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93446B1 -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및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및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3446B1
KR100493446B1 KR10-2000-0074158A KR20000074158A KR100493446B1 KR 100493446 B1 KR100493446 B1 KR 100493446B1 KR 20000074158 A KR20000074158 A KR 20000074158A KR 100493446 B1 KR100493446 B1 KR 100493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network
call
bsc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4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4902A (ko
Inventor
임병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4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3446B1/ko
Publication of KR20020044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4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올 IP 망에서, 특히 코어 망과 무선 액세스 망을 구분, 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은, 타 접속망과의 액세스를 위한 코어 망 요소(HLR, WCA, TCA, BSC기/PCF, PDSN, SG, TG, VS, ICG, IGSG, IGTG 등)들이 IP 코어 망을 중심으로 하여 전송 망으로 연결되고; 이동 단말기의 액세스를 위한 액세스 망 요소(BTS,BSC)가 IP 무선 액세스 망(RAN)을 중심으로 연결되어; 상기 IP 코어 망과 IP 무선 액세스 망을 이동 단말기의 서비스 이용 형태에 따라 분리하여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무선 구간 제어 기능과 유선 구간 호 접속 기능을 상기 무선 제어 관리자(WCA)와 유선 호 관리자(TCA)가 각각 담당하고, 상기 유선 호 접속 제어기(TCA)가 다른 접속 망 가입자의 홈 TCA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액세스 망을 접속할 수 있는 IP 코어 망과 이동통신단말기와의 데이터 액세스를 위한 무선 액세스 망으로 All IP 망을 구성하고 각 망 요소를 분리시킴으로써, 코어 망 요소에 액세스 망의 종류와 관계 없이 공통으로 접속하여 타 접속 망을 IP 망에 수용할 때나 다양한 액세스 망을 통합할 때 망 요소의 중복 배제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OP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LL IP NETWORK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특히 올 IP 망(All IP Network)에서 코어 망(Core Network)과 무선 액세스 망(RAN:Radio Access Network)을 구분하여, 올 아이피 코어 망에 다양한 종류의 액세스 망이 접속되고, 각 코어 망이 액세스 종류와 관계없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 망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올 아이피 네트워킹 시스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피피 망에; 기지국(BTS::Base Station Controller)(201), 기지국 제어기/패킷 제어기(PCF:Packet Control Function)(202), 인터 제너레이션 신호처리/트렁크 게이트웨이(IGSG/IGTG)(Inter Generation Signaling Gateway/Inter Generation Trunk Gateway)(235), 이동 호 관리자/VLR(MM,CCA,PRC)(220), 홈 위치 등록기(HLR)(234), 인터 케리어 게이트웨이(ICG)(233), 신호처리 게이트웨이(SG)(231), 음성 서버(VS)(232), 트렁크 게이트웨이(TG)(230), PDSN(240) 등의 망 요소들이 연결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이동 호 관리자는 이동 교환 센터(MSC:Mobile Switching Center)(341)의 이동 단말기에 대한 이동성 제어, 호 제어, 무선 자원 할당 상태 제어기능, 그리고 유선망 연결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이동 호 관리자(MSC)는 단말기 위치 등록 및 무선구간 호 제어, 유선구간 음성 호 제어 및 음성 경로 설정, 패킷 데이터 경로 설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이동 호 관리자(MCA: Mobile Call Agent)(220)의 단말기 위치 등록(HLR: Home Locaticn Register) 및 무선 구간 호 제어
이동 단말기(MS)(101,102)는 기지국(201)의 제어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알고 있는데, 상기 위치 정보가 변경되거나 다른 위치등록 요건에 따라 등록을 하여야 하는 경우 위치 등록 메시지를 기지국(BTS)에 송신하게 된다
이때, 이동 단말기(101,102)의 위치 등록 메시지를 기지국(BTS)가 기지국 제어기(BSC)로 송신하고 기지국 제어기(BSC)는 이동 호 관리자(MCA)로 송신하며, 이동 호 관리자는 이동 단말기(101,102)의 위치정보를 갱신하며 이 갱신된 정보를 패킷 라우팅 컨트롤(PRC:Packet Routing Control)와 호 제어 관리자(CCA: Call Control Agent)에 전달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1,102)가 음성 호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 이동 호 관리자(MCA)/비스터 로케이션 레지스터(VLR)는 인증과정을 거쳐 호 접속을 허용하며, 무선 채널의 음성 채널 점유 및 패킷 채널의 점유를 허가한 후 해당 이동 단말기의 무선 구간 접속 상태를 보존 관리한다.
2). 이동 호 관리자의 유선구간 음성 호 제어 및 음성 경로 설정
이동 단말기(101,102)가 음성 통화 발신을 하였을 때, 이동 단말기(101,102)와 기지국 제어기(originationg BSC) 사이의 무선 음성 패킷의 전송을 위한 전달 링크가 설정되고, 상기 기지국 제어기(origination BSC)에서 종단된 단말기의 무선 음성 패킷은 착신자의 위치에 따라, 유선 가입자와의 통화일 경우 트렁크 게이트웨이(TG)(230)로 전달되고 그 통화 음성은 트렁크 게이트웨이(TG)(230)에서 PCM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PSTN/PLM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Public Land Mobile Network)(320)의 착신가입자와 회선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무선 호 제어(RCC: Radio Call Control) 신호는 이동 호 관리자(MCA)에서 트렁크 게이트웨이(TG)(230)에 음성 패킷 전달용 채널을 할당하고 PSTN/PLMN(330)과의 신호는 이동 호 관리자(MCA)에서 신호처리 게이트웨이(SG)(231)로 전달하여 신호처리 게이트웨이(SG)(231)가 착신 가입자로의 호 설정을 위한 공중망(PSTN/PLMN)(320)과의 신호 연동을 한다.
