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69384A - 내연기관의 시동을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시동을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9384A
KR20000069384A KR1019997005122A KR19997005122A KR20000069384A KR 20000069384 A KR20000069384 A KR 20000069384A KR 1019997005122 A KR1019997005122 A KR 1019997005122A KR 19997005122 A KR19997005122 A KR 19997005122A KR 20000069384 A KR20000069384 A KR 20000069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injection
press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5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6995B1 (ko
Inventor
보쿰한스욕크
디터 북크홀즈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00069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99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02N99/002Starting combustion engines by ignition means
    • F02N99/006Providing a combustible mixture inside the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17/00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ffecting stratification of charge in cylinders
    • F02B17/005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ffecting stratification of charge in cylinders having direct injec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04Cleaning of, preventing corrosion or erosion in, or preventing unwanted deposits in,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7/00Non-electrical conjoint control of two or more functions of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7/02Non-electrical conjoint control of two or more functions of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e of the functions being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11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 F02D41/3017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characterised by the mode(s) being used
    • F02D41/3023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characterised by the mode(s) being used a mode being the stratified charge spark-ignited mode
    • F02D41/3029Controlling fuel injection according to or using specific or several modes of combustion characterised by the mode(s) being used a mode being the stratified charge spark-ignited mode further comprising a homogeneous charge spark-ignited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40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with means for controlling injection timing or d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2Other methods of operation
    • F02B2075/125Direct injec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for spark ignition engines, i.e. not in pre-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2041/389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for injecting directly into the cylin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요약서는 내연기관(1), 특히 자동차의 내연기관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고, 이 내연기관이 분사밸브로 장치되어 있으며, 또한 이 분사장치로 압축과정 때의 1차 운전방법에서나 아니면 흡입과정 때의 2차 운전방법에서 피스톤(2)으로 한정된 내연공간(4)으로 분사된다. 더나아가서 내여기관(1)이 하나의 점화장치(9)를 가지고 있으며, 이 점화장치로 내연기관(4)으로 분사되는 연료를 점화할수 있다. 제어장치(16), 즉 분사밸브(8)와 점화장치(9)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장치가 있다. 또한 이 제어장치(16)를 통해서 연료의 분사가 연료가 점화되기 이전에 끝나게 된다. 이로서 특히 내연기관이 시동되는 경우에 점화장치(9)가 막히는 것을 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시동을 위한 방법{Method for star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내연기관의 실린더에 직접 연료 분사를 하는 종류의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는 또한 1차 운전방법으로서 하나의 소위 레벨운전과 2차 운전방법으로서 호모겐운전으로 구별하고 있다. 이 레벨운전은 특히 작은 하중의 경우에 적용이 되며, 호모겐의 운전의 경우에는 큰 하중에 대해 적용되고 있으며, 대부분 내연기관에 걸리게 되는 하중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레벨운전은 연료가 실린더 내에서의 내연기관의 흡입과정의 경우에, 그리고 직접적으로 점화장치의 주위에 분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은, 즉 미세하고 균일한 연료의 분사가 실린더 내에서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레벨운전의 장점은, 또한 아주 미소한 연료량으로도 내연기관에 걸려있는 하중에 대해 시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보다 큰 하중은 물론 레벨운전으로는 충족시킬 수는 없다. 이러한 종류의 큰하중을 위한 호모겐 운전에 있어서 연료는 내연기관의 흡입행정 동안에 분사되므로서, 순환과 이에 따른 연료의 분배가 실린더내에서 또한 다른 어떤 도움 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우기 호모겐 운전은 대략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즉 연료가 흡입관으로 분사가 되는 종래의 운전방법과 일치하게 된다.
이 두 운전방법에서, 즉 레벨운전과 그리고 호모겐운전에서, 분사되는 연료의 분사각도와 또는 분사기간은 연료절약적 측면에서의, 유해 배기가스의 감소 그리고 이에 따른 최적값을 이루는 여러 인자에 대해 종속적인 제어장치에 의해서 조절되거나 또는 제어된다.
시동을 위해서는 내연기관이 호모겐운전에서 작동을 하게 된다. 이는 즉 연료가 흡입과정 동안에 실린더로 분사된다. 분사각도와 분사기간은, 즉 연료가 실린더에 분사될 때에, 제어장치에 의해서 흡입과정 전에 연산되게 된다. 이러한 연산은 실질시간, 즉 흡입과정 전에 지배하고 있는 내연기관의 운전상태를 근거로 하는 실질시간에서 이루어진다.
