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28560A - 유체압실린더장치 - Google Patents

유체압실린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8560A
KR20000028560A KR1019990012744A KR19990012744A KR20000028560A KR 20000028560 A KR20000028560 A KR 20000028560A KR 1019990012744 A KR1019990012744 A KR 1019990012744A KR 19990012744 A KR19990012744 A KR 19990012744A KR 20000028560 A KR20000028560 A KR 20000028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elastic deformation
cylinder device
piston rod
fluid press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9747B1 (ko
Inventor
무라오요시오
와타나베후미오
도쿠시게다카노부
Original Assignee
다카시마 아키히코
다이요 텍코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시마 아키히코, 다이요 텍코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시마 아키히코
Publication of KR20000028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7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61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industrial machines or actuators
    • G01L5/0076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manufacturing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15B15/1433End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tuator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Endoscope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린더 튜브(11)내를 슬라이딩하는 피스톤(12)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13)가, 실린더 튜브(11)의 한쪽 끝부에 연결된 로드커버(14)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도록 구성된 유체압 실린더장치이다. 로드커버(14)에는, 해당 유체압 실린더장치를 외부 프레임(FM)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27)와, 설치부(27)와 실린더 튜브(11)로의 연결부와의 사이에 가해지는 축방향의 하중을 검출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하중변환부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하중변환부로부터 인출되는 리드선이 이동하지 않으며 더욱 충분한 측정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압 실린더장치{HYDRAULIC CYLINDER APPARATUS}
본 발명은 피스톤 로드에 의한 추력을 검출하기 위한 하중변환부를 일체적으로 가진 유체압 실린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유체압 실린더장치는 부품의 압입, 클램프, 첵킹, 롤러가압, 또는 프레스가공 등, 각종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용도에 따라서는, 유체압 실린더장치의 피스톤 로드의 추력 또는 부하의 하중의 크기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부품의 압입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유체압 실린더장치에 의해서 부품을 강하게 눌러 압입을 행함과 동시에, 그 때의 압입력을 측정하여, 압입이 정상으로 행하여졌는 지의 여부를 관리한다.
종래에 있어서, 그와 같은 용도에 사용하기 위해서, 유체압 실린더장치의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에 하중변환기(로드셀)을 설치한 것(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2569871호), 또는 헤드커버에 하중변환기를 설치한 것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에 하중변환기를 설치한 경우에는 부하의 하중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밀도의 측정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하중변환기로부터 인출되는 리드선이 피스톤 로드의 이동과 동시에 이동하기때문에, 리드선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리드선이 이동하기 때문에 단선(斷線)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헤드커버에 하중변환기를 설치한 경우에는 부하에 의한 하중에 더하여, 유체압 실린더장치 자체에 작용하는 중력이 하중변환기에 작용한다. 더욱이 유체압 실린더장치를 수평방향으로 설치한 경우에는, 유체압 실린더장치의 헤드쪽의 끝에서 유체압 실린더장치의 전체의 중량을 지지하게 되기때문에, 하중변환기에는, 축방향의 추력뿐만 아니라, 커다란 회전모멘트도 작용한다. 