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60517A -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0517A
KR19990060517A KR1019970080744A KR19970080744A KR19990060517A KR 19990060517 A KR19990060517 A KR 19990060517A KR 1019970080744 A KR1019970080744 A KR 1019970080744A KR 19970080744 A KR19970080744 A KR 19970080744A KR 19990060517 A KR19990060517 A KR 19990060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host
network
mobile host
ro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2567B1 (ko
Inventor
임병근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70080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2567B1/ko
Priority to US09/190,613 priority patent/US6697355B1/en
Priority to CN98126559A priority patent/CN1099205C/zh
Publication of KR19990060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0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5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84Providing for device mo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34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 H04W40/36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due to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망구성요소나 프로토콜의 추가없이도 이동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인터넷의 서브 네트웍으로서 네트웍 ID를 가지고 인터넷망과 접속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루터와, 사용자에게 무선 이동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데이터 단말과 무선 접속기능을 제공하는 무선단말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게이트웨이 루터의 서비네트웍 ID에 종속되는 인터넷 호스트 ID를 가지는 이동 호스트와, 상기 이동 호스트의 무선 데이터 단말이 무선 접속할 수 있도록 무선 접속규격에 의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채널을 제공하는 기지국인 이동 접속점과, 기존의 이동전화망 및 개인휴대통신망의 요소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 데이터 단말의 무선 데이터 패킷을 교환해주고,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 확인과 등록을 관리하며, 상기 이동 데이터 단말기와 상기 이동 접속점 사이의 무선 접속제어 및 전달을 수행하는 이동 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및 구현방법
본 발명은 이동 인터넷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전송제어 프로토콜/망간 프로토콜(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에 기반한 인터넷 망에서 IP주소를 부여 받은 호스트가 특정 망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하여도 기존의 IP 주소를 사용해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Mobile IP)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Internet)은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이하 IP 주소라 함)로 구분되는 네트웍과 네트웍이 연결되고 단위 네트웍 내에 개별 IP 주소를 갖는 호스트들이 서로 연결되어 TCP/IP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망을 말하며, 모든 호스트들은 IP 주소만으로 상호 통신이 가능하다.
그런데 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가 이동시에도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기존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이동 IP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현재에 논의되고 있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이동 IP 기술은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Mobility Agent system)을 개별망에 추가함과 동시에 이동 호스트와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간의 통신 프로토콜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이동 IP을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이동 IP 시스템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인터넷망 구성요소에는 자신의 고유 IP 주소를 가지고 있는 호스트가 다른 망에 이동하여도 호스트가 이동한 사실을 관리해주는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을 개별망에 추가됨과 동시에 이동 호스트와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간의 통신 프로토콜을 추가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은 홈 에이전트와 외부 에이전트로 구분된다.
홈 에이전트는 자신의 망에 등록된 호스트 IP 주소를 관리한다. 또한 호스트가 타망으로 이동했을 때 이동해간 망의 실제 접속된 IP 주소를 의탁주소(Care of Address)로 등록하고 이동 호스트의 IP 주소로 도착된 데이터를 실제로 이동 호스트가위치하고 있는 의탁주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 에이전트는 타망으로부터 자신의 망에 들어와 자기망의 특정 IP 주소로 접속되어 있는 이동 호스트를 등록 및 관리하고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동 IP를 위해서 추가되는 인터넷 통신 프로토콜은 이동 에이전트가 자신의 존재 사실 정보를 자기 네트웍내의 호스트에게 방송하는 기능과 이동 호스트로 IP 데이터그램(datagram)을 터널링방식으로 전달하는 기능들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IP 시스테의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스트 A가 홈 네트웍 1에 등록되어 있고 자신 고유의 IP 주소를 갖고 있을때는 다른 네트웍 3의 호스트 C와의 통신은 루터(router) A와 루터 C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기존의 TCP/IP 프로토콜에 따라 이루어진다.
한편 호스트 A가 외부 네트웍 2로 이동한 경우에는 자신 고유의 IP 주소로 전달되어 오는 IP 데이터그램을 다음과 같은 동작으로 수신한다.
호스트 A는 네트웍 2에 접속한 후에 이동 에이전트 B의 방송정보를 수신하여 이동 IP 서비스가 제공되는 외부 네트웍에 있음을 확인하고 현재 자신이 접속하고 있는 실제 IP 주소를 의탁주소로 확인한다.
그 다음에 이동 호스트 A는 자신의 의탁주소를 자신의 홈 에이전트 A에 등록하여 차후에 자신의 고유 IP 주소로 도착되는 IP 데이터그램을 홈 에이전트가 위탁주소로 전달하도록 한다.
따라서 타 네트웍 3의 호스트 C가 호스트 A의 고유 IP 주소로 데이터그램을 전송하면 홈 에이전트 A가 IP 데이터그램을 수신하여 이동 호스트 A의 의탁주소로 터널링 기법으로 전달한다.
결국 이동 호스트 A는 외부망으로 이동해가도 자신의 고유 IP 주소로 도착하는 모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외부 네트웍 2에 있는 이동 호스트 A로 부터 호스트 C로 가는 데이터는 이동 IP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TCP/IP 프로토콜로서 전달이 가능하다.
그러나 IETF에서 제안하고 있는 종래의 이동 IP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기존의 TCP/IP 프로토콜에 터널링을 위한 기능과 이동 에이전트 기능등을 추가 하여야 하고 또한 망 자체도 새로운 망요소로서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을 추가해야만 하였다.
둘째, 통신망의 보안 측면에서 보면 이동 호스트가 외부망의 방호벽내에 접속하여 의탁주소를 허용받는 것도 큰 불편을 초래하였다.
