나는 기본 재료의 3차원 표면 지형법에 의해 외부 접촉으로부터 보호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상의 접착제와 같은 활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3차원 정합 웹을 포함한다. 적절한 재료는 스탠도프가 변형되어 구조체에 보다 2차원을 부여할 때까지 그들 사이의 접착제가 외부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탠도프로서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표면상의 상승된 "보조개" 패턴을 형성하도록 엠보싱(embossed)/디보싱(debossed) 가공된 중합체 또는 기타 시트 재료를 포함한다. 대표적인 접착제 운반 구조체는 1996년 1월 10일자 해밀턴 및 맥가이어의 이름으로 출원된 "압축될 때 표적면에 대해 제거가능하게 밀봉될 수 있는 복합 재료 및 그 제조 방법"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출원 제 08/584,638 호와; 1996년 11월 8일자 해밀턴 및 맥가이어의 이름으로 출원된 "변형가능한 스탠도프로 보호된 물질을 구비한 재료 및 그 제조 방법"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출원 제 08/744,850 호와; 1996년 11월 8일자 맥가이어, 트웨델 및 해밀턴의 이름으로 출원된 "포개지지 않는 3차원 시트 재료, 그 제조 방법 및 장치"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출원 제 08/745,339 호와; 1996년 11월 8일자 해및턴 및 맥가이어의 이름으로 출원된 "개선된 저장 랩 재료"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출원 제 08/745,340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들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3차원 구조체는 골(valley)로 분리된 다수의 중공 돌기를 구비하도록 성형된 제 1 측면을 갖는 한장의 변형가능 재료를 포함한다. 다수의 중공 돌기는 최외곽 말단을 갖는다. 상기 한장의 재료는 제 2 측면을 갖는다. 이 제 2 측면은 제 1 측면상의 다수의 중공 돌기에 대응하는 다수의 침하부를 갖는다. 요소가 다수의 중공 돌기 사이의 골에 고착되어 부분적으로 채운다. 요소는 다수의 중공 돌기의 최외곽 말단 하부의 표면을 가지며, 그에 따라 변형가능한 필름의 편의 제 1 측면이 표적면에 대해 배치될 때, 다수의 중공 돌기는 표적면에서 일부분이 변형될 때까지 요소와 표적면 사이의 접촉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돌기는 역전, 압착 및 신장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방식으로 변형된다. 바람직하게는, 역전 및/또는 압착 방식에 있어서, 각각의 다수의 돌기는 평방 인치당 적어도 0.1 파운드(0.69KPa)의 압력에 노출될 때까지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을 것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저장백 및 저장용기에 대해 폐쇄 수단으로서 유용한 재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것은 3차원 시트형 구조체(30)(또한 도 8 내지 도 19에는 각각 30A, 30B로 표시됨)를 포함한다. 이 구조체(30)는 중공 돌기(14)를 갖는 변형 재료(12)와 돌기(14) 사이에 배치된 요소의 층(16)을 구비한다. 돌기(14)는 절두원추형 또는 돔형 최외곽 말단(18)을 갖는 원추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14)는 재료의 동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정삼각형 패턴으로 동일하게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14)는 그 돌기 사이의 골의 체적, 즉 그들 사이에 배치된 요소의 양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대략 2개의 돌기 기부의 직경 또는 그보다 가까운 거리로 중앙에서 중앙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돌기(14)는 그들 직경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며, 그에 따라 변형될 때 돌기는 재료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역전 및/또는 압착시키는 것에 의해 변형된다. 이러한 돌기 형상 및 변형 방식은 돌기(14)가 재료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에 따라 돌기는 그들 사이의 요소가 표적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해할 수 없도록 한다.