시동되는 순간에 내연기관은 매우 강하게 가속이 된다. 다시 말해서 이는 즉 다음과 같은 결과, 즉 이미 연산된 분사각도 및/또는 이미 연산된 분사기간이 실제 분사시간에서 분사시점에서 지배하고 있는 내연기관의 운전상태와 더이상 일치하지 않고 있다는 뜻이 된다.
이는 분사기간은 저속회전을 위해서 연산되었고, 이것이 시동시 가속을 이유로, 분사기간이 너무 길어지고 회전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피스톤에 의해서 발생된 압축력이 이미 분사압력보다 클때에, 연료가 실린더로 분사되고 그리고 분사밸브가 이로서 열리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조기에 분사밸브를 막히게 하고 이는 분명 원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시동시에 회전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분사밸브가 열리는데, 이는 피스톤에 의해 발생된 압축력이 분사압력보다 더클 경우에 발생되며, 또한 이러한 압력은 분사된 연료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는, 즉 연료/공기-혼합이 내연기관에서 분사밸브로 그리고 이와 함께 연료준비시스템으로 역분사되어 되돌아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이에 따른 결함 또는 내연기관의 운전에 대해 이와 유사한 고장을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 특히 자동차의 내연기관의 시동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자동차에 있어서 연료는 압축과정 때의 1차 운전방법에서나 아니면 흡입과정때의 2차 운전방법에서 피스톤으로 한정된 실린더에 직접 분사되고, 그리고 또한 실린더로 분사된 연료가 점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연기관 특히 자동차를 위한, 즉 분사밸브장치를 가진 자동차를 위해서 연료가 압축과정 때의 1차 운전방법에서나 아니면 흡입과정에서의 2차운전방법에서 직접 피스톤으로 한정된 실린더로 분사될 수 있으며, 점화장치를 이용해서, 즉 실린더로 분사되는 연료를 점화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분사밸브와 점화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자동차의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실시예에 대한 도식적인 블록접속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내연기관의 작동을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에 대한 도식적인 블록접속도를 나타낸 도면.
도 3a와 3b는 각각 도 1의 내연기관의 작동에 대한 도식적인 시간 다이아그램을 나타낸 도면.
본발명의 과제는, 내연기관의 작동을 위한 방법을 이루는 것이며, 이 방법으로 내연기관의 문제해결의 시점이 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론에 설명된 종류의 방법에 있어서나 또는 서론에 설명된 종류의 내연기관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해 연료분사는 연료가 점화되기 전에 끝나는 방법에 의해서 해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서, 연료가 점화장치에 의해 점화되었을 경우, 분사 밸브는 항상 닫혀져 있어야 한다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로서 조기에 발생되는 분사밸브의 막힘을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를 통해서 분사밸브의 기능력과 수명이 뚜렷하게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장점인 형태에서 볼 때에 연료분사는 설정된 각도의 조절은 연료점화 이전에 이미 끝난다. 각도위치는, 항상 연료점화 이전에 이루어지겠끔 우선적으로 연산되고 또한 각도위치가 이미 결정되어야 한다. 이로서 한편으로는, 연료가 점화될 때에는, 분사밸브가 항상 닫혀져 있어야 한다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바로 본발명의 형태가, 단지 제어장치에 의해 설정된 각도위치에 대해서 어떠한 처방이 반드시 시도되는데, 즉 밸브가 열려 있을 경우에, 분사밸브가 바로 닫힌상태로 넘어가게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또다른 처방은, 특히 시간간격에서 각도위치를 감시하는 것과 같은 처방은 더이상 필요하지 않다.