따라서, 측정의 정밀도가 크게 낮아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하중변환기로부터 인출되는 리드선이 이동하지 않고도 더욱 충분한 측정정밀도를 얻을 수 있는 유체압 실린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실린더 튜브(11)내를 슬라이딩하는 피스톤(12)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13)가 상기 실린더튜브(11)의 한쪽 끝부에 연결된 로드커버(14)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도록 구성된 유체압 실린더장치로서, 로드커버(14)에는, 해당 유체압 실린더장치를 외부 프레임(FM)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27) 및 이 설치부(27)와 실린더 튜브(11)로의 연결부 사이에 가해지는 축방향의 하중을 검출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하중변환부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중변환부는 축방향의 양쪽 끝단에 설치된 2개의 플랜지부와, 2개의 플랜지부 사이에 있어 이들 플랜지부와 일체로 설치되며, 두께가 얇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변형부와, 이 탄성변형부에 설치된 왜곡센서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 1실시형태의 유체압 실린더장치의 단면정면도,
도 2는 유체압 실린더장치의 저면도,
도 3은 하중변환기의 왜곡게이지의 근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형태의 유체압 실린더장치의 정면도,
도 5는 유체압 실린더장치의 저면도,
도 6은 플레이트부재의 단면도,
도 7은 왜곡게이지의 내부회로의 예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왜곡게이지의 접속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1의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 1실시형태의 유체압 실린더장치(1)의 단면정면도, 도 2는 유체압 실린더장치(1)의 저면도, 도 3는 하중변환기(23)의 왜곡게이지(GU1)의 근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유체압 실린더장치(1)는, 실린더 튜브(11), 피스톤 (12), 피스톤 로드(13), 커버(14, 15), 4개의 타이볼트(16a~d), 그랜드 메탈(22),하중변환기(23), 플랜지(24) 및 부시(25)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중변환기(23)는, 플랜지부(41, 42), 탄성변형부(43) 및 왜곡게이지(GU1, 2…)로 이루어진다. 한쪽의 플랜지부(41)에는 커버(14)와의 연결를 위한 4개의 나사구멍(41a~d)이 설치되어 있고, 다른 한쪽의 플랜지부(42)에는, 플랜지(24)와의 연결을 위한 4개의 나사구멍(42a~d)이 설치되어 있다. 나사 구멍(41a~d)에는, 타이볼트(16a~d)가 각각 나사박음되고, 나사구멍(42a~d)에는 볼트(26a~d)가 각각 나사박음된다. 탄성변형부(43)는, 플랜지부(41, 42)와의 연결부분이 매끄러운 R면으로 마무리된 두께가 얇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에 비례하여 탄성변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탄성변형부(43)의 바깥 둘레면의 둘레방향의 등각도 위치의 4개소 위치에, 왜곡게이지(GU1, 2…)가 접착제에 의해서 붙여져 있다. 따라서, 왜곡게이지(GU)는, 플랜지부(41, 42)의 사이에 가해지는 축방향의 하중에 따라 왜곡되고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또, 왜곡게이지(GU)의 리드선은 적당한 케이블을 사용하여 왜곡증폭기 등에 접속된다.
피스톤(12)은 실린더 튜브(11)의 안쪽 둘레면을 슬라이딩한다. 피스톤 로드(13)는 피스톤(12)과 연결되어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피스톤 로드(13)는 커버(14)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한다.
타이볼트(16a, 16b,…)의 각각의 한쪽 끝단은, 상기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41)에 설치된 나사 구멍(41a~d)에 나사결합되고, 각각의 다른쪽 끝단은, 커버(15)에 설치된 구멍을 관통한 뒤 너트에 의해서 조여져 있다. 이것에 의해서, 커버(14, 15), 실린더튜브(11) 및 하중변환기(23)가 일체화되어 있다.
플랜지(24)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중변환기(23)의 플랜지부(42)에 설치된 나사 구멍(42a~d)에 볼트(26a~d)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플랜지(24)에는 유체압 실린더장치(1)를 프레임(FM)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멍(27, 27…)이 설치되고 있고, 이 설치구멍(27, 27…)을 사용하여 프레임(FM)에 볼트로(도시되지 않음)고정되어 있다.
커버(14, 15)에는, 포트(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이 포트에 압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피스톤(12)이 상하방향으로 구동되고, 이것과 함께 피스톤 로드(13)가 이동한다.