셋째, 이동 호스트의 이동성 지원이 서비스의 중단없이 이루어질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별망에 별도의 망구성요소 및 프로토콜을 추가하지 않고도 사용가능한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이 편리하며 서비스 중단없이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부호분할 다원접속(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전화망 및 개인휴대통신망의 가입자 정보처리장치와 망연동장치를 이용하여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을 실현한다.
즉 본 발명은 인터넷에서 무선 단말기를 인터넷 IP 주소를 가지고 호출하여 통신할 수 있는 방법과 무선 단말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터넷의 서브 네트웍으로서 네트웍 ID를 가지고 인터넷망과 접속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루터와, 사용자에게 무선 이동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데이터 단말과 무선 접속기능을 제공하는 무선단말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게이트웨이 루터의 서브네트웍 ID에 종속되는 인터넷 호스트 ID를 가지는 이동 호스트와, 상기 이동 호스트의 무선 데이터 단말이 무선 접속할 수 있도록 무선 접속규격에 의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채널을 제공하는 기지국인 이동 접속점과, 기존의 이동전화망 및 개인휴대통신망의 요소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 데이터 단말의 무선 데이터 패킷을 교환해주고,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 확인과 등록을 관리하며, 상기 이동 데이터 단말기와 상기 이동 접속점 사이의 무선 접속제어 및 전달을 수행하는 이동 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동 루터는 상기 이동 호스트의 가입자번호 및 인터넷 ID를 등록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처리장치와, 다수의 이동교환기와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호스트의 ID가 등록된 이동 루터가 있는 이동 인터넷이 이동 호스트의 홈 네트웍이 되며, 자신이 등록되진 않은 이동 인터넷은 외부 네트웍이 되며, 상기 이동 호스트 ID를 포함하는 서브네트웍 ID를 갖는 상기 게이트웨이 루터를 상기 이동 호스트의 홈 게이트웨어 루터로 정의되어, 상기 이동 호스트의 ID로 도착하는 데이터와 상기 이동 호스트에서 보내는 데이터는 상기 홈 게이트웨이 루터를 통해서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호스트간의 통신인지 이동 호스트와 고정 호스트와의 통신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이동 호스트와 고정 호스트와의 통신이라고 판단되면, 이동 호스트로 도달되는 데이터나 이동 호스트에서 보내지는 데이터는 상기 이동 호스트가 속하는 홈 게이트웨이 루터를 통하여 전달되는 단계와, 이동 호스트간의 통신이라고 판단되면, 발신 이동 호스트가 패킷 서비스 옵션과 착신 이동 호스트의 가입자번호를 호출하는 통신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의 구현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의 이동 IP 서비스가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의 추가없이도 기존의 인터넷 통신 프로토콜과 응용 프로그램을 그대로 사용하여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서비스의 단절없이 이동중에 계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개인휴대 통신망 및 이동전화망의 구성도이고,
도 3은 일반적인 개인휴대 통신망 및 이동전화망의 패킷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기 대 무선단말기간의 패킷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 통신망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E : 무선 데이터 단말기 ME : 무선 단말기
BTS : 기지국 MSC : 이동교환기
HLR : 가입자 정보처리장치 IWF : 망연동 시스템
GWR : 게이트웨이 루터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CDMA 이동전화망 및 개인휴대통신망의 가입자 정보처리장치와 망연동장치를 이용하여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을 실현하므로 먼저 CDMA 개인휴대 통신망을 사용하여 구현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CDMA 개인휴대 통신망을 사용하여 구현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는 CDMA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접속 기술규격인 IS-95를 기반으로 하여 IS-99, IS-657, IS-658, IS-707 등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기술규격이 추가되어 제공된다. 이들 규격안은 비동기 회선 데이터 및 팩스 서비스 및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규정하고 있다. 또한 무선구간 데이터통신과 유선구간 데이터통신 프로토콜 정합을 위한 망연동 시스템 접속규격을 정하고 있다.
따라서 이 규정안에 의하여 무선 데이터 단말은 비동기 회선 데이터 및 팩스 서비스의 착발신이 가능하고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발신에 의한 접속이 가능하다.
그러나 인터넷 데이터 망으로 부터의 착신인 경우에는 IP 주소를 이용한 무선 단말의 호출은 추가적으로 기술규격이 정해져야만 가능하면 상술한 기술규정에 의해서는 불가능하다. 그리고 망연동 시스템을 경유하지 않는 무선단말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통신 기능 또한 규격화되지 않고 있다.
즉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IS-657방식에서는 단말기와 유선 인터넷망의 호스트와 통신하는 경로만을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링크 프로토콜 PPP(Point to Point Protocol)가 보여주듯이 무선 데이터 단말기(TE2)에서 패킷 서비스 옵션을 선택하면 무선 데이터 단말기(TE2)의 발신시 무선 단말기(MT2)가 우선 망연동 시스템(IWF)으로 자동접속된다. 그후에 무선 데이터 단말기(TE2)에서 인터넷 IP 주소를 선택하므로서 망연동 시스템(IWF)에서 인넷망의 IP 주소로 IP 데이터그램을 전달하고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의 상위계층인 TCP 프로토콜과 네트웍 계층인 IP 프로토콜이 동작하여 무선 데이터 단말기와 인터넷 망내의 호스트와 통신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서 무선데이터 단말기에서 발신하는 데이터 호는 유선망에 쉽게 접속되나, 인터넷망에서 무선데이터 단말기를 호출하는 호는 망연동 시스템(IWF)에서 IP 주소를 갖는 무선데이터 단말기(TE2)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 않아서 불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터넷에서 무선 단말기를 인터넷 IP 주소를 가지고 호출하여 통신할 수 있는 방법과 무선 단말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안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의 추가없이도 기존의 인터넷 통신 프로토콜과 응용 프로그램을 그대로 사용하여 인터넷의 이동 IP 서비스가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또한 서비스의 단절없이 이동중에 계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망의 기본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무선접속용 기지국(BTS:Basestation Transceiver System)은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BSC:Base Station Controller)에 연결되며,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무선단말기와 무선단말기 및 유선망의 단말기와 통화로를 연결하는 이동교환기(MSC:Mobile Switching Center)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교환기에는 무선단말기의 등록 및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처리장치(HLR:Home Location Register) 및 데이터 망연동 시스템(IWF:Inter-Working Function)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이동교환기에는 공중교환 전화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이 연결되며,상기 데이터 망연동 시스템에는 인터넷이 연결된다.
