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21105A - 행거상품 반송용 체인의 후크유지구조 - Google Patents

행거상품 반송용 체인의 후크유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105A
KR19990021105A KR1019970044610A KR19970044610A KR19990021105A KR 19990021105 A KR19990021105 A KR 19990021105A KR 1019970044610 A KR1019970044610 A KR 1019970044610A KR 19970044610 A KR19970044610 A KR 19970044610A KR 19990021105 A KR19990021105 A KR 19990021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hain
hanger
hook holding
holding stru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8009B1 (ko
Inventor
미쓰오 하시모토
시쓰 요
도루 히라오
도시오 간베
Original Assignee
후쿠나가 다카시
가부시키가이샤 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쿠나가 다카시, 가부시키가이샤 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후쿠나가 다카시
Publication of KR19990021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00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65G17/40Chains acting a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0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conveyors of the suspended, e.g. trolley, type
    • B65G47/61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conveyors of the suspended, e.g. trolley, type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행거상품 반송용 체인의 후크유지구조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행거상품의 후크의 세로축 주위의 회전을 규제하고, 체인의 소정위치로 안정하여 유지할 수 있는 행거상품 반송용 체인의 후크유지구조를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수평면내에서 무단형상으로 순환구동되는 체인(2) 위쪽의 외측 플레이트(11)에, 행거상품의 후크(F)를 세로축선주위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유지하는 대략 V자형상의 지지면(3A)이 형성된 후크유지부(3)를 설치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수평면내에서 무단형상에 순환구동되는 체인으로 행거상품을 반송하기 위한 후크유지구조에 사용됨.

Description

행거상품 반송용 체인의 후크유지구조
본 발명은 수평면내에서 무단형상으로 순환구동되는 체인으로 행거상품을 반송하기 위한 후크유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행거상품의 후크를 유지하여 반송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는 체인 콘베이어는, 예를 들면 체인 핀을 세로로 향하여 체인을 수평면내에서 순환하도록 배치하고, 외측 플레이트 상면에서 체인 핀을 위쪽으로 돌출시켜, 서로 이웃하는 체인 핀 사이에 행거상품의 후크를 걸리도록 한 것이 있으며, 예를 들면, 일본국 실공평 6-7297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행거상품 분류용 트롤리(이하, 간단히 분류 트롤리라고 한다)에 행거상품을 싣는 경우 등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조의 체인 콘베이어에 있어서는, 선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행거상품의 후크 선지름에 비교하여, 후크가 걸려져 있는 외측 플레이트 전후에 돌출되어 있는 체인 핀 사이의 간격이 크고, 후크가 전후 체인 사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행거상품이 반송중에 세로축주위로 회전요동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히 상술한 실공평 6-72973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행거상품을 체인 콘베이어에서 분류 트롤리로 실을 경우, 화물싣기 위치에 정지시킨 분류 트롤리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행거 각각에 대향한 아래쪽 위치에 상기 구조의 체인 콘베이어에서 행거상품을 반송하고, 이재기구에 의해 체인 콘베이어에 걸려져 있는 각각의 행거상품의 후크를 분류 트롤리 각각의 행거까지 가지고 올라가서 주로 받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이재기구가 행거상품의 후크를 잡아 올릴 때 행거상품의 방향이 가지런하게 되어 있지 않으면, 화물싣기 동작에 지장을 가져올 우려가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고, 행거상품의 후크 세로축주위의 회전을 규제하며, 체인의 소정위치로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행거상품 반송용 체인의 후크유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후크유지구조가 적용되는 화물싣기 콘베이어의 평면도,
제 2도는 제 1도에 나타낸 화물싣기 콘베이어에서 행거상품이 실어지는 분류 트롤리의 측면도,
제 3도는 제 1도의 X-X선 위치에서의 화살표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의 외측 플레이트 위쪽에서 행거상품의 후크를 유지하는 후크유지부의 사시도,
제 5도는 제 4도에 나타낸 후크유지부의 측면도,
제 6도는 제 4도에 나타낸 후크유지부의 평면도,
제 7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의 내측 플레이트 위쪽에서 행거상품의 후크를 유지하는 후크유지부의 사시도,
제 8도는 제 7도에 나타낸 후크유지부의 측면도,
제 9도는 제 8도에 나타낸 후크유지부의 평면도,
제 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외측 플레이트 위쪽에서 행거상품의 후크를 유지하는 후크유지부의 사시도,
제 1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내측 플레이트 위쪽에서 행거상품의 후크를 유지하는 후크유지부의 사시도이다.