하중변환기(23)의 안쪽 둘레면과 피스톤 로드(13)와의 사이에는 공간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공간에는 그리스 등을 봉입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피스톤 로드(13)의 바깥 둘레면은, 부시(25)의 안쪽 둘레면과 가볍게 접촉하는 일이 있으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랜드메탈(22)에는 패킹 겸용의 스크레이퍼(31)가 설치되고, 부시(25)에는 스크레이퍼(32)가 설치되어 있으나, 하중정밀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스크레이퍼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유체압실린더장치(1)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포트에 압유체를 공급함으로써 피스톤 로드(13)를 하강방향으로 구동하여, 피스톤 로드(13)의 선단부에 의해 부품을 압입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유체압 실린더장치(1)의 추력은 거의 압입력과 같으나, 이 추력은 하중변환기(2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가해진다. 이것에 의해서 탄성변형부(43)가 변형되어 왜곡게이지(GU)로부터 신호가 출력된다. 왜곡게이지(GU)의 신호를 연산함으로써, 유체압 실린더장치(1)의 추력(압입력)를 구할 수 있다.
또한, 하중변환기(23)에는 추력이외에, 유체압 실린더장치(1)의 중력이 수직방향 아래쪽으로 가해지나, 이것은 일정하고 공지이기때문에 계산에 의해서 보정할 수 있다.
또한, 하중변환기(23)에 대하여 축방향 이외의 힘이 가해진 경우, 예를 들어굽힘방향의 힘 또는 비틀림 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적당한 구성의 왜곡게이지(GU)를 사용하고, 또한 왜곡게이지(GU)의 접속회로를 적당한 회로로 하여 둠으로써, 그와 같은 힘을 소거하여 추력만을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체압 실린더장치(1)에 의하면, 하중변환기(23)에 의해서 추력을 용이하게 또한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 유체압 실린더장치(1)가 동작하였을 때 하중변환기(23)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왜곡게이지(GU)의 리드선은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리드선을 고정할 수가 있어 배선이 용이하고, 또한 단선될 우려가 없다.
또한, 피스톤 로드(13)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나 기름은, 2개의 스크레이퍼(31, 32)에 의해서 2단계에 걸쳐 긁어떨어트려지고, 피스톤 로드(13)의 표면이 거의 완전하게 청소되기 때문에, 먼지나 금속가루 등이 실린더튜브(11)의 내부로 들어 가는 일이 없다. 단, 스크레이퍼(32)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왜곡게이지(GU)의 바깥쪽으로 보호를 위한 수지를 도포하거나 또는 커버를 설치하여도 좋다.
〔제2의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제 2실시형태의 유체압 실린더장치(1b)의 정면도, 도 5는 유체압 실린더장치(1b)의 저면도, 도 6은 플레이트부재(51)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제 1실시형태의 유체압 실린더장치(1)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으며 설명을 생략하거나 또는 간략화하였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커버(14)에는 플레이트부재(51)가 설치된다. 플레이트부재(51)에는 중심에 가까운 부분의 4개소에 나사구멍(66a~d)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나사구멍(66a~d)에 타이볼트(16a~d)의 한쪽 끝단이 나사로 조여짐으로써 유체압 실린더장치(1b)가 일체화된다.
플레이트부재(51)에는 바깥 둘레에 가까운 부분의 4개소에 설치구멍(67, 67 …)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설치구멍(67, 67…)을 사용하여, 볼트(5: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프레임(FM)에 고정된다.
플레이트부재(51)에는 나사구멍(66a~d)과 설치구멍(67, 67…)의 사이를 칸막이하는 것 같은 형태로, 플레이트부재(51)의 표리를 관통하는 2개의 슬릿(61, 62)이 설치되어 있다. 즉, 플레이트부재(51)는 슬릿(61, 62)에 있어서 그 중심부와 바깥 둘레부와의 사이의 가장자리가 끊어져 있다. 또한, 2개의 슬릿(61, 62) 사이를 건너지르도록 2개의 오목부(63, 64)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63, 64)에 의해서 그곳에 두께가 얇은 부(63a, 64a)가 형성되어 있다. 두께가 얇은 부(63a, 64a)에는 왜곡게이지(GU1, 2)가 붙여져 있다.
