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77924A - 와이어제조용오스테나이트스테인리스강 - Google Patents

와이어제조용오스테나이트스테인리스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924A
KR19990077924A KR1019990008796A KR19990008796A KR19990077924A KR 19990077924 A KR19990077924 A KR 19990077924A KR 1019990008796 A KR1019990008796 A KR 1019990008796A KR 19990008796 A KR19990008796 A KR 19990008796A KR 19990077924 A KR19990077924 A KR 19990077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usions
weight
composition
steel
mg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베뜨에띠엔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위진느-사부와 엥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위진느-사부와 엥피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19990077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924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31Foil or filament smaller than 6 m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wire)를 직경 0.3 mm 미만으로 인발시키는 분야 및 약화시키게 하는 성분을 제조하는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와이어 제조용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으로서, 하기 조성을 가지고:
- 5 × 10-3중량% ≤ 탄소 ≤ 200 × 10-3중량%
- 5 × 10-3중량% ≤ 질소 ≤ 400 × 10-3중량%
- 0.2 중량% ≤ 망간 ≤ 10 중량%
- 12 중량% ≤ 크롬 ≤ 23 중량%
- 0.1 중량% ≤ 니켈 ≤ 17 중량%
- 0.1 중량% ≤ 규소 ≤ 2 중량%;
잔류 원소를 수집하여 산화물의 개재물을 유리질(glassy) 혼합물의 형태로 수득하며, 이의 분율은 하기를 가지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강에 관한 것이다:
- 40 중량% ≤ SiO2≤ 60 중량%
- 5 중량% ≤ MnO ≤ 50 중량%
- 1 중량% ≤ CaO ≤ 30 중량%
- 0 중량% ≤ MgO ≤ 4 중량%
- 5 중량% ≤ Al2O3≤ 25 중량%
- 0 중량% ≤ Cr2O3≤ 4 중량%
- 0 중량% ≤ TiO2≤ 4 중량%.

Description

와이어 제조용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Austenitic stainless steel, especially for making wire}
본 발명은 와이어를 직경 0.3 mm 미만으로 인발시키는 분야 및 약화시키게 하는 성분을 제조하는 분야에서 사용하는 개재물 청정성을 갖는, 특히 와이어 제조용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이다.
크롬 10.5 % 이상을 함유하는 철 합금을 스테인리스강으로서 참조한다. 기타 원소는 강 조성의 일부를 형성하여 이의 구조 및 특성을 개질시킨다.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은 정의된 조성을 갖는다. 오스테나이트 구조는 속성 냉각 형태의 열처리에 의한 변형후 형성한다.
야금학적 관점에서, 강의 조성의 일부를 형성하는 임의 합금 원소는 페라이트 상의 외형을 선호하고, 이는 체심입방 형태의 야금 구조를 갖는다. 상기 원소를 알파발생 원소라 칭힌다. 상기중에는 크롬, 몰리브덴 및 규소가 있다.
기타 소위 감마발생 원소는 면심입방 형태의 야금 구조를 갖는, 오스테나이트 상의 외형을 선호한다. 상기 원소중 탄소, 질소, 망간, 구리 및 니켈이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 인발의 분야에서, 미세 와이어로 칭하는, 직경 0.3 mm 미만의 와이어를 수득하기 위해, 사용된 스테인리스강은 개재물의 크기가 와이어를 인발 동안 절단시키는 개재물을 갖지 않아야 한다.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의 제조에서, 대량 생산에 경제적으로 적합한 종래 수단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든 기타 강에 관해, 황화물 또는 산화물 형태의 개재물의 존재는 일상적이고 고칠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은, 액체 상태의 스테인리스강이 생산 공정 때문에 1000 ppm 미만의 용액에서 산소 및 황 함량을 갖기 때문이다. 액체 상태 또는 고체 상태로 강을 냉각시키는 경우, 산소 및 황 원소의 용해도는 감소하고 산화물 또는 황화물의 형성 에너지를 구한다. 그러므로, 개재물이 나타나고, 한 편으로, 상기 개재물은 산소와 열성적으로 반응하는 합금 원소, 예컨대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규소, 망간 및 크롬, 및 산소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물 형태의 화합물, 및 다른 한 편으로, 황과 열성적으로 반응하는 합금 원소, 예컨대 망간, 크롬, 칼슘 및 마그네슘, 및 황 원자를 함유하는 황화물 형태의 화합물로부터 형성된다. 개재물은 또한 옥시황화물 형태의 혼합 화합물로 나타날 수 있다.