그리고, 동일한 사업자내의 무선 단말기로 연결하는 경우 이동 호 관리자(MCA)가 해당 착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기지국의 종단 기지국 제어기(terminating BSC)에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음성 패킷이 종단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되어 종단 기지국 제어기와 착신 단말기에 전달된다.
그리고, 다른 사업자 망 내의 무선 단말기로 연결되는 경우 해당 사업자 망과 접속되는 인터 케리어 게이트웨이(IGG)(233)로 이동 호 관리자(MCA)의 신호가 전달되고, 음성 패킷도 상기 인터 케리어 게이트웨이(ICG)(233)로 전달되어 타 사업자 망(3G All IP Network)(310) 내의 착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이동 호 관리자(MCA)에 신호가 전달된다. 이때의 음성 패킷은 이동 호 관리자(MCA)가 제어하는 착신 단말기가 위치하는 기지국(BTS)의 기지국 제어기(BSC)로 전달되어 착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된다.
3). 이동 호 관리자의 패킷 데이터 경로 설정
단말기 가입자가 컴퓨터 등에 연결된 단말기(102)에 연결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실행하는 경우, 패킷 데이터 단말기(102)로부터 무선 기지국(BTS)(201) 및 기지국 제어기(BSC)까지 무선 채널 패킷이 전달되고, 상기 기지국 제어기(BSC)에서 선택된 패킷 데이터가 PCF(Packet Control Function)로 전달되며, PCF는 PDSN(Packet Data Serving Node)으로 전달하며, PDSN(240)이 인터넷/인터넷과 접속하여 이동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가 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2)와 PDSN 사이에는 PPP(Point to Point Protocol) 링크가 설정되며, 이동 단말기가 파워 다운에 의하거나 다른 방법에 의해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 상태가 인액티브(inactive)되기 전에는 이동 단말기(102)의 PPP링크가 처음 등록된 PSDN과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이동 호 관리자의 패킷 라우팅 제어기(PRC : Packet Routing Controller)는 초기 이동 단말기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요청시에 이동 단말기가 접속할 PSTN을 지정하고, 이동 단말기(102)가 기지국(201) 및 기지국 제어기(BSC)와의 무선 트래픽 채널을 가지지 않는 유휴(dormant) 상태에서 다른 새로운 BSC/PCF(212) 영역으로 이동했을 때, 단말기의 위치등록 메시지 또는 패킷 영역 변경(Packet Zone Change)에 따른 등록 메시지로부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이동이 발생했음을 검출한다.
그러면, 이동 호 관리자는 이전에 서비스 받고 있는 이전 BSC/PCF에 이동 단말기가 이동했음을 알려주어 이전 PCF에 저장되어 있던 이동 단말기의 등록상태를 제거하도록 하고, 새로운 BSC/PCF에게 이동 단말기가 이동했음을 알려주어 이전 PCF에 저장되어 있던 이동 단말기의 등록 상태를 제거하도록 한다.
또 새로운 BSC/PCF에게 이동 단말기가 방문했음을 알려, 해당 이동 단말기의 서빙 PDSN의 정보를 전달하여 새로운 PCF와 서빙 PDSN이 R-P(Radio - PPP)링크를 설정하도록 하여 이동 단말기와 서빙 PDSN과의 PPP링크는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패킹 라우팅 컨트롤러(PRC)는 이동 단말기의 서빙 PSDN ID, 이동 단말기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액티브/인액티브, 서빙 PCF ID 등을 관리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위치변경이 발생하면 이전 BSC/PCF와 새로운 BSC/PCF로 이동 단말기의 패킷 라우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 호 관리자(MCA)는 이동 교환 센터(341)의 이동 단말기 이동성 제어, 호 제어, 무선 자원 할당 상태 제어, 그리고 유선망 연결 제어를 하나의 통합된 유무선 제어 기능을 함께 보유하여, IP 코어 망(Core Network)의 망 요소 기능과 무선 접속 망 기능 요소를 함께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올 아이피(All IP) 에서 유무선 구간의 명확한 구분이 없다는 것이, 액세스 망 요소와 코어 망 요소의 분리가 되지 않아 타 접속망을 IP 코어 망에 수용할 때 단점이 된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올 아이피(All IP) 망에서는 IP 망이 무선 망과 코어 망으로 따로 구분없이 하나의 통합 IP 망 위에 모든 망의 망 요소들이 연결 되므로, IP 코어 망을 구축하고 다양한 액세스 망을 통합하고자 할 경우 망 요소의 중복이나 관리에 비효율적이다.