또한, 오목부(63, 64)에는 왜곡게이지(GU)의 리드선을 삽입하여 외부에 인출하기 위한 구멍(69)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나사구멍(66a~d)과 설치구멍(67, 67…)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항상 두께가 얇은 부(63a, 64a)에 작용하여, 두께가 얇은 부(63a, 64a)를 탄성변형시킨다. 두께가 얇은 부(63a, 64a)가 변형하면 그 왜곡량에 따라 왜곡게이지(GU)로부터 신호가 출력된다.
즉, 플레이트부재(51)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하중변환기 및 설치부를 구성한다. 유체압 실린더장치(1b)의 추력은 플레이트부재(51)에 붙여진 왜곡게이지 (GU)로 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측정된다.
이 유체압 실린더장치(1b)에 의해서도, 플레이트부재(51)의 왜곡게이지(GU)에 의해서 추력을 용이하게 또한 고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 유체압 실린더장치(1b)가 동작하였을 때, 플레이트부재(51)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왜곡게이지(GU)의 리드선은 이동하지 않는다.
왜곡게이지(GU)가 오목부(63, 64)에 끼워 넣어져 있기 때문에, 왜곡게이지 (GU)에 대한 외부로 부터의 간섭이 막아진다.
또한, 이 예에서는, 플레이트부재(51)의 한편 표면에 2개의 오목부(63, 64)가 설치되어 있으나, 그 이면(裏面)에도 동일한 오목부를 설치하여 4개의 오목부에 합계 4개의 왜곡게이지(GU)를 설치하여도 좋다.
도 7은 왜곡게이지(GU)의 내부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8은 왜곡게이지 (GU1 ~ 4)의 접속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왜곡게이지(GU)에서는, 신장 및 수축에 의한 저항치의 증감방향이 서로 다른 2개의 저항소자(A, B)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왜곡게이지 (GU)의 전체가 도면의 상하방향으로 신장한 경우에, 저항소자(A)는 저항치가 감소하고 저항소자(B)는 저항치가 증대한다. 이것과는 반대로 상하방향으로 수축한 경우에는, 저항소자(A)의 저항치가 증대하고 저항소자(B)는 저항치가 감소한다.
도 8에 나타내는 회로에서는, 4개의 왜곡게이지(GU1~4)가 브릿지접속되어 있다. 브릿지의 각 노드로서, 각 왜곡게이지(GU)의 공통단자(TC)가 접속되고, 왜곡게이지(GU)의 상호간은, 저항소자(A)끼리, 저항소자(B) 끼리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노드(EA 와 EB)사이에 10 볼트정도의 일정전압을 인가하여, 노드(UA와 UB)사이에서 출력을 얻는다. 또, 왜곡의 어긋남을 보상하기 위해서, 노드(EA와 UB)사이, 또는 노드(EA와 UA)사이에, 왜곡게이지(GU)와 동일 온도특성을 가지는 저항기를 접속하여도 된다.