여기서 이동 호스트(Mobile Host)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기능과 무선접속 기능을 갖는 단말기이다.
한편 도 3은 IS-657에 의한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휴대통신망 및 이동전화망의 패킷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구성도이다.
무선 데이터 단말기(TE2:Terminal Equipment type 2)는 무선 단말기(MT2:Mobile Terminal type 2)와 직렬통신방식 RS-232로 연결되고 무선구간에서는 IS-95에 근거하여 기지국 및 교환기(BTS/MSC)에 연결된다. 그리고 교환기를 통하여 데이터 망연동 시스템(IWF)과 연결되고, 결국 상기 데이터 망연동 시스템(IWF)를 통해서 인터넷망에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IS-657방식에서는 무선데이터 단말기에서 발신하는 데이터호는 유선망에 쉽게 접속되나, 인터넷망에서 무선데이터 단말기를 호출하는 호는 망연동 시스템(IWF)에서 IP 주소를 갖는 무선데이터 단말기(TE2)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 않아서 불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구현하는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방식을 제안한다.
먼저 망연동 시스템(IWF)은 인터넷망에 접속하는 IP 서브 네트웍으로서 호스트 ID(Identifier)를 갖게 되며, 이들 ID를 무선데이터 단말기(TE2)에 할당하고 이 무선 데이터 단말기(TE2)와 결합되는 무선 단말기(MT2)의 가입자 번호(이하 MIN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가입자 정보처리장치(HLR)에 함께 등록하다. 즉 가입자 정보처리장치(HLR)의 무선단말기(MT2) 등록정보에 무선 데이터 단말기(TE2)에 할당된 IP 주소 및 망연동 시스템(IWF)이 갖는 호스트 ID를 가입자 정보처리장치(HLR)에 등록하고, 무선 데이터 단말기(TE2) 각각에 할당된 호스트 ID인 IP 주소에는 결합된 무선 단말(MT2)의 가입자번호를 등록한다.
그리고 하나의 가입자 정보처리장치(HLR)에는 다수의 망연동 시스템(IWF)과 이동교환기(MSC)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모든 무선 단달(MT2)과 연결된 무선 데이터 단말기(TE2)에 IP 주소로 된 인터넷 호스트 ID를 할당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인터넷 호스트 ID는 망연동 시스템(IWF)가 수용하는 한도내에서만 실시한다.
한편 가입자 정보처리장치(HLR)에 등록된 이동 호스트 ID는 가입자 정보처리장치(HLR)가 관리하는 망과 연결된 망연동 시스템(IWF)의 서브 네트웍 ID에 있는 것만 가능하며, 이들 호스트 ID를 갖는 무선 데이터 단말기(TE2)과 이에 결합된 무선 단말(MT2)이 등록된 가입자 정보처리장치(HLR)가 관여하는 망을 홈 네트웍이라 하며, 무선 데이터 단말기 및 무선 단말(TE2/MT2)이 등록되지 않은 망을 외부 네트웍이라 하고 외부 네트웍이 보는 로밍한 이동 호스트는 방문가입자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라 이동 IP 기술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 호스트가 홈 네트웍내에 있는 경우의 발신과 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망연동 시스템(IWF)은 자신의 서브 네트웍 호스트 ID인 IP 주소로 향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요구되면 무선 데이터 단말기(TE2)가 갖는 이동 호스트 ID를 호 설정용 가입자번호(MIN번호)대신 사용하여 이동교환기(MSC)에서 무선 단말(MT2)을 호출하도록 요구하며 패킷 데이터 서비스 옵션임을 알려준다. 그러면 가입자 정보처리장치(HLR)에서 호스트 ID에 등록되어 있는 가입자번호(MIN번호)로 부터 무선단말(MT2)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뭔 단말(MT2)를 패킷서비스 옵션으로 호출함으로써 무선 데이터 단말기(TE2)과 인터넷 호스트를 연결하는 패킷 데이터 경로 설정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동 호스트가 외부 네트웍에 로밍되어 있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기능이 외부 네트웍에 구현되어야 한다.
먼저 이동 호스트가 외부 네트웍에 로밍되어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외부 네트웍과 홈 네트웍의 이동교환기(MSC)간에 데이터 경로가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패킷 데이터 서비스 옵션이 요구된 때 이동 호스트(TE2)의 착신 서비스인 경우 홈 네트웍의 망연동 시스템(IWF)에 도착한 인터넷 IP 데이터그램이 홈 네트웍의 망연동 시스템(IWF)을 경유하여 외부 네트웍의 망연동 시스템(IWF)으로 전달되고 이어서 외부 네트웍의 기지국을 통해 이동 호스트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홈 네트웍의 이동교환기(MSC)는 외부 네트웍의 이동교화기(MSC)에게 홈 네트웍의 가입자 정보처리장치(HLR)에서 확인된 무선 단말(MT2)의 가입자번호(MIN번호)를 호출하고 서비스옵션은 패킷서비스임을 전달한다.
또한 외부 네트웍에 있는 로밍된 이동 호스트가 인터넷에 접속하고자 할 때에도 이동 호스트의 호는 홈 네트웍의 망연동 시스템(IWF)을 통해서만 인터넷과 접속이 가능하도록 다음과 같이 외부 네트웍이 호설정을 수행한다.
