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87661A - 열 활성화 반투명 표지 필름 - Google Patents

열 활성화 반투명 표지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661A
KR19990087661A KR1019980707125A KR19980707125A KR19990087661A KR 19990087661 A KR19990087661 A KR 19990087661A KR 1019980707125 A KR1019980707125 A KR 1019980707125A KR 19980707125 A KR19980707125 A KR 19980707125A KR 19990087661 A KR19990087661 A KR 19990087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lastic film
adhesive
translucent
l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렛 더블유. 루드빅
치 충 슈
로저 이. 바켄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ublication of KR19990087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66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Dry transfer
    • B44C1/1712Decalcomanias applied under heat and pressure, e.g. provided with a heat activabl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2Decalcomanias with a transfer layer comprising indicia with definite outlines such as letters and with means facilitating the desired fitting to the permanent b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09J2301/16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the carrier being a laminate constituted by plastic layers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3Material designed to be responsive to temperature, light, mois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4Transfer or decalcoman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10T428/24868Translucent outer layer
    • Y10T428/24876Intermediate layer contains particulate material [e.g., pigment,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 활성화 반투명 표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반투명 열 활성화 표지 필름은 트랜스퍼 가능한 반투명 필름 및 플라스틱 필름에 접착되어 있는 열 활성화 반투명 접착제 영역을 포함한다. 표지 필름은 배경 조명 간판 또는 천막과 같은 지지체에 열이 전달될 때까지 중합체 라이너 상에서 제조되고 보관된다. 필름은 통상의 그래픽 기술에 의해 지지체에 열 전달되기 이전까지 영상에 따라 절단될 수 있다.

Description

열 활성화 반투명 표지 필름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3엠")는 내구성 가요성 지지체에 채색 그래픽을 도포하기 위한 각종 표지 필름을 시판하고 있다.
표지 필름의 한 예로는 역광 조명 간판 및 (갑판위의)천막과 같이 시판되는 그래픽과 같은 반투명 지지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종이 라이너상에 열 활성화가능한 비닐 함유 스크린 인쇄 잉크를 포함하는 3엠이 시판하는 상표명 Panaflex 페인트-온-페이퍼 시리즈 820의 표지 필름이 있다. 이러한 유형의 표지 필름에 대한 추가의 세부 사항은 미국 특허 제4,513,107호, 제4,542,078호, 제4,565,842호 및 제4,737,224호에 기재되어 있다.
표지 필름의 다른 예로는 내구성 가요성 지지체로의 트랜스퍼를 위한 불투명 열 활성화 접착제를 포함하는 내구성의 광택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열 활성화 필름 시리즈가 있다. 이러한 필름은 상표명 Scotchcal 605 필름, 상표명 Scotchcal 시리즈 650 필름, Scotchlite 2200 및 2800 필름으로 3엠이 시판하고 있다. 이러한 필름 각각은 반사 간판, 즉, 불투명 지지체에 유용한데, 이는 필름상의 열 활성화 접착제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반투명이며, 열을 가함으로써 내구성 지지체에 트랜스퍼시키기 위해 활성화되는 표지 필름(marking film)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닐 지지체에 채색 그래픽을 도포하는 것에 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지 필름의 한 실시태양의 단면도이다.
도 2는 가요성 지지체에 도포된 도 1의 실시태양의 단면도이다.
발명의 실시태양
도 1은 열 활성화 반투명 접착제 영역(14)이 부착된 주요면을 갖는 트랜스퍼 가능한 반투명 플라스틱 필름(12)을 포함하는 반투명 열 활성화 표지 필름(10)을 도시한 것이다. 필름(12)의 다른 주요면은 가요성 지지체로 열 전달된 후 필름(12)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중합체 라이너(16)와 접하고 있다.
임의로 중합체 라이너(16) 및 필름(12)의 사이에는 프리사이즈 피막(18)이 있어서 필름(12)에 대한 광택을 조절하게 된다.
임의로 라이너(16)의 대향 주요면상에는 피막(18)과 유사한 조성을 갖는 프리사이즈 피막(20)이 있어서 제조, 저장 및 사용동안 필름(10)의 취급을 돕는다.
임의로 라이너(16) 및 피막(20)의 사이에는 제조, 저장 및 사용동안 필름(10)의 이동과 관련한 정전기를 최소하는 것을 보조하는 대전방지 피막(22)이 있다.
도 2에는 미국 미시간주 부캐넌에 소재하는 그레코 매뉴팩츄어링 컴패니에서 시판하는 것과 같은 가열 램프 진공 도포기를 사용하여 접착제 영역(14)을 활성화시킨 후 필름(10)을 접착시킨 지지체(24)가 도시되어 있다. 지지체(24) 및 필름(10)의 조합체를 외관상의 효과를 위해 반투명이 요구되는 통상의 그래픽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지지체의 예로는 다양한 내구성, 가요성 지지체가 있는데, 이들은 반투명성이 것이 바람직하다. 내구성, 가요성 지지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면포로 보강된 가소화된 폴리(염화비닐) 중합체 필름, 폴리(올레핀),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및 우레탄 필름이 있다. 유용한 지지체는 또한 미국 특허 제4,573,107호 및 제4,737,224호에 기재되어 있다. 유용한 지지체는 3엠이 시판하는 상표명 Panaflex 930 및 상표명 Panaflex 945가 있다. 지지체는 상부 보호 필름으로서 플루오로중합체 및 아크릴 중합체의 혼합물의 상부 피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지 필름(10)으로 유용한 필름(12)의 예로는 각종 트랜스퍼 가능한 반투명 플라스틱 필름이 있다. 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상표명 Tedlar 불소화 폴리비닐(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턴에 소재하는 듀퐁 컴패니에서 시판함), 불소화 폴리비닐리덴 필름, 아크릴-우레탄 필름 및 비닐 함유 플라스틱 필름이 있다. 가요성 지지체에 색상을 제공하기 위해, 각종 색상체를 플라스틱 필름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유기 안료 및 무기 안료로 제조된 것이 있으며, 이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카본 블랙, 프탈로시아닌 및 크롬산납이 있어서 4가지의 기본 색상, 청록색, 자홍색, 황색 및 흑색을 제공할 수 있다.