스테인리스강에 함유된 산소의 양을 강력한 환원제, 예컨대 마그네슘, 알루미늄, 칼슘, 티타늄 또는 상기중 수개의 복합물을 이용하여 감소시킬 수 있지만, 상기 모든 환원제는 모두 스테인리스강을 압연시키는 조건하에서 변형될 수 없고 단단한 결정질 내화재료의 형태인 MgO, Al2O3, CaO 또는 TiO2가 풍부한 개재물을 형성시킨다. 상기 개재물의 존재는 예를 들어 와이어 인발시 절단, 및 스테인리스강으로부터 제조된 제품에서 피로파괴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특허 출원 FR 95 04 782 는 와이어 인발 분야 및 피로시키는 성분의 제조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와이어 제조용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의 처리를 기재한다.
통상, 각종 조성에 따라, 기재된 스테인리스강은 와이어 인발동안 절단 수의 관점 및 피로작용의 관점 모두로부터 확실히 실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다시말해, 종래 기술의 특허 출원에 기재된 강 조성은 특히 개재물 분야가 너무 광범위하게 규정되기 때문에 완전히 만족스럽지 않다.
특히 인발 및 피로에서 최적화 및 확실한 성능을 증명하는 특정 잔류 원소 함량의 범위에 의해 정의된, 개재물 분야에서 폐쇄 구역이 확인되었다.
도 1 은 직경 5.5 mm 의 압연 와이어에 존재하는 매우 두껍고 거의 변형되지 않는 개재물의 예를 나타낸다.
도 2 는 직경 5.5 mm 의 압연 와이어에 존재하는 매우 잘 변형된 개재물의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와이어를 0.3 mm 미만의 직경으로 인발시키는 분야 및 약화시키는 성분을 제조하는 분야에서 강을 사용할 수 있는, 선택된 개재물 청정성을 갖는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조성을 가지고:
- 5 × 10-3중량% ≤ 탄소 ≤ 200 × 10-3중량%
- 5 × 10-3중량% ≤ 질소 ≤ 400 × 10-3중량%
- 0.2 중량% ≤ 망간 ≤ 10 중량%
- 12 중량% ≤ 크롬 ≤ 23 중량%
- 0.1 중량% ≤ 니켈 ≤ 17 중량%
- 0.1 중량% ≤ 규소 ≤ 2 중량%;
잔류 원소를 하기와 같이 조절하며:
- 0 중량% ≤ 황 ≤ 100 × 10-4중량%
- 40 × 10-4중량% ≤ 전체 산소 ≤ 120 × 10-4중량%
- 0 중량% 〈 알루미늄 ≤ 5 × 10-4중량%
- 0 중량% ≤ 마그네슘 ≤ 0.5 × 10-4중량%
- 0 중량% 〈 칼슘 ≤ 5 × 10-4중량%
- 0 중량% ≤ 티타늄 ≤ 4 × 10-4중량%
- 제조시부터 있는 불순물
산화물 개재물이 유리질 혼합물의 형태로 하기 분율을 가지고:
- 40 중량% ≤ SiO2≤ 60 중량%
- 5 중량% ≤ MnO ≤ 50 중량%
- 1 중량% ≤ CaO ≤ 30 중량%
- 0 중량% ≤ MgO ≤ 4 중량%
- 5 중량% ≤ Al2O3≤ 25 중량%
- 0 중량% ≤ Cr2O3≤ 4 중량%
- 0 중량% ≤ TiO2≤ 4 중량%;
개재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이 관계식 % Cr2O3+ % TiO2+ % MgO 〈 10 % 를 만족시키는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이다.