도면의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물싣기 콘베이어 2 : 체인
3, 3', 4, 4' : 후크유지부 3A, 3' C, 4A, 4'D : 지지면
3B, 4B, 4C : 핀구멍 3C, 4D : 나사구멍
4E : 면따냄부 5 : 분류 트롤리
6 : 주행 레일 7 : 행거
7A : 개방 캠면 8 : 체인 가이드
8A : 절결홈 9 : 롤러
10 : 내측 플레이트 11 : 외측 플레이트
12, 12A, 12B, 12C : 체인 핀 13, 15 : 고정나사
14, 16 : 피검지축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행거상품 반송용 체인은, 첫째로, 수평면내에서 무단형상으로 순환구동되는 체인 위쪽의 외측 플레이트에, 행거상품의 후크를 세로축선주위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유지하는 대략 V자형상의 지지면이 형성된 후크유지부를 설치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행거상품 반송용 체인은 둘째로, 수평면내에서 무단형상으로 순환구동되는 체인의 반송방향에 서로 이웃하는 위쪽의 외측 플레이트 각각에, 이들 외측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위쪽의 내측 플레이트 위쪽에서 서로 대향하는 쌍의 후크유지부를 설치하고, 이들 후크유지부의 각각의 대양단측 상부에 형성된 면따냄부끼리가 행거상품의 후크를 세로축선주위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로 유지하는 대략 V자형상의 지지면을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각각의 행거상품 반송용 체인에 있어서는, 후크유지부가 위쪽의 외측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행거상품의 후크는, 후크유지부에 형성된 대략 V자형상의 지지면에 유지되는 것으로 세로축선 주위의 회전이 규제됨과 동시에, 체인에 대한 반송방향 변위가 규제된다.
그 결과, 행거상품은 체인에 대한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체인의 소정위치에 안정하게 유지되어 반송중의 흔들림도 감소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도는, 분류 트롤리로 행거상품을 싣기하기 위해 이용되는 화물싣기 콘베이어의 평면도로, 화물싣기 콘베이어(1)에는 본 발명의 후크유지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상기 화물싣기 콘베이어(1)는, 수평면내에서 간헐적으로 한방향으로 순환구동되는 무단형상 체인(2)을 가지고 있다. 상기 체인(2)의 상면에는 후크유지부(3)와 2개 1셋트의 후크유지부(4)가 번갈아 설치되어 있어, 반입단 O에서 체인(2)의 간헐적인 이동 타이밍에 맞추어 이들 후크유지부(3), (4)상으로 순차적으로 분류 트롤리로 실어지는 행거상품이 후크가 걸려서 간다.
그리고, 이들 행거상품은 직선상의 진행방향 반송로(A)의 반송간격(P)을 반송피치로 하여 순차적으로 하류측에 간헐적으로 반송된다.
