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16200A - 접착제 결합된 층과 함께 매트 형성에 의한 흡수 구조체 및 흡수 구조체의 제조 - Google Patents

접착제 결합된 층과 함께 매트 형성에 의한 흡수 구조체 및 흡수 구조체의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200A
KR20000016200A KR1019980709768A KR19980709768A KR20000016200A KR 20000016200 A KR20000016200 A KR 20000016200A KR 1019980709768 A KR1019980709768 A KR 1019980709768A KR 19980709768 A KR19980709768 A KR 19980709768A KR 20000016200 A KR20000016200 A KR 20000016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layer
airlaid
absorbent material
airlai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리트 로젤란트
Original Assignee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04028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0001620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000016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2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17Making absorbent pads from fibres or pulverulent material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the fibres
    • A61F13/15642Making absorbent pads from fibres or pulverulent material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the fibres by depositing continuous layers or pads of fibrous material on single sheets or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folded at the edge, e.g. over another layer ;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enveloping or enclosing a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593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to layer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무접착제 셀룰로스 섬유(4)의 흡수 물질층(2) 및 접착제 결합된 셀룰로스 섬유(5)의 에어레이드 물질층(3)으로 이루어지는 흡수 구조체(1), 및 흡수 물품에 사용하도록 의도된 흡수 구조체(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층들은 결합 물질로서 기능하는 에어레이드 물질(3)의 접착제와 에어레이드 물질(3)로 연장하는 흡수 물질층(2)으로부터의 섬유(4)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방법에서, 흡수 물질(2)은 에어레이드 물질(3)상에 매트 형성된다. 대안으로서, 흡수 물질(2)이 매트 형성되고 그리고나서 에어레이드 물질(13)이 그 상단에 놓여진다. 물질층들이 함께 놓여지고나서, 100℃가 넘는 온도에서 압축된다. 압축(24)동안 에어레이드 물질의 접착제가 연화되고, 두 층들이 함께 결합된다. 흡수 물질(2)로부터의 일부 섬유(4)들은 또한 에어레이드 물질(3)로 침투하여 층들사이의 연결이 더욱 달성된다.

Description

접착제 결합된 층과 함께 매트 형성에 의한 흡수 구조체 및 흡수 구조체의 제조
이러한 형태의 흡수 물품들은 많은 디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제품에서 흡수체는 예를 들어, 롤, 베일(bale) 또는 시트에서 셀룰로오스 펄프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건조 디파이버링(dry-defibering)되고 보풀려진 형태에서 때로는 물 또는 전체 유체 자체 중량의 여러배를 흡수하는 능력을 갖는 고분자인 소위 초흡수체의 혼합물과 함께 펄프 매트로 전환된다.
펄프 본체는 한편으로는 액체를 퍼지게 하는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른 한편으로는 펄프 본체의 부피를 감소시키고 가능한한 콤팩트(compact)한 제품을 얻기 위해 종종 압축된다.
이러한 제품들이 높은 흡수 능력을 갖고 전체 흡수 능력이 완전히 이용되며, 포함된 재료들은 흡수된 액체를 퍼지게 하는 양호한 능력을 가지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또한 이것이 가능한 한 분별있게 사용될 수 있도록 얇아야 한다.