특히 연료분사는 늦어도 예를 들어서 약 290 도에서 이에 대한 피스톤의 상위 행정 위치에 이른 후에 끝나야 한다. 실린더에서의 피스톤의 상위 행정위치는 이에 속한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다. 상위의 행정위치에서 시작해서 흡입과정이 끝난 후에 이에 따른 각도위치가 제공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분사밸브가 닫혀 있어야만 한다. 동시에 상위행정후에 약 290도에서의 각도위치는 흡입과정이 끝난 후에 어떤 값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값의 경우에는 어떠한 경우라도 실린더에서는 연료의 점화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인 형태에 있어서 연료 분사는 설정된 시간 및 각도간격에 있어서 연료점화 이전에 끝나야만 한다. 예를 들어서 내연기관의 실제 각도위치의 간격은 이미 연산되어져야 하며, 설정된 각도위치에서의 점화가 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설정 한계치 아래에 있어야 하고, 이는 또한 연료가 실린더로 분사될 때에, 분사밸브가 닫히게 된다. 이로서 연료가 항상 최고 가능한 각도 조절이 될 때에 분사가 이루어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상 분사밸브는 연료 점화가 될때에 닫히게 된다. 이러한 형태는 물론, 아주 빠른 시간간격상에서 실제 내연기관의 각도위치가 측정되거나 연산된다.
본 발명의 장점인 또다른 형태에 있어서, 즉 분사된 연료에 실린 압력이 측정되는 과정에서 실린더에 걸리는 압력이 얻어지지만, 그러나 압력이 실린더에서 연료에 실린 압력보다 클 때나 아니면 이보다 크기 전에, 연료의 분사는 끝이 난다.
이러한 시점 이후에, 즉 압력이 실린더에서 연료에 실린 압력보다 큰 시점이후에, 분사밸브는 닫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연료/공기-혼합이 실린더에서 흡입밸브로 역분사되어 되돌아가게 된다. 이로서 연료준비시스템의 기능력이 유지가되고 그리고 내연기관의 결함이나 또는 이와 유사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이러한 또다른 형태에서는 물론, 연료에 실린 압력과 실린더의 압력이 아주 빠른 시간 간격에서 측정되고 또는 연산된다.
본발명의 또다른 장점인 형태에 있어서 연료의 분사가 설정된 각도위치가 될 때에 끝나게 된다. 이러한 각도위치는, 실린더에서의 압력이 연료에 실린 압력보다 클때에, 분사밸브를 항상 닫게 하는 연산이 이루어지고 그리고 이에 따른 각도위치가 선정된다. 이로서 한편, 연료/공기-혼합이 실린더에서 분사밸브로 되돌아 가기전에, 분사밸브가 확실히 닫혀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른 한편 이러한 형태는 장점, 즉 제어장치의 설정된 각도의 조절에 있어서 하나의 처방이 시도되어야 하는데, 즉 만약 아직 열려 있는 경우에는, 분사밸브가 닫힌 상태로 진행되어야만 하는 처방이 하나의 장점이 된다. 또다른 처방, 특히 시간 간격상에서의 각도위치의 감시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특히 의도적으로, 만약 연료의 분사가 대략 이에 속한 피스톤의 하위행정 위치에서 끝나는 경우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각도위치만이 오기능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특별한 의도로서 본 발명의 방법은 전기적인 저장미디움의 형태를 실현하는 것이며, 특히 이러한 저장미디움은 자동차 내연기관의 제어장치를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동시에 전기적인 저장미디움에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또한 이 프로그램은 연산장치, 특히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작동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실행을 위해서 적합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또한 본 발명이 전기적인 저장미디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므로서, 프로그램이 배치된 저장미디움은 이 프로그램이 본 발명의 방법의 실행에 적합하도록 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또다른 주안점, 즉 적용방법과 본 발명의 장점은 다음에 나오는 본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나오게 되며, 도면에서도 또한 나타나게 된다. 동시에 기술된 또는 그려진 모든 주안점은 스스로 아니면 임의의 콤비를 이루면서 본발명의 현상을 이루고 있으며, 또한 청구항에서 또는 기술에서의 설명이나 또는 그림에서의 이들에 대한 요약 설명과는 무관하다.
도 1에서 내연기관(1)이 그려져 있고, 또한 이곳에서 피스톤(2)이 실린더(3)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다. 실린더(3)가 바로 내연공간(4)이고, 또한 이곳과 밸브(5)를 지나는 흡입관(6) 그리고 배기관(7)이 연결되어 있다. 더나아가서 내연공간(4)에서 신호(TI)로 제어되는 분사밸브(8)와 그리고 신호(ZW)로 제어되는 점화장치(9)가 차례로 정렬되어 있다. 흡입관(7)은 배기가스를 역으로 보내는 역배기가스유도관(10)과 그리고 신호(AGR)로 제어되는 역배기가스 밸브(11), 즉 배기가스를 역으로 통과시키는 역배기가스밸브(11)를 지나서 흡입관(6)과 연결되어 있다.