본 발명의 기타 특성은 하기이다:
- 강의 조성에 황 50 × 10-4% 미만이 함유되고;
- 강의 조성에 몰리브덴 3 % 미만이부가 함유되며;
- 강의 조성에 구리 4 % 미만이 부가 함유된다.
모두 비제한 예의 방식으로 제공되는, 첨부 도면과 함께 후기 설명은 본 발명을 명확히 이해시킬 것이다.
도 1 및 2 는 각각 두껍고 단단한 변형 개재물 예의 이미지 및 본 발명에 따른 강에 함유된 개재물 예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강은 이의 조성에서, 탄소 5 × 10-3중량% 내지 200 × 10-3중량%, 질소 5 × 10-3중량% 내지 400 × 10-3중량%, 망간 0.2 중량% 내지 10 중량%, 크롬 12 중량% 내지 23 중량%, 니켈 0.1 중량% 내지 17 중량%, 규소 0.1 중량% 내지 2 중량% 를 함유하고, 특히, 잔류 원소를 조절하여 이의 조성이 하기를 갖고: 황 0 중량% 초과 내지 100 × 10-4중량%, 전체 산소 40 × 10-4중량% 내지 120 × 10-4중량%, 알루미늄 0 중량% 초과 내지 5 × 10-4중량%, 마그네슘 0 중량% 내지 0.5 × 10-4중량%, 칼슘 0 중량% 내지 5 × 10-4중량% 및 티타늄 0 중량% 내지 4 × 10-4중량%, 제조부터 있는 불순물; 산화물 개재물은 유리질 혼합물의 형태로 하기 분율을 가지고:
- 40 중량% ≤ SiO2≤ 60 중량%
- 5 중량% ≤ MnO ≤ 50 중량%
- 1 중량% ≤ CaO ≤ 30 중량%
- 0 중량% ≤ MgO ≤ 4 중량%
- 5 중량% ≤ Al2O3≤ 25 중량%
- 0 중량% ≤ Cr2O3≤ 4 중량%
- 0 중량% ≤ TiO2≤ 4 중량%;
개재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이 관계식 % Cr2O3+ % TiO2+ % MgO 〈 10 % 를 만족시킨다.
탄소, 질소, 크롬, 니켈, 망간 및 규소는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을 수득하게 하는 통상 원소이다.
망간, 크롬 및 황 함량은 명확한 조성의 변형가능한 황화물을 발생시키기 위해 비례하여 선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례하여 원소 규소 및 망간용 조성 범위는 SiO2가 풍부하고 무시할 수 없는 양의 MnO 를 함유하는, 실리케이트 형태의 개재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몰리브덴을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의 조성에 3 % 이하의 양으로 첨가하여 부식 작용을 개선시킬 수 있다.
구리를 본 발명에 따른 강의 조성에 부가 첨가하여 냉간변형 특성을 개선하고, 결국,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열간 전환동안 어려움을 피하기 위해 구리 함량을 4 % 로 제한시켜, 구리가 압연전에 재가열시킬 수 있는 강의 온도를 상한으로 적당히 낮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체 산소, 알루미늄 및 칼슘 범위는 Al2O3및 CaO 의 0 이 아닌 분율을 함유하는 규산망간 형태의 개재물을 수득하게 한다. 원하는 개재물에서, 강의 조성에 함유된 알루미늄 및 칼슘은 1 % 초과의 CaO 및 5 % 초과의 Al2O3가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체 산소 함량의 값은 40 ppm 내지 120 ppm 이다.
40 ppm 미만의 전체 산소 함량에 대해, 산소가 원소 마그네슘, 칼슘 및 알루미늄을 고정시키고 SiO2및 MnO 가 풍부한 산화물 개재물을 형성하지 않는다.
120 ppm 초과의 전체 산소 함량에 대해, 조성에서, 피하고 싶은 결정화를 선호하는 Cr2O34 % 초과의 산화물이 있을 것이다.
칼슘 함량은 5 × 10-4% 미만이어서 원하는 개재물이 30 % 초과의 CaO 를 함유하지 않는다.
알루미늄 함량은 원하는 개재물이 25 % 초과의 Al2O3를 함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5 × 10-4% 미만이고, 이는 또한 원하지 않은 결정화를 선호한다.