또한, 무선 구간(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사이에 전달되는 데이터 및 신호는 cdma 2000 시스템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와 파워 제어의 목적상 실시간 전송이 필수적인데 반해, 상대적 실시간 응답을 요하지 않은 코어 망의 비음성 패킷 데이터와 혼용하여, IP 망을 사용할 경우 IP망의 관리 운영 및 서비스 품질(QoS) 관리가 복잡하고, 특히 다른 종류의 액세스망을 올 아이피(All IP) 코어 망에서 수용하고자 할 때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간의 실시간 서비스 품질(QoS) 보장이 힘들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올 아이피(All IP) 망을 IP 코어 망과 무선 액세스 망으로 구분하고, 올 아이피 코어 망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액세스 망을 접속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코어 망 요소는 상기 액세스 망의 종류와 관계 없이 공통으로 사용하게 하는 한편, 이동 호 관리자를 무선 망 전용 요소인 무선 제어 관리자(WCA)와 유선 망 회선 접속 제어 요소인 유선 호 관리자(TCA)로 구분하여, 아이피 무선 액세스 망 제어와 아이피 코어 망을 분리 운용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 및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은,
타 접속망과의 액세스를 위한 코어 망 요소(HLR, WCA, TCA, BSC기/PCF, PDSN, SG, TG, VS, ICG, IGSG, IGTG 등)들이 IP 코어 망을 중심으로 하여 전송 망으로 연결되고; 이동 단말기의 액세스를 위한 액세스 망 요소(BTS,BSC)가 IP 무선 액세스 망(RAN)을 중심으로 연결되어; 상기 IP 코어 망과 IP 무선 액세스 망을 이동 단말기의 서비스 이용 형태에 따라 분리하여 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IP 무선 액세스 망과 IP 코어 망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올 아이피(All IP) 망에 있어, 상기 무선 구간 제어 기능과 유선 구간 호 접속 기능을 상기 무선 제어 관리자(WCA)와 유선 호 관리자(TCA)가 각각 담당하고, 상기 유선 호 접속 제어기(TCA)가 다른 접속 망 가입자의 홈 TCA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IP코어 망은 다양한 유선 및 무선 접속망을 동시에 접속하여 운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방법은,
(a) 이동 단말기의 발신 음성 호에 대해 무선 기지국이 발신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여 IP 무선 액세스 망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에 전달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 후 기지국 제어기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무선 패킷 프레임 데이터 전달 요구하면 BTS-BSC간의 트랜스포트 자원을 할당하여 이동 단말기와 BSC/SDU간의 트래픽 채널을 개설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 후 무선 제어 관리자(WCA)가 이동 단말기의 음성 호 설정을 유선 호 관리자(TCA)에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 후 유선 호 관리자(TCA)에서 음성 호의 착신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서빙 BSC/SDU와 착신측 TG/ICG/BSC등과 호 설정을 위한 할당을 하고, 시그널링을 수행하여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이 음성 호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방법은,
(a)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호에 대해, 무선 제어 관리자(WCA)가 홈 가입자 등록기를 통하여 단말기의 무선 접속 허락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할 PDSN ID를 BSC/PCF로 전달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 후 상기 기지국 제어기(BSC)가 무선 제어 관리자의 인증 허가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및 이동 단말기가 접속하기 위한 PDSN의 경로정보를 PCF에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 후 상기 PCF가 지정된 PDSN으로 R-P링크를 설정하여 이동 단말기와 PDSN간에 PPP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 후 이동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방식에 따라 심플 IP 모드의 접속 또는 이동 IP 모드의 접속 실행하고 이동통신 가입자 관리 및 인터넷과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 망 운용 시스템의 실시예를 논리적으로 연결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 망 운용 시스템의 실시예를 물리적으로 연결한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 코어망의 다종 액세스 망 연결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IP 코어 망(700)은 코어 망(701)을 중심으로 타 접속망(610,620,630,800)과의 액세스를 위한 코어 망 요소로서 홈 가입자 등록기(HLR) 540), 무선 제어 관리자(WCA/VLR(MM,RCC,PRC))(530) 및 유선 호 관리자(TCA/(CSCF)(532)로 이루어진 이동 호 관리자(530), BSC/PCF(520), PDSN(556), SG(553), TG(554), VS(555), ICG(551), IGSG/IGTG(552) 등을 포함하며,
모든 IP 무선 액세스 망(RAN)는 IP RAN(601)을 중심으로, 이동 단말기(501,502)의 액세스를 위한 액세스 망 요소 BTS(510), BSC/PCF(520)가 연결된 구성이다.
여기서, 이동 호 관리자(530)의 무선 제어 관리자(WCA(MM, RCC,PRC))(521)는 유선 구간 제어기능을 수행하고 다른 접속 망 가입자 홈 TCA로 사용될 수 있으며, 유선 호 관리자(TCA)(532)는 무선 구간 호 접속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올 아이피 망의 운용 시스템을 논리적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호 관리자(MCA)(530)는 무선망 전용 요소인 무선 제어 관리자(WCA:Wireless control agent)(531)와 유선망 회선 접속 제어 요소인 유선 호 관리자(TCA:Terrestrial Call Agent)(532)로 구분하고, 각 망 요소(HLR, WCA, TCA, BSC/SDU, PCF, TG, SG, IGSG, IGTG, ICG 등)들을 논리적으로 연결해 준다.
이러한 각 망 요소들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540)은 홈 가입자의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동 단말기(501,502)의 위치등록을 하는 장치로서, 무선 제어 관리자(WCA)(531)와 이동 단말기(501,502)의 위치 등록 메시지를 교환하고 타 HLR과 연동하여 이동 단말기(501,502)의 로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HLR)(540)는 이동 단말기(501,502)의 홈 유선 호 관리자(TCA)(532)로부터의 이동 단말기 위치 조회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여 로밍한 이동 단말기의 착신 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 단말기(501,502)의 방문 위치 등록은 SID/NID 외에 TCA ID와 무선 제어 관리자(WCA) ID의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무선 제어 관리자(WCA)(531)는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BSC)(521)를 포함하는 무선 영역으로 방문한 이동 단말기(501,502)의 위치 등록을 홈 가입자 처리기(540)에 전달하여 처리하며, 이동 단말기(501,502)의 호출 및 단말기의 접속인증, 무선 서비스 접속 상태 제어, 무선 패킷 경로 제어, 유선 호 관리자(TCA)와 연동하여 음성 및 회선 데이터 호 제어, 기지국 제어기(BSC)(521)와 연동하여 단말기의 위치등록 및 서비스 접속 요구를 수행하는데, 페이징 영역(Paging Zone) 및 패킷 영역(Packet Zone), 사용자 영역(User Zone)에 따른 등록을 처리한다.