흡입관(6)은 공기질량을 측정하는 센서(12)와 그리고 배기관(7)으로 장치되어 있고 그리고 배기관(7)은 람다-센서(13)로 장치되어 있다. 이 공기질량센서(12)는 흡입관(6)에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산소질량을 측정하며 이에 따라서 하나의 신호(LM)가 발생된다. 이 람다-센서(13)는 배기관(7)에서의 배기가스중 산소함량을 측정하게 되고 그리고 이에 따라서 하나의 신호 즉 람다를 발생하게 된다.
1차적인 운전방법에 있어서, 즉 내연기관(1)의 레벨운전에 있어서, 연료는 분사밸브(8)에 의해서 압축과정때에 피스톤(2)으로 한정된 내연공간(4)으로 분사가 된다. 동시에 흡입된 공기를 통해서 분사된 연료가 서로 섞여서 선회하면서 동시에 분배된다. 이런 이후에 연료-공기-혼합은, 점화장치(9)에 의해서 점화가 되기위해서, 압축과정 동안에 압축이 된다. 그리고 점화된 연료가 폭발되면서 피스톤이 구동된다.
레벨운전에 있어서, 호모겐운전에서와 마찬가지로 구동된 피스톤을 통해서 크랭크축(14)은 회전운동으로 작동하게 되고, 이 회전운동을 지나 마지막으로 자동차 바퀴가 구동된다. 크랭크 축(14)에 회전속도 센서기(15)가 장치되어 있고, 이 센서는 피스톤(14)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신호(N)를 발생하게 된다.
연료는 레벨운전에서 그리고 호모겐운전에서 어떤 고압력하에 분사밸브(8)를지나 내연공간(4)으로 분사된다. 이러한 목적 때문에 전기 연료펌프와 고압펌프가 장치되어 있으며, 동시에 마지막으로 내연기관(1)에 의해서 또는 전기모터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전기 연료펌프는 소위 말하는 적어도 3 bar 정도의 레일압력(EKP)과 그리고 고압펌프는 약 100 bar 정도의 레일압력(HD)을 발생하고 있다.
레벨운전에서 그리고 호모겐운전에서 분사밸브(8)에 의해서 분사되는 연료질량은 제어장치(16)에 의해서 특히 미소한 유해배기가스 발생을 이유로 조절되거나 또는 제어된다. 이러한 목적 때문에 제어장치(16)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장치되어 있고, 또한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저장미디움, 특히 판독 전용-메모리(ROM)에서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또한 이 프로그램이, 위에서 말한 제어 및/또는 조절을 실행하는 것에 적합하다.
제어장치(16)는 입력신호에 의해 작동되고, 또한 이 신호는 센서를 이용하여 내연기관의 조절된 운전인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제어장치(16)는 공기체적센서(12), 람다 센서(13) 그리고 회전속도 센서(15)들과 연결되어 있다. 더우기 제어장치(16)는 자동차 페달센서(17)와 연결되어 있고, 이 페달센서는 하나의 신호(FP)를 발생시키며, 또한 이 신호는 운전자에 의해서 작동되는 운전페달의 위치를 제공하게 된다. 제어장치(16)는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로 원하는 조절 및/또는 제어에 상응하게 내연기관의 작동이 영향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서 제어장치(16)는 분사밸브(8), 점화장치(9) 그리고 역배기가스밸브(11)와 연결되어 있고 또한 이 제어장치는 이의 조정에 필요한 신호(TI, ZW, AGR)를 발생하게 한다.
신호(TI)로 내연공간으로 분사되는 연료의 분사를 제어하게 된다. 이 분사는 분사각도, 즉 분사가 시작되는 분사각도와 또한 분사기간, 즉 분사의 시간적인 기간을 결정하게 되는 분사기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분사각도와 분사기간은 호모겐운전에서 이에 필요한 연산시간을 근거로 각각 흡입과정 전에 제어장치(16)에 의해서 연산된다. 제어장치(16)는 이 시점에서, 즉 흡입과정 전에 지배하고 있는 내연기관의 운전상태의 연산에 근거를 두고 있다.