또한, 2개의 왜곡게이지(GU)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브릿지의 대향하는 변의 저항소자가, 저항소자(A)끼리, 저항소자(B)끼리로 되도록 하면 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왜곡게이지(GU)로서 여러 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왜곡게이지(GU)의 리드선의 접속을 위해 적당한 커넥터 또는 단자대(端子臺)를 설치하여도 좋다. 하중변환기(23)의 플랜지부(41, 42)에 대하여 각각 연결하기 위해서 너트를 사용하여도 좋다. 유체압 실린더의 구조, 형상, 치수 등은 여러 가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하중변환기(25), 탄성변형부(45), 플레이트부재(51), 슬릿(61,62) 또는 유체압 실린더장치(1, 1b)의 구조, 형상, 치수, 재질 등은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Claims (11)

  1. 실린더 튜브내를 슬라이딩하는 피스톤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가, 상기 실린더튜브의 한쪽 끝단부에 연결된 로드커버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도록 구성된 유체압 실린더장치로서,
    상기 로드커버에는, 상기 유체압 실린더장치를 외부 프레임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와 상기 실린더 튜브로의 연결부 사이에 가해지는 축방향의 하중을 검출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하중변환부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실린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변환부는, 축방향의 양쪽 끝단에 설치된 2개의 플랜지부와,
    상기 2개의 플랜지부 사이에 있어 그들 플랜지부와 일체로 설치되며 두께가 얇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에 설치된 왜곡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실린더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의 내부 공간에는 그리스가 봉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실린더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의 바깥 둘레면은 상기 하중변환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실린더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플랜지부 중에서 축방향 바깥쪽의 플랜지부에는 설치용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실린더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용 플랜지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표면을 청소하기 위한 스크레이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실린더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변환부 및 상기 설치부로서 플레이트부재가 설치되고 있고,
    상기 플레이트부재에는, 해당 플레이트부재의 표리에 걸쳐 관통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설치부와의 사이의 일부를 칸막이하는 슬릿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실린더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플레이트부재에, 상기 피스톤 로드를 지나는 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위치에 2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실린더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슬릿간격은, 상기 피스톤 로드를 중심으로 한 대칭위치인 2개소에서 좁아져 있고, 좁아진 부분이 탄성변형부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실린더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실린더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는 왜곡센서가 설치되고 있고, 상기 탄성변형부와 상기 왜곡센서에 의해서 상기 하중변환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압 실린더장치.
KR1019990012744A 1998-10-14 1999-04-12 유체압 실린더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897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195998A JP3291258B2 (ja) 1998-10-14 1998-10-14 流体圧シリンダ装置
JP10-291959 1998-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560A true KR20000028560A (ko) 2000-05-25
KR100589747B1 KR100589747B1 (ko) 2006-06-15

Family

ID=17775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74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9747B1 (ko) 1998-10-14 1999-04-12 유체압 실린더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16581B1 (ko)
EP (1) EP0994260B1 (ko)
JP (1) JP3291258B2 (ko)
KR (1) KR100589747B1 (ko)
AT (1) ATE266814T1 (ko)
DE (1) DE69917173T2 (ko)
ES (1) ES222173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0082B1 (en) * 2000-12-18 2002-09-17 Btm Corporation Shot pin
DE20306379U1 (de) * 2003-04-24 2003-06-18 FESTO AG & Co., 73734 Esslingen Befestigungselement und darauf abgestimmter Zylinderdeckel eines fluidbetätigten Arbeitszylinders
DE112005000525B4 (de) * 2004-03-05 2017-08-31 Waters Technologies Corp. (N.D.Ges.D. Staates Delawar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Druck messen
JP3664406B1 (ja) * 2004-09-16 2005-06-29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テクノロジーズ有限会社 負荷感応推力増幅機構を持つ動力伝達方法及び装置
GB0425688D0 (en) * 2004-11-23 2004-12-22 Spicket Valves & Pumps Ltd Monitoring system
WO2007042913A2 (en) * 2005-10-11 2007-04-19 Kilolambda Technologies Ltd. Optical power limiting and switching combined device and a method for protecting imaging and non-imaging sensors
JP5014186B2 (ja) * 2008-02-07 2012-08-29 新明和工業株式会社 液圧シリンダの制御装置
EP2107241A3 (en) * 2008-04-02 2010-06-09 Flux Instruments AG A Piston Pump Having a Force Senso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Said Pump