흑색 안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스페셜 블랙 4, 스페셜 블랙 5, 스페셜 6, 스페셜 블랙 4A, 컬러 블랙 FW 200 및 컬러 블랙 FW2 안료(모두 미국 뉴저지주 리지필드에 소재하는 데구싸 코포레이션에서 시판); 라벤 1200 카본 블랙, 라벤 1170 카본 블랙, 라벤 3500 카본 블랙 및 라벤 5750 카본 블랙 안료(모두 미국 조지아주 애틀란타에 소재하는 칼럼비안 케미칼 코포레이션에서 시판); 모골 L 카본 블랙 및 스털링 NS 카본 블랙 안료(모두 미국 매사츄세츠주 보스턴에 소재하는 캐벗 코포레이션에서 시판)가 있다.
자홍색 안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퀸도 마젠타 RV-6828 피그먼트 레드 122, 퀸도 마젠타 RV-6831 피그먼트 레드 122 프레스케익, 퀸도 레드 R-6713 PV 19 및 퀸도 마젠타 RV-6843 피그먼트 레드 202 안료(모두 미국 사우스 캐롤라이나주 락 힐에 소재하는 바이어 코포레이션에서 시판); 썬패스트 마젠타 122 및 썬패스트 마젠타 202 안료(모두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내티에 소재하는 썬 케미칼 코포레이션에서 시판)가 있다.
청록색 안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팔로마 블루 B-4810 PB 15:3, 팔로마 블루 B-4710 PB 15:1 및 팔로마 블루 B-4900 안료(모두 바이엘 코포레이션에서 시판); 썬패스트 블루 15:3 프레스케익 안료(썬 케미칼에서 시판)가 있다.
황색 안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팬촌 패스트 Y-5700 PY 139 및 팬촌 패스트 옐로 Y-5688 C.I. 피그멘트 옐로 150 안료(바이엘 코포레이션에서 시판); 및 이르가진 옐로 2RLT PY 110, 이르가진 옐로 2GLTN PY 109, 이르가진 옐로 2GLTE PY 109 및 이르가진 옐로 3RLTN PY 110 안료(미국 뉴욕주 아르슬레이에 소재하는 시바 가이기에서 시판)가 있다.
기타 안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퀴나크리돈 바이올렛(시바-가이기, 몬스트랄 바이올렛 NRT-795-D), 크롬산납(쿡슨 피그멘츠, 크롤러 오렌지 KO-789-D) 및 퀴나크리돈 레드(시바-가이기, 몬스트랄 레드 Y RT-759-D)가 있다.
필름(12)은 약 42∼약 56 중량%의 염화 폴리비닐, 약 0∼약 25 중량%의 아크릴 수지, 약 15∼약 25 중량%의 가소제, 약 0∼33 중량%의 안료, 약 0.5∼약 8 중량%의 열 안정화제 및 약 0.1∼약 6중량%의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제제를 갖는 반투명 비닐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차단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미국 인디애나주 햄먼드에 소재하는 할-스탭 컴패니에서 시판하는 상표명 Hal-Lub, Hal-Base, Hal-Carb, Hal-Stab의 힌더드 아민 광 안정화제("HAL"); 미국 버지니아주 윌리엄스버그에 소재하는 바스프에서 시판하는 상표명 Uvinul 디페닐아크릴레이트 차단제; 미국 노쓰 캐롤라이나주 그린스보로에 소재하는 시바-가이기 코포레이션에서 시판하는 상표명 Tinuvin의 HAL 안정화제가 있다. 층(12)의 제제내에 존재하는 경우 특히 바람직한 차단제는 바스프의 Uvinul N-539 차단제 및 시바-가이기에서 시판하는 Tinuvin 1130 및 Tinuvin 292 HAL 안정화제이다.
열 안정화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CaZn 화합물, 예를 들면 미국 코네티컷주 그리니지에 소재하는 위코에서 시판하는 상표명 Mark V-1923 화합물; BaZn 화합물, 예를 들면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브랜드에 소재하는 페로 코포레이션에서 시판하는 상표명 심프론 940 화합물; BaCdZn 화합물, 예를 들면, 페로 코포레이션에서 시판하는 상표명 Ferro 1237 및 심프론 856 화합물; 주석 머캡티드 화합물, 예를 들면, 미국 뉴저지주 라웨이에 소재하는 엠앤티 케미칼즈에서 시판하는 상표명 Termolite 31 이 있다. 특히 층(12)의 제제내에 존재하는 경우, 열 안정화제로서는 상표명 Mark V-1923이 특히 바람직하다.
필름(12)은 두께가 약 100∼약 150 ㎛ 범위내인 피막으로 합성 주정 용매 또는 메틸 아밀 아세테이트, 아밀 아세테이트, 크실렌, 디이소부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내의 필름 제제를 프리사이즈 처리된 라이너(16)상에서 바아 피복으로 제조되어 무수 캘리퍼가 약 47∼약 53㎛ 범위내인 필름을 생성한다. 피복은 라이너상에 오르가노졸을 바아 피복시키고, 지지체가 놓여 있는 이동 웨브로부터 일정 거리로 유연한 고정 바아를 배치하여 유연하고 균일하며 소정의 필름 두께를 갖는 필름을 얻는 것을 포함한다.