종래 및 경제적 방법을 이용하여, 산화물 및 황화물형의 개재물을 함유하는 강을 제조한 후, 상기 개재물을 완만하고 경제적으로 유익하지 않은 재용해 방법, 예컨대 진공 재용해(진공 아르곤 재용해) 또는 일렉트로슬래그(electroslag) 방법을 이용하여 사라지게 하기 위해 재련시키는 것을 생각한다.
상기 재용해 방법은 개재물의 성질 및 이의 조성의 개질 없이, 액체 풀
(pool)에서 침강에 의해 이미 존재하는 개재물을 부분적으로만 제거한다.
본 발명은 고의로 수득된 선택 조성의 개재물을 함유하는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에 관한 것이고, 조성은 강의 전체 조성과 관련하여 상기 개재물의 물리적 특성이 강의 열간 변태동안 이의 변형을 선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은 강의 압연 온도에 가까운 이의 연화점을 갖는 정의된 조성의 개재물을 함유하고, 상기 개재물은 압연 온도에서 강보다 더 단단한 결정, 특히 하기 정의된 화합물: 인규석, 홍연석 또는 수정 형태의 SiO2; 3CaO·SiO2; CaO; MgO; Cr2O3; 회장석, 멀라이트(mullite),겔레나이트, 커런덤 또는, Al2O3·MgO 또는 Al2O3·Cr2O3·MnO·MgO 형의 첨정석; CaO·Al2O3; CaO·6Al2O3; CaO·2Al2O3; TiO2의 출현을 억제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강은 조성의 산화물 개재물을 주로 함유하여 이것이 강을 형성하는 모든 연속 작업 동안 유리질 또는 비정질 혼합물을 형성한다. 산화물 개재물에서, 단범위의 확산이 거의 없고 대류 운동을 고도로 제한하기 때문에 선택 개재물의 점도는 본 발명의 생성 개재물의 결정화 산화물 입자의 성장을 완전히 억제시키는데 충분하다. 강의 열간 처리용 온도 범위에서 유리질로 잔류하는 상기 개재물은 항상 대응 조성의 결정화 개재물보다 더 낮은 경도 및 더 낮은 탄성율을 갖는다. 그래서, 예를 들어 와이어 인발 작업 동안 개재물을 여전히 변형
, 압축 및 신장시킬 수 있고, 개재물 근처의 임의 응력 농도를 크게 감소시키고,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피로균열의 외형 또는 와이어 인발 동안 절단의 발생의 위험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은 규정된 조성의 산화물 개재물을 함유하여 강을 열간압연시키는 온도 범위에서 이의 점도는 너무 높지 않다. 결국, 개재물의 항복 응력은 열간압연 조건하에서 강의 것보다 현격히 저하되고, 이의 온도는 통상 800 ℃ 내지 1350 ℃ 이다. 그래서, 산화물 개재물은 동시에 강으로서 열간압연동안 변형하고 그러므로 압연후, 상기 개재물을 완전히 신장시키고 미소 두께, 즉 5 또는 10 μm 미만의 두께를 가지므로, 예를 들어 와이어 인발 작업 동안 임의 절단 문제를 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재물을 스테인리스강용 전기로강 플랜트의 종래 고생산성 제조 방법, 예컨대 전기로, AOD 또는 VOD 전로, 인레들(in-ladle) 야금술 및 연속 주조를 이용하여 제조한다.
상기 종래 용련 및 주조 방법과 함께, 예비주조(as-cast) 생성물에서 개재물의 크기 분포는 이의 조성과 상대적으로 무관하다. 그러므로, 열간압연전에, 강은 개재물의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분포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특성을 기재한 후기 산화물의 개재물은 하기 분율로 SiO2, MnO, CaO, Al2O3, MgO, Cr2O3, TiO2및, 선택적으로 미량의 FeO 의 유리질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 40 중량% ≤ SiO2≤ 60 중량%
- 5 중량% ≤ MnO ≤ 50 중량%
- 1 중량% ≤ CaO ≤ 30 중량%
- 0 중량% ≤ MgO ≤ 4 중량%
- 5 중량% ≤ Al2O3≤ 25 중량%
- 0 중량% ≤ Cr2O3≤ 4 중량%
- 0 중량% ≤ TiO2≤ 4 중량%.