또한, 무선 제어 관리자(WCA)(532)는 음성 및 회선 데이터 서비스 요구시 유선 호 관리자(TCA)(531)로 호 설정 요구메시지를 송신하여 호 설정을 제어하고, 유선 호 관리자(TCA)(531)로부터의 착신호에 대한 페이징에 응답하여 방문한 이동 단말기를 호출하며, 초기 패킷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 단말기의 경우 접속 등록한 PDSN ID를 할당하고, 해당 서빙 PDSN ID와 패킷 데이터 상태(STATE)를 저장한다.
또한 무선 제어 관리자(WCA)(532)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상태가 액티브 상태인 이동 단말기가 가입자 접속장비(SDU: Service Delivery Unit)를 변경하는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를 하거나 도먼트 핸드오프(Dormant handoff)를 할 때 기지국 제어기(BSC)(521)로 저장하고 있는 서빙 PDSN ID를 송신하여 이동 단말기의 PPP 링크가 초기의 서빙 PDSN(556)에 지속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501,502)가 BSC/SDU를 변경하는 하드 핸드오프시, 인트라 무선 제어 관리자(intra-WCA)인 경우 유선 호 관리자(TCA)(532)에 하드 핸드오프를 재 접속 연결하고, 인터 무선 제어 관리자(inter-WCA)인 경우 무선 제어 관리자(WCA)(530)간의 하드 핸드오프 정보 교환을 실행한 후 인터 유선 호 관리자(TCA)(532)간 핸드 오프 재 연결 메시지를 요구한다.
상기 유선 호 관리자(TCA)(532)는 다수의 무선 제어 관리자(WCA)(531)를 포함하는 제어 영역을 가지면서, 이동 단말기(501,502)의 홈 유선 호 관리자(home TCA) 역할을 수행하여 외부 PSTN/PLMN(630)이나 타 유선 호 관리자(TCA) 영역으로부터 발신된 착신 음성 및 회선 데이터 호에 대하여, 하위 무선 제어 관리자(WCA) 관리 영역에 있는 BSC/SDU로 베어러 트래픽 채널(bearer traffaic channel)을 할당하고 무선 제어 관리자(WCA)(531)에 페이징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무선 제어 관리자(WCA)(531)로부터 요구되는 이동 단말기의 발신호에 대하여 착신 가입자가 올 아이피(All IP) 단말기인 경우 착신측의 홈 유선 호 관리자(TCA)에, 착신측이 PSTN/PLMN인 경우 신호 처리 게이트웨이(SG)에, 착신측이 동일 사업자의 레거시(LEGACY) 망(620)의 가입자인 경우 인터 제너레이션 신호처리 게이트웨이(IGSG)로 연동하여 음성 및 회선 데이터 연결을 실행한다.
그리고, 유선 호 관리자(TCA)(532)는 동적인 음성 및 회선 데이터 연결 상태만 보유하고, 이벤트 해제시 모든 유선 호 관리자(TCA)(532)는 고정 가입자의 음성 및 회선 데이터 호 설정도 동일하게 실행한다.
기지국 제어기/가입자 접속장비(BSC/SDU)는 이동 단말기(501,502)의 무선 자원 할당 제어 및 이동 기지국 제어기 간의 전송 채널 관리 제어를 수행하며, 위치 등록 메시지 및 호 처리 메시지의 중계를 하고, 핸드 오프 제어를 수행하며, 무선 구간의 음성 및 패킷 프래임 데이터에 대하여 비교 선택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가입자 접속장비는 기지국(521)과 타 기지국 제어기(BSC/SDU)와는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를 위하여 서비스 품질(QoS)가 보장하는 실시간의 IP 무선 액세스 망(RAN:Radio Access Network)(600)으로 연결되고, 음성 및 회선 데이터 경로를 위한 베어러 경로(bearer path)는 IP 코어 망(core Network)(700)을 통하여 연결되
며, 인터넷 패킷 데이터 경로는 PCF(Packet Control Function)로 연결된다.이때의 기지국 제어기(BSC)는 무선 채널을 점유한 단말기의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PCF(522)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단말기에 대한 BSC/SDU와 PCF 사이의 패킷 베어러 연결과 상태를 유지하며, PDSN(556)의 R-P 링크(MS-BTS-BSC-PCF-PDSN)를 연결한다. 이동 단말기(501,502)가 유휴(Dormant) 상태일 때, BSC/SDU와의 링크를 해제하지만 R-P링크는 유지하며, 이동 단말기(501,502)가 액티브로 변경될 때에도 R-R링크를 재 설정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다.
상기 트렁크 게이트웨이(TG)(554)는 PSTN과 올 아이피(All IP) 망의 사이에서 음성 패킷을 음성 신호 샘플로 변환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며, PSTN(or PLMN)(630)으로부터 올 아이피(All IP) 망로 착신되는 음성 및 회선 데이터 호에 대한 서빙 홈 유선 호 관리자(home TCA)를 가지고 PSTN으로부터 인밴드 시그널링(inband signalling)의 착신호에 대하여 홈 유선 호 관리자(TCA)와 연동하여 호 설정을 실행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501,502)의 착신이나 발신 호의 베이러 트래픽 경로는 BSC/SDU와 직접 연결되며, 로밍(Roming)한 이동 단말기의 가입자의 데이터 경로는 인터 케리어 게이트웨이(ICG)(551)로 연결되어 다른 올 아이피(All IP) 망(610)과 경로가 설정된다.