도 10은 유연하지만 임의의 표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는 표적면(90)을 돌기(14)의 최외곽 말단(18)만큼 요소(16)의 층으로부터 멀리 이격된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적면은 유사한 유형의 선택적으로 활성화가능한 접착제가 부착된 폐쇄 수단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는 폐쇄 외주부의 반대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통상적일 것이다. 도 11은 힘(F)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재료(12)의 비 요소 측면에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돌기(14)가 부분적으로 변형된 후에 표적면(90)이 요소(16)의 층에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단위 면적당 돌기의 수가 많을수록, 재료 및 돌기는 얇아져서 소정의 변형력에 저항할 수 있다. 요소(16)의 바람직한 층은 라텍스 감압형 접착제 또는 고온 용융 접착제이며, 그러한 것은 예를 들면 미국 미네소타주 바드나이스 하이츠 소재의 에이치 비 풀러 캄파니(H. B. Fuller Co.)에 의해 제조되는 사양 번호 Fuller HL-2115X로 구입가능하다. 재료의 적용의 필요성에 적합한 어떠한 접착제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는 재고정가능하거나, 분리가능하거나 영구적인 것 등일 수도 있다. 돌기의 크기 및 간격은 돌기 주위의 연속 접착제 경로를 제공하도록 선택되어 표적면에 의해 기밀 시일이 형성되고 또 표적면에 의해 소망하는 레벨의 접착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선택적 활성화를 위한 스탠도프의 최적의 패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 재료는 균질 수지 또는 그의 혼합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동시 압출, 압출 피복, 층상화 또는 기타 공지된 수단에 의한 조합의 여부에 관계 없이, 필름 구조체내에 단일 또는 복수 층을 제공할 수 있다. 필름 재료의 핵심적 특성은 돌기 및 골을 제조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는 데 있다. 유용한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PET, PVC, PVCD, 라텍스 구조체, 나일론 등을 포함한다. 저렴한 비용 및 성형의 용이함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다. 다른 적절한 재료는 알루미늄 호일, 피복된(왁스 등) 및 비피복된 종이, 피복된 부직포 및 비 피복된 부직포, 스크림, 메쉬, 직물, 부직포 및 천공 또는 다공 필름 및 그의 조합체를 포함한다.
성형된 폐쇄 수단의 다른 적용은 돌기의 동일한 크기 및 밀도 뿐만아니라 그와 함께 사용되는 요소의 선택을 나타낼 것이다. 돌기의 크기, 형상 및 간격, 만곡률, 재료의 강도, 재료의 두께, 경도, 온도 편차와 같은 재료의 특성 뿐만아니라 성형 공정이 돌기의 강도를 결정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시트의 상부 층의 중량과 운반시의 진동, 오취급, 떨어뜨림 등에 의해 발생되는 힘과 같은 다른 힘으로 인한 폐쇄 수단의 조속한 활성화를 방지하기 위해 "한계" 돌기 경도가 요구된다.
돌기의 반전은 비교적 약한 시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높은 접착이 필요치 않도록 돌기의 탄성을 최소화한다. 예를 들면, 접합이 영구적이고 활동적 접착이 탄성을 극복하는 경우, 탄성 돌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돌기는 재료의 반복 사용이 의도되는 경우 바람직하다.
도 12는 돌기를 변형 모드로 실질적으로 역전시키고 및/또는 압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의 폐쇄 수단의 돌기 및 골의 바람직한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바람직한 형상은 요소가 돌기 사이 또는 중공형 돌기 내측의 골에 배치되는 돌기의 중첩 또는 충돌을 최소화한다. 또한, 바람직한 형상은 돌기의 변형에 대해 반복가능하고 예상가능한 저항을 확보하는 것을 돕는다. 도 12는 각 돌기가 높이 치수(A) 및 기본 직경 치수(B)로 규정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돌기를 중첩됨이 없이 실질적으로 반전 및/또는 압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 직경(B) 대 높이(A)의 바람직한 비는 적어도 2:1 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재료(30)와 같은 재료[도 13에는 대체로 (180)으로 도시됨]의 적합한 제조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제 1 단계는 성형 스크린을 제 1 요소로 피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성형 스크린은 상부면 및 그 내부의 다수의 요부를 갖는다. 피복 단계는 요부를 메움이 없이 제 1 요소를 상부면에 도포한다. 제 2 단계는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을 갖는 재료의 편을 성형 스크린상에 도입하여 그에 따라 제 1 측면이 성형 스크린의 상부면상의 제 1 요소와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1 요소는 주로 재료의 제 1 측면에 고착된다. 제 3 단계는 재료를 성형하여 제 1 측면으로부터 성형 스크린의 요부내로 연장된 다수의 중공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수의 중공 돌기는 골에 의해 이격되며 제 1 요소가 성형 스크린으로부터 골내로 운반된다. 다수의 중공 돌기는 공통 이송 및 성형 표면을 사용하여 제 1 요소와 정확하게 일치된다. 제 1 기재는 돌기 사이의 골에 상호연결된 층을 형성한다.