자신의 네트웍 가입자가 아닌 방문가입자가 패킷 서비스 옵션을 요구한 경우 이동교환기(MSC)는방문한 이동 호스트의 홈 네트웍의 이동교환기(MSC)로 호경로를 연결하면서 착신번호를 지정하지 않고 이동 호스트의 가입자번호(MIN번호)와 서비스 옵션이 패킷 서비스 옵션임을 통보하다. 이때 홈 네트웍의 이동교환기(MSC)는 자신의 가입자 정보처리장치(HLR)에 등록된 가입자번호(MIN번호)로부터 이동 호스트의 ID를 구하고 이 ID로 부터 이동 호스트의 망연동 시스템(IWF) 서브 네트웍을 확인하여 호 설정을 수행함으로써 로밍된 이동 호스트가 인터넷를 접속한다.
이상과 같은 방식에 의해 이동 호스트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휴대통신망과 이동통신망 서비스 영역내의 어디에서든 이동 호스트 ID를 사용하여 유선 인터넷망의 호스트와 통신할 수 있으며 서비스의 단절없이 연속적인 앤드 오프 및 로밍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호스트와 이동 호스트 사이의 무선 패킷 데이터통신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망연동 시스템(IWF)을 경유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이동 호스트(TE2)는 패킷 데이터 호를 설정할 때 무선 단말(MT2)에 패킷 서비스 옵션을 설정하고 발신시 상태편 착신 이동 호스트를 지정한다. 즉 패킷 서비스 발신시 상대 착신번호를 지정하지 않으면 이동 호스트는 홈 망연동 시스템(IWF)으로 연결되는 것에 반하여, 착신 상태를 가입자번호(MIN번호)로 지정함으로써 이동 호스트간의 패킷 통신임을 이동교환기(MSC)에 알리고, 이때 가입자 정보처리장치(HLR)와 이동교환기(MSC)는 착신 이동 호스트를 가입자번호(MIN번호)로 호출하고 패킷 서비스 옵션임을 알려준다. 이후 쌍방 PPP가 셋업되고 상위 계층 프로토콜이 동작함으로써 이동 호스트간의 패킷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다.
홈 네트웍 내의 이동 호스트간의 패킷 데이터 통신은 상술한 방법으로 가능한며, 홈 네트웍에 있는 이동 호스트가 로밍된 이동 호스트를 호출하는 경우는 이동교환기/가입자 정보처리장치(MSC/HLR)에서부터의 과정은 망연동 시스템(IWF)으로부터 로밍된 이동 호스트를 후출하는 경우와 같다. 즉 이동 호스트간의 통신은 위치확인을 위한 홈 가입자 정보처리장치(HLR)의 신호 접속 이외에는 현재 위치한 두 이동 호스트간의 경로가 홈 망연동 시스템(IWF)과는 관계없이 이동 호스트가 서비스받고 있는 무선네트웍의 이동교환기(MSC)를 중심으로 설정된다.
이상과 같이 앞에서 기술한 이동 IP 기술 방식에 의해서, 개별 무선 단말기는 자신의 고유한 인터넷 IP 주소를 할당받아 서비스지역내에 있는 이동 호스트와 인터넷내의 고정 호스트와도 서비스의 단절없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호스트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인터넷 망연동 시스템과는 독립적으로 무선 이동 데이터 서비스 지역내에서 이동교환기(MSC)를 중심으로 이동 IP 주소 또는 가입자번호(MIN번호)를 사용하고 패킷 데이터 서비스 옵션을 사용하여 상호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이동 IP기술에 의한 이동 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웍을 이동 인터넷(Mobile Internet)이라 정의하며, 이동 인터넷의 구성과 동작 그리고 기존이 고정 인터넷에 호스트와의 통신방식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인터넷은 기존의 이동전화망 및 개인휴대통신망의 요소(MSC/BSC/HLR)로 이루어져서, 이동 데이터 단말의 무선 데이터 패킷을 교환해주고 무선 단말기의 위치 확인과 등록을 관리하여 이동 데이터 단말기와 무선 접속점인 기지국 사이의 무선 접속제어 및 전달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진 이동 루터와, 무선 데이터 단말이 이동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무선 접속규격에 의한 무선 단말기와의 무선통신 채널을 제공하는 기지국으로서 이동 접속점(이하 MAP이라 함:Mobile Access Point)과, 이동 인터넷에 등록 관리되며 사용자에게 무선 이동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데이터 단말(TE2)와 기지국(MAP)과의 무선 접속기능을 제공하는 무선단말(MT2)로 이루어진 이동호스트가 있다.
또한 인터넷과 접속하여 인터넷의 서브 네트웍으로 네트웍 ID를 가지며 해당 네트웍 ID내의 호스트 ID를 이동 루터에 등록관리하며 이동 호스트 ID로 할당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게이트웨이 루터(이하 GWR라 함:GateWay Router)가 있다.
즉 이동 루터, MAP, 이동 호스트, GWR이 하나의 이동 인터넷을 구성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나의 이동 인터넷에는 하나의 가입자 정보처리장치(HLR)만 있으며, 다수의 GWR이 접속되어 다수의 인터넷 서브 네트웍 ID를 가질 수 있으며, 하나의 이동 루터에는 다수의 이동교환기(MSC)와 기지국 제어기(BSC)가 있을 수 있다.
