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72333A - 소켓플러그 - Google Patents

소켓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333A
KR19990072333A KR1019990002978A KR19990002978A KR19990072333A KR 19990072333 A KR19990072333 A KR 19990072333A KR 1019990002978 A KR1019990002978 A KR 1019990002978A KR 19990002978 A KR19990002978 A KR 19990002978A KR 19990072333 A KR19990072333 A KR 19990072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rd
luminaire
socket plu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3376B1 (ko
Inventor
하시가야가즈야
오이시가즈타미
Original Assignee
고지마 류조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지마 류조,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고지마 류조
Publication of KR19990072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3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3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9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baseless lamp bul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6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기구에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급전 코드의 수납을 좋게 하는 소켓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등기구에 회전됨에 따라 고정되는 소켓 플러그(1)에 있어서, 전구(21)를 고정하는 본체부(2)와 이 본체부에 고정되는 핸들부(15)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에는 전구를 고정하는 전구 고정부(5)와, 등기구에 장착되는 등기구 장착부(7)와, 핸들부를 장착하는 핸들 장착부(1l)가 각 부의 축방향에 대해 거의 일직선 형상으로 늘어선 상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전구 고정부에 고정되는 전구에 대하여 급전하기 위한 급전 코드(14)가 핸들 장착부의 단부로부터 도출되며, 핸들부에는 본체부의 핸들 장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16)와, 상기 급전 코드를 유지하는 코드 유지부(l7)가 측면에서 보아 거의 L자 형상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소켓 플러그{SOCKET PLUG}
본 발명은 신규의 소켓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등기구에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급전 코드의 수납을 양호하게 하는 소켓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회전시킴으로써 등기구에 고정되는 소켓 플러그의 경우, 스트레이트 타입의 소켓 플러그, 즉, 전구를 고정하는 전구 고정부와, 등기구에 장착되는 등기구 장착부와, 커넥터가 장착되거나 혹은 급전 코드가 도출되는 후단부가 각 부의 축방향에 대해 거의 일직선 형상으로 늘어선 상태로 일체로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소켓 플러그는 등기구에 대하여 착탈할 때에 힘을 가하기가 어렵고, 작업성이 좋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은 소켓 플러그(a)가 제안되어 있다.
이 소켓 플러그(a)는 전구 고정부(b)의 후단에 등기구 장착부(c)가 서로의 축방향이 일치한 상태에서 일체로 결합되고, 또한 등기구 장착부(c)의 후단에 후단부로서의 커넥터부(d)가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커넥터부(d)는 측방에서 보아 거의 L자 형상을 하고 있고, 측방으로 돌출한 부분(e)이 단면으로 개구된 도시하지 않은 오목부를 지니며, 이 오목부내에 급전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소켓 플러그(a)를 등기구에 장착할 때는 거의 L자 형상을 한 커넥터부(d), 특히 측방으로 돌출한 부분(e)을 파지함으로써 소켓 플러그(a)에 충분한 회전력을 가할 수 있고, 따라서, 등기구에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커넥터부(d)가 L자 형상을 한 소켓 플러그(a)는 형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성형에 비용이 들고, 또한 급전 단자도 소위 인서트 성형에 의하지 않으면 내부에 설치할 수 없고, 더욱이 비용 증가를 가져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등기구에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적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또한 급전 코드의 수납을 좋게 하는 소켓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도 2 내지 도 5와 함께 본 발명의 소켓 플러그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도면은 각 부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각 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각 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각 부를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각 부를 결합한 상태의 배면도.