만일 SiO2함량이 40 % 미만이면, 산화물 개재물의 점도는 너무 낮고 산화물 결정 성장 메카니즘을 억제시키지 않는다. 만일 SiO2함량이 60 % 초과이면, 인규석, 홍연석 또는 수정의 형태로 실리카의 바람직하지 않은 매우 단단한 입자를 형성한다.
5 % 내지 50 % 의 MnO 함량은 SiO2, CaO, Al2O3를 함유하는 입자에서 산화물 혼합물의 연화점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본 발명에 따른 강을 압연시키는 조건하에서 유리질 상태로 잔류하는 개재물의 형성을 선호하게 한다.
CaO 함량이 30 % 초과인 경우, CaO·SiO2또는 (Ca, Mn)O·SiO2의 결정을 형성한다.
4 % 초과의 MgO 함량에 대해, MgO; 2MgO·SiO2; MgO·SiO2또는 Al2O3·MgO 의 결정을 형성하고, 이것은 극히 단단한 상이다.
만일 Al2O3함량이 5 % 미만이면, 규회석의 결정을 형성하고 Al2O3함량이 25 % 초과인 경우, 멀라이트, 회장석, 커런덤, 특히 Al2O3·MgO 또는 Al2O3·Cr2O3·MgO·MnO 형의 첨정석, 또는 그밖에 CaO·6Al2O3또는 CaO·2Al2O3또는 CaO·Al2O3형의 알루미네이트, 또는 겔레나이트의 결정이 나타난다.
4 % 초과의 Cr2O3로, Cr2O3, Al2O3·Cr2O3·MgO·MnO, CaO·Cr2O3, MgO·Cr2O3의 단단한 결정이 또한 나타난다.
본 발명의 한가지 형에 있어서, 황 함량은 압연 제품에서 두께 5 μm 이하의 황화물 개재물을 수득하기 위해 50 × 10-4% 이하이어야 한다. 이것은 황화망간 및 황화크롬형의 개재물이 본 발명의 조건하에서 완전히 변형가능하기때문이다.
통상, 산화물 및 황화물형 개재물은 미세 와이어 인발 및 피로 작용의 경우, 특히 굴곡 및/또는 비틀림에서 용도 특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고려된다. 직경 5 내지 10 mm 의 열간압연 로드 스톡(rod stock)상에서 압연 방향으로 연마단면을 조사하여 산화물 및 황화물형 개재물의 농도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최종 용도에 의존하는 각종 표준에 따라 실행된 상기 특성의 결과를 개재물 청정성으로 칭한다.
압연 와이어의 연마 단면에서 관찰된 개재물에 대해, 이의 길이 및 이의 두께를 측정한후 길이 대 두께의 비율인 형상계수를 정의한다. 압연 작업 동안 매우 잘 변형된 개재물에 대해, 형상계수는 통상 매우 높고, 즉 가능하면 100 이상이고, 결국 개재물의 두께는 극히 작다. 다른 한편으로, 변형하지 않거나 약간의 변형도 하지 않는 개재물은 즉 약 1 의 작은 형성계수를 특징으로 하고, 그러므로 개재물의 두께는 높고 예비주조 제품에서 원 개재물의 크기와 동일한 등급이다. 결국, 이후 명세서에서, 압연 와이어에서 관찰된 각 개재물의 두께를 압연 와이어의 용도 특성에 관해 단순하고 효과적인 특성으로 채택한다.
도 1 및 2 는 각각, 직경 5.5 mm 의 압연 와이어의 종방향의 연마 단면에서, 매우 두껍고 거의 변형되지 않는 개재물 및 본 발명에 따른 강에 함유된 미세하고 매우 잘 변형된 개재물의 예를 나타낸다.
도 1 은 직경 5.5 mm 의 압연 와이어에 존재하는 매우 두껍고 거의 변형되지 않는 개재물의 예를 나타낸다.