상기 신호처리 게이트웨이(SG)(553)는 PSTN과 올 아이피(All IP) 망 사이에서 호 신호 망을 연동하는 시그널링 게이트웨이로서, PSTN으로부터 착신되는 음성 및 회선 데이터 호에 대한 서빙 홈 유선 호 관리자(home TCA)를 가지고, PSTN의 호 신호에 대응하여 유선 호 관리자(TCA)(532)와 연동 착신단말기를 호출하거나 PSTN으로 발신되는 호 신호를 PSTN으로 변환 전달하는 기능이다.
상기 인터 제너레이션 신호처리 게이트웨이(IGSG)는 레거시 이동 시스템의 이동단말기가 3세대 All IP 망(620)으로 로밍했을 때 또는 3세대 All IP 단말기가 레거시 이동 시스템으로 로밍 했을 때, 신호처리 게이트웨이(SG) 기능뿐 만 아니라 ANSI-41신호 메시지도 연동하는 시그널링 게이트웨이로서 ANSI-41메시지 연동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인터 제너레이션 트렁크 게이트웨이(IGTG)는 동일 사업자의 레거시 이동 시스템과 올 아이피(All IP) 시스템 사이의 음성 및 회선 데이터 서비스에 대하여 핸드오프를 지원하기 위한 양 시스템간의 미디어 게이트웨이가 된다.
상기 인터 케리어 게이트웨이(ICG)(551)는 올 아이피(All IP) 망간을 운영하는 사업자 사이의 올 아이피(All IP) 망을 연동하는 시그널링 및 베이러 채널 게이트웨이로서, 사업자간의 가입자 위치 등록 시그널링, 사업자간의 유선 호 관리자(TCA) 시그널링, 회선 연결의 베에러 패킷 연결을 위한 중계 연동 기능을 수행하고 사업자 시스템의 주소 번역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각 망요들간의 기능들을 참조하여,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의 운용 시스템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이동통신 망 요소를 논리적으로 연결시킨 것이며, 도 3은 도 2의 이동통신 망 요소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킨 구성도이고, 도 4는 올 아이피(All IP) 코어 망의 다중 액세스 망 연결 구성도이다.
도 3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 요소는 전송 망(610,630,561,800)으로 연결되는 망 요소를 갖는 IP 코어 망(600)과, 기지국 제어기(BSC)와 무선 기지국(510)으로 이루어진 IP 무선 액세스 망(RAN Network)(600)으로 구분된다.
즉, IP 코어 망(600)에는 홈 위치 등록기(HLR)(540), 무선 제어 관리자(WCA(MM/RCC/PRC))(531), 유선 호 관리자(TCA(CSCF))(532), 기지국 제어기/PCF(520), PDSN(556), 신호처리 게이트웨이(SG)(553), 트렁크 게이트웨이(TG)(554), 음성 서버(VS)(555), 인터 케리어 게이트웨이(ICG)(551), 인터 제너레이션 신호처리 게이트웨이(IGSG) 및 인터 제너레이션 트렁크 게이트웨이(IGTG)(728) 등의 망 요소가 구성된다.
올 아이피(All IP) 망에서 이동 단말기의 발신 음성 호에 대한 동작은;
이동 단말기(501,502)의 호 발신에 대하여, 무선 기지국(BTS)(510)이 발신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여 IP 란(RAN)(601)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BSC)(520)에 전달하여 기지국 제어기(BSC)(520)가 무선 제어 관리자(WCA)(531)로 요청하면, 무선 제어 관리자(WCA)(531)는 홈 위치 등록기(HLR)(540)를 통하여 단말기의 인증을 실행하고 무선 접속을 허가하면, 기지국 제어기(BSC)(520)가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무선 패킷 프래임 데이터 전달 요구한다.
그러면, 무선 기지국-기지국 제어기(BTS-BSC) 간의 전송 자원을 할당하므로서, 이동 단말기(501,502)와 BSC/SDU간의 트래픽 채널이 개설된다. 무선 제어 관리자(WCA)(531)가 이동 단말기의 음성 호 설정을 유선 호 관리자(TCA)(532)에 요청하면, 유선 호 관리자(TCA)(531)는 음성 호의 착신측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서빙 BSC/SDU와 착신측 TG/ICG/BSC등과 호 설정을 위한 할당을 하고 시그널링을 수행하여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이 음성호가 연결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는 BSC/SDU에서 종단 고정되므로 유선 호 관리자(TCA)(532)가 간여하지 않으며, IP 코어 망(600)의 유선측 음성 트래픽 베어러 연결은 변경없이 유지된다.
이동 단말기(501,502)의 기지국 제어기(BSC)를 변경하는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의 경우는 무선 제어 관리자(WCA)가 타 무선 제어 관리자와 연동하여,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프 시그널링을 처리한 다음 유선 호 관리자(TCA)로 핸드오프된 BSC/SDU 정보를 전달하여 핸드오프 재 연결을 요구함으로써, 유선구간 호 연결이 변경 설정된다.
패킷 서비스 호에 대해서는; 이동 단말기가 패킷 데이터 서비스 옵션을 요구하므로서, 무선 제어 관리자(WCA)(531)가 홈 위치 등록기(HLR)(540)를 통하여 단말기의 무선 접속을 허락하고, 이동 단말기(502)가 접속한 PDSN ID를 BSC/PCF(520)로 전달한다.