도 6은 종래의 소켓 플러그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켓 플러그
2 : 본체부
5 : 전구 고정부
7 : 등기구 장착부
l1 : 핸들 장착부
14 : 급전 코드
15 : 핸들부
l6 : 결합부
17 : 코드 유지부
18a : 삽입통과 유지부
18b : 탈락 저지부
21 : 전구
본 발명의 소켓 플러그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구를 고정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고정되는 핸들부로 이루어지고, 본체부에는 전구를 고정하는 전구 고정부와, 등기구에 장착되는 등기구 장착부와, 핸들부를 장착하는 핸들 장착부가 각 부의 축방향이 거의 일직선 형상으로 늘어선 상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전구 고정부에 고정되는 전구에 대하여 급전하기 위한 급전 코드가 핸들 장착부의 단부로부터 도출되고, 핸들부는 본체부의 핸들 장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급전 코드를 유지하는 코드 유지부가 측면에서 보아 거의 L자 형상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켓 플러그에 있어서는 거의 L자 형상을 한 핸들부를 파지함으로써 쉽게 회전시킬 수 있고, 이로써, 등기구에의 장착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본체부는 각 부의 축방향이 거의 일직선 형상으로 늘어선 상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제조가 용이하고, 예컨대 별체로 형성한 급전 단자를 장착하여 일체화할 수도 있다. 더욱이, 핸들부에는 코드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급전 코드의 진행 경로를 규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소켓 플러그의 실시 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소켓 플러그(l)는 전구를 고정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고정되는 핸들부로 이루어진다.
본체부(2)는 플라스틱제의 외각부(3)와 이 외각부내에 설치되는 급전 단자(4, 4)로 이루어지고, 전구를 고정하는 전구 고정부와, 등기구에 장착되는 등기구 장착부와, 핸들부가 장착되는 핸들 장착부가 각 부의 축방향이 거의 일직선 형상으로 늘어선 상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전구 고정부(5)는 외각부(3)가 거의 원통형을 이루고 있고, 전방을 향해서 개구된 오목부(6)내에 급전 단자(4, 4)의 전구 받침부(4a, 4a)가 배치되어 있다.
등기구 장착부(7)는 외각부(3)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전구 고정부(5)의 외각부(3)의 후단에 계속되는 원통형 부분의 후단에 원형의 플랜지부(8)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8)의 약간 전방에 복수의 걸어맞춤 돌기(9 9, …)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등기구에의 장착은 등기구에 형성되어 상기 걸어맞춤 돌기(9, 9, …)에 대응한 절결을 갖는 장착 구멍에 플랜지부(8)로부터 전측 부분을 삽입통과시키고, 그 다음에 전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플랜지부(8)와 걸어맞춤 돌기(9, 9, …)에 의해서 상기 장착 구멍의 테두리를 협지(挾持)함으로써 실행된다. 이 때, 링 형상의 패킹(10)을 플랜지부(8)의 앞쪽에 바깥끼움해 놓음으로써, 플랜지부(8)와 장착 구멍의 테두리와의 사이에서 패킹(10)이 압축되어, 장착 상태를 확실하게 하는 동시에 이 부분에서의 방수를 도모할 수 있다.
핸들 장착부(1l)는 외각부(3)의 일부로서 형성되며, 플랜지부(8)의 후면으로부터 2개의 원통(12, 12)이 하나의 측부가 연결된 상태로 후방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하고 있고, 이들 원통(12, 12)의 내부는 상기 전구 고정부(5)의 오목부(6)와 연이어 통해져 있다.
핸들 장착부(ll)의 원통(12, 12) 내에는 고무 부싱(13, 13)이 안쪽끼움되어 있고, 상기 급전 단자(4, 4)에 접속된 급전 코드(l4, 14)가 이 고무 부싱(13, 13)을 통해서 원통(12, 12)의 후단에서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핸들부(15)는 결합부와 코드 유지부가 플라스틱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결합부(16)는 타원의 원통형을 하고 있고, 이 결합부(16)의 후단으로부터 거의 판 형상을 한 코드 유지부(17)가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핸들부(15)는 측방에서 보아 거의 L자 형상을 하고 있다.
코드 유지부(17)에는 일단, 즉, 결합부(16)와의 연결단과 반대측의 단테두리로 개구된 대략 열쇠구멍 모양을 한 유지 구멍(18)이 형성되어 있고, 이 유지 구멍(18)의 큰 직경 부분(l8a)이 상기 급전 코드(l4, 14)가 삽입통과되는 삽입통과 유지부로 되고, 개구단의 작은 직경 부분(18b)이 탈락 저지부가 된다.