내연기관(1)의 출발에 있어서 위와 같이 호모겐운전에서 운전되고 있다. 분사각도와 분사기간은 제어장치(16)의 흡입과정 전에 연산된다. 흡입과정 동안에 연료분사가 내연기관의 내연공간(4)으로 분사가 시도된다. 압축 및 팽창과정 사이에 피스톤(2)의 상위 행정 바로 전에 연료는 점화장치(9)로 점화된다.
도 3에서 내연기관(1)의 시동이 기술의 배경 이후에 나타나 있다. 도 3a에서 내연기관의 4 기통의 실린더(3)에 대한 각각의 운전과정이 시간 (t)에 대해서 기입되어 있다. 수직적인 선은 동시에 하부 또는 상위 피스톤행정을 나타내고 있고, 또한 첫번째 실린더의 하부 행정위치(UT1)와 상위 행정위치(OT1)가 예로서 그려져 있다. 각각의 두개의 상위 또는 하위 행정위치 사이에 360도 회전하여 크랭크축의 각도(KW)가 이루어진다.
시간축 방향으로 수직선의 서로 다른 간격에 대해서 시동될 때에 내연기관(1)의 가속이 시작된다. 처음 회전속도(N)가 아주 작을때 그리고 이에 따라서 시간기간이 예를 들어서 180도 크랭크축 각도(KW)의 회전각도를 위해 너무 길 때에, 회전속도(N)는 뒤늦은 시점에서는 이미 확실히 크게되며 또한 이에 대한 회전각도를 위한 시간주기는 확실히 짧다.
이미 말한 바와 같이, 연료 분사는 내연공간(4)으로 제어장치(16)에 의해서 연산된다. 이를 근거로 연산시점에서 실제적인 내연기관(1)의 운전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특히, 분사각도와 분사기간이, 분사가 흡입과정 중에서 이루도록 연산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한 전제조건은 물론, 내연기관(1)의 회전수(N)가 어떤 구역, 즉 단지 정상적인 또는 평상적인 내연기관(1)의 가속을 발생시킬 수 있는 영역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종류의 분사는 도 3a에서 예를 들어 참고번호(18, 19)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시동중에 내연기관(1)은 매우 강하게 가속이 된다. 이러한 가속은 회전수(N)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며, 또한 이러한 회전수의 변화는 위에서 말한 전제조건에 대해 더이상 맞지 않는다. 이는, 즉 분사각도와 그리고 분사기간, 이미 설명하 바와 같이, 연산상으로 된 실제적인 내연기관(1)의 운전상태를 근거로 하는 것과 또한 이에 따른 시점에서의 회전수(N)를 근거로 연산되는 분사각도와 분사기간이 더이상 분사중에 고속회전(N)과 확실히 일치하지 않게 된다. 특히 분사기간이 매우 길므로, 분사가 흡입과정을 지나서 압축과정으로 이어지게 된다. 내연기관(1)은 실제적으로 "분사 상황에서 회전구동"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바로 도 3a에서 참고부호(20)로 지시하고 있는 분사의 경우이다.
이러한 사실은, 즉 연료가 내연공간(4)에서 점화장치(9)에 의해서 점화가 될때에, 분사밸브(8)가 또한 열리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종류의 분사는 도 3a에서 참고부호(21)로 나타나 있다.
마찬가지로 이는 다음과 같은 결과, 즉 연료/공기-혼합은 내연공간(4)에서 연료분사밸브(8)로 역분사되어 되돌아가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분사는 도 3a에서 참고부호(22)로 나타나 있다.
마지막에 다음과 같은 결론, 즉 연료준비시스템은 시동때에는 완전히 기능능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결론이 나오게 된다. 연료준비 시스템에서 특히 전기 연료펌프와 고압펌프로 취급한다. 내연기관(1)이 시동 바로 직후에 고압펌프는 아직 설정 압력을 생산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기 연료펌프는 최대한 레일압력(EKP)을 연료에 가하게 된다. 이러한 압력은 최고 약 3 또는 5 bar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또한, 압축과정 동안에 피스톤(2)에 의해서 내연공간(4)에서 발생되는 압축력이 연료준비 시스템에서 분사되는 연료에 실린 압력보다 크다는 결론이 나오게 된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이 되면, 연료/공기-혼합물이, 이미 설명한바와 같이, 내연공간(4)에서 부터 분사밸브(8)쪽으로 역분사가 된다.