기지국 제어기(BSC)가 무선 제어 관리자(WCA)의 인증허가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을 할당하며, 이동 단말기(502)가 접속한 PDSN(556)의 경로 정보를 PCF(522)에 전달하므로서, PCF(522)가 지정된 PDSN(556)으로 R-P링크를 설정하면, 이동 단말기(502)와 PDSN(556) 간에 PPP링크가 설정되고, 이동 단말기(502)의 인터넷 접속 클라이언트 S/W의 방식에 따라 심플 IP 모드(Simple IP mode)의 접속이나 이동 IP 모드(mobile IP mode)의 접속을 실행하고, PDSN(556)는 이동 단말기(5020의 방문 가입자 관리를 하며 인터넷(혹은 인트라넷)(640)과 연결시킨다.
여기서, HA(Home Agent)는 이동 IP사용자가 접속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며, AAA(Auther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서버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 권한 검증, 과금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501,502)가 BSC/PCF(520)를 변경하는 하드 핸드오프의 경우 무선 제어 관리자(WCA)(531)가 핸드오프 완료시 새로운 BSC/PCF로 서빙 PDSN ID를 제공하므로서, 새로운 PCF가 서빙 PDSN과 R-P링크를 개설하도록 함으로서, PPP링크의 재 설정없이 인터넷 패킷 링크가 지속되고, IP를 계속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동 단말기(501,502)가 무선 트래픽 채널과 BSC-PCF간의 패킷 베어러 채널을 해제한 도먼트(DORMANT) 상태에서 다른 새로운 BSC/PCF로 이동하는 경우 무선 호 관리자(WCA)(531)는 이동 단말기의 패킷 영역 변경에 의한 자동등록이나 기타 위치등록기 의해서 위치 변경이 발생하였음을 검출하고, 새로운 BSC/PCF로 해당 이동 단말기가 서빙 PDSN I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여, 새로운 PCF와 서빙 PDSN이 R-P링크를 개설토록 하고, 이전의 BSC/PCF로는 이동 단말기의 로케이션 갱신정보를 도먼트(DORMANT) 핸드오프라는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하므로서, 이전 PCF가 저장하고 있는 R-P링크 정보와 R-P링크를 조기에 해제토록 한다.
도 4는 무선 호 관리자(MCA)가 무선 제어 관리자(WCA)와 유선 호 관리자(TCA)로 구분되어 무선 구간 제어기능과 유선구간 호 접속을 담당하도록 하고, IP 란과 IP 코어로 분리하여 구성하는 올 아이피(All IP) 망에서 코어 IP 망에 다양한 유선 및 무선 접속망(2G RAN, cdma 2000, other RAN)(3G/All IP Carrier, PSTN/PLMN, Internet/Intranet/ISP, Fixed Access Network)을 동시에 접속하여 운영할 수 있으며, 이때, 유선 호 제어기 유선 호 관리자(TCA)가 다른 접속망 가입자의 홈 유선 호 관리자(TCA)로도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의 운용으로, 다양한 종류의 액세스 망을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IP 코어 망과 이동통신단말기와의 데이터 액세스를 위한 무선 액세스 망으로 구분하여 올 아이피(All IP) 망을 구성하고 각 망 요소를 분리시킴으로써, 코어 망 요소에 액세스 망의 종류와 관계 없이 공통으로 접속하게 하여 타 접속 망을 IP 망에 수용할 때나 다양한 액세스 망을 통합하고자 할 경우 망 요소의 중복을 배제하고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선망 호 제어기능과 무선 접속망 제어기능을 분리하여, 유 무선 구간을 명확하게 구분함으로써, 비음성 패킷 데이터와 혼용하여 IP 망을 사용할 경우 IP 망의 관리 운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망이나 서로 다른 망에서의 서비스 품질 관리시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어, 서비스 품질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 네트워킹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 망 운용 시스템의 실시예를 논리적으로 연결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 망 운용 시스템의 실시예를 물리적으로 연결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 코어망의 다종 액세스 망 연결 구성도.