화물싣기 콘베이어(1)의 진행방향 반송로(A)는, 제 2도에 나타낸 분류 트롤리(5)의 화물싣기위치 근방에서 상기 분류 트롤리(5)가 주행하는 주행레일(6)과 병행하고 있고, 분류 트롤리(5)의 주행경로의 대각선 아래쪽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분류 트롤리(5)에는, 다수의 행거(7)가 간격 T로서 같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들 행거(7)는 행거상품(W)이 걸려져 있는 행거의 후크(F)를 하나씩 유지하고, 상기 분류 트롤리(6)가 지정된 분류위치로 주행하면, 여기서 후크(F)를 개방하여 행거상품(W)을 이탈시킬 수 있도록 개폐가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또, 이들 행거(7)는, 후크(F)의 상면에서 개방 캠면(7A)이 위쪽으로 눌려지면 열리고, 다시 후크(F)가 행거(7)의 안쪽으로 침입하여 상기 개방 캠면(7A)에서 떨어지면 다시 닫혀서, 후크(F)를 걸어맞추어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도에 나타낸 이들 행거(7)의 착설간격(T)과, 제 1도에 나타낸 후크의 반송간격(P)은 대략 동등하며, 화물싣기 콘베이어(1)의 반입단 O에서 차례로 보내진 행거상품은 진행방향 반송로(A)를 따라 반송되고, 화물싣기위치에서 멈추고 있는 분류 트롤리(5) 각각의 행거(7)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제 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체인(2)은 상부 길이방향으로 절결홈(8A)이 형성되어 있는 관형상의 체인 가이드(8) 내부를 주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절결홈(8A)의 양끝단면 사이에 체인(2)의 롤러(9)가 끼워 넣어져 안내됨과 동시에, 위쪽의 내측 플레이트(10)의 롤러(9) 양측에 돌출한 부분이 체인 가이드(8)의 절결홈(8A) 양측의 윗부분에 걸어맞춤되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행거(7)에 대향하는 위치의 체인(2)의 주행경로 근방에는, 체인(2)으로 반송되어 온 행거상품의 후크를 광학적으로 검지하는 화물확인센서(S)가 설치되어 있어, 이들 화물확인센서(S)에 의해 각 행거(7)에 주고 받게 되는 행거상품의 유무가 확인되도록 되어 있다.
화물싣기 콘베이어(1)가 정지한 후, 상기 화물싣기 콘베이어(1)와 함께 화물싣기위치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도시되지 않은 옮겨싣는 기구가, 각 후크유지부(3), (4)위에 싣고 있는 후크(F)를 잡아 올려서, 이들 후크(F)의 상면에서 각 행거(7)의 개방 캠면(7A)을 밀어 올리고, 각각의 후크(F)를 대향하는 행거(7)로 걸어맞춤하여 유지시키고, 제 2도의 분류 트롤리(5)로 행거상품(W)을 싣는다.
제 1도에 나타낸 행거상품의 후크 반송간격(P)은, 체인(2)의 피치(롤러(9) 사이의 간격)의 홀수배 간격으로 되어 있으며, 후크유지부(3)가 체인(2)의 외측 플레이트(11)의 반송방향 중앙의 바로 위 위치에서 후크를 유지하고 있는 것에 대해, 2개 1조로 이용되고 있는 후크유지부(4)는, 내측 플레이트(10)의 반송방향 중앙의 바로위 위치에서 후크를 양측에서 유지하고 있다.
상기 후크유지부(3)는, 제 4도-제 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인(2)의 상측에 있는 외측 플레이트(11)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어, 행거상품의 후크(F)가세로축선 주위의 회전을 규제된 상태에서 걸려지는 대략 V자형상의 지지면(3A)을 가지고 있다.
상기 체인(2)에 이용되고 있는 체인 핀 중, 후크유지부(3)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있는 체인 핀(12A)은, 다른 체인 핀(12)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위쪽의 외측 플레이트(11)를 관통하여, 후크유지부(3)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있는 한쌍의 핀구멍(3B)에 각각 끼워넣어져 있다.