SE, B, 462 622 는 섬유 간에 결합강도를 증가시키는 화학물질의 첨가없이, 저장 및 이송을 위해 둥글게 말리거나 시트 형태로 처리될 수 있는 강도의 제품인, 셀룰로오스 함유 섬유 물질로 이루어진 쉽게 분해가능한 제품을 기술한다. 약 80%의 건조 물질 함량을 갖는 화학열기계 펄프, 소위 CTMP의 플래쉬 건조된 섬유가 웹으로 형성된다. 섬유는 와이어 위로 배치된 형성 헤드를 통해 제어된 유량으로 공기 흐름에 의해 이송된다. 공기는 와이어 아래에 배치된 흡인상자를 통해 흡인제거된다. 웹은 최종 가압 전에 웹의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해 밀도 550∼1000㎏/m3으로 미리 가압된다. 이 제품은 예를 들어, 기저귀, 위생 타월 및 유사품들과 같은 위생 제품들을 제조하기 위해 건조 디파이버링하고 부풀려진 형태로 전환하는데 용이하다. 물질의 장점은 롤 형태의 셀룰로오스 펄프가 플래쉬 건조되고 웹으로 건식 형성되어, 펄프가 낮은 종이 결합 함량을 갖고, 이러한 이유로 디파이버링 에너지는 종래의 습식 형성 펄프보다 낮다. 이것은 또한 낮은 디파이버링 에너지를 유지하면서도 특히 이송 및 저장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해 재료를 단단하게 압축시키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또다른 장점은 초흡수체가 습식-형성 물질에 있어서는 불가능한 건식 형성 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디파이버링 않는 상태에서 이 건식 형성된 물질은 매우 양호한 흡수 물질이고 물질이 디파이버링 없이 위생 용품에서 흡수 물질로 바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특허 출원서 SE 9203445-3 및 SE 9203446-1에 개시된다. 또한 물질은 양호한 퍼짐성 및 팽윤성을 갖고 있다. 더 간단하고 더 비용이 낮은 제조 공정이 달성되면, 종래의 디파이버링 및 종래의 매트 형성은 요구되지 않는다. 위생 물품에서 어떤 제품의 경우에, 건식 형성된 롤 펄프가 흡수 물질로 사용되기 전에 연화를 행하는데 편리하다. 이미 언급된 양호한 흡수성 및 팽윤성은 연화 공정에 의해 크게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US-A-39 38 522는 유아의 피부와 접촉하게 되는 제 1 층 다공성 대향 웹으로 이루어지는, 착용자의 피부에 습기가 차지않게 할 수 있는 기저귀 구조를 개시한다. 제 1 층과 병렬인 제 2 층은 제 1 층보다 더 큰 습윤성을 갖는 고다공성의 셀룰로오스 배트(batt)이고, 제 2 층과 동일한 물질의 연속적이고, 종이 같은, 고밀도화한 제 3 층은 제 2 층과 결합되나, 실질적으로 더 작은 구멍 크기를 갖는다. 제 3 층은 유체를 없애면서 신속한 연신을 제공하는 선택된 영역에서 두껍게 된다. 불침투성 시트인 최종 층이 또한 제공된다.
다수의 흡수 제품, 비교적 얇은 대부분의 위생 타월과 팬티 라이너는 요즘에는 소위 에어레이드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이 물질은 예를 들어 라텍스와 같은 접착제로 분무된 와이어상에 에어레이드된 셀룰로스 섬유에 의해 제조된다. 이렇게 에어레이드 물질은 접착제 결합된 물질이다. 이후 물질은 오븐에서 건조된다.
팬티 라이너는 에어레이드 물질의 단일층,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과 같은 하부 바닥 플라스틱층, 및 예를 들어 부직포와 같은 상부 표면층으로 이루어진다. 위생 타월에서 에어레이드 물질은 세 개의 층으로 접혀진다; 그렇지 않으면, 팬티 라이너와 같이, 그것은 또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하부 바닥 층과 상부 표면층으로 이루어진다. 에어레이드 물질에 있어서 사용의 다른 영역은 예를 들어, 보호 시트, 세척 미트(mitt), 안면용 직물, 냅킨 및 테이블용 직물등이 있다.
상기한 건식 형성 흡수 물질은 그 양호한 흡수성 때문에 위생 제품에서 사용상 매우 적합하다. 게다가, 접착제를 쓰지 않아서 비용 및 환경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만약 물질의 층이 너무 얇다면, 탄력이 없고 깨지기 쉬워서 함께 잘 유지가 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갖는다. 특히 여성용 위생 용품을 생산하기 위해, 롤러 또는 스풀 상에서 좁은 웹 폭의 흡수 물질을 갖는 것이 유용하다. 좁은 롤러(폭 ∼ 5-10㎝) 상에 건식 형성 물질을 요구되는 강도로 공급하기 위하여, 물질은 약 350g/㎡의 단위 면적당 질량을 가져야 한다. 이 단위면적당 질량은 많은 경우에서제품의 기능을 위해 요구되는 것보다 높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롤러(폭 ∼ 5-10㎝) 상에 공급되기 위해 요구되는 강도를 갖는 건식 형성 흡수 물질의 단위 면적당 질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발명의 간단한 설명
지금부터 본문에서는 건식 형성된 흡수 물질을 흡수 물질로 언급하고 접착제 결합된 에어레이드 물질은 에어레이드 물질로 언급된다(EDANA의 정의 참조).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흡수 물질층 및 에어레이드 물질층으로 이루어지는 흡수 구조체인 물품에 관한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흡수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렇게 흡수 구조체는 흡수 물질층 및 에어레이드 물질층으로 이루어진다.