성형 스크린(181)은 아이들러 풀리(182)와 구동 진공 롤(184) 위에 감겨있다. 성형 스크린(181)은 벨트내에 요부로서 에칭되는 소망의 돌기 패턴을 갖는 스테인레스 강 벨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 스크린(181)에 대해 다공 지지면으로 기능하는 솔기 없는 니켈 스크린이 진공 롤(184)의 외부면을 포위한다.
감압형 접착제 수용 재료를 제조하기 위해서, 성형 스크린(181)이 어플리케이터를 지나 회전하는 동안 요소(186), 바람직하게는 고온 용융 접착제가 요소 어플리케이터(188)에 의해 성형 스크린(181)상에 피복된다. 재료(90)의 웹은 재료 이송 아이들러 롤(192)에서 요소가 피복된 성형 스크린과 접촉하게 된다. 재료가 진공 롤(184)상을 통과함에 따라 그리고 진공이 가해져서 진공원(도시 않됨)으로부터 진공 롤(184)을 통과하여 고정된 진공 매니폴드(196)를 거쳐 성형 스크린(181)상에 가해짐에 따라, 고온 공기 소스(194)에 의해 고온 공기가 재료(190)에 방사방향으로 지향된다. 재료가 고온 공기 소스(194)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진공이 가해진다. 성형된 요소 피복 재료(198)는 스트리핑 롤(200)에서 성형 스크린(181)으로부터 벗겨진다. 돌기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과 공일한 공통 성형 스크린이 요소를 재료로 이송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요소의 패턴은 돌기와 편리하게 일치한다.
스테인레스 강 성형 스크린(181)은 제조된 시임 벨트(seamed belt)이다. 그것은 여러 단계로 제조된다. 요부의 패턴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개발되고 그리고 투명체상에 인쇄되어 포토에칭을 위한 포토마스크(photomask)를 제공한다. 포토마스크는 에칭된 영역 및 비 에칭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에칭 재료는 스테인레스 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것은 황동, 알루미늄, 구리, 망간 및 합금을 포함하는 다른 재료일 수도 있다. 부가하여, 요부 패턴은 금속 대신에 감광성 중합체로 에칭될 수도 있다. 적절한 성형 구조체는 전술한 해밀턴 밑 맥가이어 등의 특허 출원에 보다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 재료로서 이용할 때 전술한 다양한 재료는 그의 재료 성분으로부터 백의 조립 전에, 주립 중에 또는 조립 후에 가요성 저장 백 또는 저장용기의 본체의 일부분으로서 일체로 형성되고 구성될 수도 있다. 변형예로, 그러한 폐쇄 수단은 백의 조립 전에 조립중에 또는 조립 후에 별도로 성형되고 그리고 가요성 저장 백 또는 저장용기의 본체에 접합될 수도 있다. 그러한 접합은 연부 방향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백 또는 저장용기 본체의 중첩부상에 재료의 접합 또는 적층체로서 달성될 수도 있으며, 그러한 적층은 폐쇄 수단을 포함하는 백 또는 저장용기의 영역에 추가의 두께, 강도 및/또는 탄성을 부가하기 위해 소망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폐쇄 수단에 이용되는 재료는 백 또는 저장용기 본체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재료와 크기 및 조성이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재료로 특히 유용한 것은 플랜지 재료로부터 폐쇄 수단의 활성 측면이 멀리 향하도록 그것에 층상화된 폐쇄 수단을 갖는 자립형 반강성 탄성 중합체 또는 피복 종이 시트 재료이며, 그에 따라 실질적으로 보다 탄성적이고 보다 자립성이 있는 베이스 재료를 갖는 다수의 고변형가능한 스탠도프를 구비하는 복합 폐쇄 수단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는 헌츠먼 필름 프로덕츠 코포레이션(Huntsman Film Products Corp.)으로부터 상표명 X420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며 두께가 0.002 인치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시트 재료를 포함한다.