이들 체인 핀(12A) 한쪽은, 후크유지부(3)의 양측면 사이를 핀구멍(3B)을 가로로 잘라서 관통하고 있는 나사구멍(3C)에 나사결합된 고정나사(13)에 의해 죄어지고, 후크유지부(3)가 체인(2)과 분리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후크유지부(3)의 체인(2)의 순환경로 외측을 향한 측면에는, 체인(2)의 간헐구동시 후크유지부(3)의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피검지축(14)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검지축(14)은, 체인(2)의 순환경로의 소정위치를 후크유지부(3)가 통과할 때에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고, 상기 검지수단의 검지신호에 의해 반입위치(A)로 행거상품을 보내는 하류측 반송장치의 반송타이밍을 제어하고 있다.
또, 상기 후크유지부(4)는, 제 7도 내지 제 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인(2)의 반송방향에 이웃하는 위치 외측 플레이트(11)에 각각 지지되고, 이들 외측 플레이트(11) 사이를 연결하는 위쪽의 내측 플레이트(10) 아래쪽에서 대향하도록 한쌍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후크유지부(4)는, 대향단측 상부에 각각 면따냄부(C)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면따냄부끼리가 행거상품의 후크(F)를 걸어서 세로축선주위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유지하는 대략 V자형상의 지지면(4A)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체인(2)에 이용되고 있는 체인 핀중, 후크유지부(4)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있는 체인 핀(12B)과 체인 핀(12C)은, 다른 체인 핀(12)보다도 길게 형성되고, 위쪽의 외측 플레이트(11)를 관통하여 후크유지부(4)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핀구멍(4B), (4C)에 각각 끼워넣어져 있다.
후크유지부(4)의 지지면(4A)에서 떨어진 쪽에 형성되어 있는 핀구멍(4B)에 끼워넣어져 있는 체인 핀(12B)은, 후크유지부(4)의 양측면 사이를 핀구멍(4B)을 가로로 잘라서 관통하고 있는 나사구멍(4D)에 나사맞품된 고정나사(15)에 의해 죄어지고, 후크유지부(4)가 체인(2)과 분리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들 쌍 후크유지부(4)의 체인(2)의 순환경로의 외측을 향한 측면에는 각각 상술한 후크유지부(3)와 같은 목적으로 피검지축(16)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제 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후크유지부(4)의 대향끝단의 체인(2)의 순환경로 내주측에는 각각, 체인(2)이 수평면내에서 굴곡할 때에 이들 대향끝단끼리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면따냄부(4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 4도 내지 제 6도에 나타낸 후크유지부(3)와, 제 7도 내지 제 9도에 나타낸 후크유지부(4)는, 각각 독립한 부품으로서 체인(2)에 부착되어 있지만, 이들 후크유지부는 체인(2)의 위쪽 외측 플레이트(11)와 일체화하고, 금속블럭재 등으로 기계가공에 의해 제작하도록 해도 좋다.
또, 후크유지부(3)와 후크유지부(4)에는, 피검지축(14), (16)을 부착하지 않고 체인(2)이 감겨져서 걸린 스프로켓의 회전 등을 검지하여, 제 1도에서의 반입위치(A)로 행거상품을 보내는 상류측 반송장치의 반송 타이밍을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제 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동도면의 후크유지부(3')는, 상술한 제 4도 내지 제 6도에 나타낸 후크유지부(3)와 마찬가지로 행거상품의 후크를 체인(2)의 외측 플레이트(11)의 반송방향 중앙부 위쪽에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크유지부(3')를 체인(2)의 위쪽 외측 플레이트를 겸하는 플레이트 편(3'A)과 그 좌우양측에서 위쪽으로 절곡된 한쌍의 직립편(3'B)으로 구성하며, 금속판소재를 프레스가공하여 용이하게 제조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행거상품의 후크는, 상기 한쌍의 직립편(3'B)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대략 V자형상의 지지면(3'C)에 걸어서 유지함으로써, 세로축선 주위의 회전이 규제된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상술한 제 7도 내지 제 9도에 나타낸 2개 1조로 이용하는 후크유지부(4)의 각각에 대해서도, 제 10도의 후크유지부(3')와 같이, 외측 플레이트와 일체로 하여 금속판 소재로 프레스가공으로 제작할 수 있다.