접착제 영역(14)은 필름(12) 및 지지체(26)와 비반응성인 임의의 반투명 열 활성화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접착제는 실온에서는 비점착성이나, 약 65∼약 110℃, 바람직하게는 93℃ 범위내의 열을 가하여 활성화시키게 된다. 접착제 제제에 적합한 중합체는 유리 전이 온도가 15∼63℃ 인 아크릴 및 메타크릴 공중합체, 염화비닐-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이의 혼합물이 있다. 현재까지 사용되어온 수지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상표명 Elvacite(듀퐁) 그레이드 2042, 2045, 2016, 2028, 2014, 2046 및 2044; 롬 앤드 하스 상표명 Acryloid 그레이드 B-44, B-82, B-72 및 B-66; 유니온 카바이드 비닐 공중합체 VYHH, VYNS 및 VAGH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접착제는 중량% 비율이 약 50/50∼약 90/10, 바람직하게는 약 75/25 범위내이며, 점도가 1100∼1500 센티포이즈인 비닐/아크릴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 영역(14)은 나이프, 평활 바아, 압출, 그라뷰어 및 그라뷰어 피복을 비롯한 다양한 피복 기술로 필름(12)에 도포될 수 있다. 도포후 접착제 영역의 두께는 약 2∼약 200 ㎛, 바람직하게는 약 3∼약 5㎛가 될 수 있다.
중합체 라이너(16)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임의의 통상의 중합체 라이너가 될 수 있으며, 두께는 약 25∼약 300 ㎛ 범위내가 될 수 있다.
임의로 라이너(16)는 산 촉매로 가교되며 SiO2충전제를 포함하는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알키드로부터의 프리사이즈 피막(18 및 20)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피막은 두께가 약 2∼약 50 ㎛, 바람직하게는 약 13∼약 17 ㎛ 범위내가 될 수 있다.
프리사이즈 피막(18 및 20)은 참고 문헌[리,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2판, 존 윌리 앤 선즈, 미국 뉴욕주, Vol 3 pp. 552-615 (1985)]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아(블레이드) 및 그라뷰어 피복을 비롯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통상의 기술로 도포될 수 있다.
임의로 라이너(16)는 미국 특허 제5,427,835호 및 제5,407,603호에 기재되어 있는 대전방지제의 피막(22)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대전방지 피막은 두께가 약 0.1∼약 10 ㎛, 바람직하게는 약 0.5∼약 2 ㎛일 수 있다.
대전방지 피막(22)은 참고 문헌[리,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2판, 존 윌리 앤 선즈, 미국 뉴욕주, Vol 3 pp. 552-615 (1985)]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라뷰어 및 마이어 로드 피복을 비롯한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의 기술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임의로, 필름(10)은 필름(12) 및 프리사이즈 피막(18)의 사이에 보호 클리어 층(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클리어 층은 지지체에 도포된 후 필름(10)에 내용제성, 내화학약품성 및 방오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피막의 비제한적 예로는 아크릴, 플루오로중합체, 우레탄 및 이의 혼합물이 있다. 이와 같은 피막은 두께가 약 3∼약 100 ㎛, 바람직하게는 약 4∼약 8 ㎛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용성
본 발명의 필름(10)은 기기의 정색성 필터를 사용하는 맥베쓰(미국 뉴욕주 뉴버그) TR927 농도계로 측정된 바와 같은 반투명도를 제공한다. 기기를 영점 조정한 후, 필름(10)의 샘플을 광원위에 놓고, 광검출계의 연장부를 낮추어 외부 빛을 차단하였다. 필름(10)의 상부와 접촉하는 연장부를 사용하여 광학 밀도를 측정하였다. 필름(10)의 반투명도는 필름(12)의 반투명도 및 접착제 영역(14)의 반투명도를 기준으로 한다. 반투명도는 각각 투명 필름으로부터 불투명 흑색 필름에 이르는 범위내의 필름에 대한 투과율이 약 95.5∼약 0.01% 범위내가 될 수 있다.