흡수 물질은 무접착제 셀룰로스 섬유로 이루어져 있고 에어레이드 물질은 접착제 결합된 셀룰로스 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에어레이드 물질층은 흡수 물질층의 강화재 및 지지부로서 기능을 한다. 다양한 층들이 결합 물질로서 기능하는 에어레이드 물질의 접착제에 의해 각각 서로에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결합의 어떤 정도는 에어레이드 물질층으로 연장하는 흡수 물질층으로부터의 섬유에 의해 달성된다.
흡수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서, 흡수 물질은 양호한 강도 및 탄성을 갖고 있는 에어레이드 물질과 함께 사용된다. 흡수 물질의 매트 형성은 이전에 제조된 에어레이드 물질상에 직접적으로 일어난다. 대안으로서, 흡수 물질은 에어레이드 물질이 흡수 물질의 상부에 놓여진 후에 와이어 상에 매트 형성된다. 매트 형성에 이어서, 구조체가 압축되고, 즉 100℃가 넘는 온도에서 에어레이드 물질의 접착제가 에어레이드 물질과 함께 흡수 물질을 연화하고 두 층을 서로에게 연결시킨다. 또한 흡수 물질로부터의 일부 섬유들은 에어레이드층으로 침투하고, 또한 흡수 물질과 에어레이드 물질 사이의 연결부가 얻어진다. 에어레이드 물질은 흡수 물질을 위한 지지부 및 강화층으로서 기능할 것이다. 흡수 물질의 이 강화 및 지지는 더 얇은 흡수 물질층이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흡수 물질층 및 에어레이드(airlaid) 물질층으로 이루어지는 흡수 구조체, 및 위생 타월, 팬티 라이너(liner), 실금 패드, 기저귀, 붕대, 타액 흡수체 등과 같은 흡수 물품에서의 사용을 위해 의도된 흡수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에어레이드 물질의 접착제에 의해 함께 결합되어 에어레이드 물질층을 상부에 갖는 흡수 물질층을 갖는 흡수 구조체를 나타낸다. 흡수 물질층의 몇몇 섬유들은 에어레이드 물질층으로 침투한다. 도면은 일정한 비율로 축적한 것은 아니다.
도 2는 두층의 에어레이드 물질층을 하나는 상부에 하나는 하부에 갖는 흡수 물질층을 갖는 흡수 구조체를 나타낸다. 이러한 층들은 또한 에어레이드 물질의 접착제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흡수 물질층의 일부 섬유들은 상부 에어레이드 물질로 침투한다. 도면은 일정한 비율로 축적한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4는 물품에 위치된 본 발명에 따른 흡수 구조체를 갖는 예증적인 실시예의 도식적인 배치를 나타낸다. 도면은 일정한 비율로 축적한 것은 아니다.
도 5 및 도 6은 흡수 구조체의 제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 구조체는 에어레이드 물질층에 의해 강화되고 지지된 흡수 물질의 얇은 층으로 이루어진다. 에어레이드 물질층은 예를 들어, 라텍스와 같은 접착제로 분무된 즉, 접착제 결합된 와이어상에 에어레이드된 셀룰로스 섬유에 의해 제조된다. 그리고나서 물질은 오븐에서 건조된다. 물질은 만약 셀룰로스 섬유가 요즘에 통상적인 표백된 화학 펄프로부터 제조되면 색깔은 흰색이다. 에어레이드 물질은 약 1.5%의 신장을 하는 흡수 물질에 비교하여 10-20%의 신장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흡수 구조체(1)는 무접착제 셀룰로스 섬유(4)를 갖는 흡수 물질(2) 및 접착제 결합된 섬유(5)를 갖는 에어레이드 물질(3)로 이루어진다. 에어레이드 물질층(3)은 여기에서 흡수 물질층(2)의 상부에 위치된다. 한 제조방법에서, 에어레이드 물질층은 흡수 물질이 에어레이드 물질의 상부에 형성되므로 바닥에 있을 것이다. 에어레이드 물질(3) 및 흡수 물질(2)은 층들을 함께 결합하는 에어레이드 물질(3)의 접착제에 의해 서로에게 결합된다. 또한 결합의 어떤 정도는 에어레이드 물질층(3)으로 연장하는 흡수 물질층(2)의 섬유(4)에 의해 또한 얻어진다. 에어레이드 물질(3)은 흡수 물질(2)의 강화재 및 지지부로서 기능을 한다. 흡수 물질은 0.1-1.0g/㎤, 특히 0.2-0.95g/㎤, 바람직하게는 0.25-0.9g/㎤, 가장 바람직하게는 0.3-0.85g/㎤의 밀도를 갖고 50-250g/㎡, 바람직하게는 75-200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150g/㎡의 단위 면적당 질량을 갖는다. 에어레이드 물질은 30-100g/㎡, 바람직하게는 35-80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5-50g/㎡의 단위 면적당 질량을 갖는다. 결과는 매우 양호한 흡수성과 높은 수준의 강도를 갖는 얇은 흡수 구조체이다. 이것은 단지 흡수 물질만으로 이루어진 흡수 구조체에 있어서 이전 단위 면적당 질량 350g/㎡에 대조적으로 대략 총 85-200g/㎡을 갖는다.