다음에, 제 1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술한 제 7도 내지 제 9도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체인(2)의 내측 플레이트(10)의 반송방향 중앙부 상방에서 행거상품의 후크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 11도에 나타낸 것에서는, 후크유지부(4')는, 체인(2)의 위쪽 외측 플레이트의 역할을 다하고 있는 플레이트 편(4'A)과, 상기 플레이트 편(4'A)의 한쪽 끝단에서 인접하는 내측 플레이트(10) 위에 외측 플레이트(11)의 판두께분의 틈을 두고 덮어서 겹쳐지도록 연설되어 있는 연속편(4'B)과, 그 좌우양측에서 위쪽으로 절곡 형성된 한쌍의 직립편(4'C)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직핍편(4'C) 위끝단에는, 대략 V자형상의 지지면(4'D)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행거상품의 후크가 걸려져서 세로축선 주위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연속편(4'B)의 자유끝단측에는, 그 아래쪽의 외측 플레이트(11)에서 아래쪽으로 약간 돌출해 있는 체인 핀(12)을 수납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면(4'D)이 행거상품의 후크를 유지했을 때, 연속편(4'B)의 자유끝단측 하면이 외측 플레이트(11)의 상면에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체인 핀(12)을 수납하는 구멍은, 연속편(4'B)의 폭방향으로 긴 구멍으로 되어 있어서, 체인(2)의 굴곡시 체인 핀(12)의 변위를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후크유지부(4')는, 상기 제 10도의 실시예와 같이 프레스가공으로 외측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술한 제 7도 -제 9도에 나타낸 후크유지부(4)에서는 2개 1조로 있던 것을, 하나로 후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를 간략화한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행거상품의 후크 반송간격을 체인 피치의 홀수배로 할 경우에는, 체인의 외측 플레이트 위쪽에서 후크를 유지하는 형식의 후크유지부와 내측 플레이트 위쪽에서 후크를 유지하는 형식의 후크유지부를 2종류로 번갈아 이용할 필요가 있지만, 후크의 반송간격을 체인 피치의 짝수배로 할 경우에는, 후크유지부는 외측 플레이트 위쪽 또는 내측 플레이트의 위쪽에서 후크를 유지하는, 어느 한쪽의 형식만을 이용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후크유지부의 대략 V자형상의 지지면에서 행거상품의 후크를 세로축주위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유지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체인에 대한 행거상품의 방향이 변화하지 않고, 반송중의 행거상품의 요동도 감소된다.
또한, 2실시형태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반송방향에 이웃하는 위쪽의 외측 플레이트 각각에 이들 외측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위쪽의 내측 플레이트 상방에서 서로 대향하는 쌍의 후크유지부를 설치하고, 이들 후크유지부 각각의 대향단측 상부에 형성된 면따냄부끼리가 행거상품의 후크를 거는 대략 V자형상의 지지면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후크유지부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지 않고, 내측 플레이트의 상방위치에서 행거상품의 후크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3실시형태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후크유지부를 외측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체인을 구성하는 부품수가 적고, 조립공정수도 감소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4)

  1. 수평면내에서 무단형상으로 순환구동되는 체인의 상측의 외측 플레이트에,행거상품의 후크를 세로축선 주위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로 유지하는 대략 V자형상의 지지면이 형성된 후크유지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상품 반송용 체인의 후크유지구조.
  2. 수평면내에서 무단형상으로 순환구동되는 체인의 반송방향에 서로 이웃하는 위쪽의 외측 플레이트 각각에, 이들 외측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위쪽의 내측 플레이트의 위쪽에서 서로 대향하는 쌍의 후크유지부를 설치하고, 이들 후크유지부 각각의 대향단측상부에 형성된 면따냄부끼리가 행거상품의 후크를 세로축선 주위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유지하는 대략 V자형상의 지지면을 구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상품 반송용 체인의 후크유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후크유지부가 위쪽의 외측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상품 반송용 체인의 후크유지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후크유지부가 위쪽의 외측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상품 반송용 체인의 후크유지구조.