이동 호스트는 GW의 서브네트웍 ID에 종속되는 인터넷 호스트 ID를 가지며, GWR이 접속된 이동 루터에 등록되고 등록된 이동 루터가 있는 이동 인터넷이 이동 호스트의 홈 네트웍이 되며, 자신이 등록되진 않은 이동 인터넷은 외부 네트웍이 된다. 또한 이동 호스트 ID를 포함하는 서브네트웍 ID를 갖는 GWR을 이동 호스트의 홈 GWR이라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이동 호스트와 인터넷 호스트와의 통신 및 이동 호스트간의 통신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 호스트 1,2,3의 홈 네트웍은 이동 인터넷 A가 되며, 이동 호스트 1의 홈 GWR은 GWR 1이라 하고 이동 호스트 2와 3의 홈 GWR은 GWR 2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이동 호스트 4의 홈 네트웍은 이동 인터넷B가 되며, 홈 GWR은 GWR 3이라 한다.
이동 호스트 1이 인터넷 호스트와 통신할 때에 인터넷상의 호스트가 LAN 1, LAN 2 또는 LAN 3이나 혹은 다른 LAN에 있더라도, 그리고 이동 호스트 1이 홈 이동 네트웍 A에 있거나 외부 이동 네트웍 B에 있거나와 관계없이, 모든 이동 호스트 1의 ID인 IP 주소로 도착하는 데이터와 이동 호스트 1에서 보내는 데이터는 이동 호스트 1이 홈 GWR인 GWR 1을 통해서만 전달된다.
즉 이동 인터넷의 이동 루터는 이동 호스트로부터 패킷 서비스 옵션과 착신자를 지정하지 않는 형식으로 고정 인터넷 호스트와의 통신요구가 접속되며(이동 호스트 발호) 이동 호스트의 홈 이동 인터넷과 홈 GWR을 자신의 가입자 정보처리장치(HLR)에서 확인한 후 이동 호스트의 이동 루터를 경유하여 홈 GWR로 연결하는 기능을 이동 호스트에 제공한다.
이동 호스트 착호인 경우에는 인터넷에서는 이동 호스트의 홈 GWR로 모든 IP 데이터가 도착하고 홈 GWR은 홈 이동 루터로 이동 호스트의 고유의 IP 주소를 사용하여 이동 호스트와의 호 설정을 요구한다. 그러면 홈 이동 루터는 이동 호스트의 위치를 확인하여 홈 네트웍내에 있으면 직접 호출하여 패킷 서비스 옵션으로 호출하고, 외부 네트웍으로 이동하였으며 외부 네트웍과 연결된 전용회선을 통하여 홈 네트웍의 이동 루터와 외부 네트웍이 이동 루터를 연결한 후 외부 네트웍의 MAP로 이동 호스트를 패킷 서비스 옵션으로 호출한 후 이동 호스트와 홈 GWR을 연결함으로써 이동 IP 패킷 서비스가 연결된다.
한편 이동 호스트간의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는 이동 호스트가 홈 네트웍 또는 외부 네트웍 어디에 있거나에 관계없이 이동 호스트가 패키 서비스 옵션과 착신 이동 호스트의 가입자번호(MIN번호)를 호출하여 이루어진다. 즉 이동 루터가 착신자 이동 호스트의 데이터 서비스 여부와 현재 등록위치를 확인한 후 패킷 서비스 옵션으로 호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이동 인터넷의 GWR 서브 네트웍 ID내의 이동 호스트 ID가 아닌 이동 인터넷 자체에서 할당한 이동 IP 주소(이 주소는 GWR 서브 네트웍 주소와는 별개로써 GWR을 통한 인터넷 통신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만으로도 상호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전화망의 기본 요소 및 기존의 인터넷 통신 프로토콜과 응용 프로그램을 그대로 활용하여 이동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신규 통신망 요소로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이동 컴퓨팅과 이동 IP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통신망의 보안사항의 문제 그리고 이동성 제공을 위한 프로토콜의 추가 없이도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상업적인 이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만을 설명하였으나, 첨부된 첨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3)

  1. 인터넷의 서브 네트웍으로서 네트웍 ID를 가지고 인터넷망과 접속되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루터와;
    사용자에게 무선 이동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데이터 단말과 무선 접속기능을 제공하는 무선단말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게이트웨이 루터의 서비네트웍 ID에 종속되는 인터넷 호스트 ID를 가지는 이동 호스트와;
    상기 이동 호스트의 무선 데이터 단말이 무선 접속할 수 있도록 무선 접속규격에 의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채널을 제공하는 기지국인 이동 접속점과;
    기존의 이동전화망 및 개인휴대통신망의 요소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 데이터 단말의 무선 데이터 패킷을 교환해주고, 상기 무선 단말기의 위치 확인과 등록을 관리하며, 상기 이동 데이터 단말기와 상기 이동 접속점 사이의 무선 접속제어 및 전달을 수행하는 이동 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루터는 상기 이동 호스트의 가입자번호 및 인터넷 ID를 등록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처리장치와;
    다수의 이동교환기와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호스트의 ID가 등록된 이동 루터가 있는 이동 인터넷이 이동 호스트의 홈 네트웍이 되며, 자신이 등록되진 않은 이동 인터넷은 외부 네트웍이 되며;
    상기 이동 호스트 ID를 포함하는 서브네트웍 ID를 갖는 상기 게이트웨이 루터를 상기 이동 호스트의 홈 게이트웨이 루터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호스트의 ID로 도착하는 데이터와 상기 이동 호스트에서 보내는 데이터는 상기 홈 게이트웨이 루터를 통해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호스트로부터 패킷 서비스 옵션과 착신자를 지정하지 않는 형식으로 고정 인터넷 호스트와의 통신요구가 접수(이동 호스트 발호)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루터는 상기 이동 호스트의 홈 네트웍과 홈 게이트웨이 루터을 자신의 가입자 정보처리장치에서 확인한 후 이동 호스트의 이동 루터를 경유하여 홈 게이트 웨이 루터로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이동 호스트 착호인 경우에는 상기 이동 호스트의 홈 게이트웨이 루터로 모든 IP 데이터가 도착하고 상기 홈 게이트웨어 루터는 홈 이동 루터로 상기 이동 호스트의 고유의 IP 주소를 사용하여 이동 호스트와의 호 설정을 요구하며;
    상기 홈 이동 루터는 상기 이동 호스트의 위치를 확인하여 홈 네트웍내에 있으면 직접 호출하여 패킷 서비스 옵션으로 호출하고;
    외부 네트웍으로 이동하였으면 외부 네트웍과 연결된 전용회전을 통하여 홈 네트웍의 이동 루터와 외부 네트웍의 이동 루터를 연결한 후 상기 외부 네트웍의 이동 접속점으로 상기 이동 호스트를 패킷 서비스 옵션으로 호출한 후 상기 이동 호스트와 상기 홈 게이트웨이 루터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이동 호스트간의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는 이동 호스트가 홈 네트웍 또는 외부 네트웍 어디에 있거나에 관계없이 이동 호스트가 패킷 서비스 옵션과 착신자 이동 호스트의 가입자번호를 호출하여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이동 루터가 착신자 이동 호스트의 데이터 서비스 여부와 현재 등록위치를 확인한 후 패킷 서비스 옵션으로 호출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이동 인터넷의 게이트웨이 루터의 서브 네트웍 ID내의 이동 호스트 ID가 아닌 이동 인터넷 자체에서 할당한 이동 IP 주소으로도 상호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10. 이동 호스트간의 통신인지 이동 호스트와 고정 호스트와의 통신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이동 호스트와 고정 호스트와의 통신이라고 판단되면, 이동 호스트로 도달되는 데이터나 이동 호스트에서 보내지는 데이터는 상기 이동 호스트가 속하는 홈 게이트웨이 루터를 통하여 전달되는 단계와;
    이동 호스트간의 통신이라고 판단되면, 발신 이동 호스트가 패킷 서비스 옵션과 착신 이동 호스트의 가입자번호를 호출하는 통신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의 구현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이동 호스트로부터 패킷 서비스 옵션과 착신자를 지정하지 않은 형식으로 통신요구를 하면 이동 호스트와 고정 호스트와의 통신요구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의 구현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이동 호스트와 고정 호스트와의 통신은