흡수 물질에서의 셀룰로스 섬유는 예를 들어, 화학열기계펄프 CTMP의 플래쉬 건조된 섬유로 이루어진다. 흡수 물질에 사용될 수 있는 섬유의 다른 예들로서는 열기계펄프 CMP, 고온열기계 펄프 HTCTMP, 아황산염 펄프 또는 크라프트 펄프로부터의 섬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흡수 구조체(6)가 도 2에 나타나 있다. 상기 도 1에서 구조체가 포함하는 층들에 더하여, 이것은 흡수 물질층 아래에 에어레이드 물질층(7)을 갖는다. 에어레이드 물질은 단위 면적당 질량 30-100g/㎡, 바람직하게는 35-80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5-50g/㎡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 구조체(1)의 제조가 도 5에 나타나 있다. 흡수 물질(2)은 에어레이드 물질(3)의 층상에 직접적으로 매트 형성되어 있다. 에어레이드 물질(3)은 와이어(26)상에 놓여 있고 흡수 물질(2)은 예를 들어 흡수 물질의 매트(2)로 형성되는 CTMP의 플래쉬-건조된 섬유(4)에 의해 형성된다. 섬유(4)는 이 경우에 와이어(26)위에 배치된 형성 헤드(21)를 통해 제어된 유량으로 공기 흐름(20)에 의해 이송된다. 와이어(26) 아래에는 공기를 흡인하여 제거하는 흡인 상자(22)가 배치되어 있고, CTMP섬유(4)가 아래로 흡인되고 그것들중의 몇몇은 에어레이드 물질(3)로 침투한다. 와이어 아래에 위치된 흡인 상자(22)가 CTMP섬유(4)를 이송하는 공기를 흡인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에어레이드 물질(3)이 다공성이고 공기를 통과시킨다는 것은 중요하다. 매트 형성은 고압에서 가열하여 실행되는 압축단계로 뒤이어 실행된다. 압축 유닛(24)은 100℃가 넘는 온도에서 두 개의 롤러(25)로 구성된다. 라텍스 접착제는 연화되고 두 층을 함께 결합시킨다. 흡수 물질을 강화시키고 지지하는 에어레이드 물질의 결과로, 더 얇은 흡수 구조체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압축다음에, 흡수 물질은 매우 양호한 흡수성을 갖는 얇은 제품을 산출하는 밀도 0.1-1g/㎤를 갖는다. 흡수 물질의 적합한 밀도는 0.1-1.0g/㎤, 특히 0.2-0.95g/㎤, 바람직하게는 0.25-0.9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3-0.85g/㎤ 이다. 또한 흡수층의 매트 형성단계에서 초흡수체를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대안의 과정이 도 6에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 흡수 물질(2)이 와이어(26)상에서 매트 형성된다. 매트 형성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일어난다. 상기한 방법과 다른 점은 에어레이드 물질(13)이 와이어상에 놓여있지 않고, 실질적인 매트 형성후에 다시 말해 형성 헤드(21) 및 흡인 상자(22)후에 그러나, 압축 유닛(24)에서의 압축단계 전에 흡수 물질층(2)상에 놓여진다. 압축은 100℃가 넘는 온도에서 고압에서 가열하여 일어난다. 라텍스 접착제는 연화되고 두 층을 함께 결합시킨다. 여기서 일단 흡수 물질이 다시 에어레이드 물질에 의해 강화되고 지지된다. 이 경우에 에어레이드 물질을 통해 흡인되는 공기가 없을 것이므로, 에어레이드 물질이 다공성이고 매우 낮은 단위 면적당 질량을 갖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에어레이드 물질은 약 35-50g/㎡의 단위 면적당 질량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것과 관련하여, 약 50-150g/㎡만큼 낮은 흡수 물질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 질량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에어레이드 물질의 강도에 의해 좁은 롤상에 공급될 수 있는 제품이 얻어질 수 있다. 이것은 흡수 물질 단독으로서 필요했던 이전의 350g/㎡과 대조를 이루어 총 단위면적당 질량 85-200g/㎡을 산출한다. 흡수 구조체는 제조 후에 여기서 도시되지 않는 더 좁은 웹 폭으로 절단된다.