도 3b에서 내연기관(1)의 시동은 본 발명에 따라 그려져 있다. 도 3b는 더나아가서 도 3a와 일치하게 되고, 따라서 같은 주안점 또는 기능이 같은 참고표시로 지시되어 있다.
도 3a의 분사(21)은 도 3b에서 다른 종류로 제어되며 또한 여기서 참고부호(23)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도 3b의 분사(24)는 제어장치 (16)에 의해서, 이는 연료의 분사가 내연공간(4)으로 각각 이에 속한 연료점화가 되기 이전에 끝나도록, 제어가 된다. 이러한 방법은, 즉 연료가 점화가 될 때에, 분사밸브(8)가 또한 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면 3a의 분사기(22)가 도면 3b에서 다른 방법으로 제어가 되고 또한 이곳에 참고부호(24)로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적으로 도 3b의 분사기(24)가 제어장치(16)에 의해서, 압력이 내연기관(4)에서 분사된 연료에 실린 압력보다 클경우에, 연료의 분사가 내연공간으로 끝이 나게 되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연료/공기-혼합물이 내연공간(4)에서 분사밸브(8)로 역으로 분사되게 된다.
회전수(N)을 위한 신호로 부터 각각의 실린더(3)을 위한 중단-신호는, 이에속한 피스톤(2)이 상위 행정(OT)을 지날 때에, 그리고 피스톤(2)이 상위행정(OT) 전에 예를 들어서 약 70도 정도의 각도위치로 피스톤(2)이 작동될 때에, 제어장치(16)에 의해서 발생된다. 위에서 설명한 각도위치는 또한 상위행정(OT) 이후에 약 290 도의 각도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위행정(OT) 전에 약 70도의 각도위치는, 압축과정에서 이 각도위치 전에 각각 연료의 점화가 각각에 속한 내연공간(4)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각도위치 또는 이에 속한 중단-신호가 제어장치(16)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라, 연료의 분사가 압축과정에 있는 내연공간(4)로 끝나도록 되어 있고 따라서 이에 따른 분사밸브(8)가 닫히도록 사용되고 있다.
내연기관(1)의 피스톤(20)중의 하나가 하위행정(UT)에서 흡입과정과 압축과정 사이 있게 되면, 각도위치에 의해서, 내연공간(4)에서의 압력이 항상 분사된 연료에 실린 압력보다도 더 크게 되겠끔 되어야 한다. 제어장치(16)는 따라서 이러한 각도위치, 즉 설정된 약 70도의 각도위치가 다음의 상위 행정(OT) 전에 내연공간(4)에서의 압력이 우선적으로 연료에 실린 압력 보다 클 때에, 압력연료의 분사가 끝날 수 있도록 각도위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제어장치(16)은 도 2에서 나타내고 있는 방법을 실행하고 있다.
분사된 연료에 실린 압력(Prail)이 압력센서(16)를 이용해서 측정된다(블록 25). 이어서, 어떤 압력(Pbr-tr)가 조건적으로 약 290 도의 각도위치에서 압축과정 때에 상위행정 이후에 내연공간(4)에서 존재하게 된다. 그런후에 연료에 실린 압력(Prail)이 내연공간(4)의 임의의 압력(Pbr-tr)과 비교가 된다(블록 27).
임의의 압력(Pbr-tr)이 압력(Prail)보다 크게 되고, 따라서 연료의 압력이 이에 속한 피스톤(2)의 다음의 하위행정(UT)에서, 즉 상위 행정(OT) 이후 180 도의 각도위치에서, 중단된다(블록 28). 이는 예를 들어서 연료 분사(24)의 경우에, 즉 연료분사(24)에 있어서 상위행정(OT2) 이후에 그리고 각도위치 180도를 넘어서 연료밸브(8)가 닫히게 된다. 이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연료/공기-혼합물이 내연공간(4)에서 분사밸브(8)로 역으로 분사되는 것을 막게 된다.
임의의 압력(Pbr-tr)이 압력(Prail)보다 클 경우에, 연료의 분사는 약 70도 정도로 그리고 다음의 상위행정(OT) 이전에서, 즉 약 290도의 각도위치으로 상위 행정(OT)에서 중단된다(블록 29). 이러한 사실은 예를 들어서 분사(23)의 경우에 대한 것이다. 이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연료가 점화가 될 때에, 분사밸브(8)가 열리게 된다.