한편, 19는 코드 유지부(17)의 후면의 측 테두리로부터 한쪽단 테두리에 걸쳐서 형성된 보강용 리브이다.
그리고, 핸들부(15)는 그 결합부(16)가 상기 본체부(2)의 핸들 장착부(ll)에 바깥끼움 형태로 결합된다. 이 때 급전 코드(14, 14)는 결합부(16)가 삽입통과되어 이 결합부(16)의 후단으로부터 도출된다. 그리고, 급전 코드(14, 14)의 결합부(16)로부터 도출된 부분에는 이들을 하나로 합치는 가요성의 튜브(20)가 바깥끼움된다. 또한, 이들 튜브(20)가 바깥끼움된 부분이 코드 유지부(17)의 삽입통과 유지부(18a)에 삽입통과된다. 급전 코드(14, 14)가 삽입통과 유지부(18a)에 삽입통과되면, 튜브(20)가 탈락 저지부(18b)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기 때문에, 튜브(20)를 눌러 찌그러뜨려 탈락 저지부(18b)를 통과할 수 있는 폭으로 만들지 않은 한, 급전 코드(l4, 14)가 삽입통과 유지부(18a)로부터 탈락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전구(21)는 그 기초부가 전구 고정부(5)의 오목부(6) 내에 삽입되어 급전 단자(4, 4)의 전구 받침부(4a, 4a)에 유지되는 동시에 이 급전 단자(4, 4)를 통해 급전 코드(14, 14)와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소켓 플러그(l)를 등기구에 대하여 착탈할 때는 핸들부(15), 특히, 코드 유지부(17)를 파지하여 회전력을 가하면, 소켓 플러그(1)에 회전력을 가하기 쉽고, 등기구에 대해 쉽게 착탈할 수 있다. 더구나, 본체부(2)는 각 부(5, 7, 11)의 축방향이 거의 일직선 형상으로 늘어선 상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제조가 용이하고, 예컨대 별체로 형성한 급전 단자(4, 4)를 장착하여 일체화할 수가 있다. 더욱이, 핸들부(l5)에는 코드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급전 코드의 진행 경로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체부(2)의 핸들 장착부(11)와 핸들부(15)의 결합부(16)를 끼워맞춤하여 결합한 것을 나타내었지만, 이것은 끼워맞춤에 한하지 않고, 서로 별체로 형성한 것을 확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핸들 장착부(11)와 결합부(l5)를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하는 경우, 상기한 것과 같이 서로 비원형이라면, 서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원형으로 한 경우에는 서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수단을 별도로 마련해도 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소켓 플러그는 등기구에 회전됨에 따라 고정되는 소켓 플러그에 있어서, 전구를 고정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고정되는 핸들부로 이루어지고, 본체부에는 전구를 고정하는 전구 고정부와, 등기구에 장착되는 등기구 장착부와, 핸들부를 장착하는 핸들 장착부가 각 부의 축방향에 대해 거의 일직선 형상으로 늘어선 상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전구 고정부에 고정되는 전구에 대해 급전하기 위한 급전 코드가 핸들 장착부의 단부로부터 도출되고, 핸들부에는 본체부의 핸들 장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급전 코드를 유지하는 코드 유지부가 측면에서 보아 거의 L자 형상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켓 플러그에 있어서는 거의 L자 형상을 한 핸들부를 파지함으로써 회전시키기 쉽고, 이로써, 등기구에의 장착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본체부는 각 부의 축방향이 거의 일직선 형상으로 늘어선 상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제조가 용이하고, 예컨대 별체로 형성한 급전 단자를 장착하여 일체화할 수도 있다. 더욱이, 핸들부에는 코드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급전 코드의 진행 경로를 규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핸들부의 결합부가 통 형상을 이루고, 이 결합부가 본체부의 핸들 장착부에 바깥끼움 형태로 장착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핸들부를 본체부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핸들 장착부가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 구멍의 횡단면 형상을 비원형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핸들 장착부와 결합부 사이에 서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핸들부의 코드 유지부가 급전 코드를 삽입통과한 상태로 유지하는 삽입통과 유지부와 이 삽입통과 유지부로부터의 탈락을 저지하는 탈락 저지부를 지니기 때문에, 삽입통과 유지부에 급전 코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 형태로 나타낸 각 부의 구조 내지 형상은 모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행하는 구체 실시예의 일예에 불과한 것이고, 이들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

  1. 등기구에 회전됨에 따라 고정되는 소켓 플러그로서,
    전구를 고정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고정되는 핸들부로 이루어지며,
    본체부는 전구를 고정하는 전구 고정부와, 등기구에 장착되는 등기구 장착부와, 핸들부를 장착하는 핸들 장착부가 각 부의 축방향이 거의 일직선 형상으로 늘어선 상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전구 고정부에 고정되는 전구에 대하여 급전하기 위한 급전 코드가 핸들 장착부의 단부로부터 도출되고,