흡수 물질의 매우 양호한 흡수성 및 퍼짐성을 갖는 제품이 얻어지고, 반면에 동시에 물질이 에어레이드 물질의 강도를 통해 강화된다. 이것은 낮은 단위 면적당 질량이 요구되는 위생 타월 및 팬티 라이너에 사용될 때 유리하게, 이전의 건식 형성 흡수 매트보다 더 얇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기저귀에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접착제의 양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접착제를 함유하는 것은 단지 얇은 에어레이드 물질이다.
또 다른 대안의 제조 방법에서, 두 개의 에어레이드 물질층(3,13)이 흡수 물질층(2)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로 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한 층(3)이 흡수 물질(2)이 형성된 와이어(26)상에 놓여진다. 또 다른 에어레이드 물질층(13)이 도 6에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압축 단계(24) 바로 전에 흡수 물질층(2)의 상부에 놓여진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제조는 상기와 같이 실행된다. 이것은 흡수 구조체를 더 강화할 수 있게 하고 예를 들어 팬티 라이너 및 위생 타월의 제조동안 섬유의 보풀이 이는 것을 감소시킨다. 흡수 제품의 제조에서, 물질은 임의로 연화되고 그리고나서 문제가 되는 섬유 풀어짐이 흡수 물질로부터 발생한다. 라텍스 결합된 에어레이드 물질층은 보풀이 일어나지 않고 따라서 장벽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또한 흡수 물질은 열기계펄프 CMP, 고온열기계 펄프 HTCTMP, 아황산염 펄프 또는 크라프트 펄프로부터의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방식이 층으로 형성되는 플래쉬 건조된 CTMP섬유로부터 제조되는 것이 아닐 때에는, 종래의 매트 형성 방식에 의해 흡수 물질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매트 형성에서, 시트, 롤 또는 베일 형태의 펄프는 건조-디파이버링되거나 찢어졌다. 보풀 형태로 배출된 섬유는 분리된 형태로 또는 웹상에 배출된다.
기저귀의 제조에 있어서, 사용이 절취된 베이스로 분리된 형태로 제조되고, 에어레이드 물질층은 베이스상에 위치하고 섬유는 형태를 이루도록 이송된다. 매트 형성 및 압축은 베이스에서 흡인 제거되는 공기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의 또다른 유리한 점이 있다. 흡수 물질은 화학열기계 펄프, 소위 CTMP의 섬유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리그닌이 여전히 이들 섬유에 존재하고, 이것은 섬유가 단단하고 노란색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에어레이드 물질은 흰색이고, 이것은 흡수 구조체에 더 하얗고 더 선명한 표면을 제공한다. 이것이 몇몇 경우에서는 매력적이지 않게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제품들은 노란색 표면을 갖지 않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단지 액체-불침투성의 바닥층만 갖는 흡수 구조체를 있는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약 1.5%의 신장을 갖는 흡수 물질에 비해, 에어레이드 물질은 10 내지 20%의 신장을 갖는다. 에어레이드 물질의 더 큰 신장은 에어레이드 물질을 상당히 강하게 만든다. 이 강도와 가요성은 에어레이드 물질이 건식 형성된 흡수 물질을 지지하고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건식 형성된 흡수 물질의 장점은 초흡수체를 그 속에 혼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초흡수체가 흡수 구조체에 포함되기 때문에, 그것이 흡수 물질과 혼합된다. 이제 에어레이드 물질은 흡수 구조체의 제조 및 흡수 물품에서의 흡수 구조체의 사용동안 초흡수체에 대한 장벽층으로서 기능을 한다. 제조동안, 에어레이드 물질층은 섬유 및 초흡수체 아래에 와이어상에 놓이고, 그것들은 초흡수체가 흡수 물질층으로부터 흡인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흡수 구조체의 사용에서, 에어레이드 물질층은 만약 그것이 흡수 물질층 위에 위치하면 장벽층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초흡수체는 이제 초흡수체와 함께 흡수체가 그것에 액체를 끌어 당길 때 사용자를 향한 방향에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위생 물품에서 어떤 제품의 경우에 있어서, 흡수 물질로서 사용하기 전에 흡수제 물질을 연화시키는 것이 편리하다. 상기한 양호한 성질인 퍼짐성 및 팽윤성은 연화공정에 의해 크게는 영향받지 않는다. 다양한 연화 방법은 롤러 사이에서의 작동, 초음파에 의한 연화, 습윤 또는 화학 첨가제를 포함한다.