폐쇄 수단 재료의 고착된 또는 접합된 상부 부분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가요성 저장 백 또는 저장용기의 전체 구조로 재료를 통합하는 견지에서 각종 적응 또는 수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폐쇄부 분리의 수동 개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개구부 외주의 대향 측면상에 신장 탭[예컨데,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탭(35)]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또한, 백 또는 저장용기 본체의 작지만 미세한 부분을 폐쇄 재료가 없는 개구부 외주에 근접하게 남겨두어, 그에 따라 재료의 이격, 즉 가요성 저장 백 또는 저장용기의 개방을 개시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는 재료의 비 고착 림(rim)이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 이로울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쇄 수단(30)에 선택적으로 활성화가능한 접착 재료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가요성 저장 백 또는 저장용기내의 개구부를 폐쇄하고 밀봉하기 위한 조작하기 쉬운 폐쇄 수단이 제공된다. 한쌍의 반대 손가락으로 폐쇄 수단을 쥐거나 집어서 백 또는 저장용기 본체 또는 폐쇄 수단의 대향 표면에 대해 재료를 활성화하는 손놀림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폐쇄 수단(30)은 한손 또는 두 손으로 다루기가 용이하다. 쥐고 있는 손가락을 개구부의 크기를 가로질러 이동시키면, 개구부의 크기를 가로질러 폐쇄 수단이 확고히 고정되며, 그에 따라 가요성 백 또는 저장용기는 반 폐쇄된 저장용기로부터 완전 폐쇄된 저장용기로 전환된다. 특히, 폐쇄 수단이 백 또는 저장용기 본체내의 개구부를 완전히 포위하는 경우, 폐쇄 수단(30)은 통상적으로 쌍을 이루는 요소의 정밀한 정렬을 요구하는 기계식 폐쇄 기구와는 달리 임의의 반대 표면에 고착될 것이므로 오정렬에 대한 오차허용도가 높다.
백 또는 저장용기 본체의 중첩부를 집거나 쥐는 것에 의해 폐쇄 수단을 활성화할 수 있는 능력은 특히 본 발명의 가요성 저장 백 또는 저장용기와 같은 가요성 정합 구조체에 의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그러한 구조체는 힘이 가해지면 항복가능하므로, 특히, 폐쇄체의 밀봉을 시도함에 따라 백 또는 저장용기의 내용물을 배출하려는 경향이 있는 충전할 때, 전체적으로 표면에 대해 백 또는 저장용기상에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시일을 활성화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원에 설명한 폐쇄 수단을 사용하면 가요성 저장 백 또는 저장용기를 매우 안전하고 신뢰할만하게 밀봉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의 폐쇄 수단은 3차원 쌍의 인터로킹 요소 보다는 다수의 3차원 돌기에 의해 보호되는 접착제의 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기계적 요소의 말단과 같은 누출 구역을 제공함이 없이 힌지(32) 근처의 영역과 같은 백 또는 저장용기 본체의 한정된 비평행 영역에 그러한 폐쇄 수단을 성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폐쇄 수단(30)은 누출방지 시일이 중요한 상황에서 달성되는 밀봉 레벨로 추가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제공한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7 및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된 자립식 가요성 저장 백은 1897년 6월 15일자 로렌쯔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84,555 호에 개시된 식료품점형 종이 백에 대해 통상적으로 취한 접근 선을 따라 가요성 시트 재료로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폐쇄 수단의 사용과 연계하여 자립형 접근책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다른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다른 예시적 백 구조의 예는 1976년 7월 20일자로 핸슨(Hanso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970,241 호; 1991년 멘덴홀(Mendenhall)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061,500 호; 1993년 3월 23일자 ??킨스(Watkins)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95,829 호; 1994년 5월 24일자 햅(Happ)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14,252 호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1990년 2월 6일자 콕스(Cox)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98,477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개시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백 또는 저장용기 본체를 형성하기 위해 접고 밀봉한 시트 재료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 백 또는 저장용기는 그러한 백 또는 저장 용기를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형태로 제조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과 같은 임의의 공지된 적절한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백 또는 저장용기의 각종 요소를 자체적으로 또는 서로 접합하기 위해 열 또는 접착제 밀봉 기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백 또는 저장용기는 재료의 웹 또는 시트로부터 백 또는 저장용기 본체를 제조하기 위한 중첩 및 접합 기법에 의존하기 보다는 재료의 출발 블랭크 또는 시트로부터 열성형되거나, 송풍되거나 또는 다른방식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명확히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모든 변형 및 수정을 포괄하도록 의도하는 바이다.