JP5859255B2 (ja) * 2011-09-12 2016-02-10 株式会社Taiyo 流体圧シリンダ装置
USD732473S1 (en) 2013-05-16 2015-06-23 Parker-Hannifin Corporation Cylinder assembly
USD726112S1 (en) * 2013-06-18 2015-04-07 Sem Ab Spark plug extension
JPWO2016163194A1 (ja) * 2015-04-06 2018-01-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作業機械の外力計測システムおよび作業機械
JP2017040385A (ja) * 2015-08-17 2017-02-2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極低温冷凍機
US12072251B2 (en) * 2022-03-01 2024-08-27 Asmpt Singapore Pte. Ltd. Force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for bonding or encapsulation process and apparatus incorporating th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4184A (en) * 1970-09-14 1972-05-23 Dresser Ind Rotary torque indicator for well drilling apparatus
US3808859A (en) * 1971-08-05 1974-05-07 Cefilac Hydraulic presses
US4058178A (en) * 1971-09-13 1977-11-15 Tadano Ironworks Co., Ltd. Hydraulic cylinder unit
US4216868A (en) * 1978-08-04 1980-08-12 Eaton Corporation Optical digital sensor for crane operating aid
JPS58221132A (ja) * 1982-06-18 1983-12-22 Hitachi Ltd 圧入力検出機構
AU1534983A (en) * 1982-10-12 1984-04-19 Jlg Industries, Inc. Load measuring apparatus
US4860639A (en) * 1984-12-11 1989-08-29 Bridgestone Corporation Flexible tubular wall actuator with end-mounted strain gauge
JP2795514B2 (ja) * 1990-02-28 1998-09-10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荷重センサ取付構造
JP2569871B2 (ja) 1990-03-01 1997-01-08 日本電気株式会社 参照電極
US5905212A (en) * 1997-06-04 1999-05-18 Continental Emsco Company Load and deflection measurement system for elastomeric bear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16581B1 (en) 2001-04-17
DE69917173T2 (de) 2005-07-07
KR100589747B1 (ko) 2006-06-15
ATE266814T1 (de) 2004-05-15
ES2221735T3 (es) 2005-01-01
EP0994260B1 (en) 2004-05-12
JP2000120611A (ja) 2000-04-25
DE69917173D1 (de) 2004-06-17
EP0994260A2 (en) 2000-04-19
EP0994260A3 (en) 2002-03-13
JP3291258B2 (ja) 200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9747B1 (ko) 유체압 실린더장치
US5224383A (en) Melt pressure measurement and the like
CA2240543A1 (en) Method and device for checking a sensor
US4456074A (en) Force measurement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n implement for towing by an agricultural machine
US5461933A (en) Shear web load cell having thermal compensation
US4966039A (en) Electrical force and/or deformation sensor, particularly for use as a pressure sensor
CN208458972U (zh) 一种快速实现风洞小规模测压的测压模块
US5686660A (en) Consistency transmitter
CN217560699U (zh) 一种盾构机用压力温度一体式传感器
RU97110643A (ru) Машина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силоизмерительная образцовая
CN114233720B (zh) 一种液压油缸推力测量装置及测量方法
JP3534205B2 (ja) ひずみゲージ式変換器における過渡温度特性の補償回路およびその補償方法
JP5859255B2 (ja) 流体圧シリンダ装置
CN219365016U (zh) 一种智能型黏滞阻尼器
CN112345136A (zh) 一种抗干扰型电容式力矩传感器
CN220120081U (zh) 一种小型化高精度光纤光栅静力水准仪
KR860007975A (ko) 리파이너 헤드의 장착방법 및 장치
EP1098180B1 (de) Vorrichtung zur Wegmessung
CN213812128U (zh) 一种商用车车架扭转角度测量装置
CN213364003U (zh) 工业称重系统传感器用弹性体
US4335614A (en) Waterproof strain sensing device
CN216349288U (zh) 一种应变式三维力传感器
SU1508113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давлени
KR0158158B1 (ko) 노면 가혹도 측정장치
SU168813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давлени на контакте штока с эластичным уплотнени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12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4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1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9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506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501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20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1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0406

Appeal identifier: 2006101000943

Request date: 20060202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20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0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111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80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31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121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604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306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