도 3은 위생 타월에서의 흡수 구조체(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흡수 구조체(1)는 에어레이드 물질(3) 및 흡수 물질층(2)으로 이루어져 있다. 에어레이드 물질 및 흡수 물질은 그것들을 연결하는 에어레이드 물질의 접착제에 의해 서로에게 고정된다. 어떤 연결은 에어레이드 물질로 연장하는 흡수 물질의 섬유(4)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물품의 상단에는 사용동안 사용자를 향하는 예를 들어 부직포와 같은 액체 침투성의 상부층(8)이 있다. 바닥에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과 같은 액체 불침투성의 바닥층(9)이 있다. 층(8,9)은 흡수 구조체(1) 위로 연장하는 부분들을 갖고 이러한 부분들에서 서로 결합된다.
흡수 구조체(6)가 흡수 물질층의 상부에 위치된 에어레이드 물질층(3)에 더하여 흡수 물질층(2) 아래에 또다른 에어레이드 물질층(7)을 갖는 또다른 예증적인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물품의 상단에는 사용동안 사용자를 향하는 부직포와 같은 액체 침투성의 상부층(8)이 있다. 바닥에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과 같은 액체 불침투성의 바닥층(9)이 있다.

Claims (19)

  1. 무접착제 셀룰로스 섬유(4)의 흡수 물질층(2)과 접착제 결합된 셀룰로스 섬유(5)의 적어도 하나의 에어레이드 물질층(3)으로 이루어지고, 층들이 서로에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위생 타월, 팬티 라이너, 실금 패드, 침대 보호대 등과 같은 흡수 물품에 사용되는 흡수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에어레이드 물질(3) 및 흡수 물질(2)이 에어레이드 물질의 접착제에 의해 서로에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에어레이드 물질(3) 및 흡수 물질(2)이 또한 에어레이드 물질(3)로 연장하는 흡수 물질의 일부 셀룰로스 섬유(4)에 의해 서로에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체.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흡수 물질이 층으로 건식 형성된 CTMP의 플래쉬 건조된 섬유(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체.
  5. 제 4 항에 있어서, 흡수 구조체가 약 5-10㎝, 바람직하게는 약 7㎝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에어레이드 물질(3)이 30-100g/㎡, 바람직하게는 35-80g /㎡,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5-50g/㎡의 단위 면적당 질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체.
  7. 제 6 항에 있어서, 흡수 물질층(2)이 50-250g/㎡, 바람직하게는 75-200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150g/㎡의 단위 면적당 질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체.
  8. 제 7 항에 있어서, 흡수 물질(2)이 0.1-1.0g/㎤, 특히 0.2-0.95g/㎤, 바람직하게는 0.25-0.9g/㎤, 가장 바람직하게는 0.3-0.85g/㎤의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체.