Claims (16)

  1. 타 접속망과의 액세스를 위한 코어 망 요소(HLR, WCA, TCA, BSC기/PCF, PDSN, SG, TG, VS, ICG, IGSG, IGTG 등)들이 IP 코어 망을 중심으로 하여 전송 망으로 연결되고;
    이동 단말기의 액세스를 위한 액세스 망 요소(BTS,BSC)가 IP 무선 액세스 망(RAN)을 중심으로 연결되어;
    상기 IP 코어 망과 IP 무선 액세스 망을 이동 단말기의 서비스 이용 형태에 따라 분리 운용하기 위해 무선 구간 제어 기능의 무선 제어 관리자 및 유선 구간 호 접속 기능을 위한 유선 호 관리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호 접속 제어기(TCA)가 다른 접속 망 가입자의 홈 TCA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 등록기(HLR)은 홈 가입자의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동 단말기의 위치등록을 하되,
    상기 무선 제어 관리자(WCA)와 이동 단말기의 위치 등록 메시지를 교환하고 타 홈 위치 등록기와 연동하여 이동 단말기의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동단말기의 홈 유선 호 관리자(TCA)로부터의 이동 단말기의 위치 조회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여 로밍한 이동단말기의 착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방문 위치의 등록은 SID/NID외에 TCA ID와 WCA ID, PCF ID의 정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제어 관리자(WCA)는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는 무선 영역으로 방문한 이동 단말기의 위치등록을 처리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호출 및 단말기의 접속인증, 무선 서비스 접속 상태 제어, 무선 패킷 경로 제어, 유선 호 관리자(TCA)와 연동하여 음성 및 회선 데이터 호 제어, HLR과 이동 단말기의 위치 등록 처리, 타 무선 제어 관리자(WCA) 영역으로의 하드 핸드오프 제어등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제어 관리자(WCA)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연동하여 단말기의 위치등록 및 서비스 접속 요구를 수행하는데, 페이징 영역 및 패킷 영역, 사용자 영역에 따른 등록을 처리하고, 음성 및 회선 데이터 서비스 요구시 유선 호 관리자(TCA)로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여 호 설정을 제어하고 유선 호 관리자(TCA)로부터의 착신호에 대한 페이징에 응답하여 방문한 이동 단말기을 호출하며, 초기 패킷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 단말기의 경우 접속 등록할 PDSN ID를 할당하고 해당 서비스의 PDSN ID와 패킷 데이터 상태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제어 관리자(WCA)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상태가 액티브 상태인 이동 단말기가 가입자 접속장비(SDU)를 변경하는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를 하거나 유휴 핸드오프(dormant handoff)를 할 때 기지국 제어기로 저장하고 있는 서빙 PDSN ID를 송신하여 이동 단말기의 PPP링크가 초기의 서빙 PDSN에 지속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제어 관리자(WCA)는 이동 단말기가 BSC/SDU를 변경하는 하드 핸드오프시에는, 인트라 무선 제어 관리자(Intra-WCA)인 경우 유선 호 관리자(TCA)에 하드 핸드오프를 재 연결을 요구하고, 인터 무선 제어 관리자(inter-WCA)인 경우 무선 제어 관리자(WCA)간의 하드 핸드오프 정보 교환을 실행한 후 인터-유선 호 관리자(inter-TCA)간 핸드오프 재 연결 메시지를 요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호 관리자(TCA)는 다수의 무선 제어 관리자(WCA)를 포함하는 제어 영역을 가지면서, 이동 단말기의 홈 유선 호 관리자(TCA) 역할을 수행하여 외부 PSTN이나 타 유선 호 관리자(TCA)영역으로부터 발신된 착신 음성 및 회선 데이터 호에 대하여 하위 무선 제어 관리자(WCA)관리 영역에 있는 BSC/SDU로 베어러 트랙픽 채널 할당 및 상기 무선 제어 관리자(WCA)에 페이징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호 관리자(TCA)는 상기 무선 제어 관리자(WCA)로부터 요구되는 이동 단말기의 발신호에 대하여 착신 가입자가 모든 IP단말기인 경우 착신측 홈 유선호 관리자(TCA)에, 착신측이 회선데이터 연결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호 관리자(TCA)는 동적인 음성 및 회선 데이터 연결 상태만 보유하고 이벤트 해제시 고정 가입자의 음성 및 회선 데이터 호 설정도 동일하게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SC/SDU는 이동 단말기의 무선 자원 할당 제어 및 무선 기지국와 BSC간의 전송 채널 관리 제어를 수행하며, 위치 등록 메시지 및 호처리 메시지의 중계를 하고, 핸드오프 제어를 수행하며, 무선구간의 음성 및 패킷 프레임 데이터에 대하여 비교 선택하고,
    상기 기지국과 타 기지국 제어기(BSC/SDU)는 소프트 핸드오프를 위하여 서비스 품질(QoS)이 보장되는 실시간의 IP RAN망으로 연결되고, 음성 및 회선 데이터 경로를 위한 베어러 패스가 IP코어 망를 통하여 연결되며, 인터넷 패킷 데이터 경로가 PCF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
  12. (a) 이동 단말기의 발신 음성 호에 대해 무선 기지국이 발신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여 IP 무선 액세스 망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에 전달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 후 기지국 제어기에서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무선 패킷 프레임 데이터 전달 요구하면 BTS-BSC간의 트랜스포트 자원을 할당하여 이동 단말기와 BSC/SDU간의 트래픽 채널을 개설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 후 무선 제어 관리자(WCA)가 이동 단말기의 음성 호 설정을 유선 호 관리자(TCA)에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 후 유선 호 관리자(TCA)에서 음성 호의 착신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서빙 BSC/SDU와 착신측 TG/ICG/BSC등과 호 설정을 위한 할당을 하고, 시그널링을 수행하여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이 음성 호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음성 호 서비스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지국 제어기(BSC)를 변경하지 않는 소프트 핸드오프시, BSC/SDU에서 종단 고정되어 유선 호 관리자(TCA)가 간여하지 않고, IP코어 유선측의 음성 트래픽 베에러 연결은 변경없이 유지되며;
    상기 이동 단말기의 BSC를 변경하는 하드 핸드 오프의 경우는 무선 제어 관리자(WCA)가 타 무선 제어 관리자(WCA)와 연동하여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프 시그널링을 처리한 다음, 유선 호 관리자(TCA)로 핸드오프된 BSC/SDU 정보를 전달하여 핸드오프 재 연결을 요구하여, 유선구간 호 연결이 변경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방법.