    핸들부는 본체부의 핸들 장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급전 코드를 유지하는 코드 유지부가 측면에서 보아 거의 L자 형상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핸들부의 결합부가 통 형상을 이루고, 이 결합부가 본체부의 핸들 장착부에 바깥끼움 형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플러그.
  3. 제2항에 있어서, 핸들 장착부가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 구멍의 횡단면 형상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플러그.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부의 코드 유지부가 급전 코드를 삽입통과한 상태로 유지되는 삽입통과 유지부와, 이 삽입통과 유지부로부터의 탈락을 저지하는 탈락 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플러그.
KR1019990002978A 1998-02-02 1999-01-29 소켓 플러그 KR100293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20863 1998-02-02
JP10020863A JPH11219764A (ja) 1998-02-02 1998-02-02 ソケットプラ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333A true KR19990072333A (ko) 1999-09-27
KR100293376B1 KR100293376B1 (ko) 2001-06-15

Family

ID=12038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978A KR100293376B1 (ko) 1998-02-02 1999-01-29 소켓 플러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09953A (ko)
JP (1) JPH11219764A (ko)
KR (1) KR100293376B1 (ko)
CN (1) CN1104072C (ko)
DE (1) DE19904087A1 (ko)
GB (1) GB23339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6903B1 (en) * 2000-09-28 2002-05-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Terminal position assurance assembly for roof marker lamp
USD534129S1 (en) * 2005-09-28 2006-12-26 James Tech Co., Ltd. Connector of the temperature sensor for oven range
USD533840S1 (en) * 2005-09-28 2006-12-19 James Tech Co., Ltd. Connector of the temperature sensor for oven range
USD535625S1 (en) * 2005-09-28 2007-01-23 James Tech Co., Ltd. Connector of the temperature sensor for oven range
US7488196B2 (en) * 2006-11-02 2009-02-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Wire retention connector system
US7802906B2 (en) 2007-11-19 2010-09-28 Tyco Electronics Canada Ulc Low profile lamp assembly
US20100317212A1 (en) * 2009-06-15 2010-12-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nd cap assembly for a light tube
US8308501B2 (en) * 2011-02-25 2012-11-1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olid state lighting assembly having a strain relief member
USD774458S1 (en) * 2015-03-26 2016-12-20 Gary Naarup Lamp connector
JP6601242B2 (ja) * 2016-01-29 2019-11-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51248B2 (ja) * 2016-01-29 2019-07-3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9912092B2 (en) 2016-01-29 2018-03-06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rgonomic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DE202016106541U1 (de) * 2016-11-23 2016-12-15 Oelschläger Metalltechnik GmbH Steuerkasten mit Kabelzugentlastung
US20180342836A1 (en) * 2017-05-25 2018-11-29 Jared Mancil Electric Outlet Wall Plate Tether
US11319243B2 (en) 2018-01-17 2022-05-03 Corning Incorporated High refractive index optical borate glass
DE102019004712A1 (de) * 2019-07-04 2021-01-07 Kostal Kontakt Systeme Gmbh Mehrpolige Steckverbinderanordnung
CN114641650B (zh) * 2019-12-25 2024-11-15 株式会社小糸制作所 两轮车用前照灯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2398A (en) * 1935-04-19 1936-05-26 William Ruedeman Electric contact plug
US2511037A (en) * 1944-01-06 1950-06-13 Bedoiseau Andre Auguste Felix Socket for electric lamps
GB1460730A (en) * 1973-05-24 1977-01-06 Vega Auto Products Ltd Electric lamps for vehicles
NL168660C (nl) * 1974-07-04 1982-04-16 Draka Kabel Bv Contactstop met vast aangesloten kabel.