  9. 기저귀, 위생 타월, 팬티 라이너, 실금 패드, 침대 보호대 등과 같은 흡수 물품에 사용되는 흡수 구조체(1)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접착제 셀룰로스 섬유(4)의 흡수 물질층(2)이 접착제 결합된 셀룰로스 섬유의 에어레이드 물질층(3)과 함께 놓여지게하고 이후 압축(24)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압축이 100℃가 넘는 온도에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흡수 물질(2)은 에어레이드 물질(3)을 지지부로하여 에어레이드 물질(3)상에 직접적으로 매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흡수 물질(2)은 CTMP의 플래쉬 건조된 섬유(4)에 의해 매트 형성되어 층(2)으로 형성되고, 섬유(4)는 에어레이드 물질층(3)이 위치되는 와이어(26) 위에 배치된 형성 헤드(21)를 통해 제어된 유량으로 공기 흐름(20)에 의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와이어(26) 아래에 공기를 흡인제거하는 흡인 상자(22)가 배치되고, CTMP섬유(4)가 아래로 흡인되어 에어레이드 물질(3)로 침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흡수 물질(2)은 CTMP의 플래쉬 건조된 섬유(4)에 의해 와이어(26)상에서 매트 형성되어 층(2)으로 형성되고, 섬유(4)가 와이어(26) 위에 배치된 형성 헤드(21)를 통해 제어된 유량으로 공기 흐름(20)에 의해 이송되고, 그후 에어레이드 물질(13)이 상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와이어(26) 아래에 공기를 흡인제거하는 흡인 상자(22)가 배치되고, CTMP섬유(4)가 와이어(26)를 향해 아래로 흡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제 2 에어레이드 물질층(13)이 압축 단계(24) 전에 흡수 물질층(2)의 상단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9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어레이드 물질이 30-100g /㎡, 바람직하게는 35-80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5-50g/㎡의 단위 면적당 질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9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 물질층이 50-250g/㎡, 바람직하게는 75-200g/㎡,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150g/㎡의 단위 면적당 질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9 항 내지 제 1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 물질층이 0.1-1.0g/㎤, 특히 0.2-0.95g/㎤, 바람직하게는 0.25-0.9g/㎤, 가장 바람직하게는 0.3-0.85g /㎤의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709768A 1996-05-31 1997-05-23 접착제 결합된 층과 함께 매트 형성에 의한 흡수 구조체 및 흡수 구조체의 제조 KR200000162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602154-8 1996-05-31
SE9602154A SE510901C2 (sv) 1996-05-31 1996-05-31 Absorberande struktur samt framställning av absorberande struktur genom mattbildning tillsammans med bindemedelsbundet skik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200A true KR20000016200A (ko) 2000-03-25

Family

ID=20402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768A KR20000016200A (ko) 1996-05-31 1997-05-23 접착제 결합된 층과 함께 매트 형성에 의한 흡수 구조체 및 흡수 구조체의 제조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6127594A (ko)
EP (1) EP0921776B2 (ko)
JP (1) JP2000511833A (ko)
KR (1) KR20000016200A (ko)
CN (1) CN1226814A (ko)
AU (1) AU718589B2 (ko)
BR (1) BR9709388A (ko)
CO (1) CO4850616A1 (ko)
CZ (1) CZ385698A3 (ko)
DE (1) DE69710590T3 (ko)
ES (1) ES2173451T5 (ko)
NZ (1) NZ333104A (ko)
PL (1) PL187774B1 (ko)
RU (1) RU2203011C2 (ko)
SE (1) SE510901C2 (ko)
SK (1) SK163898A3 (ko)
TN (1) TNSN97095A1 (ko)
TR (1) TR199802451T2 (ko)
WO (1) WO1997045083A1 (ko)
ZA (1) ZA9743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4465C2 (sv) * 1996-05-31 2001-02-26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struktur samt framställning av absorberande struktur genom mattbildning på high loft material
US6348253B1 (en) 1999-04-03 2002-02-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anitary pad for variable flow management
US6534149B1 (en) 1999-04-03 2003-03-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ntake/distribution material for personal care products
US7608069B2 (en) * 2000-10-27 2009-10-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captured leg elastics
US6881205B2 (en) 2000-10-27 2005-04-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ndependence of components in absorbent articles
US7628778B2 (en) 2000-10-27 2009-12-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self-forming seals
US20020115971A1 (en) * 2000-12-20 2002-08-22 Holmes Lori Tassone Thin, high capacity multi-layer absorbent core
US6890622B2 (en) 2001-12-20 2005-05-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site fluid distribution and fluid retention layer having selective material deposition zones for personal care products
US6808485B2 (en) 2002-12-23 2004-10-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ressible resilient incontinence insert