필름(10)은 역광 조명 간판 및 천막상에 통상의 그래픽을 도포하기 위해 사용된 각종 색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색상은 내구성을 갖게 하며 당업자에게 공지된 접착제를 사용하여 자외선광 분해에 대해 분해 방지성을 지닐 수 있게 된다. 필름(10)이 각각 투시될 경우, 이는 D65 광원 및 2°시각을 사용하는 미국 뉴저지주 로렌스빌의 데이터컬러 인터내셔날 스펙트로플래쉬 500 비색계로 측정된 바와 같이 입사광의 약 3∼약 87 %를 반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24)에 필름(10)을 접착시키는 것은 연속적으로 또는 비연속적으로, 일정 패턴으로 또는 무작위로 및 수동 또는 기계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미국 코네티컷주 맨체스터에 소재하는 거버 사이언티픽 프로덕츠에서 시판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동되는 독일 알트스타텐에 소재하는 쥰 시스템데크닉 악티엔게젤샤프트에서 시판하는 쥰 P-1200 전자 평상형 절단기와 같은 기기를 사용함으로써 필름(10) 부위로 패턴을 절단함으로써 지지체(24)에 필름(10)을 열 전달하기 이전에 영상, 문자, 정보, 판촉 또는 연예 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발명의 개요
당업계에서는 반투명의 열 활성화 표지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반투명 채색 그래픽을 역광 조명 간판 또는 천막과 같이 반투명인 내구성 가요성 지지체에 트랜스퍼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은 트랜스퍼 가능한 반투명 플라스틱 필름 및 열 활성화 반투명 접착제를 포함하는 반투명 열 활성화 표지 필름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은 지지체에 반투명 열 활성화 표지 필름을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 때 필름은 트랜스퍼 가능한 반투명 플라스틱 필름 및 열 활성화 반투명 접착제를 포함하여 필름이 접착제의 열 활성화에 의해 지지체에 접착되도록 하는, 지지체에 채색 그래픽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약 110℃(230℉)에서 페인트-온-페이퍼(Paint-On-Paper) 필름에 사용된 사이클 시간 5 분보다 짧은 약 2∼3 분동안 약 90∼95℃의 열 활성화 트랜스퍼의 사이클 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는데 있다. 이러한 특징은 사용자의 노동력이 절약되고 에너지 비용도 절감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이음매와 같이 지지체의 불연속 부분 위에 그래픽을 도포하는 경우, 도포되지 않은 지지체의 라인을 남길 수 있는 종이상에 통상적으로 열을 가하는 페인트와 달리 필름은 연속 도포를 제공하게 된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거대한 그래픽 면을 도포하는 동안, 전체면이 가열 램프 진공 도포기 층에 위치할 수 없는 경우, 층의 에지(edge)에서 그래픽을 절단할 필요가 없으며, 연속적인 도포 단계에서 이를 접속시킬 필요가 없다는 것에 있다. 그래픽 상은 도포기의 클로징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며, 외부열이 도포기 층의 에지를 따라 가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대전 방지 층을 포함하므로써 그래픽의 절단 및 취급동안 정전기의 정전 빌드 업을 최소로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본 발명의 표지 필름이 열 활성화 트랜스퍼동안 휘발되는 용매의 사용을 최소로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은 본 발명의 방법이, 단일 단계로 가열 램프 진공 도포기를 사용하므로써 표지 필름이 지지체에 우수한 접착력을 제공한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잇점은 표지 필름 및 도포 방법이 시간, 비용 및 에너지를 절감시키면서 시판되는 스크린 인쇄 장치를 이용한 것보다 더 긴 길이로 지지체에 더 균일한 채색 외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잇점은 열 도포된 채색 반투명 필름이 종래의 압감성 접착제에 의해 도포된 필름과 관련된 부류라는 점이다. 그래픽 구조물에 도포하는 두가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정확한 색상 조화가 가능하다.
종래의 페인트-온-페이퍼에 비해서 본 발명의 제3 잇점은 페이퍼 라이너상에서 비닐 잉크를 절단할 경우 발생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채색 필름의 칩핑(chipping) 현상 없이도 그래픽을 절단할 수 있게 하는 필름의 통합성(integrity)에 있다.
본 발명의 제4 잇점은 본 발명의 표지 필름이 절단 및 도포시에 페이퍼 라이너가 말리는 경향이 덜한 중합체 트랜스퍼 라이너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중합체 라이너는 증가하는 습기에 덜 민감하게 된다. 통상 습기는 페이퍼 라이너가 말리는 것을 심화시키게 된다.
투명 라이너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제5 잇점이다. 라이너를 절단하지 않고도 반투명 필름에 그래픽 상을 절단시켜 원치 않는 색상을 제거하고, 운반 라이너를 트랜스퍼 라이너로 사용하고, 도포동안 그래픽의 모양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6 잇점은 종이 제품상에서의 통상의 페인트 사용할 때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음매가 지지체의 도포되지 않은 라인을 남기지 않으면서 지지체에 중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래픽 도포 업계의 당업자는 더 이상 필요치 않은 터치-업 조작에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추가의 특징 및 잇점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한 본 발명의 실시태양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는 추가로 분 발명의 실시태양을 설명한다.
실시예 1
프리사이즈 피막의 제조
피막(18 및 20)용 프리사이즈 용액을 22.2 부의 비이틀 227-8 부틸화된 우레아 포름알데히드(미국 뉴욕주 웨인에 소재하는 어메리칸 사이아나미드), 46 부의 알키드 G-801 238 알키드 수지(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에 소재하는 커네이디언 제네랄 일렉트릭 컴패니), 2.7 부의 OK 412 왁스 피복된 이산화규소 염소제(flattening agent)(미국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에 소재하는 데구싸), 0.003 부의 p-톨루엔 설폰산 촉매(미국 뉴저지주 웨인에 소재하는 어메리칸 사이아나미드) 및 29.1 부의 크실렌 용매(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 소재하는 셸 케미칼)로 제조하였다.
60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라이너(16)상에 5 ㎛의 습윤 두께의 필름을 피복시키고, 180℃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건조 필름 두께가 13∼17 ㎛인 피막(18 및 20)을 얻음으로써 그라뷰어 실린더를 사용하여 용액을 그라뷰어 인쇄한다.
실시예 2
대전방지 피막의 제조
대전방지 피막은 설포폴리에스테르 및 오산화바나듐(V2O5)을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5,407,60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V2O5는 과량의 물을 사용하여 바나듐 옥소알콕시드를 가수분해시켜 바람직하게는 약 0.3 중량%∼2.0 중량%의 바나듐을 포함하는 산화바나듐 콜로이드 분산액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설포폴리에스테르는 미국 특허 제5,427,83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기 기재된 비율의 단량체를 포함한다.