Claims (10)

  1. 힌지결합된 외주 플랜지에 의해 규정된 개구부를 갖는 반 폐쇄된 저장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조립되는 적어도 한장의 가요성 시트 재료를 포함하는 가요성 저장 백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된 플랜지는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여 상기 반 폐쇄된 저장용기를 폐쇄된 저장용기로 전환시키기 위한 폐쇄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저장용기는 자립(self-supporting)하며, 상기 개구부를 상향 연장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저장 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저장 백은 상기 개구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시트 재료내에 형성된 적어도 한쌍의 대향 거싯(gusset)과, 상기 개구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바닥을 구비하여, 그에 따라 상기 바닥이 수평면상에 배치될 때, 상기 저장용기가 자립하며 상기 개구부를 상향 연장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저장 백.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수단은 상기 힌지결합된 플랜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한장의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한장의 재료는 상기 개구부를 향해 내측으로 지향된 제 1 측면과 상기 개구부의 외측으로 지향된 제 2 측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측면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기 전에 나타나는 접착 박리력 보다 큰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된 후의 접착 박리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저장 백.
  4. (a) 제 1 개방 말단 및 제 2 개방 말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개방 말단을 통해 연장된 축방향을 규정하고 있는 단일의 연속 관상 측벽으로서, 상기 제 1 개방 말단은 상기 제 1 개방 말단의 외주를 형성하는 실질적인 연속 외측 연장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관상 측벽은 상기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반응하여 접을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자동 복원가능한, 상기 단일의 연속 관상 측벽과;
    (b) 상기 관상 측벽의 제 2 개방 말단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관상 측벽의 개방 말단을 폐쇄하여 반 폐쇄 저장용기를 형성하는 바닥 패널과;
    (c) 상기 반 폐쇄 저장용기를 폐쇄 저장용기로 선택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리드(lid)와;
    (d) 상기 리드를 상기 플랜지에 대해 밀봉하기 위한 폐쇄 수단을 포함하는, 접을 수 있고 적층가능하며 자동 복원가능한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폐쇄 수단은 상기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한장의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한장의 재료는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내측으로 지향된 제 1 측면과 상기 개구부의 외측으로 지향된 제 2 측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측면은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기 전에 나타나는 접착 박리력 보다 큰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된 후의 접착 박리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고 적층가능하며 자동 복원가능한 저장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 측벽 및 상기 바닥 패널은 재료의 연속 시트로부터 열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고 적층가능하며 자동 복원가능한 저장용기.
  6. (a) 2개의 대향 측벽과, 상기 2개의 측벽 사이의 대향 말단 벽과, 저장용기 본체의 일단부를 포위하는 바닥 패널을 포함하는 반 폐쇄 저장용기 본체로서, 상기 측벽 및 상기 말단벽은 2개의 개방 말단을 갖는 관상 구조체를 함께 형성하고, 상기 바닥 패널로부터 대향된 상기 관상 구조체의 타단부는 외주부를 형성하는, 상기 반 폐쇄 저장용기 본체와;
    (b) 상기 반 폐쇄 저장용기를 폐쇄 저장용기로 선택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리드와;
    (c) 상기 리드를 상기 저장용기 본체에 대해 밀봉하기 위한 폐쇄 수단을 포함하는, 접을 수 있고 중첩가능하고 적층가능하며 자립가능한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각 측벽은 상기 바닥 패널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거싯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 및 상기 말단 벽은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중첩가능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리드와 상기 바닥 패널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을 수 있으면서 상기 측벽 및 상기 말단 벽이 비중접 상태에 있는 동안 실질적으로 자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고 중첩가능하고 적층가능하며 자립가능한 저장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상기 말단 벽 및 상기 바닥 패널은 일체로 연속 시트의 재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고 중첩가능하고 적층가능하며 자립가능한 저장용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패널은 대각선 보강 폴드(fol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고 중첩가능하고 적층가능하며 자립가능한 저장용기.