US7962993B2 (en) 2005-09-30 2011-06-21 First Quality Retail Services, Llc Surface cleaning pad having zoned absorbenc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694379B2 (en) 2005-09-30 2010-04-13 First Quality Retail Services, Llc Absorbent cleaning pad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791315B2 (en) 2010-02-26 2014-07-29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to manage open abdominal wounds
WO2012054636A1 (en) * 2010-10-20 2012-04-26 Fiberweb Corovin Gmbh A nonwoven fabric, a laminated fabric, a nonwoven fabric product, a multicomponent fibre, a web,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nonwoven fabric
CN106457751B (zh) 2014-05-30 2019-10-08 山田菊夫 纤维片材
EP2952164A1 (en) * 2014-06-03 2015-12-0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an absorbent element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an integrated acquisition layer
EP2952166A1 (en) * 2014-06-03 2015-12-0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element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an integrated acquisition layer
EP2952165B1 (en) 2014-06-03 2023-11-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element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an integrated acquisition layer
CN106267303B (zh) 2015-05-12 2019-10-22 3M创新有限公司 吸湿件、吸湿袋、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981987A (zh) * 2016-10-26 2018-05-04 山东太阳生活用纸有限公司 吸收制品芯体及其制造方法及吸收制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8522A (en) * 1972-06-26 1976-02-17 Johnson & Johnson Disposable diaper
US4081582A (en) * 1976-10-20 1978-03-28 Johnson & Johnson Fibrous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DE3214354A1 (de) 1982-04-19 1983-10-20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 08903 New Brunswick, N.J. Absorbierendes materia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4655757A (en) * 1984-04-23 1987-04-07 Kimberly-Clark Corporation Selective layering of superabsorbents in meltblown substrates
US4676784A (en) 1984-05-01 1987-06-30 Personal Products Company Stable disposable absorbent structure
US5188624A (en) 1990-01-16 1993-02-23 Weyerhaeuser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superabsorbent particle containing insert pad and liquid dispersion pad
CA2073815C (en) * 1991-07-23 1998-05-05 Clemson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Absorbent articles, especially catamenials, having improved fluid directionality, comfort and fit
SE508961C2 (sv) * 1992-11-17 1998-11-23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struktur och absorberande alster innehållande strukturen ifråg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385698A3 (cs) 1999-02-17
EP0921776A1 (en) 1999-06-16
BR9709388A (pt) 2000-01-11
RU2203011C2 (ru) 2003-04-27
US6127594A (en) 2000-10-03
SE9602154D0 (sv) 1996-05-31
AU3110897A (en) 1998-01-05
JP2000511833A (ja) 2000-09-12
PL187774B1 (pl) 2004-10-29
ES2173451T5 (es) 2005-12-16
TR199802451T2 (xx) 1999-02-22
AU718589B2 (en) 2000-04-13
EP0921776B2 (en) 2005-06-29
TNSN97095A1 (fr) 1999-12-31
NZ333104A (en) 2000-01-28
WO1997045083A1 (en) 1997-12-04
DE69710590T3 (de) 2005-12-29
SK163898A3 (en) 1999-06-11
SE9602154L (sv) 1997-12-01
CO4850616A1 (es) 1999-10-26
ES2173451T3 (es) 2002-10-16
SE510901C2 (sv) 1999-07-05
EP0921776B1 (en) 2002-02-20
DE69710590D1 (de) 2002-03-28
PL330232A1 (en) 1999-05-10
DE69710590T2 (de) 2002-08-22
ZA974335B (en) 1998-01-23
CN1226814A (zh) 199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6200A (ko) 접착제 결합된 층과 함께 매트 형성에 의한 흡수 구조체 및 흡수 구조체의 제조
AU779156B2 (en) Absorbent article
JP3319603B2 (ja) 高吸引及び高容量を示す吸収性製品用液体分配部材
US6235966B1 (en) Absorbent structure, and production of absorbent structure by mat formation on high-loft material
KR100290549B1 (ko) 층상의 다기능성 유체 흡수 부재
JP3589462B2 (ja) 吸収性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吸収性構造体から成る吸収性物品
WO1999063922A1 (en) Absorbent structures having fluid distribution and storage layers
JPH07506029A (ja) 衛生ナプキン,パンティー保護具,失禁ガード,おむつ及び同類物の如き吸収性物品に於ける吸収体
CA2113722C (en) Method for co-forming an absorbent structure having a transfer layer and a reservoir layer and the resulting product thereof
KR20010052650A (ko) 초흡수성 중합체를 함유한 단일흡수구조
AU748366B2 (en) Absorbent structures having fluid distribution and storage layers
JPH09562A (ja) 吸収性物品
JPH08299385A (ja) 吸収性シート材料
JPH0956748A (ja) 吸収性物品
JPH08164160A (ja) 吸収性物品
MXPA98009907A (en) Absorbent structure and production of the absorbent structure by formation of mat with layer united with ad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