단량체 몰비
디메틸 나트륨 설폰화 이소프탈산 0.031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0.37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 0.094
에틸렌 글리콜 1.00
폴리카프롤락톤 디올 PCP-0200(미국 코네티컷주 댄버리에 소재하는 유니언 카바이드) 0.05
생성된 중합체는 수용성이었다. 이를 V2O5와 혼합하고, 라이너(16)에 수용액을 도포하였다. 163℃ 온도의 오븐내에서 물을 제거하였다.
실시예 3
보호 클리어 피막의 제조
4 부의 Elvacite 2020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턴에 소재하는 듀퐁), 1 부의 KelF 플루오로중합체(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에 소재하는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55 %)과 불소화비닐리덴(45 %)으로 구성된 플루오로중합체 성분으로부터 보호 클리어 피막을 제조하였다. 수지를 메틸 에틸 케톤에 고형분 10 %로 희석시키고, 프리사이즈 층(18)에 바아 피복시키고, 178℃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두께가 8∼12 ㎛인 무수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
접착제의 제조
VYHH(미국 코네티컷주 댄버리에 소재하는 유니언 카바이드) 69 부, Acryloid B82(롬 앤 하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소재) 17 부 및 Paraflex G62(씨.피. 홀, 미국 일리노이주 베드포드 파크 소재) 14 부의 성분으로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동일한 부의 크실올, 메틸 에틸 케톤 및 메틸 이소부틸 케톤으로 구성된 용매 혼합물에 상기 성분을 용해하여 점도가 1,100∼1,600 센티포이즈인 최종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5
표지 필름의 제조
하기의 제제를 사용하여 필름(12)을 만들었다.
성분 중량%
염화폴리비닐(제온 178, 유니온 카바이드 시판) 46.4
폴리에스테르 가소제(헥산이산, 1,3-부탄디올 및 2-에틸헥실 에스테르)(플라스토레인 9777, 헨켈 시판) 16.3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oid B66, 롬 앤 하스 시판) 1.1
2-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Univul N-539, 바스프 시판) 2.3
오르가노 칼슘-아연(Mark V-1923, 윗코 시판) 2.3
퀴나크리돈 바이올렛(몬스트랄 바이올렛 NRT-795-D, 시바-가이기 시판) 0.8
코롬산납(크롤러 오렌지 KO-789-D, 쿡슨 피그먼츠 시판) 4.7
성분 중량%
퀴나크리돈 레드(몬스트랄 레드 Y RT-759-D, 시바-가이기 시판) 2.3
폴리카르복실산(디스퍼플라스트-P, 빅 케미 유에스에이 시판) 0.1
합성 주정 4.3
크실올 11.2
디이소부틸 케톤 8.2
프리사이즈 층(18)의 용착 및 경화에 이어서, 임의로 보호 클리어 피막(24), 상기 오르가노졸 용액을 두께 100 ㎛로 바아 피복하였다. 필름을 66℃에서 60 초, 93℃에서 90 초 및 204℃에서 45 초의 온도 및 체류 시간으로 일련의 오븐에서 필름을 건조 및 경화시켰다. 생성된 필름의 두께는 47.5 ㎛ 및 52.5 ㎛이었다.
실시예 6
클리어 피막을 사용하지 않은 반투명 표지 필름 제조
60 ㎛의 폴리에스테르 주형 라이너를 실시예 1의 프리사이즈 제제로 피복시키고, 건조시켜 총 두께 75 미크론을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5에서와 같은 레드 오르가노졸을 프리사이즈에 바아 피복시키고, 건조시켜 두께가 50 ㎛인 반투명 필름(12)을 얻었다. 그후, 실시예 4의 접착제를 필름(12)상에 그라뷰어 인쇄하고, 건조시켰다. 용매를 제거하여 두께가 3∼5㎛인 접착제 층(14)을 얻었다. 이를 건조시킨 후, 접착제는 실온에서 비점착성이었으며, 접착제 층(14)을 활성화시키기 이전에 필름(10)으로부터의 그래픽 절단물을 배치하였다.
실시예 7
클리어 피막을 사용하지 않은 기타 필름 구조물
도 1의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해, 실시예 6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라이너를 실시예 2에 의해 제조한 대전방지 제제로 피복시켜 두께가 1㎛인 층(22)을 형성하였다. 프리사이즈 층(18 및 20)(모두 두께가 15 ㎛임)을 실시예 1의 제제로부터 별도의 조작으로 도포하였다. 반투명 필름(12)(15 ㎛) 및 접착제 영역(14)(4 ㎛)을 실시예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도포하였다.
실시예 8
클리어 피막을 사용하지 않는 기타 필름 구조물
라이너(16)(실시예 6의 라이너 60 ㎛ 사용), 프리사이즈 층(18)(15 ㎛)(실시예 1) 및 50 ㎛의 필름(12)(실시예 5)를 사용하여 도 1에 제시된 구조물을 제조하였다. 이 구조물에 1 ㎛의 대전 방지 층(22)(실시예 2)을 도포한 후, 4 ㎛의 접착제 층(실시예 4) 및 20 ㎛의 프리사이즈 층(20)(실시예 1)을 도포하였다.
실시예 9
클리어 피막을 사용한 필름 구조물
실시예 6에 기재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프리사이즈 층(18) 및 필름(12)의 사이에 보호 클리어 층(24)을 부가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보호 클리어는 실시예 3에 의해 제조하였으며, 프리사이즈 층(18)에 습식 두께 50 ㎛로 바아 피복시키고, 필름(12)을 도포하기 이전에 무수 필름 두께 5 ㎛로 180℃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시켰다.