도 2 는 직경 5.5 mm 의 압연 와이어에 존재하는 매우 잘 변형된 개재물의 예를 나타낸다.
도 2 개재물은 직경 0.3 mm 미만의 와이어 제조용 또는 약화시키게 하는 성분, 예컨대 스프링 또는 타이어 강화용 미세 와이어 인발 작업에 해롭지 않다.
모든 조성이 확실한 방법으로 와이어 제조 및 약화시키는 성분에 허용가능한 특성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잔류 원소 및 강을 제조한후 개재물의 조성에 관해 선택된 조성에 따라, 개재물 질적 특성을 정의한다.
티타늄, 마그네슘 및 황은 잔류량으로 존재하고 강의 조성 및, 결국, 개재물의 조성에 함유되지 않는다.
후기 표 1 및 2 는 와이어 인발 및 피로 작용시 강의 조성 및 산화물 개재물의 조성의 영향을 증명하는 강을 나타낸다. 작업 조성으로 칭하는, 하기 기재 조성을 선택한다:
% C 0.072
% N 0.052
% Si 0.771
% Mn 0.736
% Cr 18.522
% Ni 8.773
% Mo 0.210
% Cu 0.310
1 2 2 3 4 5 6
Otppm 17 39 39 53 87 123 71
Al ppm 11 5 5 8 7 5 7
Ca ppm 4 7 7 6 8 1 2
Mg ppm 2 1 1 1 2 0.8 0.4
Ti ppm 4 8 8 7 45 2 38
S ppm 71 47 47 61 27 41 53
개재물의 성질
% SiO2 25.6 25.2 29.1 18.6 47.4 9
% CaO 40.0 41.1 23.1 8.7 1.2 2.9
% MnO 0.7 2.5 7.4 8.8 32.3 6.7
% Al2O3 21.1 28.1 71 27 8.1 7.2 8.8
% MgO 12.0 2.6 26.5 4.5 2.6 1.1 0.8
% Cr2O3 0.1 1.6 6 8.7 7.5
% TiO2 0.5 3 7.1 44.9 2.1 56.3
7 8 9 10 11 12
Otppm 71 95 53 113 43 68
Al ppm 4 5 3 5 3 3
Ca ppm 3 5 3 5 3 2
Mg ppm 0.3 0.4 0.3 0.5 0.2 0.2
Ti ppm 2 1 2 3 1 2
S ppm 13 33 24 38 21 45
개재물의 성질
% SiO2 41.2 47.5 41 48.9 40.9 42.4
% CaO 14.1 10.1 25.6 7.5 29.2 10.4
% MnO 18.3 24.7 10.2 28.1 7.8 15.6
% Al2O3 17.9 11.6 16.5 8 17.7 23.2
% MgO 1.7 1.0 3.1 0.6 2.5 1.6
% Cr2O3 4 3.8 2 3.6 1.4 3.3
% TiO2 2.9 1.3 1.6 3.4 0.5 3.5
표 1 은 와이어 인발성 및 피로 작용에 관한 중간 품질로 고려되는 강 조성을 나타낸다. 표 2 는 당해 2 분야에서 현격한 품질을 생성하는 개재물 청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강 조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와이어 인발시 변형, 압축 및 신장시킬 수 있고, 개재물 근처의 임의 응력 농도를 크게 감소시키며,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피로균열의 외형 또는 와이어 인발시 절단 발생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조성을 갖는 스테인리스강을 제공한다.