US3997234A (en) * 1976-02-17 1976-12-14 Amp Incorporated Plug package handle
DE3216217C2 (de) * 1982-04-30 1985-01-1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Modulstecker
DE3528399A1 (de) * 1984-08-24 1986-02-27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8000 München Elektrische lampe
US4760506A (en) * 1986-02-20 1988-07-26 Koito Manufacturing Co., Ltd. Light bulb mounting structure in automotive lamp
JPH0314788Y2 (ko) * 1986-02-24 1991-04-02
US4871331A (en) * 1988-05-25 1989-10-03 Yazaki Corporation Bulb socket for wedged-base bulb
US4911656A (en) * 1989-04-12 1990-03-27 Yu Kuang Shih Socket assembly for electric lamps
JP2533799Y2 (ja) * 1990-03-12 1997-04-23 住友電装 株式会社 バルブソケット
DE4402089C2 (de) * 1994-01-25 1995-11-16 Broekelmann Jaeger & Busse Glühlampenfassung
JP2960855B2 (ja) * 1994-06-24 1999-10-1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L型ランプソケット
JP3250208B2 (ja) * 1994-11-22 2002-01-28 住友電装株式会社 バルブソケットの取付構造
US5664870A (en) * 1995-06-28 1997-09-09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ular lam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19764A (ja) 1999-08-10
CN1237018A (zh) 1999-12-01
GB9902215D0 (en) 1999-03-24
CN1104072C (zh) 2003-03-26
DE19904087A1 (de) 1999-08-19
GB2333910B (en) 1999-12-22
GB2333910A (en) 1999-08-04
US6109953A (en) 2000-08-29
KR100293376B1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3376B1 (ko) 소켓 플러그
HU215367B (hu) Szeparátor porinhalátorokhoz
CN107430249A (zh) 插头侧光连接器以及光连接器系统
KR20030053932A (ko) 차량 도어용 커넥터
KR100301192B1 (ko) 차량용 전조등
JP4882897B2 (ja) ライティングダクトシステム
JP3893812B2 (ja) 照明装置
HU195024B (en) Adapter-arrangement, preferably for discharge lamps
KR20160029926A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CN112350085A (zh) 一种带直角接头的二次试验线
CN106252574B (zh) 高压线束连接结构及具有该高压线束连接结构的动力电池
CN101615750B (zh) 一种用于楔形灯泡的触点式灯座
CN220379479U (zh) 一种可以更换电源的管状灯具及拼接组合灯
CN103423620B (zh) 装饰灯及制造方法
KR200231238Y1 (ko) 포지션 램프용 벌브 홀더
KR200448941Y1 (ko) 휴대용 조명장치
CN1644981B (zh) 汽车前照灯的装配工具
CN216467560U (zh) 一种转向灯更换手柄
US6935880B1 (en) Coupling fixture for inserting power supply input sockets
CN221780623U (zh) 灯杆连接结构及照明灯具
CN213878501U (zh) 一种密封接线柱及压缩机
ITTO20001172A1 (it) Sistema di punto luminoso elettrico con sorgente incandescente o alogena.
KR20190051432A (ko) 광전케이블 커넥터
CN219713183U (zh) 一种用于灯具的堵头结构
CN209926292U (zh) 一种灯罩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