실시예 10
기타 반투명 접착제를 사용한 다른 반투명 표지 필름의 제조
접착제는 50 ㎛의 갭으로 바아 피복되고 66℃에서 3 분동안 건조시킨 스위프트 어드시브 2001 접착제인 것을 제외하고 기타 표지 필름을 실시예 8에 의해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6∼10의 필름의 결과
본 실시예는 10℃에서 작동하는 가열 램프 진공 도포기(미국 미시간주 부캐넌에 소재하는 그레코 매뉴팩츄어링)를 사용하여 가요성 지지체(상표명 Panaflex 945, 커머셜 그래픽스 디비젼, 3엠)에 접착제 영역(14)을 열 활성화시킨 실시예 6∼10의 반투명 비닐 필름의 트랜스퍼에 관한 것이다.
거버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쥰 P-1200 전자 평상형 절단기를 사용하여 실시예 5∼9의 필름(10)으로부터 문자 및 화상을 절단하였다. 절단 베드의 상부에 접착제 영역을 갖는 구조물을 놓고, 베드에 진공을 가하여 절단동안 재료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였다. 절단 스타일리스(stylis)상의 압력을 조절하여 라이너(16)이 아닌 필름(10)을 절단하도록 하였다. 지지체에 필름(10)을 도포하기 이전에 원치 않는 색상 부분을 라이너로부터 제거하였다.
도포는 지지체의 상부에 구조물 접착제 영역을 놓고, 이를 장식된 면이 접하도록 도포기상에 놓는다. 고무 칸막이를 다공성 재료, 특히 모슬린으로 반투명 필름 및 지지체가 마주보는 저부면상에서 라이닝 처리한다. 고무 칸막이 및 진공판사이에서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 공기를 제거하고, 프레임내의 압력을 2∼5 분동안 약 0.1∼0.25 기압으로 감압시켰다.
스펙트럼의 적외선 영역에서 방출되는 것이 바람직한 가열 램프의 뱅크를 고무 칸막이 위로 낮추었다. 이어서, 진공판 및 고무 칸막이 사이의 압력을 114 ㎜Hg로 감압시키고, 램프를 켜서 접착제 영역(14)을 활성화시키는데 필요한 열을 공급하였다. 온도를 93℃로 승온시키고, 93℃에서 4℃ 범위내로 온도를 유지하도록 램프를 켰다가 끄는 진공판에 배치된 자동 조절 센서를 사용하여 2 분동안 이 온도를 유지하였다. 가열 램프 진공 도포기를 작동시키는 것은 미국 특허 제4,737,224호에 기재되어 있다.
2 분동안 93 ℃에서 가열한 후, 가열 램프의 뱅크를 끄고, 이를 올렸다. 고무 칸막이를 올리고, 진공 펌프를 껐다. 장식된 지지체를 5 분 동안 진공판에서 냉각시킨 후, 이를 냉각이 완료된 다른 판으로 이동시킨다. 냉각시킨 후, 라이너(28)를 제거하여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장식된 지지체를 얻었다.
라이너(28)는 다기능성 부분이다. 라이너(16)는 제조동안 주형 라이너로서 작용한다. 대전방지 층(22)은 필름(10)의 제조, 처리, 절단 및 도포동안 정전기를 조절한다. 프리사이즈(20)는 저장동안 접착제(14)가 라이너(28)를 차단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며, 프리사이즈(18)는 필름(10)의 표면상에 소정의 광택 외관을 제공한다. 또한, 라이너(28)는 도포 캐리어로 작용하여 도포될 때까지 화상 및 문자를 그 상태대로 유지시킨다.
실시예 6으로부터의 필름(10)은 광학 밀도가 2.53이며, 투과율(%)이 0.295이었다. 동일한 필름을 실시예 1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상표명 Panaflex 945 지지체에 도포하였다. 지지체상의 필름(10)의 조합체는 광학 밀도가 2.94이었으며, 투과율(%)이 0.114이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의 방법을 사용하여 경질의 9.5 ㎜의 아크릴 시이트(상표명 Plexiglas, 롬 앤 하스)에 실시예 6에 의해 제조된 필름(10)을 도포하였다. 접착제 영역(14)은 투명해서 마무리 처리된 표면 또는 마무리 처리되지 않은 표면으로부터 볼 수 있다.
실시예 13
110℃의 적층 온도, 1.6 m/분의 라인 속도 및 0.180 ㎏/선형 ㎝의 적층 닙 압력을 사용하여 도 1에 제시된 구조물을 Panaflex 945 지지체(3엠 컴패니)에 롤 적층시켰다. 이러한 적층으로 대부분의 지지체 재료를 장식하였으며, 필름(12)을 생성할 수 있는 임의의 색상을 사용하여 반복할 수 있다.
실시예 14
필름(10)을 실시예 11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경질 9.5 ㎜ 아크릴 지지체(등록상표 Plexiglas, 롬 앤 하스)에 도포하였다. Formech 450 진공 형성계(포멕 인코포레이티드, 영국 런던)를 사용하여 열 형성 조작을 실시하였다. 165℃로 구조물을 가열시킨 후, 형성계의 가열 유니트를 제거하고, 형성계의 진공 베드상의 나무로 된 주형을 장식된 연질 지지체에 임프레스 처리하고, 0.5 기압의 진공을 가하여 지지체를 주형으로 성형시켰다. 3 분동안 냉각시킨 후, 진공을 해제하고, 주형을 상기 형성된 아크릴로부터 떼어내었다.