  9. 제 1 항, 제 4 항 또는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수단은 상기 플랜지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부 압축력에 의해 활성화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백 또는 저장용기.
  10. 제 1 항, 제 4 항 또는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수단은 상기 개구부를 따라 상기 반 폐쇄 저장용기의 상보형 표면과 접촉하도록 접착제를 노출시키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될 때 실질적으로 2차원 시트 재료로 전환되는 3차원 시트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백 또는 저장용기.
KR1019997010267A 1997-05-09 1998-05-06 가요성 저장 백 및 접을 수 있고 적층가능하며 자동복원가능한 저장용기 KR100354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424697A 1997-05-09 1997-05-09
US08/853,773 1997-05-09
US8/854,246 1997-05-09
US8/853,773 1997-05-09
US08/854,247 1997-05-09
US08/854,247 US6164821A (en) 1997-05-09 1997-05-09 Flexible, self-supporting storage bag with hinged, framed closure
US08/853,773 US5996882A (en) 1997-05-09 1997-05-09 Collapsible, foldable, stackable, and self-supporting container
US08/854,246 1997-05-09
US8/854,247 1997-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315A true KR20010012315A (ko) 2001-02-15
KR100354924B1 KR100354924B1 (ko) 2002-10-05

Family

ID=2742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267A KR100354924B1 (ko) 1997-05-09 1998-05-06 가요성 저장 백 및 접을 수 있고 적층가능하며 자동복원가능한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0980334B1 (ko)
JP (1) JP3388762B2 (ko)
KR (1) KR100354924B1 (ko)
CN (1) CN1080687C (ko)
AU (1) AU737264B2 (ko)
BR (1) BR9808757A (ko)
CA (1) CA2289669C (ko)
CO (1) CO4790163A1 (ko)
DE (1) DE69807061T2 (ko)
ES (1) ES2178212T3 (ko)
HK (1) HK1027075A1 (ko)
PE (1) PE34099A1 (ko)
TW (1) TW431991B (ko)
WO (1) WO199805027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22481B (ko) * 1995-03-07 1997-12-11 Sankyo Co
US6892897B2 (en) 1998-11-24 2005-05-17 Spin Master Limited Collapsible storage device with movable closure element
GB9825586D0 (en) * 1998-11-24 1999-01-13 Worlds Apart Limited Storage device with improvements
US7001475B2 (en) 2001-12-11 2006-02-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m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film structures
TW200500271A (en) 2002-10-24 2005-01-01 Kao Corp Self-supporting bag
DE10328476B3 (de) * 2003-06-25 2004-09-30 Nordenia Deutschland Gronau Gmbh Flachgelegte Folienverpack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8695793B2 (en) 2004-10-22 2014-04-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stable easily opened package
GB2442221A (en) * 2006-09-28 2008-04-02 Michael John Gordon Bag with closure device
ATE454329T1 (de) * 2007-10-15 2010-01-15 Goglio Spa Stehbeutel für schüttfähige produkte
MX2011005398A (es) 2008-11-21 2011-06-16 Graphic Packaging Int Inc Caja de carton con escudete de refuerzo en parte superior.