Claims (10)

  1. 연료가 1차 운전방법에서 압축과정 동안에 아니면 2차 운전방법 흡입과정 동안에 직접 피스톤으로 한정된 내연공간(4)으로 분사되고, 또한 내연공간(4)으로 분사된 연료가 점화되는 자동차 내연기관을 시동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연료의 분사는 연료가 점화되기 전에 끝나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시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연료의 분사가 설정된 각도위치에 있어서 연료의 점화 이전에 끝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시동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연료의 분사가 늦어도 이에 속한 피스톤(2)의 상위행정 이후에 예를 들어서 약 290도에서 끝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시동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연료의 분사가 설정된 시간- 또는 각도간격에 있어서 연료가 점화되기 전에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시동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분사되는 연료에 실린 압력(Prail)이 측정되고,
    내연기관(4)에서의 압력(Pbr-tr)이 얻어지며, 내연기관(4)에서의 압력(Pbr-tr)이 연료에 실린 압력(Prail)보다도 크기 전 또는 크게될때에, 연료 분사가 끝이 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시동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연료의 분사가 설정된 각도에서 끝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시동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연료의 분사가 약 이에 속한 피스톤(2)의 하위 행정(UT)에서 끝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시동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항에 의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서, 특히 자동차 내연기관(1)의 제어장치(16)를 위해 전기 저장미디움, 즉 판독 전용 메모리(ROM)가 있고, 이곳에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것이 연산장치에, 특히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미디움.
  9. 분사장치(8)를 가지고 있고, 이 분사장치로 압축과정 때의 1차 운전방법에서나 아니면 흡입과정 때의 2차 운전방법에서 직접 피스톤(2)으로 한정된 내연공간(4)으로 분사되고, 점화장치(9), 즉 이 점화장치를 가지고 내연기관에 분사되는 연료가 점화되고, 그리고 제어장치(16), 즉 이 제어장치를 가지고 분사밸브(8)와 점화장치(9)가 제어 될 수 있는 자동차의 내연기관에 있어서,
    제어장치(16)를 통해서 연료의 분사가 연료가 점화되기 전에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어장치(16)를 통해서 내연기관(4)의 압력(Pbr-tr)을 측정할 수 있고, 그리고 내연기관(4)의 압력(Pbr_tr)이 연료에 실린 압력(Prail)보다 클 때에, 연료의 분사가 제어장치(16)을 통해서 끝나고, 분사된 연료에 실린 압력(Prail)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KR1019997005122A 1997-10-18 1998-10-05 내연기관의 시동 방법 및 자동차용 내연기관 Expired - Fee Related KR100626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46119.0 1997-10-18
DE19746119A DE19746119A1 (de) 1997-10-18 1997-10-18 Verfahren zum Starten einer Brennkraftmaschine
PCT/DE1998/002940 WO1999020882A1 (de) 1997-10-18 1998-10-05 Verfahren zum starten einer brennkraft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384A true KR20000069384A (ko) 2000-11-25
KR100626995B1 KR100626995B1 (ko) 2006-09-22

Family

ID=7845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12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6995B1 (ko) 1997-10-18 1998-10-05 내연기관의 시동 방법 및 자동차용 내연기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16664B1 (ko)
EP (1) EP0953103B1 (ko)
JP (1) JP4176158B2 (ko)
KR (1) KR100626995B1 (ko)
DE (2) DE19746119A1 (ko)
WO (1) WO19990208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27609A1 (de) * 1998-06-20 1999-12-23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s
US6662776B1 (en) 1999-04-13 2003-12-16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9958465C2 (de) * 1999-12-04 2001-12-06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020104A1 (de) * 2000-04-22 2001-10-3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Starten einer mehrzylindrigen Brennkraftmaschine
DE10042551A1 (de) * 2000-08-30 2002-03-14 Volkswagen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Kraftstoff-Direkteinspritzung
DE10111928B4 (de) * 2001-03-13 2008-09-0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anlasserfreien Starten einer mehrzylindrigen Brennkraftmaschine
EP1477651A1 (en) * 2003-05-12 2004-11-17 STMicroelectronics S.r.l.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pressure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particular a spontaneous ignition engine, for controlling fuel injection in the engine
JP4269825B2 (ja) * 2003-07-30 2009-05-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筒内直接噴射式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US7031828B1 (en) * 2003-08-28 2006-04-18 John M. Thompson Engine misfire detection system