실시예 15
실시예 6에 의해 제조된 도 1에 제시된 구조물을 필름(10) 및 라이너(28) 모두로부터 절단하여 영상을 형성하였다. 그리하여 생성된 그래픽을 실시예 1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가요성 경질 지지체에 도포하였다.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태양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당업자는 연속 적층기를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것, 본 발명의 층을 경질 지지체상에 사용하는 것 및 실시예 14에 기재된 것 이외의 진공 형성을 사용하는 것을 숙지하고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는 하기와 같다.

Claims (21)

  1. 트랜스퍼 가능한 반투명 플라스틱 필름 및 열 활성화 반투명 접착제를 포함하는 반투명의 열 활성화 표지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접착제는 플라스틱 필름의 주요면 영상에 있고, 제2주요면상에 중합체 라이너를 추가로 포함하며, 라이너는 접착제 및 플라스틱 필름을 가요성 지지체로 열 전달시킨 후 플라스틱 필름으로부터 제거 가능한 반투명 열 활성화 표지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라이너 및 플라스틱 필름의 사이에 프리사이즈 피막을 더 포함하며, 플라스틱 필름 및 프리사이즈 피막 사이에 보호 클리어 층을 더 포함하는 반투명 열 활성화 표지 필름.
  4. 제2항에 있어서, 라이너 및 플라스틱 필름 사이에 프리사이즈 피막을 더 포함하며, 플라스틱 필름과 접하지 않는 라이너의 주요면상에 프리사이즈 피막을 더 포함하는 반투명 열 활성화 표지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과 접하지 않는 라이너의 주요면과 프리사이즈 피막사이에 대전방지 피막을 더 포함하는 반투명 열 활성화 표지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은 불소화 폴리비닐, 불소화 폴리비닐리덴, 아크릴-우레탄 필름, 비닐 함유 플라스틱 필름 및 이의 조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 및 플라스틱 필름에 색상을 제공하는 안료를 포함하는 반투명 열 활성화 표지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은 약 42∼약 56 중량%의 염화 폴리비닐, 약 0∼약 25 중량%의 아크릴 수지, 약 15∼약 25 중량%의 가소제, 약 0∼약 33 중량%의 안료, 약 0.5∼약 8 중량%의 안정화제 및 약 0.1∼약 6 중량%의 자외선 차단제의 조성을 갖는 반투명 비닐 필름을 포함하는 반투명 열 활성화 표지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접착제는, 접착제 및 플라스틱 필름이 트랜스퍼 가능한 지지체 및 플라스틱 필름 모두에 대해 비반응성인 반투명 열 활성화 접착제를 포함하는 반투명 열 활성화 표지 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접착제는 실온에서는 비점착성이지만, 약 65∼약 110℃ 범위의 열을 가하여 활성화되는 반투명 열 활성화 표지 필름.
  10. 제9항에 있어서, 접착제는 유리 전이 온도가 약 15∼약 63℃인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염화 비닐-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반투명 열 활성화 표지 필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반투명 열 활성화 표지 필름을 지지체에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지지체상의 채색 그래픽을 형성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접착제는 플라스틱 필름의 주요면상에 있고, 제2주요면상에 중합체 라이너를 더 포함하며, 접착제 및 플라스틱 필름을 지지체로 열 활성화시킨 후 라이너를 플라스틱 필름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을 더 포함하는 채색 그래픽을 형성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도포 단계 이전에 표지 필름에 패턴을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색 그래픽을 형성하는 방법.
  14. 지지체의 주요면에 부착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반투명 열 활성화 표지 필름 및 지지체를 포함하며, 반투명 열 활성화 표지 필름은 트랜스퍼 가능한 반투명 플라스틱 필름 및 열 활성화 반투명 접착제를 포함하는 영상 형성된 복합재료.
  15. 제14항에 있어서, 접착제는 플라스틱 필름의 주요면상에 있으며, 제2주요면상에 중합체 라이너를 더 포함하고, 라이너는 접착제 및 플라스틱 필름을 지지체로 열 전달시킨 후, 플라스틱 필름으로부터 제거 가능한 영상 형성된 복합재료.
  16. 제15항에 있어서, 라이너 및 플라스틱 필름의 사이에 프리사이즈 피막을 더 포함하며, 플라스틱 필름 및 프리사이즈 피막의 사이에 보호 클리어 층을 더 포함하는 영상 형성된 복합재료.
  17. 제14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은 불소화 폴리비닐, 불소화 폴리비닐리덴, 아크릴-우레탄 필름, 비닐 함유 플라스틱 필름 및 이의 조합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 및 플라스틱 필름에 색상을 제공하는 안료를 포함하는 영상 형성된 복합재료.
  18. 제14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필름은 약 42∼약 56 중량%의 염화 폴리비닐, 약 0∼약 25 중량%의 아크릴 수지, 약 15∼약 25 중량%의 가소제, 약 0∼약 33 중량%의 안료, 약 0.5∼약 8 중량%의 안정화제 및 약 0.1∼약 6 중량%의 자외선 차단제의 조성을 갖는 반투명 비닐 필름을 포함하는 영상 형성된 복합재료.
  19. 제14항에 있어서, 접착제는, 접착제 및 플라스틱 필름이 트랜스퍼 가능한 지지체 및 플라스틱 필름 모두에 대해 비반응성인 반투명 열 활성화 접착제를 포함하는 영상 형성된 복합재료.
  20. 제19항에 있어서, 접착제는 실온에서는 비점착성이지만, 약 65∼약 110℃의 열을 가하여 활성화되며 지지체에 대해 접착성을 갖고, 상기 접착제는 유리 전이 온도가 약 15∼약 63℃인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염화 비닐-비닐 아세테이트 중합체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영상 형성된 복합재료.