US7971720B2 (en) 2009-06-24 2011-07-05 The Clorox Company Vertically stacking litter bag with handle
WO2011129436A1 (ja) * 2010-04-15 2011-10-20 Hino Tomoharu 開閉具及びこれを備えた袋
CN102424193A (zh) * 2011-08-25 2012-04-25 北京航洋胶囊技术有限公司 易撕口包装袋
US10315829B2 (en) 2012-09-14 2019-06-11 Clearpak, Llc Multi-layered suspension package assembly
US10076753B2 (en) * 2013-06-12 2018-09-18 Ge Healthcare Bio-Sciences Corp. Disposable container and mixing system comprising the container
US9199761B2 (en) 2013-10-28 2015-12-01 John McDonald Compressible packaging assembly
US9463915B2 (en) 2013-10-28 2016-10-11 John McDonald Compressible packaging assembly
US20150266642A1 (en) 2014-03-21 2015-09-24 John McDonald Heat sealed packag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producing and using the same
CA2997686A1 (en) 2015-10-22 2017-04-27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arton with locking feature
CN108430255B (zh) * 2015-11-02 2021-11-30 野醍冷却器有限责任公司 封闭系统和具有封闭系统的绝热装置
CN106935274A (zh) * 2015-12-30 2017-07-07 上海微电子装备有限公司 一种可折展的设备罩壳
PL3411297T3 (pl) 2016-02-05 2024-02-26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Karton z wierzchnią częścią wielokrotnego zamykania, półwyrób do utworzenia kartonu i sposób utworzenia kartonu
US10173805B2 (en) 2016-07-14 2019-01-08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Reclosable carton
US10239651B2 (en) 2017-01-13 2019-03-26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arton with top closure
US10392156B2 (en) 2017-04-10 2019-08-27 John McDonald Return shipping system
WO2020036790A1 (en) 2018-08-14 2020-0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magnetization of magnetizable material
EP3837181A1 (en) * 2018-08-14 2021-06-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formable package
TWI761779B (zh) * 2020-03-03 2022-04-21 印度商洛希亞股份有限公司 製作複合袋之裝置及方法
CN113734612B (zh) * 2020-05-29 2022-07-26 清华大学 用于存储装置的设备
CN112689606B (zh) * 2020-12-17 2023-04-07 深圳市宏讯制造技术有限公司 储料供料装置
EP4074618A1 (en) 2021-04-13 2022-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closable paper-based package
DE102021121836B4 (de) * 2021-08-24 2023-10-12 Mondi Ag Verfahren zum Verpacken eines Gegenstandes in einem Papiersack und Papiersack
US11897661B1 (en) 2022-10-11 2024-0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closable paper-based packag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206665A (ko) * 1972-05-17 1973-11-20
AU1546776A (en) * 1975-06-30 1978-01-05 Metpro Pty Ltd Handbag frame
GB1575657A (en) * 1978-05-17 1980-09-24 Peake N Closure means for a 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80334A2 (en) 2000-02-23
JP3388762B2 (ja) 2003-03-24
EP0980334B1 (en) 2002-08-07
AU737264B2 (en) 2001-08-16
CA2289669A1 (en) 1998-11-12
CA2289669C (en) 2005-12-20
TW431991B (en) 2001-05-01
BR9808757A (pt) 2000-10-03
DE69807061T2 (de) 2003-02-27
WO1998050279A3 (en) 1999-02-25
DE69807061D1 (de) 2002-09-12
JP2000512960A (ja) 2000-10-03
WO1998050279A2 (en) 1998-11-12
KR100354924B1 (ko) 2002-10-05
CN1261320A (zh) 2000-07-26
ES2178212T3 (es) 2002-12-16
HK1027075A1 (en) 2001-01-05
CN1080687C (zh) 2002-03-13
AU7565398A (en) 1998-11-27
CO4790163A1 (es) 1999-05-31
PE34099A1 (es) 199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4924B1 (ko) 가요성 저장 백 및 접을 수 있고 적층가능하며 자동복원가능한 저장용기
US6116501A (en) Stackable, self-supporting container with lid-alignment feature
KR100366865B1 (ko) 유연성 저장 백
US5996882A (en) Collapsible, foldable, stackable, and self-supporting container
US6164821A (en) Flexible, self-supporting storage bag with hinged, framed closure
JP4633266B2 (ja) 機械的滑り閉鎖部を備えている折り畳み可能で、積み重ね容易な、自立容器
CN101119896A (zh) 包括水平铰接的侧壁部分的可折叠容器
AU7565498A (en) Flexible bag with selectively-activatible support-engagement feature
CN101119897A (zh) 包括垂直铰接的侧壁部分的可折叠容器
CN101734406A (zh) 包括由挠性材料形成的可移除上部的容器
MXPA99010293A (en) Flexible, collapsible, self-supporting storage bags and containers
MXPA99010292A (en) Flexible storage bag with selectively-activatible closure
JPH10157768A (ja) 包装体
MXPA99010294A (en) Flexible bag with selectively-activatible support-engagement fe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01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9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9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1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8110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