    외부 네트웍에 있는 이동 호스트의 발호인 경우에는 상대방 호스트를 호출하면 상대방 호스트가 고정 호스트인지 이동 호스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호스트가 고정 호스트로 판단되면, 이동 호스트의 호 네트웍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호스트이 홈 이동 인터넷을 확인하면 상기 이동 호스트의 홈 이동 루터로 호를 연결하여, 상기 이동 루터가 홈 게이트웨이 루터을 확인함으로써 이동 호스트와 상기 홈 게이트웨이 루터를 연결하여, 상기 이동 호스트는 자신의 홈 게이트웨어 루터를 통해서만 상기 고정 인터넷을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의 구현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이동 호스트의 착호인 경우에는 상기 이동 호스트의 홈 게이트웨이 루터로 모든 데이터가 도착하는 단계와;
    상기 홈 게이트웨어 루터는 홈 이동 루터에서 상기 이동 호스트의 고유 주소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 호스트와 호 설정을 요구하며, 상기 이동 호스트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호스트가 홈 네트웍내에 있으면, 직접 호출하여 패킷 서비스 옵션으로 호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호스트가 외부 네트웍에 있으면, 상기 외부 네트웍에 연결된 전용회선을 통하여 홈 네트웍의 이동 루터와 외부 네트웍의 이동 루터를 연결한 후 상기 외부 네트웍의 이동 접속점으로 상기 이동 호스트르 패킷 서비스 옵션으로 호출한 후 이동 호스트와 홈 게이트웨이 루터를 연결함으로써 이동 패킷서비스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의 구현방법.
KR1019970080744A 1997-12-31 1997-12-31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인터넷 KR100272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744A KR100272567B1 (ko) 1997-12-31 1997-12-31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인터넷
US09/190,613 US6697355B1 (en) 1997-12-31 1998-11-12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using a mobile internet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98126559A CN1099205C (zh) 1997-12-31 1998-12-25 在移动通信网络中使用移动因特网进行通信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744A KR100272567B1 (ko) 1997-12-31 1997-12-31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인터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517A true KR19990060517A (ko) 1999-07-26
KR100272567B1 KR100272567B1 (ko) 2000-11-15

Family

ID=19530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744A KR100272567B1 (ko) 1997-12-31 1997-12-31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동 인터넷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697355B1 (ko)
KR (1) KR100272567B1 (ko)
CN (1) CN1099205C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8891A (ko) * 1999-11-30 2001-06-15 조정남 무선통신용 단말기간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KR100313929B1 (ko) * 2000-01-05 2001-11-17 서평원 이동국 인터넷 프로토콜 라우팅 방법
KR20010106742A (ko) * 2000-05-23 2001-12-07 이원택 이기종 통신망에서의 음성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20404A (ko) * 2000-09-08 2002-03-15 윤종용 휴대폰의 심카드 기능을 인터넷 프로토콜로 구성하는 방법
KR20020076906A (ko) * 2001-03-31 2002-10-11 (주) 엘지텔레콤 모바일아이피가 부여된 휴대폰을 이용한데이터송수신방법
KR100386092B1 (ko) * 2001-06-20 2003-06-02 한국과학기술원 옥내/외로 이동하는 이용자를 위한 최적의 인터넷망 접속및 로밍 시스템 및 방법
WO2003100652A1 (en) * 2002-05-28 2003-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broadcasting data within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area
KR100416344B1 (ko) * 2001-11-22 2004-01-3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망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활성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447158B1 (ko) * 1998-08-11 2004-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
KR100469234B1 (ko) * 1998-07-09 2005-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패킷망접속을위한시스템네트웍
KR100593477B1 (ko) * 1999-09-03 2006-06-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KR100660701B1 (ko) * 1999-11-12 2006-12-21 주식회사 케이티 패킷서비스를 위한 이동성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6662B1 (en) * 1998-12-22 2004-12-28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wireless handsets with wireline switches
FI108834B (fi) * 1999-03-29 2002-03-28 Nokia Corp IP-liikkuvuudenhallinta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FI19991847L (fi) * 1999-08-31 2001-02-28 Nokia Networks Oy Tilaajatietojen hyödyntäminen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EP1111874A1 (en) * 1999-12-20 2001-06-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Routing in mobile-IP Ad-Hoc networks
US20010036172A1 (en) * 2000-02-03 2001-11-01 Aaron Haskal Wireless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communication systems
US6721790B1 (en) * 2000-03-09 2004-04-13 Avinta Communications, Inc User settable unified workstation identification system
FI108769B (fi) * 2000-04-07 2002-03-15 Nokia Corp Liityntäpisteen liittäminen langattomassa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JP2002007238A (ja) * 2000-06-21 2002-01-11 Nec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ゲートウェイ選択方法
KR100520141B1 (ko) * 2000-10-26 2005-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정 주소를 가지는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US7072650B2 (en) * 2000-11-13 2006-07-04 Meshnetworks, Inc. Ad hoc peer-to-peer mobile radio access system interfaced to the PSTN and cellular networks
US7529235B2 (en) * 2000-12-06 2009-05-05 Franklin Zhigang Zhang Internet based time distributed message network system and personal mobile access device
US7046652B2 (en) * 2001-01-09 2006-05-16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of a stackable wireless internet protocol base station
US7181237B2 (en) * 2001-03-15 2007-02-20 Siemens Communications, Inc. Control of a multi-mode, multi-band mobile telephone via a single hardware and software man machine interface