  21. 제14항에 있어서, 지지체는 경질인 영상 형성된 복합재료.
KR1019980707125A 1996-03-11 1996-06-10 열 활성화 반투명 표지 필름 KR199900876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613,567 US5874158A (en) 1996-03-11 1996-03-11 Heat activated translucent marking films
US8/613,567 1996-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661A true KR19990087661A (ko) 1999-12-27

Family

ID=2445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125A KR19990087661A (ko) 1996-03-11 1996-06-10 열 활성화 반투명 표지 필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874158A (ko)
EP (1) EP0886673A1 (ko)
JP (1) JP2000506921A (ko)
KR (1) KR19990087661A (ko)
CN (1) CN1085715C (ko)
AU (1) AU717518B2 (ko)
BR (1) BR9612545A (ko)
CA (1) CA2247521A1 (ko)
NZ (1) NZ310791A (ko)
WO (1) WO19970339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60037C (en) 1999-01-25 2009-11-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applying adhesive coated film
US9855732B2 (en) 1999-01-25 2018-01-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applying adhesive coated film
US6673419B1 (en) * 1999-03-12 2004-01-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arking film and composite marking film
US6589636B2 (en) 2001-06-29 2003-07-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olvent inkjet ink receptive films
KR20070016772A (ko) * 2005-08-05 200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용 접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가요성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20080003406A1 (en) * 2006-06-29 2008-01-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splaying Printed Images on Irregular Substrates
US8778122B2 (en) 2006-06-29 2014-07-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ring graphic films on irregular substrates
JP2012512923A (ja) * 2008-12-18 2012-06-07 テーザ・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Pvcから成るフィルムを備えたマスキングテープ
US7955678B2 (en) 2009-05-26 2011-06-07 Wausau Coated Products, Inc. Heat-activated pressure-sensitive labels
EP2498997A4 (en) * 2009-11-12 2014-01-15 Sawgrass Technologies Inc METHOD FOR FORMING AN IMAGE ON A TRANSPARENT ACRYLIC ARTICLE
CN102896928B (zh) * 2011-07-29 2014-12-31 上海大巨龙蓬盖新材料有限公司 一种网眼布与通明膜双面喷绘材料及其制造方法
TW201402358A (zh) * 2012-07-03 2014-01-16 Etansi Inc 裝飾成型品的製造方法與整形模具
FR3044243A1 (fr) * 2015-11-26 2017-06-02 Michelin & Cie Procede de depot d’un revetement adhesif au metal, hydrophobe et electriquement conducteur
CN105922781A (zh) * 2016-05-03 2016-09-07 武汉华工激光工程有限责任公司 利用激光在玻璃上标刻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3107A (en) * 1980-06-27 1985-04-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hermally transferable ink compositions
US4737224A (en) * 1980-06-27 1988-04-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ocess of dry adhesive-free thermal transfer of indicia
US4565842A (en) * 1980-06-27 1986-01-2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hermally transferable ink compositions
US4524078A (en) * 1982-01-04 1985-06-18 General Foods Corporation Pressurized container providing for the separate storage of a plurality of materials
US4573107A (en) * 1984-10-01 1986-02-25 David Stock Steerable spotlight assembly
US5427835A (en) * 1992-06-04 1995-06-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ulfopolymer/vanadium oxide antistatic compositions
US5407603A (en) * 1992-06-04 1995-04-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Vanadium oxide colloidal dispersons and antistatic coatings
EP0583940B1 (en) * 1992-08-14 1997-04-23 Toyo Ink Manufacturing Co., Ltd. Method of thermal transfer recording
BR9406052A (pt) * 1993-04-28 1995-12-26 Minnesota Mining & Mfg Processo para produzir uma construção de placa de sinalização tridimensional construção de face de uma placa de sinalização tridimensional e placa de sinalização gráfica em relevo tridimensio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86673A1 (en) 1998-12-30
US5874158A (en) 1999-02-23
AU6165396A (en) 1997-10-01
WO1997033947A1 (en) 1997-09-18
CN1085715C (zh) 2002-05-29
AU717518B2 (en) 2000-03-30
BR9612545A (pt) 1999-07-20
NZ310791A (en) 2000-03-27
CA2247521A1 (en) 1997-09-18
CN1214070A (zh) 1999-04-14
JP2000506921A (ja) 2000-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6633B1 (en) Ink jet imaging process and recording element
US5795425A (en) Ink jet imaging process and recording element for use therein
KR19990087661A (ko) 열 활성화 반투명 표지 필름
US4440590A (en) Manufacture of signs
US4514457A (en) Low-profile transfer article
JPH08183143A (ja) 3次元基材装飾箔
WO2005044558A1 (en) Decorative protective film
JPH06198831A (ja) 化粧シート
US5441785A (en) Composite alignment-maintaining plastic lettering material
US6346312B1 (en) Transfer and method for its preparation and use
JP3933260B2 (ja) 非晶質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系化粧シート
JP3853427B2 (ja) 化粧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化粧板
JPH06184952A (ja) スウェード調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918971B2 (ja) 凹凸模様付与用熱転写シート
JPH0985916A (ja) 化粧シート
JPH01249399A (ja) 凹凸転写材
JPH10180966A (ja) 化粧シート
JPH07232415A (ja) 化粧シ−ト
JPH0531937U (ja) 装飾ガラス
JPH0872190A (ja) 化粧シ−ト
JPH09277483A (ja) 化粧シ−ト
JPH1016140A (ja) プラスチック化粧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JPH1052896A (ja) 化粧シート
JPH09109349A (ja) 化粧シート
JPH0259338A (ja) 化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6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30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