Claims (4)

  1. 와이어를 0.3 mm 미만의 직경으로 인발시키는 분야 및 약화시키는 성분을 제조하는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와이어 제조용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으로서,
    하기 조성을 가지고:
    - 5 × 10-3중량% ≤ 탄소 ≤ 200 × 10-3중량%
    - 5 × 10-3중량% ≤ 질소 ≤ 400 × 10-3중량%
    - 0.2 중량% ≤ 망간 ≤ 10 중량%
    - 12 중량% ≤ 크롬 ≤ 23 중량%
    - 0.1 중량% ≤ 니켈 ≤ 17 중량%
    - 0.1 중량% ≤ 규소 ≤ 2 중량%;
    잔류 원소를 하기와 같이 조절하며:
    - 0 중량% ≤ 황 ≤ 100 × 10-4중량%
    - 40 × 10-4중량% ≤ 전체 산소 ≤ 120 × 10-4중량%
    - 0 중량% 〈 알루미늄 ≤ 5 × 10-4중량%
    - 0 중량% ≤ 마그네슘 ≤ 0.5 × 10-4중량%
    - 0 중량% ≤ 칼슘 ≤ 5 × 10-4중량%
    - 0 중량% ≤ 티타늄 ≤ 4 × 10-4중량%
    - 제조시부터 있는 불순물;
    산화물 개재물이 유리질(glassy) 혼합물의 형태로 하기 분율을 가지고:
    - 40 중량% ≤ SiO2≤ 60 중량%
    - 5 중량% ≤ MnO ≤ 50 중량%
    - 1 중량% ≤ CaO ≤ 30 중량%
    - 0 중량% ≤ MgO ≤ 4 중량%
    - 5 중량% ≤ Al2O3≤ 25 중량%
    - 0 중량% ≤ Cr2O3≤ 4 중량%
    - 0 중량% ≤ TiO2≤ 4 중량%;
    개재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이 관계식 % Cr2O3+ % TiO2+ % MgO 〈 10 % 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에 황 50 × 10-4% 미만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에 몰리브덴 3 % 미만이 부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에 구리 4 % 미만이 부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KR1019990008796A 1998-03-18 1999-03-16 와이어제조용오스테나이트스테인리스강 Withdrawn KR199900779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03263 1998-03-18
FR9803263A FR2776306B1 (fr) 1998-03-18 1998-03-18 Acier inoxydable austenitique pour l'elaboration notamment de f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924A true KR19990077924A (ko) 1999-10-25

Family

ID=9524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796A Withdrawn KR19990077924A (ko) 1998-03-18 1999-03-16 와이어제조용오스테나이트스테인리스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123784A (ko)
EP (1) EP0947591B1 (ko)
JP (1) JPH11315350A (ko)
KR (1) KR19990077924A (ko)
CN (1) CN1098372C (ko)
AT (1) ATE258999T1 (ko)
AU (1) AU737767B2 (ko)
BR (1) BR9903041A (ko)
CA (1) CA2266597A1 (ko)
DE (1) DE69914517T2 (ko)
ES (1) ES2212483T3 (ko)
FR (1) FR2776306B1 (ko)
ID (1) ID23217A (ko)
TW (1) TW476795B (ko)
ZA (1) ZA9920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4521B2 (ja) * 1998-12-15 2004-03-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疲労特性に優れたばね用鋼
FR2818289B1 (fr) * 2000-12-15 2003-08-08 Usinor Acier inoxydable pour une mise en forme severe et notamment l'emboutissage profond d'une tole
FR2818290A1 (fr) * 2000-12-15 2002-06-21 Ugine Savoie Imphy Acier inoxydable pour une mise en forme severe et notamment la frappe ou le trefilage d'un fil
JP2002206148A (ja) * 2001-01-09 2002-07-26 Nisshin Steel Co Ltd 加工割れ感受性が低い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00119403A1 (en) * 2001-07-27 2010-05-13 Ugitech Austenitic Stainless Steel for Cold Working Suitable For Later Machining
FR2827876B1 (fr) * 2001-07-27 2004-06-18 Usinor Acier inoxydable austenitique pour deformation a froid pouvant etre suivi d'un usinage
KR20090066000A (ko) * 2007-12-18 2009-06-23 주식회사 포스코 고진공, 고순도 가스 배관용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JP5853281B2 (ja) * 2011-03-25 2016-02-09 日新製鋼株式会社 表面光沢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JP5278493B2 (ja) * 2011-05-27 2013-09-0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UA111115C2 (uk) 2012-04-02 2016-03-25 Ейкей Стіл Пропертіс, Інк. Рентабельна феритна нержавіюча сталь
CH708231B1 (fr) 2013-06-27 2017-03-15 Nivarox Far Sa Ressort d'horlogerie en acier inoxydable austénitique.