SG138435A1 (en) * 2001-07-17 2008-01-28 Mitsubishi Materials Corp Communication system, mobile unit database server, mobile radio router, charging method, and vehicle mounted router and agent server therewith
US20030031150A1 (en) * 2001-08-10 2003-02-13 Satoru Yukie Dual network modem
US8184603B2 (en) 2002-01-31 2012-05-22 Lgc Wireless, Llc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community wireless local area network for voice and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
US7561553B2 (en) * 2002-02-27 2009-07-1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P mobility for mobile networks and detachable mobile network nodes
CN100367736C (zh) * 2002-04-30 2008-02-06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用于将工作站连接到广域网的方法和装置
US7315555B2 (en) * 2002-06-03 2008-01-01 Lucent Technologies Inc. Sub-network and related methods for routing signaling messages
US7305429B2 (en) * 2002-06-10 2007-12-04 Utstarco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lobal server load balancing
KR100724908B1 (ko) * 2002-08-06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차세대 인터넷망에서 지역 앵커 포인트를 사용하여 이동노드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7330448B2 (en) * 2002-08-21 2008-02-12 Thomson Licensing Technique for managing quality of services levels when interworking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th a wireless telephony network
KR100492958B1 (ko) * 2002-09-10 2005-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고속 데이터 시스템에서 공중망과 사설망의 공통사용 방법 및 시스템
JP2004236001A (ja) * 2003-01-30 2004-08-19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位置情報管理装置、ルーティング情報管理装置
US7154901B2 (en) * 2003-02-07 2006-12-26 Mobile 365, Inc. Intermediary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message exchange between wireless networks
CN1312870C (zh) * 2003-09-03 2007-04-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在码分多址系统与无线局域网间切换的方法
JP4264339B2 (ja) * 2003-12-11 2009-05-13 富士通株式会社 連携情報管理装置
US7392049B2 (en) * 2003-12-19 2008-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network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packet data services between mobile stations
EP1548978B1 (en) * 2003-12-23 2008-11-19 Motorola Inc. Route-optimised multicast traffic for a mobile network node
US7050801B2 (en) * 2004-01-19 2006-05-23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hitless wireless roaming in a mobile environment
US8059580B2 (en) * 2004-05-14 2011-11-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ternet micro cell
US20050286479A1 (en) * 2004-06-29 2005-12-29 Eric Spencer Busines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ireless telecommunication services for mobile applications
US7539158B2 (en) 2004-11-08 2009-05-26 Lemko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using a distributed mobile architecture
CN100428843C (zh) * 2004-12-02 2008-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宽带移动接入网系统及其方法
KR100813793B1 (ko) * 2004-12-23 2008-03-13 주식회사 케이티 다중 이동 라우터 구조에 의한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이동 라우터 대치 방법
AU2005100399A4 (en) * 2005-05-13 2005-06-23 Mobile Ip Pty Ltd Free2move
EP1727056B1 (en) 2005-05-25 2008-11-05 Microsoft Corporation Data communication protocol
US8655757B1 (en) * 2005-06-30 2014-02-18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a unique asset identity
US7856233B2 (en) 2006-03-30 2010-12-21 Lemko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using a distributed mobile architecture
CN101056233B (zh) * 2006-04-13 2012-08-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主机网络架构及网关设备
US8224322B2 (en) 2006-06-12 2012-07-17 Lemko Corporation Roaming mobile subscriber registration in a distributed mobile architecture
US8676197B2 (en) 2006-12-13 2014-03-18 Lemko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to control wireless communications
US8046420B2 (en) 2008-04-23 2011-10-25 Lemko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wireless communications
CN101572876B (zh) * 2008-04-28 2016-01-20 华为技术有限公司 标识信息的分配、获取方法及装置
US8340667B2 (en) 2008-06-26 2012-12-25 Lemko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wireless communications
US8706105B2 (en) * 2008-06-27 2014-04-22 Lemko Corporation Fault tolerant distributed mobile architecture
US8107409B2 (en) 2008-07-11 2012-01-31 Lemko Corporation OAMP for distributed mobile architecture
US7855988B2 (en) 2008-07-14 2010-12-21 Lemko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routing calls using a distributed mobile architecture
US7979066B2 (en) 2008-09-25 2011-07-12 Lemko Corporation Multiple IMSI connections
US9331955B2 (en) 2011-06-29 2016-05-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ransporting operations of arbitrary size over remote direct memory access
US20130067095A1 (en) 2011-09-09 2013-03-14 Microsoft Corporation Smb2 scaleout
KR102170178B1 (ko) * 2013-03-14 2020-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외부 데이터 네트워크 사용 제어 방법 및 디바이스
JP6977507B2 (ja) * 2017-11-24 2021-12-08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4700C (fi) * 1994-01-21 1995-10-1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atkaviestinjärjestelmän verkkoelementti ja menetelmä pakettimuotoista datasiirtoa varten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FI98027C (fi) * 1995-01-10 1997-03-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Pakettiradiojärjestelmä ja päätelaitteisto pakettiradiojärjestelmää varten