KR1019970044610A 1997-08-05 1997-08-30 행거상품 반송용 체인의 후크유지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258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0888A JPH1149324A (ja) 1997-08-05 1997-08-05 ハンガー商品搬送用チェーンのフック保持構造
JP97-210888 1997-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105A true KR19990021105A (ko) 1999-03-25
KR100258009B1 KR100258009B1 (ko) 2000-07-01

Family

ID=16596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610A Expired - Fee Related KR100258009B1 (ko) 1997-08-05 1997-08-30 행거상품 반송용 체인의 후크유지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149324A (ko)
KR (1) KR1002580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9402C2 (sv) * 2005-12-15 2007-07-31 Fmc Foodtech Ab Upplagsanordning
JP5172947B2 (ja) * 2007-05-04 2013-03-27 ジェンセン・スウェーデン・アーベー コンベヤチェーンのためのファスナーアセンブリ、当該コンベヤチェーンとともに使用するためのキャリア、ならびにコンベヤチェーンを変更するための方法
CN103612875B (zh) * 2013-12-16 2016-08-17 苏州中门子科技有限公司 一种传送链条及其生产工艺
DE102018116420B4 (de) 2018-07-06 2022-08-04 Ssi Schäfer Automation Gmbh Bügel-Beladestation für Hängeförderer
CN112573094A (zh) * 2020-12-29 2021-03-30 江苏卓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分拣机小车的新型安装结构
CN112573129A (zh) * 2020-12-29 2021-03-30 江苏卓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直线式分拣机
CN114435637A (zh) * 2022-02-18 2022-05-06 长沙创华睿科技有限公司 中药颗粒调剂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9550B2 (ja) * 1992-09-18 2000-10-16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電解用極板搬送用チエーンコンベアおよび電解用極板搬送方法
KR950008865U (ko) * 1993-09-27 1995-04-17 콘베이어에 사용되는 v자형 행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49324A (ja) 1999-02-23
KR100258009B1 (ko) 200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2885C2 (ru) Сортировочный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US5529165A (en) Carousel storage conveyor
CA1300547C (en) Duplex - conveyor
JP2009507736A (ja) 物体の搬送装置
KR890000597B1 (ko) 물품의 반송 및 선별 장치
US2912093A (en) High speed article transfer apparatus
KR100258009B1 (ko) 행거상품 반송용 체인의 후크유지구조
KR890001848A (ko) 병 이송장치
US5207314A (en) Device for horizontally holding loading bases moving circulatively in vertical plane
US5113701A (en) Transport device for boards having a sensitive surface, especially for wet-coated circuit boards
JPH10503160A (ja) チェーンコンベヤ
US6029800A (en) Conveyor for articles with wave-shaped rollers
US5113785A (en) Transport device for boards, especially those having a sensitive surface
JPH0356323A (ja) コンベアシステムの搬送体振り分け装置
DE59800403D1 (de) Fördervorrichtung für regalkanäle von regallageranlagen
JPH08277016A (ja) ハンガー商品の滑走摩擦搬送装置
KR870001519B1 (ko) 수직 이송용 컨베이어의 물품 이송대
JP2595533B2 (ja) ローラコンベヤ
KR102355465B1 (ko) 복수의 벨트 연결용 구동 장치
JPS5943308Y2 (ja) 搬送装置
RU1791290C (ru) Гравитационный роликовый конвейер дл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 деталей на торцах
WO2021235012A1 (ja) 容器搬送機構
JPS6087111A (ja) 搬送装置
SU1240688A1 (ru) Крутонаклонный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JPS62285806A (ja) セラミツクチエ−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