EP2924514B1 (fr) 2014-03-24 2017-09-13 Nivarox-FAR S.A. Ressort d'horlogerie en acier inoxydable austénitique
CN104907351B (zh) * 2015-04-22 2017-01-18 苏州劲元油压机械有限公司 一种滤油网用强韧不锈钢丝及其制造工艺
JP6491983B2 (ja) * 2015-08-28 2019-03-27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高強度・高延性の極細線用ステンレス鋼線材、高強度・高延性の極細線用ステンレス鋼線
WO2021172381A1 (ja) * 2020-02-27 2021-09-02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金属箔用ステンレス鋼、ステンレス鋼箔、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WO2021172378A1 (ja) * 2020-02-27 2021-09-02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ステンレス鋼、ステンレス鋼材、および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JP7622036B2 (ja) * 2020-02-27 2025-01-27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鏡面研磨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3549820B (zh) * 2021-06-29 2022-05-17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高碳低铁素体含量奥氏体不锈钢板及其生产方法
CN114086074B (zh) * 2021-11-24 2022-11-25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海洋岛礁用高耐蚀性冷镦钢及其生产方法和热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18537A1 (de) * 1979-05-17 1980-11-27 Daido Steel Co Ltd Kontrollierte einschluesse enthaltender automatenstah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FR2690169B1 (fr) * 1992-04-17 1994-09-23 Ugine Savoie Sa Acier inoxydable austénitique à haute usinabilité et à déformation à froid améliorée.
US5314549A (en) * 1993-03-08 1994-05-24 Nkk Corporation High strength and high toughness stainless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JPH0860308A (ja) * 1994-08-11 1996-03-05 Daido Steel Co Ltd 伸線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鋼材
FR2733252B1 (fr) * 1995-04-21 1997-05-23 Ugine Savoie Sa Acier inoxydable austenitique pour l'elaboration notamment de f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903041A (pt) 2001-03-20
DE69914517T2 (de) 2004-12-23
HK1026923A1 (en) 2000-12-29
JPH11315350A (ja) 1999-11-16
TW476795B (en) 2002-02-21
AU2036799A (en) 1999-09-30
ZA992060B (en) 1999-09-27
ATE258999T1 (de) 2004-02-15
DE69914517D1 (de) 2004-03-11
ID23217A (id) 2000-03-30
US6123784A (en) 2000-09-26
AU737767B2 (en) 2001-08-30
FR2776306A1 (fr) 1999-09-24
EP0947591B1 (fr) 2004-02-04
FR2776306B1 (fr) 2000-05-19
ES2212483T3 (es) 2004-07-16
EP0947591A1 (fr) 1999-10-06
CN1098372C (zh) 2003-01-08
CN1238392A (zh) 1999-12-15
CA2266597A1 (fr) 199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7924A (ko) 와이어제조용오스테나이트스테인리스강
US5651937A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in particular for making wire
ES2198034T3 (es) Acero inoxidable para la elaboracion de hilo trefilado principalmente hilo de refuerzo de neumatico y procedimiento de obtencion de dicho hilo.
US4729872A (en) Isotropic tool steel
KR100712786B1 (ko) 고청정도 스프링 강
JP4423050B2 (ja) 疲労強度および冷間加工性に優れた高清浄度鋼
US20060219335A1 (en) Excellent-strength and excellent-toughness steel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20029408A (ko) 강자성체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20030043686A (ko) 강자성 부품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황함유 페라이트계스테인리스강
JP7223210B2 (ja) 耐疲労特性に優れた析出硬化型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CN115244199B (zh) 不锈钢、不锈钢钢材及不锈钢的制造方法
JP2003055743A (ja) 被削性にすぐれた冷間ダイス金型用鋼
JP2733989B2 (ja) 熱間延性に優れた快削鋼
HK1026923B (en) Stainless austenitic steel suitable for the manufacture of wires
JPS6196059A (ja) 圧力容器用Cr−Mo鋼
JP2007146212A (ja) 高強度かつ耐ねじり折損性に優れた工具鋼
JPH01219148A (ja) 非調質快削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