  14. (a)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호에 대해, 무선 제어 관리자(WCA)가 홈 가입자 등록기를 통하여 단말기의 무선 접속 허락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할 PDSN ID를 BSC/PCF로 전달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 후 상기 기지국 제어기(BSC)가 무선 제어 관리자의 인증 허가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를 위한 무선 자원 할당 및 이동 단말기가 접속하기 위한 PDSN의 경로정보를 PCF에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 후 상기 PCF가 지정된 PDSN으로 R-P링크를 설정하여 이동 단말기와 PDSN간에 PPP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 후 이동단말기의 인터넷 접속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방식에 따라 심플 IP 모드의 접속 또는 이동 IP 모드의 접속 실행하고 이동통신 가입자 관리 및 인터넷과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서비스는,
    이동 단말기의 BSC/PCF를 변경하는 하드 핸드오프인 경우, 무선 제어 관리자가 핸드오프 완료시 새로운 BSC/PCF로 서빙 PDSN ID를 제공하고, 새로운 PCF가 서빙 PDSN과 R-P링크를 개설하도록 하여, PPP링크의 재 설정 없이 인터넷 패킷 링크를 지속시켜 IP를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가 무선 트래픽 채널과 BSC-PCF간의 패킷 베에러 채널을 해제한 도먼트 상태에서 다른 새로운 BSC/PCF로 이동하는 경우, 무선 제어 관리자가 이동단말기의 패킷 영역 변경에 의한 자동등록이나 기타 위치 등록 수단에 의해서 위치 변경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검출한 후, 새로운 BSC/PCF로 해당 이동 단말기의 서빙 PDSN ID를 포함한 메시지를 송신하여, 새로운 PCF와 서빙 PDSN이 R-P링크를 개설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PCF와 서빙 PDSN이 R-P링크를 개설하면, 이전에 이동 단말기가 연결된 BSC/PCF에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 갱신 정보를 도먼트 핸드오프라는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하여, 이전 PCF가 저장하고 있는 R-P링크 정보와 R-P링크를 조기에 해제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방법.
KR10-2000-0074158A 2000-12-07 2000-12-07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및 운용방법 KR100493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158A KR100493446B1 (ko) 2000-12-07 2000-12-07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및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158A KR100493446B1 (ko) 2000-12-07 2000-12-07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및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902A KR20020044902A (ko) 2002-06-19
KR100493446B1 true KR100493446B1 (ko) 2005-06-07

Family

ID=2768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4158A KR100493446B1 (ko) 2000-12-07 2000-12-07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및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34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530B1 (ko) * 2000-12-15 200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이엘엘 아이피 이동 통신망에서의 다자간 통화 서비스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375825B1 (ko) * 2000-12-22 2003-03-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킷 이동통신망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방법
KR100470687B1 (ko) * 2000-12-28 2005-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핵심 망에서 무선 이동 통신액세스 망을 연동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777274B1 (ko) * 2001-06-12 200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Ip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방법
KR20040011989A (ko) * 2002-07-31 2004-02-11 류덕호 통신 프로토콜 적응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100609712B1 (ko) * 2004-12-21 2006-08-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인터넷 망과 ims의 연동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261A (ko) * 1998-09-07 2000-04-06 서평원 무선 패킷 데이터 단말
US20010049285A1 (en) * 2000-06-03 2001-12-06 Jae-Hong Park Method for discriminating network domain and interworking with the same in IMT-2000 system
US20020023162A1 (en) * 2000-08-18 2002-02-21 Hyung-Nam Ahn Method for integrating network elements on communications system
US20020039358A1 (en) * 2000-08-21 2002-04-04 Shin-Hyun Yang Method for separating and processing signal and bearer in all IP radio access net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261A (ko) * 1998-09-07 2000-04-06 서평원 무선 패킷 데이터 단말
US20010049285A1 (en) * 2000-06-03 2001-12-06 Jae-Hong Park Method for discriminating network domain and interworking with the same in IMT-2000 system
US20020023162A1 (en) * 2000-08-18 2002-02-21 Hyung-Nam Ahn Method for integrating network elements on communications system
US20020039358A1 (en) * 2000-08-21 2002-04-04 Shin-Hyun Yang Method for separating and processing signal and bearer in all IP radio access network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LL IP Networks Vision and Migration (Page 5 ~ 9 참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902A (ko) 200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60864B1 (en) Paging method and system for a radio access network
JP4023631B2 (ja) コンパティブルでない移動ネットワーク内でローミングする移動局とのパケットデータ通信
KR100915045B1 (ko) 하이브리드 통신 장치의 기술간 능동 핸드오프 방법 및시스템
FI103084B (fi) Pakettiradioverkko ja menetelmä reititysalueen päivittämiseksi
JP4724696B2 (ja) 異なる種類のネットワークにわたる呼ルーティングおよび呼出し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404754B1 (en) Radio packet data terminal and method of determining internet interworking protocol address
EP1360855B1 (en) Access system for a cellular network
EP1351530B1 (e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458614B1 (ko) 원격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시그널링들의 구성
CA2371490C (en) Processing of calls terminating in a packet switched protocol based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MXPA05001847A (es) Tecnica para un intercambio continuo de un usuario de una terminal movil desde una red de telefonia inalambrica a una red de area local inalambrica.
KR19990060517A (ko)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KR20020040803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리로케이션
WO2008014684A1 (fr) Procédé permettant la mise en oeuvre de l'équilibrage des charges
US7343161B2 (en) Methods and system for setting up call in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493446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올 아이피(all ip) 망 운용 시스템및 운용방법
KR10054771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공중망 통화중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사설용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EP1124388A2 (en) Service provision while roaming in 3G wireless networks
US7016679B2 (en) Mobile network domain having a voice capable serving GPRS support node
US20070249357A1 (en)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Two Telephone Services
KR100473005B1 (ko) 이동통신 패킷망에서의 에스아이피 기반의 화상통화서비스 방법
KR20020073826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서비스 방법 및 네트워크 구조
KR20010019813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07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6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7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12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5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5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