FI105746B (fi) * 1995-09-29 2000-09-29 Nokia Mobile Phones Ltd Integroitu radioviestintäjärjestelmä
KR970052811A (ko) * 1995-12-16 1997-07-29 김주용 반도체 소자의 층간절연막 형성방법
US5835720A (en) * 1996-05-17 1998-11-10 Sun Microsystems, Inc. IP discovery apparatus and method
US6137791A (en) * 1997-03-25 2000-10-24 Ericsson Telefon Ab L M Communicating packet data with a mobile station roaming within an incompatible mobile network
US6154461A (en) * 1997-05-14 2000-11-28 Telxon Corporation Seamless roaming among multiple networks
US6411632B2 (en) * 1997-09-16 2002-06-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hub for interconnecting a wireless office environment with a public cellular telephone network
US6223035B1 (en) * 1997-09-30 2001-04-2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ubscriber record for packet data registration of a mobile station
US6115385A (en) * 1998-03-11 2000-09-05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subnetting in a switched IP network
US6519248B1 (en) * 1998-07-24 2003-02-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cket data network having distributed database
US6230012B1 (en) * 1998-08-07 2001-05-08 Qualcomm Incorporated IP mobility support using proxy mobile node registration
US6215779B1 (en) * 1998-09-22 2001-04-10 Qualcomm Inc. Distributed infrastructure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234B1 (ko) * 1998-07-09 2005-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패킷망접속을위한시스템네트웍
KR100447158B1 (ko) * 1998-08-11 2004-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
KR100593477B1 (ko) * 1999-09-03 2006-06-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KR100660701B1 (ko) * 1999-11-12 2006-12-21 주식회사 케이티 패킷서비스를 위한 이동성 처리 장치
KR20010048891A (ko) * 1999-11-30 2001-06-15 조정남 무선통신용 단말기간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KR100313929B1 (ko) * 2000-01-05 2001-11-17 서평원 이동국 인터넷 프로토콜 라우팅 방법
KR20010106742A (ko) * 2000-05-23 2001-12-07 이원택 이기종 통신망에서의 음성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20404A (ko) * 2000-09-08 2002-03-15 윤종용 휴대폰의 심카드 기능을 인터넷 프로토콜로 구성하는 방법
KR20020076906A (ko) * 2001-03-31 2002-10-11 (주) 엘지텔레콤 모바일아이피가 부여된 휴대폰을 이용한데이터송수신방법
KR100386092B1 (ko) * 2001-06-20 2003-06-02 한국과학기술원 옥내/외로 이동하는 이용자를 위한 최적의 인터넷망 접속및 로밍 시스템 및 방법
KR100416344B1 (ko) * 2001-11-22 2004-01-3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망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활성화 시스템 및 방법
WO2003100652A1 (en) * 2002-05-28 2003-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broadcasting data within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2567B1 (ko) 2000-11-15
CN1099205C (zh) 2003-01-15
CN1230085A (zh) 1999-09-29
US6697355B1 (en) 200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0517A (ko)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US6137791A (en) Communicating packet data with a mobile station roaming within an incompatible mobile network
US6404754B1 (en) Radio packet data terminal and method of determining internet interworking protocol address
JP4615172B2 (ja) セル方式通信システム
KR100770931B1 (ko) 무선 네트워크간의 음성 및 단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망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0454923B1 (ko) 무선 공중망과 유무선 사설망이 연동된 망에서 가입자상태 정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EP1014751A2 (e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base station controller routes packet data between mobile units and a packet data network
US6519235B1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packet data network
US9351146B2 (en) Technique for providing support for a plurality of mobility management protocols
US20050025164A1 (en) Seamless hand-off of mobile node to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KR101015642B1 (ko)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푸쉬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WO2006064705A1 (ja) 無線網制御装置、無線lan中継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の通信方法
JP3636356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488537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加入者にマルチポイント接続性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
US6876634B1 (en) Archite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network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data using the same
KR100400719B1 (ko) 이동통신네트워크를이용한이동인터넷및이를이용한통신방법
JP3080039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端末の位置登録方式
KR100493446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및 운용방법
KR100473005B1 (ko) 이동통신 패킷망에서의 에스아이피 기반의 화상통화서비스 방법
KR100593479B1 (ko)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을 이용한 구내 무선통신 시스템 및그 서비스 방법
US20050237990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KR100469234B1 (ko) 인터넷/패킷망접속을위한시스템네트웍
EP1761084B1 (en) Access system for an access network
KR20000013642A (ko)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
KR2004001180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호 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