US7082899B2 (en) * 2004-03-26 2006-08-01 Bose Corporation Controlled starting and braking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581586B2 (ja) 2004-09-17 2010-1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システム及びこれを搭載する自動車並びに内燃機関の始動方法
US7552717B2 (en) * 2007-08-07 2009-06-30 Delphi Technologies, Inc. Fuel in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el injectors
US9371790B2 (en) * 2012-01-19 2016-06-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fuel injection
US9279406B2 (en) 2012-06-22 2016-03-08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carbon build up in an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8107A (en) * 1990-03-30 1992-01-07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Fuel injection control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173663B2 (ja) 1991-08-14 2001-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エンジンの燃料噴射制御装置
US5150692A (en) 1991-12-16 1992-09-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air supply pressure in a pneumatic direct fuel injec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9177589A (ja) * 1995-12-27 1997-07-08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の筒内噴射式燃料制御装置
JPH09236036A (ja) 1996-02-29 1997-09-09 Fuji Heavy Ind Ltd 筒内噴射エンジンの始動時制御装置
DE19612150A1 (de) * 1996-03-27 1997-10-02 Bosch Gmbh Robert Steuereinrichtung für eine Benzin-Brennkraftmaschine mit Direkteinspritzung
JP3514049B2 (ja) 1996-09-10 2004-03-3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直噴式ガソリン内燃機関における燃料噴射制御装置
JP3019019B2 (ja) * 1996-09-30 2000-03-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負圧制御装置
US5983857A (en) * 1997-02-12 1999-11-16 Mazda Motor Corporation Engine control system
DE69830818T2 (de) * 1997-05-21 2005-12-29 Nissan Motor Co., Ltd., Yokohama Übergangsregelsystem zwischen zwei funkengezündeten Brennzuständen in einem Motor
JP3536606B2 (ja) * 1997-08-21 2004-06-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直噴火花点火式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3538003B2 (ja) * 1997-08-29 2004-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筒内噴射式燃料制御装置
DE19743492B4 (de) * 1997-10-01 2014-02-1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Starten einer Brennkraftmaschine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810795D1 (de) 2004-03-25
EP0953103B1 (de) 2004-02-18
KR100626995B1 (ko) 2006-09-22
EP0953103A1 (de) 1999-11-03
JP2001507102A (ja) 2001-05-29
DE19746119A1 (de) 1999-04-22
US6216664B1 (en) 2001-04-17
JP4176158B2 (ja) 2008-11-05
WO1999020882A1 (de) 199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7593B2 (ja) 内燃機関のスタート方法及び内燃機関
JP4138029B2 (ja) 内燃機関例えば自動車の内燃機関の作動システム
EP08494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jecting fuel in cylinder injection type engines
US6718928B2 (en) Method for starting a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731702B1 (ko) 엔진을 시동하기 위한 방법
KR20000069384A (ko) 내연기관의 시동을 위한 방법
JP4163884B2 (ja) 多気筒直接噴射型内燃機関のスタータ無し始動方法
JP4650975B2 (ja) 内燃機関、とりわけ自動車の内燃機関の動作のための方法
KR100616269B1 (ko) 자동차 내연기관의 작동 방법
US9869260B2 (en) Control device of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4504529A (ja) エンジンの加速および減速中の燃料噴射信号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4589060B2 (ja) 多気筒式内燃機関を始動させるための方法並びに内燃機関
US6508227B2 (en) Method of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15586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fuel supply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1208507A (zh) 用于内燃机的应急运行方法
JP4475686B2 (ja) とくに自動車の内燃機関の運転方法
JP2003120389A (ja) 有毒物質排出値および/または騒音排出値に影響を及ぼすための方法、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燃料噴射装置
US6662776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5537430A (ja) 内燃機関を運転するための方法
KR100432034B1 (ko) 커먼 레일 연료 분사 장치에서의 멀티 파일롯 분사 제어방법
JP2002519567A (ja) 特に自動車の内燃機関の運転方法
Tamura Engine management system for direct injection gasoline engine
JPH07127515A (ja) 燃料供給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09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91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